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7015A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7015A
KR20030087015A KR10-2003-7011703A KR20037011703A KR20030087015A KR 20030087015 A KR20030087015 A KR 20030087015A KR 20037011703 A KR20037011703 A KR 20037011703A KR 20030087015 A KR20030087015 A KR 20030087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case
shaft
planting frame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689B1 (ko
Inventor
도이쿠니오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7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에 묘이송 케이스(59)를 통해서 연결하는 묘이송부재(58)를 구비하고, 묘이송부재(58)는 일측에 종이송 캠축(65)을, 다른측에 횡이송 나사축(66)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들 캠축(65) 및 나사축(66)을 기체중심으로부터 좌우로 분리배치시키고, 식부부(15)의 좌우 중량 균형을 양호하게 하여 묘식부 정밀도를 안정 유지시킴과 아울러, 종이송 캠축(65)의 종이송 캠(116) 및 횡이송 나사축(16)의 슬라이더(114)를 기체중앙에서 좌우로 분리하여 이들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이앙기{RICE TRANSPLANTER}
종래,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2000-41429호공보에 있어서, 기체중심에 대하여 묘재대 구동 케이스와 묘이송축의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받이가 한쪽에 오프셋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식부부가 좌우로 불균형하게 되어서 롤링의 중량 균형도 나쁘다는 우려가 있다.
또, 이러한 슬라이더가 기체중앙부근에서 슬라이딩하는 구조인 경우, 식부부를 본 기계측에 연결시키는 히치(hitch)부재 등이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나 슬라이더받이의 유지보수성이 나쁘다는 우려가 있다.
또,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48430호나 특허공개 2000-41429호공보 등에, 식부 프레임 내의 식부 구동축의 회전을 횡이송 케이스를 통해서 횡이송축에 전달해서 묘재대를 횡이송하는 수단이 있지만, 횡이송속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횡이송 케이스 내의 기어의 변환으로 밖에 변경을 행할 수 없고 손이 많이 가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어 등의 보수점검시에서 케이스 덮개를 분리해도 기어나 축이 식부측에 남기 때문에 그 때마다 기어나 축의 분리 등도 필요로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횡이송 케이스는 케이스 덮개를 분리하는 것만으로는 케이스 내의 기어나 축은 그대로 식부부측에 남은 상태로 되어서, 기어나 축의 점검이나 보수를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때마다 기어나 축을 분리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어, 유지보수를 곤란하게 하는 결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특허공개 2000-41429호공보에 있어서, 횡연결 파이프 내의 전동축의 회전을 횡이송축에 전달하는 횡이송 기어케이스(횡이송 케이스)에 있어서는, 식부부의 일측에 노출상태로 설치됨과 아울러, 묘취량 조절레버는 횡이송 케이스로부터 안쪽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중 장해물에 기어케이스가 접촉해서 손상되거나 협잡물이 걸리는 결함이 있음과 아울러, 횡이송 속도변환용 변환 레버를 기어케이스에 설치한 경우에는 변환 레버에 협잡물이 걸려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의 특허공개 2000-41429호공보나 실용신안등록공보제2588523호 등에 플로트를 지지하는 식부 전동(傳動) 프레임의 하부지점축에 좌우 선긋기마커를 기복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단이 있지만, 식부 깊이의 조절시에 있어서 하부지점축을 회동시켜 플로트의 지지높이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그 때마다 좌우 선긋기마커의 설치 각도가 변화되고, 좌우 선긋기마커의 설치각도에 따라서는 묘재대나 본 기계에 장비하는 시비(施肥)장치에 마커가 접촉해서 파손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마커를 지점축으로 연결유지시킬 경우, 마커수납시의 마커자세가 앞으로 기울게 되어, 마커를 작업위치에서 수납위치로 접을 경우에 운전수인 작업자에게 마커에 의해 튄 진흙을 묻히는 등의 우려가 있다. 또한, 횡연결 파이프 내의 전동축의 회전을 횡이송축에 전하는 횡이송 기어케이스(횡이송 케이스)에 있어서는, 식부부의 일측에 노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중 장해물에 기어케이스가 접촉하는 등으로 기어케이스가 손상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묘재대 및 묘식부 클로를 구비해서 연속적으로 묘식작업을 행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앙기의 전체측면도.
도 2는 이앙기의 전체평면도.
도 3은 식부부의 측면도.
도 4는 식부부의 평면도.
도 5는 식부부의 평면설명도.
도 6은 식부부의 개략정면도.
도 7은 식부 프레임부의 정면도.
도 8은 식부 프레임부의 측면도.
도 9는 식부 프레임부의 평면단면도.
도 10은 식부 프레임 좌측평면도.
도 11은 식부 프레임 우측평면도.
도 12는 식부 프레임의 단면설명도.
도 13은 식부 프레임의 사시설명도.
도 14는 모내기부의 설명도.
도 15는 묘이송 케이스부의 단면설명도.
도 16은 변속축부의 설명도.
도 17은 전환기구의 설명도.
도 18은 식부 클로유닛 클러치부의 설명도.
도 19는 식부 클로유닛 클러치부의 외관설명도.
도 20은 사이드 범퍼부의 설명도.
본 발명은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에 묘이송 케이스(59)을 통해서 연결하는 묘이송부재(58)를 구비하고, 묘이송부재(58)는 일측에 종이송 캠축(65)을, 다른측에 횡이송 나사축(66)을 형성 함과 아울러, 이들 캠축(65) 및 나사축(66)을 기체중심으로부터 좌우로 나누어 배치시킨 것이므로, 식부부(15)의 좌우 중량 균형를 양호하게 하여 묘식부 정밀도를 안정 유지시킴과 아울러, 종이송 캠축(65)의 종이송 캠(116) 및 횡이송 나사축(16)의 슬라이더(114)를 기체중앙에서 좌우로 나누어 이들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식부 프레임(20)에 횡이송 나사축(66)의 양단을 연결지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나사축(66)과 묘이송 케이스(59)에 종이송 캠축(65)의 양단을 지지시킨 것이므로, 묘이송 케이스(59)와 횡이송 나사축(66)을 식부 프레임(20)에 정밀도 좋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종이송 캠축(65)을 묘이송 케이스(59)와 나사축(66)에 캔틸레버형으로 지지시켜서 묘재대(16)의 횡이송과 묘의 종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묘이송 케이스(59)를 식부 프레임(20)에 연결하는 횡케이스부(59b)와, 상하 방향의 종케이스부(59a)를 갖는 대략 L자형 구조로 형성하고,종케이스부(59a)로부터 안쪽으로 종이송 캠축(65)을 연장설치시키고, 묘이송 케이스(59)와 캠축(65)으로 형성하는 대략 ㄷ자형의 공간영역에 종이송 캠(116)을 향하게 한 것이므로, 묘이송 케이스(59)와 종이송 캠부의 가로방향의 공간폭을 축소시켜서 이것들의 콤팩트한 조립과, 타부품설치나 설계에서의 자유도를 확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의 좌우 일측에 설치해서 묘이송축(58)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59)를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59)는 식부 프레임(20)에 연결하는 횡케이스부(59b)와, 횡이송축(58)에 연결하는 종케이스부(59a)의 대략 L자형으로 형성하고, 묘이송 속도를 변속하는 변속기구(64)를 종케이스부(59a)에, 변속기구(64)를 변환하는 변환기구(131)를 횡케이스부(59b)에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소형으로 설치하는 묘이송 케이스(59)에 의해 묘이송 속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묘이송 케이스(59)주변의 공간을 양호하게 확보하여, 설계나 부속 부품설치의 자유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묘이송 케이스(59) 내에 변속기구(64)나 변환기구(131)를 남긴 채의 케이스(59)의 분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변속기구(64)나 변환기구(131) 등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을 접속고정하는 프레임 조인트(48a·48b)와, 묘의 횡이송 및 종이송용 묘이송축(58)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59)를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59)를 부착고정하는 부착부(60)를 프레임 조인트(48a)의 일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부착부(60)로부터 돌출시키는 프레임 조인트(48a)의 외측부에 끼워 맞추는 조인트 끼워 맞춤부(124)를 묘이송 케이스(59)의 일측 내면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묘이송 케이스(59) 내에 묘이송 변속용 변환기어(62·63)나 변환기구(131) 등을 남긴 채, 일체적으로 묘이송 케이스(59)의 식부부측에 대한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묘이송 케이스(59)의 설치 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변환기어(62·63)나 변환기구(131) 등 묘이송 변속기구(64)의 유지보수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의 좌우 일측에 설치해서 묘이송축(58)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59)와, 묘재대(16)의 묘취량을 조절하는 묘취량 조절부재(88)를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59)의 후방에서 측방을 우회시켜서 전방으로 조절부재(88)의 선단측을 돌출 설치시킨 것이므로, 묘이송 케이스(59)의 바깥쪽을 묘취량 조절부재(88)로 보호하여 횡이송 케이스(59)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묘취량 조절부재(88)를 횡부재인 횡축부(88a)와 종부재인 종축부(88b)를 대략 L자형으로 일체적으로 조합시킨 구조로 형성하고, 부품점수를 삭감시킨 간단한 구조로 묘취량 조절부재(88)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조립의 용이화와 가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의 좌우 일측에 설치해서 묘이송축(58)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59)와, 좌우 선긋기마커(76)를 접을 수 있게 지지하는 마커 지지스테이(77)를 구비하고, 마커 지지스테이(77)의 일측을 식부 프레임(20)에 고정시키고, 다른측을 기체 바깥쪽으로 절곡형성시킴과 아울러, 마커 지지스테이(77)의 절곡부(77b)를 묘이송 케이스(59) 전방에배치시킨 것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식부 깊이 조절시마다 마커(76)의 지지각도를 변화시키는 일없이, 또 마커(76)의 수납 조작시에도 묘재대(16)나, 본 기계에 장비하는 시비장치(36)에 마커(76)를 접촉시키는 결함없이, 식부부(15)에 콤팩트하게 마커(76)를 조립하여 기체 전후길이를 단축화하고, 기체의 전후 균형을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마커(76)의 수납자세를 종래에 비해 기립자세로 하여, 마커수납조작시에는 마커(76)에 부착되는 진흙의 작업자측에의 비산을 방지시키고, 또한, 묘이송 케이스(59)전방을 마커 지지스테이(77)로 보호해서 묘이송 케이스(59)의 손상을 방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플로트 지지스테이(67)의 일단측에 설치하는 보호부재(74)와 마커 지지스테이(77) 사이에 묘이송 케이스(59)를 설치시킨 것이므로, 보호부재(74)와 마커 지지스테이(77)로 묘이송 케이스(59)를 전후에서 보호하고, 묘이송 케이스(59)의 손상이 없는 양호한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묘이송(횡이송)속도변환용 변환 레버(138)를 묘이송 케이스(59)에 설치한 경우에는, 변환 레버(138)에 협잡물이 걸리는 등의 우려을 해소시켜서 변환 레버(138)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상술한다. 도 1은 승용 이앙기의 측면도, 도 2는 동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면 중 도면부호 1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주행차이며, 엔진(2)을 차체 프레임(3)에 탑재시키고,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의 미션 케이스(4) 전방에 전방축 케이스(5)를 통해서 수전주행용 전륜(6)을 지지시킴과아울러, 상기 미션 케이스(4)후부의 후방축 케이스(7)에 수전주행용 후륜(8)을 지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엔진(2) 등을 덮는 보닛(9) 양측에 예비묘재대(10)를 설치함과 아울러, 작업자가 탑승하는 차체 커버(11)에 의해 상기 미션 케이스(4) 등을 덮고, 상기 차체 커버(11) 후측의 운전대(12) 상면에 운전석(13)을 설치하고, 그 운전석(13)의 전방에서 상기 보닛(9)후부에 조향 핸들(14)을 설치한다.
또, 도중 도면부호 15는 4조(條) 이식용 묘재대(16) 및 복수의 묘식부 클로(17) 등을 구비하는 식부부이며, 전고후저의 합성 수지제의 앞이 기운 묘재대(16)를 하부 레일(18) 및 가이드 레일(19)을 통해서 식부 프레임(20)에 좌우 왕복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한 방향으로 등속회전시키는 로터리 케이스(21)를 상기 식부 프레임(20)에 지지시키고, 상기 로터리 케이스(21)의 회전축심을 중심으로 대칭위치에 한 쌍의 클로 케이스(22·22)를 설치하고, 그 클로 케이스(22·22)선단에 묘식부 클로(17·17)를 설치한다. 또 상기 식부 프레임(20)의 좌우 양단측에 좌우 사이드 프레임(23·23)을 세워 묘재대(16)를 지지시키고, 식부 프레임(20) 좌우 중앙의 히치 브래킷(24)을 탑 링크(25) 및 로어 링크(26)를 포함하는 승강 링크기구(27)를 통해서 주행차(1)에 연결시키고, 주행차(1)에 설치하는 유압승강 실린더(28)를 로어 링크(26)에 연결시키고, 상기 승강 실린더(28)의 구동시에 링크기구(27)를 통해서 식부부(15)를 승강시킴과 아울러, 식부부(15)의 하강시에는 좌우로 왕복 슬라이딩시키는 묘재대(16)로부터 한 포기분의 묘을 식부 클로(17)에 의해 꺼내고, 연속적으로 묘이식작업을 행하도록 구성한다.
또, 도중 도면부호 29는 주변속레버, 30은 기체의 탑승 위치는 물론 기체로부터 내린 위치에서 주행 정지 등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묘 이음 레버, 31은 식부 승강 레버, 32은 주클러치페달, 33·33은 좌우 브레이크 페달, 34는 2조분 평균용 센터 플로트, 35는 1조분 평균용 사이드 플로트, 36은 4조용 측조(側條)시비기, 37·37은 후륜(8)의 외측에 배치하여 준비시키는 보조차륜이다.
상기 측조용 시비기(36)는 비료를 넣는 비료 호퍼(38)와, 비료를 공급하는 비료공급부인 비료공급 케이스(39)와, 플로트(34·35)의 측조 홈형성기(40)에 플렉시블형 반송 호스(41)를 통해서서 비료를 배출시키는 터보 블로워형 송풍기(42)와, 원통형의 에어 탱크(43)를 구비함과 아울러, 에어 탱크(43) 우측단에 송풍기(42)를 부착하고, 4조분 4세트의 비료공급 케이스(39)를 에어 탱크(43) 상측에 설치시키고, 비료호퍼(38)의 후측에 상기 묘재대(16)의 상단을 근접설치시키고 있다.
도 3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식부 프레임(20)은 각 2조분용 파이프제 좌우 종프레임(44a·44b)과, 좌우 종프레임(44a·44b)의 전단간을 연결하는 파이프제 횡프레임(45)을 구비하고, 벌지(bulge) 가공으로 형성하는 십자형 프레임 조인트(십자관 조인트)(46)를 각 종프레임(44a·44b)선단에 용접고정시키고, 회전축(47)을 통해서 상기 로터리 케이스(21)를 조인트(4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벌지 가공으로 형성되는 좌우 십자형 프레임 조인트(십자관 조인트)(48a·48b)를 종프레임(44a·44b)과 횡프레임(45)에 용접고정시키고, 이들 종 및 횡프레임(44a·44b·45)을 일체 연결시켜서 경량의 식부 프레임(20) 을 저비용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우측프레임 조인트(48b) 전단부에 식부 입력축(49)을 설치하고, 상기 미션 케이스(4)의 PTO축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축(50)을 통해서 입력축(49)에 전달시키고, 횡프레임(45)에 내설하는 식부 구동축(51)에 베벨기어(49a·52)를 통해서 입력축(49)을 연동연결시킴과 아울러, 좌우 종프레임(44a·44b)에 내설하는 식부 클로구동축(53)을 베벨기어(52·54) 및 안전 클러치(55)를 통해서 식부 구동축(51)에 연결시키고, 상기 회전축(47)에 베벨기어(56a·56b) 및 식부 클로유닛 클러치(57)를 통해서 식부 클로 구동축(53)을 연동연결시켜서, 묘식부 클로(17)의 구동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묘재대(16)의 좌우 방향의 횡이송과 묘재대(16) 상의 묘의 종이송을 행하는 묘이송축(58)을 알루미늄다이캐스트제의 묘이송 케이스(59)를 통해서 식부 구동축(51)의 좌단에 연동연결시키는 것으로, 좌프레임 조인트(48a)의 좌단부착부인 플랜지부(60)에 묘이송 케이스(59)의 일단측 플랜지부(61)를 볼트고정시키고, 케이스(59)의 타단측에 묘이송축(58)의 좌단을 삽입지지시키고, 케이스(59) 내의 구동축(51)과 묘이송축(58) 사이에 고저변속용 2세트의 변환기어(62·63)로 형성하는 변속기구(64)를 개재시켜, 기체의 대략 중심에 대하여 묘이송축(58)의 좌반부를 묘 종이송 캠축(65)·우반부를 묘대 횡이송 나사축(66)에 설치하고, 묘이송축(58)의 고저 2속의 회전구동시에 묘재대(16)의 횡이송과, 묘재대(16)상의 묘의 종이송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0, 도 1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식부 프레임(20) 전단하측에 식부깊이 조절 지점축(67)을 회동가능하게 피벗시키고, 각 플로트(34·35) 후단 상면의 브래킷(68·69)을 식부깊이 조절링크(70·71)를 통해서 상기 지점축(67)에 연결시키고, 센터 플로트(34)의 전단에 연결하는 승강링크(72)에 의해 플로트 경사각도(식부깊이)의 변화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지점축(67)에 기단을 고정설치하는 식부깊이 조절레버(73)에 의해 기준식부깊이의 조절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점축(67)의 좌우양단에는 L자형상의 좌우사이드범퍼(74)를 부착부재(75)를 통해서 접을 수 있게 바깥쪽으로 돌출설치시키고 있다.
도 8, 도 10, 도 11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선긋기마커(76)를 접을 수 있게(기복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마커 지지스테이(77)의 기단을 좌우 프레임 조인트(48a·48b)의 외측표면에 용접 고정시키는 것으로, 스테이(77)를 L자형 파이프로 형성하고, 전후방향의 종스테이부(77a)를 조인트(48a·48b) 대략 중앙에서 종방향의 대략 동일 높이면에 선접촉으로 용접고정시키고, 횡스테이부(77b)를 종프레임(44a·44b)의 전방에서 좌우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고, 횡스테이부(77b) 선단의 설치축(78)에 마커대(79)를 통해서 마커(76)를 접을 수 있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좌측스테이(77)의 횡스테이부(77b)를 묘이송 케이스(59)의 전방에 위치시켜서 상기 케이스(59)를 보호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도 13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스테이(77)는 좌우 사이드 프레임(23·23)의 기단을 조인트(48a·48b)측에 설치하는 좌우의 보강부재(80·81)의 내측면에도 종스테이부(77a) 기단을 용접고정시키고, 이것을 사이드필름(23)과 스테이(77)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묘재대(16) 하단의 묘취출판(82)을 상하이동시켜서 묘취량을 조절하는 묘취조절판(83)을, 식부프레임(20)의 가이드부재(84)에 가이드로드(85)를 통해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조절판(83)의 훅(86)에 결합시키는 결합판(87)을 좌우방향의 묘취량 조절축(88)에 설치하고, 상기 묘취량 조절축(88)의 좌단측에 연결하는 묘취량 조절레버(89)의 조작에 의해, 묘식부 클로(17)가 추출하는 한 포기분의 묘량의 조절을 행하는 것이며, 묘이송케이스(59)에 고정설치하는 축받이판(90)과 상기 우측보강부재(81)에 묘취량 조절축(88)의 횡축부(88a)의 좌우양단측을 회동가능하게 지지시키고, 묘이송 케이스(59)보다 바깥쪽으로 횡축부(88a)의 좌단측을 전방으로 대략 90도로 구부려서 전후방향의 종축부(88b)에 형성하고, 묘이송케이스(59)의 전방에서 종축부(88b)의 전단을 안쪽으로 대략 90도로 구부리고, 레버부착부(88c)에 형성하고, 상기 부착부(88c)에 L자형상의 조절레버(89)기단을 2개의 볼트(91)로 고정시키고, 레버(89)선단을 레버가이드(92)를 통해서 전방 경사상방으로 연장설치하고, 좌후륜(8)과 보조차륜(37)간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각 부(88a·88b·88c)로 묘이송 케이스(59)를 둘러싸서 보호함과 아울러, 케이스(59)와 묘취량 조절축(88)의 간극(93)에서 상기 반송 호스(41)의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히치 브래킷(24)은 탑링크(25) 및 로어링크(26)를 연결시키는 상하링크축(94·95)을 갖고, 식부프레임(20)의 횡프레임(45) 대략 중앙에 용접으로 지지고정하는 지점부재(96)를 브래킷(24)의 하단에 롤링 지점축(97)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고, 브래킷(24) 상단의 부착시트(98)에 유압롤링실린더(99)를 부착하고, 실린더(99)의 피스톤로드(100) 선단을 좌측사이드프레임(23) 상단의 고정브래킷(101)에 연결시키고, 복동형의 상기 실린더(99)를 왕복구동하는 기어펌프(102)와, 상기 펌프(102)를 정역구동하는 가역형 전동모터(103)와 기름탱크(104)를 실린더(99)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부착시트(98) 상면에 고정설치하는 받침판(105)과 묘재대(16) 이면측의 좌우단의 브래킷간에 롤링보정스프링(106)을 설치하고, 히치 브래킷(24) 좌측의 횡프레임(45)의 센서대(107)에 설치한 진자형 롤링 센서(108)가 식부부(15)의 경사를 검출할 때, 실린더(99)의 피스톤로드(100)를 진퇴제어해서 지점축(97)둘레로 식부부(15)를 좌우로 요동시켜서 식부부(15)의 수평유지를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횡프레임(45)과 지점부재(96) 우단에 용접고정시키는 브래킷(109)을 설치하고, 상기 브래킷(109)과 우측사이드프레임(23) 상단의 브래킷(101) 사이를 경사 스테이(110)로 보강연결시키고, 가장 경량구조인 것으로 우측사이드프레임(23)의 강성을 향상시켜서, 롤링성능의 확보를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109)으로 묘이송축(58)의 대략 중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것으로, 우측지지스테이(77)에 고정설치하는 축받이판(111)과 브래킷(109)사이에 축받이(112)를 통해서 상기 횡이송 나사축(66) 양단을 지지시키고, 상기 종이송 캠(65)의 우단을 조인트(113)를 통해서 나사축(66) 좌단에, 또 좌단을 묘이송 케이스(59)에 각각 연결지지시키고, 이들 좌우로 분할되는 종이송 캠축(65) 및 나사축(66)을 캔틸레버구조로 하여 지지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종이송 캠축(65)의 우단을 동일축심으로 나사축(66)에 연결시켜서 종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구성하고 있다. 상기 캠축(65)은 중공의 철제 파이프로, 또 나사축(66)은 중실의 철재로 형성하고, 기체중심으로부터 좌측에 상기 묘이송 케이스(59)와 캠축(65), 우측에 무게가 큰 나사축(66)을 분리하여 배치시켜, 좌우의 균형을 양호하게 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나사축(66)에는 슬라이더(114)를 나사결합시키고, 묘재대(16)에 슬라이어받이(115)를 통해서 슬라이더(114)를 연결시키고, 나사축(66)의 일방향의 회전시에 묘재대(16)를 좌우왕복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종이송 캠축(65)에는 좌우 종이송 캠(116)을 갖고, 묘재대(16)가 좌우 이동단까지 이동할 때에는 종동캠(117)에 종이송 캠(116)을 접촉시켜 일방향 클러치(118)를 통해서 종이송 롤러축(119)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묘재대(16) 하단측에 설치하는 상하 한 쌍의 롤러축(119·120)의 종이송 롤러(121·122)사이에 권회하는 종이송 벨트(123)를 묘 한 포기분 하단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묘이송 케이스(59)를 연결시키는 프레임 조인트(48a)는, 묘이송 케이스(59)를 부착고정하는 플랜지부(60)를 프레임 조인트(48a)의 일단측에 설치하고, 플랜지부(60)로부터 일정길이 돌출시키는 프레임 조인트(48a)의 외측단에 끼워맞추는 인로우 끼워맞춤부(124)를 묘이송 케이스(59)의 일측내면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끼워맞춤부(124)의 외단에 테이퍼면(125)을 형성하고, 0링(126)을 테이퍼면(125)과 조인트(48a)간에 개재시키고, 플랜지부(60·61)의 볼트(127)에 의한 고정시에는 조인트(48a)와 케이스(59)간의 기밀유지를 간단한 구성이며 저비용의 수단에 의해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묘이송 케이스(59)에는 식부 구동축(51)과는 별체의 변속축(128)을 설치하고, 상기 베벨 기어(52)의 내측에 스플라인 구멍(129)을 형성하고, 상기 스플라인 구멍(129)에 구동축(51) 좌단과 변속축(128) 우단을 끼워맞춰서 구동축(51)에 변속축(128)을 일체 연결시키고, 묘이송 케이스(59)의 분리시에는 변속축(128)도 일체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48a)와 베벨 기어(52) 사이에 베어링(130)을 끼우고, 조인트(48a) 일단측 베벨기어(5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고, 베어링(130)위치보다 외단의 조인트(48a) 외측면에 플랜지부(60)를 용접고정시키고, 베어링(130)이 /끼워맞춰지는 조인트(48a) 끼워맞춤면의 내경(a)보다 플랜지부(60)를 용접하는 조인트(48a)내주면의 내경(b)을 크게(a<b)로 형성하여, 플랜지부(60)의 용접 변형으로 조인트(48a)가 다소 변형해도 베어링(130)의 조립에는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묘이송 케이스(59)는 종케이스부(59a)와 횡케이스부(59b)를 갖는 L자형상으로 형성하고, 횡케이스부(59b)의 우단에 플랜지부(61)를 형성하고, 종케이스부(59a)에 변환기어(62·63)로 형성하는 변속기구(64)를, 횡케이스부(59b)에 변속 전환기구(131)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변환기어(62·63)는 변속축(128)에 회전지지하는 구동측 기어(62a·63a)와, 종이송 캠축(65) 좌단에 결합고정하는 종동측 기어(62b·63b)를 갖음과 아울러, 상기 변환기구(131)는 변속축(128)의 키홈(132) 내에 매설하여 선단을 시트 스프링(133)힘으로 기어(62a·63a)의 키홈(134)에 택일적으로 결합시키는 시프트키(135)와, 시프트키(135)에 시프트링(136) 및시프터(137)를 통해서 연결시키는 변환레버(138)를 갖고, 변환레버(138)의 좌단조작부(138a)를 묘이송 케이스(59) 왼쪽바깥쪽의 앞측에 돌출시키고, 변환 레버(138)의 좌우 방향의 압인조작에 의해 고저 2속의 횡이송 속도의 변환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변환기어(62·63)는 시프트(135)와 결합하는 측의 기어(62a·63a)를 철 등 금속재로, 또 다른쪽의 기어(62b.63b)를 수지재로 형성하고, 경량화와 내구성의 양쪽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8, 도 19에도 나타내듯이, 상기 식부 프레임(20)은 앞측의 프레임 조인트(48a·48b) 내에 콤팩트하게 각 베벨기어(49a·52·54)를 조립함과 아울러, 뒤측의 프레임 조인트(46)에 콤팩트하게 각 베벨기어(56a·56b) 및 식부 클로 유닛 클러치(57)를 조립하고, 구조의 간단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함으로써, 식부 클로 유닛 클러치(57)는 회전축(47)에 회전지지하는 베벨기어(56b)에 고정 클러치부(139)를, 회전축(47)에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플라인 끼워맞춤시키는 슬라이딩체(140)에 가동 클러치부(141)를 각각 형성하고, 상시는 클러치 스프링(142)에 의해 슬라이딩체(140)를 압압해서 클러치부(139·141)를 결합(온)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딩체(140)를 스프링(142)힘에 저항하여 후퇴시키는 클러치 조작부재(143)를 프레임 조인트(46)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조작부재(143)를 레버(144) 등을 통해서 묘재대(16) 뒷측의 유닛 클러치 레버(도시 대략)에 연결시키고, 상기 클러치 레버 조작에 의해 식부 클로 유닛 클러치(57)의 접속과 차단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0의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범퍼(74)는 지점축(67)의 양단에 고정설치하는 측면에서 볼때 ㄷ자형상의 부착부재(75)에 범퍼절곡수직부(74a)를 상하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시키고, 부착부재(75)로부터 상하로 돌출시키는 수직부(74a)의 스프링 시트(145)와 부착부재(75) 사이에 압축 스프링(146)을 개설시킴과 아울러, 부착부재(75)의 좌단면 및 전면에 접촉시키는 L자형상의 위치 규제판(147)을 수직부(74a)에 고정시키고, 규제판(147)의 후방으로의 회동을 저지하는 스토퍼부(148)를 부착부재(75)에 설치하고, 규제판(147)과 부착부재(75)좌단면과의 접촉 위치에서는 범퍼수평부(74b)를 지점축(67)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상태로 하여 묘취출판(82) 등을 보호하는 한편, 스프링(146)에 저항하여 범퍼(74)를 상방으로 끌어 올려 전방으로 수평부(74b)를 대략 90도 회동시키고, 규제판(147)과 부착부재(75) 전면을 접촉시키는 범퍼수납 위치일 때 기체폭을 축소시켜서 운반차에의 적재나 격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묘이송 케이스(59) 내는 2축(65·128)으로 구성하고, 2조의 변환기어(62·63)나 시프트키(135)의 간단한 변속기구(64) 및 변환기구(131)를 덮는 구성때문에, 형태값을 낮게 제한하여 저비용으로 소형 경량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케이스 본체측에 볼트(149)를 통해서 고정시키는 좌측면부의 케이스 뚜껑(150)을 분리하고, 기어(62·63)의 교환이나 점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횡케이스부(59b)를 긴형상으로 하고, 종케이스부(59a)와 플랜지부(61)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여, 볼트(127)의 탈착작업으로 공구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공구류를 용이하게 볼트(127)위치까지 삽입시켜 케이스(59)의 양호한 탈착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식부부(15)는 식부 프레임(20)을 파이프 프레임으로 형성하여 구성의 간단화와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며,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좌우 선긋기마커(76)를 접을 수 있게 지지하는 마커 지지스테이인 마커 지지스테이(77)를 구비하고, 마커 지지스테이(77)의 후단을 식부 프레임(20)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선단측을 기체 바깥쪽으로 절곡형성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식부 깊이 조절시마다 마커(76)의 지지 각도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또 마커(76)의 수납조작시에도 묘재대(16)나, 본 기계에 장비하는 시비부인 시비장치(36)에 마커(76)를 접촉시키는 결함없이, 식부부(15)에 콤팩트하게 마커(76)를 조립하여 기체전후길이를 단축화하고, 기체의 전후 균형을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마커(76)의 수납 자세를 종래에 비해 기립자세로 하고, 마커수납 조작시에는 마커(76)에 부착되는 진흙의 작업자측에의 비산을 방지시키고, 또한, 마커 지지스테이(77)의 절곡위치의 적절한 변경으로 식부 프레임(20) 등 사용부품을 공통화시킨 타기종·타사양에의 전개도 가능하게 하여 가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식부 프레임(20)을 접속고정하는 프레임 조인트(48a·48b)의 외측면에 마커 지지스테이(77)의 길이방향의 선접촉부를 용접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 조인트(48a·48b)의 외측면에 마커 지지스테이(77)를 고강도로 유지시켜서, 마커(76)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묘재대(16)를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23)과 프레임 조인트(48a·48b)의 보강부재(80·81)에 마커 지지스테이(77)를 고정시킴으로써, 마커 지지스테이용으로서의 특별한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일 없이, 마커 지지스테이(77)를 강고하게 프레임 조인트(48a·48b)에 고정시켜서, 경량이고 또한 저비용의 수단으로 마커 지지스테이(77)의 강도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의 좌우 일측에 설치해서 묘이송축(58)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59)와, 좌우 선긋기 마커(76)를 접을 수 있게 지지하는 마커 지지스테이(77)를 구비하고, 마커 지지스테이(77)의 후단을 식부 프레임(20)에 고정시키고, 전단측을 기체 바깥쪽으로 절곡형성시킴과 아울러, 마커 지지스테이(77)의 절곡부인 횡스테이부(77b)를 묘이송 케이스(59) 전방에 배치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식부 깊이 조절시마다 마커(76)의 지지 각도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또 마커(76)의 수납 조작시에도 묘재대(16)나, 본 기계에 장비하는 시비장치(36)에 마커(76)를 접촉시키는 결함없이, 식부부(15)에 콤팩트하게 마커(76)를 조립하여 기체전후길이를 단축화하고, 기체의 전후균형을 양호하게 함과 아울러, 마커(76)의 수납자세를 종래에 비해 기립자세로 하고, 마커수납조작시에는 마커(76)에 부착되는 진흙의 작업자측에의 비산을 방지시키고, 또, 마커 지지스테이(77)의 절곡위치의 적절한 변경으로 식부 프레임 등 사용 부품을 공통으로 한 타기종·타사양에의 전개도 가능하게 하여 가격 저감을 도모하고, 또한 묘이송 케이스(59) 전방을 마커 지지스테이(77)로 보호하여 묘이송 케이스(59)의 손상을 방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로트 지지스테이인 지점축(67)의 일단측에 설치하는 보호부재인 사이드범퍼(74)와 마커 지지스테이(77) 사이에 묘이송 케이스(59)를 설치시킴과 아울러, 범퍼(74)와 마커 지지스테이(77)로 묘이송 케이스(59)를 전후에서 보호하고, 묘이송 케이스(59)의 손상이 없는 양호한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횡이송 속도변환용 변환 레버(138)를 묘이송 케이스(59)에 설치했을 경우에는, 변환 레버(138)에 협잡물이 걸리는 등의 우려를 해소하여 변환레버(138)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을 접속고정하는 프레임 조인트(48a·48b)와, 묘의 횡이송 및 종이송을 행하는 묘이송축(58)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59)를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59)를 부착고정하는 플랜지부(60)를 프레임 조인트(48a)의 일단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플랜지부(60)로부터 돌출시킨 프레임 조인트(48a)의 외측단에 끼워맞추는 인로우 끼워맞춤부(124)를 묘이송 케이스(59)의 일측 내면에 설치함으로써, 묘이송 케이스(59) 내에 횡이송 변속용 변환기어(62·63)나 변환기구(131) 등을 남긴 채, 일체적으로 묘이송 케이스(59)의 식부부측에 대한 부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묘이송 케이스(59)의 설치정밀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변환기어(62·63)나 변환기구(131) 등 횡이송 변속기구(64)의 유지보수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식부 프레임(20) 내의 구동 부재인 구동축(51)을 지지하는 축받이부재인 베어링(130)을 프레임 조인트(48a)의 일단측 내면에 설치하고, 베어링(130)으로부터 외측단에서 프레임 조인트(48a)에 플랜지부(60)을 고정설치함과 아울러, 프레임 조인트(48a)의 내경을 베어링(130)위치보다 플랜지부(60)위치측을 크게 설치하고, 프레임 조인트(48a)에 플랜지부(60)를 용접에 의해 고착시켰을 경우에, 용접 왜곡으로 프레임 조인트(48a)가 다소 변형되어도 베어링(130)의 조립에 지장을 주는 일이 없는 정밀도 양호한 베어링(130)의 조립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플랜지부(60)에 고정시키는 묘이송 케이스(59)의 플랜지부(61)내면에 테이퍼부인 테이퍼면(125)을 형성하고, 플랜지부(60)(조인트48a)와 테이퍼면(125)사이에 O링(126)을 끼우고, 종래의 오일 시일 등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간략하게 구성하여 저비용으로 하고, 비록 용접 변형으로 프레임 조인트(48a)가 변형되어도 추가 가공 등을 하는 일 없이 기밀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테이퍼면(125)과 O링(126)의 반력에 의해 묘이송 케이스(59)가 용이해져서 정확한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의 좌우 일측에 설치해서 묘이송축(58)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59)를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59)는 식부 프레임(20)에 연결하는 횡 케이스부(59b)와, 묘이송축(58)에 연결하는 종케이스부(59a)의 대략 L자형으로 형성하고, 횡이송 속도를 변속하는 변속기구(64)를 종케이스부(59a)에, 변속기구(64)를 변환하는 변환기구(131)를 횡케이스부(59b)에 설치함으로써, 저비용이며 소형으로 설치하는 묘이송 케이스(59)에 의해 묘재대(16)의 횡이송속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묘이송 케이스(59)주변의 공간을 양호하게 확보하고, 설계나 부속부품설치의 자유도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묘이송 케이스(59) 내에 변속기구(64)나 변환기구(131)를 남긴 채의 케이스(59)의 분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변속기구(64)나 변환기구(131) 등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변속기구(64)를 복수조의 변환기어(62·63)로 형성하고, 변환기구(131)로 조작하는 측의 기어(62a·63a)를 금속으로 상대측 기어(62b·63b)를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금속 및 수지제의 기어(62a·62b·63a·63b)의 조합에 의해 마찰을 작게 제한하여 원활한 회동과, 경량화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변환기구(131)에 시프터(137) 등을 사용한 경우의 기어 (62a·63a)측의 강도부족을 해소시켜, 기어(62·63)형상을 소형상으로 유지하여 묘이송 케이스(59)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묘식부 클로(17)을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의 좌우일측에 설치하여 묘이송축(58)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59)와, 묘재대(16)의 묘취량을 조절하는 묘취량 조절부재인 묘취량 조절축(88)을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59)의 후방으로부터 측방을 우회시켜서 전방으로 묘취량 조절축(88)의 선단측을 돌출설치시킴으로써, 묘이송 케이스(59)의 바깥쪽을 묘취량 조절축(88)으로 보호해서 묘이송 케이스(59)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시비부(36)의 장착시에는 묘취량 조절축(88)을 시비 호스(41)의 안내부재로서 활용해서 호스(41)의 손상이 없는 양호한 지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묘취량 조절축(88)을 횡부재인 횡축부(88a)와 종부재인 종축부(88b)를 대략 L자형으로 일체적으로 조합시킨 구조로 형성하고, 부품점수를 삭감시킨 간단한 구조로 묘취량 조절축(88)을 형성하고, 조립의 용이화와 가격의 저감화를 도모과 아울러, 횡축부(88a)와 종축부(88b)의 연결부를 만곡형상의 굽힘부로 형성함으로써, 협잡물이 걸리는 등의 결함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묘재대(16)를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23)의 보강부재(80·81)에 묘취량 조절축(88)을 지지시키고, 묘취량 조절축(88)을 지지하는 지지스테이의 부품점수를 삭감시켜서, 구조의 간단화와 가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묘재대(16)의 묘취량을 조절하는 묘취량 조절 조작부재인 묘취량 조절 레버(89)를 식부부(15)의 측방에 구비함과 아울러, 후륜의 바깥쪽으로 또한 기체전방을 향해 조절 레버(89)의 조작부를 돌출시킴으로써, 운전석위치로부터의 작업자의 신체의 비틀림량을 가급적으로 작게 억제해서 묘취량 조절레버(89)의 조작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묘취량 조절레버(89)의 회동각의 자유도를 높이는 등 배치 등에서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륜(8)과 이 외측의 보조차륜(37)사이에 묘취량 조절레버(89)를 배치시킴으로써, 후륜(8)과 보조차륜(37)사이가 한정된 공간를 유효하게 이용해서 묘취량 조절레버(89)를 설치시켜, 식부부(15)에의 콤팩트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후륜(8)의 일측방에 묘취량 조절레버(89)를, 후륜(8)을 끼워서 타측방에 식부깊이를 조절하는 식부깊이 조절 조작부재인 식부깊이 조절레버(73)를 배치시킴으로써, 작업 중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이들 레버(73·89)를 기체중심에 대하여 동일측방에 근접배치시켜, 이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묘식부 클로(17)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20)과, 식부 프레임(20)에 묘이송 케이스(59)를 통해서 연결하는 묘이송부재인 묘이송축(58)을 구비하고, 묘이송축(58)은 일단측에 종이송 캠축(65)을, 타단측에 횡이송 나사축(66)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들 캠축(65) 및 나사축(66)을 기체중심으로부터 좌우로 분리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식부부(15)의 좌우 중량 균형를 양호하게 하여 묘식부 정밀도를 안정 유지시킴과 아울러, 종이송 캠축(65)의 종이송 캠(116) 및 횡이송 나사축(16)의 슬라이더(114)를 기체중앙에서 좌우로 분리하여 이들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식부 프레임(20)에 횡이송 나사축(66)의 양단을 연결지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나사축(66)과 묘이송 케이스(59)에 종이송 캠축(65)의 양단을 지지시키고, 묘이송 케이스(59)와 횡이송 나사축(66)을 식부 프레임(20)에 정밀도 양호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종이송 캠축(65)을 묘이송 케이스(59)와 나사축(66)에 캔틸레버형상으로 지지시켜서 묘재대(16)의 횡이송과 묘의 종이송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묘이송 케이스(59)를 식부 프레임(20)에 연결하는 횡케이스부(59b)와, 상하 방향의 종케이스부(59a)를 갖는 대략 L자형구조로 형성하고, 종케이스부(59a)로부터 안쪽으로 종이송 캠축(65)을 연장설치시키고, 묘이송 케이스(59)와 캠축(65)으로 형성하는 대략 ㄷ자형의 공간영역에 종이송 캠(116)을 향하게 하고, 묘이송 케이스(59)와 종이송 캠부의 가로방향의 공간폭을 축소시켜서 이것들의 콤팩트한 조립과, 타부품설치나 설계에서의 자유도를 확대시킬 수 있다.

Claims (8)

  1. 묘식부 클로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과, 식부 프레임에 묘이송 케이스를 통해서 연결하는 묘이송부재를 구비하고, 묘이송부재는 일측에 종이송 캠축을, 타측에 횡이송 나사축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들 캠축 및 나사축을 기체중심으로부터 좌우로 분리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식부 프레임에 횡이송 나사축의 양단을 연결지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나사축과 묘이송 케이스에 종이송 캠축의 양단을 지지시키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묘이송 케이스를, 식부 프레임에 연결하는 횡케이스부와, 상하 방향의 종케이스부를 갖는 대략 L자형구조로 형성하고, 종케이스부로부터 안쪽으로 종이송 캠축을 연장설치시키고, 묘이송 케이스와 캠축으로 형성하는 대략 ㄷ자형의 공간영역에 종이송 캠을 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묘식부 클로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과, 식부 프레임의 좌우 일측에 설치해서 묘이송축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를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는 식부 프레임에 연결하는 횡케이스부와, 묘이송축에 연결하는 종케이스부로 된 대략 L자형으로 형성하고, 묘이송 속도를 변속하는 변속기구를 종케이스부에, 변속기구를 전환하는전환기구를 횡케이스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5. 묘식부 클로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과, 식부 프레임을 접속고정하는 프레임 조인트와, 묘의 횡이송 및 종이송용 묘이송축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를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를 부착고정하는 부착부를 프레임 조인트의 일측에 설치함과 아울러, 부착부로부터 돌출되는 프레임 조인트의 외측부에 끼워맞춰지는 조인트 끼워맞춤부를 묘이송 케이스의 일측 내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6. 묘식부 클로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과, 식부 프레임의 좌우일측에 설치하여 묘이송축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와, 묘재대의 묘취량을 조절하는 묘취량 조절부재를 구비하고, 묘이송 케이스의 후방으로부터 측방을 우회시켜서 전방으로 조절부재의 선단측을 돌출시킴과 아울러, 묘취량 조절부재를 횡부재와 종부재를 대략 L자형으로 일체적으로 조합시킨 구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7. 묘식부 클로를 구동하는 식부 프레임과, 식부 프레임의 좌우일측에 설치해서 묘이송축을 구동하는 묘이송 케이스와, 좌우 선긋기 마커를 접을 수 있게 지지하는 마커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마커 지지부재의 일측을 식부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다른측을 기체바깥쪽으로 절곡형성시킴과 아울러, 마커 지지부재의 절곡부를 묘이송 케이스 전방에 배치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8. 제 7항에 있어서, 플로트 지지부재의 일단측에 설치하는 보호부재와 마커 지지부재 사이에 묘이송 케이스를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20037011703A 2001-03-09 2001-09-10 이앙기 KR100764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6602 2001-03-09
JP2001066602A JP4650916B2 (ja) 2001-03-09 2001-03-09 田植機
PCT/JP2001/007871 WO2002071829A1 (fr) 2001-03-09 2001-09-10 Repiqueuse de ri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015A true KR20030087015A (ko) 2003-11-12
KR100764689B1 KR100764689B1 (ko) 2007-10-08

Family

ID=1892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703A KR100764689B1 (ko) 2001-03-09 2001-09-10 이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50916B2 (ko)
KR (1) KR100764689B1 (ko)
CN (1) CN1235464C (ko)
TW (1) TWI228969B (ko)
WO (1) WO20020718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7763B2 (ja) * 2011-02-23 2016-06-0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2187759B (zh) * 2011-04-29 2013-07-10 芜湖瑞创投资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乘坐式插秧机后退保护装置
CN102845169B (zh) * 2012-09-21 2015-08-12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插秧机的综合动力供苗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845171B (zh) * 2012-10-17 2015-12-23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三围强化插秧机构的纵向供苗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870536B (zh) * 2012-10-18 2015-08-12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三围强化插秧机构的供苗系统及其控制方法
JP6395454B2 (ja) * 2014-06-09 2018-09-26 株式会社クボタ 苗植付装置
CN104956821A (zh) * 2015-07-15 2015-10-07 汪贤女 一种使用光伏供电的插秧装置
JP6830338B2 (ja) * 2016-10-20 2021-02-17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田植機
JP6372589B2 (ja) * 2017-04-20 2018-08-1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7182395B (zh) * 2017-07-19 2022-08-26 湖南龙舟农机股份有限公司 一种插秧机
CN108419494A (zh) * 2018-03-19 2018-08-21 万远厚 一种滚动式插秧装置
CN111771486A (zh) * 2020-08-04 2020-10-16 江苏沃得高新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插秧机划线标记作业及保护装置
CN113615359B (zh) * 2021-08-02 2022-05-24 金华市农业科学研究院(浙江省农业机械研究院) 一种杂交水稻插秧机的交错式父本插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2208B2 (ja) * 1994-06-06 2001-03-07 三菱農機株式会社 乗用移植機における苗載台の横送り変速装置
JPH11289824A (ja) * 1998-04-13 1999-10-26 Kubota Corp 田植機の苗植付装置
JP3512644B2 (ja) * 1998-07-30 2004-03-31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
EP1094355A1 (en) * 1999-10-19 2001-04-25 Corning Incorporated Electrical interconnection of planar lightwave circu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92731A (zh) 2004-04-28
WO2002071829A1 (fr) 2002-09-19
TWI228969B (en) 2005-03-11
JP4650916B2 (ja) 2011-03-16
JP2002262626A (ja) 2002-09-17
CN1235464C (zh) 2006-01-11
KR100764689B1 (ko) 2007-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689B1 (ko) 이앙기
KR100771935B1 (ko) 승용 이앙기
JP4988792B2 (ja) 田植機
JP5020290B2 (ja) 田植機
JP4458506B2 (ja) 田植機
JP4480287B2 (ja) 田植機
JP4737654B2 (ja) 田植機
JP4605623B2 (ja) 田植機
JP2009240317A (ja) 田植機
JP5019675B2 (ja) 田植機
JP4458507B2 (ja) 田植機
JP2002262628A (ja) 田植機
JP4591937B2 (ja) 乗用田植機
JP2002262622A (ja) 田植機
JP2002262621A (ja) 田植機
JP3904901B2 (ja) 田植機
JP3803891B2 (ja) 小型乗用田植機の植付部
JP3782339B2 (ja) 田植機
JP2002272225A (ja) 田植機
JP5246894B2 (ja) 田植機
JP3860636B2 (ja) 小型乗用田植機の植付部
JP3805667B2 (ja) 田植機
JP3163431B2 (ja) 移動農機
JP5246902B2 (ja) 田植機
JP2014193716A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