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038A -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038A
KR20030080038A KR10-2003-7011195A KR20037011195A KR20030080038A KR 20030080038 A KR20030080038 A KR 20030080038A KR 20037011195 A KR20037011195 A KR 20037011195A KR 20030080038 A KR20030080038 A KR 20030080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igant
soil
air sample
air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031B1 (ko
Inventor
라이너 코버
볼프 스테그마이어
한스 지글러
에리히 프로벡
토마스 크리스텐
요하임 바르곤
프리츠 보그틀
게르하르트 호르너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80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2Analysing fluids
    • G01N29/036Analysing fluids by measuring frequency or resonanc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1Gases
    • G01N2291/0212Binary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7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예를 들면, 토양 공기를 샘플링하기 위한 찌름 프로브(11)이 장치된 휴대용 분석기(10)으로 고안될 수 있다. 공기 시료와의 접촉에 의하여 공기 시료중 검출되는 훈증제의 농도에 의존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수단(16)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 수단(16)은 예를 들면, 적당한 선택적 표면층을 갖는 석영 마이크로발란스의 어레이인 1 이상의 질량 민감성 감지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FUMIGANTS IN AIR SAMPLES}
농업 또는 원예에 사용되는 토양은 식물병원체로도 알려진 선충류, 토양 거주 곤충류, 발아 식물, 토양 세균 또는 토양 진균 등과 같은 식물에 해로운 유기체로 감염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양 거주 선충류 또는 뿌리혹 선충류에 의한 유용한 식물의 침범에 기인한 생산량 손실은 전세계적으로 약 12%로 추산되고, 이는 7조 달러(US $) 이상의 생산자의 수입 감소에 상응하는 것이다. 나아가, 국제 식물 검역 규정은 수출 및 수입되는 식물이 선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선충이 없는 토양에서 성장할 것을 규정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살균제 또는 살선충제 처리에 의하여 다음 식수(planting) 또는 재식수(replanting) 전에 사용된 토양을 농업적으로 구제/소독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토양 구제/소독에는 (연기 발생제 또는 토양용 기체 발생 제품)라고 알려진 것이 이용된다. 훈증제는 통상적으로 액체 형태 또는 고체 형체로 이용된다. 액상 제제가 높은 증기압으로 인하여 토양 중에서 작용하는 반면, 예를 들면 과립제의 형태로 토양 중에 도입되는 고체 화합물은 토양 습기의 존재하에서기체상의 살균 활성 화합물로 분해된다. 제제는 토양의 모세관 시스템을 통하여 확산되고, 여기서 이들은 해충과 접촉하고 호흡기 독으로 작용한다. 훈증제는 직접 접촉에 따른 접촉 독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최근 수십년간, 메틸 브로마이드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토양용 기체 발생 제품이었다. 그러나, 메틸 브로마이드는 지구의 오존층을 손상하는데 기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1997년 100개국 이상이 "오존층 고갈 물질에 대한 몬트리올 의정서"에 대한 후속 회의에서 메틸 브로마이드가 2005년 이후 선진국에서 및 2015년 이후 개발국에서의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고 결정하였다. 1998년 미국 의회는 "몬트리올 의정서"와 일치하여 2005년까지 연기된 메틸 브로마이드 금지가 2001년부터 유효함을 지정하였다.
이런 이유로 메틸 브로마이드를 대체하는 다른 토양 구제/소독제가 점점더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미국 특허 제2,838,389호는 농업 및 원예에서 토양 구제/소독용 제품으로 일반명 "다조메트"(dazomet)의 하기 화학식의 테트라히드로-3,5-디메틸-1,3,5-티아디아진-2-티온의 용도를 개시한다.
다조메트가 시용되는 경우 실제 생활성 물질로 하기 화학식의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MITC)가 방출된다.
따라서, 다조메트 자체는 단지 프로드럭 전구체로 알려진 것에 기여한다. 보다 최근의 문헌에서, 바사미드(등록상표; Basamid) 과립 (바사미드는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 바스프 아게의 등록상표임) 형태의 다조메트를 이용한 토양 구제/소독은 문헌[Forest Prod. J. 43(2) (1993), pp. 41-44; in Acta Horticulture 382 (1995) pp. 110 et seq. and in Fand Fiber Science 27(2) (1995), pp. 183-197]에 기술되어 있다.
바사미드(등록상표) 과립은 습한 토양에 적용되는 것에 의해서만 활성이 되는 상대적으로 불활성 토양 물질이다. 바사미드(등록상표)에 대한 바람직한 이용 분야는 장식물, 야채 및 담배, 나무 종묘, 과일, 와인 및 홉 생산, 및 비료 및 온실 토양의 구제/소독이다. 98 내지 100%의 다조메트를 포함하는 바사미드(등록상표) 과립은 살포에 의해 적용되고 20 내지 30 cm 깊이로 토양 내로 혼입되나, 필요한 경우 또한 50 cm 이하의 깊이로 혼입된다. 통상적으로, 토양은 후속적으로 플라스틱 시트를 덮어서 처리 시간 동안 습기를 유지하고 기체상 활성 성분의 과도한 초기 손실을 피한다.
MITC를 방출하는 다조메트와 같은 다른 액체 토양 구제/소독제는 상품명 VAPM, METHAMFLUID, AAMONAN 또는 DICID로 시판되는 소듐 메틸카르바모디티오네이트이다. 또한, MITC는 직접 또는 가스발생용 상품명 TRAPEX 및 VORAX의 제제로 직접 이용된다. 이는 또한 메탐과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약제는 통상적으로활성 성분의 휘발성을 증가시킬 의도로 유기 용매 중 20% 용액으로 이용된다.
다른 액체 토양 구제/소독제 및 살선충제는 상품명 DCP 50, SCHELL-DD, TELONE 또는 DI-TRAPEX로 시판되고 MITC와 병용하여 이용될 수 있는 1,3-디클로로프로펜 (1,3-DCP)이다.
공지의 토양용 기체 발생 제품은 높은 식물독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은 처리 지역으로부터 작물이 이미 제거된 경우에만 이용될 수 있다. 토양 구제/소독제의 각 사용 후, 새롭게 파종되거나 새롭게 식목된 작물에 대한 부작용의 위험이 없음을 보장하기 위하여 새로운 유용한 식물 및 작물을 파종 또는 식목하기 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 토양용 기체 발생 제품의 생활성 성분의 활성화, 방출 및 분해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토양 중 기체 발생 제품의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는 온도, 수분 함량 및 토양의 pH이다. 토양 유형, 예를 들면 전이 금속의 존재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비료 및 다른 성분의 이용은 토양용 기체 발생 제품이 토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속도에 상당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티오술페이트를 포함하는 비료가 통상적으로 높은 1,3-DCP의 휘발성을 감소시키는 것은 단지 근래에 밝혀졌다 (Gan et al.,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9(5) (2000), pages 1476-1481).
이러한 다수의 인자로 인하여, 특정 시용의 경우 시간의 함수로서 토양 중 MITC 또는 1,3-DCP 농도는 측정이 행해지지 않는 한 상당한 정확도로 추정될 수 없다.
그러나, 성분의 식물독성으로 인하여 토양 중 정확한 잔류 MITC 및 1,3-DCP 함량에 대한 이해가 사용자에게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이들 성분의 독성 작용으로 인하여 실내 공기 및 주변 대기의 모니터링 또한 작업 안정성 이유로 필요하다. 따라서, 다조메트 과립이 사용되는 경우, MITC는 30℃ 이상의 높은 토양 온도 및 충분히 높은 토양 습기에서 매우 신속하게 방출된다. 특히, 온실 시용의 경우 과립이 토양이 혼입될 때 환기 및 사용이 부적절할 경우 방출된 MITC가 점막 및 눈의 일시적인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견지에서, 메탐 유체 또는 메탐-소듐은 매우 급속하게 다량 기체를 방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온실에서 한계 내에서만 사용될 수 있거나, 예를 들면 캘리포니아주의 경우에서처럼 상기 시용에 더이상 허가되지 않음이 또한 알려져 있다. 신속하고 신뢰가능한 측정 방법이 없이, 농업 종사자 또는 다른 사용자들이 불필요하게 긴 시간 동안 또는 과도하게 높은 농도의 방출된 MITC 또는 1,3-DCP에 노출될 위험이 존재한다.
다양한 HPLC 및 GC 방법이 토양 기체 MITC 및(또는) 1,3-디클로로프로펜을 검출하는 분석적 및 크로마토그래피적 방법으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문헌[Subramanian, Environm. Toxicol. Chem. 15 (1996), pages 503-513] 참조). 따라서, 에를 들면 감자 생산 농업 종사자의 살선충제 시스-1,3-디클로로프로펜 (시스-DCP)에 대한 노출 측정 및 인간에 대한 이의 효과의 측정은 소변 검사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네덜란드 연구에서 일일 노출의 법적 상한은 관찰 기간 동안 20% 이상의 일 동안 초과되었음은 단지 최근의 연구에서 발견되었다 (Brouwer et al.,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7(11) (2000), pages 738-744).
화학적, 특히 습식 화학적, 유기 및 무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 검출 방법은 마찬가지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문헌[Bull. Chem. Soc. Jap. 52, (1979), pages 2155-2156]은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알킬아민과의 반응에 의한 알킬티오우레아의 형성에 의한 요오딘 모노클로라이드를 이용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검출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들 검출 방법은 충분히 민감하지 않거나 또는 단지 충분한 장치의 실험실에서만 수행될 수 있을만큼 복잡하다. 따라서, 이들 방법은 작물 보호 제품의 사용자에 의한 매일 사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메탐-소듐의 시용 후 1,3-디클로로프로펜 및(또는) 다조메트가 시용되어 왔지만, 사용자가 아직 미네랄화 또는 분해되지 않은 토양 중 MITC 및(또는) 1,3-DCP의 잔류량의 존재를 시험하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새로운 유용한 식물 및 작물을 파종 또는 식목할 때 토양 중 이들 물질의 잔류량이 식물 손상을 미칠 수 있을 때부터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기를 기다려야만 한다. 특히 토양 제품 다조메트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MITC의 방출 및 미네랄화는 토양 구조, 온도, 습기, 비료의 유형 및 농도 및 다른 인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MITC의 검출은 특히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근래 작용부위 시용용으로 특수하게 개발된 크레스(cress) 또는 담배 종자로 생물시험 시스템을 이용한다. 이는 이들 종자는 미소량의 MITC에 의해 발아가 억제되고 따라서 잔류 MITC를 간접적으로 나타낸다는 사실에 기초한 것이다. 그러나, 크레스 시험으로 알려진 상기 시험은 복잡하고, 예를 들면 크레스가 발아하여 스스로 정착되었음이 확인되기까시 수일이 걸린다. 상기 생물시험의 추가 단점은 허위-양성 또는 허위-음성 또는 물 통제의 결점 등에 의한 MITC의 검출이다.
국제 특허 출원 WO99/66304호는 인공 후각측정기(olfactometry)를 사용한 분석물의 미량 검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구취 및 치주 질환의 검출 등의 의료적 이용에 일차적으로 관심을 갖지만, 훈증제의 검출을 비롯한 다양한 다른 분야의 이용 및 다양한 상이한 감각기 유형이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유체 농축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사하는 것을 제외하면, WO99/66304는 미량의 분석물이 공기 시료 중에서 신뢰가능하게 검출될 수 있는지에 대한 어떠한 기술적 교시사항도 개시하고 있지 않다. 특히, 상기 문헌은 MITC 또는 1,3-DCP의 검출에 관한 것이 아니다.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MITC)의 감지 검출용 생물감지기는 이미 개발되어 있다 (Iwuoha et al. Analytical Chemistry, 69(8) 1674-1681 (1997)). 상기 생물감지는 액체 유기상 중 작동하는 암페로메트릭 효소 전극을 이용한다 (OPEEs = 유기상 효소 전극). 이들의 이용가능성으로 인하여, 산화환원효소용 기질인 이들 화합물은 적합한 용매 중(예: 액상 중)에서 복잡한 시료 제작을 요하지 않고 검출될 수 있다. OPEEs가 이용가능하기 전에는, 물에 가용성인 분석물을 검출하는 것만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OPEEs에 의해 전달되는 감지기 신호는 전극 상에 고정화된 천연 효소를 갖는 전극에 의한 물 중에 발생하는 감지기 신호보다 상당히 약하다.상기 이우오하(Iwuoha) 등의 문헌에 따르면, OPEEs의 감도는 유기 매질(예: 아세토니트릴, CH3CN) 및 물을 포함하는 용매 혼합물 중에서 천연 효소를 사용하거나, 또는 아미노산 단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개질된 천연 효소, 즉 인공 효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개선될 수 있다. 이우오하 등에 기술된 2개의 생물감지기 유형 각각은 2가지 원리 중 하나를 사용한다. 호스라디시 퍼옥시다제 (Horseradish peroxidase; HRP)는 기초 효소로 널리 작용한다. 상기 효소는 H2O2와 반응하여 감지기 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나, MITC는 HRP를 억제하므로, MITC의 기존 농도는 특정 H2O2농도에 대한 적절히 코팅된 생물감지기의 반응 양식을 변화시킨다. 상기 목적을 위한 개질된 효소는 SA-NHS를 제공하는 호모이기능성 물질 수베르산 비스(N-히드록시숙신이미데이트)로 개질된 HRP, 또는 EG-NHS를 제공하는 에틸렌 글리콜 비스(N-히드록시숙신이미데이트)로 개질된 효소이다. 전극은 상기 문헌에 기술된 정전형 복합 기술의 도움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공지의 MITC 생물감지기는 기체상 분석물은 먼저 적합한 용매에 용해되고, 이어서 용해된 형태가 실제 감지기와 접촉하여야 하므로 농업 및 원예에 실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상기 감지기는 새로운 용매 및 사용된 용매용, 세척액 및 정화 기체용으로 필요한 컨테이너 및 상응하는 복잡한 선 배열로 인하여 제조하기 비쌀 뿐만 아니라 매우 무겁고 매우 복잡하고 조작하기 까다로워서 이동식 분석 장치로는 적당하지 않다. 나아가, 달성가능한 검출 감도가 농업 및 원예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낮다.
본 발명은 공기 시료 중 훈증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농업 또는 원예에서 토양 구제/소독 사용자에 의해 제자리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토양 공기 또는 대기 중 훈증제의 잔류량을 신뢰가능하고 정확하게 검출하기에 충분한 감도의,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간단하고 신뢰가능한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바사미드 또는 1,3-디클로로프로펜의 시용에 따른 유용한 식물 및 작물의 신규 파종 또는 신규 식목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사용자가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크레스 시험에 의존하지 않고 회피되는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보다 신뢰가능하고 보다 제어된 토양 구제/소독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토양 구제/소독제를 이용한 식물병원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한다. 마지막으로, 분석 화학의 지식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볍고 소형의 분석적 이동 장치로 이용될 수 있는 공기 시료 중 훈증제를 검출하는 값싸고 소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의도한다.
본 목적은 화학감지기에 의해 공기 시료 중 훈증제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됨을 발견하였다. 화학감지는 화학 성분에 특이적인 측정가능한 변수를 평가가능한 신호, 특히 전기 신호로 변화하는 감자기이다. 상기 감지기는 상이한 물리적 측정 원리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반도체 (metal oxide semiconductor; MOS) 또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필드 효과 트랜지스터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와 같은 반도체 요소 뿐만 아니라 전도성 폴리머 감지기 (conducting polymer sensor; CPS)로 알려진 전기적으로 전도성 폴리머 또한 민감성 감지기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놀랍게도, 검출되는 훈증제에 민감한 표층으로 코팅된 질량 민감성 감지기가 농업 및 원예에 사용하기에 요구되는 감도 수준에서 공기 시료 중 훈증제를 검출하는데 매우 특히 적당함을 발견하였다.
질량 민감성 감지기는 예를 들면 "석영 마이크로발란스" (QMBs) 또는 "표면 음파 장치" (SAWs)로 알려져 있다. 석영 마이크로 발란스는 예를 들면, 코팅 두께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식물 스퍼터링(sputtering) 등의 식물 코팅(coating)에 이용된다. 통상적으로, 크리스탈 발진기가 전기 공명 회로 내로 통합된다. 석영 크리스탈은 금속 전극과 접촉되고, 주파수, 통상적으로 크리스탈의 기계적 천연 주파수에 상응하는 무전 주파수 내에서 자극되는 역 압전기 효과를 이용한다. 이는 공명 회로의 안정한 진동 주파수를 측정하는 공명 진동의 자극을 일으킨다. 공명 주파수는 현재 크리스탈 진동기의 질량에 의존하여 예를 들면 분석물의 흡수 또는 흡착에 따른 질량 변화는 공명 주파수의 변화로 측정될 수 있다. 1 Hz 범위의 주파수 변화는 전기 브릿지 회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 시료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 시료는 1 이상의 질량 민감성 감지기와 접촉하고, 상기 질량 민감성 감지기는 검출되는 훈증제에 선택적인 표면층으로 코팅된 것이며, 감지기의 질량 변화는 전기 신호의 형태로 검출되고, 전기 신호를 평가하는 것인, 공기 시료 중의 훈증제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훈증제는 예를 들면 토양 구제/소독제로 처리된 토양으로부터의 토양 공기 중에서 검출될 수 있다. 농업 종사자 또는 온실 작업자의 노출을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질량 민감성 감지기가 또한 토양 부근의 공기 중의 훈증제를, 바람직하게는 대지 또는 실내 공기, 특히 온실 중에서 1 내지 3 m 상부까지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질량 민감성 감지기는 MITC 및(또는) 1,3-디클로로프로펜 (1,3-DCP)를 검출하기 위하여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질량 민감성 감지기는 또한 다른 기체상 훈증제를 검출하기 위하여, 특히 메틸 브로마이드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감지기는 검출되는 성분 (예: MITC)에 가능한 선택적인 코팅이 장치된다. 따라서, 이상적으로는 고도 특이적 코팅이 있는 단일 감지기가 목적 성분을 검출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상이한 성분이 공기 시료, 특히 농업 지구의 토양 공기 중에 존재한다. 대기 중에 존재하는 기체 이외에, 토양 공기는 주로 분해가능한 유기 성분의 미생물에 의한 분해의 결과로서 증가된 CO2함량 (통상적으로, 0.3-3.0, 일부 경우 10 부피% 이하)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기체 또한 주로 미생물적 과정에 의해 토양 중에 형성된다. 존재하는 성분 및 계절마다 상이한 다양한 토양의 Eh-pH 조건에 따라서, 이들은 예를 들면 N2O, NO, NO2, NH3, SO2, H2S, CH4, C2H4및 상대적으로 높은 증기압을 갖는 다른 성분이다. 나아가, 대기 및 토양의 오염 정도에 따라서, 연료, 용매 또는 인간 기원의 다른 것 등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존재는 토양 공기 중에서 발견되리라고 예상되어야 한다. 약 15년 전,0.1 내지 112 ㎍/m3의 토양 공기 중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함량 및 유사하게 증가된 트리클로로에텐 및 트리클로로에탄 함량이 독일 남부의 크게 비오염된 토양 중에서조차 측정되었다.
통상적으로, 코팅된 질량 민감성 감지기는 개별적이나 통상적으로 여러개 성분의 기체 혼합물에 대하여 많거나 적은 현저한 감도를 나타낸다. 화학감지기는 종종 교차 감도로 알려진 것으로 인하여 관련 천연 성분에 대하여 유사한 정도의 감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들 성분을 분별하거나 단일 화학물질만을 명백하게 검출하기 위하여서는, 감지기 어레이(array)로 알려진 적당한 조합의 복수의 감지기가 통상적으로 필요하다. 넓은 범위의 화학감지 측정 원리에 기초한 이러한 시스템은 훈증제 검출 이외의 사용에 대하여 "electronic noses" 표제하에 문헌들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상이한 선택적 층으로 바람직하게 코팅된 복수의 감지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덜 특이적일수록 개별 감지기 코팅은 검출 성분에 대한 것이고, 감지기 어레이의 사용 범위가 더 넓을 수록 더 맣은 감지기가 필요할 수 있다. 훈증제를 검출하기 위하여, 특히 적은 성분 (예: MITC 또는 1,3-DCP)을 검출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특히 약 6개의 상이한 감지기가 이용된다.
그러나, 문헌에 지금껏 기술된 선택적 코팅은 공기 시료 중의 훈증제를 검출하는데 부적당하거나 충분히 민감하지 않은 것이었다. 적당한 층의 선택 및 조합에 대한 선택 영역은 에를 들면, 문헌[Nakamura et al., Sensors and Actuators B 69/3, 295-301 (2000)]에 기술되어 있다. 나아가,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에테르우레탄, 폴리에틸셀룰로스 또는 폴리시아노프로필메틸실록산으로 코팅되고 4개의 압전기 감지기로 이루어지는 어레이로 작동되는, 금 전극 및 AT-컷 석영 크리스탈을 갖는 압전기 감지기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크리스탈은 상온에서 유지될 수 있는 챔버 중에 위치하고, 기체 유입구 및 배출구가 장치되어 있다. 데이타 수집, 기체 혼합물 및 챔버를 통한 이의 흐름은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었다. 챔버 중의 기체의 농도 및 감지기의 감도의 표준화는 실온에의 등온 노출에 의해 수행되었다. 기체의 농도는 톨루엔 및 클로로포름의 경우 100 내지 1000 ppm이고, n-옥탄의 경우 250 내지 2000 ppm이었다.
놀랍게도, 마크로사이클 및(또는) 덴드리머로 질량-민감성 감지기의 코팅이 훈증제를 검출하기에 특히 적당한 선택적 코팅인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코팅은 예를 들면 용매 증기의 중량측정 검출에 대하여 문헌[Ehlen et al., Angew. Chem., Int. Ed. English 32, 111-112 (1993)]에 이미 기술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선택적 코팅은 기체상 중 카르보닐 화합물 및 암모니아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기의 바람직한 이용 분야는 농업 부문이고, 여기서 기계사용 분야에 덜 숙달된 작동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 또한 의도된다. 따라서, 질량 민감성 감지기는 특히 튼튼하고, 조작이 용이하며 저렴할 것이 요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우 민감한 측정을 행하기 위하여, 검출 훈증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먼저 질량 민감성 감지기와 접촉하기 전 농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토양 기체는 먼저 실리카겔 또는 "TENAX"로 이루어진 흡착기 또는 흡수기를 통하여 통과될 수 있거나, 분석물이 먼저 응축되고 후속적으로 유입 기체 (예: 공기 또는 질소)의 도움으로 농축된 형태로 감지기에 송달된다.
유리하게는, 공기 시료 중의 수분 함량을 추가로 측정하여 예를 들면 과도하게 건조한 공기의 경우 토양 중 다조메트의 전환이 불충분한 징후를 얻을 수 있다. 과도하게 건조한 공기의 경우, 예를 들면 신호에 의하여, 더 많은 미반응 다조메트가 토양 중 여전히 존재할 수 있으므로 기록이 신뢰할 수 없음을 지적할 수 있다.
토양-공기 시료를 측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프로브를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 깊이로 토양 중에 삽입하고, 공기의 특정량을 흡인 펌프에 의하여 프로브를 통하여 유입하고 질량 민감성 감지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검출되는 성분은 질량 민감성 감지기 상에 놓이고 감지기가 통합되는 공명 회로의 공명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따라서, 시험되는 토양의 시료 (예: 수 100 g)을 용기 내로 충전한다. 후속적으로, 토양 시료로부터 방출된 훈증제를 포함하는 공기를 용기로부터 감지기 어레이를 수용한 측정 챔버로 송출된다.
측정의 정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기 시료가 측정 챔버 내로 송출되기 전에 공기 시료로부터 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토양을 토양에 대한 유효한 양의 기체 발생 제품으로 처리하고 후속적으로 질량 민감성 감지기를 사용하여 상기 기술된 방법에 의해 방출된 훈증제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병원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공기 시료를 취하기 위한 샘플링 수단, 공기 시료와의 접촉에 의해 공기 시료 중의 검출되는 훈증제의 농도에 따라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수단, 검출 수단에 의해 생성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 시료 중의 훈증제의 농도를 계산하는 평가 수단을 갖고, 여기서 장치의 검출 수단은 검출되는 훈증제에 선택적인 표면층으로 코팅된 1 이상의 질량 민감성 감지기를 포함하는, 공기 시료 중의 훈증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량 민감성 감지기는 예를 들면, 표면 음파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질량 수용력의 변화는 표면 음파 장치를 사용하여 매우 민감하게 측정될 수 있으나, 상기 감지기는 또한 온도에 매우 민감하여 광범위한 측정은 공명체의 상온을 유지하는 동안 수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표면 음파 장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바람직한 농업 이용 분야에 덜 적당하다. 따라서, 1 이상의 석영 마이크로발란스가 질량 민감성 감지기로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되나. 크리스탈 반응기는 전기 공명 회로 중에 압전기 공명기를 구성한다. 공명기 중의 질량 변화는 전기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공명 회로의 공명 주파수의 이동에 이른다.
1 이상이 검출되는 훈증제에 선택적인 표면층으로 코팅된 질량 민감성 감지기의 어레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감지기가 상이한 선택층으로 코팅되고, 얻은 신호는 화학측정법으로 알려진 것에 의해 평가된다.
검출되는 훈증제에 선택적인 표면층은 바람직하게는 마크로사이클 (예: 락탐아미드 형 마크로사이클) 및(또는) 덴드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마크로사이클 및(또는) 덴드리머의 분자 조성을 적당히 맞추는 것에 의하여, MITC 또는 1,3-DCP의 혼입/흡착에 대한 층의 선택성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변형에 따르면, 검출되는 훈증제에 대한 1 이상의 농도 단위가 추가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습기 또는 증기 장벽은 검출되는 훈증제에 대해 투과성이고 공기 시료 중에 함유된 습기에 대해 불투과성인 측정 챔버의 상류 유체 경로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기 장벽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호일을 포함한다. 시험되는 토양에 대한 시료 용기를 포함하는 실시태양에서, 습기 장벽은 토양으로 충전될 수 있는 LLDPE 백 또는 인-라이너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LLDPE 백의 두께는 5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일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LLDPE 백은 습기 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사용 후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시료 용기 (예: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훈증제를 방해하지 않는 다른 표면으로 이루어진 박스)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장치는 특히 튼튼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농도 단위와 함께 고안되어 매우 소형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휴대용 분석기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실현될 수 있다. 농업에 사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분석기는 샘플링을 위하여 토앙 내로 찌를 수 있는 막대기형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기에 의하여 기록을 중앙 데이타 입수장으로 전송하는 전송기를 포함하는 고정 분석기가 또한 고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에 나타낸 사용 예를 참고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토양 공기 중 훈증제를 검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분석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석기의 측정 챔버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정 챔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선택적 표면층을 갖는 2개의 질량 민감성 감지기 요소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선택적 표면층에 대한 초분자 단위에 대한 합성 원리의 예이고,
도 5는 선택적 표면층의 마크로사이클에 대한 개략적 합성 전략이고,
도 6은 선택적 표면층을 제조하기 적당한 마크로사이클의 예이고,
도 7 내지 12는 선택적 표면층의 제조에 적당한 덴드리머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은 공기 시료 중 훈증제를 검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휴대용 찌름 프로브(10)으로 고안된다. 프로브(10)은 팁(12)를 갖는, 토양 공기를 샘플링하기 위하여 토양(B)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샤프트(11)을 갖는다. 칼라형 시트(13)은 토양으로의 샤프트의 삽입에 의하여 샤프트의 외부 주위에 제공되는 단계로 작용하여 샘플링이 규정된 깊이로 이루어진다. 샤프트(11) 내에 제공되는 것은 팁(12) 중 샤프트의 외부 주위르 개방되는 라인(14)이다. 라인(14)의 오리피스는 토양 공기를 유입하는 경우 토양 또는 다른 고체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 가는 메시(15)에 의해 덮여 있다.라인(14)는 훈증제를 검출하기 위한 석영 마이크로발란스 어레이가 배열된 측정 챔버를 포함하는 검출 수단(16)에 이른다. 검출 수단(16)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 2를 참고하여 하기 추가로 상세히 설명된다. 검출 수단(16)을 빠져나온 배출 라인(17)은 예를 들면 송풍기 또는 흡인 펌프로 고안될 수 있으며, 검출 수단(16)을 통과하는 라인(14)를 통하여 토양 공기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18)로 개방된다. 나아가, 정화 및(또는) 조정 기체를 갖는 1 이상의 카트리지(19)가 제공될 수 있다. 나타낸 예에서, 전기적으로 프로브를 공급하는 배터리(21) 등과 같은 동력 공급 수단은 프로브(10) 상의 핸들(20)에 배열된다.
프로브는 기록을 시각적으로 및(또는) 음향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적당한 디스플레이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원거리 제어 및 데이타 전달을 위한 전송 및 수신 단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단위들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본 문헌에 보다 상세히 나타내지 않았다.
도 2는 질량 민감성 감지기를 갖는 검출 수단(16)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개략도이다. 실제, 검출 수단(16)은 또한 토양에 대한 시료 용기 (도시하지 않음)가 이용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검출 수단(16)은 나타낸 예에서 크라스탈 라멜라(23,24)에 의해 상부 및 하부 구획이 정해진 측정 챔버(22)를 포함한다. 어레이의 개별 감지기를 규정하는 복수의 금속 점(25)는 크리스탈 라멜라 상에 증착된다. 개별 감지기는 예를 들면 정전기 분무 방법에 의하여 선택적 표면층으로 코팅된다. 일부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검출되는 훈증제에 대해 특히 높은 감도를 갖는다. 1 이상의 감지기는 또한 검출되는 훈증제에 무반응성이나 공기 중에 존재하는 습기에 특히 민감한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습기 민감성 물질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 (PPy)이다. 1 이상의 감지기는 또한 습기 뿐만 아니라 토양 기체의 다른 성분에 대해서 민감하지 않은 특히 불활성 코팅에 제공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감지기는 예를 들면 온도 변화로 인하여 일어날 수 있는 바와 같은 전자 평가에서 모든 경향을 모니터링하는데 특히 적당하다. 상기 감지기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설명, 특히 기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 유리한 측정 방식의 설명은 문헌[Boeker et al. Sensors and Actuators B 70 (2000), 37-42.]에 나타나 있다. 개별 감지기 요소의 구성은 도 3의 표시와 관련하여 하기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 농축 단위(26)은 측정 챔버(22)의 상류에 배열된다. 예를 들면, 오직 토양 중 습기의 측정만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검출되는 훈증제가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면, 농축 단위는 또한 바이패스(27)을 통하여 바이패스될 수 있다. 흐름 경로는 제어 단위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적당한 밸브 단위(28,29)를 통하여 제어된다. 상류 농도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토양 공기는 먼저 농축 단위(26) 및 라인(30)을 통과하여 라인(14)를 통하여 펌프(18) (도 2에 나타내지 않음)로 운반된다. 측정 챔버에 대한 연결 라인(31)은 닫혀 있다. 농축 단위(26)은 그 중에 예를 들면 실리카겔 또는 TENAX가 흡착제 또는 흡수제로 배열될 수 있다. 주어진 농축 기간 후, 라인(30)은 닫히고, 측정 챔버(22)에 이르는 라인(31)은 열린다. 흡수/흡착된 물질은 가열기(32)를 통하여 열적으로 탈착되고 카트리지(19) 중에 위치한 수송 펌프 및(또는) 정화 기체의 도움으로 농축 단위(26)으로부터 측정 챔버(22)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습기 장벽(46), 예를 들면 LLDPE 호일이 측정 챔버(22)의 상류에 제공된다.
훈증제를 검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이용되는 석영 마이크로발란스의 측정 원리는 타 분석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원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간략히만 언급한다. 감지기 어레이의 각 개별 요소 (이들 요소 중 2개는 도 3에 나타냄)은 토양 공기 시료의 개별 성분 (원(34), 삼각형(35) 또는 사각형(36)으로 기호로 나타냄)에 대한 각각의 감도가 상이한 선택적 표면층(31,32)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층(31)은 기호인 원(34)의 공기 성분에 대해 특이적으로 민감하지만 층(32)는 삼각형(35)로 나타낸 공기 성분에 대해 특이적으로 민감하다. 공기 시료의 성분의 흡착 또는 흡수에 의한 개별 감지기 요소 중 질량 변화는 주파수 계수기(39,40)을 통하여 도시한 진동기 회로(37,38)의 공명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평가한다. 그러나, 실제 개별 감지기 요소는 결코 100% 선택적이지 않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실제 측정을 행하는 경우, 감지기 요소(31)은 또한 공기성분(35 및 36)에 대하여 일정 정도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감지기 요소(31,32)에 의해 제공되는 기록은 하류에 위치하고 공지된 화학측정법에 의해 토양-공기 시료(33) 중 개별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전기 신호 평가 단계(41)에 들어간다.
놀랍게도, 초분자 시스템이 공기 시료 중 훈증제를 검출하기 위한 선택적 코팅(31,32)로서 특히 적당함을 발견하였다. 특히, 가역적, 급속 반응성 및 재생가능한 기체 감지기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므로, 이들의 단일분산성으로 인하여 마크로사이클 및 덴드리머로 알려진 것이 매력적이다. 나아가, 다양한 방식으로 고안되고 검출되는 분석물의 공간적 요구에 특이적으로 적응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하여 이들은 매우 큰 다양성 및 자유성의 고안을 가능하게 한다. 개별적으로 형성된 수소 브릿지가 기여하는 호스트-게스트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거나, 또는 특이적 공여체-수요체 상호작용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만들어진 호스트 시스템이 합성될 수 있다. 초분자 호스트 시스템은 예를 들면 덴드리머가 다양한 유형의 관능기에 대하여 높은 허용성을 나타내므로 문제되는 호스트에 대하여 특정 정도의 이상적 적응을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예로서 게스트 분자(42)가 2개의 초분자 단위(43,44)의 환화에 대한 주형으로 작용하여 호스트 분자(45)를 제공하는 나노미터 척도의 초분자 단위의 합성 원리를 나타낸다. 유인 호스트(45)의 특이적 합성은 본 방식으로 가능하며, 본원의 훈증제에 대한 기질-선택적 층 시스템으로서의 이의 안정성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도움으로 시험하고 최적화될 수 있다.
도 5는 또한 선택적 표면층으로 적당한 마크로사이클에 대한 합성 전략의 예를 나타낸다. 마크로사이클의 제조에 대한 고유연성의 합성 전략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크로사이클이 되는 것인 측면 부분(A,C) 뿐만 아니라 격자(B)는 서로 독립적으로 다양할 수 있다. 이는 목적하는 양식의 호스트-게스트 상호작용의 유형 및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이들 호스트 분자가 감지기-활성층으로서의 역할하는 복잡함없이 적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정 게스트 분자의 흡착 및 탈착에 대한 삽입 과정의 열역학적 및 운동학적파라미터 모두가 측정될 수 있다. 얻은 정보는 관련 종의 게스트 분자 간에 최적화 또는 정확한 분류를 위하여 사용되어 관련 종의 카르보닐 화합물의 검출 및 분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감지기-활성층의 선택성 및 감도가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마크로사이클 및 카테난의 화학에 대하여는 보에그틀(Voegtle)의 선행 연구를 특히 참조할 수 있다[Voegtle et al. Angew Chem. 104 (1992), 1628-1631; Angew. Chem. Int. Ed. Engl. 31 (1992), 1619-1622]. 합성 전략은 또한 문헌[Ottens-Hildebrandt et al. J. Chem. Soc., Chem. Commun. (1995), 777-779]에서 발견된다.
미리 구성되고 아미드기로 인하여 수소 결합이 가능한 호스트 구조가 특히 적당한 감지기-활성층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하는 원형 분자의 예로는, 도 6은 락탐 마크로사이클을 나타낸다. 고리는 아미드, 티오아미드 또는 술폰아미드기 형태의 4개의 잠재적 배위 중심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특히 MITC 및(또는) 1,3-디클로로프로펜을 검출하기 특히 적당한 선택적 표면층의 제조에 대한 바람직한 덴드리머는 도 7 내지 12에 나타낸다.
공기 시료 중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MITC)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는 J1으로 표시한 락탐 아미드 형 마크로사이클의 표면층과 함깨 6개의 개별 석영 마이크로발란스 (독일 뮌헨 소재 "HKR Sensorsysteme GmbH"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전기 회로로 얻음)을 제공하여 제조하였다. 작동 또는 진동 주파수는 약 10 MHz 이었다.
J1의 제조:
J1, 즉 31'-t-부틸-5',19',25',37',40',42',45',47'-옥타메틸-8',16',28',34'-테트라옥소디스피로[시클로헥산-1,2-[7',17',27',35',]테트라아자[10']옥시헵타시클로[34.2.2.23',6'.218',21'.223'26'.111',15'.129',33']-헵타-테트라콘탈[3',5',11',13',15'(41'),18',20',23',25',29',31',33'(46'),36',38',39',42',44']옥타-데카엔-20'-,1"-시클로헥산] 형태의 락탐 아미드 마크로사이클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50 ml의 순수 디클로로메탄 용액 중의 10.00 g (32.30 mmol)의 1,1-비스(4'-암모-3',5'-디메틸페닐)시클로헥산 및 2.2 ml의 트리에틸아민의 용액에 100 ml의 순수 디클로로메탄 중의 3-페녹시아세틸디클로라이드의 용액을 충분히 가열 건조하고 아르곤 충전한 기구 중에서 연속적으로 교반하는 하에서 5 시간 동안 실온에서 적가하였다. 얻은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는 한편 용매를 회전 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에서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를 사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정제하였다. 이에 의하여, 1.4 g (37%)의 무색 고체를 얻었다 (Mp = 149-151℃). 이를 1.20 g (1.50 mmol) 25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 0.4 ml 트리에틸아민과 함께 용해하였다. 마찬가지로, 0.39 g (1.50 mmol)의 5-t-부틸 이소프탈산 클로라이드를 25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하였다. 두 용액을 8 시간 동안 실온에서 동일 용매 (디클로로메탄) 1 ℓ에 8 시간 동안 동시에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추가 2 일 동안 교반하였으며,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0.47 g (32%)의 무색 고체를실리카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에 의하여 얻었다 (Mp > 260 ℃). 이 무색 고체를 m/z =991,2 [M+], 1014,2 [M++ Na], 1030,2 [M++ K]로 Maldi-MS를 사용하여 J1 (상기 약술한 바와 같은 조성 및 구조를 가짐)로 동정하였다.
표면층의 제조:
J1 표면층을 QMB의 상부 전극 및 모세관 사이에 약 5 kV의 고 DC 전압을 가하는 한편 적절한 치수의 시린지의 모세관을 통하여 J1 용액을 전기 분무하는 것에 의하여 한 번에 각 개별 석영 마이크로발란스(QMB)의 상부 전극 상에 도포하였다. 코팅 과정은 제자리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얻은 두께의 코팅을 진동 주파수가 5 kHz 감소되었을 때 전기 분무를 종료하는 것에 의하여 표준화하였다.
결과:
규정된 농도의 MITC를 (MITC)의 용융물을 통하여 순수한 질소의 안정적이고 규정된 스트림을 버블링하는 것에 의하여 얻었다. 이어서, 스트림을 -12℃의 일정한 온도에서 유지한 효율적 냉각 장치에 의하여 냉각하였다. 후속적으로, 질소 중 이 규정된 농도의 MITC를 이를 규정된 스트림의 순수한 질소와 다양한 농도의 질소 중 MITC 스트림을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추가로 희석하였다.
10, 25, 50, 100 또는 200 ppm의 질소 중 MITC 농도를 갖는 스트림을 QMB 어레이를 제공하는 측정 챔버를 통하여 흡인을 통하여 22 ml/분으로 공급하였다. QMB 뿐만 아니라 측정 챔버를 35℃에서 유지하였다. MITC 농도에 대한 개별 QMB 분율의 진동 주파수의 감소를 관찰하였으며, 각각 2.5, 7.0, 14.0, 24.0 및 37.5감소하였다.
따라서, 수 ppm 범위의 MITC 농도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정확하고 재현가능하게 측정될 수 있다.

Claims (15)

  1. 공기 시료를 유입하고,
    유입된 공기 시료를 1 이상의 질량 민감성 감지기와 접촉시키고, 여기서 상기 질량 민감성 감지기는 검출되는 훈증제에 대해 선택적인 표면층으로 코팅된 것이며,
    감지기의 질량 변화를 전기 신호의 형태로 검출하며,
    전기 신호를 평가하는,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또는) 1,3-디클로로프로펜의 혼입에 대해 민감한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이한 선택적 층으로 코팅된 복수의 감지기가 사용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검출되는 훈증제가 질량 민감성 감지기와 접촉되기 전에 농축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시료의 습기 함량이 추가로측정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기가 감지기와 접촉되기 전 공기 시료로부터 제거되는 방법.
  7. 토양을 유효량의 토양용 기체 발생 제품으로 처리하고, 후속적으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방출된 훈증제를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병원체의 제어 방법.
  8. 공기를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 수단(11,18),
    공기 시료와의 접촉에 의해 공기 시료 중 검출되는 훈증제의 농도에 의존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검출 수단(16),
    검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 시료 중에 존재하는 훈증제의 농도를 게산하는 평가 수단(41)을 가지며,
    상기 검출 수단(16)은 검출되는 훈증제에 민감한 표면층(31,32)로 코팅된 1 이상의 질량 민감성 감지기(33)를 포함하는,
    특히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및(또는) 1,3-디클로로프로펜의 혼입에 민감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표면 층이 마크로사이클 및(또는) 덴드리머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 민감성 감지기가 1 이상의 표면 음파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량 민감성 감지기가 1 이상의 석영 마이크로발란스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링 수단이 검출되는 훈증제에 대한 농축 단위(26)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링 수단이 상기 공기 시료로부터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46)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및 평가 수단(41)에 의해 계산되는 훈증제 농도를 표시 및(또는) 전송하기 위한 단위를 포함하는 휴대용 분석기.
KR1020037011195A 2001-02-28 2002-02-28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859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09534.1 2001-02-28
DE10109534A DE10109534A1 (de) 2001-02-28 2001-02-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chweis von Fuimigantien in Luftproben
PCT/EP2002/002206 WO2002068953A1 (de) 2001-02-28 2002-02-2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chweis von fumigantien in luftprob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038A true KR20030080038A (ko) 2003-10-10
KR100859031B1 KR100859031B1 (ko) 2008-09-17

Family

ID=767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195A KR100859031B1 (ko) 2001-02-28 2002-02-28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7459483B2 (ko)
EP (1) EP1370862B1 (ko)
JP (1) JP4139225B2 (ko)
KR (1) KR100859031B1 (ko)
AT (1) ATE314644T1 (ko)
BR (1) BR0207718A (ko)
CA (1) CA2439483C (ko)
DE (2) DE10109534A1 (ko)
EC (1) ECSP034756A (ko)
ES (1) ES2257540T3 (ko)
HU (1) HUP0400082A3 (ko)
MY (1) MY141852A (ko)
WO (1) WO2002068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8956A1 (de) * 2003-04-26 2004-11-11 Kanesho Soil Treatment Bvb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Nachweis von flüchtigen Analyten in Luftproben
DE10321969B4 (de) * 2003-05-15 2011-06-22 Siemens AG, 8033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spüren eines vorgegebenen Stoffs in einem Behälter
US7279131B2 (en) * 2004-07-01 2007-10-09 Uo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ss analysis of samples
DE102006020866A1 (de) * 2006-05-04 2007-11-15 Siemens Ag Analyseeinheit, Biosensor und Verfahren für den Nachweis oder die Konzentrationsbestimmung eines Analyten
DE102008008660A1 (de) 2008-02-11 2009-08-13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Nachweis von Triacetontriperoxid
WO2010080643A1 (en) 2008-12-18 2010-07-15 Biovigilant Systems, Inc. Integrated microbial collector
FR2976673B1 (fr) * 2011-06-16 2014-02-14 Univ Cergy Pontoise Capteur piezo-electrique pour la detection et la caracterisation d'au moins un element biochimique.
DE102012008584B3 (de) * 2012-04-27 2013-06-13 Falko Kuhnke Vorrichtung zur Analyse kleinvolumiger Bodengasproben
WO2014163983A1 (en) * 2013-04-06 2014-10-09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Leak detection
CN109298160A (zh) * 2018-11-04 2019-02-01 广州清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土壤酸碱度监测系统
CN112285216A (zh) * 2019-07-23 2021-01-29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熏蒸剂检测仪及检测方法
CN111521519B (zh) * 2020-05-09 2021-09-17 河海大学 一种用于测量饱和土中水泥与土比例的探头及方法
CN112394148B (zh) * 2020-11-30 2024-05-17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热敏型香精香气特征的评测装置及评测方法
US20230030639A1 (en) * 2021-07-28 2023-02-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Bioluminescent sensor for isothiocyanates
CN114577659B (zh) * 2022-01-26 2024-02-06 株洲科能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氮化镓物料中镓含量的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90368A (en) * 1943-06-30 1947-07-16 Shell Dev Insecticidal and fungicidal compositions
US2838389A (en) 1952-09-03 1958-06-10 Union Carbide Corp Method of combatting weeds
US5332580A (en) * 1981-10-27 1994-07-26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Fumigation method employing an aqueous solution comprising a hexametaphosphate, a thiocarbonate, and a sulfide
GB2165948B (en) * 1984-10-23 1988-12-07 Health Lab Service Board Formaldehyde monitor
US5469369A (en) * 1992-11-02 1995-11-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mart sensor system and method using a surface acoustic wave vapor sensor array and pattern recognition for selective trace organic vapor detection
US5639956A (en) * 1995-11-22 1997-06-17 Kejr Engineering, Inc. Permeable membrane soil probe
US6085576A (en) * 1998-03-20 2000-07-11 Cyrano Sciences, Inc. Handheld sensing apparatus
EP1084390A4 (en) * 1998-06-09 2005-07-27 California Inst Of Techn COLLOIDAL PARTICLES USED IN A SENSOR MOSAIC
US6244096B1 (en) * 1998-06-19 2001-06-1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Trace level detection of analytes using artificial olfactometry
WO2000078204A2 (en) * 1999-06-16 2000-12-2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for remote characterization of an odor
CA2375516A1 (en) * 1999-06-17 2000-12-28 Cyrano Sciences, Inc. Multiple sensing system and device
JP2001031510A (ja) * 1999-07-21 2001-02-06 Nippon Kunjo Gijutsu Kyokai 木材害虫殺虫用燻蒸剤及び燻蒸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1852A (en) 2010-07-16
DE10109534A1 (de) 2002-09-12
DE50205440D1 (de) 2006-02-02
HUP0400082A3 (en) 2004-06-28
ATE314644T1 (de) 2006-01-15
JP4139225B2 (ja) 2008-08-27
BR0207718A (pt) 2004-03-23
US7459483B2 (en) 2008-12-02
JP2004530116A (ja) 2004-09-30
US20040079651A1 (en) 2004-04-29
HUP0400082A2 (hu) 2004-04-28
CA2439483C (en) 2011-07-05
ECSP034756A (es) 2004-03-23
ES2257540T3 (es) 2006-08-01
WO2002068953A1 (de) 2002-09-06
CA2439483A1 (en) 2002-09-06
EP1370862B1 (de) 2005-12-28
KR100859031B1 (ko) 2008-09-17
EP1370862A1 (de) 2003-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031B1 (ko) 공기 시료 중 훈증제의 검출 방법 및 장치
Jones et al. Dissolved organic nitrogen uptake by plants—an important N uptake pathway?
McCallum Piezoelectric devices for mass and chemical measurements: an update. A review
US5071770A (en) Method for gaseous component indentification with #3 polymeric film
Schütz et al. An insect-based BioFET as a bioelectronic nose
Olson et al.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species-specific analysis of low levels of mercury in water, sediment, and biota
JP4610549B2 (ja) 空気サンプル中の揮発性検体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501917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humans and human remains
Schöning et al. A BioFET on the basis of intact insect antennae
Mierzwiński et al. The application of piezoelectric detectors for investigations of environmental pollution
Rechenbach et al. A humidity-independent ammonia sensor based on a quartz microbalance: a test under agricultural conditions
CN103558178A (zh) 太赫兹波谱结合生物传感技术的毒死蜱检测方法和装置
Mirmohseni et al. Application of polydimethylsiloxane/acrylic resins coated quartz crystal nano balance sensor for detection of glyphosate pesticide
Mirmohseni et al. Application of nanobalance technique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detection of the soil fumigant Telone residues in the air
Abe et al. Measurement Device for Ambient Carbonyl Sulfide by Means of Catalytic Reduction Followed by Wet Scrubbing/Fluorescence Detection
US200801389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methylsothiocyanate
Patel et al. Orthogonal Chip Based Electronic Sensors for Chemical Agents
Schjoerring et al. Measurement of ammonia gas emission from plants
JP2024044212A (ja) センサ装置及び標的物質を検出する方法
Suttle et al. 5′-Isothiocyanato-N-1-naphthylphthalamic acid: a chemically reactive site-directed irreversible ligand for phytotropin receptors
Fuku Cytochrome C biosensor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level arsenic and cyanide compounds
Jin-Ok et al. Study on biological monitoring of fenpropathrin exposure in application by utilizing urinary 3-phenoxybenzoic acid level
JP2002267586A (ja) エチレンガスセンサ、エチレンガス定量方法及び装置
Milligan et al. Atmospheric pollutants and trace gases
Van Wambeke et al. An Industries View and Strategy in Chemical and Integrated Soil Disinfe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