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263A -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8263A
KR20030088263A KR1020020026351A KR20020026351A KR20030088263A KR 20030088263 A KR20030088263 A KR 20030088263A KR 1020020026351 A KR1020020026351 A KR 1020020026351A KR 20020026351 A KR20020026351 A KR 20020026351A KR 20030088263 A KR20030088263 A KR 20030088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microbial fuel
anode
electrode part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406B1 (ko
Inventor
김병홍
장인섭
장재경
길근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2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406B1/ko
Priority to PCT/KR2003/000950 priority patent/WO2003096467A1/en
Priority to AU2003230342A priority patent/AU2003230342A1/en
Priority to US10/514,180 priority patent/US7544429B2/en
Priority to CNB038130432A priority patent/CN100344025C/zh
Publication of KR2003008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8Fuel 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부과 음극부, 이들 양극부와 음극부를 분리하는 글라스울(glass wool)과 글라스비드(glassbead), 상기 양극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및 상기 음극부에 폐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이 연료전지는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의 거리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양극부 전극으로 탄소 부직포 또는 금속, 예를 들어 백금을 입힌 탄소 부직포를 사용하고, 음극부에 완충용액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는 수소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음극부의 pH가 떨어지는 현상을 발생시키지만 불가피하게 사용되어 왔던 고가의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고도 운전이 가능하고, 기존의 다른 폐수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처리효율이 떨어지지 않는다.

Description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A Membraneless And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본 발명은 폐수 처리에 이용하기 위해 막을 사용하지 않는 개량된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생물이 폐수내의 유기물을 대사과정에 이용하고 이때 발생하는 전자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생물연료전지를 이용한 기술에 기초하고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대부분 미생물은 절연성이 높은 세포외부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이 세포의 원형질막에서 이루어지는 전자전달 반응에서 전자를 외부의 전극으로 유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일반 미생물을 이용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에서는 미생물의 전자 전달계로부터 전자를 전극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전자전달 매개체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매개체는 대체로 난분해성 물질로 2차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사용할 때 전극에 점착되어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고 미생물에 독성을 주는 방향족 화합물이며,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는 미생물 연료전지 기술에서는 미생물 대사과정에서 전자와 수소원자가 발생되는데 이때 매개체 없이 전자는 전극으로 직접 이동이 가능하며 이것은 다시 양극부로 이동되며 수소이온은 양이온 교환막을 통하여양극부로 이동하여 전자와 함께 산소에 의해 산화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밝혀진 바 있다 [참조: 김병홍 등, 금속염 환원 세균을 이용한 생물연료전지, 한국 특허 제224381호, 미국특허 제5,976,719호, 일본특허 제3022431호, EP특허출원 제97306661.6호]. 또한 상기 특허에서 사용한 금속염 환원 세균 이외에 자연계에는 특히 폐수처리시설 등에는 이미 금속염 환원세균처럼 유기물의 산화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를 직접 전극(음극부)에 전달하는 미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별도의 분리 배양 과정 없이 자연적으로 생물연료전지 운전 동안에 농화배양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참조; 김병홍 등, 폐수 및 폐수처리용 활성 슬러지를 사용한 생물연료전지, 한국특허출원 99-27168, PCT 특허출원 PCT/KR00/00228].
그러나 이전에 연구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는, 양극부와 음극부를 구분하며, 연속방식으로 운전되는 미생물 연료전지를 폐수(하수)처리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극부의 생물 반응에 의한 전자와 수소이온의 생성 및 전달 그리고 양극부에서 4e- + 4H+ + O2의 반응에 의한 전자와 수소이온의 소모가 유기적으로 일어나면서 회로(curcuit)가 형성되어야 했기 때문에, 수소이온을 음극부에서 양극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양이온 교환막(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반응 중 음극부의 미생물이 충분히 농화되었다면 저항을 조절하여 음극부에서 발생하여 양극부로 공급되는 전자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반면, 수소이온의 경우는 양이온 교환막을 통해서 전달되었다. 그러나, 이 양이온 교환막은 수소이온의 전달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길근철 등, Operational parameters affecting the performanceof a meditor-less microbial fuel cell, Biosensors & Bioelectronics, submitted), 음극부에서 미생물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수소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음극부의 pH가 떨어지는 현상을 발생시켰다. 또한 양이온 교환막은 가격이 고가로 폐수(하수)처리에 사용하는 재료로 이용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점을 보완하여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이 가능하며, 기존의 다른 폐수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처리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개량된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는 폐수(하수)를 처리하면서 발생하는 전기를 이용하는 공정에 활용할 수 있는 개량된 장치이다.
도 1은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와 이를 운전하고 전류를 기록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도 2는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는 통상의 미생물 연료전지의 운전에서 (a) 양극부에 증류수를 사용할 때와 (b) 인산 완충액을 사용할 때의 전류 발생 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3은 도 2a에서 미생물 연료 전지의 pH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4는 300 ppm의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를 갖고 있는 폐수를 이용하여 연료전지형 반응기에서 전기화학 활성이 있는 미생물을 농화 배양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5는 농화 배양된 미생물 연료전지의 양극부에 공급하는 공기의 공급 속도와 전류 발생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6은 농화 배양된 미생물 연료전지의 양극부에 사용하는 전극의 종류에 따른 전류 발생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7은 농화 배양된 미생물 연료전지의 음극부와 양극부의 거리에 따른 전류의 발생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8은 농화 배양된 미생물 연료전지의 운전 조건에 따른 COD (화학적 산소 요구량) 제거 효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상기 발명의 목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생물 연료전지를 개량하여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고 폐수(하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한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양극부과 음극부, 이들 양극부와 음극부를 분리하는 글라스울(glass wool)과 글라스비드(glassbead), 상기 양극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및 상기 음극부에 폐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는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의 거리 조절장치를 더 포함하고, 양극부 전극으로 탄소 부직포 또는 금속, 예를 들어 백금을 입힌 탄소 부직포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는 음극부에 분포하고 있는 미생물의 활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연료인 인공폐수를 공급할 때 미생물 생장의 최적 pH를 유지하도록, 기질인 폐수가 유기산을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비하여 음극부에 완충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단에 음극부가 있고, 그 위에 양극부가 있으며, 이들 음극부와 양극부를 분리하기 위하여 글라스울과 글라스비드를 10센티미터(cm)높이로 충전시킨, 직경 10센티미터(cm), 높이 100센티미터(cm)의 원통형 반응기를 미생물 연료전지로 사용하였다.
일정 BOD (300ppm) 농도를 갖는 폐수를 미생물 연료전지의 하부로 주입하고, 음극부와 글라스울 분리층을 통과시킨 다음 양극부의 중간지점에서 폐수를 배출시켰다. 이때 양극부의 전극 바로 아래에서 폐수를 채수하여 COD를 측정하여 유기물의 처리 효율을 확인하였다. 전하량(쿨롱)은 발생하는 전류를 시간에 따라 적분하여 산출하고, 이를 장치에서 제거되는 유기물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전기 발생 효율을 계산하였다.
이때 발생하는 전류 측정은 저항 10오옴(Ω)에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관찰되는 여러 가지 율속 조건, 특히 산소, 수소 이온 등이 율속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방지하면서 운전하였다.
본 발명에서 양극부에 공급하는 산소는 중요한 율속 원인 인자이므로 충분히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양극부에 사용하는 전극에 백금(Pt)를 코팅함으로써 반응속도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극부와 양극부 사이의 거리를 최단거리로 하는 것이 내부저항을 감소시켜 일련의 반응이 훨씬 빠르게 일어나게 함으로써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연속적으로 폐수처리를 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도 1에 따르면 폐수저장용기의 폐수가 유량조절펌프를 통해서 미생물 연료전지의 음극부 하부로 유입되고, 이때 폐수중의 유기물은 상향류시에 미생물에 의해 산화되고 이때 발생하는 전자는 저항단자를 거쳐 양극부로 이동된다. 양극부에서는 전자 이동속도의 최대값이 음극부에서 폐수의 유기물이 분해되는 속도와 같다는 가정하에 이 속도보다 큰 범위에서 충분히 전자를 소비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잘 이해 될 수 있다.
<실시예 1>
일련의 양극부 반응에서 율속인자인 수소이온과 산소공급량에 따른 영향
본 실시예는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는 미생물 연료전지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전류와 양극부의 pH를 측정하여 율속인자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매개체 없는 미생물 연료전지에 400ppm의 폐수를 공급하면서 10옴의 저항으로 연결한 다음 발생하는 전류의 변화를 도 2a 및 2b에 표시하였다. 이때 양극부의 pH 변화를 측정하여 도 3의 결과를 얻었다.
양극부에 증류수를 사용한 도 2a에서 폐수를 연료로 공급한 즉시 전류의 발생이 1.3밀리암페어까지 증가한 다음 급격히 떨어져 0.8밀리암페어 부근에서 유지되다 다시 0.3밀리암페어로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음극부의 미생물이 1.3밀리암페어 이상의 전류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나 다른 율속 인자로 인해 전류가 미생물의 최대 능력으로 발생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양극부에 인산 완충액을 사용한 도 2b의 경우 초기 전류 감소 속도가 현저히 낮았다. 이때 증류수를 사용한 경우 pH 변화는 양극부에서 9.5 이상으로 증가하고, 음극부에서는 5.4로 감소하였다. 이는 pH가 수소이온 농도(물농도) 역수의 상용대수 값임을 감안할 때 음극부에서 수소이온이 생성되는 속도가 양이온 교환막을 통해 전달되는 속도보다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양극부의 반응이 수소이온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인산 완충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pH 값이 0.5 이상 변하지 않았다. 또한 도 2a 및 2b에서 전류 값이 두 번째 감소한 것은 산소의 공급이 충분하지 않는 것에 기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은 연료전지를 이용한 농화배양
본 실시예는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를 이용하여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는 미생물 연료전지의 운전에 필수적인 전기화학적 미생물을농화배양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공폐수를 사용하였으며, 인공폐수에서 미생물의 전자공여체로 작용하는 유기물을 제외한 성분은 표 1과 같다. 이때 농화배양에 이용한 접종원은 하수 처리장 혐기성 소화조 오니를 이용하였다.
인공폐수의 유기물을 제외한 성분
성분 조성
(NH4)2SO4 0.141 그램
MgSO47H2O 0.05 그램
CaCl2 3.75 밀리그램
FeCl3 6H2O 0.25 밀리그램
MnSO4H2O 5 밀리그램
NaHCO3 0.105 그램
흔적 광물 용액 10 밀리리터
인산염 완충액 (1M, pH 7.0) 50 밀리리터
증류수 940 밀리리터
흔적 광물 (Balows et al, 1991)
니트릴로 트리아세트산 (NTA) 1.5 (g/L)
FeSO47H2O 0.1
MnCl24H2O 0.1
CoCl26H2O 0.17
ZnCl2 0.1
CaCl22H2O 0.1
CuCl22H2O 0.02
H3BO3 0.01
Na2MoO3 0.01
Na2SeO3 0.017
NiSO46H2O 0.026
NaCl 1.0
위와 같은 조성 성분과 함께, K2HPO4완충용액을 1리터당 50밀리그램의 양으로 공급하였으며, 300 ppm의 BOD를 가질 수 있는 인공폐수를 만들기 위하여 유기물로서 글루탐산과 포도당을 각 150 ppm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때 인공폐수의 농도는 유기물의 구성비는 동일하게 하고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실험에 사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는 도 1의 전지로서, 음극부에 196 그램의 탄소 부직포를 말아서 장착하고, 양극부에는 53.25 그램(두께 1.27cm, 직경 10cm ×10개)의 탄소 부직포를 포개서 장착하였다. 이때 탄소부직포에 백금선을 전극의 배선으로 사용하였으며, 운전 저항은 10 오옴(ohm)으로 하였다. 폐수의 저장 용기로부터 음극부로 이송되는 인공폐수의 유속은 분당 0.28 밀리리터로 일정하게 유지하였으며 양극부에는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분당 60밀리리터로 공급하였다. 이때 공기 공급속도는 최고 300 ppm의 폐수를 음극부로 분당 0.28 밀리리터로 공급할 경우 발생하는 전자와 반응할 수 있는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300 ppm의 인공폐수를 pH를 7.0으로 조절한 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전류의 발생 값과 COD를 측정하였다.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폐수가 유입되면서 20일이 경과한 이후 전류값은 약 2.0 mA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음극부의 전극에 전기화학 활성을 갖는 미생물이 농화 배양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3>
산소공급속도에 따라 양극부에 미치는 영향
도 5는 음극부에 300 ppm의 인공폐수를 공급하면서 양극부에 공급하는 공기의 공급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발생하는 전류를 기록한 결과이다. 인공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양극부의 수표면을 통해 산소가 녹아 들어가는 조건으로 미생물연료전지를 운전한 결과 0.15 밀리암페어의 전류가 발생하였으나 공기를 분당 60 밀리리터로 공급한 경우에는 전류값이 2.1 밀리암페어로 서서히 증가하였다. 공기의 공급을 분당 200 밀리리터로 증가시켰을 때는 분당 60 밀리리터를 공급하였을 때와 큰 변화가 없는 전류값을 보여주었다. 공기 공급속도를 분당 20 밀리리터로 감소시킨 결과 전류의 발생이 약 1.7 밀리암페어로 감소하였다. 공기를 분당 60 밀리리터로 공급할 때 양극부의 용존산소 농도가 약 7.5 ppm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BOD 300 ppm의 폐수를 처리할 때 공기 공급 속도가 분당 60 밀리리터 이상이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음극부에 유입되는 인공폐수의 농도에 따라 양극부에 공급하는 공기의 공급속도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소의 공급을 중단하였을 때 음극부를 통해 나오는 유출수의 COD를 측정함으로써 산소공급에 따른 영향을 알아본 결과를 도 8에 나타냈는데, 산소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음극부의 유기물 분해도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산소 공급양에 따라 전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적정산소의 공급이 생물연료전지를 최적상태로 운전하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백금(Pt) 촉매 사용에 따른 양극부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3에서 양극부에 공기의 공급을 분당 60 밀리리터 이상으로 유지할 때 최대 전류를 발생하였으며, 이 때 용존산소의 농도가 7.5ppm 정도였다. 실시예 3에서와 같이 공기 공급속도를 60 밀리리터로 하여 미생물 연료전지를 운전한 다음,양극(두께 1.27cm x 직경 10cm인 10개의 탄소 부직포)을 제거하고 백금으로 표면을 입힌 두께가 3밀리미터이고 크기가 7.7×5.8센티미터(cm)인 탄소 부직포를 양극으로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전류를 기록하였다. 또한 백금을 입힌 전극과 같은 모양과 크기의 탄소 부직포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비교하였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래의 양극을 사용한 경우 2.1밀리암페어의 전류가 발생하였으나, 백금을 입힌 전극을 사용한 경우 3.1밀리암페어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는 같은 크기의 탄소부직포를 사용한 경우 0.7밀리암페어의 전류가 발생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양극에 산소를 환원시키는 촉매능이 큰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미생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의 거리에 따른 영향
도 7은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의 거리에 변화를 주었을 때 전류값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전의 모든 실시예에서는 음극과 양극의 거리를 45센티미터인 조건으로 운전하였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거리를 15센티미터로 줄여서 운전한 결과 전류 발생이 2.1밀리암페어에서 3.0밀리암페어 정도까지 상승하였다. 또한 배출수의 COD 농도가 약 25∼30 ppm이던 것이 20 ppm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전극 간의 거리를 좁혀주면 수소이온의 이동 거리 또는 pH(수소이온 농도)의 차이를 줄여서 미생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는 수소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음극부의 pH가 떨어지는 현상을 발생시키지만 불가피하게 사용되어 왔던 고가의 양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고도 운전이 가능하고, 기존의 다른 폐수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처리효율이 떨어지지 않는다.

Claims (5)

  1. 양극부과 음극부, 이들 양극부와 음극부를 분리하는 글라스울(glass wool)과 글라스비드(glassbead), 상기 양극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 및 상기 음극부에 폐수를 공급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의 거리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양극부 전극으로 탄소 부직포 또는 금속을 입힌 탄소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양극부 전극으로 백금을 입힌 탄소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5. 제1항에 있어서, 음극부에 완충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KR10-2002-0026351A 2002-05-14 2002-05-14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KR10044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351A KR100446406B1 (ko) 2002-05-14 2002-05-14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PCT/KR2003/000950 WO2003096467A1 (en) 2002-05-14 2003-05-14 Membraneless and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AU2003230342A AU2003230342A1 (en) 2002-05-14 2003-05-14 Membraneless and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US10/514,180 US7544429B2 (en) 2002-05-14 2003-05-14 Membraneless and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CNB038130432A CN100344025C (zh) 2002-05-14 2003-05-14 无膜和无介体的微生物燃料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351A KR100446406B1 (ko) 2002-05-14 2002-05-14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263A true KR20030088263A (ko) 2003-11-19
KR100446406B1 KR100446406B1 (ko) 2004-09-01

Family

ID=2941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351A KR100446406B1 (ko) 2002-05-14 2002-05-14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44429B2 (ko)
KR (1) KR100446406B1 (ko)
CN (1) CN100344025C (ko)
AU (1) AU2003230342A1 (ko)
WO (1) WO200309646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577A2 (ko) * 2008-08-28 2010-03-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층의 수평흐름을 가진 수면부유양극 미생물연료전지
KR101314936B1 (ko) * 2010-04-14 2013-10-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회분식 수면공기양극 미생물연료전지 장치
KR101368287B1 (ko) * 2012-09-28 2014-03-04 대한민국 미생물연료전지
KR101440779B1 (ko) * 2013-03-22 2014-09-19 광주과학기술원 무전해질막 미생물 연료전지, 이의 직렬 스택, 및 병렬 연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5293B2 (en) 2003-10-03 2009-11-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el cell electrode with redox catalyst
EP1742288A1 (en) * 2005-07-08 2007-01-10 Universiteit Gent Microbial fuel cells for oxidation of electron donors
CN100380724C (zh) * 2005-11-30 2008-04-09 哈尔滨工业大学 从有机废水中发电的空气阴极生物燃料电池
US20090305089A1 (en) * 2006-07-14 2009-12-10 Akermin, Inc. Organelles in bioanodes, biocathodes, and biofuel cells
US20100119879A1 (en) * 2006-09-20 2010-05-13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ethods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and managing power from microbial fuel cells
US20110039164A1 (en) * 2006-11-06 2011-02-17 Akermin, Inc. Bioanode and biocathode stack assemblies
EP2109909B1 (en) 2006-12-21 2016-07-06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Fuel cell with transport flow across gap
WO2008109911A1 (en) * 2007-03-15 2008-09-18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Microbial fuel cell
US7858243B2 (en) 2007-03-22 2010-12-28 The University Of Wyoming Research Corporation Influential fuel cell systems including effective cathodes and use with remediation efforts
WO2008131564A1 (en) * 2007-04-30 2008-11-06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Membraneless fuel cel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8283076B2 (en) * 2007-05-18 2012-10-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icrobial fuel cells
GB0720203D0 (en) 2007-10-16 2007-11-28 Goryanin Irina Microbial fuel cell cathode assembly
KR100911658B1 (ko) 2007-11-13 2009-08-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연료 전지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US7851094B2 (en) * 2008-02-02 2010-12-14 Masco Corporation Power supply for plumbing device
FR2930076B1 (fr) * 2008-04-09 2011-06-03 Univ Joseph Fourier Biopile a rendement ameliore
US8309259B2 (en) 2008-05-19 2012-11-13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Electrochemical cell, and particularly a cell with electrodeposited fuel
US20090305084A1 (en) * 2008-06-04 2009-12-10 Crookes Donald W Microbial Fuel Cell and Method of Use
WO2010045072A2 (en) * 2008-10-17 2010-04-22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icrobial electrolytic cell
US20110135966A1 (en) * 2009-12-05 2011-06-09 Vishnu Jayaprakash Novel cow-dung based microbial fuel cell
EP2524411A4 (en) * 2010-01-14 2013-10-09 Craig Venter Inst J MODULAR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ITH RECOVERY OF ENERGY
CN202721244U (zh) 2010-06-24 2013-02-06 流体股份有限公司 具有阶梯形支架燃料阳极的电化学电池
CN102403525B (zh) 2010-09-16 2016-02-03 流体公司 具有渐进析氧电极/燃料电极的电化学电池系统
WO2012054594A1 (en) 2010-10-20 2012-04-26 Fluidic, Inc. Battery resetting process for scaffold fuel electrode
JP5908251B2 (ja) 2010-11-17 2016-04-26 フルイディック,インク.Fluidic,Inc. 階層型アノードのマルチモード充電
CN102751524A (zh) * 2011-04-18 2012-10-24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无膜微生物燃料电池
CN102515365A (zh) * 2011-12-13 2012-06-27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协同处理电镀废水和生活污水的无膜生物电化学装置
CN103427101A (zh) * 2012-05-22 2013-12-04 北京大学深圳研究生院 一种应用微生物燃料电池由废水产生电能及升压存储的方法
US9343770B2 (en) 2012-07-27 2016-05-17 Livolt, LLC Microbial fuel cell,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3326053B (zh) * 2013-05-23 2015-05-13 中国农业大学 一种研究微生物电化学的多电极微生物燃料电池系统
CN105293694B (zh) * 2015-11-26 2018-07-20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内置生物催化电解系统的堆叠式废水厌氧处理装置及采用其处理废水的方法
CN105842316B (zh) * 2016-03-22 2018-08-28 清华大学 一种生物电化学系统传感器和检测水质毒性的方法
WO2018018036A1 (en) 2016-07-22 2018-01-25 Fluidic, Inc. Moisture and carbon dioxide management system in electrochemical cells
CN109952677A (zh) * 2016-08-05 2019-06-28 罗地亚经营管理公司 无膜直接型燃料电池
RU2657289C1 (ru) * 2017-06-20 2018-06-13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О "КубГУ") Биотопливный элемент
CA3012940A1 (en) * 2018-07-31 2020-01-31 Oz Optics Ltd. A biocapacitive bod sensor
CA3033255A1 (en) 2019-02-04 2020-08-04 Rodney HERRING Photoreactor and formulations for environmental remedia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0127840B (zh) * 2019-04-24 2021-10-22 上海交通大学 基于好氧颗粒污泥床反应器阴极微生物燃料电池的污水处理器
US11251476B2 (en) 2019-05-10 2022-02-15 Form Energy, Inc. Nested annular metal-air cell and systems containing same
US11018362B2 (en) 2019-05-30 2021-05-25 Lih-Ren Shiue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oxygen from water
CN110350226B (zh) * 2019-08-06 2024-06-14 农业农村部规划设计研究院 一种微生物电解池及其处理木醋液的方法
CN111584913B (zh) * 2020-05-28 2021-05-25 烟台大学 一种垂直流互逆型微生物燃料电池
CN112083053A (zh) * 2020-07-22 2020-12-15 哈尔滨工业大学(深圳) 一种重金属废水偷漏排实时报警系统
CN113314749B (zh) * 2021-04-12 2022-08-12 东南大学 一种流化床阴极固体氧化物燃料电池
CN113893660B (zh) * 2021-10-22 2023-06-30 广东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广东省微生物分析检测中心) 一种利用无膜连续流生物电化学系统烟气脱硝的装置和方法
CN115159662A (zh) * 2022-02-22 2022-10-11 武汉理工大学 一种阴极无动力充氧的微生物燃料电池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18775D0 (en) * 1984-07-24 1984-08-30 Queen Elizabeth College Operation of microbial fuel cells
GB8817421D0 (en) * 1988-07-21 1988-08-24 Medisense Inc Bioelectrochemical electrodes
JPH03147269A (ja) * 1989-11-02 1991-06-24 Honda Motor Co Ltd 注水式微生物電池
KR100224381B1 (ko) * 1996-08-29 1999-10-15 박호군 금속염 환원 세균을 사용한 생물연료전지
KR100332932B1 (ko) * 1999-07-07 2002-04-20 박호군 폐수 및 폐수처리용 활성슬러지를 사용한 생물연료전지
KR100303611B1 (ko) * 1999-07-07 2001-09-24 박호군 미생물의 전기화학적 농화배양 방법 및 유기물질 및 bod 분석용 바이오센서
JP3642285B2 (ja) * 2001-03-14 2005-04-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およびその微生物抑制方法
KR100473087B1 (ko) * 2001-12-21 2005-03-08 주식회사 이바이오텍 전이원소를 고정한 전극을 이용한 단일 반응조의생물연료전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4577A2 (ko) * 2008-08-28 2010-03-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층의 수평흐름을 가진 수면부유양극 미생물연료전지
WO2010024577A3 (ko) * 2008-08-28 2010-06-2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층의 수평흐름을 가진 수면부유양극 미생물연료전지
KR101020788B1 (ko) * 2008-08-28 2011-03-0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층의 수평흐름을 가진 수면부유양극 미생물연료전지
KR101314936B1 (ko) * 2010-04-14 2013-10-04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회분식 수면공기양극 미생물연료전지 장치
KR101368287B1 (ko) * 2012-09-28 2014-03-04 대한민국 미생물연료전지
KR101440779B1 (ko) * 2013-03-22 2014-09-19 광주과학기술원 무전해질막 미생물 연료전지, 이의 직렬 스택, 및 병렬 연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08343A1 (en) 2005-09-22
US7544429B2 (en) 2009-06-09
AU2003230342A1 (en) 2003-11-11
KR100446406B1 (ko) 2004-09-01
WO2003096467A1 (en) 2003-11-20
CN1659734A (zh) 2005-08-24
CN100344025C (zh)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6406B1 (ko) 양이온 교환막이 없는 무매개체 미생물 연료전지
US7709113B2 (en) Bio-electrochemically assisted microbial reactor that generates hydrogen gas and methods of generating hydrogen gas
Kim et al. Analysis of ammonia loss mechanisms in microbial fuel cells treating animal wastewater
Kyazze et al. Influence of catholyte pH and temperature on hydrogen production from acetate using a two chamber concentric tubular microbial electrolysis cell
KR100848331B1 (ko) 생물전기화학 시스템을 이용한 탈질 방법
Clauwaert et al. Methanogenesis in membraneless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Rabaey et al. Cathodic oxygen reduction catalyzed by bacteria in microbial fuel cells
Jiang et al. Electrochemical study of enhanced nitrate removal in wastewater treatment using biofilm electrode
KR20010009031A (ko) 폐수 및 폐수처리용 활성슬러지를 사용한 생물연료전지
Tan et al. The reaction of wastewater treatment and power generation of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against substrate concentration and anode distributions
WO2022121550A1 (zh) 一种利用电极生物载体强化低碳氮比污水脱氮的工艺方法
CN101385180B (zh) 包含新型阴极系统的装置和使用其产生电能的方法
EP1902489A2 (en) Microbial fuel cells for oxidation of electron donors
Zhong et al. Power recovery coupled with sulfide and nitrate removal in separate chambers using a microbial fuel cell
Ho et al. Bio-electrochemical reactors using AMI-7001S and CMI-7000S membranes as separators for silver recovery and power generation
CN102368559A (zh) 一种碱性微生物燃料电池
Majumder et al. Impact of different electrodes, mediators, and microbial cultures on wastewater treatment and power generation in the microbial desalination cell (MDC)
CN105948222B (zh) 厌氧消化反硝化厌氧氨氧化生物电化学系统及方法
CN111370725A (zh) 一种基于生物动态膜的mfc系统及强化产电方法
JPH10191965A (ja) 電位制御電解による好気性化学独立栄養細菌の培養方法および培養装置
Garlapati et al. Electroactive Biofilms (EAB): Role in a Bioelectrochemical System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Bioelectricity Generation
JP2020087558A (ja) 微生物燃料電池及び汚泥分解処理方法
CN220317530U (zh) 一种耦合装置
Pathak et al. Membrane-less microbial fuel cell: a low-cost sustainable approach for clean energy and environment
CN111268862B (zh) 一种利用蒽醌类中药植物内含物作为氧化还原中介体强化mfc产电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