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3191A -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 Google Patents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3191A
KR20030093191A KR10-2003-7008528A KR20037008528A KR20030093191A KR 20030093191 A KR20030093191 A KR 20030093191A KR 20037008528 A KR20037008528 A KR 20037008528A KR 20030093191 A KR20030093191 A KR 20030093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rver
information
directory service
servi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니시나오야
도요타유이치
Original Assignee
포시스ㆍ비지네스 프로모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시스ㆍ비지네스 프로모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포시스ㆍ비지네스 프로모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1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1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comprising remotely distributed storage units, e.g. when movies are replicated over a plurality of video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5Local VOD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8Content descriptor database or directory service for end-use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36Handling of requests in head-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분산형 콘텐츠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용하여, 과금을 하는 것, 및 콘텐츠 서버에 콘텐츠의 등록을 하는 것.
클라이언트인 이용자 단말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로부터 접속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상기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마스터 콘텐츠 서버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의해 구성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으로서, 상기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는, 콘텐츠를 검색·추출 및 선택할 때에 키를 하여 사용하기 위한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마스터 콘텐츠 서버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의 소재를 나타내는 정보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권한이 설정되어 있고,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소망의 콘텐츠에 대한 리퀘스트 요구에 대하여, 마스터 콘텐츠 서버가 상기 리퀘스트 요구를 수신하는 처리와, 리퀘스트 요구된 콘텐츠의 소망의 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는 처리와, 추출된 결과를 상기 이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

Description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CONTENTS DIRECTORY SERVICE SYSTEM}
근년, 컴퓨터·네트워크나 통신환경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상업활동 등의 비지니스가 활발해지고 있다. 쇼핑·몰이나 경매 등의 Web사이트도 다수 존재하고, 그것들에 따르는 결제 방법 등의 기술도 다양한 것이 개발되고 있다.
또, 퍼스널·컴퓨터 등의 정보기기 이외에도, 휴대정보 단말이나, 휴대전화, PHS, 게다가 인터넷 TV나 게임 기기 등의 정보가전 등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휴대전화 등의 중에는, 브라우저 기능을 탑재한 것도 등장하고, 휴대전화 단말로부터, 인터넷의 Web페이지를 열람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운데에서, 컴퓨터·네트워크를 통해서 유저가 다양한 콘텐츠에액세스하여, 콘텐츠의 열람, 인쇄 등의 출력, 다운로드에 의한 입수 등이 가능하게 되고 있어, 온라인에서의 콘텐츠 입수의 대가나 그 저작권(또는 저작권 사용료)에 관한 기술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가운데에서, 전자 네트워크를 통하여, 음악의 배신 등 각종 콘텐츠를 배신하거나, 열람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또, 이들에 따르는 과금을 위한 수단이나, 배신 등을 행하는 정보의 압축기술, 저작권이나 프라이버시 정보 등의 보호를 위한 암호화 기술, 또는 이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운데에서, 전자상거래나, 전자 네트워크를 통한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 기업 등, 그밖에 공공부문이나 연구·학술·문화 등의 정보교류, 정보제공도 점점 활발하게 행해지게 되는 것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컴퓨터·네트워크는, 국경을 넘어서 접속되어 있고, 단말을 가진 누구나가 액세스할 수 있는 것이며, 각종 정보의 등록이나 정보의 유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한편, 인터넷상에서는 화상 파일, 동화상 파일, 텍스트 등의 문자정보 파일, 그밖의 다양한 파일을 취급할 수 있다. 게다가 이것들을 검색하는 기술도 각종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0-286599호 「메타 검색방법, 화상 검색방법, 메타 검색엔진 및 화상 검색엔진」에서는, 컴퓨터에 의한 검색방법으로서, 화상 등의 검색을 행할 때에 검색을 위한 질문 용어를 입력하고, 질문에 합치하는 화상을 검색하여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평 11-113779호 「화상 분류방법, 화상 문의방법, 화상 분류장치, 화상 문의장치」에서는, 화상 중에 포함되는 기저가 되는 원이나 정방형, 삼각형, 선분 등의 형상을 정의하고, 화상에 대해 기저형상의 존재의 유무에 근거하여 화상을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는 일본 특개평 11-316846호 「화상의 영역정보와 에지 정보를 이용하는 화상 조합의 방법 및 화상 조회장치」에서는, 화상을 영역정보에 기초하는 화상 유사도의 도출과 에지 정보에 기초하는 화상유사도의 도출의 조합에 기초하는, 화상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 후보화상간의 유사도가 계산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후보화상이 그룹화되고, 재순서 메겨져 표시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밖에, 오늘날에는 데이터베이스나 Web상에 존재하는 화상 등의 검색기술은 다양한 것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네트워크상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일원적으로 관리하여, 검색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취할 수 있으면, 모든 콘텐츠의 소재를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이 시스템을 사용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고, 콘텐츠의 이용자에 있어서도, 제공자에 있어서도 편의한 것이 된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분산형 콘텐츠 서버를 사용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제공한 것 만으로는, 별도의 새로운 문제도 생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검색기술을 사용하여 검색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누구라도 간단히 콘텐츠에 액세스 가능하게 되고, 콘텐츠의 보호, 저작권의 보호 등에 관해서는 별도의 대책을 시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콘텐츠의 이용에 대한 과금을 적절하게 행하고, 과금처리가 되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과금처리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용불가능한 것으로 하지 않으면, 적절한 과금처리는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콘텐츠를 서버에 등록하는 등 하여 축적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224257호 「캡슐화 오브젝트 구성방법 및 캡슐화 오브젝트 검색 실행방법 및 시스템 및 캡슐화 오브젝트 검색 실행 프로그램을 격납한 기억매체」에서는,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이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이용권을 유지하고 있는 검색자에 대해, 이 검색 애플리케이션의 이용권을 문의하고, 검색자로부터 이용권을 취득하고, 취득한 이용권을 인수로 하여, 검색방법를 기동하여, 이 검색방법중에 검색 옵션을 다단계로 생성하는 동시에, 이 검색방법에 의해 인덱스 정보를 다단계로 생성하여 캡슐을 전개하고, 검색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캡슐에 전개된 검색 옵션을 사용하여, 생성된 인덱스 정보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오브젝트를 캡슐화함으로써 직접 참조를 불가하게 한 캡슐화 오브젝트에 대하여, 검색자에 따라서 다른 정밀도로 검색을 행하기 위한 캡슐화 오브젝트 구성방법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공개된 인덱스 정보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오브젝트와, 검색을 행하기 위한 검색방법을 적어도 1개 포함하는 캡슐 조작을 위한 복수 방법과, 이 검색방법를 기동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1개의 캡슐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화 오브젝트 구성방법을 취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가 생긴다.
즉 디지털·콘텐츠를 검색 등 할 경우에, 콘텐츠에 인덱스 정보가 부가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레벨에 따라서 다른 정밀도로, 캡슐화된 콘텐츠를 전개하고, 효율좋게 콘텐츠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인덱스 정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콘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은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용자가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한 시점에서의 과금처리를 행하고, 게다가 과금을 할 때의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 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과금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즉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하지 않을 경우)의 콘텐츠의 보호를 행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 일본 특개평 11-l49707호 「디지털 콘텐츠 배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기록장치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이용자가, 영상 등의 콘텐츠 소프트웨어를 시간축 압축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축적하는 콘텐츠 배신센터에 대하여 리퀘스트 송신하면, 콘텐츠 배신센터는 리퀘스트에 따른 콘텐츠 소프트웨어의 시간축 압축한 디지털 데이터와 식별코드를 조합하는 조합코드를 정보전송수단을 통하여 배신하고, 데이터 기록장치는 수신한 조합코드가 자신의 식별코드와 조합되면 디지털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시에, 전개장치는 데이터 기록장치에 압축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전개하여 출력장치에 출력한다, 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이용자가 희망하는 영상, 화상, 음악 등의 정보량이 큰 콘텐츠 소프트웨어를, 미디어를 개재시키는 일 없이 이용자에게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정보량이 많은 콘텐츠의 압축·전개 방법은 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용자가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한 시점에서의 과금처리를 행하고, 게다가 과금을 할 때의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과금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즉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하지 않을 경우)의 콘텐츠의 보호를 행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는, 일본 특개평 10-269289호 「디지털 콘텐츠 배부 관리 방법, 디지털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에서는, 암호화된 콘텐츠 키를 복호화하고, 세션 키를 암호화하는 공개암호복호회로와, 콘텐츠 키나 세션 키를 보관하는 공통 키 보관 메모리와, 공개암호방식의 키 정보를 보관하는 통신용 키 보관 메모리와, 포인트 정보를 격납하는 포인트 정보 격납 메모리와, 포인트 사용정보를 격납하는 포인트 사용 정보 격납 메모리와, 암호화 디지털 콘텐츠를 복호화하고, 암호화 포인트 정보의 복호화, 포인트 사용정보의 암호화를 행하는 공통암호복호회로와, 압축 디지털 콘텐츠를 신장하는 신장회로와, 디지털 콘텐츠를 D/A변환하는 D/A 변환회로를, 1칩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간단히 들고 다닐 수 있고 언제라도 어디서라도 디지털 콘텐츠를 즐길 수 있고, 디지털 콘텐츠의 카피 또는 부당한 사용에의 방어로서 충분히 운용할 수 있고, 또한 경제적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도, 이용자가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한 시점에서의 과금처리를 행하고, 게다가 과금을 할 때의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 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과금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즉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하지 않을 경우)의 콘텐츠의 보호를 행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는 일본 특개평 8-54950호 「소프트웨어 사용량 측정장치 및 멀티미디어 정보 출력장치」에서는, 통상의 사용형태 이외의 사용형태로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행해진 경우라도, 적절한 과금을 행하기 위한 사용량의 결정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사용량 측정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MPEG 규격으로 압축된 암호화 화상 데이터 프레임이 SD회로에 송신되어 오면, 과금 카운터 값이 1이상인 것을 조건으로, DES 복호화부는, 프레임의 복호를 행한다. 복호된 화상 데이터 프레임은, 1개씩, MPEG 신장회로에서 신장된다. 프레임이 1개 신장할 때마다 MPEG 신장회로는, 프레임 카운터부에 대해 프레임 신장 완료 신호를 출력한다. 프레임 카운터부는, 이 프레임 신장 완료 신호를 카운트하여, 카운터값을 단위변환부에 출력한다. 단위변환부는, 카운터값이 소정의 참조값에 도달할 때마다, 과금 카운터 레지스터부에 대해, 과금 카운트값을 점감하도록 지시를 내린다.
그렇지만, 여기서는 MPEG규격에서의 암호화 데이터의 복호화를 할 때의 과금처리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만, 과금처리를 행할 때에,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게다가 콘텐츠 이용자가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을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지정하는 것, 그것을 위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 및 그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한 과금을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는 일본 특개평 6-141004호 「과금시스템」에서는, 포괄적인 계약을 행하지 않고 개개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유료로 시청하는 소위 「페이·퍼·프로그램」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유료 프로그램 시청 희망자로부터 공중 전신전화 회선을 통해서 행해진 유료 프로그램 시청신청에 대하여, 과금 센터는 데이터 통신장치에 대해 유료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시청허가 코드를 송신하는 동시에 요금징수를 행하고, 시청허가 코드를 받은 수신장치에서는, 시청허가 코드에 따라서 유료 프로그램을 시청한다. 방송 프로그램의 스크램블을 거는 형식에는, 고정·선택·변경의 3형태 중 1개가, 시청신청에는, 시간지정·프로그램 번호지정·가번호지정의 3형태 중 1개가, 시청허가 코드로서는, 디코딩 데이터·비공개 프로그램번호·디코딩 데이터 번호의 3형태 중 1개가 채용된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프로그램 시청에서의 과금처리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만, 과금처리를 행할 때에,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하기 위해 효율적으로, 게다가 콘텐츠 이용자가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을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지정하는 것, 그것을 위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 및 그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한 과금을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 인증 키의 취득에 관련되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 2000-90039「음악 배신 방법, 송신장치 및 방법, 및, 재생장치 및 방법」에서는, 음악 데이터를 배신하는 시스템에서, 배신된 음악 데이터의 저작권의 보호를 충분히 배려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단말장치, 식별 정보, 과금처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구비하고, 음악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에 접속된다.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재생장치 고유의 ID에 기초하여 공개 키 및 비밀 키가 작성된다. 공개 키는, 서버에 보내져 등록되고, 비밀 키는, 장치에 유지된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에 대해, 음악 데이터의 배신이 요구된다. 음악 DB로부터 취출된 음악 데이터에 대해, 등록된 공개 키로 암호화가 시행된다.
암호화된 음악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 송신되고, 재생장치에 보존된다. 재생시에는, 장치에 유지된 비밀 키로 음악 데이터가 복호화되면서 재생된다. 장치에 보존된 음악 데이터는, 장치 고유의 ID에 기초하여 작성된 키로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재생장치로는 재생할 수 없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음악 데이터의 배신·과금처리·저작권보호를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만, 재생장치 고유의 ID를 사용하는 과금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다른 재생장치로는 재생할 수 없다.
또, 일본 특개평 8-55021호 「키인증방식」에서는, 소프트웨어의 격납 매체를 복잡하게 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의 판매에 관계되는 시큐러티의 향상을 꾀하는 동시에, 유저에게 소요되는 시간적인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소프트웨어 격납 매체나 통신으로부터 얻어지는 암호화 소프트웨어에 대해, 하드웨어에 내장 또는 착탈가능한 모듈을 제공하고, 이 모듈에는 유저 고유의 유니크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동시에,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센터에는 유저 고유의 정보에 기초한 허가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게 하고, 모듈에서 생성한 정보와 센터에서 생성한 허가정보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이용을 허가해야 할 유저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소프트웨어의 이용을 허가해야 할 정당한 유저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만,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게다가 콘텐츠 이용자가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을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지정하는 것, 그것을 위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 및 그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한 과금을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인쇄시의 과금처리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119937호 「네트워크 프린터」에서는, 멀티 프로토콜 대응의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정확하게 과금관리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과금정보와 인쇄 대상 데이터를 포함한 멀티 프로토콜의 통신 인쇄 데이터를 받는 통신 프로토콜부와, 통신 인쇄 데이터에 인쇄처리 명령을 부가하여 출력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부와, 과금관리를 행할 때는 유저가 선택한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통신 인쇄 데이터만을 출력하는 과금관리 프로토콜 선택수단을 갖는 네트워크 어댑터와, 네트워크 어댑터로부터 출력된 통신 인쇄 데이터를 받아서, 출력하는 콘트롤러와, 인쇄 대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와, 인쇄부로부터 과금정보를 취득하는 과금관리부를 네트워크 프린터에 구비함으로써 정확하게 과금관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금정보와 인쇄 대상 데이터를 포함한 멀티 프로토콜의 통신 인쇄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과금관리를 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린터가 실현되어 있지만,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게다가 콘텐츠 이용자가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을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지정하는 것, 그것을 위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 및 그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한 과금을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한 시점에서의 과금처리를 행하고, 게다가 과금을 할 때의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과금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즉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하지 않을 경우)의 콘텐츠의 보호를 행하기 위한 콘텐츠 과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게다가 콘텐츠 이용자가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을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지정할 수 있는 콘텐츠 과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이, 그것을 위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를 구비하는 콘텐츠·데이터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정보기억매체, 및 그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한 콘텐츠 과금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화상 파일 등의 콘텐츠를 인터넷을 비롯한 컴퓨터·네트워크를 통해서 유저(이용자)가 검색하여 이용을 행할 때에, 마스터 콘텐츠 서버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의 분산형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리퀘스트 요구에 대하여,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기 위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콘텐츠를 등록할 때에, 콘텐츠 ID, 서버 ID, 콘텐츠의 종류나 카테고리, 키워드 등의 속성정보를 지정하는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이와 같은 분산형 서버를 사용한 검색처리를 행할 때의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콘텐츠를 등록할 때의 화면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검색처리를 할 때의 이용자 단말의 화면 이미지의 1예를 도시하는 화면 이미지 도,
도 7은, 검색처리를 행할 때의 이용자 단말의 화면 이미지의 1예를 도시하는 화면 이미지 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콘텐츠의 등록처리 및 검색처리를 행하는 기본적인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9는, 콘텐츠의 등록처리를 행할 때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콘텐츠 검색처리를 행할 때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의 데이터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의 1예를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12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가 소재하는 URL정보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의 1예를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13은,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의 1예를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14는, 인증 키의 1예로서, USB키를 사용한 경우의, USB의 IC칩에 세팅되는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할 경우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6은, 인증 키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등록을 행할 경우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7은, 인증 키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등록을 행할 경우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8은, 인증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9는, 과금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20은, 화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유저 단말에서,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를 검출하고, 해석하여,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에 따라 출력을 행하는 데이터의 흐름의 1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클라이언트인 이용자 단말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로부터 접속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상기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마스터 콘텐츠 서버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으로서,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는, 콘텐츠를 검색·추출 또는 선택할 때에 키를 하여 사용하기 위한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마스터 콘텐츠 서버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의 소재를 나타내는 정보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권한이 설정되고 있고,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리퀘스트 요구에 대하여, 마스터 콘텐츠 서버가 상기의 리퀘스트 요구를 수신하는 처리와,
리퀘스트 요구된 콘텐츠의 원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는 처리와,
추출된 결과를 상기의 이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의 속성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에는, 더욱이,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콘텐츠의 내용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콘텐츠·파일의 종류, 그밖의 정보 중 1 또는 복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마스터 서버 또는 슬레이브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상기의 속성정보를 키로서, 콘텐츠 이용의 대가,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콘텐츠의 내용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콘텐츠·파일의 종류, 그밖의 정보 중 1 또는 복수를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는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 또는2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마스터 서버 또는 슬레이브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가 포함하는 상기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 이용의 대가나 이용방법의 제한, 이용자의 제한, 그밖의 정보 중 1 또는 복수를 지정하여, 이용가능한 콘텐츠만이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3의 어느것인가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4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슬레이브 서버는, 마스터 서버의 관리자와는 다른 관리자가 설치하는 슬레이브 서버를 포함하고, 분산형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는, 상기 마스터 콘텐츠 서버와 연휴하여 과금관리를 행하기 위한 커머스 서버가 더 구비되고,
추출·선택된 콘텐츠의 출력 등의 이용을 행함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추출·선택된 콘텐츠의 출력을 행함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할 때에, 이용자 단말에서,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4의 어느것인가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6 또는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는, 디코딩 키를 사용함으로써 디코딩을 할 수 있는 독자의 포맷에 의해 인코딩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6 또는 7의 어느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7 또는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는, 출력·이용하는 방법이나, 출력되는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 매수, 그밖의 조건 중 1 또는 복수의 이용조건을 지정하여, 디코딩 및 과금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6 또는 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9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9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소재하는 URL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9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9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1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추출·선택된 콘텐츠의 출력을 행함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하는 처리는,
콘텐츠 서버에 기억된 콘텐츠의 샘플·데이터를 열람 등 하는 처리를 거쳐서,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12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1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추출·선택된 콘텐츠의 출력·이용을 행함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할 때에 이용자의 인증을 행하는 처리에서, 이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키를 사용하여 인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1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측이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숍 단말이 컴퓨터·네트워크에 접속되어서 더 구비되고,
유저가 인증 키를 콘텐츠 출력 숍 단말에 구비함으로써, 콘텐츠의 출력·이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3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15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에서,
입력수단과, 기억수단과, 제어수단과, 표시수단과,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시스템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로 이루어진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의 콘텐츠를 검색·추출 또는 선택할 때에 키를 하여 사용하기 위한 속성정보를 지정하는 스텝과,
지정된 상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데이터를 패키지화하는 스텝과,
콘텐츠의 기억장소의 지정을 하는 스텝과,
패키지화된 데이터를 정보기억매체에 기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에 의해,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등록되는 콘텐츠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공개해도 좋을지 아닐지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6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6 또는 1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등록되는 콘텐츠는, 유저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유저 단말로부터 등록하는 콘텐츠로서,
유저에 대한 인증을 위한 하드웨어 키를, 유저가 콘텐츠를 등록할 때에 이용자 단말에 세팅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6 또는 17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의 범위 1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1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표시되는, HTML파일, XML파일, CHTML파일, 등의 파일로서,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 또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콘텐츠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의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1∼18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음에, 본 발명의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콘텐츠(화상, 동화상, 소프트, 등)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텐츠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로 이루어진 화상, 그밖의 콘텐츠로서, 데이터베이스·서버 등의 콘텐츠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장치, 하드 디스크 등의 외부 기억장치, 플로피 디스크, MO, 메모리 스틱(상표), 스마트 미디어(상표), 그밖의 정보기억 매체에 격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콘텐츠는, 문자 데이터, 정지화상 데이터, 동화상 데이터, 애니메이션 화상 데이터, 프레젠테이션·데이터, 슬라이드·데이터, 음성데이터, 게임·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소프트웨어, 그밖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하기와 같은 파일·포맷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정지화상의 파일·포맷으로서는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PICT(QuickDraw Picture Format), BMP(Bitmap),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등이다.
동화상의 파일·포맷으로서는 예를 들면 MPEG-1, MPEG-2, MPEG-4, RV(Real Video), MNG(Multip1e-image Network Graphics), AVI(Audio Video Interleaved) 등이다.
음성의 파일·포맷으로서는 예를 들면, AIFF(Audio Interchange File Format), WAV(Waveform), AU, RA(Real Audio), MPEG-1 음성압축방식, MPEG-2 음성압축방식, MPEG-4 음성압축방식 등이다.
또 동화상과 음성의 다중화방식에 의한 파일·포맷으로서는 예를 들면, QUICKTIME, MPEG-1, MPEG-2PS 등이다.
또 문서 파일·포맷의 1예로서 PDF(Portable Document Format), 아카이브 기능부착 압축 파일·포맷으로서 zip, lzh 등의 형식이 알려져 있다.
또 상기한 이외의 여러가지 파일·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파일에는, 종래, 콘텐츠 그 자체의 데이터 이외에도, 파일의 헤더 정보 등으로서, 파일명, 파일 작성일시, 파일 작성자명 등의 정보를 부대시키는 것은 통상 행해져 온 바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청구범위 1∼12에 기재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그밖의 상세한 조건에 따른 적절한 과금을 행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ID와, 콘텐츠의 소재를 나타내는 서버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청구의 범위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에는, 더욱이,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콘텐츠의 내용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콘텐츠·파일의 종류, 그밖의 정보 중 1 또는 복수가 포함되어 있다.
또 청구의 범위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6 또는 7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의 콘텐츠는, 디코딩 키를 사용함으로써 디코딩이 가능한 독자의 포맷에 의해 인코딩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의 특징의 하나인, 검색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청구의 범위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의 마스터 서버 또는 슬레이브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상기의 속성정보를 키로서, 콘텐츠 이용의 대가,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콘텐츠의 내용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콘텐츠·파일의 종류, 그밖의 정보 중 1 또는 복수를 지정하여 검색할 수 있는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에 부수하여 이와 같은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마스터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를 포함하는 분산형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을 취한 경우에도,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요금(예를 들면 500엔 이내), 키워드 등을 조합하여 검색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의 범위 4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 이용의 대가나 그 이용의 제한, 예를 들면 이용방법의 제한이나 연령제한, 그밖의 제한을 행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됨으로써, 이용가능한 콘텐츠만이 검색되는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콘텐츠 실시예 1)
청구범위 10에 기재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는, 그 1예로서는 도 11에 도시되는 것이며,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형식의 바람직한 1예로서는, 예를 들면, 샘플·데이터는 JPEG형식의 화상으로서 해상도가 72dpi 이상,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여기서는 화상)는 600dpi 이상의 해상도를 갖는 오리지날 포맷 형식의 화상과 같은 형식이다.
종래, 예를 들면 화상 등의 콘텐츠를 WEB상에 표시되게 할 경우에, 작게(해상도도 낮게) 썸네일을 표시되게 하고, 다음에 썸네일 중에서 열람하고 싶은 화상의 썸네일을 클릭 등 함으로써, 화상 등의 콘텐츠 본체를 표시되게 하는 것은 행해져 왔지만, 이들은 별개의 화상 즉 콘텐츠 화상과 썸네일 화상을 별개로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것들을 1개의 데이터로서 관리하는 동시에, 다수의 콘텐츠 중에서 해당하는 콘텐츠를 일의적으로 식별가능한 유니크 ID를 부여하고, 더욱이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인쇄하거나 라는 이용 방법별이나, 출력 사이즈별, 콘텐츠의 사이즈나 해상도별과 같은 콘텐츠의 이용요금 즉 상기의 과금정보를 1레코드의 데이터로 하여 관리한다.
1레코드 중에 샘플·데이터,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 과금정보, 속성정보와, 유니크 ID의 필드를 적어도 설치, 또 이들 데이터를 읽어 낼 때 등에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샘플·데이터인지 등의 부호를 통상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문제를 해결했다.
본 발명의 다른 청구범위에서의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콘텐츠 실시예 2)
청구범위 11에 기재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는, 그 1예로서는 도 12에 도시되는 것이며,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소재하는 URL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형식의 바람직한 1예로서는, 예를 들면, 샘플·데이터는 JPEG형식의 화상으로서 해상도가 72dpi 이상,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여기서는 화상)는 상기의 URL로 지정되는 장소에 존재하는 화상과 같은 형식이다.
(콘텐츠 실시예 3)
청구범위 12에 기재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는, 그 1예로서는 도 13에 도시되는 것이며,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 형식의 바람직한 1예로서는, 예를 들면, 샘플·데이터는 JPEG형식의 화상이며 해상도가 72dpi 이상,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여기에서는 화상)는 상기의 콘텐츠 소재 ID로 지정되는 장소에 존재하는 화상과 같은 형식이다. 콘텐츠 소재 ID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등의 기억장치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데이터 관리가 이루어지고, 콘텐츠마다 부여되는 ID와, 콘텐츠가 소재하는 URL이나 LAN 등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소재장소를 특정하는 데이터가, 관련지어져서 기억된다. 콘텐츠 소재 ID를 키로 상기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콘텐츠 본체의 소재를 특정한다.
청구범위 10∼12에 기재된 어느 콘텐츠에서도, 상기의 콘텐츠가 구비하는 과금정보에는, 하기의 데이터 중의 1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의 사이즈, 유효기한, 해상도, 출력방법, 그밖의 조건 등이다.
또,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는, 콘텐츠의 이용자를 예를 들면회원한정 등으로 한정하기 위한 속성정보나, 콘텐츠의 유통 또는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속성정보 등이다.
상기의 콘텐츠에는, 화상 데이터나, 동화상 데이터, 애니메이션 화상,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컴퓨터·게임·소프트웨어, 컴퓨터·프로그램, 이들의 조합 등의 여러 형태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의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의 1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콘텐츠 서버는, 콘텐츠의 유통에는 다운로드시의 과금과 이용시의 과금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여러 콘텐츠를 격납하기 위한 기억장치이다.
상기 마스터 콘텐츠 서버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의 소재를 나타내는 정보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권한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상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일원적으로 관리하여, 검색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취할 수 있으면, 모든 콘텐츠의 소재를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이 시스템을 사용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및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화상 등의 콘텐츠를 격납하기 위한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1 또는 복수의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유저에 관한 정보나 유저의 콘텐츠 이용·구입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커머스 서버와, 콘텐츠 검색을 위한 포탈 사이트 등을 제공하는 WEB서버 등에 의해 구성된다.
더욱이 필요에 따라,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서버, 화상축적·배신(配信) 서버, WEB서버, 메일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검색 서버, 인증 서버 등을 설치할 수 있고, 각종 서버는 필요에 따라서, 다중화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바람직한 구성의 1예로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각 서버의 기능이 실현가능한 것이면, 서버의 소재는 URL 등에 의해 특정할 수 있으므로, 서버의 구성은 다른 구성을 취해도 좋다.
또 콘텐츠 서버, 포탈 WEB서버, 커머스 서버 등의 각 서버가, 물리적으로 동일한 장소에 존재하는 것이라도 좋지만, 물리적·공간적으로 이격된 장소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서버의 소재는 URL 등에 의해 특정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시스템은 실현가능하다.
또 예를 들면, 콘텐츠 서버와 커머스 서버를 동일한 하나의 서버로 기능하게 하는 등과 같이, 동일한 기능이 실현되면 여러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더욱이, 청구의 범위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의 슬레이브 서버는, 마스터 서버의 관리자와는 다른 관리자가 설치하는 슬레이브 서버를 포함하고, 분산형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소정의 데이터 형식을 채용함으로써,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의 마스터 서버가 소재 등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하면, 누구라도, 디렉토리에 의해 관리되어 검색 대상이 되는 콘텐츠 및 콘텐츠를 기억하는 슬레이브 서버를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 형식을 채용함으로써, 특수한 하드웨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과금을 행할 수 있는 데이터를 디렉토리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은,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화상 등의 콘텐츠를 격납하는 콘텐츠 서버를 구비하고 있다.
마스터 콘텐츠 서버의 기능에는, 하기와 같은 처리가 포함된다.
(1) 이용자 단말로부터 처리요구를 접수한다.
(2)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의 소재 및, 마스터 및 슬레이브에 기억되는 콘텐츠의 소재를 관리한다.
(3)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처리요구를 슬레이브 서버로 보낸다.
(4) 처리결과를 이용자 단말에 보낸다.
(5) 콘텐츠의 등록, 갱신, 삭제를 행한다.
(6) 콘텐츠를 인코딩한다.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의 기능에는, 하기와 같은 처리가 포함된다.
(1) 마스터 콘텐츠 서버로부터 처리요구를 접수한다.
(2)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의 소재를 관리한다.
(3) 처리결과를 이용자 단말에 보낸다.
(4) 콘텐츠의 등록, 갱신, 삭제를 행한다.
또한, 마스터 콘텐츠 서버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 사이는, 시큐러티가 높은 방식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은, 유저가 콘텐츠를 검색하고 이용하기 위해서 액세스하기 위한 포탈 사이트를 관리하는 WEB서버를 구비하는 것이 통상의 형태이다.
또, 본 발명의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은, 유저에 관한 정보나 유저의 콘텐츠 이용·구입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커머스 서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머스 서버의 기능에는, 하기와 같은 처리가 포함된다.
(1) 포탈 사이트의 WEB서버로부터의 처리요구를 접수하고, 리퀘스트 요구에 대하여 콘텐츠 서버에 처리결과를 보낸다.
(2) 유저의 인증을 행한다(인증서버 기능).
(3) 유저의 등록, 갱신, 삭제를 행한다.
(4) 유저의, 화상 배신 서비스의 과금정보(예를 들면, 유저ID, 이용일자, 화상번호, 화상 사이즈, 해상도, 유효기한, 프린트 출력 등의 출력·이용 방법)을 관리한다(과금 서버).
(5) 콘텐츠의 등록정보를 관리한다.
(6) 유저의 화상 배신 서비스 로그를 관리한다
(7) 커머스 서버와 콘텐츠 서버 사이는, 시큐러티가 높은 방식으로 접속된다.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는, 콘텐츠를 검색·추출 또는 선택할 때에 키를 하여 사용하기 위한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속성정보로서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ID와, 콘텐츠의 소재를 나타내는 서버 ID,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콘텐츠의 내용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콘텐츠·파일의 종류, 그 밖의 정보 등이며, 이들 중 1 또는 복수의 조합에 의해, 이용자 단말에서 마스터 콘텐츠 서버를 통하여 검색을 행할 때의 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콘텐츠 서버에서는, 콘텐츠가 장르마다, 파일의 종류마다 등에 의해 계층구조, 트리 구조 등의 디렉토리 형식으로 기억되어 있다. 새로운 콘텐츠가 기억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데이터가 추가된다.
마스터 및 슬레이브를 포함하는 각 콘텐츠 서버는, 콘텐츠 ID에 의해 서버내의 각 콘텐츠의 소재를 관리하는 동시에, 마스터 콘텐츠 서버는 서버 ID에 의해 콘텐츠가 어느 콘텐츠 서버에 소재하는지를 관리한다.
상기와 같이, 마스터 콘텐츠 서버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의 소재를 나타내는 정보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권한이 설정되어 있고,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리퀘스트 요구에 대하여, 마스터 콘텐츠 서버가 상기의 리퀘스트 요구를 수신하는 처리와, 리퀘스트 요구된 콘텐츠의 원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로부터 검색해서 추출하는 처리와, 추출된 결과를 상기의 이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의 디렉토리 구조를 구비하는 콘텐츠 서버의 검색처리를 행한다.
도 4는, 이와 같은 분산형 서버를 사용한 검색처리를 행할 때의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 도 6 및 도 7은, 검색처리를 행할 때의 이용자 단말의 화면 이미지의 1예를 도시하는 화면 이미지 도면이다.
도 10은, 콘텐츠 검색처리를 행할 때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여기에서, 이용자 단말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마스터 서버 또는 마스터 서버와 연휴하는 WEB사이트에 접속한다.
콘텐츠 서버의 일람이나, 이용가능한 콘텐츠의 카테고리, 콘텐츠의 종류 등을 선택한다.
검색에 의해 대량의 콘텐츠 중에서 검색조건을 입력하여 검색할 수도 있다.
검색의 리퀘스트 요구를 송신하면, 마스터 콘텐츠 서버에 접속된다.
마스터 콘텐츠 서버는 스스로가 보유·기억하는 콘텐츠를 검색하는 동시에, 접속되는 모든 슬레이브 서버가 보유·기억하는 콘텐츠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의 결과 추출된 콘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자 단말에 송신하여, 검색결과 일람을 표시되게 하는데, 여기에서 콘텐츠의 썸네일 화상과 같이 샘플·콘텐츠를 표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금시스템 실시예 1)
여기에서, 청구범위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화상 등의 콘텐츠를 격납하기 위한 콘텐츠 서버와, 유저에 관한 정보나 유저의 콘텐츠 이용·구입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커머스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유저가 유저의 단말에서 상기의 콘텐츠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표시되게 하는 처리와, 유저에 대한 과금이나 콘텐츠 이용의 제어를 위한 인증 키를, 유저가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세팅하는 처리와, 상기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유저의 인증을 상기의 인증 키를 사용하여 행하는 처리와, 인증된 유저가 지정하여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요구정보에 대하여, 상기의 콘텐츠를 유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의 콘텐츠가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유저 단말에서 검지하는 처리와,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어서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출력시 과금을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의 디코딩 및 출력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 도시하는 처리의 흐름은 1예이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음에, 유저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검색하고, 출력 등의 이용을 할 때에, 인증 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저는 사전에, 또는 시스템을 이용할 때에, 하드웨어의 인증 키(예를 들면, USB 키 등)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인증 키에는,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ID가 설정되어 있다.
또, 콘텐츠의 이용자를 한정하거나, 유통이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속성정보가 설정된다.
도 14는, 인증 키의 1예로서, USB 키를 사용했을 경우의, USB의 IC칩에 세팅되는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니크 ID, 개인정보, 과금정보, 속성정보, 로그정보, 출력정보 등의 정보가 세팅된다.
여기에서, 유저의 단말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컴퓨터 단말 이외에, 브라우징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전화 등의 휴대 정보단말이나, 전용 단말, 또는 WEB-TV나 게임기기 등의 정보 가전제품, 그 밖의 각종 단말을 포함한다.
콘텐츠 검색을 위한 포탈 사이트 등에서는, 콘텐츠를 검색 등 한 결과, 출력등의 이용 서비스를 받는 유저에 대하여, 회원정보를 등록하고, 회원등록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정보로서는, 주소, 성명, 전화번호, 전자메일 어드레스, 과금(결제) 방법, 그 밖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원정보의 등록, 관리에 의해, 후술하는 인증·콘텐츠 과금을 위한 인증 키를 발행한다.
또한 인증 키는, 온라인상에서 발행하는 형태에서는, 상기의 포탈 사이트에서 유저가 회원정보의 입력 등을 행하고, 송신하고, 송신된 정보가 커머스 서버에 격납되고, 이 정보의 심사 등을 거친 뒤에 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정보는, 커머스 서버에서 관리가 행해진다.
또, 커머스 서버에서는, 유저의 등록, 갱신, 삭제를 행한다.
혹은 인증 키는, 청구의 범위 15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시스템 관리자측이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숍 단말이 컴퓨터·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구비되는 경우에는, 콘텐츠 출력 숍 단말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송신에 의해 콘텐츠 출력 숍에서 발행할 수도 있다.
포탈 사이트로부터, 유저가 화상 등의 콘텐츠를 이용·구입하는 경우, 다운로드시의 과금을 행하는 방법과, 이용시의 과금을 행하는 방법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콘텐츠를 프린트 등의 출력을 하는 시점에서의 과금을 행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여러 장르나 콘텐츠 형식 등의 중에서, 유저는 이용하고 싶은 콘텐츠를 선택 등 하기 위해서 열람을 행하지만, 포탈 사이트의 유저에는, 어느 형식의 화상도 샘플 화상만이 보이도록 설정된다.
즉, 상술한 콘텐츠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샘플·데이터가 WEWB사이트에 표시된다.
콘텐츠는, 콘텐츠 서버에 격납되어 있고, 유저의 콘텐츠 선택 등의 행위에 의해, 포탈 WEB서버로부터 커머스 서버가 처리요구를 접수한다.
콘텐츠 서버에서는, 커머스 서버로부터 처리요구를 접수하고, 커머스 서버에 처리결과를 보내고, 커머스 서버에서는 WEB서버에 처리결과를 보냄으로써, 샘플·데이터가 표시된다.
즉, 선택된 콘텐츠가 구비하는 유니크 ID로부터, 커머스 서버가 구비하는 콘텐츠 등록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해당하는 콘텐츠 중의 샘플·데이터를 읽어냄으로써, 커머스 서버에 처리결과를 보내고, 커머스 서버에서는 WEB서버에 처리결과를 보냄으로써, 샘플·데이터가 표시된다.
음성 데이터의 경우에는 샘플 음성이 출력된다. 커머스 서버와 콘텐츠 서버 사이는, 시큐러티가 높은 방식으로 접속된다.
또 콘텐츠 서버에서는 콘텐츠의 등록, 갱신, 삭제를 행한다.
콘텐츠마다의 과금정보(과금을 위한 룰)는, 커머스 서버에서, 화상 등의 콘텐츠의 사이즈별, 해상도별, 유효기한별, 등에 의한 설정을 미리 행하고, 커머스 서버(과금 서버)가 유저별, 콘텐츠 ID별로 그 정보를 관리한다.
콘텐츠마다의 과금정보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분류·속성·이용방법 등에 의한 과금 포인트이다.
콘텐츠별, 콘텐츠 사이즈별, 콘텐츠 출력 사이즈별(A0, A1, A2, A3, A4, ‥), 해상도별, 유효기간별, 프린트 출력처별, 회원별, 라이센스 계약내용별, 종량제별, 그밖의 분류·속성·이용방법 등에 의한 과금 포인트이다.
또 커머스 서버에서는, 콘텐츠의 등록정보를 관리한다. 콘텐츠의 등록정보는, 콘텐츠의 소재나, 그 장르, 데이터 형식, 콘텐츠 작성자나 소유자, 과금된 금액의 지불처, 그밖의 정보를, 콘텐츠 ID와 관련지어 두는 정보이며, 커머스 서버에 기억된다.
다음에, 유저는 열람 등을 행한 콘텐츠의 샘플·데이터로부터, 다운로드를 하고 싶은 콘텐츠를 선택하고, 다운로드할 것인지 안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그 정보를 송신하고, 그 정보를 포탈 WEB서버가 수신한다.
다운로드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WEB페이지로 이동하거나, 이전 페이지로 되돌아가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
다운로드할 경우에는, 이하의 처리가 행해진다.
포탈 WEB서버로부터의 처리요구를 커머스 서버가 접수하고, 유저의 인증을 행한다(인증서버 기능).
유저에 대한 과금의 인증은, 하드웨어에 의한 인증 키(예를 들면, USB 키 등)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증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USB 키 등의 하드웨어에 기억시켜 둠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할 때에 유저의 단말에 세팅한다.
유저에 대한 과금이나 콘텐츠 이용의 제어를 위한 인증 키를, 유저가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상기의 인증 키를 세팅한다.
인증 키(USB 키 등)에는,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ID가 설정되어 있다. 더욱이 인증 키에는, 유저가 과금처리할 때에 이용하는 금전 또는 금전과 유사한 이용가능한 포인트의 도수가 설정되어 있다.
기타 인증 키에는, 패스워드, 1회한도의 원 타임·패스워드, 공개 키와 비밀 키를 사용하는 방식, 그밖의 여러 인증방식에 의한 유저 인증을 위한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유저는, 콘텐츠 과금시스템을 사용할 때, 과금을 행하기 위한 금액 등을 산출하기 위한 포인트를 사용하는데, 상기와 같이, 화상 등의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기한, 등에서 포인트는 각각의 콘텐츠마다에 설정되어 있다.
인증 키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의 유저 ID, 및 유저 ID에 관련지어져 기억되는 상기의 금전 또는 금전과 유사한 이용가능한 포인트의 도수 등의 정보는, 커머스 서버(과금 서버)가 유저별로 그 정보를 관리 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양자를 조합(照合)함으로써, 유저의 인증이나 유저마다의 과금정보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커머스 서버(인증서버)가 인증을 행하고, 인증의 결과, 콘텐츠의 다운로드나 이용 등에 대해서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그 처리결과를 커머스 서버로부터 포탈 WEB서버에 회신하고, 인증의 가부의 결과를 표시하는 HTML파일 등을 유저 단말에 송신한다. 즉 유저 단말의 화면에 인증결과가 표시된다.
또 인증에 의한 허가가 있는 경우에는, 커머스 서버로부터 콘텐츠 서버에 대하여, 유저 단말을 송신(다운로드)처로 지정하여 다운로드 지시를 송신하고, 다운로드 처리로 진행할 수 있는데, 그 전에 다운로드를 해도 좋은지 어떤지의 한층더의 확인을 유저에 재촉하는 처리를 가할 수도 있다.
이것들을 클리어 한 경우에는 다운로드 처리를 행한다.
즉, 선택 등이 된 콘텐츠가 구비하는 유니크 ID로부터, 커머스 서버가 구비하는 콘텐츠 등록정보를 참조하여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해당하는 콘텐츠를 추출하고, 해당하는 콘텐츠 중의 콘텐츠·데이터를 읽어 내어, 유저 단말에 송신(다운로드)을 행하는 처리와, 다운로드시에 과금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콘텐츠 중의 해당하는 과금정보를 읽어 내서 커머스 서버로 다운로드(과금) 처리결과를 보내는 동시에 인증 키가 가지고 있는 과금 포인트의 정보를 갱신하고, 커머스 서버에서는 콘텐츠 서버에 처리결과를 보냄으로써, 다운로드 처리가 실행된다.
또 유저의 다운로드 등의 이용서비스 로그를, 커머스 서버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저가 콘텐츠의 다운로드·과금처리를 거치기 전의 단계에서 열람할 수 있는 콘텐츠는, 상기한 샘플·콘텐츠인 것이 통상의 형태이다.
여기에서, 다운로드가 행해지는 단계에서, 콘텐츠(즉 샘플·데이터가 아닌 콘텐츠 본체)의 다운로드에 의해 유저가 콘텐츠를 입수하게 되지만, 콘텐츠 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가 소정의 데이터·포맷으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콘텐츠 본체는 이용이 불가능하도록 프로텍트되어 있다.
다운로드된 콘텐츠에는,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종래, 예를 들면 멀티 프로토콜 대응의 네트워크 프린터에서, 정확하게 과금관리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수신한 통신 인쇄 데이터에 과금정보와 인쇄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정확하게 과금관리를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과금정보와 인쇄 대상 데이터를 포함한 멀티 프로토콜의 통신 인쇄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과금관리를 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린터가 실현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의 데이터 중에,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기 위한 과금정보와, 회원·비회원별 등의 이용자 제한이나 출력방법·횟수의 제한 등의 콘텐츠 통신·이용제어 등을 행하기 위한 속성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인쇄 등의 출력시 즉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콘텐츠(즉 샘플·데이터가 아닌 콘텐츠 본체)의 디코딩에 의해 유저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가 소정의 데이터·포맷으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콘텐츠 서버에서는, 다운로드 처리를 행하고, 뒤이어서, 인증된 유저가 지정하여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요구정보에 대하여, 상기의 콘텐츠를 유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의 콘텐츠가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유저 단말에서 검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의 디코딩 및 출력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7은 인증처리, 도 18은 과금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화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유저 단말에서,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를 검출하고, 해석하여,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에 따라 디코딩을 행하여 출력을 행하는 데이터 흐름의 1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와 같이, 커머스 서버에서는, 유저의 다운로드 등의 이용서비스 로그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용서비스 로그는 유저 단말로부터 본 발명의 시스템측에 송신되어서, 특히 인쇄 등의 출력처리가 정상으로 행해진 것을 조건으로 하여 과금처리가 완료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요하다.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실시예 2)
다음에, 청구범위 11에 기재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화상 등의 콘텐츠를 격납하기 위한 콘텐츠 서버와, 유저가 콘텐츠를 이용하고 구입하기 위해서 액세스하기 위한포탈 WEB서버와, 유저에 관한 정보나 유저의 콘텐츠 이용·구입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커머스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유저가 유저의 단말에서 상기의 콘텐츠를 표시되게 하는 처리와, 유저에 대한 과금이나 콘텐츠 이용의 제어를 위한 인증 키를, 유저가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세팅하는 처리와, 상기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유저의 인증을 상기의 인증 키를 사용하여 행하는 처리와, 인증된 유저가 지정하여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요구정보에 대하여, 상기의 콘텐츠를 유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의 콘텐츠가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유저 단말에서 검지하는 처리와,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어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의 디코딩 및 출력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상기의 디코딩 키를 수신하여 콘텐츠의 출력시 과금을 행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7은 인증처리, 도 18은 과금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를 포함한다. 그 처리의 기본적인 흐름은, 상기한 과금시스템 실시예 2와 공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머스 서버가 관리하는 콘텐츠 등록정보의 유니크 ID에 관련지어져, 콘텐츠 서버에 상기의 콘텐츠가 기억되지만, 콘텐츠가 포함하는 콘텐츠·데이터 대신해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가 포함되므로, 상기의 콘텐츠와는 별도로 상기 URL로 지정되는 장소에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가 기억되어야 한다.
유저는, 디코딩 키의 수신처리 전에 콘텐츠의 열람을 행하고, 또는 다운로드를 할 수 있지만, 이 시점에서는 과금처리가 끝나 있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의 샘플·데이터만의 열람 또는 출력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는 상기 URL의 장소에 소재하고, 콘텐츠가 포함하는 콘텐츠 이용의 제어를 위한 속성정보에 의한 이용·출력의 제한된 상태대로인 것이 통상이다.
여기에서, 인쇄 등의 출력시 즉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콘텐츠(즉 샘플·데이터가 아닌 콘텐츠 본체)의 디코딩에 의해 유저가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가 소정의 데이터·포맷으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콘텐츠 서버에서는, 다운로드 처리를 행하고, 뒤이어서, 인증된 유저가 지정하여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요구정보에 대하여, 상기의 콘텐츠를 유저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의 콘텐츠가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유저 단말에서 검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어서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의 디코딩 및 출력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8은 인증처리, 도 19는 과금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화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유저 단말에서,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를 검출하고, 해석하여,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에 따라 디코딩을 행하여 출력을 행하는 데이터의 흐름의 1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와 같이, 커머스 서버에서는, 유저의 다운로드 등의 이용 서비스 로그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용 서비스 로그는 유저 단말로부터 본 발명의 시스템측에 송신되어서, 특히 인쇄 등의 출력처리가 정상으로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과금처리가 완료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요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가 포함되므로, 상기의 콘텐츠와는 별도로 상기 URL로 지정되는 장소에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텐츠에는, 특히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WEB상(여기에서는 특히 인트라넷 등의 클로즈드된 네트워크를 포함함)에서 표시되기 위한 파일인, HTML파일, XML파일, CHTML파일, 등의 파일이 콘텐츠 바로 그것이며, 이 파일 중에 상기의,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의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URL로 지정되는 장소에는 콘텐츠 본체가 존재한다.
또, 독자적으로 정의를 행하는 파일의 소스 중의 태그에서,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의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를 파일 중에 포함한다. 독자의 태그 정의는, 특히 XML 등을 사용한 파일에서, 콘텐츠 본체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휴하여 콘텐츠 관리를 행하기 위해서 유효하다.
콘텐츠 이용시에는, 유저 단말과 본 발명의 상기의 시스템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고, 유저 단말측에서, 태그에서 정의된 과금정보, 속성정보를 검지하고, 과금처리가 행해져서 출력 등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 형태에서의 출력·이용을 행한다.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실시예 3)
다음에, 청구의 범위 12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컴퓨터·네트워크상에서, 화상 등의 콘텐츠를 격납하기 위한 콘텐츠 서버와, 유저가 콘텐츠를 이용하고 구입하기 위해서 액세스하기 위한포탈 WEB서버와, 유저에 관한 정보나 유저의 콘텐츠 이용·구입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커머스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유저가 유저의 단말에서 상기의 콘텐츠를 표시되게 하는 처리와, 유저에 대하는 과금이나 콘텐츠 이용의 제어를 위한 인증 키를, 유저가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때에 세팅하는 처리와, 상기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유저의 인증을 상기의 인증 키를 사용해서 행하는 처리와, 인증된 유저가 지정하여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요구정보에 대하여, 상기의 콘텐츠를 유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의 콘텐츠가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유저 단말에서 검지하는 처리와,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어서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의 디코딩 및 출력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상기의 디코딩 키를 수신하여 콘텐츠의 출력시 과금을 행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7은 인증처리, 도 18은 과금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의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1D를 포함한다. 그 처리의 기본적인 흐름은, 상기한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실시예 2 및 3과 공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머스 서버가 관리하는 콘텐츠 등록 정보의 유니크 ID에 관련지어져서, 콘텐츠 서버에 상기의 콘텐츠가 기억되는데, 콘텐츠가 포함하는 콘텐츠·데이터를 대신하여 콘텐츠 본체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가 포함되므로, 상기의 콘텐츠와는 별도로 상기 콘텐츠 소재 ID로 지정되는 장소에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가 기억되어야 한다.
유저는, 디코딩 키의 수신처리 전에 콘텐츠의 열람을 행하고, 혹은 다운로드를 할 수가 있는데, 이 시점에서는 과금처리가 끝나 있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의 샘플·데이터만의 열람 또는 출력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 소재 ID의 장소에 소재하고, 콘텐츠가 포함하는 콘텐츠 이용의 제어를 위한 속성정보에 의한 이용·출력이 제한된 상태대로이다.
여기에서, 인쇄 등의 출력시 즉 과금처리가 행해지는 단계에서, 콘텐츠(즉 샘플·데이터가 아닌 콘텐츠 본체)의 디코딩에 의해 유저가 콘텐츠를 출력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서버에 격납되어 있는 콘텐츠가 소정의 데이터·포맷으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콘텐츠 서버에서는, 다운로드 처리를 행하고, 뒤이어서, 인증된 유저가 지정하여 송신한 콘텐츠의 이용요구정보에 대하여, 상기의 콘텐츠를 유저 단말에 송신하고, 상기의 콘텐츠가 포함하는 속성정보를 유저 단말에서 검지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어서 콘텐츠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한다.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인증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의 디코딩 및 출력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은, 상기의 이용요구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고, 콘텐츠의 출력이 이루어지는 처리에 의해 출력시 과금을 행하는 경우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17은 인증처리, 도 18은 과금처리의 상세한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화상 콘텐츠를 다운로드한 유저 단말에서,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를 검출하고, 해석하여,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에 따라 디코딩을 행하여 출력을 행하는 데이터의 흐름의 1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와 같이, 커머스 서버에서는, 유저의 다운로드 등의 이용서비스 로그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용서비스 로그는 유저 단말로부터 본 발명의 시스템측에 송신되어서, 특히 인쇄 등의 출력처리가 정상으로 행해지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과금처리가 완료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요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콘텐츠 본체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가 포함되므로, 상기의 콘텐츠와는 별도로 상기 콘텐츠 식별 ID로 지정되는 장소에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텐츠에는, 특히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WEB상(여기에서는 특히 인트라넷 등의 클로즈드된 네트워크를 포함함)에서 표시되기 위한 파일인, HTML파일, XML파일, CHTML파일, 등의 파일이 콘텐츠 바로 그것이며, 이 파일 중에 상기의,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의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다.
콘텐츠 식별 ID로 지정되는 장소에는 콘텐츠 본체가 존재한다.
또, 독자적으로 정의를 행하는 파일의 소스 중의 태그에서,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의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를 파일 중에 포함한다. 독자의 태그 정의는, 특히 XML 등을 사용한 파일에서, 콘텐츠 본체를 격납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연휴하여 콘텐츠 관리를 행하기 위해서 유효하다.
콘텐츠 이용시에는, 유저 단말과 본 발명의 상기의 시스템 사이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고, 유저 단말측에서, 태그에서 정의된 과금정보, 속성정보를 검지하고, 과금처리가 행해져서 출력 등의 이용이 가능하게 된 형태에서의 출력·이용을 행한다.
또한 어느 경우도, 콘텐츠의 출력방법에는, 유저의 단말에 접속되는 프린터에 의한 출력일 경우, 혹은 유저 단말이 구비하는 외부 기억장치 또는 유저 단말에 접속되는 외부 기억장치로의 출력일 경우, 그밖의 출력방법이 포함된다.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실시예 4)
다음에, 청구의 범위 1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시스템에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측이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숍 단말이 컴퓨터·네트워크에 접속되어서 더 구비되고, 유저가 인증 키를 콘텐츠 출력 숍 단말에 구비함으로써, 콘텐츠의 다운로드 또는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USB 키 등의 하드웨어로 이루어진 인증 키를 사용하기 위해서, 유저는 콘텐츠 출력 숍에서도, 인증 키를 부대(혹은 구입)하면, 인쇄 등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또 출력까지의 처리의 흐름은, 상기한 각 실시예와 공통된다.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실시예 5)
다음에, 청구의 범위 1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15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에서, 입력수단과, 기억수단과, 제어수단과, 표시수단과,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시스템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로 이루어진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의 콘텐츠를 검색·추출 또는 선택할 때에 키를 하여 사용하기 위한 속성정보를 지정하는 스텝과, 지정된 상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데이터를 패키지화하는 스텝과, 콘텐츠의 기억장소의 지정을 하는 스텝과, 패키지화된 데이터를 정보기억매체에 기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에 의해,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는, 및, 콘텐츠 서버의 소재를 나타내는 서버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의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5는, 콘텐츠의 등록 때의 화면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콘텐츠의 등록 처리를 행할 때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며, 또 도 19는, 콘텐츠의 등록 처리에 인증 키를 사용하는, 보다 상세한 1예를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또 도 3은, 콘텐츠를 등록할 때에, 콘텐츠 ID, 서버 ID, 콘텐츠의 종류나 카테고리, 키워드 등의 속성정보를 지정하는 처리의 개략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용자 단말에서, 이들의 정보를 입력하고,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등록을 행한다.
또, 등록을 행하기 위한 입력수단과, 기억수단과, 제어수단과, 표시수단과,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콘텐츠 서버 관리자 등이 서버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혹은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단말로부터 등록을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과 같이, 소정의 데이터 형식을 채용함으로써,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의 마스터 서버가 소재 등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으로 하면, 누구라도, 디렉토리에 의해 관리되어 검색 대상이 되는 콘텐츠 및 콘텐츠를 기억하는 슬레이브 서버를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특수한 하드웨어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적절한 과금을 행할 수 있는 데이터를 디렉토리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다.
그렇지만, 등록되는 콘텐츠에는 공개하고 싶지 않은 콘텐츠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청구의 범위 1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등록되는 콘텐츠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공개해도 좋을지 아닐지의 정보가 포함된다.
콘텐츠를 공개해도 좋을지 아닐지의 정보는, 콘텐츠를 인코딩하여 등록할 때에, 선택 또는 지정한다. 선택 또는 지정된 공개·비공개별은, 인코딩 후의 콘텐츠가 포함하는 속성정보에 포함된다.
또, 공개·비공개별은, 특정한 그룹이나 개인에 대한 공개·비공개별이나, 그밖의 여러 공개 레벨의 설정이나, 이용의 제한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실시예 6)
또, 청구의 범위 1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의 범위 1∼18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의 콘텐츠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표시되는, HTML파일, XML파일, CHTML파일, 등의 파일로서,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 또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콘텐츠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의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세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가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한 시점에서의 과금처리를 행하고, 게다가 과금을 할 때의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 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과금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즉 다운로드 또는 출력 등을 하지 않을 경우)의 콘텐츠의 보호를행하기 위한 콘텐츠 과금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 방법 등에 따른 과금처리를 행하거나 하기 위해서 효율적으로, 게다가 콘텐츠 이용자가 사이즈, 해상도, 출력방법 등을 과금처리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지정하는 것이 가능한 콘텐츠 과금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그것을 위한 콘텐츠의 데이터 구조를 구비하는 콘텐츠·데이터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정보기억매체, 및 그 콘텐츠·데이터를 사용한 콘텐츠 과금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9)

  1. 클라이언트인 이용자 단말과,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로부터 접속하는 컴퓨터 네트워크와,
    상기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마스터 콘텐츠 서버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으로서,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는, 콘텐츠를 검색·추출 또는 선택할 때에 키를 하여 사용하기 위한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마스터 콘텐츠 서버에는, 컴퓨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의 소재를 나타내는 정보와,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행하기 위한 권한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원하는 콘텐츠에 대한 리퀘스트 요구에 대하여, 마스터 콘텐츠 서버가 상기의 리퀘스트 요구를 수신하는 처리와,
    리퀘스트 요구된 콘텐츠의 원하는 조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마스터 콘텐츠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하는 처리와,
    추출된 결과를 상기의 이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고,
    상기의 속성정보에 기초하는 과금처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2.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 및 슬레이브 콘텐츠 서버에 기억되는 콘텐츠에 포함되는 속성정보에는, 더욱이,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콘텐츠의 내용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콘텐츠·파일의 종류, 그밖의 정보 중 1 또는 복수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마스터 서버 또는 슬레이브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는, 상기의 속성정보를 키로서, 콘텐츠 이용의 대가, 콘텐츠의 내용을 나타내는 키워드, 콘텐츠의 내용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콘텐츠·파일의 종류, 그밖의 정보 중 1 또는 복수를 지정하여 검색가능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4.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마스터 서버 또는 슬레이브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가 포함하는상기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 이용의 대가나 이용방법의 제한, 이용자의 제한, 그밖의 정보 중 1 또는 복수를 지정하여, 이용가능한 콘텐츠만이 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슬레이브 서버는, 마스터 서버의 관리자와는 다른 관리자가 설치하는 슬레이브 서버를 포함하고, 분산형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는, 상기의 마스터 콘텐츠 서버와 연휴하여 과금관리를 행하기 위한 커머스 서버가 더 구비되고,
    추출·선택된 콘텐츠의 출력 등의 이용을 행함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7.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추출·선택된 콘텐츠의 출력을 행함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할 때에, 이용자 단말에서, 콘텐츠의 디코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4 항의 어느것인가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는, 디코딩 키를 사용함으로써 디코딩이 가능한 독자의 포맷에 의해 인코딩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는, 출력·이용하는 방법이나, 출력되는 콘텐츠의 사이즈, 해상도, 출력 매수, 그밖의 조건 중 1 또는 복수의 이용조건을 지정하여, 디코딩 및 과금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데이터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소재하는 URL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는,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의 네트워크상에서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 이용의 대가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추출·선택된 콘텐츠의 출력을 행함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하는 처리는, 콘텐츠 서버에 기억된 콘텐츠의 샘플·데이터를 열람 등 하는 처리를 거쳐서,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추출·선택된 콘텐츠의 출력·이용을 행함으로써 과금처리를 행할 때에 이용자의 인증을 행하는 처리에서, 이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키를 사용하여 인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5. 제 1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는, 상기 시스템 관리자측이 제공하는 콘텐츠 출력 숍 단말이 컴퓨터·네트워크에 접속되어서 더 구비되고,
    유저가 인증 키를 콘텐츠 출력 숍 단말에 구비함으로써, 콘텐츠의 출력·이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3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수단과, 기억수단과, 제어수단과, 표시수단과,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시스템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로 이루어진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의 콘텐츠를 검색·추출 또는 선택할 때에 키를 하여 사용하기 위한 속성정보를 지정하는 스텝과,
    지정된 상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데이터를 패키지화하는 스텝과,
    콘텐츠의 기억장소의 지정을 하는 스텝과,
    패키지화된 데이터를 정보기억매체에 기억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에 의해,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7. 제 1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등록되는 콘텐츠의 속성정보에는, 콘텐츠를 공개해도 좋을지 아닐지의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6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랙토리 서비스·시스템.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등록되는 콘텐츠는, 유저가 네트워크에 접속된 유저 단말로부터 등록하는 콘텐츠로서,
    유저에 대한 인증을 위한 하드웨어 키를, 유저가 콘텐츠를 등록할 때에 이용자 단말에 세팅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콘텐츠는, 컴퓨터 네트워크상에서 표시되는, HTML파일, XML파일, CHTML파일, 등의 파일로서, 콘텐츠의 샘플·데이터와, 콘텐츠 본체가 소재하는 URL정보 또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콘텐츠의 소재를 식별하는 콘텐츠 소재 ID와, 콘텐츠의 대가정보에 관한 과금정보와, 콘텐츠의 이용의 제어에 관한 속성정보와,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유니크 I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KR10-2003-7008528A 2000-12-29 2001-12-28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KR200300931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404940A JP2004146860A (ja) 2000-12-29 2000-12-29 コンテンツのディレクトリサービス・システム
JPJP-P-2000-00404940 2000-12-29
PCT/JP2001/011662 WO2002056580A1 (fr) 2000-12-29 2001-12-28 Systeme de service de repertoire de conten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191A true KR20030093191A (ko) 2003-12-06

Family

ID=1886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528A KR20030093191A (ko) 2000-12-29 2001-12-28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107109A1 (ko)
EP (1) EP1357734A1 (ko)
JP (2) JP2004146860A (ko)
KR (1) KR20030093191A (ko)
CN (1) CN1483278A (ko)
WO (1) WO200205658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58B1 (ko) * 2004-07-28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39932B1 (ko) * 2007-02-23 2008-06-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QoS 보장형 웹 서비스 과금 시스템 및 그 과금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5686B2 (en) 2001-05-29 2004-08-31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utilizing managed roles in a directory system
TW200408227A (en) * 2002-10-15 2004-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gital item adaptation system via URL
JP2006524385A (ja) * 2003-04-07 2006-10-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コンテンツディレクトリサービスのインポートコンテナ
JP4047777B2 (ja) * 2003-07-28 2008-02-13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検索装置及びコンテンツ検索方法
JP3979432B2 (ja) 2003-08-08 2007-09-19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avシステム
US20050134903A1 (en) * 2003-12-02 2005-06-2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conversion device
JP4729878B2 (ja) * 2004-07-14 2011-07-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31219A (ja) * 2004-07-14 2006-02-02 Sony Corp 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端末、参照サーバ、コンテンツ利用プログラム、及び、参照プログラム
EP1783655A4 (en) * 2004-07-21 2009-11-11 Sony Corp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NTENT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7266116B2 (en) * 2004-12-13 2007-09-04 Skylead Assets Limited HTTP extension header for metering information
KR100725918B1 (ko) * 2004-12-16 2007-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단계 유통되는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를 위한 라이센스발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6685A (ko) * 2005-01-27 2006-08-01 주식회사 프리챌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6209687A (ja) * 2005-01-31 2006-08-10 Sony Corp データ処理回路
US8522269B2 (en) * 2006-08-22 2013-08-27 Goldspot Med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nate content scheduling on mobile devices
JP5148095B2 (ja) * 2006-10-05 2013-02-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8032421B1 (en) * 2007-05-02 2011-10-04 Tp Lab, Inc. Method and system to distribute online video
US20080313075A1 (en) * 2007-06-13 2008-12-18 Motorola, Inc. Payments-driven dynamic firewalls and methods of providing payments-driven dynamic access to network services
KR20090011152A (ko) * 2007-07-25 2009-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5092179B2 (ja) * 2007-09-13 2012-12-05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サーバ及びサーバプログラム
US20090165088A1 (en) * 2007-12-19 2009-06-25 Kapil Chaudhry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list and content clips to a user network device through an intermediate web provider
US20090271399A1 (en) * 2008-04-28 2009-10-2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content at a primary service provider through a partner service provider
US9485536B1 (en) 2008-09-03 2016-11-01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programming listing data for a broadcasting system
JP2010124179A (ja) * 2008-11-19 2010-06-03 Axis Web Japan Inc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CN102006206A (zh) * 2009-08-31 2011-04-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络服务应用系统
GB2473909A (en) 2009-09-10 2011-03-30 Miniweb Technologies Ltd Programme option presentation
JP5549705B2 (ja) * 2011-10-14 2014-07-16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82870A1 (en) * 2012-04-18 2013-10-24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US10257017B2 (en) * 2014-06-03 2019-04-09 JumpCloud, Inc. Autonomous server agents
US10484354B2 (en) * 2017-02-15 2019-11-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ata owner restricted secure key distribution
JP7106965B2 (ja) * 2018-04-25 2022-07-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認証制御システム、及び認証制御プログラム
CN109729407A (zh) * 2018-12-10 2019-05-07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目录显示方法及装置
US11695932B2 (en) * 2020-09-23 2023-07-04 Nokia Technologies Oy Temporal alignment of MPEG and GLTF media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122A (ja) * 1993-01-26 1994-08-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画像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における課金方法
CA2179973C (en) * 1995-06-30 2002-03-05 Takayuki Nagashima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5909238A (en) * 1995-07-25 1999-06-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transmission system with billing based on the kind of MPEG frame transmitted
JPH09275548A (ja) * 1996-04-05 1997-10-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ィジタル映像分離配送方法及びシステム
AU710166B2 (en) * 1997-02-19 1999-09-16 Fuji Photo Film Co., Ltd. Edited image printing system and method
JPH10232914A (ja) * 1997-02-19 1998-09-02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その方法及び記憶媒体
JPH11146118A (ja) * 1997-11-04 1999-05-28 Canon Inc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H11220719A (ja) * 1998-02-02 1999-08-10 Casio Comput Co Ltd 画像通信システム
JPH11272350A (ja) * 1998-03-20 1999-10-08 Canon Inc 課金管理装置及び方法及び印刷装置
US6336186B1 (en) * 1998-07-02 2002-01-01 Networks Associates Technology, Inc. Cryptographic system and methodology for creating and managing crypto policy on certificate servers
JP2000048079A (ja) * 1998-07-30 2000-02-18 Daina Ware:Kk 二次コピー管理機能を備え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蓄積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蓄積専用装置
JP3581589B2 (ja) * 1999-01-11 2004-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管理方法
JP2001177680A (ja) * 1999-12-17 2001-06-29 Canon Inc 印刷装置、印刷装置での課金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1285756A (ja) * 2000-03-29 2001-10-12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蓄積提供システム
US7123722B2 (en) * 2000-12-18 2006-10-17 Globalcerts, Lc Encryp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858B1 (ko) * 2004-07-28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디렉토리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839932B1 (ko) * 2007-02-23 2008-06-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QoS 보장형 웹 서비스 과금 시스템 및 그 과금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2056580A1 (ja) 2005-04-21
WO2002056580A1 (fr) 2002-07-18
CN1483278A (zh) 2004-03-17
US20040107109A1 (en) 2004-06-03
EP1357734A1 (en) 2003-10-29
JP2004146860A (ja)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3191A (ko) 콘텐츠의 디렉토리 서비스·시스템
KR20030079935A (ko) 콘텐츠·데이터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정보기억매체, 및, 콘텐츠 과금시스템
KR101379861B1 (ko) Drm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8117463B2 (en)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EP15264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rights of portable storage device
US7770230B2 (en) System for dynamically encrypting content for secure internet commerce and providing embedded fulfillment software
US200201522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the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KR20020041328A (ko) 음악 또는 다른 미디어에서 디지털 워터마킹을 이용하는방법들 및 시스템
JPH11232286A (ja) 情報検索システム
US7356847B2 (en) System for dynamically encrypting content for secure internet commerce and providing embedded fulfillment software
JP2007524895A (ja) コンテンツ識別、個人ドメイン、著作権告知、メタデータ、および電子商取引
JPWO2002071288A1 (ja) 自動編集システム
KR20030079936A (ko) 콘텐츠·데이터의 인코딩 시스템 및 콘텐츠 등록 시스템
KR20030065569A (ko) 콘텐츠 과금 및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정보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탑재 장치
JP518169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834978B1 (ko) 자막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4148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개인용정보 처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JPWO2002061645A1 (ja) コンテンツデータベースを用いたページデータ作成のためのブックオンデマンド・システム
KR20050120255A (ko) 온라인 서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1344438A (ja) データ配布方法及びデータ配布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