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487B1 -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 - Google Patents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487B1
KR100815487B1 KR1020060121487A KR20060121487A KR100815487B1 KR 100815487 B1 KR100815487 B1 KR 100815487B1 KR 1020060121487 A KR1020060121487 A KR 1020060121487A KR 20060121487 A KR20060121487 A KR 20060121487A KR 100815487 B1 KR100815487 B1 KR 100815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rostol
combustion
suppli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준
이택호
Original Assignee
전창준
이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창준, 이택호 filed Critical 전창준
Priority to KR102006012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9/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원예용 비닐하우스, 창고, 산업체 또는 가정 등에서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에서 석탄저장소에 석탄을 채워 놓기만 하면 채워진 석탄이 자동으로 연속 공급되어 연소됨과 동시에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부(2)에 석탄(3)이 공급됨과 동시에 공급된 석탄이 착화된 상태에서 블로워(15)의 구동으로 공기가 공기 공급관(16)을 통해 연소부(2)로 공급됨에 따라 연소가 이루어져 배기가스가 연통(17)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는 로스톨(4)의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재 수거통(23)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 측에 석탄(3)이 무작위로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소부(2)와 통하여지는 공급공(21)이 구비되도록 하향 경사판(20)이 설치된 석탄저장소(19)와, 상기 석탄저장소에 채워진 석탄(3)이 공급공(21)을 통해 일정량씩 연소부(2) 측으로 공급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로스톨(4)이 회전축(6)을 중심으로 간헐 회전되도록 하는 로스톨 회전수단(5)과, 상기 공급공(21)으로 공급된 석탄(3)이 연소부(2)측으로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공급공(21)의 일 측에 설치되어 로스톨 회전수단(5)에 의해 로스톨(4)이 회전 시 석탄(3)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를 로스톨(4)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스토퍼(22)와, 상기 블로워(15) 및 로스톨 회전수단(5)의 구동 을 제어하는 마이컴(9)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보충수탱크(25)에 의해 물이 보충되는 워터자켓(24)과, 상기 워터자켓에 연결되어 폐 회로를 구성하는 유입관(26) 및 토출관(27)과, 상기 토출관 상에 설치되어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석탄난로, 석탄보일러, 로스톨, 석탄저장소, 석탄자동공급, 재 자동배출

Description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Coal heater and coal boile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석탄보일러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연소부
4 : 로스톨 5 : 로스톨 회전수단
9 : 마이컴 15 : 블로워
16 : 공기 공급관 17 : 연통
18 : 폐열회수관 19 : 석탄저장소
21 : 공급공 22 : 스토퍼
23 : 재 수거통 24 : 워터자켓
본 발명은 석탄을 주원료로 사용하여 원예용 비닐하우스, 창고, 산업체 또는 가정 등에서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석탄저장소에 석탄을 채워 놓기만 하면 채워진 석탄이 자동으로 연속 공급되어 연소됨과 동시에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난로 또는 보일러는 가스, 기름, 석탄 등의 연료를 사용하게 된다.
외기의 온도가 낮은 동절기 등에 농작물 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 및 각종 온실 등의 넓은 장소를 난방하기 위해 유지 보수 및 사용이 편리한 기름난로 또는 기름보일러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유류 가격의 상승으로 난방비용이 과다하게 지출되어 농작물의 생산원가가 상승되고, 이에 따라 농가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소득이 크게 줄게 되고, 또한 소비자는 농작물의 가격이 높아 가계에 부담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유지관리비가 비교적 적게 드는 연탄난로 또는 연탄보일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연탄난로 또는 연탄보일러는 연탄이 연소되면서 일산화탄소(Co)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된 일산화탄소는 미세한 량이라도 농작물에 노출될 경우 치명적인 피해를 줄 우려가 있고 주기적으로 연탄을 교체하여 주어야 되었고, 만약 연탄의 교체시기가 늦어 불이 꺼진 상태로 방치할 경우에는 농작물이 동사(凍死)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갖고 있어 유지비가 적게 든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폐 목재를 연료로 사용하는 난로 또는 보일러는 발열량이 충분치 못하고 지속적으로 연료를 투입하여야만 되므로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최근, 경제사정의 악화와 유류값의 폭등으로 인하여 가정용은 물론 농업용 및 산업용 난로 또는 보일러에서도 석탄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석탄은 채취한 무연탄을 일정규격의 입자로 성형시킨 것으로, 성형규격에 따라 조개탄, 새알탄, 갈탄, 괴탄 등으로 대별되는데, 열량이 높고 값이 저렴하며 보관이 용이하다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석탄난로 또는 석탄보일러에 있어서는 연소부에 일정량의 석탄을 투입 점화시켜 연소되도록 한 다음 어느 정도 연소되어 재가 발생하면 부젓가락 등으로 연소에 따라 응집된 석탄을 부수어 재를 로스톨 하부로 배출시키고, 새로운 석탄을 연소부에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석탄의 보충과 재의 배출을 위해 작업자가 항시 대기해야 하고 수 작업에 의해 화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석탄난로 또는 석탄보일러를 널리 보급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 측에 석탄저장소를 일체로 형성하여 석탄저장소에 일정량의 석탄을 채워 넣기만 하면 일정량의 석탄이 주기적으로 연소부에 연속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는 석탄을 연소부 측으로 공급 시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부에 석탄이 공급됨과 동시에 공급된 석탄이 착화된 상태에서 블로워의 구동으로 공기가 공기 공급관을 통해 연소부로 공급됨에 따라 연소가 이루어져 배기가스가 연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는 로스톨의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재 수거통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석탄난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석탄이 무작위로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소부와 통하여지는 공급공이 구비되도록 하향 경사판이 설치된 석탄저장소와, 상기 석탄저장소에 채워진 석탄이 공급공을 통해 일정량씩 연소부 측으로 공급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로스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간헐 회전되도록 하는 로스톨 회전수단과, 상기 공급공으로 공급된 석탄이 연소부 측으로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공급공의 일 측에 설치되어 로스톨 회전수단에 의해 로스톨이 회전 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를 로스톨의 하부로 베출되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블로워 및 로스톨 회전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난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부에 석탄이 공급됨과 동시에 공급된 석탄이 착화된 상태에서 블로워의 구동으로 공기가 공기 공급관을 통해 연소부로 공급됨에 따라 연소가 이루어져 배기가스가 연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는 로스톨의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재 수거통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석탄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석탄이 무작위로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소부와 통하여지는 공급공이 구비되도록 하향 경사판이 설치된 석탄저장소와, 상기 석탄저장소에 채워진 석탄이 공급공을 통해 일 정량씩 연소부 측으로 공급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로스톨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간헐 회전되도록 하는 로스톨 회전수단과, 상기 공급공으로 공급된 석탄이 연소부 측으로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공급공의 일 측에 설치되어 로스톨 회전수단에 의해 로스톨이 회전 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를 로스톨의 하부로 베출되도록 하는 스토퍼와, 상기 블로워 및 로스톨 회전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보충수탱크에 의해 물이 보충되는 워터자켓과, 상기 워터자켓에 연결되어 폐 회로를 구성하는 유입관 및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 상에 설치되어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보일러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석탄보일러의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부(2)의 하부에는 연료인 석탄(3)이 얹혀져 연소되도록 하는 로스톨(4)이 로스톨 회전수단(5)에 의해 회전축(6)을 중심으로 간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로스톨(4)에는 석탄(3)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가 하부로 빠져나가도록 복수개의 배출공(4a)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스톨 회전수단(5)이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8) 내에 설치되어 마이컴(9)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 는 모터(10) 및 감속기(11)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 및 회전축(6)에 각각 고정된 스프로킷(12a)(12b)과, 상기 스프로킷에 감겨져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마이컴(9)의 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동력(모터 등)에 의해 로스톨(4)을 간헐 회전시키는 구성(스프로킷 및 체인)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형태(풀리 및 벨트 등)로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본체(1)의 일 측에 석탄(3)이 연소부(2)에서 연소 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블로워(15)가 설치되어 있고 블로워의 토출 측에는 로스톨(4)의 하부와 통하여지도록 공기 공급관(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연소부(2)에서 연소가 이루어짐에 따라 발생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연통(17)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연통(17)과 공기 공급관(16)의 사이에는 폐열회수관(18)이 연결되어 있다.
이는, 배기가스가 연통(17)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블로워(15)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압력 차이에 의해 고온의 폐열을 회수하여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의 일 측에 석탄(3)이 무작위로 채워지도록 하는 석탄저장소(19)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석탄저장소의 하부에는 약 40-50°정도로 경사진 하향 경사판(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향 경사판(20)의 끝단에는 연소부(2)와 통하여져 석탄(3)이 로스톨(4)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하는 공급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공(21)으로 공급된 석탄(3a)이 연소부(2) 측으로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공급공(21)의 일 측에는 도 3과 같이 로스톨 회전수단(5)에 의해 로스톨(4)이 회전 시 석탄(3)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를 로스톨(4)의 하부로 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2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스토퍼(22)는 로스톨(4)의 중심인 회전축(6)의 접선방향을 향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로스톨(4)의 회전 시 석탄(3)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가 로스톨(4)에 형성된 배출공(4a)을 통해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이송되더라도 접선방향을 향해 설치된 스토퍼(22)를 따라 본체(1)의 하부에 서랍 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재 수거통(23)에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로스톨 회전수단(5) 및 블로워(15)의 구동원인 모터(10)(14)의 구동은 마이컴(9)에 의해 제어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에 따르면, 석탄저장소(19) 내에 채워진 석탄(3)을 연소부(2)에서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열원으로 실내를 직접 난방하는 석탄난로의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본체(1)의 내부에 일 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워터자켓(24)을 구비하면 석탄보일러의 기능을 갖는다.
즉, 본체(1)의 내부에 보충수탱크(25)를 갖는 워터자켓(24)을 형성하고 상기 워터자켓에는 배관(도시는 생략함)과 연결되어 폐 회로를 구성하는 유입관(26) 및 토출관(27)을 연결하며 상기 토출관(27) 상에는 순환펌프(28)를 설치하면 연소 부(2)에서 석탄(3)이 연소하는 과정에서 워터자켓(24)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게 되므로 가열된 물이 토출관(27)을 통해 실내에 설치된 배관(도시는 생략함)을 따라 순환하는 과정에서 방열하여 간접 난방을 실시한 다음 차가워져 유입관(26)을 통해 워터자켓(24)으로 재 유입되도록 하므로써, 석탄보일러의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석탄난로와 석탄보일러의 차이점은 연소부(2)에서 발생된 열을 직접 외부로 방열하여 난방을 하느냐, 아니면 워터자켓(24) 내의 물을 가열하여 간접 난방을 하느냐 이므로 석탄보일러의 작용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석탄저장소(19)에 석탄(3)을 무작위로 채운 상태에서 마이컴(9)의 구동으로 로스톨 회전수단(5)인 모터(10)에 전원을 인가하면 감속기(11)에 의해 회전수가 감속되어 설정된 시간동안 감속기의 출력축에 고정된 스프로킷(12a)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그 회전력이 체인(13)을 통해 회전축(6)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공급공(21)을 통해 로스톨(4)의 상면에 얹혀진 석탄(3a)이 연소부(2)측으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로스톨(4)에 얹혀진 석탄(3a)이 연소부(2) 측으로 이송되고 나면 마이컴(9)에 의해 모터(10)의 구동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연소부(2)에 위치된 석탄(3)을 불을 지피면 착화가 일어나 연소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연소부(2)에서 로스톨(3)에 얹혀진 석탄(3)이 연소되면 워터자 켓(24) 내의 물이 데워지기 시작함은 물론이고 연소에 따라 발생된 배기가스는 연통(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때 모터(14)에 의해 블로워(15)가 회전하고 있어 고온의 배기가스는 폐열회수관(18) 및 공기 공급관(16)을 통해 로스톨(4)의 하부로 재 공급되므로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과 같이 공급공(21)을 통해 석탄(3)이 로스톨(4)의 상면에 얹혀져 연소부(2)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S”구간에도 어느 정도의 석탄이 존재하게 되고, 최초의 석탄(3)이 연소부(2)에서 연소되는 동안, 즉 로스톨(4)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중단된 상태에서는 석탄저장소(19)에 채워진 석탄(3)의 자중에 의해 일정량의 석탄(3a)이 공급공(21)을 통해 로스톨(4)의 상면에 얹혀져 있게 된다.
따라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연소부(2)에 위치된 석탄(3)이 완전히 연소되고 나면 로스톨 회전수단(5)에 의해 로스톨(4)이 도 3의 시계방향으로 간헐 회전하게 되는데, 연소부(2)에서 연소 시 “S” 구간에 위치하던 석탄도 착화되어 있어 공급공(21)을 통해 로스톨(4)의 상면에 얹혀진 석탄(3a)의 일부에도 착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상기 로스톨 회전수단(5)의 구동시간은 마이컴(9)에 의해 설정된 블로워(15)의 회전수 및 석탄(3)의 공급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석탄의 소비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소부(2)에 위치된 석탄(3)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고 공급공(21)을 통해 공급된 석탄(3a)의 일부에 착화가 이루어지거나, "S" 구간에 위치된 석탄에 착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로스톨(4)이 회전하면 공급공(21)을 통해 공급된 석 탄(3a)이 연소부(2) 측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연소부(2)에서 연소된 일부의 재(7)가 로스톨(4)에 형성된 배출공(4a)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는데, 상기 로스톨(4)에 형성된 배출공(4a)을 통해 미처 빠지지 못하고 로스톨(4)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된 재(7)는 회전축(6)의 접선방향을 향해 설치된 스토퍼(22)에 걸려 재 수거통(23) 측으로 밀려 떨어져 회수된다.
따라서 연소부(2)에서는 석탄(3)의 연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고, 연소된 재(7)는 재 수거통(23)으로 수거되므로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서랍식의 재 수거통(23)을 전방으로 잡아당겨 처리하면 된다.
상기 연소부(2)에서 석탄(3)의 계속되는 연소로 워터자켓(24) 내의 물이 고온으로 가열되고 나면 고온의 물은 토출관(27)을 통해 배관 측으로 이동하여 실내의 차가운 공기와 열 교환하여 간접 난방을 실시한 다음 차가워지면 유입관(26)을 통해 워터자켓(24) 측으로 유입되는데, 이 때 토출관(27) 측에 설치된 순환펌프(28)에 의해 물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반복되는 동작으로 폐 회로를 구성하는 배관 내의 물이 줄어들면 보충수탱크(25) 내의 물이 워터자켓(24) 측으로 자동 충수되므로 지속적인 실내의 난방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석탄저장소 내에 석탄을 무작위로 채워 놓기만 하면 석탄저장소 내의 석탄이 공급공을 통해 로스톨의 상면에 일정량씩 차례로 얹혀져 연소부 측으로 공급되어 연소되었다가 석탄의 재 공급을 위해 로스톨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연소된 재가 스토퍼에 의해 재 수거통의 내부로 수거되므로 석탄난로 또는 석탄보일러의 자동 운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둘째, 마이컴에 의해 로스톨의 동작 시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석탄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 석탄난로 또는 석탄보일러의 용량에 따라 석탄저장소 및 공급공의 크기 그리고 로스톨의 직경을 조절하면 되므로 석탄난로 또는 석탄보일러의 용량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연통과 로스톨의 하부에 폐열회수관이 연결 설치되어 있어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고열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게 되므로 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부(2)에 석탄(3)이 공급됨과 동시에 공급된 석탄이 착화된 상태에서 블로워(15)의 구동으로 공기가 공기 공급관(16)을 통해 연소부(2)로 공급됨에 따라 연소가 이루어져 배기가스가 연통(17)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는 로스톨(4)의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재 수거통(23)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석탄난로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 측에 석탄(3)이 무작위로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소부(2)와 통하여지는 공급공(21)이 구비되도록 하향 경사판(20)이 설치된 석탄저장소(19)와, 상기 석탄저장소에 채워진 석탄(3)이 공급공(21)을 통해 일정량씩 연소부(2) 측으로 공급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로스톨(4)이 회전축(6)을 중심으로 간헐 회전되도록 하는 로스톨 회전수단(5)과, 상기 공급공(21)으로 공급된 석탄(3)이 연소부(2)측으로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공급공(21)의 일 측에 설치되어 로스톨 회전수단(5)에 의해 로스톨(4)이 회전 시 석탄(3)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를 로스톨(4)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스토퍼(22)와, 상기 블로워(15) 및 로스톨 회전수단(5)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9)과, 상기 연통(17)과 공기 공급관(16) 사이에 연결 설치한 폐열회수관(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난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톨 회전수단(5)은 상기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8) 내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0) 및 감속기(11)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 및 회전축(6)에 각각 고정된 스프로킷(12a)(12b)과, 상기 스프로킷에 감겨져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난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2)가 로스톨(4)의 중심인 회전축(6)의 접선방향을 향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난로.
  4. 삭제
  5. 본체(1)의 내부에 구비된 연소부(2)에 석탄(3)이 공급됨과 동시에 공급된 석탄이 착화된 상태에서 블로워(15)의 구동으로 공기가 공기 공급관(16)을 통해 연소부(2)로 공급됨에 따라 연소가 이루어져 배기가스가 연통(17)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는 로스톨(4)의 하부로 자유 낙하되어 재 수거통(23)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석탄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일 측에 석탄(3)이 무작위로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하부에는 연소부(2)와 통하여지는 공급공(21)이 구비되도록 하향 경사판(20)이 설치된 석탄저장소(19)와, 상기 석탄저장소에 채워진 석탄(3)이 공급공(21)을 통해 일정량씩 연소부(2) 측으로 공급되어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로스톨(4)이 회전축(6)을 중심으로 간헐 회전되도록 하는 로스톨 회전수단(5)과, 상기 공급공(21)으로 공급된 석탄(3)이 연소부(2)측으로 공급되는 방향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공급공(21)의 일 측에 설치되어 로스톨 회전수단(5)에 의해 로스톨(4)이 회전 시 석탄(3)의 연소에 따라 발생된 재(7)를 로스톨(4)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스토퍼(22)와, 상기 블로워(15) 및 로스톨 회전수단(5)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9)과, 상기 연통(17)과 공기 공급관(16) 사이에 연결 설치한 폐열회수관(18)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보충수탱크(25)에 의해 물이 보충되는 워터자켓(24)과, 상기 워터자켓에 연결되어 폐 회로를 구성하는 유입관(26) 및 토출관(27)과, 상기 토출관 상에 설치되어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보일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톨 회전수단(5)은 상기 본체(1)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부(8) 내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4) 및 감속기(11)와, 상기 감속기의 출력축 및 회전축(6)에 각각 고정된 스프로킷(12a)(12b)과, 상기 스프로킷에 감겨져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보일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2)가 로스톨(4)의 중심인 회전축(6)의 접선방향을 향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보일러.
  8. 삭제
KR1020060121487A 2006-12-04 2006-12-04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 KR100815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87A KR100815487B1 (ko) 2006-12-04 2006-12-04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487A KR100815487B1 (ko) 2006-12-04 2006-12-04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5487B1 true KR100815487B1 (ko) 2008-03-20

Family

ID=3941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487A KR100815487B1 (ko) 2006-12-04 2006-12-04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4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328B1 (ko) 2010-11-16 2011-10-31 김재순 고형연료의 열분해 및 가스화 연소장치
CN105135402A (zh) * 2015-09-17 2015-12-09 杨晓方 一种锅炉装置
CN108151003A (zh) * 2017-12-31 2018-06-12 佛山市南海区会斌金属贸易有限公司 一种新型节能减排锅炉
WO2022080552A1 (ko) * 2020-10-13 2022-04-21 (주)창화에너지 연소기 및 연관식 보일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082U (ko) * 1998-06-19 2000-01-15 장석규 보일러
KR200407029Y1 (ko) 2005-10-20 2006-01-24 김대섭 고체 연료용 자동식 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082U (ko) * 1998-06-19 2000-01-15 장석규 보일러
KR200407029Y1 (ko) 2005-10-20 2006-01-24 김대섭 고체 연료용 자동식 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328B1 (ko) 2010-11-16 2011-10-31 김재순 고형연료의 열분해 및 가스화 연소장치
CN105135402A (zh) * 2015-09-17 2015-12-09 杨晓方 一种锅炉装置
CN108151003A (zh) * 2017-12-31 2018-06-12 佛山市南海区会斌金属贸易有限公司 一种新型节能减排锅炉
WO2022080552A1 (ko) * 2020-10-13 2022-04-21 (주)창화에너지 연소기 및 연관식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191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및 이의 연소장치
CN104791767A (zh) 一种生物质颗粒燃烧机及其使用方法
US20070157858A1 (en) High efficiency bio-fuel pellet and grain furnace
KR100815487B1 (ko) 석탄난로 및 이를 이용한 석탄보일러
KR20120007036U (ko) 펠렛보일러
JP2007255747A (ja) 木質ペレット燃料燃焼装置
CN204593362U (zh) 一种生物质颗粒燃烧机
JP2006242539A (ja) バイオマス燃料燃焼装置
CA2815325C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heat through gasification of biomass
KR100877945B1 (ko) 자동 연소 열풍기
CN2632579Y (zh) 一种燃煤热风炉
KR101017898B1 (ko) 전자동 석탄보일러
KR100799196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KR200403445Y1 (ko) 전자동 석탄 보일러
CN203442792U (zh) 一种燃用生物质颗粒的智能锅炉
JP3919791B2 (ja) 木質ペレット燃料燃焼装置
JP5322125B2 (ja) 粒状燃料用燃焼装置
CN202254250U (zh) 多功能无烟节能环保采暖炉
KR100429549B1 (ko) 석탄 보일러
KR20070022897A (ko) 전자동 석탄 보일러
CN103900115A (zh) 固体颗粒燃料炉灶的进料结构
KR20130016524A (ko) 우드 펠릿 보일러
KR200203296Y1 (ko) 자동코크스 보일러
KR20120001382A (ko) 펠릿보일러용 연소장치
CN213931462U (zh) 一种用于生物质燃料的锅炉热量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