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519A -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519A
KR20030092519A KR1020020030212A KR20020030212A KR20030092519A KR 20030092519 A KR20030092519 A KR 20030092519A KR 1020020030212 A KR1020020030212 A KR 1020020030212A KR 20020030212 A KR20020030212 A KR 20020030212A KR 20030092519 A KR20030092519 A KR 20030092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llergic
weight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호
채옥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2003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2519A/ko
Publication of KR20030092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51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5/00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5/006Machines designed for producing special profiles or shaped work,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with non-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1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furniture or of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2Fluid-pressure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개선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중 2종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 또는 상기의 조성물에 자몽씨앗 추출물을 추가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로서, 본 조성물에 따르면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특히 피부 건조증, 각질화, 가려움증, 2차 미생물 감염에 의한 염증 등에 탁월하게 작용한다.

Description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OF ALLERGIC DERMATOLOGICAL DISEASES}
본 발명은 비만세포 안정화 물질 (Mast cell Stabilization Compound, MSC) 중 특히 상백피(Mori cortex radicis), 우방자(Arctii fructus), 어성초(Houttuynia cordata), 자몽씨앗 등의 각각의 추출물을 기능성 성분으로 하여,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증상의 개선 및 병증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레르기 증상은 외부에서 유래된 알러겐(allergen)이 체내에 유입되는 경우, 면역 세포에서 항원에 대한 IgE 항체가 생산되어, IgE가 비만세포(mast cell)와 혈소판의 IgE 수용체에 결합된 후, 체내로 유입된 항원이 IgE와 결합하면 비만세포나 혈소판이 탈과립화되면서 히스타민(histamin)이나 세라토닌(serotonin)등의여러물질들이 유리되어 나타난다.
알레르기 증상의 전형적의 사례를 보면, 피부관련 이상증세로서 피부 건조증, 각질화, 가려움증, 2차 미생물 감염에 의한 염증 등 일련의 아토피성 질환으로 통칭할 수 있는 증세가 수반되며,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과민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주로 노약자, 어린이, 유아 연령층에서 수반되는 알레르기 증상은 외부환경적인 요인에 반복적으로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만성질환의 성격을 띄게 된다. 피부관련 이상증세의 가장 큰 요인은 생활환경의 도시화, 산업화로 인한 다양한 알러겐에 기인하며, 최근에는 계절적인 특성에도 상관없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보습제, 항균제, 항염제,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등 치료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약물 및 제제가 개발되었으나 장기간의 반복적인 사용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피부관련 이상증세를 관리할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제제의 형태는 피부에 얇은 유막을 형성시켜 피부의 수분과 유연성을 유지시키는 에몰리언트제제, 하이드로코르티손 성분의 외용연고제, 항히스타민 경구투여제, 스테로이드 혹은 항히스타민 제제를 함유하는 붕대, 건조증 개선목적의 오일성분 외용제, 식이요법 등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제1992-7991호에는 상백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지 못하여 개선의 여지가 많았다.
따라서, 알레르기 관련 증세를 개선 및 예방하고 약물치료에서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천연소재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백피 추출물, 우방자 추출물 또는 어성초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백피 추출물, 우방자 추출물 또는 어성초 추출물 외에도,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에서 2차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 균류에 대한 항균성을 가지는 천연 항균 물질로서 자몽 씨앗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 현상과 이러한 탈과립 현상의 억제를 예시하는 사진이다.
도 2는 히스타민 유리억제능을 예시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천연소재중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자몽씨앗 추출물 등을 이용하면 알레르기 과민반응과 관련된 비만세포의 활성을 억제시켜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증세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기타 항균, 항염증 기능도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백피, 우방자, 어성초, 자몽씨앗 등을 각각 준비한 후, 반복열수추출을 통해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액으로 만든 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농축액 혹은 건조분말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백피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산뽕나무 혹은 뽕나무 및 그밖의 동속 식물의 뿌리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서 민간이나 전통의약에서 기관지 천식 치료제 및 해열제 등으로 처방 되어 왔다.
우방자는 국화과의 초본식물인 우엉의 씨앗을 건조시킨 것으로서 감기, 기침, 인후통, 편도선염 등 폐와 위장 관련 처방약재로서 알려져 있다.
어성초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초본류를 건조시킨 것으로서 항균, 항바이러스, 진균 억제작용이 주요 효능으로서 체내 독소와 노폐물의 배출 등 호흡기 계통, 혈관, 위장, 간장관련 처방에 활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의 천연소재들은 50 내지 200 중량부 상백피, 50 내지 100 중량부의 우방자, 50 내지 100 중량부의 어성초를 각각 80 내지 100℃의 열수에서 우려내어 농축액 혹은 건조 분말로 가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균성이 우수한 자몽씨앗 추출물을 첨가물로서 추가로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한 상백피는 서울 경동약령시에서 당해년도 건조된 약재를 구입하여, 증류수로 1차 세정후 상온의 그늘에서 혹은 50℃ 이하로 맞추어진 건조기에서 24시간 동안 충분히 건조한 후 잡질을 제거한다.
건조된 상백피는 임의의 크기로 쇄절한 후, 흡습제가 채워져 있는 데시케이터에서 다시 12 내지 24시간 충분히 건조한 후 10 내지 20 메쉬 크기 정도로 균질화한다.
균질화된 상백피를 50 내지 200 중량부를 취하여 1000 내지 5000 중량부의 물에서 80 내지 100℃의 온도로 1 내지 4 시간동안 우려내어 1 차 추출액을 준비한 후, 1차 추출 상백피에 1000 내지 3000 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1 내지 4 시간동안 우려내어 2 차 추출액을 준비한다.
1, 2차 열수추출액은 부직포를 통하여 여과시켜 잡질을 1차 제거한 후, 100 메쉬 여과망을 통과시켜 균질화된 상백피 열수추출액을 준비한다.
균질화된 열수 추출액은 감압하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30 브릭스 정도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상백피 농축액을 준비한 후 4℃에 보관한다.
우방자추출물과 어성초추출물 또한 상기의 상백피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제조한다.
즉, 우방자추출물은 우방자를 서울 경동약령시에서 건조된 약재의 형태로 구입하여, 50 내지 100 중량부를 취하여 1000 내지 3000 중량부의 물을 가한 후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4 동안 시간 우려내어 1 차 추출액을 준비한 후, 1차 추출 우방자에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1 내지 4 시간동안 우려내어 2 차 추출액을 준비한다.
어성초추출물은 어성초를 서울 경동약령시에서 건조된 약재의 형태로 구입하여, 50 내지 100 중량부를 취하여 1000 내지 3000 중량부의 물을 가한 후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4 시간 동안 우려내어 1 차 추출액을 준비한 후, 1차 추출 어성초에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물을 가하여 1 내지 4 시간 동안 우려내어 2 차 추출액을 준비한다.
1, 2차 열수추출액은 부직포를 통하여 여과시켜 잡질을 1 차 제거한 후, 100 메쉬 여과망을 통과하여 균질화된 우방자와 어성초 열수추출액 각각을 준비한다.
균질화된 열수 추출액은 감압하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30 브릭스 정도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우방자 , 어성초 농축액을 각각 준비한 후 4℃에 보관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가공 제형에 적합하게 농축액 자체로, 혹은 분무 건조기(spray dryer)를 이용하여 분말화된 시료로서 준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로서 활용한다.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2종 이상의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외용제제의 경우 그의 사용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으로 사용한다.
또한, 자몽씨앗 추출물은 외용제제의 경우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부형제를 사용하여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전신세정제, 비누제, 샴푸제, 비강흡입제, 기타 관리용 제제의 형태, 특히 피부외용 로션 및 전신세정제의 형태로 제조한다.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어성초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제제를 외용제로 제조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1일 도포량은 1.5g 내지 10.5g (성인/ 체중 60kg기준)인 것이 효과측면에서 바람직하며, 1일 도포량에 포함된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어성초 추출물의 양은 1.5mg 내지 1,050mg (성인/ 체중60kg기준)이다.
또한 자몽씨앗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이들의 혼합제제 1일 도포량은 상기와 같이 1일 1.5g 내지 10.5g (성인/ 체중 60kg기준)인 것이 효과측면에서 바람직하며, 1일 도포량에 포함된 자몽씨앗 추출물의 양은 0.015mg 내지 52.5mg (성인/ 체중 60kg기준)이다 (표 1 참조).
<신체의 각 부위별로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어성초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제제와 자몽씨앗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혼합제제의 1일 도포량과 각각의 1일 도포량에 포함된 추출물의 함량>
신체의 부위 혼합제제의 1일 권장 도포량 (g) 상백피추출물,우방자추출물,어성초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혼합제제의 1일 권장 도포량에 포함된 추출혼합물의 량 (mg) 자몽씨앗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혼합제제의 1일 권장 도포량에 포함된 자몽씨앗 추출물의 량 (mg)
얼굴과 목(전체) 3.7 3.70 ∼ 370 0.037 ∼ 18.75
몸통(앞쪽 또는 뒤쪽) 10.5 10.50 ∼ 1050 0.105 ∼ 52.50
상지(한쪽) 4.5 4.50 ∼ 450 0.045 ∼ 22.50
손(한쪽) 1.5 1.50 ∼ 150 0.015 ∼ 7.50
하지(한쪽) 9.0 9.00 ∼ 900 0.090 ∼ 45.00
발(한쪽) 3.0 3.00 ∼ 300 0.030 ∼ 15.00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잡질을 제거한 상백피 200그람을 약탕용 주머니에 넣은 후, 가열약탕기에 일반 수돗물을 3리터 가량 가하고, 이어서 약탕기의 온도를 100℃에 맞춘 후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열수추출액을 얻은 후, 1차 추출약재를 완전히 압착하여 추출액을 분리한 후, 2 리터 가량의 물을 다시 가하여 2차 열수추출액을 회수하여 부직포와 100 메쉬의 여과망을 차례로 통과시켜 균질화된 상백피 추출액을 준비한다.
<실시예 2>
우방자를 100 그람 취하여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추출용 플라스크에 넣은 후 2 리터의 물을 가한 후, 100℃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액을 준비한 후, 1차 추출후 1리터의 물을 가하여, 2차 추출액을 얻은 후 부직포와 100메쉬의 여과망을 차례로 통과시켜 균질화된 우방자 추출액을 준비한다.
<실시예 3>
우방자 대신 어성초를 원료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균질화된 어성초 추출액을 준비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상백피 열수추출액, 우방자 열수추출액, 어성초 열수추출액을 각각 감압조건하에서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60℃ 에서 농축하여, 브릭스(Brix) 측정기로 고형분의 농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10∼30 브릭스, 바람직하게는 15∼20 브릭스의 농축시료를 준비한다.
이들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농축액은 4℃에서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이들 농축액을 디스크타입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형태로 준비하여 사용 할 수 있으며 건조된 분말 시료는 수분흡수가 억제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의 알레르기 과민반응 억제현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흰쥐의 복강비만세포(rat peritoneal mast cell)를 분리하여, 추출혼합물의 첨가시료와 히스타민의 유리유도물질인 compound 48/80 (Sigma Chem. Co.)의 첨가시료와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compound 48/80의 처리 농도는 1.0 ug/ml이며, 추출혼합물의 처리농도는 6.5 mg/ml로서 추출혼합물 중의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및 어성초추출물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서 1:1:1로 구성된다.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전 처 리 Compound 48/80 히스타민 유리율(%) 히스타민 유리억제율(%)
칼슘록용액 - 1.92 -
칼슘록용액 처리 60.26 -
추출혼합물 - 6.72 -
추출혼합물 처리 8.44 97.05
상기의 표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흰쥐의 복강비만세포를 이용한 히스타민 유리억제율을 compound 48/80과 대비하여 측정하여 본 결과 본 발명의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어성초추출물을 혼합한 추출혼합물은 양호한 히스타민 유리 억제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알레르기 과민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소재로서 매우 유용하다.
<실험예 2>
Compound 48/80에 의한 흰쥐복강비만세포의 세포질내 칼슘유입증가에 대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의 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세포질내로의 칼슘 유입은 비만세포에서 탈과립현상을 매개하는 중간수용체를 자극함으로써 과민반응을 유도하는 과정의 한 단계이며, 칼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경우, 과민반응의 완화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compound 48/80의 처리 농도 및 추출혼합물의 처리농도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추출혼합물전 처 리 Compound 48/80처리 칼슘유입량(pmole / 2 ×05cells) 칼슘유입 억제율(%)*
- - 1.3 -
처리 - 7.7 -
- 처리 70.4 -
처리 처리 29.1 69.03
*칼슘유입억제율 : [ 1 - (추출혼합물 처리후 Compound 48/80에 의한 칼슘유입량 / Compound 48/80에 의한 칼슘유입량) ] ×100
상기의 실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전처리한 흰쥐복강비만세포는 Compound 48/80에 의한 자극으로 세포질내 칼슘유입증가를 유도하더라도 세포질내로의 칼슘 유입이 대조군에 비하여 69% 정도의 칼슘유입 억제효과를 보이므로 과민반응의 완화를 유도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 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실험예 3>
Compound 48/80에 의한 흰쥐복강비만세포의 세포내 cAMP 저하에 대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의 cAMP의 양을 비교하였다. 알러겐으로 인하여 형성된 면역 글로불린(IgE)이 고착된 비만세포는 세포내 단백질 키나아제 효소의 활성화가 유도되어 탈과립 현상이 촉진된다. 이는 아토피성 알레르기 현상이 발생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과정중에는 단백질 키나아제 효소의 활성화를 위하여 cAMP의 양이 현격히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을 전처리 한 후, compound 48/80에 의한 탈과립 현상을 유도할 경우 비만세포내 cAMP의 소모가 제한됨으로써 탈과립 현상억제가 유도되어 알레르기를 완화시키는 효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때 compound 48/80의 처리 농도 및 추출혼합물의 처리농도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추출혼합물전 처 리 Compound 48/80처리 세포내 cAMP양(pmole / 2 ×105cells) cAMP의 % control*
- - 14 ±2 100
처리 - 69 ±8 493 ±55
- 처리 6 ±4 43 ±17
처리 처리 48 ±3 343 ±20
*cAMP의 % control = [(각 실험군의 비만세포내 cAMP양) / (정상 비만세포내의 cAMP양)] x 100
상기의 실험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혼합물이 전처리된 비만세포는 세포내 cAMP의 소모가 억제되어 단위세포당 cAMP의 양이 어느정도 유지됨을 보이고 있으며, 추출혼합물을 전처리 한 후 compound 48/80을 연속처리하였을 경우에도 상당량의 비만세포내 cAMP의 양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탈과립현상 반응메커니즘의 억제가 진행되어 알레르기를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이 비만세포에 미치는 독성(Toxicity) 여부를 판단하고자 전처리 시간 경과에 따른 비만세포의 변화를 트리판블루 염색테스트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추출혼합물의 처리농도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실험결과는 하기 표 5와 같으며 세포의 사멸율은 4시간 경과후에도 5% 미만으로 추출혼합물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추출 혼합물전처리 시간 트리판 블루에염색된 세포수 전체 비만세포수 세포 생존율 (%)*
30 분 0 135 100
1 시간 0 135 100
2 시간 2 134 98.5
4 시간 6 138 95.8
* 세포생존율 : ( 살아있는 비만세포수 / 전체 비만세포수 ) ×100
<실험예 5>
Compound 48/80에 의한 흰쥐 피부반응에서 혈관투과성 증가에 대한 본 발명의 추출혼합물의 억제효과를 비교하였다. Compound 48/80의 자극을 통해 피부 비만세포의 혈관활성물질 (vasoactive amine)의 방출로 인해 혈관투과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반응이 유도된다. 비만세포의 혈관활성물질방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경우, 피부반응의 완화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때 compound 48/80의 처리 농도 및 추출혼합물의 처리농도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실험결과로서 추출혼합물을 피부에 도포한 경우는 하기 표 6에, 추출혼합물을 진피내로 주사한 경우에는 표 7에 나타내었다.
추출혼합물전 처 리 Compound 48/80처리 Evans blue 양(㎍/g, wet weight) Evans blue 억제율 (%)*
- - 2.85 -
처리 - 4.51 -
- 처리 12.75 -
처리 처리 8.17 63.03
*Evans blue억제율 : [ 1 - (추출혼합물 처리후 Compound 48/80에 의한 Evans blue 양 / Compound 48/80에 의한 Evans blue 양) ] ×100
추출혼합물전 처 리 Compound 48/80처리 Evans blue 양(㎍/g, wet weight) Evans blue 억제율 (%)*
- - 1.5 -
처리 - 2.1 -
- 처리 8.5 -
처리 처리 2.8 90.0
<실험예 6>
본 발명의 추출물중 특히 어성초 추출물이 Compound 48/80에 의한 히스타민 유리능을 억제하는 능력을 확인하고자 상기 실험예1의 방법에 준하여 흰쥐복강내 비만세포에서의 히스타민 유리 억제량을 비교한 결과, 어성초추출물은 비만세포의 히스타민 억제에 대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실험결과를 도 2에 예시하였다.
<실험예 7>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어성초추출물 이외에 식품보존재로서 알려져 있는 자몽씨앗 추출물을 이용하여 외용제제로서의 항균성을 확인하고, 특히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2차 감염 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력을 확인하여 개선된 외용제제의 항균소재로서 활용하고자 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자몽씨앗 추출물을 농도별도 처리하여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자몽씨앗 추출물 농도별 처리에 따른 미생물군별 생존율 비교
처리군균주명 대조군 자몽씨앗추출물 처리농도
0.01% 0.05% 0.1%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lococcus aureus)(KCTC1916) 100 % 0 % 0 % 0 %
프로피오니박테륨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KCTC3320) 100 % 83 % 47 % 0 %
<조성예 1>
본 발명의 추출물을 알레르기질환의 개선소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및 자몽씨앗추출물이 함유된 하기 표9의 로션 형태의 제형 1과 상백피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및 자몽씨앗추출물이 함유된 하기 표10의 로션 형태의 제형 2를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로션 형태의 제형 1의 조성
구성성분 중량 (%)
스테아린산 1.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스쿠알란 7.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3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세틸옥타노에이트 3.0
메틸폴리실록산 0.5
초산토코페롤 1.0
글리세린 5.0
EDTA 1% 수용액 2.0
트리에탄올아민 0.25
잔탄검 1% 수용액 5.0
히아루론산 1.0
상백피 추출물 2.0
우방자 추출물 0.7
자몽씨앗추출물 0.05
향료 0.2
정제수 65.0
로션 형태의 제형 2의 조성
구성성분 중량 (%)
스테아린산 1.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스쿠알란 7.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3
카프릴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세틸옥타노에이트 3.0
메틸폴리실록산 0.5
초산토코페롤 1.0
글리세린 5.0
EDTA 1% 수용액 2.0
트리에탄올아민 0.25
잔탄검 1% 수용액 5.0
히아루론산 1.0
상백피 추출물 2.0
어성초 추출물 0.7
자몽씨앗추출물 0.05
향료 0.2
정제수 65.0
<조성예 2>
본 발명의 추출물을 알레르기질환의 개선소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백피추출물, 우방자추출물 및 자몽씨앗추출물이 함유된 하기 표11의 전신세정제 형태의 제형 1과 상백피추출물, 어성초추출물 및 자몽씨앗추출물이 함유된 하기 표12의 전신세정제 형태의 제형 2를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전신세정제 형태의 제형 1의 조성
구성성분 중량 (%)
라우린산 트리에탄올 아민 10.0
라우릴 메틸타우린 나트륨 10.0
라우릴 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 아민 20.0
라우릴이미다졸리니움베타인 5.0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5.0
미리스틴산트리에탄올아민 10.0
스테아린산 5.0
글리세린 7.0
히아루론산 1.0
상백피 추출물 1.0
우방자 추출물 0.95
자몽씨앗추출물 0.05
정제수 25.0
전신세정제 형태의 제형 2의 조성
구성성분 중량 (%)
라우린산 트리에탄올 아민 10.0
라우릴 메틸타우린 나트륨 10.0
라우릴 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 아민 20.0
라우릴이미다졸리니움베타인 5.0
라우로일디에탄올아미드 5.0
미리스틴산트리에탄올아민 10.0
스테아린산 5.0
글리세린 7.0
히아루론산 1.0
상백피 추출물 1.0
어성초 추출물 0.95
자몽씨앗추출물 0.05
정제수 25.0
<실험예 8>
상기 조성예 1에서 제조한 표10의 로션제제의 알레르기 관련 피부질환에 대한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명의 환자에게 4 주간 상기 로션제제를 적용하였다. 추출물함유 로션제제만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1일 도포량은 연령에 따라 달리 하였으며, 5세미만은 1.5g, 10세는 3g, 20대이상은 9g으로 하였다. 또한 스테로이드제제와 병용치료시 스테로이드제제는 더마톱 (한독약품)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스테로이드제제 및 추출물로션제제의 1일 도포량은 연령에 따라 달리하였다. 즉, 스테로이드제제의 경우 5세미만은 1.5g, 10세는 3g, 20대이상은 9g으로 하였으며, 추출물로션제제의 경우 5세미만은 1.5g, 10세는 3g, 20대이상은 9g으로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스테로이드 제제와 병용한 경우와 추출물 함유 로션제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경우의 자극성과 병변의 개선시간의 변화를 비교하여 천연물소재의 효능과 스테로이드 제제의 사용량 감소 여부를 비교하였다.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간이임상시험결과
구 분 스테로이드 치료와 추출물함유로션 병용 추출물 함유 로션만 사용
임상대상인원및 연령 0∼1세 2 명 2 명
5세 3 명 3 명
10세 8 명 8 명
20대 6 명 6 명
30대 4 명 4 명
적용부위 얼굴, 몸통, 사지 얼굴, 몸통, 사지
자극성 없음 없음
홍반 없음 없음
임상경과 1∼2일 가려움증 개선 가려움증 개선
3∼4일 가려움증 현저히 개선/ 피부병변 완화 가려움증 현저히 개선/ 피부병변 완화
5∼6일 피부병변 거의 없음 / 보습 증가 피부병변 거의 없음 / 보습 증가
임상개선진행도 홍반, 각질, 태선화 개선 치료기간 1∼1.5일 단축 -
※ 간이임상실험의뢰처 :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 소재 전북대학교병원 피부과
상기의 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션 형태의 조성물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을 현저하게 개선시켰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상백피, 우방자, 어성초, 자몽씨앗 등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특히 피부 건조증, 각질화, 가려움증, 2차 미생물 감염에 의한 염증 등 일련의 아토피성 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다.

Claims (6)

  1. 상백피 추출물, 우방자 추출물 또는 어성초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백피 추출물, 우방자 추출물 또는 어성초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성분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천연 항균 물질로서 0.001 내지 0.5 중량%의 자몽 씨앗 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이 아토피성 피부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피성 피부질환이 피부 건조증, 각질화, 가려움증 또는 2차 미생물 감염에 의한 염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전신세정제, 비누제, 샴푸제 또는 비강흡입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20030212A 2002-05-30 2002-05-30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300925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212A KR20030092519A (ko) 2002-05-30 2002-05-30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212A KR20030092519A (ko) 2002-05-30 2002-05-30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519A true KR20030092519A (ko) 2003-12-06

Family

ID=3238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212A KR20030092519A (ko) 2002-05-30 2002-05-30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25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256A (ko) * 2004-02-05 2005-08-10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5094861A1 (en) * 2004-04-02 2005-10-13 Sung-Bae Park Composition for treating psoriasis-associated diseases
KR100894439B1 (ko) * 2008-10-27 2009-04-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5711B1 (ko) * 2009-01-14 2009-09-04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보습, 항염증, 항세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87105A (ko) * 2018-01-16 2019-07-24 김경희 문신 부위 감염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158A (ko) * 1997-05-13 1992-12-18 전병득 상백피 추출물을 함유한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JPH07138173A (ja) * 1993-11-15 1995-05-30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JP2000063226A (ja) * 1998-08-21 2000-02-2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KR20000045575A (ko) * 1998-12-30 2000-07-25 유상옥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010016594A (ko) * 2000-12-18 2001-03-05 유연실 어성초 화장수(化粧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173A (ja) * 1993-11-15 1995-05-30 Kuga Takaaki アトピー性皮膚炎等の皮膚疾患治療薬
KR920021158A (ko) * 1997-05-13 1992-12-18 전병득 상백피 추출물을 함유한 알레르기 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JP2000063226A (ja) * 1998-08-21 2000-02-2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KR20000045575A (ko) * 1998-12-30 2000-07-25 유상옥 우방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KR20010016594A (ko) * 2000-12-18 2001-03-05 유연실 어성초 화장수(化粧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256A (ko) * 2004-02-05 2005-08-10 주식회사 리젠 바이오텍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5074964A1 (en) * 2004-02-05 2005-08-18 Regen Biotech, Inc. Extracts of houttuynia cordata and rubus coreanus and their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llergic diseases
WO2005094861A1 (en) * 2004-04-02 2005-10-13 Sung-Bae Park Composition for treating psoriasis-associated diseases
KR100894439B1 (ko) * 2008-10-27 2009-04-2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15711B1 (ko) * 2009-01-14 2009-09-04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보습, 항염증, 항세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87105A (ko) * 2018-01-16 2019-07-24 김경희 문신 부위 감염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575B1 (ko) 생약성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A2551787C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ies comprising an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n anti-inflammatory agent
JPH0940523A (ja) クロレラ水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物質
WO2008140200A1 (en) External compositions for the skin
CN100404054C (zh) 一种煮散型中药抗菌消炎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1036279A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JPH1053532A (ja)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US20200330366A1 (en) Cosmetic use of a protein extract of moringa oleifera seeds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CN101182430A (zh) 保健多用洗液及其制备方法
KR20100072865A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987189A (ja) エンメイソウ、ボタンピ、シソ、アルニカ含有抗アレルギー剤
JP4495406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JPH08325156A (ja) ステビオール配糖体含有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JPH10139679A (ja) ケミカルメディエーター遊離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医薬品並びに食品
JPH10120583A (ja) 抗アレルギー剤、ケミカルメディエーター遊離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抗アレルギー性化粧料,医薬品並びに食品
KR10089443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H0987188A (ja) 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KR20030092519A (ko)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49278B1 (ko)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CN110787119A (zh) 一种抗菌护肤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30055154A (ko)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372087A (zh) 一种护肤保健的中药组合物
CN115518127A (zh) 一种抑菌抗炎消肿止痒乳膏及其制备方法
JPH07278001A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浴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