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985B1 - 화목버너. - Google Patents

화목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985B1
KR100868985B1 KR1020070063847A KR20070063847A KR100868985B1 KR 100868985 B1 KR100868985 B1 KR 100868985B1 KR 1020070063847 A KR1020070063847 A KR 1020070063847A KR 20070063847 A KR20070063847 A KR 20070063847A KR 100868985 B1 KR100868985 B1 KR 10086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unit
motor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겸
Original Assignee
김대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겸 filed Critical 김대겸
Priority to KR102007006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2Start-up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5/00Cleaning arrangements for grates; Moving fuel alo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2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with various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볏짚(잘게 썰은), 낙엽, 나무 등을 연료로하며, 상기 연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연료를 연소통으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된 연료를 송풍기의 송풍으로 연소시키는 연소통의 회전연소부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연소를 돕도록 보조연료를 투입하는 보조연료장치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재를 재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재를 제거하는 재칼로 구성하여 연소된 재를 회전연소부에서 용이하게 제거하며, 볏짚(잘게 썰은), 낙엽, 나무등의 연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난로, 보일러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목버너에 관한 것이다.
호퍼, 이송컨베이어, 연소통, 재칼, 점화부, 보조연료공급장치, 송풍기, 제어부

Description

화목버너.{Fire wood a burner.}
도 1은 종래의 화목버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버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버너의 측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칼의 하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칼과 모터의 결합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연소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이송부의 개략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이송부의 측면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호퍼 11: 덮개
12a, 12b, 12c, 12d: 모터 13: 교반회전대
13a: 교반날개 14: 연료이송부
14a: 회전날개 14b: 회전축
15: 배출구 15b: 타이머
19: 공기연결관 20: 이송컨베이어
21: 투입받침판 30: 연소통
31: 회전연소부 32: 재받이부
33: 받침대 40: 점화부
41: 가스통 42: 전기점화부
50: 보조연료공급장치 51: 보조연료통
52: 니들밸브 53: 보조연료 주입관
60: 송풍기 61: 공기연결관
70: 제어부 80: 재칼
81: 랙기어 100: 화목버너
본 발명은 볏짚(잘게 썰은), 낙엽, 톱밥, 왕겨, 나무 등을 연료로하며, 상기 연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연료를 연소통으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된 연료를 송풍기의 송풍으로 연소시키는 연소통의 회전연소부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연소를 돕도록 보조연료를 투입하는 보조연료장치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재를 재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재를 제거하는 재칼로 구성하여 연소된 재를 회전연소부에서 용이하게 제거하며, 볏짚(잘게 썰은), 낙엽, 톱밥, 왕겨, 나무등의 연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난로, 보일러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목버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축농가에 난방시설로 기름 또는 가스버너의 열풍기와, 전기 보온등으 로 가축농가의 난방시설을 사용하여 겨울철에 난방하여왔다.
또한 농어촌의 주택난방도 기름 또는 가스보일러가 대부분 사용되어 왔다.
상기 기름 및 가스버너를 사용하는 열풍기와 보일러는 설정온도에 따라 버너가 작동하여 온도를 유지시켜 주므로써 사용이 편리하나, 다량의 기름과 가스가 소모되는 실정으로 난방비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름 및 가스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국제 유가 변동이 심하고 최근 점차적으로 값이 상승하여 겨울철 난방에 소요되는 난방비가 증가하여 농어촌 및 가축농가나 서민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가스 또는 기름을 대체하여 나무, 왕겨, 톱밥 등을 사용하도록 실용신안 제20-2000-0009326호 "화목버너"가 개시되어 있는 바, 도 1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덮개(2)를 갖는 연료를 수용한 호퍼(1)와 상기 호퍼(1)의 하단부에서 모터(3)로 구동되는 스크류가 회전에 의해 연료를 상기 호퍼(1)에서 공급받는 투입통(4)과, 상기 투입통(4)에서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통(5)과, 상기 연소통(5)의 바닥면에 설치된 송풍기(6)로 구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화목버너"의 상기 호퍼(1)에 연료가 가득 찰경우 상기 연료가 상기 호퍼(1)내측에 밀착되어 하부로 내려가지못하며, 상기 연료양을 제한적으로 수용하여 장시간 상기 연소통(5)에서 연소시 상기 연료량을 빈번히 공급하여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연소통(5)과 상기 호퍼(1)를 투입통(4)으로 연결되어 상기 호퍼(1)에서 상기 연료를 공급시 상기 투입통(4)내에서 막힐경우 상기 연소 통(5)에 연료를 공급하지못하며, 상기 호퍼(1)와 상기 투입통(4)과 상기 연소통(5)일체로 연결되어 수리하는데 많은 불편한 문제점을 주고, 상기 호퍼(1)와, 상기 투입통(4)과 상기 연소통(3)이 근접하여 상기 연료를 연소시키므로서 장시간 사용시 상기 투입통(4)과 상기 호퍼(1)가 가열되므로 화재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연소통(5)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가 되어 재가 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축적되는 재를 제거하려면 상기 연소통의 캡(7)을 열어서 재를 제거하는 불편한 문제점과 상기 연소통(5)내에서 연소된 상기 연료의 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못하므로 효율적인 상기 연료의 연소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볏짚(잘게 썰은), 낙엽, 톱밥, 왕겨, 나무 등을 연료로하며, 상기 연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연료를 연소통으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된 연료를 송풍기의 송풍으로 연소시키는 연소통의 회전연소부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연소를 돕도록 보조연료를 투입하는 보조연료장치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재를 재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재를 제거하는 재칼로 구성하여 연소된 재를 회전연소부에서 용이하게 제거하며, 볏짚(잘게 썰은), 낙엽, 톱밥, 왕겨, 나무등의 연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연소시켜 난로, 보일러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화목버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측에 연료를 수용하고 내측 중앙에 상기 연료를 하부로 이송시키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교반날개(13a)를 가지며 좌우로 회전하는 모터(12a)로 구동되는 교반회전대(13)와, 하단부에 상기 연료가 이송컨베이어로 배출되는 배출구(15)와, 상기 교반회전대(13)의 하측으로 상기 연료를 배출구(15)를 통하여 이송컨베이어(20)로 이송시키도록 타이머(15b)를 갖는 모터(12b)로 구동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회전날개(14a)가 형성된 회전축(14b)을 갖는 연료이송부(14)를 포함하는 호퍼(10)와; 내측에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연료를 하부로 이송시키도록 모터(12a)로 구동되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교반날개(13a)를 갖는 교반회전대(13)가 내측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회전대(13)에 의해 하부로 이송된 상기 연료를 배출구(15)로 이송시키도록 일측의 모터(12b)로 구동되는 다수개의 회전날개(14b)를 갖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며, 타이머(15b)를 갖는 연료이송부(14)를 구비한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상기 연료를 이동시키고, 모터(12c)로 구동되는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상기 연료를 공급받고, 상,하부가 개방된 본체(30a)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일측에 설치된 모터(12d)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외주연과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받침대(33)와 구멍 뚫린 재판(31a)을 갖는 회전연소부(31)와, 상기 받침대(33)의 하부에 형성된 재받이부(32)를 형성한 연소통(30)과; 상기 연소통(30)의 외측에서 상기 연소통(30)과 연통되게 설치된 점화부(40)와; 상기 연소통(30)내에서 상기 연료의 연소를 돕기위해 보조연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보조연료공급장치(50)와; 상기 회전연소부(31)에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상기 연소통(30)의 외측에서 연통되어 상기 회전연소부의 하부와 연결되게 공기연결관(61)으로 설치된 송풍기(60)와; 상기 모터(12a, 12b, 12c, 12d)와, 상기 점화부(40)와 상기 송풍기(6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소통(30)의 내측 상부에는 연소에 의한 재 높이를 감지하는 재감지센서(7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감지센서(71c)에 인접하여 하측으로 재칼(80)이 형성되며, 연소에 의하여 재가 축적되어 일정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70)로 재축적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모터(12e)를 구동하면, 상기 재칼(80)의 하부에 랙기어(8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터(12e)의 회전축에 형성된 스퍼기어(82)와 맞물려서 상기 모터(12e)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재칼(80)이 전,후로 구동되어 상기 재가 재받이(32)에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칼(80)의 전, 후왕복 이동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연소통(30) 외측의 전,후방에 리미트스위치(71a, 71b)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점화부(40)의 내측에 설치된 전기점화부(42)의 전기불꽃은 가스통(41)에서 공급받은 가스에 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연료공급장치(50)는 보조연료로 사용되는 석유를 수용한 보조연료통(51)과, 상기 보조연료통(51)에서 상기 회전연소부(31)로 상기 석유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전연소부(31)의 상부에 상기 보조연료통(51)과 연결된 보조연료 주입관(53)을 설치하고, 상기 연료통(51)에서 상기 석유가 상기 보조연료 주입관(53)으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제어하는 니들밸브(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연소통(30)사이에는 투입받침판(2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목버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목버너의 측면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칼의 하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칼과 모터의 결합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연소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이송부의 개략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이송부의 측면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버너(100)를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화목버너(100)는 호퍼(10)와, 이송컨베이어와(20)와, 연소통(30)과, 점화부(40)와, 보조연료공급장치(50)와, 송풍기(60)와, 제어부(70)와, 재칼(80)로 구성한다.
상기 호퍼(10)의 상기 연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7)가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11)를 설치한다.
상기 호퍼(10)는 원통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연료가 내부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자유낙하될 수 있는 다각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퍼(10)의 내측부에 연료를 수용하고, 상기 연료를 하부로 이송시키도록 모터(12a)로 구동되게 하부에 교반날개(13a)를 다수개 갖는 교반회전대(13)가 내측중앙에 설치한다.
상기 교반회전대(13)는 상기 호퍼(10)의 상부의 상기 연료를 하부로 내려보내기 위해 설치한다
상기 교반회전대(13)에 의해 하부로 이송된 상기 연료를 배출구(15)로 이송시키도록 일측에 모터(12b)로 구동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12b)와 연결되는 회전축(14b)과 상기 회전축(14b)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회전날개(14a)를 형성한 연료이송부(14)로 구성한다.
상기 연료이송부(14)의 상기 회전축(14b)의 적정회전수로 회전되어 상기 연 료를 상기 이송컨베이어(20)상에 적정의 상기 연료를 공급하도록 타이머(15b)를구비한다.
상기 연료이송부(14)는 상기 하우징(14d)내에 상기 회전축(14b)과 상기 회전날개(14a)들이 내재한다.
상기 회전날개(14a)의 끝단에는 일렬로 다수개의 톱니(14c)가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료이송부(14)의 상부에는 연료투입부(15a)와, 하부에는 배출구(15)가 형성한다.
즉, 상기 호퍼(10) 안에 상기의 연료를 담아 놓고 상기 연료를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상기 교반날개(13a)가 아래로 향하여 달린 상기 교반회전대(13)를 부착하여 상기 호퍼(10)의 가운데 위치시키고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모터(12a)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며, 상기 호퍼(10)의 하측으로 내려온 상기 연료는 외주연에 상기 회전날개(14a)가 형성된 상기 회전축(14b)에 쌓이도록 하며, 상기 회전축(14b)을 상기 타이머(15b)를 갖는 상기 모터(12b)로 회전시키어 적정량의 상기 연료가 아래로 떨어져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쌓이도록 한다.
상기 호퍼(10)의 하부에는 상기 호퍼(1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16)를 다수개 설치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호퍼(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연료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10)의 외측에 눈금을 갖는 윈도우(17)를 형성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상기 호퍼(10)의 상기 배출구(15)에서 공급되는 상기 연료를 상기 연소통(30)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16)가 다수개로 형성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20)는 모터(12c)로 구동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양측에는 가이드벽(22)이 각각 형성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상기 연료를 공급받고, 상,하부가 개방된 본체(30a)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일측에 설치된 모터(12d)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외주연과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받침대(33)와 구멍 뚫린 재판(31a)을 갖는 회전연소부(31)와, 상기 받침대(33)의 하부에 형성된 재받이부(3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연소부(31)의 하부는 상기 받침대(33)의 중앙에 통공내측에 삽입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연소부(31)의 외주연에 스프로켓기어(37)를 설치하며, 상기 스프로켓기어(37)는 상기 본체(30a)의 내측에 설치된 스프로켓기어(37a)를 회전축에 설치한 모터(12d)에 체인으로 연결하여 연결부재(36)로 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전연소부(31)와 상기 재받이부(32)의 사이에는 십자형의 받침판(33)을 설치하여준다.
또한, 상기 연소통(30)의 상부 일측에는 연통(미도시)과 연결되는 연기배출구(34)를 형성하며, 상기 연소통(30)의 상부 개방부를 가열부(35)로 구성한다.
상기 연소통(30)과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사이에는 투입받침판(21)이 설치된다.
상기 투입받침판(21)의 양측에는 가이드벽(22)이 형성한다.
한편, 상기 회전연소부(31)의 상측에는 모터(12e)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퍼기어(82)와 맞물려서 상기 스퍼기어(8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꿔어 전,후로 구동되도록 하부에 랙기어(81)를 설치한 재칼(80)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재칼(80)은 상기 회전연소부(31)의 상기 연료가 연소되어 구멍이 뚫린 재판(31a)에 재가 축적시 상기 연소통(30)내에 설치된 재감지센서(71c)는 상기 제어부(70)로 재축적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모터(12e)를 구동하여 상기 재칼을 전,후로 왕복시켜 재를 상기 회전연소부(31) 하부의 상기 재받이(32)로 낙하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재감지센서(71c)는 상기 회전연소부(31)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서 상기 연료를 공급받어 상기 연료를 연소시켜 재로 변화되면서 회전되는 상기 회전연소부(31)내에 축적된다.
이러하게 회전되는 상기 회전연소부(31)내에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재가 점차적으로 쌓이게 되고, 상기 회전연소부(31)내 쌓인 재역시 상기 회전연소부(31)와 회전되면서, 상기 재감지센서(71)와 쌓인 재가 접촉되어 접점이 이루어져 상기 재감지센서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70)를 통하여 상기 모터(12e)를 구동하여 상기 재칼(80)을 구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연소부(31)의 연료가 연소되어 재가 축적되면 상기 연료와 재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연소통(3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재감지센서(71c)와 전기적인 접촉을 일으켜 상기 제어부(70)로 재축적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70)에 의하여 상기 모터(12e)는 구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재칼(80)은 상기 회전연소부(31) 쪽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축적된 재를 밀어내어 상기 회전연소부(31) 하부의 상기 재받이(32)로 낙하시키고 후진하여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상기 재칼(80)의 전, 후왕복 이동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연소통(30) 외측의 전,후방에 리미트스위치(71a, 71b)를 각각 설치하여준다.
삭제
상기 리미트스위치(71a, 71b)는 상기 재칼(80)의 전,후왕복의 리미트 지점을 지정하여 더이상 전,후로 전진하는 것을 막기위해 설치하여준다.
상기 재칼(80)이 상기 연소통(30)내에서 전후왕복운동시 상기 재칼(80)의 일측은 그 하부에 형성된 상기 랙기어(81)가 상기 스퍼기어(82)와 맞물리고, 상기 재칼의 하부 타측은 상기 연소통(30)내에 형성된 안내슬라이드부(36)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연소부(31)에 있는 재를 하부로 낙하시키도록 전후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점화부(40)는 상기 연소통(30)의 외측에서 상기 연소통(30)의 상기 회전연소부(31)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점화부(40)의 내측에 설치된 전기점화부(42)의 전기불꽃은 가스 통(41)에서 공급받은 가스에 점화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연료장치(50)는 상기 연소통(30)내의 상기 회전연소부(31)에서 상기 연료의 연소를 돕기위해 보조연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조연료장치(50)는 상기 호퍼(10)의 외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연료공급장치(50)는 보조연료로 사용되는 석유를 수용한 보조연료통(51)과, 상기 보조연료통(51)에서 상기 회전연소부(31)로 상기 석유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전연소부(31)의 상부에 상기 보조연료통(51)과 연결된 보조연료 주입관(53)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연료통(51)에서 상기 석유가 상기 보조연료 주입관(53)으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제어하는 니들밸브(52)를 구비하여 설치한다.
상기 송풍기(60)는 상기 회전연소부(31)에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상기 연소통(30)의 외측에서 연통되어 상기 회전연소부의 하부와 연결되게 공기연결관(61)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모터(12a, 12b, 12c, 12d, 12e)와, 상기 점화부(40)와 상기 송풍기(60)를 컨트롤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리미트스위치(71a, 71b)와, 상기 재감지센서(71c)를 제어하며, 상기 모터들과 상기 점화부(40)와 상기 송풍기(60)에 전달하는 전원을 온/오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목버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호퍼(10)내에 설치된 상기 교반회전대(13)
와 상기 연료이송부(14)를 구동하는 상기 모터(12a, 12b)를 구동하여 상기 교반회전대(13)와 상기 연료이송부(14)를 구동하여 상기 연료를 상기 호퍼(10)의 상기 배출구(15)로 내보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의 상기 모터(12c)를 구동하여 이송컨베이어(20)를 구동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20)상의 연료를 상기 투입받침판(21)을 통하여 상기 연소통(30)의 상기 회전연소부(31)내에 상기 연료를 일정량 투입하여주면, 상기 제어부(70)에서 상기 모터(12d)를 구동하여 상기 모터(12d)와 연결부재로 연결된 상기 회전연소부(31)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연료공급장치(50)의 상기 니들밸브(52)를 열어주어 상기 보조연료 주입관(53)을 통하여 상기 연소실(31)에 석유를 일정시간의 간격을 두고 떨어뜨려준다.
한편, 상기 회전연소부(31)에 일정량 투입된 상기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어부(70)는 점화부(40)를 작동하여 상기 연료를 점화하여 연소하게한다.
이때, 상기 회전연소부(31)와 상기 연결관(61)으로 연결된 상기 송풍기(60)를 상기 제어부(70)에서 가동하여준다.
이러하게 상기 회전연소부(31)에서 연소되는 상기 연료가 일정량 연소되면 재가 쌓이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70)에서는 상기 재감지센서(71c)에서 재의 축적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모터(12e)의 정역회전으로 구동하여 상기 모터(12d)의 회전축에 상기 스퍼기어(82)와 맞물린 상기 랙기어(81)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랙기어(81)는 상기 재칼(80)하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재칼(80)이 전후왕복되어진다.
이러하게 상기 재칼(80)의 전후왕복운동으로 상기 회전연소부(31)의 쌓여있던 재들은 상기 재받이부(32)로 자유낙하여 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재칼(80)은 상기 연소통(30) 전,후방에 형성된 상기 리미트스위치(71a, 71b)의 사이에서 전후왕복운동하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71a)의 접점과 상기 리미트스위치(71b)의 접점사이에서만 전후왕복운동하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71a, 71b)들의 사이 이상 더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연료를 연소통으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와, 이송된 연료를 송풍기의 송풍으로 연소시키는 연소통의 회전연소부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연료를 점화하는 점화부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연소를 돕도록 보조연료를 투입하는 보조연료장치와, 상기 회전연소부의 재를 재감지센서로 감지하여 재를 제거하는 재칼로 구성하여 연소된 재를 회전연소부에서 용이하게 제거하며, 볏짚(잘게 썰은), 낙엽, 톱밥, 왕겨, 나무등의 연료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소부의 상단에 가열판을 설치하여 난로, 보일러등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 및 기름을 대체하여 볏짚(잘게 썰은), 낙엽, 왕겨, 톱밥, 나무등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어서 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에너지절약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상측에 연료를 수용하고 내측 중앙에 상기 연료를 하부로 이송시키도록 하부에 다수개의 교반날개(13a)를 가지며 좌우로 회전하는 모터(12a)로 구동되는 교반회전대(13)와, 하단부에 상기 연료가 이송컨베이어로 배출되는 배출구(15)와, 상기 교반회전대(13)의 하측으로 상기 연료를 배출구(15)를 통하여 이송컨베이어(20)로 이송시키도록 타이머(15b)를 갖는 모터(12b)로 구동되고 외주연에 다수개의 회전날개(14a)가 형성된 회전축(14b)을 갖는 연료이송부(14)를 포함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상기 연료를 이동시키고, 모터(12c)로 구동되는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20)에 의해 상기 연료를 공급받고, 상,하부가 개방된 본체(30a)의 내측에 설치되며, 내측 일측에 설치된 모터(12d)와 연결된 연결부재가 외주연과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받침대(33)와 구멍 뚫린 재판(31a)을 갖는 회전연소부(31)와, 상기 받침대(33)의 하부에 형성된 재받이부(32)를 형성한 연소통(30)과;
    상기 연소통(30)의 외측에서 상기 연소통(30)과 연통되게 설치된 점화부(40)와;
    상기 연소통(30)내에서 상기 연료의 연소를 돕기위해 보조연료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보조연료공급장치(50)와;
    상기 회전연소부(31)에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상기 연소통(30)의 외측에서 연통되어 상기 회전연소부(31)의 하부와 연결되게 공기연결관(61)으로 설치된 송풍기(60)와;
    상기 모터(12a, 12b, 12c, 12d)와, 상기 점화부(40)와 상기 송풍기(6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통(30)의 내측 상부에는 연소에 의한 재 높이를 감지하는 재감지센서(71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감지센서(71c)에 인접하여 하측으로 재칼(80)이 형성되며, 연소에 의하여 재가 축적되어 일정 높이에 도달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70)로 재축적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모터(12e)를 구동하면, 상기 재칼(80)의 하부에 랙기어(8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터(12e)의 회전축에 형성된 스퍼기어(82)와 맞물려서 상기 모터(12e)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상기 재칼(80)이 전,후로 구동되어 상기 재가 재받이(32)에 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버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재칼(80)의 전, 후왕복 이동을 컨트롤하도록 상기 연소통(30) 외측의 전,후방에 리미트스위치(71a, 71b)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버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40)의 내측에 설치된 전기점화부(42)의 전기불꽃은 가스통(41)에서 공급받은 가스에 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버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료공급장치(50)는 보조연료로 사용되는 석유를 수용한 보조연료통(51)과, 상기 보조연료통(51)에서 상기 회전연소부(31)로 상기 석유를 공급하도록 상기 회전연소부(31)의 상부에 상기 보조연료통(51)과 연결된 보조연료 주입관(53)을 설치하고, 상기 보조연료통(51)에서 상기 석유가 상기 보조연료 주입관(53)으로 흘러내려가는 것을 제어하는 니들밸브(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버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20)와 상기 연소통(30)사이에는 투입받침판(2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목버너.
KR1020070063847A 2007-06-27 2007-06-27 화목버너. KR10086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847A KR100868985B1 (ko) 2007-06-27 2007-06-27 화목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847A KR100868985B1 (ko) 2007-06-27 2007-06-27 화목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985B1 true KR100868985B1 (ko) 2008-11-17

Family

ID=4028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847A KR100868985B1 (ko) 2007-06-27 2007-06-27 화목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70B1 (ko) * 2009-03-23 2011-06-21 (주)에너렉스 펠릿연료를 이용한 버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26A (ko) * 1999-01-14 2000-08-05 권오혁 소각기능을 갖춘 기름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JP2005121337A (ja) 2003-10-20 2005-05-12 Kondo Tekko:Kk 木質系固形燃料供給装置
KR100555015B1 (ko) 2003-10-10 2006-03-03 배상윤 보일러
KR100725210B1 (ko) 2005-10-31 2007-06-11 임헌학 나무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726A (ko) * 1999-01-14 2000-08-05 권오혁 소각기능을 갖춘 기름보일러 겸용 나무 보일러
KR100555015B1 (ko) 2003-10-10 2006-03-03 배상윤 보일러
JP2005121337A (ja) 2003-10-20 2005-05-12 Kondo Tekko:Kk 木質系固形燃料供給装置
KR100725210B1 (ko) 2005-10-31 2007-06-11 임헌학 나무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070B1 (ko) * 2009-03-23 2011-06-21 (주)에너렉스 펠릿연료를 이용한 버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1993A (en) Stove for burning bio-mass pellets and grain
KR100752761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100897831B1 (ko) 펠릿 연료를 이용한 구이기
CN104188556B (zh) 一种燃生物质智能烧烤炉
US20070157858A1 (en) High efficiency bio-fuel pellet and grain furnace
US4669396A (en) Pellet burning system
SE517021C2 (sv) Anordning för förbränning av granulärt fast bränsle
KR200446832Y1 (ko) 목재 펠릿 보일러
KR100905245B1 (ko) 연소성 천연고체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
KR100868985B1 (ko) 화목버너.
JP5393734B2 (ja) 粒状燃料用自動投入機、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粒状燃料用燃焼装置
KR100815487B1 (ko)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
KR200403445Y1 (ko) 전자동 석탄 보일러
KR100647783B1 (ko) 보일러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0877945B1 (ko) 자동 연소 열풍기
KR101156612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KR20090123167A (ko) 전자동 석탄보일러
CN201621736U (zh) 秸秆燃料供暖炉
CN210107363U (zh) 一种生物质炉具
KR200465794Y1 (ko) 펠릿형 난방장치
CN217464875U (zh) 一种家禽屠宰加工用生物质颗粒燃料浸烫机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070022897A (ko) 전자동 석탄 보일러
KR200463840Y1 (ko) 펠릿 보일러용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