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327A -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327A
KR20030091327A KR1020020029256A KR20020029256A KR20030091327A KR 20030091327 A KR20030091327 A KR 20030091327A KR 1020020029256 A KR1020020029256 A KR 1020020029256A KR 20020029256 A KR20020029256 A KR 20020029256A KR 20030091327 A KR20030091327 A KR 20030091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case
hinged
airbag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809B1 (ko
Inventor
안준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80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케 결합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케이스의 내부 일단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구비한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26)의 이동에 따라 펴지고 접히도록 그 일단은 상기 이동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케이스의 내부 타단에 힌지결합된 절첩수단(30)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32)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하도록 상기 절첩수단에 결합된 접촉부재(34)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진동이나 외부의 미소한 충격에 의해 오동작되지 않게 되어 에어백의 작동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impact sensor of air bag}
본 발명은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충돌사고시에 탐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시트벨트의 보조장치로서 에어백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는 데, 이 에어백 시스템은 에어백과 가스발생기 및 패트커버를 갖춘 에어백 모듈과, 충돌감지센서, 컨트롤러를 가진 제어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 중에 다른 차량등과 충돌하게 되면, 충돌감지센서의 신호가 컨트롤러에 전달되어 가스발생기가 트리거링(triggering)됨과 더불어 이 가스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에어백에 주입되면서 에어백이 급속히 팽창하여 사용자의 안면부를 보호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에어백은 고무가 코팅된 나일론 섬유제의 원판형 주머니로서 대개 그 용량이 50~60ℓ정도이고, 접혀진 상태에서 가스 발생기 위에 설치되어, 가스발생기로부터 질소가스를 공급받아 급속하게 팽창하게 되어 있다.
종래 충돌감지센서로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센서를 구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충돌감지센서는 케이스(12)의 내부 일측에는 압전센서(14)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2)의 내부 타측에는 스프링(16)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16)의 타단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관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압전센서(14)을 압박하는 이동체(18)가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압전센서(14)가 압력을 받게 되면 전기신호가 컨트롤러에 전달되어 에어백이 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의 자동차는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 무선 로킹 시스템 등이 장착되어 전자파에 의해 무선으로 작동하는 제어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데, 종래 압전센서를 구비한 충돌감지센서는 그 압전소자가 전자파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이러한 전자파의 영향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압력센서로부터 전기신호가 발생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진동이나 외부의 미소한 충격에 의해 오동작되지 않는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도2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케이스 24 : 스프링
26 : 이동체 28 : 고정체
30 : 절첩수단 32 : 스위치
34 : 접촉부재 36 : 제1링크부재
38 : 제2링크부재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케 결합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구비한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펴지고 접히도록 그 일단은 상기 이동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힌지결합된 절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하도록 상기 절첩수단에 결합된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첩수단은 상기 이동체 및 케이스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힌지결합된 제1, 2링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제1, 제2링크부재가 서로 힌지결합되는 지점에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는 고정체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에 상기 제2링크부재가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2)의 내부 일측에는 스프링(24)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24)의 타단에는 차량의 충돌시에 관성력에 의해 스프링측으로 이동하는 이동체(26)가 고정되고, 상기 케이스(22)의 내부 타측에는 고정체(28)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체(26)와 고정체(28)는 상기 이동체(26)의 이동에 따라 펴지고 접히는 절첩수단(30)에 의해 힌지결합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26)와 고정체(28)의 사이의 케이스 내벽에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는 스위치(32)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체(26)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32)를 온/오프하도록 상기 절첩수단(30)에는 접촉부재(3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2)는 상기 이동체(26)를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의 부품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동체의 형상에 따라 사각통, 원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24)은 상기 이동체(2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는데, 평시에는 자유상태의 길이로 이동체(26)를 지지한다.
상기 이동체(26) 및 고정체(28)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부(26a, 28a)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6a, 28a)에 상기 절첩수단(30)의 후술하는 링크부재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절첩수단(30)은 상기 이동체 및 고정체의 돌출부(26a, 28a)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힌지결합된 제1, 2링크부재(36, 38)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재(34)는 상기 제1, 제2링크부재(36, 38)가 서로 힌지결합되는 지점에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32)의 접점(32a)은 상기 접촉부재(34)가 이동하면서 용이하게접촉하도록 구면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절첩수단(30)은 상기 고정체(28) 없이 직접 상기 케이스(22)의 내부 타측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34)는 상기 제1, 제2링크부재(36, 38) 중의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이동체(26)가 이동하여 상기 제1, 제2링크부재(36)의 사이각이 변하게 되어 접촉부재(34)가 기울어지는 정도를 감안하여 스위치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울기로 고정한다. 즉, 이동체(26)가 이동하여 접촉부재(34)가 상기 스위치(32)의 위치에 왔을 경우에 접촉부재(34)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정상상태에서 약간 기울어지게 고정한다.
상기 접촉부재(34)는 상기 제1, 제2링크부재(36, 38)의 교차 힌지점에 힌지결합되고, 도시하지 않은 안내부재에 의해 작동시에 접촉부재(34)가 수직방향이 되게 가이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에서, 자동차의 충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26)가 관성력에 의해 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절첩수단(30)의 제1, 제2링크부재(36, 38) 사이각이 벌어지면서 접촉부재(34)가 상승함과 동시에 좌측으로 이동하여 스위치(32)의 접점(32a)을 누르게 되어 전기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전기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전달되어 에어백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접촉부재(34)가 스위치를 눌러 작동되므로 전자파에 의한 오동작의 염려가 없다.
한편, 상기 이동체(26)의 양측에는 스프링(24) 및 절첩수단(30)이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진동이나 외부의 미소한 충격에 의한 내진동성이 높으므로 작동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는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진동이나 외부의 미소한 충격에 의해 오동작되지 않으므로, 작동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케 결합된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케이스의 내부 일단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구비한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펴지고 접히도록 그 일단은 상기 이동체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케이스의 내부 타단에 힌지결합된 절첩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와,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하도록 상기 절첩수단에 결합된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은 상기 이동체 및 케이스에 각각의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서로 힌지결합된 제1, 2링크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제1, 제2링크부재가 서로 힌지결합되는 지점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단에는 고정체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에 상기 제2링크부재가 힌지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KR10-2002-0029256A 2002-05-27 2002-05-27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KR10044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256A KR100448809B1 (ko) 2002-05-27 2002-05-27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256A KR100448809B1 (ko) 2002-05-27 2002-05-27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327A true KR20030091327A (ko) 2003-12-03
KR100448809B1 KR100448809B1 (ko) 2004-09-16

Family

ID=3238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256A KR100448809B1 (ko) 2002-05-27 2002-05-27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8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8965A (en) * 1993-09-14 1996-04-16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0151670B1 (ko) * 1995-06-29 1998-10-15 김태구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JPH0996646A (ja) * 1995-09-29 1997-04-08 Aisin Seiki Co Ltd 衝撃検出装置
KR100198391B1 (ko) * 1997-03-18 1999-06-15 전주범 자동차 에어백용 충격스위치
KR100418785B1 (ko) * 2001-04-26 2004-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백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809B1 (ko)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7076A (en) Air bag device
US5756948A (en) Side-impact electro-mechanical accelerometer to actuate a vehicular safety device
KR100448809B1 (ko)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JP2007523785A (ja) 側面衝突検出装置および圧力センサ
JPH01156155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0456568B1 (ko) 충돌량 센서와 일체로 된 자동차용 충돌 센서
KR100412707B1 (ko) 차량의 충돌 감지와 가속도량을 함께 측정 가능한에어백용 통합센서
CN112009417A (zh) 车辆及其乘员保护系统
KR0151670B1 (ko)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KR100448813B1 (ko) 에어백의 충돌 및 충돌량 감지센서
KR100489061B1 (ko) 에어백의 충돌 및 충돌량 감지센서
KR100387859B1 (ko) 측면충돌완화용 도어잠금장치
KR100670121B1 (ko) 충격감지장치
KR100422535B1 (ko) 차량용 에어백시스템의 충돌감지장치
KR100776658B1 (ko) 차량용 사고발생 자동통지 시스템
KR100461364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의 조향휠
KR20014827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100387825B1 (ko) 에어백 충돌 감지센서
KR100410512B1 (ko) 자동차용 에어백시스템의 충돌감지장치
JP2501410B2 (ja) エアバツグ装置
KR20060055998A (ko) 에어백 충돌 감지 장치
JP2004325292A (ja) 2方向検出型衝撃加速度センサ
JPH09109824A (ja) 衝撃検出センサ
KR20020048745A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JP2004099032A (ja) エアバッグ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