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423A -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423A
KR20030082423A KR10-2003-0023585A KR20030023585A KR20030082423A KR 20030082423 A KR20030082423 A KR 20030082423A KR 20030023585 A KR20030023585 A KR 20030023585A KR 20030082423 A KR20030082423 A KR 2003008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knee
external force
lying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498B1 (ko
Inventor
나가오카히로시
호리타니마사오
이노우에사토루
Original Assignee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4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anti-shear when adjusting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등 바닥부측에는, 무릎 바닥부의 상승상태에서의 등 바닥부의 상승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을 검출하기 위한 외력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경사상태로 할 때는, 무릎 바닥부도 적당히 상승시키는 동시에, 이 때, 무릎 바닥부는, 상기 외력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곳의, 환자의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이 설정값까지 상승했을 때는,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COORDINATIVE LIFTING CONTROL METHOD OF BOTTOM SECTIONS FOR LYING FURNITURE SUCH AS A BED}
본 발명은, 대체로,침대(병원용 침대,ICU 침대,재택용 침대 등)나 스트레쳐 등의 앙와대(仰臥臺)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갖춘 앙와대에 있어서, 이들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를 아래에 기술한 것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동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연동승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침대나 스트레쳐 등의 앙와대 중에는,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갖추고,각각의 바닥부를,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앙와대로는, 미국 특허 제5,469,591호, 제5,448,789호, 제5,388,290호 등,다수의 예가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469,591호에 기재되어 있는 침대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무릎부분을 승강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와, 그 밖의 바닥부를 갖추고 있고,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하측에는, 선단에 롤러를 설치한 승강 암이 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이 승강 암은 모터 등의 전동의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등 바닥부측의 승강 암을 회전운동시키고 롤러에 의하여 등 바닥부를 회전운동으로 상승시켜서 기울어지게 하는 것에 의하여,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을 들어올려서 침대 위에 일으켜 세운 자세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등 바닥부를 상승에 의하여 기울어지게 하는 때,무릎 바닥부측의 승강 암을 회전운동시키고 롤러에 의하여 무릎 바닥부를 상승시켜서 기울어지게 하는 것에 의하여,등 바닥부만을 상승시키는 경우에 생기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 전방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침대 위에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등을 들어올리고 일으킨 상태로 되는 경우,등 바닥부만을 상승시키면,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은 등 바닥부에 의하여 등을 전방으로 눌리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는 신체가 점점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신체가 용이하게 구부러지는 지점과, 등 바닥부의 회전운동의 지점이 어긋나게 된다. 이 때문에,본래는 용이하게 구부러지 않는 요추부분을 굽힐려고 하는 힘이 등 바닥부로부터 가해지고,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의 요추부분이나 하복부를 압박하는 등의 불쾌감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등 바닥부를 상승시키는 때에는, 무릎 바닥부를 상승시키면,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을 전방으로 누를려고 하는 등 바닥부로부터의 힘을, 기울어진 무릎 바닥부에 위치하고 있는 신체의 부분,즉,대퇴부에 의하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이렇게 하는 것에 의하여,등 바닥부만으로 등을 들어올리는 때에 생기는, 신체가 밀려나가거나 불쾌감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등 바닥부의 상승시에,무릎 바닥부도 상승시키는 동작을 하는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a. 먼저,제 1 예는,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를 승강시키는 각각의 구동기구는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가능하게 구성하고,반듯이 누워있는 사람 자신이나 간호자가 리모트 콘트롤 스위치 등에 의하여,각각의 구동기구를, 동시에 또는 교대로 ON-OFF 조작하여,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각각을 원하는 상승위치에 위치되게 하는 방법이다.
b. 제 2 예는,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구동기구를 링크기구 등의 기계적인 연동기구를 이용하여 공통의 전동기 등에 의하여 구동시키도록 구성한 것에 의하여,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구동기구를 기계적으로 연동하여 동작시켜서,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를 소정의 상승위치에 위치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는 아래에 기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A. 먼저 a의 방법에서는, 반듯이 누워있는 사람이나 간호자가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각각의 구동기구를 동시 또는 교대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조작이 상당히 번잡하고 귀찮으며,익숙함이 필요한 동시에,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각각에 최적의 승강형태를 항상 재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B. b의 방법에서는, 기계적인 연동기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연동에 의한 승강형태는 단순하게 조절이나 변경을 할 수 없게 되고, 신체가 밀려나가는 것과 압박감 등의 불쾌감의 양자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를 각각 독립하여 승강조작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C. 상기 a, b의 어느쪽의 방법에 있어서도, 등 바닥부의 상승시에, 무릎 바닥부를 상승시키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 부분이 무릎 바닥부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상태에서 등 바닥부에 의해 등이 상승하므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은, 등 바닥부, 그리고 매트리스에 대해 밀려 올라가려고 하지만, 마찰이 있기 때문에, 이 마찰력에 의해 등에는 아래쪽으로 향한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고, 그리고 등 바닥부의 상승과 무릎 바닥부의 상승이 그대로 쭉 진행해 가면,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가 점차로 좁아져 가고,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그것들에 의해 점차로 굴곡되어 가서, 결국에는 압박감을 느끼게 되고 만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침대의 일례를 도시하는 전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침대의 제어기구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했을 경우의 바닥부의 전체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어 평평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했을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다른 국면의 바닥부의 전체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했을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또 다른 국면의 바닥부의 전체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했을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또 다른 국면의 바닥부의 전체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했을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또 다른 국면의 바닥부의 전체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침대에 적용했을 경우의 승강동작에 있어서의 또 다른 국면의 바닥부의 전체형상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속 제어방법을 적용했을 경우의, 시간경과에 대한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경사각도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침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전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침대에서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침대의 또 다른 2예를 도시하는 전체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즉,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하여 경사상태로 할 때에, 신체의 흘러내림과 압박감 등의 불쾌감 모두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선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1의 형태에서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등 바닥부측에는, 무릎 바닥부의 상승상태에서의 등 바닥부의 상승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을 검출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경사상태로 할 때는, 무릎 바닥부도 적당히 상승시키는 동시에, 이 때, 무릎 바닥부는,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곳의, 환자의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이 설정값까지 상승했을 때에는,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제 2의 형태에서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등 바닥부측에는, 무릎 바닥부의 상승상태에서의 등 바닥부의 상승에 의해 생기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위치어긋남을 검출하는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경사상태로 할 때는, 무릎 바닥부도 적당히 상승시키는 동시에, 이 때, 무릎 바닥부는,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곳의, 환자의 상반신측의 위치어긋남이 설정값까지 도달했을 때는,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상태로 할 때는, 무릎 바닥부도 상승시키기 때문에, 이 무릎 바닥부의 상승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의 위치를 무릎바닥부에 의해 지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등 바닥부가 상승하여 점차로 급경사가 되어 가도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등 바닥부의 상승시에, 무릎 바닥부를 상승시키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 부분이 무릎 바닥부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상태에서 등 바닥부에 의해 등이 상승하므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은, 등 바닥부, 그리고 매트리스에 대해 밀려 올라가려고 하지만, 마찰이 있기 때문에, 이 마찰력에 의해 등에는 아래쪽으로 향한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즉 등이 아래쪽으로 눌리는 듯한 외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등 바닥부의 상승과 무릎 바닥부의 상승이 그대로 쭉 진행해 가는 것으로 하면,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가 점차로 좁아져 가고,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그것들에 의해 점차로 굴곡되어 가고, 결국에는 압박감을 느끼게 되고 만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제 1의 형태에서는, 상기 무릎 바닥부는,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곳의, 환자의 등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이 설정값까지 상승했을 때는, 하강하도록 제어하므로, 무릎 바닥부의 상승은 쭉 진행되지 않고, 그 때문에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는, 어떤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일은 전혀 없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형태에서는,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에 기인하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상반신측의 위치어긋남을,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고, 그 값이 설정값까지 도달했을 때는, 무릎 바닥부를 하강하도록 제어하므로, 이 형태에 있어서도, 무릎 바닥부의 상승은 쭉 진행되지 않고, 그 때문에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는, 어떤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일은 전혀 없다.
따라서 상기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에 의해 점차로 굴곡되어 가서,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의 형태에서의 이상의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은, 청구항 2에서 제안하는 것 같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에 대응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를 평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체(基體)와, 플레이트와 기체사이에 설치한 왜곡 게이지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의 형태에서의 이상의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은, 예를 들면 청구항 6에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측을 횡측으로부터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등 바닥부측에 설치하여,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의 위치어긋남을, 촬상수단에 의한 머리부의 상의 어긋남에 의해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은, 그 밖에, 청구항 7에서 제안하는 것과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광빔식 물체검출부를, 그들 광빔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측을 가로지르도록 등 바닥부측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거나, 청구항 8에서 제안하는 것과 같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 꼭대기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변화를 검출하는 거리측정센서를 등 바닥부측에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이상의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상승의 개시는, 청구항 9에서 제안하는 것과 같이,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동시도 좋고, 또는 청구항 10에서 제안하는 것과 같이, 등 바닥부가 먼저라도 좋고, 또는 청구항 11에서 제안하는 것과 같이, 무릎 바닥부쪽이 먼저라도 좋다.
특히, 청구항 11에서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상태로 할 때는, 우선 무릎 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기 때문에, 이 무릎 바닥부의 상승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의 위치가 무릎 바닥부에 의해 처음부터 확실하게 지탱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등 바닥부가 상승을 개시하여 점차로 급경사가 되어 가도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다음에, 청구항 2, 5에서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이상의 제어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각각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위치어긋남의 설정값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했으므로, 침대상에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압박감을 느끼는 개인차에 대응하여, 각각에 따른 무릎 바닥부의 승강제어를 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침대의 1예를 도시하는 전체의 측면도이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침대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1a)와, 반듯이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1b)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발의 부분에 대응하는 발 바닥부(1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등 바닥부(1a), 무릎 바닥부(1b)와 발 바닥부(1c)는, 각각 굴곡가능하게 연결되어 전신에 대응하는 바닥부로서 구성되고, 침대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또 등 바닥부(1a), 무릎 바닥부(1b)와 발 바닥부(1c)의 각각에는 매트리스(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와 같이, 복수로 분할된 바닥부를 침대 프레임(2)에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지지기구는 알려져 있으므로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침대에서는, 전신에 대응하는 바닥부는, 상기 분할된 3개의 바닥부(1a,1b,1c)를 연결해서 구성하고 있는데, 그 분할수는 4개라도 좋고, 또, 상기 미국특허 제 5,469,591호, 제 5,448,789호, 제 5,388,290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부재를 굴곡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바닥부로서 적용해도 좋다. 어떻든간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침대에서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또,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를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기구도, 상기 미국특허 제 5,469,591호,제 5,448,789호, 제 5,388,290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구, 즉, 선단에 롤러를 설치한 승강 암을 모터 등의 전동의 구동기구에 의해 회전구동하여, 롤러에 의해 각 바닥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이외에, 각 바닥부의 하측에 부착된 암에, 나사 샤프트와 그것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로 구성되는 회전 일직선운동 변환기구의 직선운동 부재를 접속한 구성 등이적당하다.
그리고 이들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를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기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휴하여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물론, 이와 같은 제어모드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바닥부를 단독 동작시키는 제어모드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침대의 제어기구의 1예를 도 1,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4는 침대의 풋 보드이며, 이 풋 보드(4)의 외측 하부에 조작패널(5)이 구성되고, 이 조작패널(5)내에 도 2에 도시되는 조작스위치 등이 격납되어 있다.
이 조작패널(5)내에는, 등 바닥부(1a)의 상승, 하강 스위치(SW1,SW2)와 무릎 바닥부(lb)의 상승, 하강 스위치(SW3,SW4)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스위치에 의해,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를 독립하여 승강제어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조작패널(5)에는, 상기 스위치의 이외에,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를 연휴해서 승강제어시키기 위한 스위치, 즉 상승, 하강 스위치(SW5,SW6)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등 바닥부(1a)측의 개소, 이 경우, 매트리스(3)에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을 검출하기 위한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8)을 설치하고 있다. 이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8)은,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에 대응하는 플레이트(9)와, 이 플레이트(9)를 평면방향에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기체(10)와, 플레이트(9)와 기체(10) 사이에 설치한 왜곡 게이지(11)로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 이외에,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8)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을 검출하는 구성이면, 감압센서를 이용하는 등, 적당하게 구성할 수 있다.
부호 6은 콘트롤러(6)이며, 이 콘트롤러(6)에 의해,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를 승강구동하는 전동기(M1,M2)를 ON-0FF제어하는 구성이며, 이 콘트롤러(6)에는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8)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작패널(5)에는,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8)으로부터 입력되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의 값이 설정값인지 아닌지를 콘트롤러(6)에서 판단하기 위한, 설정값을 기억하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설정부(Sf)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어동작을, 청구항 11에 기재된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의 연휴동작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모든 바닥부(1a,1b,1c)가 하강하고, 평평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환자 등의 사람은 통상의 자세로 반듯이 누워 있다. 이 상태로부터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을 들어 올려서 일어선 상태라고 할 경우에는, 스위치(SW5)를 ON으로 하여, 콘트롤러(6)에 지령을 내린다.
이 지령을 받은 콘트롤러(6)는, 우선 도 4,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릎 바닥부(1b)의 승강기구를 동작시켜서 무릎 바닥부(1b)만의 상승을 개시한다. 이무릎 바닥부(1b)의 상승의 개시시점은, 도 9에서는 t=0의 시점이다.
이어서, 콘트롤러(6)는, 상기 지령을 받아서 무릎 바닥부(1b)의 상승을 개시한 시점으로부터 적당히 지연된 시점(t=T1)에서 등 바닥부(1a)의 상승을 개시하고, 이것 이후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의 쌍방이 상승해 간다.
이와 같이,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1a)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상태로 할 때는, 우선 무릎 바닥부(1b)의 상승을 개시하기 위해, 이 무릎 바닥부(1b)의 상승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의 위치가 무릎 바닥부(1b)에 의해 지탱되고, 따라서 이 상태에서 등 바닥부가 상승을 시작하여 점차로 급경사로 되어 가도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이, 등을 전방으로 밀려서 흘러 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무릎 바닥부(1b)의 상승 개시는, 이 밖에, 상술한 바와 같이, 등 바닥부(1a)의 상승 개시와 동시 또는, 그 후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등 바닥부(1a)의 상승시에, 무릎 바닥부(1b)가 상승하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 부분이 무릎 바닥부(1b)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상태에서 등 바닥부(1a)에 의해 등이 상승하므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은, 등 바닥부(1a)에 얹혀 있는 매트리스(3)에 대해 기어오르려고 하지만, 마찰이 있기 때문에, 이 마찰력에 의해 등에는 아래쪽으로 향한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즉 등 등이 아래쪽으로 꽉 눌리는 듯한 외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등 바닥부(1a)의 상승과 무릎 바닥부(1b)의 상승이, 도 5의 상태로부터 그대로 쭉 진행해 가는 것으로 하면,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가 이루는 각도가 점차로 좁아져 가므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그것들에 의해 점차로 굴곡되어 가서, 결국에는 압박감을 느끼게 되고 만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러(6)는, 도 9중의 파선으로 도시되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검출수단(8)으로부터의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신호를 항상 감시하고 있고, 그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이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설정수단(Sf)에 의해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콘트롤러(6)는, 등 바닥부(1a)는 상승을 계속하도록 제어하지만, 무릎 바닥부(1b)의 승강기구의 동작은 변경하여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무릎 바닥부(1b)가 하강함으로써, 등 바닥부(1a)가 더욱 상승해서 급한 각도로 되어도, 무릎 바닥부(1b)의 각도는 점차로 작아지기 때문에,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가 이루는 각도는 좁아지지 않고, 따라서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도 커지지 않아,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에 의해 점차로 굴곡되어 가서,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제어동작을 행하는 경우의,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의 설정값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하면, 침대상에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압박감을 느끼는 개인차에 대응하여, 각각에 따른 무릎 바닥부의 승강제어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콘트롤러(6)가 무릎 바닥부(1b)와 등 바닥부(1a)의 상승동작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동작을 행하기 위해, 무릎 바닥부(1b)의 상승 개시시점(t=0)으로부터 지연되고, 등 바닥부(1a)가 상승을 개시하는 시점(t=T1) 및/또는 무릎 바닥부(1b)가 가장 높은 상승위치에 도달한 시점(t=T2)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우선 제 1의 방법으로서, 무릎 바닥부(1b)가 상승을 개시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에 따라 판단하여 검출할 수 있다.
등 바닥부(1a)나 무릎 바닥부(1b)의 승강기구를 동작시키는 전동기 등의 구동원의 능력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외력이 가해지고 있는 등 바닥부(1a)나 무릎 바닥부(1b)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보다도 충분히 큰 경우나, 외력이 일정한 경우에는, 승강기구를 동작시킨 시점으로부터의 경과시간과, 승강한 각 바닥부(1a,1b)의 위치에는, 1대1의 대응관계가 있기 때문에, 제어가 용이한 경과시간을 사용하여, 각 바닥부(1a,1b)의 상승위치에 대응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콘트롤러(6)에서의 상기 T1, T2의 설정시간을 변경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닥부상에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서 적절한 제어동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콘트롤러(6)가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무릎 바닥부(1b)의 상승 개시시점(t=0)으로부터 지연되고, 등 바닥부(1a)가 상승을 개시하는 시점(t=T1) 및/또는 무릎 바닥부(1b)가 가장 높은 상승위치에 도달한 시점(t=T2)을 검출하기 위한 제 2의 방법으로서는, 무릎 바닥부(1b)에 각도센서 등의 위치 검출수단을 설치하여, 이 위치 검출수단에 의해, 그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무릎 바닥부(1b)의 위치 검출수단은, 무릎 바닥부 자체, 승강기구나 구동원으로서의 전동기 등의 적소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각 위치를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바닥부상에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 등의 각종조건에 따라 적절한 제어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은 본 발명을 적용한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의 제어동작을,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를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시켜서 경사상태로 하는 경우의 동작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하여 가장 경사진 상태로부터, 모든 바닥부를 하강해서 평평한 상태로 하는 경우의 동작은, 상승시키는 경우와 정확히 반대의 경과를 더듬어 가므로, 이 설명은 생략하고 있다.
이 하강시의 동작에서도, 무릎 바닥부가 어떤 위치에 상승해 있는 상태 또는 가장 높은 위치에 상승하고, 이후는 하강한다는 동작이 행해지므로, 하강시에도 무릎 바닥부의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바닥부상에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바닥부 전체가 평평하게 되었을 때의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어긋남을 억제하여, 간호자가 반듯이 누워 있는 위치를 원래상태로 되돌리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는, 모든 바닥부가 하강하여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를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시켜서 경사상태라고 하는 경우의 동작과는 상이한 연휴동작으로, 하강해서 평평한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등 바닥부를 하강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등 바닥부의 하강에 앞서서, 우선 무릎 바닥부를 상승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의 형태에서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부분이 무릎 바닥부에 지탱되고 있는 상태에서 등 바닥부(1a)에 의해 등을 상승시켰을 때에,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등에 가해지는 외력, 즉 등 등이 아래쪽으로 꽉 눌리는 듯한 외력을 등 바닥부(1a)측의 매트리스(3)에 설치한 검출수단(8)에 의해 검출하여, 무릎 바닥부(1b)의 상승을 억제하고 있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서는, 해당 외력에 기인하여,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이 등 바닥부(1a)측에 대해 발생시킨 위치어긋남을 검출해서 무릎 바닥부(1b)를 제어하고 있다.
즉, 우선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침대의 다른 예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또 도 11은, 도 10의 침대에서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침대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도 10, 11에 도시한 침대에서는, 위치어긋남 검출수단(9)은, 발광부와 수광부(측면도를 위한 한쪽 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면의 안쪽에 다른 쪽이 구성되어 있다)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광빔식 물체검출부(10a,10b,10c,10d,…)를, 그것들의 광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측을 가로 지르도록 등 바닥부(1a)측, 이 경우, 등 바닥부(1a)에 설치된 사이드 레일(12)에 설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서는, 복수의 광빔식 물체검출부(10a,10b,10c,10d,…)중에서 광빔이 차단되는 것을, 그것들의 수광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검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측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위치의 검출을 시시각각 행함으로써,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측의 위치어긋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에 기인하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상반신측의 위치어긋남을,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수단(9)에 의해 검출하고, 그 값이 설정값까지 도달했을 때는, 무릎 바닥부(1b)를 하강하도록 제어하므로, 이 형태에서도, 무릎 바닥부(1b)의 상승은 쭉 진행하지 않고, 그 때문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가 이루는 각도는, 어떤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일은 전혀 없다.
다음에 도 12는 본 발명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을 적용하는 침대의 또 다른 예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이 도면중에는 위치어긋남 검출수단(9)의 다른 예를 2종류 기재하고 있다.
즉, 부호 13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측을 횡측으로부터 촬상하는 촬상수단, 예를 들면 CCD 카메라이며, 이 CCD 카메라(13)를 등 바닥부(1a)에 설치된 사이드 레일(12)에 설치하여, 위치어긋남 검출수단(9)을 구성하고 있다.
이 CCD 카메라(13)는 화상처리수단(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횡측으로부터 촬상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측의 화상을 시시각각으로 처리한다. 즉, 화상처리수단은, 어떤 시점의 머리부측의 화상을, 그 전 시점의 머리부측의 화상과 비교함으로써, 머리부측의 위치어긋남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상에 의한 위치어긋남의 검출수법 자체는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부호 14는, 초음파 빔 등을 이용한 거리측정센서이며, 이 거리측정센서(14)를,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 꼭대기측, 이 경우, 헤드보드(15)측의 등 바닥부(1a)의 상방에 설치하여, 위치어긋남 검출수단(9)을 구성하고 있다.
이 거리측정센서(14)를 사용한 위치어긋남 검출수단(9)에서는, 거리의 변화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위치어긋남을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이들 위치어긋남 검출수단(9)에서도,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에 기인하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상반신측의 위치어긋남을,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수단(9)에 의해 검출하고, 그 값이 설정값까지 도달했을 때는, 무릎 바닥부(1b)를 하강하도록 제어하므로, 이 형태에서도, 무릎 바닥부(1b)의 상승은 쭉 진행되지 않고, 그 때문에 등 바닥부(1a)와 무릎 바닥부(1b)가 이루는 각도는, 어떤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일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침대나 스트레처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경사상태로 할 때는, 무릎 바닥부도 적당히 상승시키는 것으로 했으므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상태로 할 때는, 무릎 바닥부도 상승시키기 때문에, 이 무릎 바닥부의 상승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 위치가 무릎 바닥부에 의해 지탱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등 바닥부가상승해서 점차로 급경사로 되어 가도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흘러내림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등 바닥부의 상승시에, 무릎 바닥부를 상승시키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허리 부분이 무릎 바닥부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상태에서 등 바닥부에 의해 등이 상승하므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은, 등 바닥부, 그리고 매트리스에 대해 밀려 올라가려고 하지만, 마찰이 있기 때문에, 이 마찰력에 의해 등에는 아래쪽으로 향한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 즉 등 등이 아래쪽으로 꽉 눌리는 듯한 외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등 바닥부의 상승과 무릎 바닥부의 상승이 그대로 쭉 진행해 가는 것으로 하면,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가 점차로 좁아져 가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그것들에 의해 점차로 굴곡되어 가서, 결국에는 압박감을 느끼게 되고 만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을 외력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거나, 또는 이 외력에 기인하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위치어긋남을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여, 그것들이 설정값까지 상승했을 때는, 무릎 바닥부를 하강하도록 제어하므로, 무릎 바닥부의 상승은 쭉 진행하지 않고, 그 때문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가 이루는 각도는, 어떤 각도보다도 좁아지는 일은 전혀 없다.
따라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하복부가 그것들에 의해 점차로 굴곡되어 가서, 압박감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등 바닥부측에는, 무릎 바닥부의 상승상태에서의 등 바닥부의 상승에 의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을 검출하기 위한 외력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된 경사상태로 할 때는, 무릎 바닥부도 적당히 상승시키는 것으로 하는 동시에, 이 때, 무릎 바닥부는, 상기 외력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곳의, 환자의 등에 가해지는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이 설정값까지 상승했을 때는,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러짐 방향의 외력의 설정값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력 검출수단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에 대응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를 평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체(基體)와, 플레이트와 기체 사이에 설치한 왜곡 게이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4.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등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등 바닥부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무릎 부분을 상승시키기 위한 무릎 바닥부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바닥부는, 각각에 설치한 승강기구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 있어서, 등 바닥부측에는, 무릎 바닥부의 상승상태에서의 등 바닥부의 상승에 의해 생기는,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위치어긋남을 검출하는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을 설치하고,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경사상태로 할 때는, 무릎 바닥부도 적당히 상승시키는 것으로 하는 동시에, 이 때, 무릎 바닥부는, 상기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곳의, 환자의 상반신측의 위치어긋남이 설정값까지 도달했을 때는,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하는 위치어긋남의 설정값을 변경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를 횡측으로부터 촬상하는 촬상수단을 등 바닥부측에 설치하고, 촬상한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의 위치어긋남을, 촬상수단에 의한 머리부의 상의 어긋남에 의해 검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광빔식 물체검출기를, 그것들의 광빔이,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부측을 가로 지르도록 등 바닥부측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위치어긋남 검출수단은, 반듯이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 꼭대기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변화를 검출하는 거리측정센서를 등 바닥부측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경사상태로 할 때는, 등 바닥부와 무릎 바닥부를 동시에 상승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경사상태로 할 때는, 우선 등 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는 동시에, 이 상승 개시시점으로부터 적당히 지연된 시점에서 무릎 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모든 바닥부가 하강해 있는 평평한 상태로부터, 등 바닥부가 회전운동에 의해 상승한 경사상태로 할 때는, 우선 무릎 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는 동시에, 이 상승 개시시점으로부터 적당히 지연된 시점에서 등 바닥부의 상승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KR1020030023585A 2002-04-15 2003-04-15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KR100718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12548 2002-04-15
JPJP-P-2002-00112548 2002-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423A true KR20030082423A (ko) 2003-10-22
KR100718498B1 KR100718498B1 (ko) 2007-05-16

Family

ID=2867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3585A KR100718498B1 (ko) 2002-04-15 2003-04-15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70341B2 (ko)
EP (1) EP1354539B1 (ko)
KR (1) KR100718498B1 (ko)
CN (1) CN100417369C (ko)
DE (1) DE60324055D1 (ko)
DK (1) DK1354539T3 (ko)
TW (1) TWI2602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5024B2 (en) * 2002-03-18 2011-11-22 Paramount Bed Co., Ltd. Coordinative control system for adjusting the back and knee bottom sections of an adjustable bed
JP2003265543A (ja) * 2002-03-18 2003-09-24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等におけるボトム調節動作制御システム
JP2003265541A (ja) * 2002-03-18 2003-09-24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等におけるボトム起伏調節時の身体への圧迫およびずれ抑制方法
JP3818502B2 (ja) * 2002-03-18 2006-09-06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等における背膝ボトム連動制御方法
JP2003265544A (ja) * 2002-03-18 2003-09-24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等におけるボトム起伏調節時の身体への圧迫およびずれ抑制方法
AT413935B (de) * 2003-12-17 2006-07-15 Blum Gmbh Julius Bewegbares möbelteil
US7319386B2 (en) 2004-08-02 2008-01-15 Hill-Rom Services, Inc. Configurable system for alerting caregivers
US9038217B2 (en) 2005-12-19 2015-05-26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with improved control
US7861334B2 (en) 2005-12-19 2011-01-04 Stryker Corporation Hospital bed
US8117701B2 (en) 2005-07-08 2012-02-21 Hill-Rom Services, Inc. Control unit for patient support
CN101282686B (zh) * 2005-10-11 2012-07-0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监测床上的病人多个不同参数的系统
CA2628793C (en) 2005-11-07 2015-01-27 Stryker Corporation Patient handling device including local status indication, one-touch fowler angle adjustment, and power-on alarm configuration
US11246776B2 (en) 2005-12-19 2022-02-15 Stryker Corporation Patient support with improved control
JP5116147B2 (ja) * 2007-11-13 2013-01-09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荷重センサ内蔵アクチュエータ
US8593284B2 (en) 2008-09-19 2013-11-26 Hill-Rom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status of a bed
EP2186497B1 (en) 2008-11-17 2013-05-08 Hill-Rom Services, Inc. Anthropometrically governed occupant support
US9827156B2 (en) 2011-11-11 2017-11-28 Hill-Rom Services, Inc. Person support apparatus
CN107736969A (zh) 2012-08-18 2018-02-27 有限会社知财经营社 睡眠姿势控制床系统
US9655798B2 (en) 2013-03-14 2017-05-23 Hill-Rom Services, Inc. Multi-alert lights for hospital bed
US9782005B2 (en) 2014-07-25 2017-10-10 Stryker Corporation Medical support apparatus
FR3004910B1 (fr) * 2013-04-29 2015-10-30 Patrice Boccara Canape a capteur
CN105208992B (zh) * 2013-05-15 2017-11-03 八乐梦床业有限公司 床装置
EP2873401B1 (en) 2013-11-15 2017-03-01 Hill-Rom S.A.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height of a patient support
EP3643283A1 (en) 2018-10-22 2020-04-29 Hill-Rom Services, Inc. A system for adjusting the configuration of a patient support apparatus
JP7153553B2 (ja) 2018-12-21 2022-10-14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11844432B2 (en) 2020-03-27 2023-12-19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otion control system
TWI803397B (zh) * 2022-07-21 2023-05-21 施權航 電動床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584A (en) * 1985-06-18 1988-09-06 Thomas J. Ring Electronic controller for therapeutic table
IL80025A0 (en) * 1986-09-15 1986-12-31 Ehud Kadish Body rest with means for preventing pressure sores
US5170364A (en) 1990-12-06 1992-12-08 Biomechanics Corporation Of America Feedback system for load bearing surface
JPH0737615Y2 (ja) 1992-12-25 1995-08-30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におけるボトム構造
JPH0737613Y2 (ja) 1992-12-25 1995-08-30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におけるボトム構造
DE4305939A1 (de) * 1993-02-11 1994-08-18 Thomas Karl Moebel Sitz- oder Liegemöbel, insbesondere Bett mit Rahm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0141926B1 (ko) * 1993-09-08 1999-02-18 기무라 겐지 침대의 바닥구조물
US5651587A (en) 1995-06-09 1997-07-29 P.L. Porter Co. Vehicle seat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1095858A (ja) * 1999-03-25 2001-04-10 Matsushita Seiko Co Ltd 身体を動作させる装置
US6287253B1 (en) * 1999-06-25 2001-09-11 Sabolich Research & Development Pressure ulcer condition sensing and monitoring
CN2474128Y (zh) * 2001-04-04 2002-01-30 陶天禄 医用护理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17369C (zh) 2008-09-10
EP1354539B1 (en) 2008-10-15
TW200306165A (en) 2003-11-16
EP1354539A1 (en) 2003-10-22
US6870341B2 (en) 2005-03-22
DK1354539T3 (da) 2009-02-16
US20030221258A1 (en) 2003-12-04
TWI260212B (en) 2006-08-21
DE60324055D1 (de) 2008-11-27
CN1451363A (zh) 2003-10-29
KR100718498B1 (ko)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498B1 (ko) 침대 등의 앙와대에서의 바닥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KR100684646B1 (ko)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승강 제어방법
US8499385B2 (en) Electrically operated bed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TWI225785B (en) Electric bed and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684659B1 (ko)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의 승강 제어방법
KR20030076329A (ko) 침대 등의 앙와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TWI242430B (en) Bottom adjusting action-controlled system for a bed or the like
KR20030076330A (ko) 침대 등의 앙와대의 바닥부 승강 제어방법
JP3862668B2 (ja) ベッド等の仰臥台におけるボトムの連動昇降制御方法
JP2007061361A (ja) 介護ベッド
KR100684651B1 (ko) 침대 등의 앙와대의 연동승강 제어방법
JP3862663B2 (ja) ベッド等の仰臥台におけるボトムの昇降制御方法
JP5639987B2 (ja) ベッド装置に用いられる床板装置及び床板の駆動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