KR200446832Y1 - 목재 펠릿 보일러 - Google Patents

목재 펠릿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832Y1
KR200446832Y1 KR20090006801U KR20090006801U KR200446832Y1 KR 200446832 Y1 KR200446832 Y1 KR 200446832Y1 KR 20090006801 U KR20090006801 U KR 20090006801U KR 20090006801 U KR20090006801 U KR 20090006801U KR 200446832 Y1 KR200446832 Y1 KR 200446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ellet
pellets
plate
transf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6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선
Original Assignee
윤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선 filed Critical 윤순선
Priority to KR20090006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8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6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along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23B40/08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along the fuel-supporting surface into pot- or trough-shaped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3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 F23B3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 F23B30/04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gitating the burning fuel; 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advancing the burning fuel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with movable, e.g. vibratable, fuel-supporting surface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have movable parts with fuel-supporting surfaces that are rotatable around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and support the fuel on their inside, e.g. cylindrical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9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various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20Feeding/conveying devices
    • F23K2203/202Feeding/conveying devices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펠릿을 원료로 이용하여 난방비를 절감하면서도 친환경적이며, 연소를 위한 간단한 구조의 펠릿거치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펠릿의 공급과 연소폐기물 처리가 신속하고도 용이하여 연소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목재 펠릿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목재 펠릿(2)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펠릿(2)을 저장하는 저장부(10)와, 펠릿(2)이 연소되어 발생된 연소열로 온수 또는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된 연소부(20)와, 펠릿(2)을 상기 저장부(10)에서 연소부(20)로 이송시키는 펠릿공급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20)는 펠릿공급부(40)에서 이송된 펠릿(2)이 연소되는 연소실(21)과, 이 연소실(21)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상면에 펠릿(2)이 쌓여서 연소되는 연소판(30)과, 이 연소판(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와, 상기 연소판(30)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펠릿(2)을 점화하는 버너(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펠릿공급부(40)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부(10)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소실(21) 내부와 연통되는 수평이송관(42)과, 이 수평이송관(42) 내부에 구비되어 펠릿(2)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6)와, 이 이송스크류(46)를 구동시키는 이송모터(49)와, 상기 수평이송관(41)의 타단부에 직립되어 연통설치되며 상기 연소판(30)의 상측에 위치되는 수직이송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판(30)의 직경은 수직이송관(4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 되고, 상기 수직이송관(42)의 하측부에는 만곡된 날개를 가진 임펠러(4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3)에 의해 연소판(30)이 회전되면 수직이송관(42)의 직경과 대응되는 연소판(30)의 중앙부에 위치한 펠릿(2)이 임펠러(43)에 의해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밀려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가 제공된다.
펠릿, 연소판, 펠릿공급부, 이송스크류, 임펠러

Description

목재 펠릿 보일러{A boiler using wood-pellets}
본 고안은 목재 펠릿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펠릿을 원료로 이용하여 난방비를 절감하면서도 친환경적이며, 연소를 위한 간단한 구조의 펠릿거치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펠릿의 공급과 연소폐기물 처리가 신속하고도 용이하여 연소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목재 펠릿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주택이나 공공시설의 난방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보일러는 대체로 기름이나 가스를 주원료로 한다.
이러한 보일러는 보통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설정된 온도에 맞도록 기름이나 가스가 자동으로 연소실로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연료가 점화되면서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산업설비의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름이나 가스는 연료투입과 온도조절 등의 관리가 용이하여 보일러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기름이나 가스는 상당히 고가이며 연료가 많이 소모되어 난방비가 상승하므로 경제적으로 부담될 뿐만 아니라 연소시에 배출되는 연소가스가 대기를 오염시켜 환경을 파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기름이나 가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나무를 원료로 사용하는 보일러가 보급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화목 보일러는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름이나 가스에 비해 친환경적이다. 그런데, 기름이나 가스는 액체와 기체이어서 관을 통해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지만, 이에 비해 나무는 부피가 큰 고체의 특성상 연소실로 계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나무가 연소되면서 발생한 연소폐기물을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계속 제거해 주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재 펠릿을 이용하여 난방비를 절감하면서도 친환경적이며, 연소를 위한 간단한 구조의 펠릿거치대를 사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펠릿의 공급과 연소폐기물 처리가 신속하고도 용이하여 연소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목재 펠릿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목재 펠릿(2)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펠릿(2)을 저장하는 저장부(10)와, 펠릿(2)이 연소되어 발생된 연소열로 온수 또는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된 연소부(20)와, 펠릿(2)을 상기 저장부(10)에서 연소부(20)로 이송시키는 펠릿공급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20)는 펠릿공급부(40)에서 이송된 펠릿(2)이 연소되는 연소실(21)과, 이 연소실(21)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펠릿(2)이 쌓여서 연소되는 연소판(30)과, 이 연소판(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와, 상기 연소판(30)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펠릿(2)을 점화하는 버너(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펠릿공급부(40)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부(10)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소실(21) 내부와 연통되는 수평이송관(42)과, 이 수평이송관(42) 내부에 구비되어 펠릿(2)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6)와, 이 이송스크류(46)를 구동시키는 이송 모터(49)와, 상기 수평이송관(41)의 타단부에 직립되어 연통설치되며 상기 연소판(30)의 상측에 위치되는 수직이송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판(30)의 직경은 수직이송관(4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이송관(42)의 하측부에는 만곡된 날개를 가진 임펠러(4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3)에 의해 연소판(30)이 회전되면 수직이송관(42)의 직경과 대응되는 연소판(30)의 중앙부에 위치한 펠릿(2)이 임펠러(43)에 의해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밀려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소판(30)에는 펠릿(2)이 통과되는 것이 방지되는 크기의 폐기물처리공(31)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수직이송관(42)의 하측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블레이드(44)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판(30)이 회전되면 펠릿(2)이 연소된 후에 생성된 연소폐기물이 블레이드(44)에 의해 이동되어 폐기물처리공(31)을 통해 연소판(30)의 하측부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이송관(42)에 일정량의 펠릿(2)이 쌓이면 이송스크류(46)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수단(50)은 수직이송관(42)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평이송관(41)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감지판(53)을 포함하는 감지부(51)와, 상기 감지판(53)이 수평이송관(41)을 통해 투입되는 펠릿(2)에 의해 밀려나서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이송스크류(46)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전력을 차단하는 제어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펠릿(2)을 원료로 하며 이 펠릿(2)을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기름이나 가스를 원료로 하는 보일러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는 목재 펠릿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펠릿(2)을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부(20)에 있어서 펠릿(2)이 연소되는 거치대로서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연소판(30)을 사용함으로써, 연소판(30)의 보수 또는 세척 등의 청소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서 이물질 등으로 인한 기기의 오작동 또는 작동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49)의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류(46)의 작동에 의해 연소실(21)에 펠릿(2)을 공급하도록 펠릿공급부(40)를 구성함으로써, 기존 보일러에 비해 난방비를 절감하고 친환경적이면서도 펠릿(2)을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화목 보일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펠릿(2)이 이송되는 수직이송관(42)의 하측에는 만곡된 날개를 가진 임펠러(43)가 돌출되어 연소판(30)과 근접되도록 설치하고, 수직이송관(42)의 직경이 연소판(30)의 직경보다 작게 하며, 구동모터(33)에 의해 연소판(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이송관(42) 내부로 이송된 펠릿(2)이 임펠러(43)에 의해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이동되어서 연소되므로, 연소가스가 수직이송관(42)으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수직이송관(42)에 투입된 펠릿(2)의 투입량을 감지하여 이송스크류(4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구비하여, 수직이송관(42) 내부에 일정량의 펠릿(2)이 쌓이게 되면 전력이 차단되어 이송스크류(46)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연소판(30)에 펠릿(2)보다 작은 크기의 폐기물처리공(31)을 형성하고, 수직이송관(42)의 둘레부 하측에는 블레이드(44)를 형성하여, 연소판(30)이 회전되면 수직이송관(42) 내부의 펠릿(2)들은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계속 이동되고 또한 연소판(30) 가장자리에 있던 연소폐기물들은 블레이드(44)에 의해 폐기물처리공(31)을 통해 연소판(30)의 하측부로 계속 떨어지게 되므로, 연소폐기물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처리하면서도 새로운 펠릿(2)을 계속적이고도 신속하게 공급하므로 연소효율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펠릿 보일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수직이송관과 연소판을 소정거리 이격시켜 도시한 사시 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수직이송관과 연소판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 중 펠릿의 공급을 제어하는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재 펠릿 보일러는 하우징(1)과, 하우징(1) 내부에 구비되어 펠릿(2)을 저장하는 저장부(10)와, 펠릿(2)을 연소시켜 연소열에 의해 온수 또는 증기를 생성시키는 연소부(20)와, 펠릿(2)을 상기 저장부(10)에서 연소부(20)로 이송시키는 펠릿공급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은 저장부(10)와 펠릿공급부(40) 및 연소부(20)가 내부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펠릿공급부(40)의 하우징(1) 상면에는 펠릿(2)을 대량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직경이 큰 타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소부(20)의 하우징(1) 상면에는 연소가스가 배출되도록 도시안된 배기관이 설치된다.
상기 저장부(10)는 상기 하우징(1)의 타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11)가 형성되어 내부에 대량의 펠릿(2)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하우징(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다. 이때, 저장부(10)의 하측부는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펠릿(2)이 저장부(10) 하부로 집중된다. 또한, 저장부(10)의 하부면은 개방되어 저장부(10)에 저장되었던 펠릿(2)이 후술하는 펠릿공급부(40)로 배출된다.
상기 연소부(20)는 펠릿공급부(40)에서 이송된 펠릿(2)이 연소되는 연소실(21)과, 이 연소실(21)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펠릿(2)이 안착되는 연소판(30)과, 이 연소판(30)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펠릿(2)을 점화하는 버너(27)와, 연소실(21)을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물 또는 공기가 채워진 챔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실(21)은 상면에 배기구(22)가 형성되고 하측부에는 저장부(10)와 유사하게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면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연소실(21)의 하측은 원형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이 개방부에 연소판(3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연소판(30)은 원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 이외의 가장자리에는 반경방향으로 긴 폐기물처리공(31)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이 폐기물처리공(31)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펠릿(2)을 보다 더욱 완전연소시킬 수 있다. 이때, 폐기물처리공(31)은 연소판(3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로 나뉘어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이 폐기물처리공(31)은 연소전의 펠릿(2)은 통과될 수 없는 크기이며, 펠릿(2)이 연소된 후에 생성되는 연소폐기물은 재 상태이므로 외력에 의해 가루형태로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연소판(30)의 중앙부에는 축부재(32)가 결합되어 구동모터(33)와 밸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연소판(30)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연소폐기물은 구동모터(33)에 방해받지 않고 연소판(30)의 하부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연소판(30)의 하측부에는 버너(27)가 설치되는데, 상기 폐기물처리공(31)이 형성된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화염이 분출되는 형태의 버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기물처리공(31)의 직하방에 화염분출구가 형성되지 않도록, 화염이 측방에서 분출되어 상부로 향하도록 된 버너(27)를 사용하여, 연소 폐기물이 버너(27)의 화염분출구를 막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버너(27)는 연소판(30)의 상면에 위치되는 펠릿(2)을 점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연소판(30)의 하측부에는 폐기물처리공(31)을 통해 낙하하는 연소폐기물이 담겨지는 폐기물받이(28)가 구비된다. 이 폐기물받이(28)가 구비된 하우징(1)의 측면에는 도시안된 개폐구가 설치되어, 폐기물받이(28)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챔버(23)는 연소실(21)을 둘러싸도록 밀폐된 형상으로, 그 내부에는 물이나 공기가 채워진다. 그리고, 챔버(23)의 상측 및 하측에는 유입구(24)와 배출구(25)가 형성되어, 챔버(23)로 유입된 물과 공기가 연소열에 의해 데워져서 난방수와 온풍으로 배출된다. 한편, 챔버(23)에는 연소실(21)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관(26)이 형성되어, 물과 공기가 관(26)을 통해 유동되면서 연소열에 의한 가열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챔버(23)의 측면에는 연소실(21)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후술할 수평 및 수직이송관(41, 42)이 관통공을 관통하여 연소실(2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펠릿공급부(40)는 수평이송관(41), 수직이송관(42), 이송스크류(46) 및 이송모터(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이송관(41)은 그 일측 외주면이 상기 저장부(10)의 테이퍼면이 형성된 하부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챔버(23) 및 연소실(21)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연소실(21)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수직이송관(42)은 상측에는 안착홈(45)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수평이송관(41)의 타측이 연통설치되며, 상기 연소판(30)의 상측부에 위치된다. 상기 이송스크류(46)는 수평이송관(41) 내 부에 배치되며, 축봉(47)과, 이 축봉(47)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날개(48)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송스크류(46)의 일단부에는 이송모터(49)가 체인밸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이송모터(49)의 구동에 의해 축봉(47)이 회전되면, 펠릿(2)이 날개(48)에 부딪치면서 수직이송관(42)으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수직이송관(42)의 직경은 연소판(3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그 하측부에는 임펠러(43)가 돌출형성된다. 이 임펠러(43)는 만곡된 날개로 이루어지는데, 하나 또는 두 개의 만곡된 날개가 직경을 가로지르도록 선형으로 배치되거나 세 개 이상의 만곡된 날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펠릿 보일러 중 연소판(30)의 작동에 의한 펠릿(2)의 이동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수평이송관(41)을 통해 투 수직이송관(42)에 투입된 펠릿(2)은 상기 연소판(30)의 중앙부에 떨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연소판(30)이 구동모터(33)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연소판(30)의 중앙부에 있던 펠릿(2)이 임펠러(43)에 부딪치면서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밀려나게 된다. 이에 따라, 펠릿(2)은 연소판(30)의 중앙부에서는 연소되지 않고, 수직이송관(42)의 외측에서만 연소되므로, 연소가스가 수직이송관(42)을 통해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임펠러(43)가 3개의 만곡된 날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형상을 예시하였으나, 연소판(30)이 회전됨에 따라 펠릿(2)이 임펠러(43)에 부딪치면서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밀려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형상이든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송관(42)의 하측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블레이드(44)가 돌출 형성된다. 이 블레이드(44)는 펠릿(2)이 연소된 후에 생성되는 재 상태인 연소폐기물을 폐기물처리공(31)을 통해 연소판(30)의 하측으로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즉, 연소판(30)이 회전되면 연소판(3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연소폐기물이 블레이드(44)에 부딪치면서 이동되어 폐기물처리공(31)을 통해 연소판(30)의 하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연소폐기물은 재 상태이기 때문에 블레이드(44)에 부딪치게 되면 가루형태로 부서지면서 부피가 감소되어 폐기물처리공(31)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펠릿(2)은 폐기물처리공(3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연소판(30)의 중앙부에 위치한 펠릿(2)을 임펠러(43)로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이동시키면서도 연소폐기물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연소판(30)에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펠릿(2)을 연소판(30)에 계속적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연소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펠릿(2)이 연소되는 거치대로서 구조적으로 간단한 연소판(30)을 사용함으로써, 연소판(30)의 유지 및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물질 등으로 인한 기기의 오작동이나 작동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스크류(46)를 통해 수직이송관(42)으로 투입된 펠릿(2)이 수직이송관(42) 내부에 일정량이 쌓이면 이를 감지하여 이송스크류(46) 또는 전력공급부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서 전력을 차단하는 제어수단(50)이 구비된다. 이 제어수단(50)은 수직이송관(42)의 상측부 안착홈(45)에 안착되는 회전축(52)과, 이 회전축(52)의 외주면에서 하향 돌출 형성된 감지판(53)으로 이루어진 감지부(51) 및 상기 회전축(52)이 일정각도 회전되거나 또는 감지판(53)이 일정위치에 도달하면 이송스크류(46) 또는 전력공급부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는 제어 부(54)로 이루어진다.
이때, 감지판(53)은 회전축(5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수직이송관(41) 내부에 일정량의 펠릿(2)이 쌓여서 감지판(53)이 펠릿(2)에 의해 밀려나서 회전축(52)이 일정각도 회전되면, 즉, 도 4의 (a)상태에서 (b)상태로 진행되면, 도 4의 (b)에서와 같이 도시안된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4)가 전력을 차단하게 되어 이송스크류(46)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이송관(41)에 펠릿(2)이 일정량 쌓이면 전력이 차단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펠릿(2)이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밀려나게 되면 수직이송관(41) 내부에 쌓였던 펠릿(2)의 양이 줄어들면서 감지판(53)이 원위치되어, 제어부(54)에 의해 전력공급이 재개되어 또다시 펠릿(2)이 공급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자동으로 펠릿(2)이 계속 공급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목재 펠릿 보일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구부(11)를 통해 저장부(10)에 대량의 펠릿(2)을 공급하면, 저장부(10) 하측부에 위치된 펠릿(2)은 수평이송관(41)으로 유입되어 이송스크류(46)의 작동에 의해 수직이송관(42)으로 이송되어 연소판(30)의 중앙부에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구동모터(33)의 구동에 의해 연소판(30)이 회전되어 펠릿(2)이 임펠러(43)에 부딪치면서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밀려난다. 연소판(30)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펠릿(2)이 버너(27)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한편, 펠릿(2)이 연소되는 동안에도 이송스크류(46)의 작동에 따라 다량의 펠릿(2)이 이송되어 수직이송관(42) 내부로 이송된다. 이때, 연소판(30)의 가장자리에서 다수개의 펠릿(2)이 연소되므로, 수직이송관(42) 내부에는 이송된 펠릿(2)이 쌓이게 된다. 펠릿(2)이 계속해서 쌓여서 감지판(53)이 밀려나게 되어 감지판(53)이 일정각도 회전되면, 제어부(54)가 전력공급을 차단하게 되어 이송스크류(46)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펠릿(2)이 수직이송관(42)으로 더 이상 이송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연소판(30)에서 펠릿(2)이 연소된 경우, 연소판(30)이 회전되어 연소폐기물이 블레이드(44)에 부딪치면서 가루형태로 부서지게 되어 폐기물처리공(31)을 통과하여 연소판(30)의 하측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연소판(30) 회전시에 수직이송관(42) 내부에 쌓였던 펠릿(2)이 임펠러(43)에 부딪치면서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이동되어 연소가 시작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연소판(30)의 가장자리에 있던 연소폐기물을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폐기물처리공(31)을 통해 낙하시키고 새로운 펠릿(2)을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용이하게 계속공급할 수 있으므로, 연소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 펠릿 보일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중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요부의 작동상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 다른 중요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Claims (4)

  1. 목재 펠릿(2)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에 있어서, 펠릿(2)을 저장하는 저장부(10)와, 펠릿(2)이 연소되어 발생된 연소열로 온수 또는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된 연소부(20)와, 펠릿(2)을 상기 저장부(10)에서 연소부(20)로 이송시키는 펠릿공급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연소부(20)는 펠릿공급부(40)에서 이송된 펠릿(2)이 연소되는 연소실(21)과, 이 연소실(21)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펠릿(2)이 쌓여서 연소되는 연소판(30)과, 이 연소판(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3)와, 상기 연소판(30)의 하측부에 구비되어 펠릿(2)을 점화하는 버너(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펠릿공급부(40)는 일단부가 상기 저장부(10)와 연통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소실(21) 내부와 연통되는 수평이송관(42)과, 이 수평이송관(42) 내부에 구비되어 펠릿(2)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46)와, 이 이송스크류(46)를 구동시키는 이송모터(49)와, 상기 수평이송관(41)의 타단부에 직립되어 연통설치되며 상기 연소판(30)의 상측에 위치되는 수직이송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판(30)의 직경은 수직이송관(4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이송관(42)의 하측부에는 만곡된 날개를 가진 임펠러(4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3)에 의해 연소판(30)이 회전되면 수직이송관(42)의 직경과 대응되는 연소판(30)의 중앙부에 위치한 펠릿(2)이 임펠러(43)에 의해 연소판(30)의 가장자리로 밀려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판(30)에는 펠릿(2)이 통과되는 것이 방지되는 크기의 폐기물처리공(31)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수직이송관(42)의 하측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블레이드(44)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판(30)이 회전되면 펠릿(2)이 연소된 후에 생성된 연소폐기물이 블레이드(44)에 의해 이동되어 폐기물처리공(31)을 통해 연소판(30)의 하측부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관(42)에 일정량의 펠릿(2)이 쌓이면 이송스크류(46)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수직이송관(42)의 내부에 위치되어 수평이송관(41)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감지판(53)을 포함하는 감지부(51)와, 상기 감지판(53)이 수평이송관(41)을 통해 투입되는 펠릿(2)에 의해 밀려나서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이송스크류(46)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전력을 차단하는 제어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펠릿 보일러.
KR20090006801U 2009-06-02 2009-06-02 목재 펠릿 보일러 KR200446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6801U KR200446832Y1 (ko) 2009-06-02 2009-06-02 목재 펠릿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6801U KR200446832Y1 (ko) 2009-06-02 2009-06-02 목재 펠릿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832Y1 true KR200446832Y1 (ko) 2009-12-03

Family

ID=4605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6801U KR200446832Y1 (ko) 2009-06-02 2009-06-02 목재 펠릿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83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386B1 (ko) 2012-06-18 2012-08-01 하만식 펠릿보일러의 연소제어장치
KR200465794Y1 (ko) * 2011-12-19 2013-03-11 김문욱 펠릿형 난방장치
KR101259175B1 (ko) * 2011-05-26 2013-05-06 도효림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화력 확산장치
KR101280057B1 (ko) * 2010-01-27 2013-07-08 박병영 연소재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1343881B1 (ko) 2012-12-12 2013-12-20 김상권 재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연소기
KR101573245B1 (ko) * 2014-07-30 2015-12-03 우경기술주식회사 고형화 방지 버너
KR101624887B1 (ko) * 2014-08-28 2016-05-27 윤상봉 펠렛보일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79Y1 (ko) 2002-03-06 2002-06-26 정재욱 코크스 보일러
KR20030093494A (ko) * 2002-06-03 2003-12-11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보일러
KR200407029Y1 (ko) 2005-10-20 2006-01-24 김대섭 고체 연료용 자동식 보일러
KR100905245B1 (ko) 2009-02-12 2009-06-29 박운섭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779Y1 (ko) 2002-03-06 2002-06-26 정재욱 코크스 보일러
KR20030093494A (ko) * 2002-06-03 2003-12-11 강성보일러 주식회사 보일러
KR200407029Y1 (ko) 2005-10-20 2006-01-24 김대섭 고체 연료용 자동식 보일러
KR100905245B1 (ko) 2009-02-12 2009-06-29 박운섭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057B1 (ko) * 2010-01-27 2013-07-08 박병영 연소재 제거 기능을 갖는 보일러
KR101259175B1 (ko) * 2011-05-26 2013-05-06 도효림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화력 확산장치
KR200465794Y1 (ko) * 2011-12-19 2013-03-11 김문욱 펠릿형 난방장치
KR101170386B1 (ko) 2012-06-18 2012-08-01 하만식 펠릿보일러의 연소제어장치
KR101343881B1 (ko) 2012-12-12 2013-12-20 김상권 재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연소기
KR101573245B1 (ko) * 2014-07-30 2015-12-03 우경기술주식회사 고형화 방지 버너
KR101624887B1 (ko) * 2014-08-28 2016-05-27 윤상봉 펠렛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832Y1 (ko) 목재 펠릿 보일러
JP5828910B2 (ja) 不燃物を含む固形燃料の連続燃焼装置
KR100905245B1 (ko)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101371235B1 (ko) 연소판을 청소하는 브러쉬를 가지는 펠릿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보일러 운전방법
JP2009198112A (ja) 籾殻燃焼方法及びその装置
JP5999883B2 (ja) 燃焼炉
KR101220200B1 (ko) 고체연료 연소장치
KR100647783B1 (ko) 보일러
WO2011161724A1 (ja) 固形燃料の連続燃焼装置
KR101399977B1 (ko) 클링커 제거장치를 구비한 연소장치
JP5030111B2 (ja) 固形燃料燃焼装置の灰除去手段
JP2022022410A (ja) 燃焼装置の灰排出制御方法
KR20120038620A (ko) 보일러 펠릿 공급장치
KR100573172B1 (ko) 석탄 및 기름을 이용하는 보일러 겸용 온풍기
JP2018059642A (ja) 燃焼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熱供給システム
KR20120084856A (ko) 펠릿 연소 보일러
KR20120014949A (ko) 고체 연료 소각 스토브
KR101093408B1 (ko)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연소장치
KR200452053Y1 (ko) 목재버너
KR101267961B1 (ko) 펠릿보일러용 연소장치
KR20110002556A (ko) 펠렛용 보일러 엔진
KR101317715B1 (ko) 알디에프 소각 처리장치
KR200465794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101358711B1 (ko) 목재 펠릿 공급기용 역화 방지장치
KR100868985B1 (ko) 화목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