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220A -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220A
KR20030090220A KR1020020028235A KR20020028235A KR20030090220A KR 20030090220 A KR20030090220 A KR 20030090220A KR 1020020028235 A KR1020020028235 A KR 1020020028235A KR 20020028235 A KR20020028235 A KR 20020028235A KR 20030090220 A KR20030090220 A KR 20030090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za
bath
manufacturing
liquor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식
Original Assignee
서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식 filed Critical 서재식
Priority to KR102002002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220A/ko
Publication of KR2003009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2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완숙된 탱자, 유자, 하귤을 통째로 갈아 술과 함께 음달에서 자연 숙성 시킨 후 망에 걸러 찌꺼기를 제거하는 수세단계, 파쇄단계, 혼합단계, 숙성단계, 걸름단계, 제품화단계를 거침으로써, 사용 후 알레르기에 대한 피부개선 효과와 각질 제거 등의 오염물을 제거하고 상쾌한 느낌의 아로마효과로 불면증 해소에 도움을 주며 보습효과가 뛰어난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bath sou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탱자나 유자 또는 하귤을 술과 함께 자연 숙성기간을 갖는 목욕용품과 상기 목욕용품이 수세단계, 파쇄단계, 혼합단계, 숙성단계, 걸름단계, 제품화단계의 과정으로 제조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서구에서는 욕조문화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스파(SPA)라는'물에 의한 건강'이라는 뜻의 천연제품과 오일을 이용한 자연요법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요법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민감한 피부를 위한 현대인에게 꼭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천연제품과 오일을 이용한 자연요법은 오이나, 알로에 등의 천연물을 엷은 두께로 절단하거나 천연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의 파손 없이 즙을 만들어 즉시 변질되기 전에 바르는 마사지 제품의 형태로만 일부 사람들과 대중목욕탕에서 실시되고 있다.
종래의 대중에게 보급된 보습과 목욕 후에 상쾌함을 주기 위한 목욕용품은 후로랄 향이나 로즈메리, 장미향이 첨가된 것을 사용하지만 상기와 같은 목욕용품은 화학적으로 만들어진 화학제품이므로 알레르기를 가진 사용자나 피부가 민감한 사용자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각질 제거나 오염물 제거가 쉽사리 되지 않았기 때문에 때밀이 수건으로 오염물을 따로 제거해 주어야하므로 사람의 피부가 벗겨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 자연요법의 일환으로, 사용 후 알레르기에 대한 피부개선 효과와 각질 제거 등 오염물을 제거하고 상쾌한 느낌을 가지므로 아로마효과로 불면증 해소에 도움을 주며 보습효과가 뛰어난 목욕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탱자나 유자 또는 하귤을 술과 함께 자연 숙성시켜 제품화하는 수세단계, 파쇄단계, 혼합단계, 숙성단계, 걸름단계, 제품화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욕용품을 사용하는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목욕용품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욕조20: 물과 목욕용품의 혼합물
30: 수세단계40: 파쇄단계
50: 혼합단계60: 숙성단계
70: 걸름단계80: 제품화단계
운향과에 속하는 탱자는 원산지가 중국의 양자강 상류지방인 사천성과 운남성으로 우리나라에 들어와 중부이남 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탱자나무의 가지는 녹색이고 능각(稜角)이 지며, 5㎝ 정도의 대형의 가시가 많으며 2~3m의 높이를 갖는 다년생 식물로 잎은 3출엽(三出葉)이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5월에 흰색 꽃이 잎보다 먼저 잎겨드랑이에 피고, 꽃잎과 꽃받침은 5장이다.
탱자나무의 열매인 탱자는 둥글고 황색이며 향기가 좋다.
탱자는 이소사쿠라닌, 포니실린과 비타민 등의 성분이 들어있어 주로 한약제로 쓰이는데, 건위제(健胃劑), 이뇨제 등으로 쓰이며, 향기가 좋기 때문에 예부터 유자와 함께 거실의 공기를 향기롭게 하는데 쓰여 왔다.
또한, 탱자는 염증을 가라앉히고 해독 작용이 있어 탱자 달인 물이 식중독, 먼지나 꽃가루 알레르기, 화학 섬유의 부작용, 약물중독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일어나는 두드러기와 가려움증을 가라앉히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욕용품은 완숙된 탱자 혹은 유자, 하귤을 술과 자연 숙성 시켜 사용된다.
먼저 노랗게 익은 완숙된 탱자를 탱자나무에 부착된 것을 수확하여 탱자 외부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세한 후에 사용한다.
상기 수세된 탱자 60~80kg를 씨까지 통째로 분쇄한 후, 알코올농도 20~30%의 술에 10ℓ에 적층한다.
상기 술에 적층된 탱자를 음달에서 한 달 동안 자연 숙성시킨 후 망에 걸러 찌꺼기를 제거하면 본 발명의 목욕용품이 제조된다.
여기서, 탱자 대신 탱자와 성분이 유사한 유자, 하귤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욕용품과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목욕용품이 사용되는 상태도로서, 욕조(10)에 35~48℃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온도의 물 100ℓ과 상기 목욕용품 1.5ℓ를 부어서 만들어진 혼합물(20)로 목욕하면 각질과 오염물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비타민 C와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보습효과와 피로회복 그리고 두드러기 증상을 완화시켜 피부를 개선시켜 주는 효과도 기대된다.
또한, 샤워 시 사용되는 바디 크린져의 대용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목욕용품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로, 본 발명의 목욕용품은 수세단계(30), 파쇄단계(40), 혼합단계(50), 숙성단계(60), 걸름단계(70), 제품화단계(80)를 거쳐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욕용품에 이용되는 천연물인 원료는 완숙된 탱자나, 유자, 하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탱자를 원료로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수세단계(30)는 탱자를 깨끗하게 세척하는 단계로, 탱자나무에서 수확한 탱자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파쇄단계(40)에서는 상기 수세단계(30)에서 깨끗하게 세척된 탱자 60~80kg을 통째로 씨까지 믹서로 분쇄한다.
탱자의 양이 60㎏보다 적으면 본 발명의 목욕용품에 탱자의 성분 함량이 적어, 거친 피부와 두드러기에 대한 피부개선 효과나 오염물 제거효과 등의 탱자의 사용으로 인한 효과를 낼 수 없다.
또한, 탱자의 양이 80㎏이상이면 오히려 피부에 해가 된다.
따라서, 탱자의 양은 60~80kg이 적당하다.
상기 혼합단계(50)는 상기 파쇄단계(40)에서 믹서로 분쇄되어 갈아진 탱자를 알코올농도 20~30%의 술 10ℓ넣어 혼합한다.
상기 알코올농도 20~30%의 술로 범위를 지정한 것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국산 소주의 알코올 도수가 제조회사마다 틀리기 때문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중에 판매되는 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목욕용품을 제조한다.
탱자와 술과의 혼합숙성물은 탱자의 ph 2.83~3.68%보다 ph가 증가하므로 거친 피부에 대한 피부개선 효과가 더욱 더 증가되는데 상기 술의 양이 10ℓ보다 많거나 적으면 상기 탱자와 술과의 혼합숙성으로 인한 효과가 적다.
상기 숙성단계(60)에서는 상기 혼합된 탱자와 술을 음달에서 한 달 동안 자연 숙성시킨다.
상기 혼합된 탱자와 술을 음달에서 숙성시키는 것은 양달에서 숙성하면 변질되기 쉽기 때문이며 한달보다 자연 숙성시간이 적으면, 탱자에 함유되어 있는 독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며 탱자의 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오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자연 숙성시간이 한 달 이상으로 너무 오랫동안 술과 함께 숙성시키면 탱자의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 숙성기간은 한달이 적당하다.
상기 걸름단계(70)에서는 숙성된 탱자와 술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단계로 분쇄된 탱자의 알갱이를 망으로 제거한다.
상기 제품화단계(80)에서는 상기 걸름단계(70)에서 찌꺼기가 제거된 목욕용품을 사용하기 편하게 일정량을 용기에 담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로 제조된 목욕용품은 욕조에 풀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여러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욕용품은 수분과 비타민 C를 풍부하게 함유하는 탱자, 유자, 하귤을 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피부에 비타민 C를 제공하며 탁월한 피부보습효과를 가진다.
또한, 천연제품과 20~30%의 알코올 도수를 가진 술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이 없을 뿐만 아니라, 두드러기에 대한 피부개선 효과가 기대되고 각질이나 때 같은 오염물이 제거된다.
사용 후 탱자의 향으로 인한 상쾌한 느낌의 아로마효과로 불면증 해소에도 도움을 준다.

Claims (4)

  1. 완숙된 탱자 60~80kg를 씨까지 통째로 믹서로 갈아 알코올농도 20~30%의 술 10ℓ에 넣어 음달에서 한달 동안 숙성시킨 후 망에 걸러 찌꺼기가 제거된 액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품.
  2. 제 1항에 있어서, 탱자 대용으로 유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품.
  3. 제 1항에 있어서, 탱자 대용으로 하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품.
  4. 완숙된 탱자 60~80kg를 세척하는 수세단계(30), 세척된 탱자를 믹서로 씨까지 분쇄하는 파쇄단계(40), 상기 파쇄단계(40)를 거친 탱자와 알코올농도 20~30%의 술 10ℓ이 혼합되는 혼합단계(50), 상기 혼합된 탱자와 술을 음달에서 한 달 동안 자연 숙성시키는 숙성단계(60), 상기 숙성단계(60)에서 숙성된 탱자와 술을 망에 걸러 찌꺼기를 제거하는 걸름단계(70), 상기 걸름단계(70)에서 걸려진 탱자와 술을 일정량을 용기에 담는 제품화단계(80)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품의 제조방법.
KR1020020028235A 2002-05-21 2002-05-21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90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235A KR20030090220A (ko) 2002-05-21 2002-05-21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235A KR20030090220A (ko) 2002-05-21 2002-05-21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220A true KR20030090220A (ko) 2003-11-28

Family

ID=3238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235A KR20030090220A (ko) 2002-05-21 2002-05-21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22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06B1 (ko) * 2002-06-21 2005-02-02 강광일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258646B1 (ko) * 2011-08-16 2013-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자, 매실, 석류, 현미를 발효하여 만든 초효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 화장료 조성물
KR101307969B1 (ko) * 2012-01-13 2013-09-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1015A (en) * 1978-10-10 1980-04-14 Mitsugi Takahashi Bath perfumery made from orange peel
JPS61189213A (ja) * 1985-02-19 1986-08-22 Shinto Paint Co Ltd 浴用添加剤
JPS62190118A (ja) * 1986-02-14 1987-08-20 Yutaka Miyauchi 浴用剤
KR950016742U (ko) * 1993-12-04 1995-07-20 박문식 목욕용 야채 및 약초분말봉지
JPH10114644A (ja) * 1996-10-11 1998-05-06 Maana:Kk 身体清浄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1015A (en) * 1978-10-10 1980-04-14 Mitsugi Takahashi Bath perfumery made from orange peel
JPS61189213A (ja) * 1985-02-19 1986-08-22 Shinto Paint Co Ltd 浴用添加剤
JPS62190118A (ja) * 1986-02-14 1987-08-20 Yutaka Miyauchi 浴用剤
KR950016742U (ko) * 1993-12-04 1995-07-20 박문식 목욕용 야채 및 약초분말봉지
JPH10114644A (ja) * 1996-10-11 1998-05-06 Maana:Kk 身体清浄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006B1 (ko) * 2002-06-21 2005-02-02 강광일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258646B1 (ko) * 2011-08-16 2013-04-2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유자, 매실, 석류, 현미를 발효하여 만든 초효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 화장료 조성물
KR101307969B1 (ko) * 2012-01-13 2013-09-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과일 및 흑초의 혼합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4768B (zh) 一种含天然油茶皂苷的婴儿护理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1834964B1 (ko) 쌍화차용 한약재 분말이 첨가된 유자청의 제조방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007163A (zh) 一种荷叶袋泡减肥花茶及其制作方法
KR101516146B1 (ko) 복합 기능성 한방비누
CN106318707A (zh) 一种环保洗涤剂及其制备方法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20090060981A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CN107714526A (zh) 一种茉莉花女性专用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20030090220A (ko) 목욕용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1293A (ko)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007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83690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118567A (ko) 비염에 좋은 과일 및 채소 추출물 제조방법
KR200305458Y1 (ko) 목욕용품
JP2005192432A (ja) ノニを用いた飲料の製造方法
KR101707007B1 (ko) 천연 세안수 제조 방법
KR20200136174A (ko) 탱자를 이용한 설탕 절임 식품 및 차의 제조 방법
KR100276463B1 (ko) 인삼생즙 제조방법
KR10097048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3666888B (zh) 蒲公英低刺激护肤香皂
KR102291229B1 (ko) 커피체리 부산물을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07281069A (zh) 一种中草药熬制的洗头原浆及其制备方法
KR20180009293A (ko) 줄풀을 주재료로 한 천연 한방 구강청결제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