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215A -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 Google Patents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215A
KR20030093215A KR10-2003-7011081A KR20037011081A KR20030093215A KR 20030093215 A KR20030093215 A KR 20030093215A KR 20037011081 A KR20037011081 A KR 20037011081A KR 20030093215 A KR20030093215 A KR 2003009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ntact forming
pole
accumulator
form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7811B1 (ko
Inventor
헬러 칼하인쯔
제에 귄터
지버 프리드헬름
Original Assignee
다이오니스 호프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751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9321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니스 호프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다이오니스 호프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9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01M50/541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61Hollow metallic terminals, e.g. terminal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3Bolt, screw or threaded ferrule parallel to the battery po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7Intermediate parts between battery post and cable end 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에 관한 것으로서, 어큐멀레이터 하우징의 플라스틱 하우징부(8)로 밀봉되게 삽입되고 셀 커넥터(2)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폴 슬리브(1)를 포함한다. 상기 폴은 또한, 전기도체(3)에 폴 슬리브(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적 연결은 기계적인 안전장치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폴 슬리브(1)에는 여기에 단단하게 결합되는 제1접촉형성부재(5;9)가 제공된다. 상기 폴 슬리브(1)와 전기도체(3)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로킹(safety) 부재(6;10)가 상기 접촉부재 상에 돌출되게(positively) 및/또는 돌출되지 않게(non-positively)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CONNECTING POLE FOR AN ACCUMULATOR}
DE 89 12 155 U1에 개시된 타입의 커넥팅 폴에서는, 내부 나사를 구비한 황동 인서어트가 셀 커넥터와 일체로 형성된 폴 슬리브 내로 삽입된다. 전기도체는 그 단부에 결합 아이(eye)를 구비하며 상기 아이의 개구부를 통하여 나사가 통과하여, 상기 폴 슬리브 내의 황동 인서어트의 내부 나사에 나사결합된다. O링은 밀봉(sealing)을 위하여 상기 결합 아이의 양측 상에 제공된다. 공지의 커넥팅 폴에서는, 상기 폴 슬리브가 셀 커넥터 또는 단부 폴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야만 한다. 더욱이, 추가적인 O링이 밀봉을 위하여 요구된다.
또, DE 42 41 393 C2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을 개시하고 있는데, 그 폴 슬리브는 그 기초부에 원주형 그루브를 구비하고, 상기 그루브는 지그재그(zigzag) 프로파일을 구비한다. 이는 양호한 밀봉효과를 초래하며, 어큐멀레이터의 내부로부터 전해물질(electrolyte) 및/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선 A-A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전기도체가 연결된 상태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체가 연결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접촉형성볼트용 탑재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접촉형성볼트용의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탑재부가 폴 슬리브에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세부구성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타입의 커넥팅 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요구되는 밀봉효과를 제공하는 특별한 디자인의 폴 슬리브가 구비되어, 큰 힘이 가해질 때에도 전기도체와 상기 폴 슬리브 사이가 느슨해지지 않고 단단한 전기적 연결이 간단한 방식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처음에 언급한 커넥팅 폴에 대한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 슬리브에 단단하게 결합된 접촉형성부재(contact-making element)가 폴 슬리브에 제공되며, 이는 폴 슬리브보다 기계적으로 더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기계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된 접촉형성부재는 전기 전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접촉형성슬리브 형태로서 인터로킹(interlocking)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방식(force-fitting manner)으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의 제2접촉형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전기적 연결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계적인 잠금(locking)을 위하여, (접촉형성슬리브 형태의) 제2접촉형성부재가, 상기 단단한 접촉형성부재의 외부면에, 예컨대 클램핑 스크류를 단단하게 조이는 클램핑 고정(clamping fit)과 같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폴 슬리브에 결합된 제1접촉형성부재의 외부면은,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부는 링, 또는 스크류 나사의 형태로 둥글게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그루브인 것인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적 연결의 기계적인 잠금을 위해, 상기 전기도체 상에 제공되며 제2접촉형성부재를 형성하는 접촉형성아이(contact-making eye)가, 내부나사를 구비하며 제1잠금부재에 나사결합되는 잠금부재에 의하여, 폴 슬리브의 외측 또는 축방향 폴 슬리브의 연장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는, 접촉형성슬리브의 형태로서, 상기 폴 슬리브 또는 폴 슬리브 연장부의 상부 에지 위에 오버행(overhang)을 구비한 채 축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오버행은, 바람직하게는 납으로 구성된, 상기 폴 슬리브가 셀 커넥터 또는 단부 폴에 결합될 때, 용접 또는 납땜 공정 동안 열의 도입에 따라 플라스틱 하우징 위로 납이 흐르거나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폴 슬리브를 셀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열의 도입에 대하여 접촉형성부재가 용융되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상기 폴 슬리브에 단단하게 결합된 제1접촉형성부재는, 상기 폴 슬리브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딩, 납땜 또는 용접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가열 시에 상기 접촉형성부재와 폴 슬리브 사이의 접촉표면 상에 캐스트온(cast-on) 결합층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는 전기화학적으로(electrochemically) 주석이 입혀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는, 또한 상기 폴 슬리브의 측부, 예컨대 경사진 탑재부(angled mount) 상에 부착되는 접촉형성볼트(contact-making bolt)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탑재부는 상기 폴 슬리브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상기 탑재부는 예컨대,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하여 폴 슬리브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촉형성볼트는 볼트 풋(foot) 위에서 둥글게 전체적으로 연장되는 고정돌출부를 구비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접촉형성볼트가 탑재부에 고정되는데, 이는 폴 슬리브와마찬가지로 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형성볼트는 전기도체의 접촉형성아이의 아이(eye) 개구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형성아이는 너트, 특히 널드 너트(knurled nut)의 형태일 수 있는 잠금부재의 도움으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접촉형성아이는 상기 접촉형성슬리브 또는 접촉형성볼트 상에 일체로 형성된 원주형 에지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접촉형성볼트와 접촉형성슬리브 모두 전기전도성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전기도체인 접촉형성 아이를 폴 슬리브 또는 상기 탑재부 위에 두고, 이를 나사결합하여 잠금부재에 의하여 눌려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폴은, 모터 자동차의 스타터(starter) 배터리로 사용되는 어큐멀레이터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돌(crash)사고와 같은 경우의 큰 힘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전기도체는 폴 슬리브에 단단하게 결합된 상태에 있다. 상기 전기도체가 분리될 위험은 없으며, 따라서 스파크가 발생할 위험도 없다.
본 발명은 이하의 첨부도면과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에 관하여 상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폴 슬리브(1)가 예컨대, 어큘멀레이터 하우징의 하우징 커버인 플라스틱 하우징부(8)로 기밀(gastight) 및 액밀(liquidtight)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요구되는 밀봉효과를 얻기 위하여, 원주형 돌출부(19)가 상기 폴 슬리브(1)의 베이스부에 제공되며 이는 DE 42 41 393 C2에 개시된 방식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의하여 폴 슬리브가 밀봉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어큘멀레이터의 내부로부터 전해물질(electrolyte) 또는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면서, 동시에 폴 슬리브의 축방향으로 발생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폴 슬리브가 그 자리로부터 느슨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폴 슬리브(1)는 예컨대, 납땜, 용접 또는 다른 방식으로 셀 커넥터(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접촉형성재료, 특히 납은 원추형 셀 커넥터(2)와 폴 슬리브(1)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간격(25)으로 흘러들어와, 셀 커넥터에 의하여 폴 슬리브와 전기적 접촉을 형성한다. 상기의 경우, 오버행(overhang; 17 또는 28)으로 둘러싸인 공간에는, 도 6에 교차 사선으로 빗금쳐진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casting)에 의하여 채워진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12,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촉형성 슬리브(5) 형태의 제1접촉형성부재가 폴 슬리브(1)의 외부 또는 축방향 폴 슬리브 연장부(11)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상기 폴 슬리브(1)보다 더 단단한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공지된 납으로 이루어진 폴 슬리브(1) 재료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전기전도성 재료(금속)이다. 황동이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 용으로 적합한 재료이다. 폴 슬리브(1) 또는 축방향 폴 슬리브 연장부(11)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폴 슬리브(1)와 접촉형성슬리브(5) 사이에 본딩, 납땜 또는 용접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결합층(2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전기화학적으로(electrochemically) 주석이 입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층(22)은 폴 슬리브(1)와 접촉형성슬리브(5) 사이가 기계적으로 단단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층(22)은 폴 슬리브(1) 또는 폴 슬리브 연장부(11)의 외부와 접촉형성슬리브(5)의 내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결합층(22)은 폴 슬리브(1)와 접촉형성슬리브(5)의 가열과정 동안 만들어지며, 상기 폴 슬리브(1)의 납과 접촉형성슬리브(5)의 주석 사이 면에 합금이 형성됨으로써 만들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폴 슬리브(1) 또는 폴 슬리브 연장부(11)의 상단부 위로 축방향으로 돌출된 오버행(17)을 구비한다. 이 오버행(17)은 폴 슬리브(1)를 셀 커넥터(2)에 결합하기 위한 가열과정 동안, 용융된 납이 플라스틱 하우징 또는 플라스틱 하우징부(8) 위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용융납은 컨테이너(container)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오버행(17) 내에 유지된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버행(28)은 폴 슬리브(1)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 나사(4)는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의 외부에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 넛(locknut;6) 상의 내부 나사(7)는 이 외부 나사(4)에 대한 결합부재로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전기도체(3) 또는 전기케이블과 커넥팅 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계적인 잠금(lock)을 초래한다. 이 경우에, 전기적 연결은 상기 전기도체(3)의 단부에 제공되는 접촉형성아이(14)에 의해 만들어진다. 전기적 접촉을 만들기 위하여, 상기 접촉형성 아이(14)는 접촉형성슬리브(5) 위로 눌려져서,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가 접촉형성아이(14)의 아이 개구부(16)롤 통하여 돌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형성아이(14)는 접촉형성슬리브(5) 상의 원주형 칼러(15)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록 넛(6)이 접촉형성슬리브(5) 상에 나사결합될 때, 상기 접촉형성아이(14)는 원주형 칼러(15) 위로눌려져서, 양호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외부 나사(4)를 구비한 제1접촉형성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록 넛(6)은 내부 나사(7)를 구비한 잠금부재(lockin element)를 형성한다. 이는 전기적 연결이 이완(loosening), 특히 제2접촉형성부재를 이루는 접촉형성아이(14)가 커넥팅 폴로부터 이완되는 것에 대항하는 기계적 잠금(lock)을 강화한다. 상기 원주형 칼러(15)는 상기 접촉형성아이(14)가 플라스틱 하우징부(8), 특히 하우징 커버로부터 일정거리만큼 떨어져 있도록 유지시켜준다. 이는 또한, 플라스틱 하우징부(8)에 삽입되는 폴 슬리브(1)의 베이스부를 플라스틱 하우징부(8)의 표면 위로 돌출시키고, 상기 접촉형성아이(14)를 폴 슬리브(1) 위에 직접 놓이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주형 칼러(15)가 경사진 또는 원추형의 접촉면(26)을 구비하며, 접촉형성아이(14)의 대응하는 원추형 접촉면(27)이 상기 접촉면 위로 눌려진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칼러(15)와 접촉형성슬리브(5)는 반경방향 돌출부(18(도 2 참조)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폴 슬리브(1)의 베이스부 상에서 지지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가 폴 슬리브(1)의 외주를 따라 전체적으로 둥글게 연장된 오목부(29) 내에 배치된다. 폴 슬리브(1)의 외주상의 오목부(29)는 접촉형성슬리브(5)의 축방향 길이에 상응하는 축방향 길이를 가진다.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예컨대, 다이 캐스팅에 의한 폴슬리브의 형성 과정동안 폴 슬리브(1)의 외주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폴 슬리브(1)가 제조되는 캐스팅 몰드 내에 위치되며, 상기 폴 슬리브 재료, 특히 납은 폴 슬리브의 주조과정 동안 접촉형성슬리브(5)에 결합된다. 이 방법은 특히 도 5, 도 6 ,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유용하다. 상기 방법은 폴 슬리브(1)의 외주 상의 원주형 오목부(29)에 축방향으로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를 확실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축방향으로, 상기 폴 슬리브(1)는 필요하다면, 원추형 확장부(23)를 구비할 수 있는 오버행(28)을 구비한다. 셀 커넥터(2)의 결합과정 동안, 이 셀 커넥터(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슬리브(1)의 캐비티 내로 삽입된다. 셀 커넥터(2)의 원추형 외주(outer circumference)와 폴 슬리브(1)의 내주(inner circumference) 사이 간격(25) 뿐만 아니라, 셀 커넥터(2) 위의 오버행(2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도,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형성재료(30), 특히 납으로 채워진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12,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폴 슬리브 축(13)에 대하여 동축으로 연장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촉형성볼트(9)가 폴 슬리브 축(13)에 대하여 떨어져서 폴 슬리브의 측부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접촉형성볼트(9)는 폴 슬리브 축(13)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만약, 설치를 위해서 필요하다면, 접촉형성볼트(9)와 폴 슬리브 축(13) 사이 각도 방위(angular orientation)를 다르게 선택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촉형성슬리브(5) 대신에 접촉형성볼트(9)가 제1접촉형성부재로서 제공된다. 상기 접촉형성볼트(9)는 폴 슬리브(1)의 측부에 배치된다. 상기 접촉형성볼트(9)가 고정되는 탑재부(1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폴 슬리브(1)와 일체로 형성되어 그와 직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자세히 도시하지 않은 셀 커넥터(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슬리브(1) 내의 캐비티로 연장되어, 캐비티에 용접 또는 납땜될 수 있다. 폴 슬리브(1)는 그 상부면에서, 셀 커넥터(2)를 폴 슬리브(1)에 용접 또는 납땜하는 동안 액화되는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는 원추형 확장부(23)를 구비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또한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하여 폴 슬리브(1)에 탑재부(12)가 결합되어 있고,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와 동시에셀 커넥터가 상기 폴 슬리브(1)에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탑재부(12)의 링 부분(24)은 폴 슬리브(1)의 상부면에 놓여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 부분(24)은 폴 슬리브(1)의 상부 에지 위로 돌출된다. 이는 또한, 셀 커넥터와 폴 슬리브의 결합과정 동안, 액화되는 재료에 대한 유지용기를 이룬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촉형성볼트(9)가 외부나사(4)를 구비하고, 이 외부나사에 록 넛(10)의 나사(7)가 나사결합되며, 상기 록 넛(10)은 잠금부재를 형성한다.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폴에 결합되는 도체(3)는, 록 넛(10)의 조임과정 동안 접촉형성볼트(9)에 대하여, 또는 전도성 재료로 구성된 접촉형성볼트(9)의 원주형 칼러에 대하여 눌려질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상기 접촉형성아이(14)도 마찬가지로 전기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탑재부(12)에 대하여 눌려질 수 있다.
필요하다면, 상기 실시예에서, 록 넛(6 또는 10)은 절연외장에 의해 싸여질 수 있다.
상기 접촉형성볼트(9)를 탑재부(12)에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 풋(bolt foot;21)은 원주형 고정돌출부(20)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상기 볼트 풋(21)은 상기 탑재부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촉형성슬리브(5)가 폴 슬리브 연장부(11)의 외주면에 위치한다.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또한 대개 납으로 이루어진 폴 슬리브 재료보다 더 단단한 재료, 특히 황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폴 슬리브 연장부(11) 외부의 원주형 리세스 또는 오목부(29)에 인터록킹 방식(interlocking manner) 설치된다. 본딩, 납땜,또는 용접(22)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가열 시에 상기 폴 슬리브 재료와 접촉형성슬리브 재료 사이에 주석층과 납땜 이음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주석이 입혀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또한, 폴 슬리브(1)와 그와 일체인 폴 슬리브 연장부(11)의 형성과정 동안 폴 슬리브 연장부(11)에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접촉형성 링(contact-making ring;5)이 몰딩 다이, 예컨대 캐스팅 다이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안에서 상기 폴 슬리브(1)는 몰딩되는데, 이 때 용융납이 폴 슬리브(1)를 형성하기 위하여 몰딩 다이로 도입된다.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바람직하게는, 폴 슬리브 재료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된다. 폴 슬리브(1)의 형성과정 동안, 상기 폴 슬리브 재료는 고체인 접촉형성슬리브(5)를 감싸며 흐를 수 있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형성슬리브가 폴 슬리브 연장부의 리세스(29) 영역 내에 확실하게 형성된다. 동시에, 주석층에 의하여 형성되는 본딩, 납땜 또는 용접(22)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폴 슬리브(1)와 접촉형성슬리브(5) 사이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 13에 특히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주형 그루브(32)가 접촉형성슬리브(5)의 외주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32)는 원형 링의 형태이며, 폴 슬리브 축(13) 주위에 동심으로(concentrically) 배치된다. 이 그루브(32)는,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접촉형성아이(14) 형태의 접촉형성부재(31)와 인터로킹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접촉형성부재(31)의 아이(eye) 개구부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접촉형성슬리브(5)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그루브(32)를 구비한 접촉형성슬리브(5)의 외부와 예컨대 클램핑나사 또는 다른 클램핑 부재로 만들어진 고리형 접촉형성부재(31)의 내측 사이에 클램핑 자리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형성부재(31)는 전도성있게 상기 도체(3)에 결합된다.
1 폴 슬리브,2 셀 커넥터,3 전기도체,
4 외부 나사,5 접촉형성슬리브(제1잠금부재),
6 록 넛(제2잠금부재),7 내부 나사,8 플라스틱 하우징부,
9 접촉형성볼트(제1잠금부재),10 록 넛(제2잠금부재),
11 폴 슬리브 연장부,12 탑재부,13 폴 슬리브 축,
14 접촉형성아이, 15 원주형 칼러, 16 아이 개구부, 17 오버행,
18 반경방향 돌출부, 19 원주형 돌출부, 20 고정돌출부,
21 볼트 풋,22 결합층, 23 원추형 연장부, 24 링 부분
25 간격26 원추형 접촉면,27 원추형 접촉면,
28 오버행,29 원주형 오목부,30 접촉형성재료,
31 접촉형성부재,32 그루브.

Claims (19)

  1. 어큐멀레이터 하우징의 플라스틱 하우징부(8)로 밀봉되게 삽입되고 셀 커넥터(cell connector;2)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폴 슬리브(1)를 구비한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더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기도체(3)에 전도성있게(conductively) 연결되는 제2접촉형성부재(second contact-make element, 6;10;31)와 그 외부면 상에서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1접촉형성부재(5;9)가 상기 폴 슬리브(1)에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 끼워맞춤(force fit) 및/또는 인터록(interlock)에 의하여,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5;9)가 제2접촉형성부재(6;10;31)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의 외부면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5;9)의 외부에 원주형(circumferential) 그루브(4;3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형 그루브(4;32)가 상기 폴 슬리브(1)에 대하여 동축으로(coaxially)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형성부재(5) 상에 외부 나사(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5;9)는, 폴 슬리브(1) 재료보다 높은 용융점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 슬리브(1)와 제1접촉형성부재(5;9) 사이에, 본딩(bonding), 납땜(soldering) 또는 용접(welding;22), 특히 납땜 이음(soldered joint)과 같은 기술에 의한 결합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접촉형성부재(5;9)가 황동(brass)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5;9)가 상기 폴 슬리브(1)의 형성과정 동안 상기 폴 슬리브(1)에 단단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5)가 상기 폴 슬리브(1)와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는, 상기 폴 슬리브(1)의 외부 또는 축방향 폴 슬리브 연장부(11)에 부착되는 접촉형성슬리브(5)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상기 폴 슬리브(1) 또는 폴 슬리브 연장부(11)의 상부 에지 위로 축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형성슬리브(5)는, 상기 폴 슬리브(1)의 전체 외주를 따라 연장된 오목부(29)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 슬리브(1)는, 폴 슬리브(1)의 캐비티 내에 배치된 셀 커넥터(2) 위로 오버행(overhang;28)을 구비하며,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locking) 슬리브(5) 상의 오버행(11) 및/또는 폴 슬리브(1) 상의 오버행(28)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접촉형성재료(30), 특히 납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는, 폴 슬리브 축(13)과 본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폴 슬리브(1)의 측부에 부착되는 접촉형성볼트(9)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7. 제1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형성볼트(9)는, 상기 폴 슬리브(1)와 각도지게 배치되며 상기 폴슬리브(1)와 일체로 형성된 탑재부(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도체(3) 상의 제2접촉형성부재(6;31)는, 전기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는 접촉형성아이(contact-making eye)의 형태이며, 그 아이 개구부(16)로 상기 제1접촉형성부재(접촉형성슬리브 5; 접촉형성볼트 9)가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형성 아이(14)는, 제1접촉형성부재(5;9) 상의 원주형 칼러(15) 상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KR1020037011081A 2001-02-22 2002-02-21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KR1008678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8649A DE10108649A1 (de) 2001-02-22 2001-02-22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DE10108649.0 2001-02-22
PCT/EP2002/001848 WO2002075828A2 (de) 2001-02-22 2002-02-21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215A true KR20030093215A (ko) 2003-12-06
KR100867811B1 KR100867811B1 (ko) 2008-11-10

Family

ID=767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081A KR100867811B1 (ko) 2001-02-22 2002-02-21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52332B2 (ko)
EP (1) EP1518283B1 (ko)
KR (1) KR100867811B1 (ko)
AU (1) AU2002253049A1 (ko)
DE (2) DE10108649A1 (ko)
WO (1) WO20020758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5384A1 (de) * 2002-07-15 2004-02-05 Friedrich Welcker Batteriesteckkontakt
EP1691431A1 (de) * 2005-02-14 2006-08-16 SAT Akkumulatoren Technik AG Verbindungselement zur Verbindung von Zellen zu Akkumulatoren
DE102005030992A1 (de) * 2005-07-02 2006-10-12 Daimlerchrysler A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batterie
JP5399802B2 (ja) * 2009-07-24 2014-01-29 矢崎総業株式会社 金属板及びボルトの合成樹脂部材への固定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コネクタ
EP2545602B1 (de) * 2010-03-09 2015-08-26 Johnson Controls Autobatterie GmbH & Co. KGaA Anschlusspol für einen akkumulator und akkumulatorgehäuse
DE102013102647B4 (de) 2013-03-14 2014-09-25 Fele Gmbh & Co. Kg Anschlussdurchführung für ein Gehäuse eines elektrischen Bauteils, insbesondere eines Akkumulators,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Anschlussdurchführung
EP3389065B1 (en) * 2013-08-07 2019-11-20 Ls Mtron Ltd. Ultra capacitor module
DE202013012314U1 (de) * 2013-10-08 2016-04-27 Engeser Gmbh Innovative Verbindungstechnik Elektrische Verbindung sowie Batteriezellkontakt
USD767490S1 (en) 2015-01-07 2016-09-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bushing
EP3762983A1 (en) 2018-03-05 2021-01-13 CPS Technology Holdings LLC Cap for battery terminal
US10811667B2 (en) 2018-03-05 2020-10-20 Clarios Germany Gmbh & Co. Kgaa Battery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8855A (en) * 1934-09-06 1937-04-27 Mathew T Kim Battery cable terminal protector
US2944325A (en) * 1953-04-27 1960-07-12 Richard U Clark Method of making hermetically sealed electric terminals
US2903672A (en) * 1956-03-06 1959-09-08 Ade Mathias Battery terminal connector
US3413593A (en) * 1967-11-03 1968-11-26 Joseph K. Schaefer Isolated electrical terminal connection
FR2140836A6 (ko) * 1971-04-08 1973-01-19 Fulmen
CA1009719A (en) * 1973-01-29 1977-05-03 Harold G. Hutter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US4118097A (en) * 1976-12-29 1978-10-03 Altek Systems, Inc. Battery cabl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354725A (en) * 1980-04-21 1982-10-19 General Electric Co. Insulated terminal assembly
US4480151A (en) * 1982-07-19 1984-10-30 Hilliard Dozier Temperature stable hermetically sealed terminal
SE451354B (sv) * 1984-04-26 1987-09-28 Nordiska Ackumulator Fabriker Anordning vid ackumulatorbatterier for att forhindra felkoppling i ett pa batterilocket befintligt festora
GB8432260D0 (en) * 1984-12-20 1985-01-30 Lucas Ind Plc Electric storage battery
US4643511A (en) * 1985-12-19 1987-02-17 System Material Handling Company Auxiliary wire connections for side post batteries
US4778949A (en) * 1987-01-23 1988-10-18 Corrpro Companies, Inc. Wire entrance fitting
DE8912155U1 (ko) 1989-10-12 1989-11-23 Accumulatorenwerke Hoppecke Carl Zoellner & Sohn Gmbh & Co Kg, 5790 Brilon, De
DE4241393C2 (de) 1992-12-09 1999-05-27 Dionys Hofmann Gmbh Anschlußpol für einen Akkumulator
US5776625A (en) * 1997-06-18 1998-07-07 H Power Corporation Hydrogen-air fuel cell
US5935726A (en) * 1997-12-01 1999-08-10 Ballard Pow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water to an ion-exchange membrane in a fuel cell
US6015634A (en) * 1998-05-19 2000-01-18 International Fuel Cells System and method of water management in the operation of a fuel cell
DE19936797C1 (de) * 1999-08-04 2000-10-26 Welcker F Polanschlussverschraubung für Bleiakkumulatoren
JP3354120B2 (ja) * 1999-10-05 2002-12-09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端子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03915A1 (de) * 2000-01-29 2001-08-09 Welcker F Polanschlußverschraubung für Bleiakkumulator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8283A2 (de) 2005-03-30
KR100867811B1 (ko) 2008-11-10
US7052332B2 (en) 2006-05-30
DE10108649A1 (de) 2002-09-05
DE50209114D1 (de) 2007-02-08
AU2002253049A1 (en) 2002-10-03
WO2002075828A3 (de) 2005-01-27
US20040132353A1 (en) 2004-07-08
EP1518283B1 (de) 2006-12-27
WO2002075828A2 (de)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811B1 (ko) 어큐멀레이터용 커넥팅 폴
JP5481827B2 (ja) 電池
JP5380750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453089B (zh) 电连接器
US4898796A (en) Lead-acid storage battery
EP2811576B1 (en) Terminal securing connection structure
JP5920650B2 (ja) 蓄電素子
JP5380749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97822A (ja)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997365B (zh) 电导体与电气设备连接件电接触的接触元件及其制造方法
EP2523269B1 (en) Conne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US20030118903A1 (en) Closed type battery
JPH09180775A (ja) 高圧電線用キャップの嵌着構造
US2022021663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lug and cavity assembly and method of ultrasonically welding
CN112106259B (zh) 用于机动车的插拔式连接元件以及用于制造这种插拔式连接元件的方法
EP1737072A2 (en) Cable connection system for battery connectors
JP2001140839A (ja) キャップ付きのアタッチメント装置
US875228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wire harness
JP3490117B2 (ja) 射出成形用ノズル
CN113056845B (zh) 连接器
JP5407058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3668904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JP2011159591A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5833499A (en) Insulated battery-cable connector
EP1040977B1 (en) Switch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