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505A -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505A
KR20030089505A KR10-2003-0031193A KR20030031193A KR20030089505A KR 20030089505 A KR20030089505 A KR 20030089505A KR 20030031193 A KR20030031193 A KR 20030031193A KR 20030089505 A KR20030089505 A KR 2003008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cessing
processing apparatus
signal
inform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192B1 (ko
Inventor
곤도데쯔지로
단게아끼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303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030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3038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4925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1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purchase a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4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the interpolation being class adaptive, i.e. it uses the information of class which is determined for a pixel based upon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uring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복수의 기능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는 정보가 갱신된 경우, 그 갱신된 정보를 은닉성을 확보하면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알고리즘베이(12)가 제1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알고리즘베이(12)의 셀렉터부(34)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제1 기능 제공부(32)로부터 제공되는 제1 기능을 선택하여, 그것으로 변경한다. 이것에 대하여, 알고리즘베이(12)가 제2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알고리즘베이(12)의 셀렉터부(34)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제2 기능 제공부(33)로부터 제공되는 제2 기능을 선택하여, 그것으로 변경한다. 또한, 알고리즘베이(312)의 제1 정보 제공부(333)는, 신호 처리 장치(311)의 신호 처리부(321)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신호 처리부(321)에 대하여, 유선 인터페이스(331),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22)를 통하여 공급함과 함께, 제2 정보 제공부(333)는, 신호 처리부(321) 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신호 처리부(321)에 대하여, 무선 인터페이스(332),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23)를 통하여 공급한다. 본 발명은,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신호 처리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복수의 기능을 간단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는 정보가 버전업된 경우, 그 버전업된 정보를 은닉성을 확보하면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기판을 장착하고, 그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정보를, 기판으로부터 유선으로 신호 처리 장치에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신호 처리 장치의 버스에 기판이 접속됨으로서, 정보가 기판으로부터 신호 처리 장치에 버스를 통하여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에, 기판에는,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하나의 기능에 대응하는 정보 밖에 대응시켜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복수의 기능을 할당하는 경우, 복수의 기판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 그 보관이 번거롭게 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기능을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는, 변경하는기능에 대응하는 기판을 찾아서,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제1 과제가 있었다.
또한, 기판으로부터 신호 처리 장치에 버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정보는 버전업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기판은, 버스의 제약에 의해, 버전업된 정보를 신호 처리 장치에 제공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제2 과제가 있었다.
또한, 기판으로부터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정보가 제공될 때, 정보가 누설할 우려가 있다고 하는 제3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복수의 기능을 간단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는 정보가 버전업된 경우, 그 버전업된 정보를 은닉성을 확보하면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알고리즘베이의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접속 형태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알고리즘베이의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접속 형태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신호 처리 시스템이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알고리즘베이의 스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4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도 1의 신호 처리 시스템이 구체적인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도 1의 신호 처리 시스템이 구체적인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도 9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도 9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는 도 1의 신호 처리 시스템이 구체적인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도 12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는 도 12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도 17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1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2는 도 21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3은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4는 도 23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5는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6은 도 25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7은 도 26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처리의 움직임 보상 처리의 상세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9는 도 28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유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외부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0은 도 28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호 처리 시스템
11 : 신호 처리 장치
12 : 알고리즘베이
41 : 입력 신호
42 : 출력 신호
21 : 신호 처리부
22 : 인터페이스
31 : 인터페이스
32 : 제1 기능 제공부
33 : 제2 기능 제공부
34 : 셀렉터부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시스템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와,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접속 형태로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접속 형태로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또한 갖고, 제1 및 제2 접속 형태는,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장착 수단에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장착 방향에 따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제1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함과 함께, 제2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제2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서로 무선 통신을 또한 행하며, 제1 또는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제1 및 제2 접속 형태는,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무선 통신 간의 거리에 따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검출 수단은, 전계 강도, 에러율, 또는, 클럭 위상차 중의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을 더 갖고, 제1 기능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제1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제2 기능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제2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적어도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은, 제1 접속 형태로,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여 행하고, 제1 기능은,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과,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협조 분담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과 협조 분담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지정하는 계수 지정 수단을 더 갖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과,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제1 접속 형태로,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생성하는 계수 생성 수단을 더 갖고, 계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계수를,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제공하고, 제1 기능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2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된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제2 기능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 방법은, 제1 신호 처리 장치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고,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접속 형태로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접속 형태로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가 실시되어 출력된다.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접속 형태로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2 기능으로 변경된다.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를 유선 및 무선으로써 수신하는 수신 전용 장치이어도 되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써 송신하는 것도 가능한 송수신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를 유선 및 무선으로써 송신하는 송신 전용 장치이어도 되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써 수신하는 것도 가능한 송수신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정보는,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이어도 되고, 다른 장치로부터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공급되는 정보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수단과,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복수의 접속 형태로 접속 가능한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신호 처리 수단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접속 형태로, 접속 수단에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접속 수단에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접속 수단은,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이고, 제1 및 제2 접속 형태는,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장착 수단에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장착 방향에 따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제1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함과 함께, 제2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제2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또한 설치하고, 제1 및 제2 접속 형태는,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무선 통신 간의 거리에 따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검출 수단은, 전계 강도, 에러율, 또는, 클럭 위상차 중의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고, 제1 기능은,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제2 기능은,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2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적어도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접속 형태로, 접속 수단에 접속된 경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고, 제1 기능은, 제1 및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협조 분담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지정하는 계수 지정 수단을 또한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고,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제1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의 접속 수단에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생성하여, 생성한 계수를,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제공하고, 제1 기능은,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된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제2 기능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에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 단계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에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 단계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에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 단계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에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 단계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에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 단계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에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 단계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제1 기록 매체, 및, 제1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제1 접속 형태로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제2 접속 형태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된다.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를 유선 및 무선으로써 수신하는 수신 전용 장치이어도 되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써 송신하는 것도 가능한 송수신 장치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접속 형태로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기능 변경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접속 형태는,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장착 수단에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 장치의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대한 장착 방향에 따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제1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함과 함께, 제2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제2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또한 설치하여,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제1 및 제2 접속 형태는,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무선 통신 간의 거리에 따라 구별되도록 할 수 있다.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을 또한 설치하여, 제1 기능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제1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제2 기능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부에 의해, 제2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적어도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은, 제1 접속 형태로,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여 행하고, 제1 기능은,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의 협조 분담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과,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접속 형태로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생성하는 계수 생성 수단을 또한 설치하고, 기능 변경 수단은, 계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계수를,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또한 제공하고, 제1 기능은,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기능 변경 수단에 의해 공급된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제2 기능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접속 형태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기능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접속 형태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기능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은,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접속 형태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기능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제2 기록 매체, 및, 제2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접속 형태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된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를 유선 및 무선으로써 송신하는 송신 전용 장치이어도 되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써 수신하는 것도 가능한 송수신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정보는,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이어도 되고, 다른 장치로부터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공급되는 정보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시스템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와,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신호 처리 시스템이고,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수단과,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정보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제1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계수이고, 제2 정보는, 제1 계수와는 다른,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계수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제1 정보는,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양자화 테이블이고, 제2 정보는, 제1 양자화 테이블과는 다른,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양자화 테이블이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는 정보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제1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고, 제2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과는 다른 제2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제1 정보는,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이고, 제2 정보는,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화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 보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및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 경우, DCT 처리에 의해, 제2 정보를 DCT 계수로 변환하여, 양자화 처리에 의해,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정보에 대응하는 DCT 계수를 양자화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부호화 정보이고, 제2 정보는,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이고,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및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 경우, 신호 처리에서 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 처리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유선 공급 수단은, 제1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커넥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고, 기판은 패키지에 수납되고, 제1 커넥터는, 패키지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제1 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갖고, 제2 커넥터로서, 복수 종류의 제1 커넥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커넥터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소정의 규격으로 규정되는 종류의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무선 공급 수단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하여,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또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 방법은, 제1 신호 처리 장치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고,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유선으로 공급하고,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입력된 신호가, 소정의 신호 처리가 실시되어 출력된다.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유선으로 공급됨과 함께,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된다.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를 유선 및 무선으로써 수신하는 수신 전용 장치이어도 되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써 송신하는 것도 가능한 송수신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를 유선 및 무선으로써 송신하는 송신 전용 장치이어도 되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써 수신하는 것도 가능한 송수신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정보는,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이어도 되고, 다른 장치로부터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공급되는 정보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이고,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 수단과,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정보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제1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계수이고, 제2 정보는, 제1 계수와는 다른,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계수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제1 정보는,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양자화 테이블이고, 제2 정보는, 제1 양자화 테이블과는 다른,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양자화 테이블이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는 정보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제1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고, 제2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과는 다른 제2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제1 정보는,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이고, 제2 정보는,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화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 보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신호 처리 장치는, 유선 수신 수단에 의해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무선 수신 수단에 의해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DCT 처리에 의해, 제2 정보를 DCT 계수로 변환하고, 양자화 처리에 의해,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정보에 대응하는 DCT 계수를 양자화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정보는, 부호화 정보이고, 제2 정보는,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이고, 신호 처리 장치는, 유선 수신 수단에 의해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무선 수신 수단에 의해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호 처리로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 처리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유선 수신 수단은,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갖는 제1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커넥터를 갖고, 제2 커넥터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제1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제1 정보를, 제1 및 제2 커넥터를 통하여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커넥터로서, 복수 종류의 제1 커넥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커넥터는,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소정의 규격으로 규정되는 종류의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무선 수신 수단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또한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 단계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의 제1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 단계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 단계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제1 기록 매체, 및, 제1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유선으로 수신됨과 함께,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된다. 그리고, 수신된 제1 및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를 유선 및 무선으로써 수신하는 수신 전용 장치이어도 되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써 송신하는 것도 가능한 송수신 장치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수단과,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호 처리 장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시키는 기판으로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정보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제1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계수이고, 제2 정보는, 제1 계수와는 다른,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계수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제1 정보는,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양자화 테이블이고, 제2 정보는, 제1 양자화 테이블과는 다른,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양자화 테이블이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는 정보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제1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고, 제2 정보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과는 다른 제2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제1 정보는,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이고, 제2 정보는,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화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 보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는,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 처리이고, 제1 정보는, 부호화 정보이고, 제2 정보는,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이도록 할 수 있다.
유선 공급 수단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시키는 기판으로서 형성되고, 기판은 패키지에 수납되고, 커넥터는, 패키지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무선 공급 수단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하여,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또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단계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단계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단계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제2 기록 매체, 및, 제2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유선으로 공급됨과 함께,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된다.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를 유선 및 무선으로써 송신하는 송신 전용 장치이어도 되고,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써 수신하는 것도 가능한 송수신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정보는,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미리 유지되어 있는 정보이어도 되고, 다른 장치로부터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공급되는 정보이어도 된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시스템(1)은, 신호 처리 장치(11)와, 그것에 대하여 접속되는 기판으로서 구성되는 알고리즘베이(상표)(12)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장치(11)에는, 입력 신호(41)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21), 및, 알고리즘베이(12)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는 인터페이스(22)가 설치되어 있다.
알고리즘베이(12)에는, 상술한 정보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22)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는 인터페이스(31),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제1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기능 제공부(32), 및, 제1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제2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기능 제공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알고리즘베이(12)에는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접속 형태에 기초하여, 제1 기능 제공부(32)로부터 제공되는 제1 기능과, 제2 기능 제공부(33)로부터 제공되는 제2 기능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신호 처리 장치(11)에 제공하는 셀렉터부(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알고리즘베이(12)가,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알고리즘베이(12)를, 기판 대신에, 제1 기능 제공부(32), 제2 기능 제공부(33), 및, 셀렉터부(34)를 갖는 임의의 장치로서 형성해도 된다.
다음에, 신호 처리 시스템(1)의 동작의 개략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11)의 정면(11A)에는, 알고리즘베이(12)를 장착하는 슬롯(53)이 설치되고, 슬롯(53)에 장착된 알고리즘베이(12)의 인터페이스(31)(도 1) 와,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22) (도 1)가 유선으로 접속된다.
알고리즘베이(12)는, 상면(12A)에 대하여 수직한 4개의 단면인 면(12B 내지 12E)을 갖고 있다. 알고리즘베이(12)는, 그 상면(12A)이 슬롯(53)의 상면(53A)과 접하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2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가, 그 면(12B)이, 신호 처리 장치(11)의 정면(11A) 측이 되도록, 슬롯(53)에 장착되었을 때 (알고리즘베이(12)의 장착 방향(접속 형태)을, 예를 들면, 슬롯(53)의 상면(53A)에 수직한 단면 중의 장착 방향의 면(53B)과 접하는 알고리즘베이(12)의 면에서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알고리즘베이(12)의 장착 방향이, 면(12D)일 때), 도 1의 셀렉터부(34)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제1 기능 제공부(32)로부터 제공되는 제1 기능을 선택하여, 인터페이스(31), 및,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21)의 기능을, 선택한 제1 기능으로 변경한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2의 중앙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가, 그 면(12C)이 신호 처리 장치(11)의 정면(11A) 측이 되도록, 슬롯(53)에 장착되었을 때(알고리즘베이(12)의 장착 방향이, 면(12E)일 때), 도 1의 셀렉터부(34)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제2 기능 제공부(33)로부터 제공되는 제2 기능을 선택하여, 인터페이스(31), 및,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21)의 기능을, 선택한 제2 기능으로 변경한다.
또한, 제1 및 제2 기능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1의 예에서는, 알고리즘베이(12)에 의해 변경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은, 제1 및 제2 기능의 2개의 기능으로 되어 있지만, 알고리즘베이(12)에 의해 변경되는 기능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알고리즘베이(12)가,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제3 기능 제공부를 더 갖고 있는 경우,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가, 그 면(12D)이 신호 처리 장치(11)의 정면(11A) 측이 되도록, 슬롯(53)에 장착되었을 때 (알고리즘베이(12)의 장착 방향이, 면(12B)일 때), 도 1의 셀렉터부(34)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제3 기능 제공부로부터 제공되는 제3 기능을 선택하여, 인터페이스(31), 및,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21)의 기능을, 선택한 제3 기능으로 변경한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의 접속 형태는, 상술한 알고리즘베이(12)가 신호 처리 장치(11)에 장착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접속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이면 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12)가 신호 처리 장치(11)에 무선으로 접속되는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하면(인터페이스(22)와 인터페이스(31)가 무선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하면), 알고리즘베이(12)의 인터페이스(무선 인터페이스)(31)와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무선 인터페이스)(22) 간의 거리(이하, 그와 같은 거리를, 적절하게, 무선 통신 간 거리라고 칭함)에 따라, 알고리즘베이(12)의 접속 형태를 구별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와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통신 간 거리가, 제1 길이(43)가 되는 경우(가장 긴 경우), 도 1의 셀렉터부(34)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제1 기능 제공부(32)로부터 제공되는 제1 기능을 선택하여, 인터페이스(31), 및,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21)의 기능을, 선택한 제1 기능으로 변경한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3의 중앙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와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통신 간 거리가, 제2 길이(44)가 되는 경우(중간의 길이인 경우), 도 1의 셀렉터부(34)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제2 기능 제공부(33)로부터 제공되는 제2 기능을 선택하여, 인터페이스(31), 및,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21)의 기능을, 선택한 제2 기능으로 변경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가,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제3 기능을 제공하는 제3 기능 제공부를 더 갖고 있는 경우, 도 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와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통신 간 거리가, 제3 길이(45)가 될 때(가장 짧을 때), 도 1의 셀렉터부(34)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제3 기능 제공부(도시 생략)로부터 제공되는 제3 기능을 선택하고, 인터페이스(31), 및,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21)의 기능을, 선택한 제3 기능으로 변경한다.
이상,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의 개략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신호 처리 시스템(1)은, 여러 가지 실시 형태가 실현 가능하다.
그와 같은 여러 가지 실시 형태의 구성예가, 도 4, 도 7, 도 9, 및, 도 12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래서, 이하, 도 4에 도시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을, 제1 실시 형태로 하고, 도 7에 도시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을, 제2 실시 형태로 하고, 도 9에 도시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을, 제3 실시 형태로 하고, 도 12에 도시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을, 제4 실시 형태로 하여, 각각 개별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의 그것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부(21)는, 콤포지트 신호인 입력 신호(41)를,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하여, 그것을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21)에는, 신호 처리부(21)의 전체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51), 및, 콤포지트 신호인 입력 신호(41)를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하는 1/3 변환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컴포넌트 신호는, 예를 들면, 휘도 성분(Y)과 2개의 색차 성분(청-휘도(B-Y)와 적-휘도(R-Y))의 3 요소, 혹은, 적신호(R), 초록 신호(G), 및, 청신호(B)의 3 요소로 구성된다. 콤포지트 신호는, 이들의 3 요소에 대응하는 신호, 동기 신호, 및, 컬러버스트 신호 등을 전부 하나로 합성한 신호로서, 예를 들면, 텔레비전 방송의 NTSC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규격의 신호 등이 콤포지트 신호이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는, 1/3 변환부(52)는, 하나의 콤포지트 신호를, 3개의 독립한 신호(본 예에서는, 휘도 성분의 신호(Y 신호), 청-휘도 신호(B-Y 신호), 및, 적-휘도 신호(R-Y 신호))로 구성되는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하게 되기 때문에, 이하, 그와 같은 1/3 변환부(52)에 의한 처리를, 1/3 변환 처리라고 칭한다.
도 4의 알고리즘베이(12)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1/3 변환부(52)에 의해 생성된 컴포넌트 신호에 대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그 처리의 결과(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컴포넌트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1)에 제공한다.
또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는,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제안된 이하와 같은 처리이다.
즉,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는, 클래스 분류 처리와 적응 처리에서 이루어지고, 클래스 분류 처리에 의해서, 신호(데이터)가, 그 성질에 기초하여 클래스 분류되어, 각 클래스마다 적응 처리가 실시된다.
또한, 여기서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화상 신호에 대한 공간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준 해상도의 화상 신호(이하, 적절하게, SD(Standard Definition) 화상 신호라고 칭함)를, 고해상도의 화상 신호(이하, 적절하게, HD(High Definition) 화상 신호라고 칭함)로 변환하는 공간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응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적응 처리에서는, SD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이하, 적절하게, SD 화소라 함)와, 소정의 탭 계수와의 선형 결합에 의해, 그 SD 화상의 공간 해상도를 향상시킨 HD 화상의 화소의 예측치를 구함으로써, 그 SD 화상의 해상도를 향상시킨 화상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금, 어떤 HD 화상을 교사 데이터로 함과 함께, 그 HD 화상의 해상도를 열화시킨 SD 화상을 생도 데이터로 하여, HD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이하, 적절하게, HD 화소라 함)의 화소값 y의 예측치 E[y]를, 몇 개의 SD 화소(SD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의 화소값 x1, x2, ‥의 집합과, 소정의 탭 계수 w1, w2, ‥의 선형 결합에 의해 규정되는 선형 1 차 결합 모델에 의해 구하는 것을생각하다. 이 경우, 예측치 E[y]는, 수학식 1으로 나타내어진다.
수학식 1 을 일반화하기 위해서, 탭 계수 wj의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행렬 W, 생도 데이터 xij의 집합으로 되는 행렬 X, 및 예측치 E[yi]의 집합으로 되는 행렬 Y'을, 수학식 2 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한다.
수학식 2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정의하면, 수학식 3에 나타내어지는 것 같은 관측 방정식이 성립한다.
수학식 3에 있어서, 행렬 X의 성분 xij는, i 번째의 생도 데이터의 집합(i 번째의 교사 데이터 yi의 예측에 이용하는 생도 데이터의 집합) 중의 j 번째의 생도 데이터를 의미하며, 행렬 W의 성분 wj는, 생도 데이터의 집합 중의 j 번째의 생도 데이터와의 곱이 연산되는 탭 계수를 나타낸다. 또한, yi는, i 번째의 교사 데이터를 나타내고, 따라서, E[yi]는, i 번째의 교사 데이터의 예측치를 나타낸다. 또한, 수학식 1의 좌변에서의 y는, 행렬 Y의 성분 yi의 부지수 i를 생략한 것이고,또한, 수학식 1의 우변에 있어서의 x1, x2, ‥도, 행렬 X의 성분 xij의 부지수 i를 생략한 것이다.
그리고, 이 관측 방정식에 최소 제곱법을 적용하여, HD 화소의 화소값 y에 가까운 예측치 E[y]를 구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 경우, 교사 데이터가 되는 HD 화소의 참된 화소값 y의 집합으로 되는 행렬 Y, 및 HD 화소의 화소값 y에 대한 예측치 E[y]의 잔차 e의 집합으로 되는 행렬 E를, 정의하면, 수학식 4에 도시된 바와 같이된다.
이 수학식 4으로부터, 수학식 5에 나타내어지는 것 같은 잔차 방정식이 성립한다.
이 경우, HD 화소의 화소값 y에 가까운 예측치 E[y] 를 구하기 위한 탭 계수 wj는, 수학식 6으로 나타내어지는 제곱 오차를 최소로 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곱 오차를 탭 계수 wj로 미분한 것이 0이 되는 경우, 즉, 수학식 7을 만족하는 탭 계수 wj가, HD 화소의 화소값 y에 가까운 예측치 E[y]를 구하기 위해서 최적값이라는 의미가 된다.
그래서, 우선, 상술한 수학식 5를, 탭 계수 wj로 미분함으로써, 수학식 8이 성립한다.
상술한 수학식 7 과 수학식 8로부터, 수학식 9가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수학식 5의 잔차 방정식에 있어서의 생도 데이터 xij, 탭 계수 wj, 교사 데이터 yi, 및 잔차 ei의 관계를 고려하면, 수학식 9으로부터, 수학식 10에 나타내어지는 것 같은 정규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수학식 10에 나타내어진 정규 방정식에 있어서는, 행렬(모두 분산행렬) A 및 벡터 v를, 수학식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한다.
또한, 벡터 W를, 상술한 수학식 2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정의하면, 수학식 10은, 수학식 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수학식 10에 있어서의 각 정규 방정식은, 생도 데이터 xij 및 교사 데이터 yi의 세트를, 어느 정도의 수만 준비함으로써, 구해야되는 탭 계수 wj의 수 J와 동일한 수만 세울 수 있고, 따라서, 상술한 수학식 12를, 벡터 W에 대하여 푸는 것에 의해(단, 수학식 12를 풀기 위해서는, 수학식 12에 있어서의 행렬 A가 정칙일 필요가 있음), 최적의 탭 계수 wj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2를 푸는 데 있어서는, 예를 들면, Gauss-Jordan 법(Gauss-Jordan의 소거법) 등을 이용하는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생도 데이터와 교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도 데이터와 탭 계수로부터, 교사 데이터를 예측하는 데 최적의 탭 계수 wj를 구하는 학습을 해 놓고, 또한, 그 탭 계수 wj를 이용하여,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해, 교사 데이터 y에 가까운 예측치 E[y]를 구하는 것이 적응 처리이다.
또한, 적응 처리는, SD 화상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HD 화상에 포함되는 성분이 재현되는 점에서, 예를 들면, 단순한 보간 처리와 다르다. 즉, 적응 처리에서는, 상술한 수학식 1 만을 보는 한에 있어서는, 소위 보간 필터를 이용한 보간 처리와 동일하게 보이지만, 그 보간 필터의 탭 계수에 상당하는 탭 계수 w가, 교사 데이터와 생도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에 의해 구해지기 때문에, HD 화상에 포함되는 성분을 재현할 수 있다. 이런 것으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은 적응 처리는, 말하자면 화상의 창조(해상도 창조) 작용이 있는 처리라고 칭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적응 처리를, 다른 적응 처리와 구별하기 위해서,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라고 칭한다. 또한,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탭 계수(상술한 바와 같은 탭 계수)를, 해상도 창조용 계수라고 칭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적응 처리에 대하여, 공간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적응 처리에 따르면, 교사 데이터 및 생도 데이터를 바꿔 학습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여러 가지의 탭 계수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S/N (Signal to Noise Ratio)의 향상이나, 흐려짐의 개선, 그 밖의 각종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S/N의 향상이나 흐려짐의 개선을, 적응 처리에 의해서 행하기 위해서는, S/N가 높은 화상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 함과 함께, 그 교사 데이터의 S/N을 저하시킨 화상(혹은, 흐릿한 화상)을 생도 데이터로 하여, 탭 계수를 구하면 된다.
이러한 적응 처리를, 이하, 다른 적응 처리와 구별하기 위해서,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라고 칭한다. 또한,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를, 이하, 노이즈 제거용 계수라고 칭한다.
또한,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및,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 및 노이즈 제거용 계수의 상세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출원된 특허출원2001-11069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상,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개략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와 같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것이, 도 4의 알고리즘베이(12)이다.
즉, 알고리즘베이(12)에는, 인터페이스(31), 신호 처리 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컴포넌트 신호(1/3 변환부(52)에 의해 생성되어, 제어부(51), 인터페이스(22), 및,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공급되는 컴포넌트 신호)의 특징을 검출하여, 그 특징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상술한 클래스 분류 처리를 행함) 특징 검출부(61), 및, 특징 검출부(61)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탭 계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 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컴포넌트 신호에 대하여, 상술한 적응 처리를 실시하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신호 처리 장치(11)에공급하는 적응 처리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알고리즘베이(12)에는 또한, 적응 처리부(62)에 의한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63-1), 및, 스위치(63-2), 적응 처리부(62)에 의한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기억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64), 및, 적응 처리부(62)에 의한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기억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6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스위치(63-1), 및, 스위치(63-2)의 각각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의 상면(12A)(또는, 상면(12A)에 대향하는 면) 상에 형성되어, 신호 처리 장치(11)의 슬롯(53)의 상면(53A) 상에 형성되어 있는 도전부(54)와 접함으로써, 그 양단부가 도통함으로써 온하는 메카니컬 스위치가 된다.
즉, 슬롯(53)에 알고리즘베이(12)가 장착되면, 알고리즘베이(12)의 장착 방향에 따라, 알고리즘베이(12)의 스위치(63-1, 또는, 63-2) 중 어느 것과, 도전부(54)가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장착 방향은, 슬롯(53)의 면(53B)과 접하는 알고리즘베이(12)의 면에서 표시된다.
즉, 알고리즘베이(12)가, 그 장착 방향이 면(12D)이 되도록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11)의 슬롯(53)에 장착되면, 스위치(63-1)가 도전부(54)와 접촉하여 온 상태가 된다.
이것에 대하여, 알고리즘베이(12)가, 그 장착 방향이 면(12E)이 되도록(도 2의 중앙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11)의 슬롯(53)에 장착되면, 스위치(63-2)가 도전부(54)와 접촉하여 온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의 측면(12B)에는, 「제1 기능」이라는 문자가, 측면(12C)에는, 「제2 기능」이라는 문자가, 각각 인쇄되어 있다.
이들의 문자는, 사용자 등이, 알고리즘베이(12)를 신호 처리 장치(11)에 장착하는 경우, 그 장착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인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기능」이라고 인쇄되어 있는 면(12B)을 신호 처리 장치(11)의 정면(11A) 측으로 향하도록(장착 방향을, 면(12D)으로 하도록), 알고리즘베이(12)를 신호 처리 장치(11)의 슬롯(53)에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는, 장착된 알고리즘베이(12)의 면(12B)에 인쇄된「제1 기능」이라는 문자를 시인함으로써, 그「제1 기능」이라는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알고리즘베이(12)의 장착 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기능 중의 하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제1 기능」이라는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은, 스위치(63-1)가 온 상태가 되는 경우의 기능, 즉, 도 4의 알고리즘베이(12)의 적응 처리부(62)가,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 기능」이라고 인쇄되어 있는면(12C)을 신호 처리 장치(11)의 정면(11A) 측으로 향하도록(장착 방향을, 면(12E)으로 하도록), 알고리즘베이(12)를 신호 처리 장치(11)의 슬롯(53)에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는, 장착된 알고리즘베이(12)의 면(12C)에 인쇄된「제2 기능」이라는 문자를 시인함으로써, 그「제2 기능」이라는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알고리즘베이(12)의 장착 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기능 중의 하나)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제2 기능」이라는 문자에 대응하는 기능은, 스위치(63-2)가 온 상태가 되는 경우의 기능, 즉, 도 4의 알고리즘베이(12)의 적응 처리부(62)가,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65)에 기억되어 있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의 예에서는, 문자에 의해, 그것에 대응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시인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알고리즘베이(12)가, 제1 접속 형태(제1 장착 방향)에 대응하는 제1 위치(예를 들면, 면(12B))에, 제1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함과 함께, 제2 접속 형태(제2 장착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위치(예를 들면, 면12C)에, 제2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방식이면 된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도 5의 스위치(63-3)와 스위치(63-4)는, 미사용으로 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의 미사용의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알고리즘베이(12)는, 더욱 여러 가지 정보(기능)를, 신호 처리 장치(11)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4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입력 신호(41)는, 콤포지트 신호가 된다.
단계 S1에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1/3 변환부(52)는, 콤포지트 신호(입력 신호(41))를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1)에 제공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제어부(51)는, 알고리즘베이(12)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12)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51)는, 단계 S3에 있어서, 단계 S1의 처리에서 1/3 변환부(52)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그대로 출력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 S2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12)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51)는, 단계 S1의 처리에서 1/3 변환부(52)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를, 인터페이스(22), 및, 알고리즘베이(12)의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특징 검출부(61)에 공급한다. 이 때, 단계 S4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12)의 특징 검출부(61)는,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의 특징을 검출하여, 검출한 특징에 기초하여, 그 컴포넌트 신호의 클래스를 결정한다. 특징 검출부(61)는, 컴포넌트 신호의 클래스를 결정하면, 그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를 적응 처리부(62)에 공급한다.
단계 S5에 있어서, 적응 처리부(62)는,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장착 방향을 따라서 도전된 계수 기억부에 기억된 계수 중의, 단계 S4의 처리에서 특징 검출부(61)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를 이용하여, 컴포넌트 신호에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인터페이스(31),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어부(51)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63-1)가 온 상태가 되는 접속 형태로(접속 방향이, 면(12D)이 되도록), 알고리즘베이(12)가 신호 처리 장치(11)의 슬롯(53)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적응 처리부(62)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 장치(11)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에,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신호 처리 장치(11)에 공급한다.
이것에 대하여, 스위치(63-2)가 온 상태가 되는 접속 형태로(접속 방향이, 면(12E)이 되도록), 알고리즘베이(12)가 신호 처리 장치(11)의 슬롯(53)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적응 처리부(62)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65)에 기억되어 있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 장치(11)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에,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신호 처리 장치(11)에 공급한다.
환언하면, 도 4의 신호 처리 장치(11)는, 콤포지트 신호인 입력 신호(41)를,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제1 계수인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하는 제1 기능과, 콤포지트 신호인 입력 신호(41)를,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제2 계수인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이용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하는 제2 기능을 갖고 있다.
이들의 제1 및 제2 기능은, 알고리즘베이(12)의 스위치(63-1)와 스위치(63-2)에 의해 선택된다. 환언하면,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접속 형태(장착 방향)에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은, 제1 또는 제2 기능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12)가 변경하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의 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위치(63-3), 및, 스위치(63-4)가 미사용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이들의 2개의 각각에, 새로운 탭 계수 기억부를 접속함으로써, 알고리즘베이(12)는, 2개의 새로운 기능(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새로운 2개의 기능의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신호 처리 장치(11)에 더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6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51)는, 단계 S5의 처리에서 알고리즘베이(12)의 적응 처리부(62)에 의해 적응 처리가 실시된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한다.
단계 S7에 있어서, 제어부(51)는, 모든 입력 신호(41)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51)는, 아직 모든 입력 신호(41)가 처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그 처리를, 단계 S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모든 콤포지트 신호인 입력 신호(41)가,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되어(필요에 따라서 또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되어), 출력 신호(42)로서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모든 입력 신호(41)가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되면(최후의 출력 신호(42)가 출력되면), 단계 S7에 있어서, 모든 입력 신호(41)가 처리되었다고 판정되고, 그 처리가 종료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4의 그것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어 있다.
도 7의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는, 도 4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단, 인터페이스(22)는, 유선이 아니라 무선 인터페이스로 된다. 즉,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는 무선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도 4)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의 접속 형태는,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장착 방향이라고 되었지만, 제2 실시 형태(도 7)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의 접속 형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의 무선 통신 간 거리(무선 인터페이스(22)와 무선 인터페이스(31) 간의 거리)가 된다.
이 때문에, 도 7의 예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11)에는 또한, 이 무선 통신 간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71)가 설치되어 있다.
거리 검출부(71)의 무선 통신 간 거리의 검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전파(전계) 강도, 무선 통신의 에러율(패킷 손실), 또는, 클럭의위상차 등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간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의 알고리즘베이(12)의 기능은, 도 4의 알고리즘베이(12)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의 알고리즘베이(12)에도, 도 4의 그것과 같이, 특징 검출부(62), 적응 처리부(62),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64), 및,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65)가 설치되어 있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는 무선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인터페이스(31)는, 유선이 아니라 무선 인터페이스가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의 접속 형태는,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의 무선 통신 간 거리가 되기 때문에, 도 7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도 4의 스위치(63-1), 및, 스위치(63-2) 대신에, 스위치(81)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81)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51)의 무선 제어(무선 인터페이스(22)와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한 제어)에 의해, 그 스위치(도전 방향)가 전환된다. 즉, 제어부(51)는, 거리 검출부(71)에 의해 검출된 무선 통신 간 거리에 기초하여, 스위치(81)를,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64) 측, 또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65) 측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한다.
도 7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의 처리는, 도 8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그 기본적인 처리는, 도 4의 그것과 동일하다. 즉, 도 8의 단계 S21 내지 S29의각각의 기본적인 처리는, 상술한 도 6의 대응하는 처리(단계 S1 내지 S7 중의 대응하는 처리)와 동일한 처리이다.
단, 도 8의 단계 S24 내지 S28의 처리는, 도 6의 단계 S4내지 S6의 처리와 약간 서로 다르다. 그래서, 이하, 도 8의 단계 S24 내지 S28의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단계 S22에 있어서, 도 7의 알고리즘베이(12)가 무선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4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거리 검출부(71)는, 제어부(51)의 제어에 기초하여,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무선 인터페이스(22)와 무선 인터페이스(31) 간의 거리)를 검출하여, 제어부(51)에 공급한다.
또한, 이 예의 단계 S22의 처리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어부(51)가, 알고리즘베이(12)와 무선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을지(거리 검출부(71)에 의해 검출되는 전파(전계) 강도가 소정의 레벨 이상인지) 여부에 의해, 알고리즘베이(12)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25에 있어서, 제어부(51)는, 단계 S24의 처리에서 거리 검출부(71)에 의해 검출된 거리에 따라서, 알고리즘베이(12)의 계수 기억부의 스위치(81)를, 무선 인터페이스(22) 및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전환한다.
이 때, 제어부(51)는, 단계 S21의 처리에서 1/3 변환부(52)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22), 및, 알고리즘베이(12)의 무선 인터페이스(31)을 통하여 특징 검출부(61)와 적응 처리부(62)에 공급하면, 단계 S26에 있어서, 특징 검출부(61)는,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의 특징을 검출하여, 그클래스를 결정하여, 적응 처리부(62)에 공급한다.
단계 S27에 있어서, 적응 처리부(62)는, 스위치(81)가 전환된 방향의(스위치가 들어간) 계수 기억부에 기억된 계수 중의, 단계 S26의 처리에서 특징 검출부(61)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를 이용하여, 컴포넌트 신호에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무선 인터페이스(31),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어부(51)에 공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위치(81)가,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64) 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 적응 처리부(62)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 장치(11)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에,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신호 처리 장치(11)에 무선으로 공급한다.
이것에 대하여, 스위치(81)가,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65) 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 적응 처리부(62)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65)에 기억되어 있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 장치(11)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에,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신호 처리 장치(11)에 무선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단계 S28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51)는, 단계 S27의 처리에서 알고리즘베이(12)의 적응 처리부(62)에 의해 적응 처리가 실시된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한다.
<제3 실시 형태>
이상,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알고리즘베이(12)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즉,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접속 형태에 따라서, 알고리즘베이(12)의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 이용하는 탭 계수가 변화함(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기능이 변화함)으로써, 신호 처리 장치(11)의 기능이 변화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3 실시 형태와, 후술하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접속 형태와, 협조 분담처의 기기가 관련되게 만들어져 있고, 그 접속 형태에 따라서, 대응하는 협조 분담처의 기기가 특정되어,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특정한 협조 분담처에 따른 기능으로 변경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어, 도 1의 그것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어 있다.
신호 처리 장치(11)에는, 신호 처리부(21), 알고리즘베이(12)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인터페이스(22),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의 무선 통신 간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114), 및, 협조 분담처인 DVD (Digital Versatile Disk) 플레이어(91)와 서로 통신을 행하는 인터페이스(115)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21)에는, 1/3 변환부(111), 제어부(112), 및, 스위치(113)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113)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기초하여 전환되고, 스위치(113)가1/3 변환부(111) 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 1/3 변환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컴포넌트 신호(콤포지트 신호인 입력 신호(41)가, 1/3 변환부(111)에 의해 변환된 컴포넌트 신호)가, 출력 신호(42)로서 출력된다. 이것에 대하여, 스위치(113)가 제어부(112) 측으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컴포넌트 신호(후술하는 알고리즘베이(12)로부터 공급되는 컴포넌트 신호)가, 출력 신호(42)로서 출력된다.
도 9의 알고리즘베이(12)의 구성은, 상술한 도 7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즉, 도 9의 무선 인터페이스(31), 특징 검출부(121), 적응 처리부(122), 및, 스위치(123)의 각각은, 도 7의 무선 인터페이스(31), 특징 검출부(61), 적응 처리부(62), 및, 스위치(81)의 각각과 기본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단, 도 7의 계수 기억부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64)와,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65)로 되었지만, 도 9의 계수 기억부는,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4)와,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5)로 된다.
이하,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4)에 기억되는 탭 계수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즉, 적응 처리부(122)는, 콤포지트 신호를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1/3 변환)와, 공간 해상도를 향상하는 처리를, 적응 처리에 의해서 일괄해서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탭 계수는, 컴포넌트 신호의 HD 신호를 교사 데이터로 함과 함께, 그 교사 데이터의 공간 해상도를 저하시키고, 또한 콤포지트 신호로 변환한 SD 신호를 생도 데이터로서, 상술한 방식에 따라서 구할 수 있다.
또한, 이하, 그와 같은 적응 처리를, 다른 적응 처리와 구별하기 위해서,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라고 칭한다. 또한,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상술한 바와 같이하여 구해진 탭 계수)를,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라고 칭한다.
이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4)이다.
협조 분담처인 DVD 플레이어(91)에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DVD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 그것을 디코드하여, 컴포넌트 신호로서 출력하는 MPEG 디코드부(101), 및, MPEG 디코드부(101)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에 대하여, 상술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는 특징 검출부(102), 및, 적응 처리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DVD 플레이어(91)에는 또한, 적응 처리부(103)에 의한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06), 적응 처리부(103)에 의한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기억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04), 적응 처리부(103)에 의한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기억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105),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115)와 서로 통신하는 인터페이스(107)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106)는, 통상,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04) 측으로 전환되어 있지만, DVD 플레이어(91)가 알고리즘베이(12)와 협조 분담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112)의 인터페이스(115) 및 인터페이스(107)를 통한 제어에 의해,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105) 측으로 전환된다.
다음에, 도 10과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9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115)와 DVD 플레이어(91)의 인터페이스(107)는, 미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0의 단계 S41에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부(21)는, 콤포지트 신호(입력 신호(41))를 입력한다.
단계 S42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21)의 제어부(112)는, 알고리즘베이(12)가 무선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2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12)가 무선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112)는, 단계 S43에 있어서, 1/3 변환부(11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12)는, 스위치(113)를, 1/3 변환부(111) 측으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입력 신호(41)는, 1/3 변환부(111)에 의해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 신호(42)로서 외부로 출력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 S42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12)가 무선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5에 있어서, 거리 검출부(114)는, 제어부(112)의 제어에 기초하여,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무선 인터페이스(22)와 무선 인터페이스(31) 간의 거리)를 검출하여, 제어부(112)에 공급한다.
도 11의 단계 S46에 있어서, 제어부(112)는, 신호 처리 장치(11)가, 단계 S45(도 10)의 처리에서 거리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에 따른 협조 분담처(DVD 플레이어(91))에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소정의 접속 형태(제1 무선 통신 간 거리(단, 일정한 범위 내에 포함되는 거리))에 대하여, 알고리즘베이(12)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DVD 플레이어(91)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제어부(112)는, 거리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가, 제1 무선 통신 간 거리일 때, 신호 처리 장치(11)가,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에 따른 협조 분담처(DVD 플레이어(91))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이것에 대하여, 제어부(112)는, 거리 검출부(114)에 의해 검출된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가, 제1 무선 통신 간 거리 이외인 경우(제2 무선 통신 간 거리인 경우), 신호 처리 장치(11)가,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에 따른 협조 분담처(DVD 플레이어(91))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면, 지금, 단계 S46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1)가,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에 따른 협조 분담처(DVD 플레이어(91))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7 내지 S51, 및, S56의 처리가 실행되어, DVD 플레이어(91) (MPEG 디코드부(10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에, DVD 플레이어(91)와 알고리즘베이(12)의 협조 분담에 의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되어, 그것이 출력 신호(42)로서 외부로 출력된다.
즉, 단계 S47에 있어서, 제어부(112)는, 무선 인터페이스(22), 및,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알고리즘베이(12)의 스위치(123)를,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5) 측으로 전환한다.
단계 S48에 있어서, 제어부(112)는, 인터페이스(115), 및, 인터페이스(107)를 통하여, DVD 플레이어(91)의 스위치(106)를,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105) 측으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DVD 플레이어(91)의 MPEG 디코드부(101)로부터 출력된 컴포넌트 신호가, 특징 검출부(102), 및, 적응 처리부(103)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되어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105)에 기억되어 있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가 실시되어), 인터페이스(107),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115)를 통하여 제어부(112)에 공급된다.
제어부(112)에 공급된 DVD 플레이어(9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는,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22), 및, 알고리즘베이(12)의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특징 검출부(121)와 적응 처리부(122)에 공급된다.
이 때, 단계 S50에 있어서, 특징 검출부(121)는, 공급된 DVD 플레이어(9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의 특징을 검출하여, 그 클래스를 결정하여, 적응 처리부(122)에 공급한다.
단계 S51에서, 적응 처리부(122)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5)에 기억되어 있는 계수 중의, 단계 S50의 처리에서 특징 검출부(121)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DVD 플레이어(91)로부터의컴포넌트 신호에 적응 처리(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무선 인터페이스(31),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어부(112)에 공급한다.
단계 S56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112)는, 스위치(113)를, 제어부(112) 자신 측으로 전환하여, 알고리즘베이(12)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단계 S51의 처리에서 알고리즘베이(12)로부터 공급된, DVD 플레이어(9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한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단계 S46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1)가,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에 따른 협조 분담처(DVD 플레이어(91))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2 내지 S56의 처리가 실행되어, 콤포지트 신호(입력 신호(41))가, 알고리즘베이(12)에 의해,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됨과 함께,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단,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 만)가 실시되어, 그것이 출력 신호(42)로서 외부로 출력된다.
즉, 단계 S52에 있어서, 제어부(112)는, 무선 인터페이스(22), 및,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알고리즘베이(12)의 스위치(123)를,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4) 측으로 전환한다.
단계 S53에 있어서, 제어부(112)는, 도 10의 단계 S41의 처리에서 입력한 콤포지트 신호(입력 신호(41))를, 알고리즘베이(12)에 공급한다(무선 인터페이스(22), 및, 알고리즘베이(12)의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특징 검출부(121)와 적응 처리부(122)에 공급한다).
단계 S54에 있어서, 특징 검출부(121)는, 공급된 콤포지트 신호(입력 신호(41))의 특징을 검출하여, 그 클래스를 결정하여, 적응 처리부(122)에 공급한다.
단계 S55에 있어서, 적응 처리부(122)는,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4)에 기억되어 있는 계수 중의, 단계 S54의 처리에서 특징 검출부(121)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콤포지트 신호(입력 신호(41))에 적응 처리(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컴포넌트 신호로 한다.
이 컴포넌트 신호는, 무선 인터페이스(31),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어부(112)에 공급된다.
단계 S56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112)는, 스위치(113)를, 제어부(112) 자신 측으로 전환하여, 알고리즘베이(12)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단계 S55의 처리에서 알고리즘베이(12)로부터 공급된, 입력 신호(41) (콤포지트 신호)에 대응하는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한다.
도 10으로 되돌아가, 단계 S43, 또는, 도 11의 단계 56의 처리가 실행된 후, 단계 44에 있어서, 제어부(112)는, 모든 신호(입력 신호(41), 또는, DVD 플레이어(91)에서의 신호)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112)는, 아직 모든 신호가 처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그 처리를, 단계 S4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모든 신호가, 컴포넌트 신호인 출력 신호(42)로서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단계 S44에 있어서, 모든 신호가 처리되었다고 판정하면, 그 처리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도 9의 신호 처리 장치(11)는, 콤포지트 신호인 입력 신호(41)를, 컴포넌트 신호로 변환함과 함께,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하는 제1 기능과, 노이즈 적응 처리가 실시된 DVD 플레이어(9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에 대하여, 또한,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하는(DVD 플레이어(91)와 알고리즘베이(12)의 협조 분담에 의한 적응 처리가 실시된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함) 제2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협조 분담처인 DVD 플레이어(91)와,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소정의 접속 형태(예를 들면,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인터페이스(22)와, 알고리즘베이(12)의 무선 인터페이스(31) 간의 거리가, 제1 무선 통신 간 거리)가 대응되어 있고, 알고리즘베이(12)와 신호 처리 장치(11)가, 제1 무선 통신 간 거리에서 서로 무선 통신하도록 접속되면,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화한다.
이것에 대하여, 알고리즘베이(12)와 신호 처리 장치(11)가, 제1 무선 통신 간 거리 이외의 무선 통신 간 거리(제2 무선 통신 간 거리)로 서로 무선 통신하도록 접속되면,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화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의 그것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어 있다.
도 12의 신호 처리 장치(11)(제4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11))는, 도 9의 신호 처리 장치(11)(제3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11))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즉, 도 12의 무선 인터페이스(22), 및, 1/3 변환부(171) 내지 거리 검출부(175)의 각각은, 도 9의 무선 인터페이스(22), 및, 1/3 변환부(111) 내지 거리 검출부(115)의 각각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도 12의 알고리즘베이(12)에는, 무선 인터페이스(31), 특징 검출부(181), 적응 처리부(182), 및,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8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도 12의 무선 인터페이스(31), 특징 검출부(181), 적응 처리부(182), 및,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83)의 각각은, 도 9의 알고리즘베이(12)의 무선 인터페이스(31), 특징 검출부(121), 적응 처리부(122), 및, 1/3 변환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4)의 각각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된다.
단, 도 12의 알고리즘베이(12)에는, 도 9의 스위치(123)에 대응하는 스위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125) 대신에, 계수종 기억부(184)가 설치되어 있다.
계수종 기억부(184)는, 노이즈 제거와 해상도 창조를 일괄해서 적응 처리에 의해 행하기 위한 탭 계수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식에 이용하는 계수(이하, 탭 계수와 구별하기 위해서, 계수종이라 칭함)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이하, 노이즈 제거와 해상도 창조를 일괄해서 행하는 적응 처리를, 다른 적응 처리와 구별하기 위해서,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라고 칭한다. 또한,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에 이용하는 탭 계수를, 이하,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라고 칭한다.
또한, 계수종 기억부(184)는, 이 계수종으로부터,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생성하여, 생성한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중의 일부를 자기 자신의 빈 메모리에 기억함과 함께, 남은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무선 인터페이스(31),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어부(172)에 공급한다.
제어부(172)는, 공급된 계수를, 인터페이스(174)를 통하여 후술하는 BS(Broadcasting Satellite) 튜너(151)의 계수용 기억부(165)에 기억시킨다.
이와 같이, 계수종 기억부(184)는,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생성하는 블록이기도 하기 때문에, 이하, 적절하게,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생성부라고도 칭한다.
또한, 계수종으로부터 탭 계수를 생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상술한 수학식 1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 wj는, 계수종을 qjk (k는, 0 내지 K의 정수값. 단, 여기서는, K는, 예를 들면, 9로 함)로 나타내면, 수학식 13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은, 파라미터 s, z를 포함하는 생성식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상, 계수종으로부터 탭 계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였지만, 그 상세는,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출원된 특허출원2001-11069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협조 분담처인 BS 튜너(151)에는, MPEG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BS 방송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것을 디코드하여, 컴포넌트 신호로서 출력하는 MPEG 디코드부(161), 및, MPEG 디코드부(161)로부터 공급된 컴포넌트 신호에 대하여, 상술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는 특징 검출부(162), 및, 적응 처리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BS 튜너(151)에는 또한,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174)와 서로 통신하는 인터페이스(167), 적응 처리부(163)에 의한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66), 적응 처리부(163)에 의한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기억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164),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172)로부터 인터페이스(174) 및 인터페이스(167)를 통하여 공급되는 탭 계수(상술한 알고리즘베이(12)의 계수종 기억부(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생성부)(184)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기억하는 계수용 기억부(165)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166)는, 통상,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164) 측으로 전환되어 있지만, BS 튜너(151)가 알고리즘베이(12)와 협조 분담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실시하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172)의 인터페이스(174) 및 인터페이스(167)를 통한 제어에 의해, 계수용 기억부(165) 측으로 전환된다. 이 경우, 적응 처리부(163)는, 계수용 기억부(165)에 기억되어 있는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MPEG 디코드부(16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하여, 인터페이스(167),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174)를 통하여 제어부(172)에 공급한다.
다음에, 도 13과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2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174)와 BS 튜너(151)의 인터페이스(167)는, 미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3의 단계 S71 내지 S75의 처리의 각각은, 상술한 도 10의 단계 S1 내지 S45의 각각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다. 즉, 도 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알고리즘베이(1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의 처리는, 도 9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또한, 도 14의 단계 S82 내지 S85의 처리의 각각은, 도 11의 단계 S53 내지 S56의 처리의 각각과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즉, 도 12의 신호 처리 장치(11)가,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에 따른 협조 분담처(단, 도 12의 예에서는, BS 튜너(151))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도 12의 단계 S76의 처리에서 NO 라고 판정된 경우)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의 처리는, 도 11의 단계 S46의 처리에서 NO 라고 판정된 경우의 도 9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다(단, 도 9인 경우는, 알고리즘베이(12)의 스위치(123)의 전환 처리(도 11의 단계 S52의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 도 14의 단계 S77 내지 S81의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단계 S76의 처리에 있어서, 도 12의 신호 처리 장치(11)가, 무선 인터페이스 간의 거리에 따른 협조 분담처(BS 튜너(151))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7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172)는, 인터페이스(174), 및, 인터페이스(167)를 통하여, BS 튜너(151)의 스위치(166)를, 계수용 기억부(165) 측으로 전환한다.
단계 S78에 있어서, 제어부(172)는, 무선 인터페이스(22), 및, 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계수종 기억부(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생성부)(184)을 제어하여, 계수종 기억부(184)에 기억되어 있는 계수종으로부터,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생성하여, 계수종 기억부(184)의 빈 메모리, 또는, BS 튜너(151)의 계수용 기억부(165)에 기억시킨다.
환언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계수종 기억부(184)는, 자기 자신이 미리 기억하고 있는 계수종으로부터,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생성하여, 생성한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중의 일부를 자기 자신의 빈 메모리에 기억함과 함께, 남은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무선 인터페이스(31),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제어부(172)에 공급한다.
제어부(172)는, 공급된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인터페이스(174), 및, BS 튜너(151)의 인터페이스(167)를 통하여, 계수용기억부(165)에 기억시킨다.
이에 의해, BS 튜너(151)의 MPEG 디코드부(161)로부터 출력된 컴포넌트 신호는, 특징 검출부(162), 및, 적응 처리부(163)에 의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되어(계수용 기억부(165)에 기억되어 있는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가 실시되어), 인터페이스(167),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174)를 통하여 제어부(172)에 공급된다.
이 때,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어부(172)는, 단계 S79에 있어서, BS 튜너(151)의 계수용 기억부(164)에, BS 튜너(151)의 특징 검출부(162)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가 기억되어 있을지 여부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172)는, BS 튜너(151)의 적응 처리부(163)로부터,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가 실시된 컴포넌트 신호가, 인터페이스(167), 및, 인터페이스(174)를 통하여 공급되어 온 경우, 단계 S79에 있어서, BS 튜너(151)의 계수용 기억부(164)에, BS 튜너(151)의 특징 검출부(162)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가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단계 S81에 있어서, 제어부(172)는, 스위치(173)를, 제어부(172) 자신 측으로 전환하여, 그 BS 튜너(15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한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BS 튜너(151)의 적응 처리부(163)로부터, 이제부터 적응 처리를 실시하는 컴포넌트 신호의 클래스(특징 검출부(162)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가, 계수용 기억부(165)에기억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인터페이스(167), 및, 인터페이스(174)을 통하여 공급되어 온 경우, 단계 S79에 있어서, 제어부(172)는, BS 튜너(151)의 계수용 기억부(165)에, BS 튜너(151)의 특징 검출부(162)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가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그래서, 단계 S80에 있어서, 제어부(172)는, 계수종 기억부(184)에 기억되어 있는, 그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단계 S78의 처리에서 계수종 기억부(184)의 빈 메모리에 기억된 계수 중의, 그 클래스에 대응하는 계수)를 판독, 무선 인터페이스(31), 및, 무선 인터페이스(22)를 통하여 취득하여, 그것을, 인터페이스(174), 및, BS 튜너(151)의 인터페이스(167)를 통하여 적응 처리부(163)에 제공한다.
이에 의해, BS 튜너(151)의 MPEG 디코드부(161)로부터 출력된 컴포넌트 신호(특징 검출부(162)에 의해 클래스가 결정된 컴포넌트 신호)는, 적응 처리부(163)에 의해 적응 처리가 실시되고(단계 S80의 처리에서 제어부(172) (알고리즘베이(12)의 계수종 기억부(184)로부터 공급된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가 실시되고), 인터페이스(167), 및, 신호 처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174)를 통하여 제어부(172)에 공급된다.
이 때, 단계 S81에 있어서, 제어부(172)는, 스위치(173)를, 제어부(172) 자신 측으로 전환하여, 그 BS 튜너(151)로부터의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도 12의 신호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소정의 접속 형태(제1 무선 통신 간 거리)에 대하여, 알고리즘베이(12)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BS 튜너(15)가 할당되어 있다.
신호 처리 장치(11)는, 알고리즘베이(12)와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통신 간 거리가, 제1 무선 통신 간 거리인 경우,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BS 튜너(151)로부터 공급되는 컴포넌트 신호(BS 튜너(151)와 알고리즘베이(12)의 협조 분담에 의해, 노이즈 제거 및 해상도 적응 처리가 실시된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하는 제1 기능을 이용한다.
이것에 대하여, 신호 처리 장치(11)는, 알고리즘베이(12)와 신호 처리 장치(11)의 무선 통신 간 거리가, 제1 무선 통신 간 거리 이외인 경우(제2 무선 통신 간 거리인 경우), 신호 처리의 기능으로서, 알고리즘베이(12)로부터 공급되는 컴포넌트 신호(콤포지트 신호인 입력 신호(41)에 대응하는,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 만이 실시된 컴포넌트 신호)를, 출력 신호(42)로서 출력하는 제2 기능을 이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의 신호 처리 시스템(1)에 있어서는, 알고리즘베이(12)가 제1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알고리즘베이(12)는,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알고리즘베이(12)가 제2 접속 형태로 신호 처리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효과로서, 알고리즘베이(12)의 신호 처리 장치(11)에 대한 장착 방향이나, 무선 통신 간 거리라고 한 접속 형태로, 기능(또는, 협조 분담처)이 용이하게 지정, 또는,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효과로서, 복수의 기판(알고리즘베이(12))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신호 처리 장치(11)를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제조 비용이나 복수의 알고리즘베이(12)의 제조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1매의 알고리즘베이(12)를 이용하여, 복수의 기능의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간단히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가 무선 통신하는 경우, 이하와 같은 효과를 또한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4 효과로서, 신호 처리 장치(1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이 변경되더라도(예를 들면, 버전업되더라도), 버스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제5 효과로서, 무선이기 때문에, 신호 처리 장치(11)와 알고리즘베이(12)의 메카니컬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제조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각종의 신호 처리 장치나, 알고리즘베이에 상당하는 신호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되는 것 같은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은, ROM(Read Only Memory)(20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20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20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RAM(203)에는 또한, CPU(201)이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하게 기억된다.
CPU(201), ROM(202), 및 RAM(203)은, 버스(20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2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20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206),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207),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되는 기억부(208), 모뎀, 터미널 어댑터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부(209)가 접속되어 있다. 통신부(209)에는, 인터페이스(212)가 접속되어 있다. 즉, 통신부(209)는, 인터페이스(212)를 통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05)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서 드라이브(210)가 접속되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기록 매체(211)가 적절하게 장착되어, 이들로부터 판독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서 기억부(208)에 인스톨된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의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이 기록 매체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배포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 자기 디스크 (MD(Mini Disk)를 포함함), 혹은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리무버블 기록 매체(패키지 미디어)(211)로 구성되는 것 뿐만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ROM(202)이나, 기억부(208)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단계는, 그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더라도,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나 처리부로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복수의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복수의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다. 특히,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복수의 기능을 용이하게 선택시켜, 이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신호 처리 장치와 알고리즘베이와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변형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시스템(301)은, 도 1과 같이 신호 처리 장치(311)와, 그것에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구성되는 알고리즘베이(상표)(312)로 구성된다.
신호 처리 장치(311)에는, 입력 신호(341)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신호(342)로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321),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송신된, 신호 처리부(321)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343)을 통하여 수신하는 유선 인터페이스(322), 및,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송신된, 신호 처리부(321)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344)을 통하여 수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323)가 설치되어 있다.
알고리즘베이(312)에는, 상술한 제1 정보를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부(333), 상술한 제2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부(334), 신호 처리 장치(311)의 유선 인터페이스(322)에 대하여, 제1 정보 제공부(333)로부터 제공된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343)을 통하여 송신하는 유선 인터페이스(331), 및, 신호 처리 장치(311)의 무선 인터페이스(323)에 대하여, 제2 정보 제공부(334)로부터 제공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344)을 통하여 송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3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6의 예에서도, 알고리즘베이(312)가, 신호 처리 장치(311)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알고리즘베이(312)를, 기판 대신에, 신호 처리 장치(311)에 대하여, 제1 정보를 유선으로 공급함과 함께, 제2 정보를 무선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다른 장치로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1 정보 제공부(333)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정보는, 그것에 내장하는 메모리(도시 생략)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정보로서도 되고, 외부(예를 들면, 다른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로서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정보 제공부(334)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정보는, 그것에 내장하는 메모리(도시 생략)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정보로서도 되고, 외부(예를 들면, 다른 장치(도시 생략))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로서도 된다.
다음에, 신호 처리 시스템(301)의 동작의 개략을 설명한다.
신호 처리 장치(311)의 신호 처리부(321)는, 예를 들면, 소정의 조건(구체적인 조건에 대해서는, 후술함)가 만족된 경우, 알고리즘베이(312)의 제1 정보 제공부(333)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정보를, 유선 인터페이스(331),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22)를 통하여 취득함과 함께, 제2 정보 제공부(334)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정보를, 무선 인터페이스(332), 무선(공간)(344), 무선 인터페이스(323)를 통하여 취득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정보의 내용이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1 정보는,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기본 정보가 되고,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정보, 또는,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신호 처리부(21)의 신호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는 정보가 된다.
제1 및 제2 정보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1)의 개략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신호 처리 시스템(301)은, 여러 가지 실시 형태가 실현 가능하다.
그와 같은 여러 가지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예가, 도 17, 도 21, 도 23, 및, 도 25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래서, 이하, 도 17에 도시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1)을, 제5 실시 형태로 하고, 도 21에 도시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1)을, 제6 실시 형태로 하고, 도 23에 도시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1)을, 제7 실시 형태로 하고, 도 25에 도시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1)을, 제8 실시 형태로 하여, 각각 개별로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부(321)는, 입력 신호(341)에 대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고, 출력 신호(342)로서 출력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321)에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및, 신호 처리부(321)의 전체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361), 입력 신호(341)의 특징을 검출하여, 그 특징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특징 검출부(362), 제어부(361)의 제어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341)와, 제어부(361)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탭 계수를 이용하여 적응 처리를 행함으로써, 출력 신호(342)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적응 처리부(363), 및, 상술한 적응 처리가 행하여지는 경우에, 통상 이용하는 탭 계수(도 17의 예에서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이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SD 신호(예를 들면, 525i 신호)를 배율이 다른 표시 화상을 얻기 위한 SD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상술한 적응 처리에 의해서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적응 처리를, 이하, 다른 적응 처리와 구별하기 위해서, 리사이즈 적응 처리라고 칭한다. 또한, 리사이즈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를, 이하, 리사이즈용 계수라고 칭한다.
또한, 리사이즈 적응 처리 및 리사이즈용 계수의 상세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출원된 특허출원2000-39587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상,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개략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와 같은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것이, 도 17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부(321)이다.
구체적으로는, 특징 검출부(362)가, 상술한 클래스 분류 처리를 행하고, 적응 처리부(363)가, 상술한 적응 처리를 행한다.
즉, 특징 검출부(362)는, 입력 신호(341)에서 클래스 분류를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입력 신호(341)가 화상 신호인 경우, 클래스탭)를 추출하여, 추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341)의 패턴(특징)을 검출하여, 검출한 패턴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341)의 클래스를 결정하여, 결정한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를 적응 처리부(363)에 공급한다.
적응 처리부(363)는, 출력 신호(342)를 예측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입력 신호(341)가 화상 신호인 경우, 예측탭)을 추출하고, 추출한 그 정보와, 제어부(361)로부터 공급되는 탭 계수를 이용하여 예측 연산을 행함으로써, 출력 신호(342)를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도 17의 예에서는, 신호 처리부(321)는, 통상,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62)에 기억되어 있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이하, 다른 탭 계수와 구별하기 위해서,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라고 칭함)를 이용하여,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신호 처리부(321)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른 탭 계수를 이용하여,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탭 계수를, 신호 처리 장치(311)(신호 처리부(321))에 제공하는 것이, 도 17에 도시되는 알고리즘베이(312)이다.
도 17의 알고리즘베이(312)에 있어서, 제1 정보 제공부(333)에는,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와는 다른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기억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72),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기억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373), 리사이즈용 계수를 기억하는 리사이즈용 계수 기억부(374), 및,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72)에 기억되어 있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373)에 기억되어 있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 및, 리사이즈용 계수 기억부(374)에 기억되어 있는 리사이즈용 계수 중에서, 신호 처리 장치(311)(제어부(361))에 의해 지정된 계수를 판독, 유선 인터페이스(331)에 공급하는 셀렉터부(371)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7의 예에서는, 제어부(361)는, 지시 신호(365)에 대응하는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해상도 창조용 계수, 노이즈 제거용 계수, 또는, 리사이즈용 계수)의 제공을,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21)를 통하여 셀렉터부(371)에 요구한다. 셀렉터부(371)는, 요구된 탭 계수를,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72),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373), 및, 리사이즈용 계수 기억부(374)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판독, 그것을 제1 정보로서, 유선 인터페이스(331),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22)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321)(제어부(361))에 공급한다.
적응 처리부(363)의 적응 처리의 기능을 또한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2 정보 제공부(334)는, 제1 정보로서 제공되는 탭 계수와는 다른 것(예를 들면, 버전업된 탭 계수 등)을, 무선 인터페이스(332),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23)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321)(제어부(361))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지금, 제1 정보로서 제공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72)에 기억되는 탭 계수)가, 이하와 같은 탭 계수가 된다.
즉, 예를 들면, 클래스탭으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의 소정의 5개의 탭(391)을 이용하여, 예측탭으로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의 5개의 탭(391)에, 시간 방향으로 2개의 탭(탭(391)의 프레임보다 시간적으로 전 또는 후의 프레임의 탭(392-1), 및, 탭(392-2))을 가한 7개의 탭을 이용하고, 또한, 클래스 수 332의 클래스를 이용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 있어서 이용되는 탭 계수가 된다.
이 경우, 제2 정보로서 제공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6)에 기억되는 탭 계수)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탭 계수로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클래스탭 및 예측탭으로서, 7개의 탭(도 19)을 이용하고, 또한, 클래스 수 128의 클래스를 이용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 있어서 이용되는 탭 계수로 할 수 있다.
또는, 제2 정보로서 제공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6)에 기억되는 탭 계수)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탭 계수로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클래스탭 및 예측탭으로서, 7개의 탭(도 19)을 이용하고, 또한, 클래스 수 128의 클래스를 조건으로 하여, 클래스 분류 처리가 행하여지고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의 아래 2자릿수의 비트 (도 19의 탭(392-1, 392-2)에 대응하는 비트)가「01」, 「10」, 또는「11」 중 어느 하나인 경우의, 그 클래스 코드(클래스)에 대응하는 탭 계수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7의 특징 검출부(362)에 의해 결정된 입력 신호(341)의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의 아래 2자릿수의 비트가「00」일 때, 제어부(361)는, 알고리즘베이(312)의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72)에 기억된 탭 계수(제1 정보) 중의 그 클래스에 대응하는 것을,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알고리즘베이(312)의 유선 인터페이스(331), 및, 셀렉터부(371)를 통하여 판독, 적응 처리부(363)에 공급한다. 즉, 적응 처리부(363)는, 제1 정보에 대응하는 탭 계수(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341)에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한다.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도 17의 특징 검출부(362)에 의해 결정된 입력 신호(341)의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의 아래 2자릿수의 비트가「01」, 「10」, 또는, 「11」 중의 어느 하나일 때, 제어부(361)는, 알고리즘베이(312)의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6)에 기억된 탭 계수(제2 정보) 중의 그 클래스에 대응하는 것을, 무선 인터페이스(323), 무선 344), 알고리즘베이(312)의 무선 인터페이스(332), 및, 셀렉터부(375)를 통하여 판독, 적응 처리부(363)에 공급한다. 즉, 적응 처리부(363)는, 제2 정보에 대응하는 탭 계수(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341)에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이하, 도 17의 제2 정보 제공부(334)에 의해 제공되는 탭 계수를, 제1정보 제공부(333)에 의해 제공되는 계수와 구별하기 위해서, 부가 계수라고 칭한다.
도 17의 제2 정보 제공부(334)에는,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를 기억하는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6), 노이즈 제거용 부가 계수를 기억하는 노이즈 제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7), 리사이즈용 부가 계수를 기억하는 리사이즈용 부가 계수 기억부(378), 및,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6)에 기억되어 있는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노이즈 제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7)에 기억되어 있는 노이즈 제거용 부가 계수, 및, 리사이즈용 부가 계수 기억부(378)에 기억되어 있는 리사이즈용 부가 계수 중에서, 신호 처리 장치(311)(제어부(361))에 의해 지정된 부가 계수를 판독, 무선 인터페이스(332)에 공급하는 셀렉터부(375)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7의 예에서는, 제어부(361)는, 지시 신호(365)에 대응하는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탭 계수(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 또는, 제1 정보(탭 계수)와는 다른,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노이즈 제거용 부가 계수, 또는, 리사이즈용 부가 계수)의 제공을, 무선 인터페이스(323),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셀렉터부(375)에 요구한다. 셀렉터부(375)는, 요구된 탭 계수를, 대응하는 기억부(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6), 노이즈 제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7), 및, 리사이즈용 부가 계수 기억부(378) 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판독, 그것을 제2 정보로서, 무선 인터페이스(332),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23)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321)(제어부(361))에 공급한다.
다음에, 도 2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7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311)의 특징 검출부(362)는, 입력 신호(341)의 특징을 검출한다. 즉, 특징 검출부(362)는, 입력 신호(341)의 특징을 검출하고, 특징에 기초하여 클래스를 결정하고, 그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를 적응 처리부(363)에 공급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311)의 제어부(361)는,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361)는, 단계 S103에 있어서,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64)에 기억되어 있는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취득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 S102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361)는, 단계 S104에 있어서, 사용자 등으로부터의 명령에 기초하는 지시 신호(365)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4에 있어서, 지시 신호(365)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361)는, 단계 S105에 있어서, 지시 신호(365)에 대응하는 기능(적응 처리)의 탭 계수를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취득한다.
예를 들면, 지시 신호(365)가, 상술한 바와 같은, 클래스탭 및 예측탭으로서, 7개의 탭(도 19)을 이용하는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기능)을 지시한 경우, 제어부(361)는, 특징 검출부(362)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의 제공을 알고리즘베이(312)에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61)은, 무선 인터페이스(323),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셀렉터부(375)에, 특징 검출부(362)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의 제공을 요구한다.
셀렉터부(375)는, 요구된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를 해상도 창조용 부가 계수 기억부(376)로부터 판독, 무선 인터페이스(332),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23)를 통하여 제어부(361)에 제공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 S104에 있어서, 지시 신호(365)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06에 있어서, 제어부(361)는, 자기 자신이 지정한 탭 계수를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취득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지시 신호(365)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61)가, 상술한 바와 같은, 클래스탭으로서, 5개의 탭(도 18)을 이용하고, 또한, 예측탭으로서, 7개의 탭(도 19)을 이용하는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적응 처리부(363)에 실행시킬 때, 제어부(361)는, 특징 검출부(362)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의 제공을 알고리즘베이(312)에 요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61)는,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셀렉터부(371)에, 특징 검출부(362)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의 제공을 요구한다.
셀렉터부(371)는, 요구된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72)로부터 판독, 유선 인터페이스(331), 유선(343), 및, 유선인터페이스(322)를 통하여 제어부(361)에 제공한다.
단계 S107에 있어서, 적응 처리부(363)는, 제어부(361)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술한 단계 S103, S105, 또는, S106의 처리에서 제어부(361)에 의해 취득된 탭 계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341)에 대하여, 상술한 적응 처리를 실행하여, 생성한 출력 신호(342)를 외부로 출력한다.
단계 S108에 있어서, 제어부(361)는, 모든 입력 신호(341)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361)는, 아직 모든 입력 신호(341)가 처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그 처리를, 단계 S10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모든 입력 신호(341)에 대하여, 상술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되어, 그 처리의 결과인 출력 신호(342)가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모든 입력 신호(341)에 대한 적응 처리가 완료하면(최후의 출력 신호(342)가 출력되면), 단계 S108에 있어서, 모든 입력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정되고, 그 처리가 종료된다.
<제6 실시 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17의 그것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어 있다.
도 21의 신호 처리 장치(311)는, 도 17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된다. 즉, 도 21의 신호 처리 장치(311)는, 입력 신호(341)에 대하여, 클래스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고, 그 처리의 결과인 출력 신호(342)를 외부로 출력한다.
그와 같은 신호 처리 장치(311)에 대하여,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탭 계수를, 신호 처리 장치(311)(신호 처리부(321))에 제공하는 알고리즘베이(312)가 접속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탭 계수를, 신호 처리 장치(311)(신호 처리부(321))에 제공하는 알고리즘베이(312)가 접속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21의 신호 처리 장치(3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364)에 기억되어 있는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행한다.
도 21의 알고리즘베이(312)는, 그와 같은 신호 처리 장치(311)에 대하여, 제1 정보로서, 통상과 마찬가지의 기능(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으로 이용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단, 디폴트 해상도 창조용 계수와는 다름)를 유선으로 제공하고, 또한, 제2 정보로서, 통상과는 다른 기능(예를 들면, 도 21의 예에서는,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로 이용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의 알고리즘베이(312)에는, 유선 인터페이스(331), 무선 인터페이스(332),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제1 정보(도 21의 예에서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부(333)로서의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401), 및,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제2 정보(도 21의 예에서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부(334)로서의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4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기능의 추가는, 원래의 제1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서, 제2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원래의 제1 기능과 제2 기능을 병용하여 이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즉,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지시 신호(365)가, 노이즈 제거의 지시 신호가 되는 경우, 적응 처리부(363)는, 단순히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 만을 실행하는 것은 아니고,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와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의 양자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21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의 처리가, 도 22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그 처리는, 기본적으로 도 17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도 22의 단계 S121 내지 S128의 각각의 처리는, 도 22의 단계 S101 내지 S108의 각각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단, 도 22의 단계 S124 내지 S127의 처리는, 도 22의 단계 S104 내지 S107의 처리와 서로 약간 다르다. 그래서, 이하, 도 22의 단계 S124 내지 S127의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단계 S122에 있어서, 도 21의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24에 있어서, 제어부(361)는, 노이즈 제거의 지시 신호(365)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24에 있어서, 노이즈 제거의 지시 신호(365)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25에 있어서, 제어부(361)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 및,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61)는,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대응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401)로부터 판독, 취득함과 함께, 무선 인터페이스(323),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대응하는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노이즈 제거용 계수 기억부(402)로부터 판독,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127에 있어서, 적응 처리부(363)는, 제어부(361)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어부(361)에 의해 취득된 해상도 창조용 계수로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행한 후, 또한, 제어부(361)에 의해 취득된 노이즈 제거용 계수를 이용하여, 노이즈 제거 적응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 S124에 있어서, 지시 신호(365)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361)는, 단계 S126에 있어서,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61)는,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대응하는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해상도 창조용 계수 기억부(401)로부터 판독, 취득한다.
그리고, 단계 S127에 있어서, 적응 처리부(363)는, 제어부(361)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어부(361)에 의해 취득된 해상도 창조용 계수를 이용하여, 해상도 창조 적응 처리를 실행한다.
<제7 실시 형태>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어, 도 16의 그것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어 있다.
도 17과 도 21의 신호 처리 장치(311)(제5와 제6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311))는, 신호 처리로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행하였지만, 도 23의 신호 처리 장치(311)(제7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311))는, 신호 처리로서,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장치(311)의 신호 처리부(21)에는, 부호화 처리(도 23의 예에서는, 양자화부(424)의 양자화 처리), 및, 신호 처리부(321) 전체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421), 입력 신호(341)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부(422), 및, 블록화 데이터에, DCT (Discrete Consign Transform) 처리를 실시하여,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부(423)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321)에는 또한, 제어부(421)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어부(421)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DCT부(423)로부터 공급되는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424), 양자화된 데이터(이하, 양자화 데이터라고 칭함)에 대하여, 허프만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신호(342)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허프만 부호화부(425), 및, 상술한 양자화 처리가 행하여지는 경우에, 통상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이하, 디폴트 양자화 테이블이라 칭함)을 미리 기억하고 있는 디폴트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출력 신호(342)는, 적어도, 허프만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부호화 데이터, 및, 허프만 테이블에 대응하는 신호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서,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한 양자화 테이블에 대응하는 신호도 포함된다.
도 23의 알고리즘베이(312)는, 부호화 처리(구체적으로는, 양자화부(424)의 양자화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양자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도 23의 알고리즘베이(312)에는, 유선 인터페이스(331), 무선 인터페이스(332), 제1 정보(디폴트 양자화 테이블과는 다른 제1 양자화 테이블)를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부(333)로서의 제1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31), 및, 제2 정보(디폴트 양자화 테이블과, 제1 양자화 테이블과는 다른 제2 양자화 테이블)을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부(334)로서의 제2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3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양자화 테이블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제1 양자화 테이블은, 통상 이용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입력 신호(341)가, 자연 화상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에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 등으로 할 수 있다. 즉, 자연 화상에는, 비트의 할당이,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 가능하여 지도록 행해지는 양자화 테이블이 적합하게 되기 때문에, 그와 같은 양자화 테이블을, 제1 양자화 테이블로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2 양자화 테이블은, 예를 들면, 특수한 용도에 이용하는 것, 구체적으로는, 입력 신호(341)가 컴퓨터그래픽스에 대응하는 신호인 경우에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 등으로 할 수 있다. 즉, 컴퓨터그래픽스는, 자연 화상에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평탄 부분이 많기 때문에, 컴퓨터그래픽스에는, 비트의 할당이,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 집중되도록 행해지는 양자화 테이블이 적합하고, 그와 같은 양자화 테이블을, 제2 양자화 테이블로 할 수 있다.
즉, 이 예에서는, 제2 양자화 테이블은, 제1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는 부호화 처리에 대하여, 더욱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호화 처리(예를 들면, 통상 사용하는 자연 화상 만이 아니라, 컴퓨터그래픽스 등의 특수한 용도 전용의 부호화 처리)에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이 된다.
다음에, 도 2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3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41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311)의 블록화부(422)는, 입력 신호(341)를 블록화하여, 블록화 데이터로서 DCT부(423)에 공급한다.
단계 S142에 있어서, DCT부(423)는, 공급된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여, 양자화부(424)에 공급한다.
단계 S143에 있어서, 제어부(421)는,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43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421)는, 단계 S144에 있어서, 디폴트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26)에 기억되어 있는 디폴트 양자화 테이블을 취득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 S143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421)는, 단계S145에 있어서, 지시 신호(427)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43에 있어서, 제어부(421)는, 지시 신호(427)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46에 있어서, 지시 신호(427)에 대응하는 양자화 테이블을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시 신호(427)가, 제2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인 경우, 제어부(421)는, 무선 인터페이스(323),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제2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32)에 기억되어 있는 제2 양자화 테이블을 취득한다.
또한, 지시 신호(427)가, 제1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인 경우, 제어부(421)는,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제1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31)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양자화 테이블을 취득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 S145에 있어서, 지시 신호(427)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421)는, 단계 S147에 있어서, 제1 양자화 테이블을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21)는,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제1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31)에 기억되어 있는 제1 양자화 테이블을 취득한다.
단계 S148에 있어서, 양자화부(424)는, 제어부(421)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술한 단계 S144, S146, 또는, S147의 처리에서 제어부(421)에 의해 취득된 양자화테이블을 이용하여, 상술한 단계 S142의 처리에서 DCT부(423)로부터 공급된 DCT 계수를 양자화한다. 그리고, 양자화부(424)는, 그 양자화 데이터, 및, 그것에 대응하는 양자화 테이블을 허프만 부호화부(425)에 공급한다.
단계 S149에 있어서, 허프만 부호화부(425)는, 공급된 양자화 데이터를 허프만 부호화한다. 그리고, 허프만 부호화부(425)는, 허프만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 및, 그것에 대응하는 허프만 테이블, 및, 양자화 테이블(상술한 단계 S148의 처리에서 양자화부(424)로부터 공급된 양자화 테이블)로 구성되는 신호를, 출력 신호(342)로서 외부로 출력한다.
단계 S150에서, 제어부(421)는, 모든 입력 신호(341)가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421)는, 아직 모든 입력 신호(341)가 처리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그 처리를, 단계 S341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모든 입력 신호(341)가, 부호화되어, 그 부호화 데이터(및, 그것에 대응하는 허프만 테이블, 및, 양자화 테이블)로 구성되는 출력 신호(342)가 외부로 출력된다.
그리고, 모든 입력 신호(341)에 대한 부호화 처리가 완료하면(최후의 출력 신호(342)가 출력되면), 단계 S150에 있어서, 모든 입력 신호가 처리되었다고 판정되고, 그 처리가 종료된다.
<제8 실시 형태>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 상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어, 도 17의 그것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가 붙어 있다.
도 25의 신호 처리 장치(311)(제18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311)는, 도 23의 신호 처리 장치(311)(제7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311))와 같이, 신호 처리로서, 부호화 처리를 실행한다.
단, 도 25의 신호 처리 장치(311)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 장치(311)의 신호 처리부(321)에는, 부호화 처리(도 25의 예에서는, DCT부(454)와 양자화부(455)의 처리), 및, 신호 처리부(321)의 전체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451), 입력 신호(341)를, 프레임을 단위로서 기억하는 프레임 기억부(452), 프레임 데이터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부(453), 및, 제어부(451)의 제어에 기초하여,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부(454)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321)에는 또한, 제어부(451)의 제어에 기초하여, 제어부(451)로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DCT부(454)로부터 공급되는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부(455), 양자화 데이터에 대하여, 허프만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 신호(342)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허프만 부호화부(456), 및, 디폴트 양자화 테이블을 미리 기억하고 있는 디폴트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5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출력 신호(342)는, 도 23의 그것과 같이, 적어도, 허프만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부호화 데이터, 및, 허프만 테이블에 대응하는 신호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서,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한 양자화 테이블에 대응하는 신호도 포함된다.
즉, 도 25의 신호 처리 장치(311)는,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화상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도 25의 신호 처리 장치(311) 단체로는, 인트라(화상 내) 부호화를 행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움직임 보상 처리를 이용하는 인터(화상 간) 부호화를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도 25의 신호 처리 장치(311) 단체에서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을 부호화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그와 같은 부호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그와 같은 부호화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 도 25의 알고리즘베이(312)가, 신호 처리 장치(311)에 접속된다.
즉, 도 25의 알고리즘베이(312)는, 제1 정보로서, 양자화부(455)의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을 유선으로 제공함과 함께, 제2 정보로서, 이제부터 부호화하는 블록화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 보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신호 처리 장치(311)는, 이들의 제1 정보(양자화 테이블), 및, 제2 정보(움직임 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인터(화상 간) 부호화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알고리즘베이(312)에는, 유선 인터페이스(331), 무선 인터페이스(332), 제1 정보(양자화 테이블)를, 유선 인터페이스(331)에 제공하는 제1 정보 제공부(333)로서의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71), 및, 제2 정보(움직임 보상의 결과)를, 무선 인터페이스(332)에 제공하는 제2 정보 제공부(33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정보 제공부(334)에는, 역 양자화부(472), 역 DCT 부(473), 및, 움직임 보상부(474)가 설치되어 있다.
역 양자화부(472)는, 양자화부(455)로부터 출력되는 양자화 데이터를, 제어부(451), 무선 인터페이스(323),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취득하여, 그것을 역 양자화하여, 역 DCT 부(473)에 공급한다.
역 DCT 부(473)는, 공급된 역 양자화된 데이터에 대하여, 역 DCT 처리를 실시하여, 원래의 플로터화 데이터로 복원하여, 움직임 보상부(474)에 공급한다.
움직임 보상부(474)는, 이 역 DCT 화된 데이터(원래의 블록화 데이터)와, 프레임 기억부(452)로부터, 제어부(451),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공급된 이전의 프레임의 데이터와의 차분값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연산하여, 그 위치에 기초하여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다. 또한, 움직임 보상부(474)는, 검출한 움직임 벡터를 기초로, 원래의 블록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참조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원래의 블록화 데이터와 생성한 참조 화상 데이터와의 차분값을 연산한다(최소 차분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움직임 보상부(474)은, 이 차분값에 대응하는 신호(이하, 차분값 신호라고 칭함)(482)를, 무선 인터페이스(332), 무선(344), 무선 인터페이스(323)를 통하여 제어부(451)에 공급한다.
이 차분값 신호(482)는, 또한, DCT 부(454)에 공급되어, DCT 부(454)에 의해 DCT 계수로 변환되고, 양자화부(455)에 의해,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71)의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양자화되어, 허프만 부호화부(456)에 의해 허프만 부호화의 처리가 실시된다.
다음에,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5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71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311)의 프레임 기억부(452)는, 입력 신호(341)를, 프레임을 단위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프레임 기억부(452)는, 이제부터 부호화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블록화부(453)에 공급한다.
단계 S172에 있어서, 블록화부(453)는, 공급된 프레임 데이터를 블록화하여, 블록화 데이터로서 DCT 부(454)에 공급한다.
단계 S173에 있어서, DCT 부(454)는, 공급된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여, 양자화부(455)에 공급한다.
단계 S174에 있어서, 제어부(451)는,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74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75에 있어서, 양자화부(455)는, 제어부(451)의 제어에 기초하여, 디폴트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57)에 기억되어 있는 디폴트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술한 S173의 처리에서 DCT부(454)에 의해 공급된 DCT 계수를 양자화하여, 허프만 부호화부(456)에 공급한다.
단계 S180에 있어서, 허프만 부호화부(456)는, 공급된 양자화 데이터를 허프만 부호화한다. 그리고, 허프만 부호화부(456)는, 그 부호화 데이터, 및, 그것에대응하는 허프만 테이블, 및, 양자화 테이블로 구성되는 출력 신호(342)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 S174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312)가 장착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451)는, 단계 S176에 있어서,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양자화 테이블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1)는,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71)로부터, 대응하는 양자화 테이블을 취득한다.
단계 S177에 있어서, 양자화부(455)는, 제어부(451)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술한 단계 S176의 처리에서 제어부(451)에 의해 취득된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술한 단계 S173의 처리에서 DCT 부(454)에 의해 공급된 DCT 계수를 양자화한다.
단계 S178에 있어서, 제어부(451)는, 움직임 보상의 지시 신호(458)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신호 처리 장치(311)는, MPEG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면, 지시 신호(458)가, 이제부터 부호화하는 프레임이, I 픽처(Intra Picture)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제어부(451)는, 단계 S178에 있어서, 움직임 보상의 지시 신호(458)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또한, I 픽쳐의 화상 데이터는, 그 1 프레임 분의 화상 데이터가, 다른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그대로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 (인트라 부호화화상 데이터)이다.
그리고, 단계 S180에 있어서, 허프만 부호화부(456)는, 상술한 단계 S177의 처리에서 양자화부(455)에 의해 양자화된 양자화 데이터를 취득하여, 허프만 부호화하여, 그것을 출력 신호(142)로서 외부로 출력한다.
이것에 대하여, 지시 신호(458)가, 이제부터 부호화하는 프레임이, P 픽쳐 (Predictive Picture), 또는 B 픽쳐 (Bidirectionally Predictive Picture) 중 어느 한쪽인 것을 나타내는 신호인 경우, 제어부(451)는, 단계 S178에 있어서, 움직임 보상의 지시 신호(458)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하여, 단계 S179에 있어서, 「움직임 보상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P 픽쳐의 화상 데이터는, 기본적으로는, 그것보다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I 픽쳐 또는 P 픽쳐의 화상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프레임 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 데이터)이다. 또한, B 픽쳐의 화상 데이터는, 기본적으로는, 시간적으로 선행하는 I 픽쳐 혹은 P 픽쳐의 화상 데이터, 또는 후행하는 I 픽쳐 혹은 P 픽쳐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로부터의 차분이 부호화된 화상 데이터(프레임 간 쌍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 데이터)이다.
이 예의「움직임 보상 처리」의 상세가, 도 27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그래서, 도 27을 참조하여, 이 예의「움직임 보상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도 26에 도시된다) 단계 S178에 있어서, 제어부(451)는, 움직임 보상의 지시 신호(458)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하면, 단계 S177의 처리에서 양자화부(455)에 의해 양자화된 양자화 데이터를, 무선 인터페이스(323),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역 양자화부(472)에 공급한다.
도 27에 있어서, 이 때, 단계 S191에 있어서, 역 양자화부(472)는, 공급된 역 양자화 데이터를 역 양자화하여, DCT 계수(도 26의 단계 S173의 처리에서 DCT 부(454)로부터 출력된 DCT 계수에 대응하는 DCT 계수)를 복원하여, 역 DCT 부(473)에 공급한다.
단계 S192에 있어서, 역 DCT 부(473)는, 공급된 DCT 계수를 역 DCT하여, 블록화 데이터(도 26의 단계 S172의 처리에서 블록화부(453)로부터 출력된 블록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블록화 데이터)를 복원하여, 움직임 보상부(474)에 공급한다.
또한, 이 때까지, 제어부(451)는, 프레임 기억부(452)로부터, 그 복원된 블록화 데이터에 대응하는 프레임보다도 시간적으로 전의 프레임의 데이터(이하, 단순히, 전 프레임이라 칭함)를 판독하여,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움직임 보상부(474)에 공급한다.
단계 S193에 있어서, 움직임 보상부(474)는, 제어부(451)로부터 공급된 전 프레임과, 역 DCT 부(473)로부터 공급된 블록화 데이터와의 차분값의 최소가 되는 위치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최소 차분값을 연산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최소 차분값 신호(482)를 출력한다.
출력된 최소 차분값 신호(482)는, 무선 인터페이스(332), 무선(344), 및, 무선 인터페이스(323)를 통하여 제어부(451)에 공급된다.
제어부(451)가, 이 최소 차분값 신호(482)를 DCT 부(454)에 공급하면, 단계S194에 있어서, DCT 부(454)는, 공급된 최소 차분값 신호(데이터)(482)를 DCT 계수로 변환하여, 양자화부(455)에 공급한다.
단계 S195에 있어서, 제어부(451)는,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 양자화 테이블을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1)는, 유선 인터페이스(322), 유선(343),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71)로부터, 대응하는 양자화 테이블을 취득한다.
단계 S196에 있어서, 양자화부(455)는, 상술한 단계 S195의 처리에서 제어부(451)에 의해 취득된 양자화 테이블(양자화 테이블 기억부(471)에 기억되어 있던 양자화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술한 단계 S194의 처리에서 DCT 부(454)로부터 출력된 DCT 계수(최소 차분값 신호(482)에 대응하는 DCT 계수)를 양자화하여, 허프만 부호화부(456)에 공급한다.
도 26으로 되돌아가, 단계 S180에서, 허프만 부호화부(456)는, 상술한 단계 S179의 처리에서 양자화부(155)로부터 공급된 양자화 데이터(최소 차분값 신호(482)에 대응하는 양자화 데이터)를 허프만 부호화하여, 그것을 출력 신호(342)로서 외부로 출력한다.
단계 S181에 있어서, 제어부(451)는, 모든 프레임(입력 신호(341)에 대응하는 모든 프레임)이 부호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부(451)는, 아직 모든 프레임이 부호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그 처리를, 단계 S172로 되돌려서, 그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다음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부호화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모든 프레임이, 부호화되어,그 부호화 데이터(및, 그것에 대응하는 허프만 테이블, 및, 양자화 테이블)로 구성되는 출력 신호(342)가 외부로 출력되면, 단계 S181에서, 모든 프레임이 부호화되었다고 판정되고, 그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의 실시 형태로서, 제5와 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실시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1)에 대하여, 제7과 제8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301)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 시스템(301)은, 이들 제5 내지 제8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신호 처리 시스템(301)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와,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부와,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부를 설치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되면 된다.
예를 들면, 그 밖의 실시 형태로서, 제1 정보는, 부호화 정보이고, 제2 정보는,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이고, 제1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및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 경우, 신호 처리로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이라도 된다.
또는, 제1 정보는, 암호화된 암호화 정보이고, 제2 정보는, 그 암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예를 들면, 키 등)이고, 제1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및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 경우, 신호 처리로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 에서는, 예를 들면, 제1 정보로서, 신호 처리 장치(311)의 신호 처리를 변경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유선으로, 제2 정보로서, 신호 처리를 변경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무선으로, 각각 공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효과로서, 부가 정보에 대해서는, 유선(버스)의 제약이 없어져, 버전업된 부가 정보를 용이하게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효과로서, 부가 정보는, 일반적으로 정보량이 적기 때문, 종래의 무선 방식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효과로서, 기본 정보는, 일반적으로 버전업되지 않기 때문에, 유선으로 공급함으로써, 대용량의 정보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안정된 안전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제4 효과로서, 무선으로 공급되는 제2 정보는, 화상이나 음성 데이터가 아니라, 단순히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정보이기 때문에, 가령 암호화되어 있지 않더라도 시큐러티 상 지장이 생길 일이 적어진다.
환언하면,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과 제2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9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으로서,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을 기초로 하여, 제5 내지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실시 형태는,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의 신호 처리 장치(311)는, 1개의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신호 처리부(321)가 설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신호 처리 장치로서, 복수의 신호 처리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의 복수의 신호 처리부의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알고리즘베이를 장착해도 되고, 이들의 복수의 신호 처리부 중의 소정의 것에 대해서만, 대응하는 알고리즘베이를 장착해도 된다.
그래서,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그와 같은 복수의 신호 처리부를 갖는 신호 처리 장치를, 텔레비전 수상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텔레비전 수상기(501)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501)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501)에서는, 소정의 채널의 영상 반송파 신호를 안테나(511)를 통하여 수신하고, 그 영상 반송파 신호를 복조하고, 영상 중간 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튜너(512), 영상 중간 주파 신호를 복조하여,콤포지트 영상 신호로 하는 VIF(Video Intermediate Frequency)부(513), 콤포지트 영상 신호로부터 적절한 영상 신호(예를 들면, 도 28의 예에서는, 3원색의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514), 및, 3원색의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를 입력하여,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515)가 설치되어 있다.
신호 처리부(514)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임의의 사이즈의 화상으로 변환하여, 적절한 영상 신호(예를 들면, 도 28의 예에서는, 3원색의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처리부(514)는, 본 출원인에 의해, 예를 들면, 특원평2000-047947호 등으로서 먼저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SD 화상이 입력되었을 때, 4배 밀도의 화상(HD 화상)을 출력하는 해상도 창조 장치나, 출력 화상 신호에 의한 화상의 해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값에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신호 변환 장치 등에 적용되어 있는 임의의 해상도 창조를 행한다고 하는 수법에 기초하여, 화상의 리사이즈나 줌을 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또는, 인터넷 등으로부터의 화상의 사이즈는, 반드시 텔레비전 방송에 의해 보내어져 오는 SD 화상 또는 HD 화상의 사이즈에 일치한다고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신호 처리부(514)는, 이들의 여러 가지 화상의 사이즈를, 예를 들면, SD 화상 등의 표준의 사이즈로 변환한 후, 3원색의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로서 표시부(515)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텔레비전 방송에 의해 보내어져 오는 화상 이외의 화상 신호, 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종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예를 들면, 메모리 스틱(본 출원인인 소니(株)의 상표)) 등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를 탑재함으로써 실현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종래, 비디오 카메라에 탑재되어 있는 접속 단자(예를 들면, i-Link(상표)) 등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를 탑재함으로써 실현하고 있었다.
또한, 예를 들면, 인터넷으로부터의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종래, 인터넷의 접속 케이블(예를 들면, ADSL(Asymmetrical Digital Subscriber Line)용의 접속 케이블)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를 탑재함으로써 실현하고 있었다.
이들의 텔레비전 수상기 측의 접속 단자는, 종래, 표시부(디스플레이)까지 유선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록 매체, 비디오 카메라의 접속 단자, 및, 인터넷의 접속 케이블 등은, 텔레비전 방송 신호(예를 들면, NTSC 신호 등)와 같이 하나로 통일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에 미리 탑재된 단자가, 원하는 화상을 제공하는 미디어(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또는, 인터넷 등)의 단자와 다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화상을 텔레비전 수상기에 입력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제3 과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재구매 주기는 약10년으로 되어 있는 데 대하여, 이들의 미디어의 화상 제공 방식(예를 들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기록 매체 등)은, 수년 주기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어, 텔레비전 수상기에 단순히 소정의 단자 만을 탑재한 것 만으로는, 새로운 미디어, 또는, 새로운 화상 제공 방식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제4 과제가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들 텔레비전 수상기에 특유한 제3 및 제4 과제를 해결하는 수법으로서, 이하와 같은 지견을 얻었다. 즉, 특정한 접속 단자를, 미리 텔레비전 수상기에 탑재하는 것은 아니고, 옵션으로서 필요한 접속 단자를 선택할 수가 있어, 교체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한다. 또한, 이 접속 단자 부분으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의 내부 기판까지의 접속을, 유선으로부터 무선으로 한다. 즉, 유선인 경우, 탑재된 접속선의 전송 용량을 넘는 것은 할 수 없기 때문에, 무선으로 함으로써, 임의의 전송 용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수(접속 단자 수)도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게 된다.
그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상술한 도 1의 신호 처리 시스템(1)을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한 것이, 도 28의 텔레비전 수상기(501)이다.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수상기(501)에는 또한, 신호 처리부(514)에 대하여, 텔레비전 방송 신호(도 28의 예에서는, 안테나(511)를 통하여 튜너(512)에 의해 수신되어, VIF 부(513)를 통하여 신호 처리부(514)에 공급되는 NTSC 신호) 이외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착탈 자유의 유선 인터페이스(접속 단자)(516), 무선 인터페이스(517), 및, 유선 인터페이스(516), 혹은, 무선 인터페이스(517)를 통하여 수신한 각종의 포맷으로 대응하는 화상 신호의 각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부(518)가 설치되어 있다.
유선 인터페이스(516)는, 예를 들면, 상술한 도 16의 알고리즘베이(312)의 유선 인터페이스(331)와 접속된다. 따라서, 디코드부(518)는, 제1 정보 제공부(333)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정보를, 유선으로(유선 인터페이스(331) 및 유선 인터페이스(516)를 통하여) 취득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517)는, 예를 들면, 상술한 도 16의 알고리즘베이(312)의 무선 인터페이스(332)와 무선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디코드부(518)는, 제2 정보 제공부(334)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정보를, 무선으로(무선 인터페이스(332) 및 무선 인터페이스(517)를 통하여) 취득할 수 있다.
제1과 제2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정보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 예가, 텔레비전 수상기인 것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정보는, 부호화 정보(부호화된 화상 데이터)가 되고, 제2 정보는,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가 된다. 이 경우, 디코드부(518)는,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정보(부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신호 처리부(514)에 공급한다.
또는, 제1 정보는, 암호화된 암호화 정보(암호화된 유료 화상 등의 화상 데이터)가 되고, 제2 정보는, 그 암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예를 들면, 키 등)이 된다. 이 경우, 디코드부(518)는,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정보(암호화된 화상 데이터)를 복호하여, 신호 처리부(514)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제4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선 인터페이스(516)는, 착탈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고리즘베이(312)에 대응하는 유선 인터페이스(516-1) 이외에, 다른 외부 미디어(519)의 유선 인터페이스(531)와 접속 가능한 유선 인터페이스(516-2)을 설치하는 등,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외부 미디어(519)가,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기억하는 메모리스틱 등의 기록 매체로 하면, 유선 인터페이스(516-2)는, 그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가 된다.
예를 들면, 외부 미디어(519)가, 비디오 카메라가 되면, 유선 인터페이스(516-2)는, 그 비디오 카메라에 대응하는 접속 단자(예를 들면, i-Link 단자 등)가 된다.
예를 들면, 외부 미디어(519)가, 인터넷이라고 되면, 유선 인터페이스(516-2)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 단자가 된다.
이와 같이, 유선 인터페이스(516-2)로서, 소정의 규격으로 규정되는 종류의 커넥터를 설치함으로써, 텔레비전 수상기(501)는, 그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규격이 규정되더라도, 단순히 그 규격에 대응하는 유선 인터페이스(516-2)를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새로운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제3과 제4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부 미디어(519)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인터페이스(517)와 무선으로 접속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532)를 또한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정보(화상 데이터 등)를 무선으로 텔레비전 수상기(501)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제3과 제4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 외부 미디어(533)와 유선으로 접속하는 외부 인터페이스(534), 및, 텔레비전 수상기(501)의 무선 인터페이스(517)와 무선으로 접속하는 무선 인터페이스(535)로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520)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도, 상술한 제3과 제4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9에 도시되는 알고리즘베이(312), 외부 미디어(519) 중의 유선 인터페이스(531), 및, 무선 인터페이스(532)를 구성하는 부분, 및, 접속 단자(52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들은, 텔레비전 수상기(501)에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고, 그 기판은 패키지에 수납되어, 유선 인터페이스(331), 무선 인터페이스(332), 유선 인터페이스(531), 무선 인터페이스(532), 및, 무선 인터페이스(535)의 각각은, 대응하는 패키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501)는, 이 패키지를 수납하는 수납부(도시 생략)를 설치하여, 그 수납부 중의, 패키지가 수납된 경우에, 패키지의 유선 인터페이스와 접속 가능한 위치에 유선 인터페이스(516)를 배치함과 함께, 패키지의 무선 인터페이스와 접속 가능한 위치에 무선 인터페이스(517)를 배치하면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알고리즘베이(312), 외부 미디어(519), 또는, 접속 단자(520)를, 용이하게 텔레비전 수상기(501)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3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8의 텔레비전 수상기(501)의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지금, 텔레비전 수상기(501)에는, 알고리즘베이(312)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유선 인터페이스(331)와 유선 인터페이스(516)가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고,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332)와 무선 인터페이스(517)가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1 정보 제공부(333)는, 제1 정보로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이하, 부호화 영상 데이터라고 칭함)를 공급하고, 또한, 제2 정보 제공부(334)는, 제2 정보로서, 제1 정보인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복호하기 위해서 필요한 데이터(이하, 복호 정보라고 칭함)를 공급하는 것으로 한다.
처음에, 단계 S201에 있어서, 도 28의 텔레비전 수상기(501)의 디코드부(518)는, 외부 기기로부터의 영상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 있어서는, 디코드부(518)는, 유선 인터페이스(516), 및, 유선 인터페이스(331)를 통하여 제1 정보 제공부(333)로부터 부호화 영상 데이터를 취득(수신)하고,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517), 및, 무선 인터페이스(332)를 통하여 제2 정보 제공부(334)로부터 복호 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디코드부(518)는, 수신한 영상을 디코드(복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 있어서는, 디코드부(518)는, 상술한 단계 S201의 처리에서 취득한 복호 정보를 이용하여, 상술한 단계 S201의 처리에서 취득한 부호화영상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여, 신호 처리부(514)에 공급한다.
이 때, 신호 처리부(514)에는, 동시에, 튜너(512)가 안테나(511)를 통하여 수신하여, 출력한 텔레비전 방송의 영상 중간 주파 신호가, VIF 부(513)에 의해 복조되어, 콤포지트 영상 신호(이하, 단순히, 텔레비전 방송의 영상 신호라고 칭함)로서, 공급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203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514)는, 단계 S202의 처리에서 디코드부(518)에 의해 공급된 외부 기기(이 예에서는, 알고리즘베이(312))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및, 텔레비전 방송의 영상 신호 중의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204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514)는, 상술한 단계 S203의 처리에서 선택한 영상(데이터 또는 신호)의 사이즈를 변환하여, 적절한 영상 신호(예를 들면, 도 28의 예에서는, 3원색의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 로서 표시부(515)에 공급한다.
단계 S205에 있어서, 표시부(515)는, 단계 S204의 처리에서 신호 처리부(514)에 의해 사이즈가 변환된 영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부(515)는, 3원색의 R 신호, G 신호, 및, B 신호를 입력하여, 이들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도 28의 텔레비전 수상기(501)는, 착탈 가능한 유선 인터페이스(516), 및, 무선 인터페이스(517)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도 16의 신호 처리 시스템(301) (신호 처리 장치(311)와 같이, 상술한 제1 및 제2 과제를해결함과 함께, 또한, 상술한 텔레비전 수상기 특유의 제3 및 제4 과제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각종의 신호 처리 장치나, 알고리즘베이에 상당하는 신호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먼저 설명한 도 15에 도시되는 것 같은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실행된다. 단, 인터페이스(212)는, 유선 인터페이스부와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갖고, 통신부(209)는, 유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의 유선의 통신 처리를 행함과 함께,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의 무선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는 정보가 갱신되더라도, 그 갱신된 정보를 은닉성을 확보하면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제1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따르면,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그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여, 은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제2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에 따르면,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다. 특히, 그 변경을 용이하게 행하게 하여, 은닉성을 확보시킬 수 있다.

Claims (80)

  1. 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신호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접속 형태는,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장착 수단에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장착 방향에 따라 구별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상기 제1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함과 함께, 상기 제2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상기 제2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접속 형태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무선 통신 간의 거리에 따라 구별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전계 강도, 에러율, 또는, 클럭 위상차 중의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제1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제2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은, 상기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여 행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의 협조 분담에 의해,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과 협조 분담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지정하는 계수 지정 수단을 더 갖는 신호 처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과,
    적어도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상기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생성하는 계수 생성 수단
    을 더 갖고,
    상기 계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계수를,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시스템.
  11. 제1 신호 처리 장치 및 제2 신호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신호 처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공정
    을 갖는 신호 처리 방법.
  12.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수단과,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복수의 접속 형태로 접속 가능한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접속 수단에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접속 수단에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신호 처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접속 형태는,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장착 수단에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장착 방향에 따라 구별되는
    신호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상기 제1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함과 함께, 상기 제2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상기 제2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접속 형태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무선 통신 간의 거리에 따라 구별되는 신호 처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전계 강도, 에러율, 또는, 클럭 위상차 중의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신호 처리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2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여 행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협조 분담에 의해,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지정하는 계수 지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함과 함께,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상기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접속 수단에 접속된 경우,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생성하여, 생성한 상기 계수를,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제공된 상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장치.
  22.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 단계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 단계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되는
    신호 처리 방법.
  23.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 단계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 단계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
  24.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단계를 실행시키고,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 단계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1 기능으로 변경되고,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신호 처리 단계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이, 제2 기능으로 변경되는
    프로그램.
  25.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기능 변경 수단
    을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있는신호 처리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장착 수단을 갖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접속 형태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장착 수단에 장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한 장착 방향에 따라 구별되는
    신호 처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상기 제1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함과 함께, 상기 제2 접속 형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상기 제2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무선 통신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갖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접속 형태는,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무선 통신 간의 거리에 따라 구별되는
    신호 처리 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제1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제2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상기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은, 상기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여 행하며,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처리 실행 수단의 협조 분담에 의해,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장치
  32. 제25항에 있어서,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적어도 상기 제1 접속 형태에 대하여, 상기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협조 분담하는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할당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형태로,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상기 제1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협조 분담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를 생성하는 계수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기능 변경 수단은, 상기 계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계수를,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또한 제공하고,
    상기 제1 기능은, 상기 제2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기능 변경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 실행 수단에 의해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인
    신호 처리 장치.
  33.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기능 변경 단계
    를 갖는 신호 처리 방법.
  34.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기능 변경 단계
    를 갖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35.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제1 접속 형태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1 기능으로 변경하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가 제2 접속 형태로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제2 기능으로 변경하는 기능 변경 단계
    를 갖는 프로그램.
  36.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제1 신호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신호를 공급하는 제2 신호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신호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수단과,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정보인 신호 처리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계수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의 계수와는 다른,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계수인
    신호 처리 시스템.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상기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상기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상기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양자화 테이블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의 양자화 테이블과는 다른,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양자화 테이블인
    신호 처리 시스템.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는 정보인 신호 처리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상기 제1 기능과는 다른 제2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인
    신호 처리 시스템.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상기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상기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상기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화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 보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 경우, 상기 DCT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정보를 DCT 계수로 변환하여, 상기 양자화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44.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부호화 정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이고,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 경우, 상기 신호 처리로서,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45.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유선 공급 수단은,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커넥터를 갖는 신호 처리 시스템.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되는 기판으로서 형성되어, 상기 기판은 패키지에 수납되고,
    상기 제1의 커넥터는, 상기 패키지에 배치되는
    신호 처리 시스템.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제1의 커넥터와 접속되는 제2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2의 커넥터로서, 복수 종류의 상기 제1의 커넥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신호 처리 시스템.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커넥터는,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소정의 규격으로 규정되는 종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4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무선 공급 수단은,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하여,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또한 공급하는
    신호 처리 시스템.
  50. 제1 및 제2 신호 처리 장치로 이루어지는 신호 처리 시스템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는,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유선으로 공급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제1 신호 처리 장치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공정
    을 갖는 신호 처리 방법.
  51.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 수단과,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수단
    을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정보인 신호 처리 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계수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의 계수와는 다른,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계수인
    신호 처리 장치.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상기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상기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상기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양자화 테이블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의 양자화 테이블과는 다른,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양자화 테이블인
    신호 처리 장치.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는 정보인 신호 처리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상기 제1 기능과는 다른 제2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인
    신호 처리 장치.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상기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상기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상기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화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 보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유선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무선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DCT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정보를 DCT 계수로 변환하여, 상기 양자화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신호 처리 장치.
  58.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부호화 정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이고,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유선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상기 무선 수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신호 처리로서, 상기 제2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장치.
  59.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가 갖는 제1 커넥터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2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2의 커넥터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제1의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1 및 상기 제2의 커넥터를 통하여 수신하는
    신호 처리 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커넥터로서, 복수 종류의 상기 제1의 커넥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는 신호 처리 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커넥터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소정의 규격으로 규정되는 종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장치.
  6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상기 무선 수신 수단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또한 수신하는 신호 처리 장치.
  63.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유선 수신 단계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64.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유선 수신 제어 단계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수신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65.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유선으로 송신된,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유선 수신 제어 단계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된,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수신 제어 단계
    를 갖는 프로그램.
  66.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수단과,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수단
    을 구비하는 신호 처리 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시키는 기판으로서 형성되는 신호 처리 장치.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정보인 신호 처리 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계수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의 계수와는 다른,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계수인
    신호 처리 장치.
  70.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상기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상기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상기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양자화 테이블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의 양자화 테이블과는 다른,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2 양자화 테이블인
    신호 처리 장치.
  71.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신호 처리의 기능을 추가하는 정보인 신호 처리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클래스 분류 적응 처리에서 이용하는, 상기 제1 기능과는 다른 제2 기능에 대응하는 계수인
    신호 처리 장치.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상기 신호를 블록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블록화 처리, 상기 블록화 데이터를 DCT 계수로 변환하는 DCT 처리, 및, 상기 DCT 계수를 양자화하는 양자화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양자화 처리에서 이용하는 양자화 테이블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화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보상의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신호 처리 장치.
  74.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는,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는 복호 처리이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부호화 정보이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부호화 정보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정보인
    신호 처리 장치.
  75.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공급 수단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와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를 갖는 신호 처리 장치.
  7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는,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장착시키는 기판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은 패키지에 수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패키지에 배치되는 신호 처리 장치.
  7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는,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상기 무선 공급 수단은,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하여,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무선으로 또한 공급하는
    신호 처리 장치.
  78. 신호 처리 장치의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단계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79.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은,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단계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80. 신호 처리 장치 제어하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한 신호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에서 이용하는 제1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유선으로 공급하는 유선 공급 단계와,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다른 신호 처리 장치의 상기 신호 처리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제2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공급 단계를 갖는
    프로그램.
KR1020030031193A 2002-05-17 2003-05-16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966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3039A JP4103070B2 (ja) 2002-05-17 2002-05-17 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2-00143038 2002-05-17
JP2002143038A JP4154925B2 (ja) 2002-05-17 2002-05-17 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2-00143039 2002-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505A true KR20030089505A (ko) 2003-11-21
KR100966192B1 KR100966192B1 (ko) 2010-06-25

Family

ID=3077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193A KR100966192B1 (ko) 2002-05-17 2003-05-16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7694326B2 (ko)
KR (1) KR1009661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04B1 (ko) * 2005-04-01 200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US7586985B2 (en) 2005-04-13 2009-09-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 using reference pictures
US7627034B2 (en) 2005-04-01 2009-1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8660180B2 (en) 2005-04-01 2014-0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8755434B2 (en) 2005-07-22 2014-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8761252B2 (en) 2003-03-27 2014-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4459B2 (ja) * 2003-02-13 2009-01-28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392584B2 (ja) * 2003-06-27 2010-01-06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590397B2 (en) * 2003-09-10 2009-09-15 Sony Corpor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7317903B2 (en) * 2003-09-30 2008-01-08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957601B (zh) * 2004-03-25 2010-12-08 索尼株式会社 信息信号处理设备、功能块控制方法和功能块
JP5061883B2 (ja) * 2007-12-21 2012-10-3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装置
US9131260B2 (en) * 2011-10-31 2015-09-08 Roku, Inc. Streaming media system
US9286854B2 (en) 2011-10-31 2016-03-15 Roku, Inc. Multi-interface streaming media system
JP7081159B2 (ja) * 2018-01-12 2022-06-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9515A (en) * 1988-09-30 1990-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Digital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JPH02246400A (ja) 1989-03-20 1990-10-02 Bunji Koshiishi バスコネクタ式avラックとav機器
US5187575A (en) * 1989-12-29 1993-02-1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ource adaptive television system
KR930005599B1 (ko) * 1991-05-16 1993-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칼라텔레비젼의 화면 조정 회로 및 방법
CA2151461C (en) * 1992-12-09 2004-09-21 John S. Hendricks Advanced set top terminal for cable television delivery system
JP3480015B2 (ja) 1993-11-24 2003-12-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の生成装置および生成方法
JP3003498B2 (ja) 1994-03-18 2000-01-31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5572528A (en) * 1995-03-20 1996-11-05 Novell, Inc. Mobile networking method and apparatus
WO1998020483A1 (fr) * 1996-11-07 1998-05-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enerateur de vecteur de source sonore, codeur et decodeur vocal
US5912708A (en) * 1996-12-26 1999-06-15 Sony Corporation Picture signal encoding device, picture signal encoding method, picture signal decoding device, picture signal 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H1127267A (ja) 1997-07-03 1999-01-29 Nec Corp ネットワーク監視装置
JPH11127267A (ja) 1997-10-22 1999-05-11 Fujitsu Ltd 情報端末装置及びデータ通信アクセス方法
JP4089104B2 (ja) 1998-10-05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変換装置および方法、学習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2000307594A (ja) 1999-04-21 2000-11-02 Nec Corp Av機器の機能の最適処理分散システム
JP4387502B2 (ja) 1999-07-14 2009-12-16 株式会社東芝 画像授受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装置およびホスト装置
JP2001230954A (ja) 2000-02-15 2001-08-24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1352497A (ja) 2000-06-08 2001-12-21 Canon Inc 制御装置
US6922780B1 (en) * 2000-08-08 2005-07-26 The Directv Group, Inc. Dual chip smart card and method for using same
JP4582681B2 (ja) 2001-04-12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信号処理システム
JP4604382B2 (ja) 2001-04-12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収納ラックおよび接続装置、並びに収納ラックシステム
JP4618956B2 (ja) 2001-12-10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媒体
JP4140259B2 (ja) 2002-03-29 2008-08-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1252B2 (en) 2003-03-27 2014-06-2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8369400B2 (en) 2005-04-01 2013-02-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7970057B2 (en) 2005-04-01 2011-06-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9288486B2 (en) 2005-04-01 2016-03-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8660180B2 (en) 2005-04-01 2014-0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7787540B2 (en) 2005-04-01 2010-08-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7864841B2 (en) 2005-04-01 2011-0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7864849B2 (en) 2005-04-01 2011-01-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7627034B2 (en) 2005-04-01 2009-1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KR100883604B1 (ko) * 2005-04-01 200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일러블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US8514936B2 (en) 2005-04-01 2013-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US7746933B2 (en) 2005-04-13 2010-06-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 using reference pictures
US7586985B2 (en) 2005-04-13 2009-09-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 using reference pictures
US7688897B2 (en) 2005-04-13 2010-03-30 Lg Electronics Co.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signal using reference pictures
US8755434B2 (en) 2005-07-22 2014-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y encoding and decoding video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19717A1 (en) 2004-01-29
US20100153599A1 (en) 2010-06-17
US8037509B2 (en) 2011-10-11
KR100966192B1 (ko) 2010-06-25
US7694326B2 (en) 201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6945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decoding a block of an image
CN109274969B (zh) 色度预测的方法和设备
KR100966192B1 (ko)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US9319712B2 (en) Filtering strength determination method, moving picture coding method and moving picture decoding method
KR101017094B1 (ko) 인트라 코딩에 기반한 공간 예측
US971093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CN104380739B (zh) 图像处理设备和图像处理方法
US20040008771A1 (en) Spatial prediction based intra coding
CN102396228A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
KR20000068542A (ko) 비디오 엔코더, 비디오 디코더, 비디오 프로세서 및 그 방법
CN104023239A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
CN102301723A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
CN112369025A (zh) 基于上下文的二进制算术编码和解码
WO2021165018A1 (en) Neural network-based intra prediction for video encoding or decoding
JP4284265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復号化方法
CN113826397A (zh) 用于图像编码和解码的方法和设备
CN102342107A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
AU645923B2 (en) Moving-image signal encoding apparatus
JP4103070B2 (ja) 信号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569844B2 (ja) 信号処理システム、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A2614571C (en) A method for encoding images in a block-based manner employing block spatial prediction
WO20230413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with chroma residuals sampling
KR20230150293A (ko) 비디오를 인코딩/디코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N117597923A (zh) 用于视频编码和解码的利用模板匹配的帧内块复制
CN117280683A (zh) 用于对视频进行编码/解码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