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8754A -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 Google Patents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8754A
KR20030078754A KR10-2003-0019487A KR20030019487A KR20030078754A KR 20030078754 A KR20030078754 A KR 20030078754A KR 20030019487 A KR20030019487 A KR 20030019487A KR 20030078754 A KR20030078754 A KR 20030078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photo film
lens
film unit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메야마노부유키
요코오히로카즈
이이다아키히사
구보타다케시
오가와준
가마타가즈오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93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36093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93332A external-priority patent/JP37533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93333A external-priority patent/JP3773186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17Housing
    • G03B2215/0525Reflector
    • G03B2215/0535Built-in diffus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14Separate unit
    • G03B2215/056Connection with camera, e.g. adap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용 플래시 장치가 제공된다. 메인 커패시터는 전하를 축적한다. 플래시 이미터는 플래시 광을 방출한다. 플래시 회로 기판은 메인 커패시터를 충전하여, 노출 동작에 응답하여 메인 커패시터를 방전시켜 플래시 이미터를 구동한다. 기밀한 플래시 케이스가 메인 커패시터, 플래시 이미터 및 플래시 회로 기판을 수납하기 위해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고착된다. 또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노출 동작에 응답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sync) 스위치를 포함한다. 2개의 스위치 접점이 동기 스위치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플래시 케이스 외측에 배치된다. 2개의 스위치 접점은, 플래시 케이스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떨어지면 메인 커패시터의 방전을 불가능하게 하고, 플래시 케이스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고착되면 트리거 신호의 공급 시 메인 커패시터의 방전을 위해서 단락된다.

Description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LENS-FITTED PHOTO FILM UNIT, FLASH DEVICE, AND LENS-FITTED PHOTO FILM SYSTEM}
본 발명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최초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사용한 후에 새로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의 접속에 의해 플래시 장치가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1회용 카메라로서 알려져 있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본체, 및 전방과 후방 커버를 포함한다. 본체는 포토 필름을 수납하는 것으로, 노출 기구를 갖는다. 전방 및 후방 커버는 본체의 전방과 후방을 덮는다. 이들 관련 부품들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소형, 단순 구조, 저가 등의 전형적인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다양한 목적을 위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내에 설치되는 추가 구성, 예를 들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플래시 타입이 있다. 플래시타입은 전지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플래시 이미터와 플래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를 갖는다.
사용자가 포토 필름 상의 모든 프레임을 노출한 후에, 사용자는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분해하지 않고서 포토 피니셔 또는 사진실로 보내어, 인화를 요청한다. 인화가 행해지면, 현상된 포토 필름이 사용자에게 또한 반송된다. 이에 반해,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하우징은 포토 피니셔가 수집하여 다루어, 카메라 제조자에게 회수된다.
카메라 제조자는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을 활용하는 관점에서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재생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순환식 제조 시스템은 재생을 고려하여 특별히 제품 설계를 포함하는 다수의 프로세스 및 제조 라인을 설계하여 창출된다.
카메라 제조자는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분해한다. 플래시 장치 및 노출 유닛을 세정하고, 검사한 후에 재사용한다. 플라스틱 부품을 용융시키고 작은 알갱이로 만들어 플라스틱 재료로서 재생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원래 1회용으로 구성된다. 그 비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부품의 내구성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부품에 비해 현저하게 낮다. 재사용될 플래시 장치 및 다른 부품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검사 및 수리를 통하여 품질을 유지한다.
재생은 또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시판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각종의 부품 중, 플래시 장치는 상당히 고가이다.플래시 장치의 재사용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비용을 낮추는데 높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제품을 카메라 제조자가 회수하는 것은 완전하지 않다.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모든 제품의 부품을, 포토 필름 재장전 딜러, 부품 재사용 딜러 등의 제3자에게 유통하는 것이 있다. 재장전 딜러는 비노출 포토 필름을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장전한다. 부품 재사용 딜러는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활용하여, 본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얻고,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새롭게 생성된 제품으로서 조립한다. 재장전 제품 및 부품 재사용 제품은 패키징되어, 비사용 제품으로서 판매된다. 재장전 제품 또는 부품 재사용 제품의 플래시 장치가 근본적으로 비싼 프로세스 없이 얻어지기 때문에, 이들의 가격은 매우 저가이다.
그러나, 재장전 제품 또는 부품 재사용 제품은 부품이 깨끗하지 않고 적절하게 수리되거나 검사되지 않기 때문에 품질에 있어서 큰 문제점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성능이 양호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명성과,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카메라 제조자의 명성에도 해를 입힐 수 있다.
부적절한 부품을 재사용한 경우, 비용이 높고 재사용의 작동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유로 플래시 장치와 같은 국한된 부품만이 재사용된다. 플래시 장치 등과 다른 나머지 부품은 재사용의 가능성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폐기될 것이다. 부적절한 부품의 재사용이 대규모로 개속되면, 카메라 제조자가 설립한 순환식 제조 시스템의 목적, 즉 환경 오염의 방지, 효율적인 자원 활용 등의 목적이 달성되지 않는다. 또한, 재사용으로 인한 저가격의 이점이 얻어질 수 없다. 순환식 제조 시스템의 고장 및 파괴가 야기될 수도 있다.
일본국 특개평7-120883호에는 카메라 제조자 측에서 포토 필름의 부적절한 재장전을 방지하는 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일부의 예들은 작업이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플래시 장치 및 그 외의 관련 부품의 부적절한 재사용을 방지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사용된 제품의 유통에 따른 부적절한 부품의 재사용이 억제되거나 방지될 수 있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초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사용한 후에 플래시 장치가 새로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 접속하여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외부 접속형 플래시 장치를 갖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및 플래시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내의 동기(sync) 스위치를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b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내의 플래시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및 플래시 장치의 분배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설명 차트.
도 6a는 베이어닛 기구(bayonet mechanism)와 접속 가능한 플래시 장치를 갖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베이어닛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된 단면도.
도 7a는 광의 트리거 신호가 플래시 장치 내의 동기 발광 유닛 및 동기 수광유닛에 의해 사용되고 처리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플래시 장치 내의 플래시 회로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a는 잔량 표시 패널을 갖는 다른 바람직한 플래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b는 잔량 표시기를 갖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a의 플래시 장치의 플래시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0은 플래시 방출을 카운팅하고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1a는 충전 허용 스위치 및 강제 방전 스위치를 갖는 플래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11b는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
도 12a는 스위치 및 관련 기구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된 단면도.
도 12b는 플래시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제외하고는 도 12a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된 단면도.
도 13a는 자석이 사용되는 다른 바람직한 스위치 세트를 나타내는 입면 설명도.
도 13b는 플래시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제외하고는 도 13a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입면 설명도.
도 14는 트리거 스위칭 사이리스터(thyristor)가 트리거 회로와 연동되는 플래시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5는 전극 핀 타입인 다른 바람직한 전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6a는 플래시 장치가 4개의 단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른 바람직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b는 도 16a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플래시 장치의 단자를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6b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된 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0은 도 17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내의 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21a는 플래시 장치의 유닛이 접속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b는 더미 블럭이 장착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플래시 장치 및 더미 블럭을 교환하는 상태에서의 도 21a 및 도 21b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3은 도 22와 동일한 것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4는 도 21a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25는 플래시 장치 및 더미 블럭이 박스 형상인 다른 바람직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6은 도 25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27a는 전면 커버로 형성된 플래시 케이스를 갖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 27b는 플래시 형성 전면 커버 대신에 더미 전면 커버를 나타내는 수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11 : 플래시 장치
13 : 보유 돌기
16 : 촬영 렌즈
17 : 개구
18 : 대물창
19 : 셔터 릴리즈 버튼
21 : 프레임 카운터
22 : 와인더 휠
44a, 44b : 접속 단자
45 : 메인 커패티서
46 : 플래시 회로 기판
47 : 플래시 이미터
48 : 건전지
49 : 플래시 케이스
51 : 슬라이딩 버튼
52 : 준비 표시기
53 : 정보 스티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과 그 외의 목적 및 이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용 플래시 장치가 제공된다. 메인 커패시터는 전하를 축적한다. 플래시 이미터는 플래시 광을 방출한다. 플래시 회로 기판은 메인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노출 동작에 응답하여 메인 커패시터를방전시켜 플래시 이미터를 구동한다. 기밀한 플래시 케이스가 메인 커패시터, 플래시 이미터 및 플래시 회로 기판을 수납하기 위해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고착된다.
또한, 전지는 플래시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플래시 케이스 내에 수납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노출 동작에 응답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sync)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스위치 접점이 동기 스위치로부터의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플래시 케이스 외측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스위치 접점은 플래시 케이스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 메인 커패시터의 방전을 불가능하게 하고, 플래시 케이스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고착되어 있을 때에 트리거 신호의 공급 시 메인 커패시터의 방전을 위해 단락된다.
플래시 이미터는 플래시 방전관, 및 플래시 방전관의 트리거용 트리거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트리거 커패시터는 플래시 회로 기판에 의해 충전된다. 트리거 변압기는 트리거 커패시터가 접속된 1차 권선과, 트리거 전극이 접속된 2차 권선을 갖고, 트리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승압시켜 얻어진 고전압을 출력하기 위해서 트리거 방전 시에 동작된다. 트리거 스위치는 제1 및 제2 스위치 접점을 갖고, 트리거 변압기에서의 1차 및 2차 권선의 공통 단자에 접속되고,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닫혀서, 1차 권선을 통하여 트리거 커패시터를 방전시킨다.
플래시 회로 기판은 플래시 이미터에서의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시점의 가용수명 플래시 횟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는 플래시 이미터 또는 플래시 회로 기판의 일부 가용 수명에 따른 플래시 광 방출 횟수보다도 작게 미리 정해진다. 카운터는 플래시 이미터에서의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시점의 플래시 횟수를 카운트한다. 스위칭 회로는 플래시 횟수가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플래시 이미터의 동작을 금지시킨다.
또한, 표시 장치는 플래시 횟수 및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에 따라서 현재의 플래시 가용성 정보를 표시한다.
플래시 가용성 정보는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와 플래시 횟수의 차에 따른 가용한 횟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래시 가용성 정보는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와 플래시 횟수의 차에 따른 제1 내지 제N 단계의 가용 횟수 중의 하나를 나타내고, 제1 단계는 최고 레벨의 가용한 횟수를 포함하는 범위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N 단계는 가용한 횟수를 최저 레벨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는 방식으로 결정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플래시 케이스에 대향하며, 수용 개구(receiving opening)를 갖는 하우징 접속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접속 패널에 대향하는 플래시 케이스의 케이스 접속 패널로부터 돌출하도록 보유 돌기가 형성되고, 수용 개구에 삽입되어, 하우징 접속 패널 상에 케이스 접속 패널을 보유한다.
수용 개구는 제1 갭부를 포함한다. 제2 갭부는 제1 갭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제1 갭부 이상의 사이즈를 갖는다. 보유 돌기는 케이스 접속 패널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제1 갭부 이하의 사이즈를 갖고, 보유 돌기 내에 삽입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한다. 제2 부분은 그 폭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제1 부분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제1 갭부의 내면과 결합되어, 제1 부분의 낙하를 방지하며, 제2 부분은 제2 갭부 아하의 사이즈를 갖고, 제1 갭부 내의 제1 부분의 세팅 전에 제2 갭부 내에 삽입된다.
제2 갭부 내로 삽입한 후에, 제2 부분은 수용 개구에 대하여 보유 돌기를 슬라이딩 또는 회전시켜 제1 갭부 내에 세팅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셔터 블레이드를 갖고 포토 필름을 노출시키는 셔터 기구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블레이드 검사 광 가이드는 셔터 블레이드가 제1 광 가이드의 출력 단부와 제2 광 가이드의 입력 단부 간에 있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광 가이드는 셔터 블레이드의 시프트에 따라 광 차단 상태와 광 전송 상태 간에서 전환된다. 플래시 회로 기판은 플래시 케이스 외측에 배치되고, 제1 광 가이드의 입력 단부에 대향하며, 광 신호를 출력하여 광 신호를 셔터 블레이드를 향하여 출력하는 동기 발광 유닛을 포함한다. 동기 수광 유닛은 플래시 케이스 외측에 배치되고, 제2 광 가이드의 출력 단부에 대향하며, 차단 상태와 전송 상태 간에서 광 가이드 전환 시에 입사되는 광 신호를 검출하고, 셔터 블레이드의 개방/차단에 동기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충전 허용 스위치는 플래시 케이스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간의 접속 및 분리에 응답하여 전환되어, 플래시 케이스의 접속 시에 플래시 회로 기판의 충전 동작을 허용하고, 플래시 케이스의 분리 시에는 플래시 회로 기판의 충전 동작을 금지한다.
또한, 강제 방전 스위치는 메인 커패시터와 접속되고, 플래시 케이스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접속 및 분리에 응답하여 전환되어, 플래시 케이스의 접속 시에 메인 커패시터의 충전 동작을 허용하고, 플래시 케이스의 분리 시에는 메인 커패시터를 강제로 방전시킨다.
강제 방전 스위치는 한쌍의 접점을 포함한다. 이동형 스위치 세그먼트는 플래시 케이스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떨어질 때에 접점 상에 위치되어, 접점을 단락시킨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플래시 케이스가 접속될 때에 스위치 세그먼트를 눌러서, 접점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스위치 세그먼트를 분리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강제 방전 스위치는 한 쌍의 접점을 포함한다. 이동형 스위치 세그먼트는 플래시 케이스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떨어질 때에 접점 상에 위치되어, 접점을 단락시킨다. 제1 자석은 스위치 세그먼트에 고착되고,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대향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제1 자석을 자기적으로 배척하여 시프트시켜, 접점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스위치 세그먼트를 분리하기 위해서, 플래시 케이스가 접속될 때에 제1 자석에 세팅되는 제2 자석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래시 이미터는 플래시 방전관, 및 플래시 방전관의 트리거용 트리거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트리거 커패시터는 플래시 회로 기판에 의해 충전된다. 트리거 변압기는 트리거 커패시터가 접속된 1차 권선과, 트리거 전극이 접속된 2차 권선을 갖고, 트리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승압시켜 얻어진 고전압을 출력하기 위해서, 트리거 커패시터의 방전 시에 동작된다. 트리거 스위칭 소자는 제1 및 제2 단자와, 게이트를 갖고, 제1 단자는 트리거 변압기 내의 1차 및 2차 권선의 공통 단자와 접속된다. 외부 스위치는, 제1 및 제2 단자가 도전성이 되도록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트리거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접속되고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닫히는 제1 및 제2 스위치 접점을 포함하고, 트리거 커패시터가 1차 권선을 통하여 방전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래시 회로는 제1 및 제2 전지 접속 단자를 포함한다. 전지는 하나의 공통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제1 및 제2 전지 접속 단자와 각각 고정 접속되는 제1 및 제2 전지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및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노출 시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장치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이 제공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미리 정해진 형상의 장착부가 하우징으로 형성되고 플래시 장착에 적합하다. 전지는 하우징 내에 수납된다. 제1 단자는 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된다. 플래시 장치는 장착부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 가능한 접속 패널을 포함한다. 전원 단자는 전력을 공급하여 플래시 광을 방출하기 위해서, 접속 패널의 외측에 위치되어 제1 단자에 접속된다.
하우징은 박스 형상이고, 전면 패널, 후면 패널, 및 제1 및 제2 측면 패널을갖는다. 제1 측면 패널은 플래시 장치에 대향하며, 장착부를 갖는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노출 동작에 응답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하우징 내에 합체되는 동기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제2 단자는 동기 스위치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서 제1 단자 옆에 배치된다. 플래시 장치는 전원 단자 옆에 배치되어 제2 단자와 접속되는 트리거 단자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자는 수단자(male terminal)이다. 트리거 단자 및 전원 단자는 암단자(female terminal)이다.
접속 패널은 제1 측면 패널을 결합부를 보유하기 위해서 장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장착부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결합부는 결합 오목부(recess)를 포함한다.
장착부는 결합 돌기의 에지(edge)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맞춤 융기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는 결합 오목부의 에지에 형성되고 위치 맞춤 융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맞춤 노치(notch)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플래시 장치는 플래시 광을 방출한다. 미리 정해진 형상의 장착부가 하우징으로 형성되고, 플래시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고착한다. 장착부는 플래시 장치없이 일광(daylight) 타입을 생성함에 있어서 더미 블럭을 고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플래시 장치는 방전 시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이미터를 포함한다. 플래시 회로 기판은 노출 동작에 응답하여 플래시 이미터를 구동한다. 전지는 플래시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한다. 기밀한 플래시 케이스는 플래시 이미터, 플래시 회로 기판 및 전지를 수납한다.
하우징은 본체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커버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이고, 본체를 덮기 위해서 전면 및 후면 패널을 갖는다. 장착부는 부착된 플래시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서, 외부 커버에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 패널에 배치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커버는 전면 패널을 갖는 전면 커버를 포함한다. 후면 커버는 후면 패널을 갖는다.
전면 패널은 상측 및 하측 라인, 및 제1 및 제2 측면 라인을 갖는다. 오목부는 상측 라인의 일부로부터 제1 측면 라인의 일부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오목부 및 플래시 장치는 상측 라인으로부터 하측 라인을 향하여 보았을 때 L자 형상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목부 및 플래시 장치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형태에 따르면,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전하를 축적하는 메인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플래시 이미터는 플래시 광을 방출한다. 플래시 회로 기판은 메인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노출 동작에 응답하여 메인 커패시터를 방전시켜 플래시 이미터를 구동한다. 기밀한 플래시 케이스는 메인 커패시터, 플래시 이미터 및 플래시 회로 기판을 수납한다.
또한, 본체에는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다. 외부 커버는 본체의 외측을 덮는다. 전지는 플래시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플래시 케이스 내에 수납된다. 플래시 케이스는 외부 커버의 외표면으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된 표면을 갖는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에는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다. 외부 커버는 본체의 외측을 덮는다. 전지는 플래시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플래시 케이스 내에 수납된다. 플래시 케이스는 외부 커버의 내표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래시 장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 외부 접속 가능한 플래시 장치의 구성 때문에, 최초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사용한 후에 새로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접속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된 플래시 장치의 유통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사용된 제품의 유통에 따른 부적절한 부품의 재사용이 억제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노출 기구를 갖고,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되어 있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이 예시되어 있다. 외장형 플래시 장치(11)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에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플래시 장치(11)는 플래시 광으로 플래시 포토그래피에 따른 노출을 취할 수 있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은 포토 필름을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1회용 장치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플래시 장치(11)는 여러 매의 포토 필름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래시 장치(11)을 여러회 사용하기 위하여 렌즈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을 재사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하우징 접속 패널(12)은 플래시 장치(11)와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에 포함되어 있다. 제 1 갭부로서의 수용 개구(12a)는 하우징 접속 패널(12)에 형성된다. 보유 돌기(13)는 플래시 장치(11)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수용 개구(12a)와 결합하여 플래시 장치(11)를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에 확실히 고정시킨다.
수용 개구(12a)는 그 후단부가 전단부보다 작은 형상을 취한다. 보유 돌기(13)는 단면에서 볼 때 T-형상을 갖고 있고, 상측과 하측 텅(tongue)부를 포함한다. 보유 돌기(13)는 수용 개구(12a)의 전단부에 삽입된다. 플래시 장치(11)는 이러한 상태에서 뒤쪽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텅부와 수용 개구(12a)의 후단부를 결합시킨다. 플래시 장치(11)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에 고정된다.
보호 커버(14)는 플래시 장치(11)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수용 개구(12a)를 폐쇄시키는 형태로 덮는다. 보호 커버(14)는 수용 개구(12a)를 통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으로 먼지, 오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플래시 장치(11)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에 장착되었을 때, 수용 개구(12a)를 통해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래시 장치(11)의 측면에는 패킹을 사용할 수 있음을 유념한다. 또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상에 플래시 장치를 유지하기 위해 마그넷을 사용할 수 있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의 정면 패널은 뷰파인더 대물창(viewfinder objective window)(18) 및 촬영 렌즈(16)가 나타나는 개구(17)를 포함한다. 렌즈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의 상측 패널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9) 및 프레임 카운터(21)가 제공된다. 와인더 휠(winder wheel)(22)의 일부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의 후방 패널에서 바깥쪽으로 나타난다.
도 3에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은 본체(23), 포토 필름 카세트(26), 전방 커버(31) 및 후방 커버(32)로 구성되어 있다. 포토 필름 카세트(26)는 포토 필름(24) 및 카세트 셸(cassette shell)(25)을 포함한다. 외측 커버로서의 전방 및 후방 커버(31, 32)는 포토 필름 카세트(26)와 함께 본체(23)를 덮는다. 노출 유닛(33)은 본체(23) 내에 포함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 챔버(23a) 롤 홀더 챔버(23b)는 이들 사이에 노출 유닛(33)이 놓이도록 배치된다. 카세트 홀더 챔버(23a)는 카세트 셸(25)을 포함한다. 롤 홀더 챔버(23b)는 카세트 셸(25)로부터 풀려진 후의 포토 필름(24)의 롤을 수용한다. 와인더 휠(22)은 카세트 홀더 챔버(23a)의 위쪽에 배치된다.
샤프트(미도시)는 와인더 휠(2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카세트 셸(25) 내의 스풀과 결합된다. 포토 필름(24)의 트레일링단(trailing end)은 스풀 내의 슬릿에 삽입되어 유지된다. 와인더 휠(22)이 회전하면, 스풀은 포토 필름(24)을 진행시키기 위해 회전한다.
노출 유닛(33)은 차광 터널(38), 셔터 기구로서의 셔터 블레이드(39) 및 셔터-커버/렌즈-홀더(41)를 포함한다. 셔터 블레이드(39)는 차광 터널(38)의 전방에 배치된다. 셔터-커버/렌즈-홀더(41)는 차광 터널(38) 및 셔터 블레이드(39)의 전방을 덮는다. 노출 개구(38a)는 차광 터널(38)의 정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대상물로부터의 광을 차광 터널(38) 내로 도입한다. 노출 구멍은 차광 터널(38)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포토 필름(24) 상의 노출 범위를 규정한다. 구멍 중단구는 셔터-커버/렌즈-홀더(41) 내에 형성되어 있다. 촬영 렌즈(16)는 셔터-커버/렌즈-홀더(41) 내에 유지된다.
노출 유닛(33)보다 높이 배치되어 있으며 대물 및 접압 렌즈 소자를 갖는 뷰파인더 기구가 있다. 프레임 카운터 기구는 또한 포토 필름(24) 상의 나머지 이용가능한 프레임의 수를 표시하기 위하여 노출 유닛(33)보다 높이 배치된다.
셔터 블레이드(39)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이동가능한데,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노출 개구(38a)를 개방하고,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노출 개구(38a)를 폐쇄시킨다. 스프링은 폐쇄 위치를 향하여 셔터 블레이드(39)를 바이어스한다. 노킹(knocking) 기구는 셔터 블레이드(39)를 노킹하기 위해 노출 유닛(33)의 위쪽에 배치된다. 와인더 휠(22)이 회전하여 하나의 프레임에 의해 포토 필름(24)을 감으면, 노킹 기구는 충전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9)이 눌려지면, 이에 반응하여 노킹 기구는 셔터 블레이드(39)를 노크한다. 따라서, 셔터 블레이드(39)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1회 앞뒤로 이동한다.
동기 스위치(43)는 차광 터널(38)의 상측부에 배치된다. 동기 스위치(43)는 셔터 기구의 릴리즈에 동기하여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고, 이 트리거 신호를 플래시 장치(11)에 전송하며, 금속으로 된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쌍을 포함한다. 누름부는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 중 하나를 눌러서 이들을 서로 접촉시키기 위하여 셔터 블레이드(43a, 43b)로 형성된다. 셔터 블레이드(39)가 개방 위치로 가면, 동기 스위치(43)는 턴 온하여 트리거 신호를 플래시 장치(11)에 전송한다.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는 본체(23)에 고정되어 있다.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의 제 1 단부는 셔터 블레이드(39)에 근접 배치되어 있다.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의 제 2 단부는 롤러 홀더 챔버(23b)의 외부면에서 측면 패널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제 2 단부는 하우징 접속 패널(12) 상에 배치되어 있다. 트리거 스위치 또는 외부 스위치로서의 접속 단자(44a, 44b)쌍은 플래시 장치(11)의 보유 돌기(13)에 고정된다. 플래시 장치(11)가 본체(23)에 고착축구되어 있을 때,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의 제 2 단부는 접속 단자(44a, 44b) 각각과 접촉한다.
전방 및 후방 커버(31, 32)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을 광밀하게(light-tightly) 덮기 위하여 본체(23)의 전방과 후방에 고정된다. 하부 리드(32a, 32b)는 후방 커버(32)에 포함되며, 카세트 셸(25) 및 포토 필름(24)의 최하부를 덮는다. 노출이 취해진 후, 하부 리드(32a)는 카세트 셸(25)을 제거하기 위하여 개방된다.
플래시 장치(11)는 플래시 회로 기판(46), 플래시 이미터, 건전지(48) 및 플래시 케이스(49)로 구성되어 있다. 플래서 회로 기판(46)은 기판 상에 인쇄된 회로 패턴을 갖고 있으며, 메인 커패시터(45)가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회로 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플래시 이미터(47)는 크세논 방전관, 반사기, 발산판 등을 갖는다. 건전지(48)는 상기 소자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플래시 케이스(49)느 상기 소자들 중 소정의 것을 포함한다. 플래시 장치(11)에 조립된 상기 부품들에 대해서는, 종래에 공지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의 내장형 플래시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형 플래시 부품과 같이 양호한 성능과 높은 내구성을 갖는 부품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법으로 제조 비용을 더 낮출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래시 장치(11)는 다수의 포토 필름에 대응하는 횟수만큼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플래시 장치(11) 부품의 내구성은 비용 절감면에서 카메라용의 범용 플래시 장치에 비해서 낮다. 사용자가 그 사용 수명을 넘어서 플래시 장치(11)를 계속해서 사용한다면, 이 사용자는 그 품질 저하로 인해 예상치 않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건전지(48)의 용량은 사용자가 플래시 장치(11)를 사용 수명 또는 부품의 내구 기간 이상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레벨로 미리 결정된다. 플래시 케이스(49)는 건전지(48), 플래시 회로 기판(46), 플래시 이미터(47)를 포함한 고정형 부품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밀하게(hermetically) 폐쇄된다. 건전지(48)는 사용자에 의해 교환될 수 없다. 건전지(48)가 일단 소비되면, 플래시 장치(11)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폐기되어야 한다. 그래서, 플래시 장치(11)의 비용을 낮추는 동시에, 제품의 고품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
사용 후의 플래시 장치(11)는 포토 완성자에 의해 카메라 제조자에게 회수되고,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라시이클된다. 카메라 제조자는 플래시 장치(11)를 분해 및 클리닝하고, 검사한 후, 필요에 따라 재생 또는 수선한 후 그 부품을 재사용한다. 건전지(48)는 전문 딜러에 의해 재생된다.
플래시 이미터(47)용의 발산판은 플래시 케이스(49)의 전방에 바깥쪽으로 나타난다. 슬라이딩 버튼(51)은 발산판 하부에 배치된다. 플래시 회로의 충전기 스이치는 슬라이딩 버튼(51)과 연결된다. 슬라이딩 버튼(51)은 온과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는데, 온 위치에 있을 때는, 충전기 스위치를 턴 온하여 충전을 개시하고, 오프 위치에 있을 때는, 충전기 스위치를 턴 오프하여 충전을 중단한다.
준비(readiness) 표시기(52)는 노출의 대기를 위해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도록 플래시 케이스(49)의 상측 패널에 배치된다. 준비 표시기(52)의 일례로는 LED(light-emitting diode)로부터의 광을 광학적으로 플래시 회로에 안내하기 위한 광가이드가 있다. 준비 표시기(52)는 플래시 케이스(49) 뒤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준비 표시기(52)는 슬라이딩 버튼(5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슬라이딩 버튼(51)이 온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플래시 케이스(49)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고, 슬라이딩 버튼(51)이 오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플래시 케이스(49)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정보 라벨 또는 스티커(53)는 플래시 케이스(49)의 케이스 접속 패널에 부착되는데, 보유 돌기(13)보다는 높이 배치된다. 플래시 장치(11)에 의한 발광량은 포토 필름(24)의 속도, 촬영 렌즈의 f-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정보 스티커(53)는 플래시 장치(11)와 연관된 포토 필름(24)의 속도, 촬영 렌드의 f-수 등의 인쇄 정보를 포함한다. 플래시 장치(11)는 외부 접속형이므로, 사용자는 특히 자신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을 독립적으로 구입하는 경우정보 스티커(53) 상의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이로서, 사용자는 정보 스티커(53)가 용이하게 체크될 수 있어서, 적절한 형태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건전지(48)의 일례로는, 전극간 1.5볼트인 알카리 망간 전지, 리튬 전지 등이 있다. 건전지(48)의 용량은 2개의 포토 필름의 모든 프레임에 대해서 플래시 방출이 가능할 정도의 작은 레벨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통계적인 관점에서 각 포토 필름에서의 모든 프레임에 대해 플래시 광을 방출할 가능성은 적다. 이와 같이 용량 레벨이 작더라도 3개의 포토 필름의 플레임을 노출시키기에는 충분하다. 또한, 관련 부품 등의 사용 수명 관점에서 건전지(48)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는 플래시 회로(56)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 예시되어 있다. 충전기 스위치(57)는 3개의 접점(59a, 59b, 59c) 및 이동 세그먼트(5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 세그먼트(58)의 제 1 단부는 제 3 접점(59c)과 접속된다. 슬라이딩 버튼(51)이 온 위치로 시프트되는 경우, 이동 세그먼트(58)의 제 2 단부는 접점(59a, 59b)과 접촉하여, 접점(59a, 59b, 59c)과 상호 접속한다.
n-p-n형 발진 트랜지스터(61)와 발진 변성기(62)가 있으며, 이들의 조합체는 블로킹 발진에 따라 동작하는 부스터(63)를 구성한다. 건전지(48)에 의해 출력된 전압은 부스터(63)에 의해 300볼트 정도의 고전압으로 변환되어, 메인 커패시터(45)를 충전한다. 발진 변성기(62)는 1차 권선(62a), 2차 권선(62b) 및 상호 유도 결합된 3차 권선(62c)을 포함한다. 1차 권선(62a)의 제 1 단부는 건전지(48)의 양극과 접속된다. 1차 권선(62a)의 제 2 단부는 발진 트랜지스터(61)의 컬렉터와 접속된다. 2차 권선(62b)의 제 1 단부는 정류 다이오드(66)의 애노드와 접속된다. 2차 권선(62b)의 제 2 단부는 3차 권선(62c)의 제 1 단부와 함께 건전지의 양극과 접속된다. 3차 권선(62c)의 제 2 단부는 저항(67a)을 통해 충전기 스위치(57)의 제 3 접점(59c)과 접속된다.
정류 다이오드(66)의 캐소드는 저항(67b)을 통하는 트리거 커패시터(68)의 한 단자, 또한 메인 커패시터(45)의 포지티브측인 한 단자와 접속된다. 트리거 커패시터(68)의 제 2 단자는 충전기 스위치(57)의 접점(59a)과 접속된다. 발진 트랜지스터(61)의 이미터는 건전지(48)의 음극 전극과 접속된다. 발진 트랜지스터(61)의 베이스는 저항(67c)을 통해 접점(59b)과 접속된다.
트리거 변성기(69)는 상호 유도 결합된 1차 권선(69a) 및 2차 권선(69b)을 포함한다. 1차 권선(69a)의 제 1 단부는 트리거 커패서터(68)의 단자와 접속된다. 2차 권선(69b)의 제 1 단부는 플래시 이미터(47)에 합체된 플래시 방전관(71)에 근접 배치된 트리거 전극(72)과 접속된다. 1차 권선(69a) 및 2차 권선(69b)의 제 2 단부는 동기 스위치(43)를 통해 충전 스위치(57)와 접속된 하나의 공통 단자로서 결합된다. 플래시 방전관(71)의 전극은 메인 커패시터(45)의 단자와 병렬 형태로 접속된다.
트리거 커패시터(68), 1차 권선(69a), 동기 스위치(43), 충전 스위치(57)를 포함한 일련의 소자들은 트리거 회로(64)를 구성하고, 이 트리거 회로(64)에 의해 방전시 트리거 커패시터(68)로부터의 전류는 동기 스위치(43)의 턴 온시에 1차 권선(69a) 내에 흐르게 된다.
충전기 스위치(57)가 턴 온되면, 발진 트랜지스터(61)는 도통하여 발진 트랜지스터(61)의 컬렉터 전류로서 1차 권선(62a) 내에 전류를 흘린다. 2차 권선(62b)에서는, 1차 권선(62a)과 2차 권선(62b)에서의 권선수의 비에 따라 기전력을 일으킨다. 2차 권선(62b)에서의 출력 전류는 발진 트랜지스터(61)에 베이스 전류로서 흐른다. 즉, 발진 변성기(62)의 피드포워드 동작이 발진을 일으켜서, 발진 트랜지스터(61) 내의 컬렉터 전류를 증가시킨다. 2차 권선(62b)에서 발생된 출력 전류는 또한 메인 커패시터(45) 및 트리거 커패시터(68)에 흘러서 이들 모두를 충전시킨다.
3차 권선(62c)의 단자들과 병렬로 접속된 애노드 및 캐소드를 갖는 동기 발광 유닛으로서의 LED(light-emitting diode)(74)가 있다. 충전되는 메인 커패시터(45) 양단간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에 도달하면, 3차 권선(62c) 양단간의 전압은 상기 소정 레벨에 도달하여, LED(74)를 구동시킨다. LED(74)에 의해 방출된 광은 광 가이드에 의해 준비 표시기(52)에 안내된다.
동기 스위치(43)는 메인 커패시터(45)를 완전히 충전시킨 상태에서 턴 온된다. 그 후, 트리거 회로(64)가 폐쇄되어, 트리거 커패시터(68)의 방전 전류를 1차 권선(69a)에 흘린다. 이에 반응하여, 트리거 전압은 2차 권선(69b)에 고 레벨로 출력되고, 트리거 전극(72)에 의해 플래시 방전관(71)에 인가된다. 메인 커패시터(45)는 플래시 방전관(71)을 포함한 경로에서 방전되고, 여기서는 전하가 통과해서 플래시 광을 발광한다.
자동-커팅 회로와 플래시 회로를 결합하여, 통상 충전 후의 자연 방전의 발생시에 충전을 재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유념한다. 따라서, 유저가 충전기 스위치의 턴 오프를 실패한 경우라도, 건전지(48)의 사용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사용자측에서의 포토그래핑 동작으로부터 종단에서의 재생링 동작까지의 스텝을 포함한 흐름이 예시되어 있다.
카메라 제조자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 및 플래시 장치(11)를 제조한다. 플래시 장치(11)는 외부 접속형이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은 플래시 장치(11)와 결합하지 않고서도 사진을 촬영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카메라 제조자는 플래시 포토그래피 및 주광 포토그래피용의 상기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이 높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 및 플래시 장치(11)는 카메라 제조자에 의해 포토 샵에 출하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은 플래시 장치(11)와 연계하여 세트로서 판매되고, 또한 단일 제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은 플래시 장치(11) 없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플래시 없이 촬영할 의도의 사용자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만을 구입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플래시 포토그래피할 의도의 다른 사용자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 및 플래시 장치(11)를 모두 구입할 수 있다.
플래시 장치(11)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에 고정되는 경우, 동기스위치(43)의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는 각각 플래시 장치(11)의 접속 단자(44a, 44b)와 접촉하여, 동기 스위치(43)를 플래시 회로 기판(46)과 접속시킨다.
슬라이딩 버튼(51)이 온 위치로 슬라이드하는 경우, 충전기 스위치(57)는 턴 온하여 메인 커패시터(45)의 충전을 개시한다. 충전되는 메인 커패시터(45) 양단간의 전압이 소정 전압 레벨에 도달하면, LED(74)는 발광하게 되어 준비 표시기(52)를 턴 온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의 완료를 통보받게 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9)이 눌러지면, 셔터 블레이드(39)는 신속히 노크되어, 포토 필름(24) 상에 노출을 취하게 된다. 셔터 블레이드(39)가 개방 위치로 가게 되면,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는 상호접속하여 동기 스위치(43)를 턴 온시킨다. 트리거 회로(64)는 플래시 광을 발광시키도록 동작된다.
포토 필름(24) 내의 모든 프레임이 노출되면, 사용자는 렌즈 부착형 포토 피름 유닛(10)을 포토 샵으로 가져가거나 발송하여, 포토 완성자에게 인화를 요청한다. 포토 완성자는 포토 필름(24)을 포함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을 받아서, 포토 필름(24)을 인화한다. 현상 후의 포토 필름(24)은 포토그래픽 인화가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되돌려진다. 한편,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의 본체는 카메라 제조자에게 회수된다.
플래시 장치(11)는 건전지(48)를 다 쓸 때까지 사용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으로부터 플래시 장치(11)를 제거하고, 이후의 사용을 위해서 보존한다. 사용자는 플래시 장치(11) 없이 미사용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을 구입할 수 있다. 보존되는 플래시 장치(11)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과 접속되어, 플래시 광에 노출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플래시 장치(11)는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음 노출 시간에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만을 구입함으로써 플래시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장치(11)는 외부 접속형이다. 사용자가 플래시 없이 촬영을 요구하는 경우, 이 사용자는 플래시 장치(11)를 구입하지 않고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을 구입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용 방식에 따라 1사진당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플래시 장치(11) 내의 건전지(48)를 다 써버리면, 더 이상 충전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 준비 표시기(52)가 발광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건전지를 다 사용하였음을 준비 표시기(52)의 상기한 상태를 통해서 통보받는다.
건전지(48)를 사용한 후의 플래시 장치(11)는 포토 완성자에 의해 회수되고, 카메라 제조자에게 보내진다. 사용자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 없이 플래시 장치(11)만을 포토 완성자에게 가져갈 수 있고, 또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과 함께 플래시 장치(11)를 포토 완성자에게 가져갈 수도 있다.
포토 필름(24)을 다 사용하게되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은 포토 완성자의 포토 작업실로 보내진다. 한편, 플래시 장치(11)는 여러 개의 포토 필름에 대해서 상당히 여러번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 장치(11)를 포토 작업실로 보내는 횟수는 공지 기술에 비해서 감소된다. 플래시 장치(11)를 재장전 딜러에게 분배하게 되면, 시장에서의 부분 재사용 딜러는 억제될 수 있고, 부품 또는 제품의 비허가된 재장전 또는 처리가 감소될 수 있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은 고비용의 플래시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로서 시장 내의 재장전 딜러와 부분 재사용 딜러 등으로의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분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최초 카메라 제조자측에서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의 실제 회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폐기를 줄임으로써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환경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 제조자에 의해 회수된 플래시 장치(11) 및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은 적절한 방법으로 재생되고, 플래시 장치(11)는 분해된다. 이 부품들은 클리닝되고, 검사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선된다. 상기 부품들은 새로운 전지와 함께 새로운 플래시 케이스에 다시 조립되어, 재사용된다. 사용된 플래시 케이스는 소형입자화(pelletize)되고, 재생 플라스틱 재료로서 재사용된다. 사용된 전지는 전문 딜러에 의해 회수되어 재생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 내의 동기 스위치(43)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 단자(44a, 44b)는 플래시 장치(11) 외부의 보유 돌기(13)의 표면 상에 배치된다. 플레시 장치(11)가 메인 커패시터(45)의 충전 후에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0)으로부터 제거되면, 유저의 손가락이 접속 단자(44a, 44b)를 잘못 터치하여, 회로 단락에 의한 전기적 충격을 받을 수 있다. 충전 직후의 플래시 장치(11)는 메인 커패시터(45)와 마찬가지로 접속 단자(44a, 44b)에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외부 터치가 어려운 위치, 예를 들면 보유 돌기(13)의 배면에 접속 단자(44a, 44b)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베이어닛형 접속이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소자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플래시 장치(81)는 플레시 케이스(82)를 포함하고, 그 결합 기구(83)는 케이스 접속 패널 상에 배치된다. 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80)은 하우징 접속 패널(84)를 갖는다. 제 1 갭부로서의 수용 개구(84a) 및 결합 기구(83)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홈(84b)이 있다. 제 2 부로서의 보유 돌기(83a)쌍은 수용 개구(84a)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 기구(83)와 함께 형성된다. 융기부(83b)는 연결 홈(84b)과의 연결을 위해 보유 돌기(83a)의 주변에 형성된다. 제 1 부로서의 핀(83c)은 결합 기구(83)의 중심으로부터 돌출한다. 결합 홀(84c)은 핀(83c)과의 결합을 위해 하우징 접속 패널(84)의 중심에 형성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80)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하우징 접속 패널(84)이 두드러지게 돌출하거나 움푹 들어간 형태를 취하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80)의 순수 외관은 하우징 접속 패널(84)에 의해 열화된다. 따라서, 하우징 접속 패널(84)의 표면은 전방 및 후방 커버(31, 32)의 표면과 동일하게 평면으로 플러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커버가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우징 접속 패널(84)을 덮기 위하여 부가될 수 있다.
O-링(85)은 결합 홈(84b)에 결합된다. O-링(85)은 결합 홈(84b)과 융기부(83b) 사이에 결합 상태를 강화하여,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80) 또는 플래시 장치(81)로 먼지, 오물, 물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플래시 장치(81)와의 접속을 위하여, 플래시 장치(81)는 수용 개구(84a) 내로의 삽입을 위해 보유 돌기(83a)를 위치맞춤하도록 기울어진다. 결합 기구(83)는플래시 장치가 세트 위치로 회전되기 전에 수용 개구(84a)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결합 기구(83)는 플래시 장치(81)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80)을 접속하기 위하여 하우징 접속 패널(84) 상에 고정 유지된다.
접점(86a, 86b)쌍은 보유 돌기(83a) 뒤에 부착되고, 트리거 회로와 접속된다.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는 하우징 접속 패널(84)의 수용 개구(84a) 내측에 배치되고, 동기 스위치(43)를 구성한다. 결합 기구(83)가 수용 개구(84a)와 결합되면, 접점(86a, 86b)은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43a, 43b)와 접촉한다.
접점(86a, 86b)은 보유 돌기(83a)의 뒤에 배치되기 대문에 외부로부터 손에 의해 용이하게 터치될 수 없다. 이것은 플래시 장치(81)가 충전 후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80)으로부터 제거되더라도 안전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플래시 장치로 전송되는 트리거 신호는 전기 신호이다. 광의 광학적 트리거 신호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다른 바람직한 플래시 장치(91)에 대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플래시 장치(91)는 동기 발광 유닛의 출력광 가이드(92) 및 동기 수광 유닛의 입력 광 가이드(93)를 포함한다. 플래시 장치(91)는 플래시 케이스(91a)를 구비하며, 출력광 가이드(92)의 제 1 단부(92a) 및 입력광 가이드(93)의 제 1 단부(93a)가 나타나는 측면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출력광 가이드(92)의 제 2 단부(92b)는 부스터(63) 내의 LED(74)와 근접 배치되고, 상기 LED(74)는 충전 후의 준비를 나타낸다. LED(74)로부터의 광은 준비 표시기(52)로 전송되고, 플래시 장치(91)용 트리거 신호로서 사용된다.
LED(74)로부터의 광은 출력 광 가이드(92)를 통과하고,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 전송된다. 이 후, 광은 셔터의 릴리즈에 동기하여 통과되고, 입력 광 가이드(93)를 통과하고, 플래시 장치(91)로 다시 전송된다. 입력 신호 가이드(93)의 제 2 단부(93b)는 동기 수광 유닛으로서 포토 수용체 소자(98)에 근접 배치된다. 포토 수용체 소자(98)는 트리거 회로(64)와 접속되고, 입력 광 가이드(93)로부터의 광을 수신시에 전기 신호를 트리거 회로(64)에 전송한다. 사이리스터(미도시)는 트리거 회로(64)의 방전 라인 상에 접속된다. 전기 신호가 사이리스터의 게이트에 입력되면, 사이리스터는 턴 온된다. 트리거 거패시터 및 메인 커패시터는 플래시 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방전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4, 95)를 포함한 동기 스위칭 장치를 갖는다.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4)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외부에 나타나는 입력 단부(94a)를 갖는다.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5)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외부에 나타나는 출력 단부(95a)를 갖는다. 플래시 장치(91)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 접속되는 경우,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4)의 입력 단부(94a)는 출력 광 가이드(92)의 제 1 단부(92a)와 마주한다.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5)의 출력 단부(95a)는 입력 광 가이드(93)의 제 1 단부(93a)와 마주한다.
셔터 기구로서의 셔터 블레이드(101)가 있다. 셔터 블레이드(101) 근방에는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4)의 출력 단부(94b) 및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5)의입력 단부(95b)가 배치된다. 입력 단부(95b)는 출력 단부(94b)와 마주한다.
이동형 동기 세그먼트(101a)는 셔터 블레이드(101)와 함께 형성된다. 셔터 블레이드(101)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형 동기 세그먼트(101a)는 출력 단부(94b)로부터 입력 단부(95b)로의 광 경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4)의 출력 단부(94b) 및 블레이드 체킹 광 가이드(95)의 입력 단부(95b) 사이에 위치된다. 셔터 블레이드(101)가 개방 위치로 회전하면, 이동형 동기 세그먼트(101a)는 광 경로로부터 멀어진다. 출력 단부(94b)로부터 방출된 광은 입력 단부(95b) 상에 입사한 후, 플래시 장치 내의 입력 광 가이드(93)로 다시 향한다.
따라서, 광의 광학 트리거 신호가 사용되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플래시 장치(91)로 전송된다. 플래시 케이스(91a)의 표면에는 어떤 덮여지지 않는 접점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안전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플래시 장치의 사용 기간은 전지를 다 사용하였을 때 준비 표시기(52)의 발광을 단절함으로써 유저에게 통보된다. 도 8a에는 유저에게 현재 플래시 방출의 이용성을 통보하기 위한 잔량 표시 패널(112)을 포함한 플래시 장치(111)가 예시되어 있다. 잔량 표시 패널(11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래시 방출 가능 횟수를 디지털로 잔량으로서 표시한다. 따라서, 잔량 표시 패널(112)은 사용 개시 후에 사용자가 플래시 장치(111)의 사용가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관련 부품의 사용 수명에 따라 플래시 장치(111)에는 소정 수의 플래싱이 기억된다. 플래싱 수는 플래싱 가능한 횟수를 잔량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플래싱시마다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표시된 수가 제로(0)로 떨어지면, 충전은 불가능하다. 플래시 장치(111)는 전지의 잔류 용량의 존재 또는 부족과 상관없이 비효율적으로 된다. 전지의 용량을 반드시 부품의 사용 수명에 따라 결정할 필요는 없다.
도 9에는 잔량 표시 패널(11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플래시 회로 기판(114)이 예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플래시 방출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컨트롤러(116)의 제어 흐름에 대해서 예시되어 있다. 카운터/컨트롤러(116)는 트리거 회로(64)와 접속되고, 트리거 커패시터(68)로부터의 방전 전류를 검출한다. 저항(117a, 117b)은 카운터/컨트롤러(116)를 향한 방전 전류의 흐름을 규제한다. 정류 다이오드(118)는 방전 전류의 역류를 방지한다. 카운터/컨트롤러(116)의 메모리(110)에서는, 소정 횟수의 플래시 방출이 기억된다. 방전 전류의 검출시, 카운터/컨트롤러(116)는 동기 스위치(43)가 턴 온되었음을 판단하고, 카운트 수를 하나씩 낮추고, 그 수를 잔량 표시 패널(112)에 출력한다.
스위칭 회로로서의 디스에이블 트랜지스터(119)는 카운터/컨트롤러(116)가 접속되는 베이스를 갖는다. 카운터/컨트롤러(116) 내의 카운트 수가 제로(0)로 되면, 카운터/컨트롤러(116)는 디스에이블 트랜지스터(119)를 도통시킨다. 디스에이블 트랜지스터(119)의 컬렉터는 발진 변성기(62)의 3차 권선(62c)과 접속된다. 디스에이블 트랜지스터(119)가 도통하면, 3차 권선으로부터의 전류는 디스에이블 트랜지스터(119) 내로 흐르고, 발진 트랜지스터(61)는 비도통되어, 충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잔량 표시 패널(112)을 사용하는 대신에, 도 8b에서의 다른 바람직한 플래시장치(121)가 단계적인 방식으로 표시를 위한 표시 패널로서 잔량 표시기(122)를 포함한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122a)가 잔량 표시기(122) 내에 포함된다. LED(122a)에서 구동되는 LED의 수는 카운트 수에 따라 변화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이 비사용되면, 모든 LED들은 발광한다. 플래시 광의 방출에 따라 LED(122a)를 순차적으로 턴 오프시키기 위하여 카운트 수는 감소한다. 카운트 수가 제로(0)로 떨어지게 되면, 모든 LED(122a)는 턴 오프된다. LED(122a)의 수는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일 수 있음을 유념한다. 또한,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만이 사용될 수 있다. 카운트 수가 소정의 제한된 수 또는 그 이하로 되면, LED가 사용자에게 적은 잔류 수명을 갖는 상태임을 통보하기 위하여 구동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 횟수가 제로(0) 이상이며 소정 횟수 이하이면, 잔량 표시기(122)는 초기에 사용되는 스텝에 대해서 3개의 LED 모두의 발광을 위해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잔량 표시기(122)에서는, 사용 횟수가 제로(0)일 때 사용되지 않은 스텝에 대해서 3개의 LED를 모두 발광하고, 사용 횟수가 한번(1) 이상이며 소정 횟수 이하일 때 초기에 사용되는 스텝에 대해서 확실히 2개의 LED를 발광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잔량 표시기(122) 내의 한개의 LED는 잔류 횟수 또는 사용 횟수가 하나(1) 이상이며 소정수 이하일 때 발광한다. 사용 횟수가 제로(0)이면, 모든 LED가 잔량 표시기(122)에서 턴 오프된다. 또한, 잔량 표시기(122)에서는, 사용 횟수가 소정의 작은 수로 떨어지는 경우, 이 사용 횟수가 제로(0)로 떨어질때까지, 모든 LED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최종 사용 스텝은 모든 LED를 턴 오프시켜서 나타내는 대신에 소량을 나타내는 모습을 갖는 하나의 LED만을 턴 온시켜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플래시 장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의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접점을 갖는다. 충전 직후에 상기 접점에 고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 쇼크를 받을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은 접점의 위치 개선 및 접점을 사용하지 않을 목적으로 광학적 트리거 신호를 사용함에 대한 것이다.
전기 쇼크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플래시 장치(131) 내의 플래시 회로 기판(132)에는 충전 허용 스위치(133) 및 강제 방전 스위치(134)가 제공된다.
충전 허용 스윙치(133)는 부스터(63)와 접속되고, 플래시 장치(131)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 접속되는 경우에는, 턴 온되어 충전을 허용하고, 플래시 장치(131)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는, 턴 오프되어 충전을 금지한다. 강제 방전 스위치(134)는 메인 커패시터(45)와 병렬로 접속되고, 플래시 장치(131)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제거되면 턴 온되어 메인 커패시터(45)를 방전시킨다. 저항(136)은 방전을 위해 사용된다. 플래시 장치(131)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 접속되는 경우, 강제 방전 스위치(134)는 턴 오프된다.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충전 허용 스위치(133) 및 강제 방전 스위치(134)에 대해서 상세히 예시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38)은 프레싱 돌기(138a, 138b)가 연장되는 하우징을 갖는다. 플래시 장치(131)의 플래시 케이스에는 프레싱 돌기(138a, 138b)의 삽입 수용을 위한 삽입 홀(131a, 131b)이 제공된다. 충전 허용 스위치(133)는 삽입 홀(131a) 내에 배치된다. 강제 방전 스위치(134)는 삽입 홀(131b) 내에 배치된다.
충전 허용 스위치(133)는 접점(133a, 133b) 및 이 접점(133a, 133b)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이동형 세그먼트(133c)를 포함한다. 접점(133a, 133b)은 플래시 회로 기판(132)와 접속된다. 이동형 세그먼트(133c)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온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점(133a, 133b) 모두와 접촉하고, 오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점(133a, 133b)으로부터 떨어진다. 스프링(141)은 오프 위치를 향하여 이동형 세그먼크(133c)를 바이어스한다.
강제 방전 스위치(134)는 접점(134a, 134b)쌍 및 접점(134a, 134b)을 상호접속하기 위한 스위치 세그먼트(134c)를 포함한다. 접점(134a, 134b)은 플래시 회로 기판(132)과 접속된다. 스위치 세그먼트(134c)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고, 온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점(134a, 134b)과 접촉하고, 오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접점(134a, 134b)으로부터 떨어진다. 스프링(142)은 온 위치를 향하여 스위치 세그먼트(134c)를 바이어스한다.
도 12a에서, 프레싱 돌기(138a, 138b)는 플래시 장치(131)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38)을 접속한 상태에서 삽입 홀(131a, 131b) 내로 들어간다. 프레싱 돌기(138a)는 이동형 세그먼트(133c)를 밀어서, 이것을 스프링(141)의 바이어스에 대항해 온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충전 허용 스위치(133)는 턴 온되어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싱 돌기(138b)는 스위치 세그먼트(134c)를 밀어서, 이것을 스프링(142)에 대항해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강제 방전 스위치(134)는 턴 오프된다.
플래시 장치(131)가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38)으로부터 제거할 때, 프레싱 돌기(138a. 138b)는 삽입 홀(131a, 131b)로부터 해체된다. 프레싱 돌기(138a)가 해체되면 스프링(141)은 이동형 세그먼트(133c)를 오프 위치로 이동시킨다. 충전 허용 스위치(133)는 개방되어 충전을 할 수 없게 된다. 프레싱 돌기(138b)가 해체되면 스프링(142)은 스위치 세그먼트(134c)를 온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강제 방전 스위치(134)는 턴 온되어 메인 커패시터(45)를 방전시킨다.
따라서, 플래시 장치(131)의 제거시에 메인 커패시터(45)를 방전하면 사용자가 동기 스위치(43)의 접점을 터치하더라도 사용자가 전기 쇼크를 느킬 수 없도록 하는데 효과가 있다. 플래시 장치(131)를 제거하면 충전 허용 스위치(133)를 턴 오프시킬 수 있다. 그래서, 충전 스위치가 턴 온되면, 더 이상 충전을 재개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부주의로 실수하여 충전 스위치를 턴 오프시키더라도, 더 이상의 건전지(48)의 사용 낭비를 하지 않게 된다.
충전 허용 스위치(133) 및 강제 방전 스위치(134)를 스위칭하기 위해 마그넷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다른 바람직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51)이 자기 인력에 의해 플래시 장치(152)를 유지하기 위한 마그넷(151a,151b)을 갖는다.
플래시 장치(152)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51)과 접속되면, 마그넷(151a)은 충전 허용 스위치(133)의 접점(133a, 133b)과 상호접속할 수 있도록 접촉된다. 충전 허용 스위치(133)는 턴 온되어 충전시킬 수 있다.
제 1 마그넷(156)은 강제 방전 스위치(134)의 스위치 세그먼트(134c) 상에 고정된다. 제 1 마그넷(156) 및 마그넷(151b)은 이들의 동일 극성의 극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플래시 장치(152)가 접속되면, 제 1 마그넷(156)은 마그넷(151b)을 반발시킨다. 스위치 세그먼트(134c)는 스프링(142)에 대항해 오프 위치로 이동하여 강제 방전 스위치(134)를 턴 오프시킨다.
플래시 장치(152)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151)으로부터 제거되면, 마그넷(151a)은 접점(133a, 133b)으로부터 떨어진다. 충전 허용 스위치(133)는 턴 오프되어 충전을 할 수 없게 된다. 제 2 마그넷으로서의 마그넷(151b)은 제 1 마그넷(156)으로부터 떨어지고, 제 2 세그먼트(134c)는 스프링(142)에 의해 온 위치로 이동하여, 강제 방전 스위치(134)를 턴 온 시킨다. 메인 커패시터(45)는 방전된다.
마그넷(151a, 151b, 156)은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도 14에서의 플래시 회로 기판(161)은 동기화를 위해 접점에 저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리거 스위칭 소자로서의 사이리스터(162)는 플래시 회로 기판(161) 내의 트리거 회로(64)에 제공된다. 사이리스터(162)의 애노드는 트리거 변성기(69)의 공통 단자와 접속된다. 사이리스터(162)의 캐소드는 트리거커패시터(68)의 음극 단자와 접속된다. 사이리스터(162)의 게이트는 동기 스위치(43)의 접점중 하나와 접속된다.
보조 트리거 커패시터(163)는 동기 스위치(43)의 제 2 단자와 접속된다. 보조 트리거 커패시터(163)는 사이리스터(162)의 게이트 단자에 전하 입력을 저장한다. 보조 트리거 커패시터(163)는 메인 커패시터(45) 및 트리거 커패시터(68)와 동시에 부스터(63)에 의해 충전된다. 정류 다이오드(164)는 전류의 방향을 규제하기 위해 접속된다.
동기 스위치는 턴 온되어, 보조 트리거 커패시터(163)를 방전하고, 사이리스터(162)를 턴 온시킨다. 따라서, 트리거 커패시터(68) 및 메인 커패시터(45)는 방전되고, 플래시 광은 발광된다.
보조 트리거 커패시터(163)는 사이리스터(162)를 턴 온시킬 목적이기 때문에, 완전히 충전되더라도 저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기 스위치(43)에는 저 전압만이 인가된다. 이것은 사람의 손이 동기 스위치(43)를 터치할 경우의 위험을 회피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충전 허용 스위치(133)를 사용하게 되면, 방전 후에 충전의 재개를 억제할 수 있는 한편, 플래시 장치는 제거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플래시 광은 플래시 장치가 충전된 후에 항상 방전된다. 그러나, 대상물 밝기는 광도계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플래시 방출은 이렇게 측정된 대상물 밝기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장치는 플래시 광량이 대상물 밝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도 15에는 다른 바람직한 전지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전지는 전극 핀타입(171)이다. 이러한 형태는 플래시 장치 부품의 원치않는 분배를 억제 또는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전지(171)는 전지 본체(172)와 이 전지 본체(172)로부터 돌출한 전지 전극 핀(173)쌍을 포함한다. 플래시 회로 기판(174)은 전지 전극 핀(173)에 의해 전지(171)와 접속된다.
전지(171)는 플래시 회로 기판(174) 내의 관통 홀 내에 전지 전극 핀(173)을 삽입하고 솔더에 의해 부착시킴으로써, 플래시 회로 기판(174) 상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래시 회로 기판(174) 상에 전지(171)를 유지하는데 있어서의 견고함이 매우 높다. 전지(171)가 강제 작용으로 제거되면, 전지 전극 핀(173)은 전지 본체(172)와 함께 제거된다. 이것은 전지(171) 교체시의 어려움으로 인한 플래시 회로 기판(174)의 재사용 및 분배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전지(171)는 사용자가 전지(171)를 용이하게 교체하지 못하도록 특정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래시 장치의 회수 비욜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전지(171)의 전지 전극 핀(173)은 전지 본체(172)의 한 단부에 배치된다. 이것은 전지 본체의 양 단부들에 전극이 놓이는 형태와 비교해서 전지 전극 핀(173)의 길이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전지(171)를 해체를 저지하는 방식으로 플래시 회로 기판(174)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전지 본체의 양 단부에 전극이 놓인 전지를 플래시 회로 기판(174)과 연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6a 내지 도 20에는 플래시 장치가 외부 접속형이지만, 전지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하우징에 수납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과 유사한 소자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도 16a 및 도 16b에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닛(210)은 플래시 장치(211)와 연계해서 사용된다. 이들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209)을 구성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은 노출을 위한 기구를 갖고, 포토 필름으로 미리 장전된다. 플래시 장치(211)는 외부 접속형으로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에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고착된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은 포토 필름을 1회만 사용할 수 있는 1회용 장치이다. 한편, 플래시 장치(211)는 복수개의 포토 필름용의 반복 사용가능 장치로서, 상당히 긴 사용 수명을 갖는다. 건전지(248)는 플래시 장치(211)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에 수용된다.
사용자는 사용 후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 대신에 플래시 장치(211)와 미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를 접속시킬 수 있으며, 이것들로 촬영할 수 있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 내에서 포토 필름을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건전기(248)의 용량은 1개의 포토 필름의 노출에 충분한 레벨로 미리 결정된다. 따라서, 건전지(248)는 AAA 타입 및 상당히 작은 용량을 갖는 다른 타입일 수 있다. 이것은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 전체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 장착부로서의 장착 결합 돌기(212)는, 플래시 장치(211)를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해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의 측면 패널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장착 결합 돌기(212)는 수평으로 돌출된다. 위치 맞춤 융기(212a)는 장착 결합 돌기(212)의 상부 상에 형성된다. 보유갭(212b)은 플래시 장치(211)가 사고로 낙하하는 것을 방치하기 위해서 위치 맞춤 융기(212a) 간에 형성된다. 출력 커넥터(213)는 플래시 장치(211)와의 전기 접속을 위해서 위치 맞춤 융기(212a) 아래에 배치된다.
결합부로서의 결합 오목부(214)는 장착 결합 돌기(212)와의 결합을 위해 플래시 장치(211)에 형성된다. 결합 오목부(214)는 장착 결합 돌기(212)의 형상과 연관하여 움푹 들어간다. 결합 오목부(214)의 내표면은 위치 맞춤 융기(212a) 및 보유 갭(212b)과의 결합을 위해서 형성된다. 입력 커넥터(215)는 출력 커넥터(213)와의 접속을 위해서 결합 오목부(214) 내에 배치된다. 플래시 장치(211)는 장착 결합 돌기(212)를 결합 오목부(214)와 함께 보유함으로써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 접속 단자로서의 4개의 수단자(213a)는 출력 커넥터(213)에 포함된다. 2개의 수단자(213a)가 동기 스위치로 사용되는 쌍이다. 나머지 2개의 수단자(213a)는 전력 공급을 위해서 사용되는 쌍이다. 전원 단자로서의 4개의 암단자(215a)는 입력 커넥터(215)에 포함되고, 수단자(213a)와 접속 가능하다. 암단자(215a)는 수단자의 삽입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플래시 장치(211)에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출력 커넥터(213) 및 입력 커넥터(215) 양자를 통하여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다.
장착 결합 돌기(212), 결합 오목부(214), 출력 커넥터(213), 입력 커넥터(215), 수단자(213a) 및 암단자(215a)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 중의 임의의 적합한 것일 수 있다.
도 19에서, 한쌍의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243a, 243b)는 셔터 블레이드(239)에 가깝게 배치되는 제1 단부를 갖는다. 단자 홀더(250)는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243a, 243b)의 제2 단부를 지지한다. 엄밀하게, 수단자(213a)는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243a, 243b)를 포함하는 단자 홀더(250)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 방법으로서, 인몰드(in-mold) 형성이 동기 스위치 세그먼트(243a, 243b)를 단자 홀더(250)에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롤 홀더 챔버(223b)는 단자 홀더(250)가 고착되는 상면을 갖는다.
건전지(248)는 노출 유닛(233) 아래에 배치된다. 금속의 컨택트 세그먼트(도시하지 않음)가 건전지(248)의 전극과 접촉하기 위해서 노출 유닛(233) 아래에 배치된다. 컨택트 세그먼트는 수단자(213a)와 접속된다.
플래시 장치(211)는 플래시 회로 기판(246), 플래시 이미터(247) 및 플래시 케이스(249)로 구성된다. 플래시 회로 기판(246)은 기판 상에 인쇄된 회로 패턴을 갖고, 메인 커패시터(245)가 포함되는 각종의 회로 소자를 포함한다. 플래시 이미터(247)는 크세논 방전관, 반사기, 확산판 등을 갖는다. 플래시 케이스(249)는 이들 소자 중의 어느 것을 수납한다. 이들 부품을 플래시 장치(211)에 조립하기 위해서, 종래 기술에 공지된 플래시 내장형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보다도 성능이 양호하고 내구성이 높은 부품이 사용된다. 플래시 장치(211)의 제조 비용은 비교적 높다. 사용자가 플래시 장치(211)를 구매하는 비용이 높을 수 있다. 그러나, 플래시 장치(211)는 많은 시간 동안 사용될 수 있다. 1회의 플래시 당 비용을 고려하면 사용에 드는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
플래시 이미터(247)용 확산판은 플래시 케이스(249)의 전면 패널에 나타난다. 충전기 버튼(251)이 확산판 아래에 배치된다. 충전기 버튼(251)의 후면은 플래시 회로에 포함된 충전기 스위치와 접촉한다. 충전기 버튼(251)이 눌려질 때만 충전 동작이 계속된다. 이는 턴오프 동작이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다. 건전지(248)의 쓸모없는 사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래치(latch) 타입의 충전기 버튼이 사용될 수 있고, 온 상태로 배치되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타입의 작동 부재가 푸시버튼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은 고가의 플래시 장치를 수납하지 않는다. 사용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 세트가 시장에서 재장전 딜러, 부품 재사용 딜러 등으로 유통되는 것이 방지된다. 원래의 카메라 제조자로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의 진짜 회수 비율이 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자원의 방치를 줄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환경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수단자(213a) 및 암단자(215a)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과 플래시 장치를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나, 각각의 2세트의 단자는 3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3개의 단자는 전원 단자, 트리거 단자 및 전원 및 트리거 양자의 공통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건전지(248)는 플래시 장치(211)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건전지(248)는 측정된 대물 밝기에 다라서 개구 스톱을 전환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210)에 합체될 수 있는 개구 스톱 전환 기구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1a 내지 도 24에는, 하나의 하우징이 2개의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서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들의 것과 유사한 소자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인다. 도 21a, 도 21b 및 도 22에서, 플래시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은 일광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3)의 소자로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하우징(304)을 포함한다. 하우징(304)은 노출 기구를 갖고,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되어 있다. 장착부 또는 수납 갭으로서의 장착 오목부(307)가 하우징(304) 내에 형성된다. 외부 접속형 플래시 장치(30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 오목부(307)에 고착된다.
플래시 장치(306)가 장착 오목부(307) 내에 보유되면, 플래시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이 얻어진다. 더미 블럭(308) 또는 더미 커버가 플래시 장치(306) 대신에 장착 오목부(307)에 장착될 수도 있다. 더미 블럭(308)은 플래시 장치(306)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장착 오목부를 덮는 커버이다. 일광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3)은 더미 블럭(308)이 장착될 때에 얻어진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 303)용 하우징(304)은 공통의 소자로서 활용된다. 이는 공장의 생산 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4에서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을 수평 단면도로 나타낸다. 장착 오목부(307)는 외부 커버로서의 전면 커버(331)의 일부를 퇴각시켜 형성된다. 결합 홈(307a)은 장착 오목부(307)의 벽에 형성된다. 플래시 장치(306)의 결합부(306a) 및 더미 블럭(308)의 결합부(308a)는 장착 오목부(307)와 결합된다. 금속의 스위치 세그먼트(343a, 343b)가 결합 홈(307a) 내측에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접점(344a, 344b)은 스위치 세그먼트(343a, 343b)와의 접속을 위해 플래시 장치(306)의 결합부(306a)의 외측 상에 나타난다. 결합부(306a)가 결합 홈(307a)와결합되면, 스위치 세그먼트(343a, 343b)는 접점(344a, 344b)과 각각 접촉하게 된다.
플래시 케이스(349)는 플래시 장치(306)에 포함되고, 전면 커버(331)와 함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의 외표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플래시 케이스(349)의 일부는 전면 커버(331)와 직접 접촉하는 방식으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 외측에 나타난다.
더미 블럭(308)은 플래시 장치(306)의 플래시 케이스(349)와 대략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플래시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의 주위 윤곽은 일광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3)의 주위 윤곽과 대략 같게 결정될 수 있다.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 303)을 패키징하는 거싯 백(gusseted bag) 등의 패키징 재료가 공통으로 준비될 수 있다. 이는 패키징 재료의 타입 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효율을 높게 유지하는 이점이 있다.
플래시 케이스(349)의 주위 윤곽은 더미 블럭(308)의 주위 윤곽과 대략 같다. 이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으로 동일한 몰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몰드는 제조 비용이 매우 고가이지만, 플래시 케이스(349) 및 더미 블럭(308)용의 몰드의 공통 부분은 비용을 낮출 수 있게 한다. 또한, 윤곽 또는 외관의 형상 또는 디자인이 플래시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2)과 일광 타입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03) 간에 공통으로 창출될 수 있다. 생산될 형상 또는 디자인의 수가 감소된다. 이는 시판될 상품의 개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는, 장착부 또는 수납 갭으로서의 장착 오목부(373)가 하우징(372)의 측면부에 형성된 다른 바람직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71)이 예시되어 있다. 플래시 장치(374)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71)의 측면부의 대부분을 구성하도록 성형되는 플래시 케이스(376)를 갖는다. 외부 커버로서의 전면 커버(377)는 장착 오목부(373)를 포함한다. 플래시 장치(374)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더미 블럭(378)이 사용된다. 더미 블럭(378)은 장착 오목부(373)를 덮는다. 더미 블럭(378)은 플래시 장치(374)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하우징(372)의 측단부 상에 장착 오목부(373)를 배치하기 위해서, 하우징(375)의 롤 홀더 챔버(375b)가 차광 터널(379)에 보다 근접하게 배치된다. 플래시 장치(374)는 롤 홀더 챔버(375b) 옆에 배치된다. 따라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71)의 전후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케이스(376) 내의 플래시 회로 기판(346)은 플래시 케이스(376)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플래시 장치(374)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고,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71)의 폭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플래시 장치(306, 374) 및 더미 블럭(308, 378) 중의 선택된 하나가 전면 커버(331, 377) 상에 부착된다. 도 27a 및 도 27b에는, 다른 바람직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381)이 도시되어 있다. 플래시 장치(383)의플래시 케이스(384)는 단일 피스(piece)의 일부로서 전면 커버(382)로 형성된다. 플래시 타입의 구성을 위하여, 하우징(386)의 전면이 장착용의 일부로서 활용된다. 플래시 장치(383)가 없는 일광 타입의 구성을 위해서, 외부 커버로서의 전면 커버(388)가 플래시 케이스(384)가 없는 단순한 형상으로 하우징(386)에 고착된다. 이에 따르면, 플래시 타입의 주위 윤곽은 하우징(386)의 전면이 완전히 내측에 덮히기 때문에, 일광 타입의 주위 윤곽과 대략 같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10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래시 장치의 부품의 내구성은 재료의 선택에 따라서 비교적 낮다. 이는 짧은 가용 수명 때문에 제조 비용을 낮추는데 효과적이다. 즉, 가용 수명의 시간은 경과하지만, 전지의 잔류 용량은 남아 있다. 이에 반해, 모든 나머지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는 소용량을 갖도록 결정되어 제조 비용을 낮춘다. 즉, 전지의 잔류 용량은 부품의 가용 시간의 경과 전에 반복된 플래시 방출 동안에 "0"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8a 내지 도 10의 실시예의 특성, 즉 잔량 표시 패널(112), 카운터/컨트롤러(116) 및 디스에이블 트랜지스터(119)는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전지와 같은 충분한 용량을 갖는 전지의 조합으로 보다 낮은 내구성을 갖는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제조 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당 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다른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한, 이들은 본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의 사용된 제품의 유통에 따른 부적절한 부품의 재사용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최초의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을 사용한 후에 플래시 장치를 새로운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 접속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8)

  1.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용 플래시 장치로서,
    전하를 축적하는 메인 커패시터;
    상기 메인 커패시터의 방전 시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이미터;
    상기 메인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플래시 회로 기판;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고착되어, 상기 전지, 상기 커패시터, 상기 플래시 이미터 및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을 수납하는 기밀한 플래시 케이스
    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노출과 동기하여 도전성이 되어 상기 메인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동기(sync)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케이스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동기 스위치와 접속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케이스가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에 상기 메인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이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래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이미터는 트리거 전극을 갖는 플래시 방전관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은, 상기 메인 커패시터와 함께 충전되고 상기 동기 스위치의 턴온 시에 방전되는 트리거 커패시터; 및 1차 및 2차 권선(winding)을 갖는 트리거 변압기를 갖는 트리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트리거 커패시터와 접속되고, 상기 2차 권선은 상기 트리거 전극과 접속되며, 상기 트리거 변압기는 상기 트리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트리거 커패시터의 방전 시에 고전압을 발생시켜, 상기 트리거 전극에 상기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플래시 방전관의 광 방출을 개시하는 플래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은,
    상기 플래시 이미터에서의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플래시 이미터에서의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터; 및
    상기 플래시 횟수가 상기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에 도달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플래시 이미터의 동작을 금지하는 스위칭 회로
    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횟수 및 상기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에 따라 현재의 플래시 가용성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가용성 정보는 상기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와 상기 플래시 횟수의 차에 따른 가용한 횟수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가용 수명 플래시 횟수와 상기 플래시 횟수 간의 차에 의해 규정된 가용한 횟수의 랭크 중의 하나에 따라 구동되는 다수의 광원으로 변경될 수 있는 플래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상기 플래시 케이스에 대향하는 수용 개구(receiving opening)를 갖는 하우징 접속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접속 패널에 대향하는 상기 플래시 케이스의 케이스 접속 패널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 개구 내에 부착되어, 상기 하우징 접속 패널 상에 상기 접속 패널을 보유하는 보유 돌기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개구는,
    제1 갭부; 및
    상기 제1 갭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갭부보다 큰 폭을 갖는 제2 갭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유 돌기는,
    상기 케이스 접속 패널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갭부에 삽입되는 제1 부분; 및
    넓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제1 부분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분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갭부의 내측과 결합(engage)되고, 상기 제1 갭부와 상기 제1 부분의 결합 전에 상기 제2 갭부에 삽입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갭부로의 삽입 후,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수용 개구에 대하여 상기 보유 돌기를 슬라이딩 또는 회전시켜 상기 제1 갭부와 결합되는 플래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셔터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포토 필름을 노출시키는 셔터 기구; 및
    제1 및 제2 블레이드 검사 광 가이드로서, 상기 제1 광 가이드의 출력 단부 및 상기 제2 광 가이드의 입력 단부가 전후(back-to-front) 방향으로 상기 셔터 블레이드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닫힐 때 차광 상태에 있고, 상기 셔터 블레이드가 열릴 때에 광 전송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 검사 광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광 가이드의 입력 단부를 통하여 광 신호를 공급하는 동기 발광 유닛;
    상기 광 전송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제2 광 가이드의 출력 단부로부터 외부로 방출된 상기 광 신호를 검출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수광 유닛; 및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트리거 회로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케이스와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간의 접속 및 분리에 응답하여, 상기 플래시 케이스의 접속 시에 상기 메인 커패시터의 충전을 허용하고, 상기 플래시 케이스의 분리 시에 상기 메인 커패시터의 충전을 금지하도록 전환되는 충전 허용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패시터와 접속되고, 상기 플래시 케이스와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간의 접속 및 분리에 응답하여, 상기 플래시 케이스의 접속 시에 상기 메인 커패시터의 충전 동작을 허용하고, 상기 플래시 케이스의 분리 시에 상기 메인 커패시터를 강제로 방전시키도록 전환되는 강제 방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방전 스위치는,
    한 쌍의 접점; 및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의 접속 및 분리에 의해 이동되는 스위치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세그먼트는, 상기 플래시 케이스가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과 접속될 때에 상기 한 쌍의 접점으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플래시 케이스가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부터 떨어질 때에 상기 한 쌍의 접점과 접촉하는 플래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방전 스위치는,
    한 쌍의 접점;
    상기 플래시 케이스가 분리될 때에 상기 한 쌍의 접점과 접촉하는 스위치 세그먼트; 및
    상기 스위치 세그먼트에 고착되어,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대향하는 제1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유닛은 플래시 케이스가 접속될 때에 상기 제1 자석을 배척하여 시프트시켜, 상기 한 쌍의 접점으로부터 상기 스위치 세그먼트를 분리하는 제2 자석을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이미터는 트리거 전극을 갖는 플래시 방전관을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은, 상기 메인 커패시터와 함께 충전되는 트리거 커패시터; 상기 트리거 커패시터에 접속되는 1차 권선과, 상기 트리거 전극에 접속되는 2차 권선을 갖고, 상기 트리거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승압하여 상기 트리거 커패시터의 방전 시에 고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메인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트리거 변압기; 및 상기 1차 및 2차 권선의 공통 단자와 접속되는 양극, 상기 트리거 커패시터와 접속되는 음극 및 게이트를 갖는 트리거 스위칭 소자를 갖는 트리거 회로를 포함하고,
    노출과 동기하여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서 동기 스위치가 턴온되면, 상기 트리거 신호는 상기 트리거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에 입력되어, 상기 트리거 스위칭 소자가 도전성이 되어 상기 트리거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플래시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회로는 제1 및 제2 전지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지는 하나의 공통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지 접속 단자에 각각 고정 접속되는 제1 및 제2 전지 전극을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19.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서,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하우징;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장치;
    상기 하우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 장치를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고착하는 장착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어, 상기 플래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20.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되고 전지가 수납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유닛용 플래시 장치로서,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방출 회로; 및
    상기 전지와 접속되어, 상기 플래시 방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를 포함하는 플래시 장치.
  21.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및 플래시 광으로 노출 시에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장치를 갖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으로서,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고착하는 장착부;
    상기 하우징 내에 수납되는 전지; 및
    상기 하우징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장치는,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이미터;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착되는 접속 패널을 갖는, 상기 플래시 이미터를 수납하는 플래시 케이스; 및
    상기 접속 패널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접속 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박스 형상이고, 전면 패널, 후면 패널, 및 제1 및 제2 측면 패널을 갖고,
    상기 제1 측면 패널은 상기 장착부를 갖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에 합체되고, 노출 동작과 동기하여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동기 스위치 - 상기 플래시 이미터는 상기 트리거 신호에 의해 플래시 광을 방출함 -; 및
    상기 제1 접속 단자 옆에 배치되어, 상기 동기 스위치로부터 상기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장치는 상기 전원 단자 옆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접속 단자와 접속하는 트리거 단자를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단자는 수단자(male terminal)이고,
    상기 트리거 단자 및 상기 전원 단자는 암단자(female terminal)인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패널은 상기 제1 측면 패널의 상기 장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결합 오목부(recess)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결합 돌기의 에지(edge)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맞춤 융기(ridge)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 오목부의 에지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 맞춤 융기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 맞춤 노치(notch)를 더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28.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하우징;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플래시 장치; 및
    상기 하우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래시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고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플래시 장치가 없는 일광 타입(daylight type)을 생성함에 있어서 더미 블럭(dummy block)을 고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장치는,
    플래시 방전관을 갖는 플래시 이미터;
    상기 플래시 방전관으로 하여금 노출 동작과 동기하여 조명(照明)하도록 하는 플래시 회로 기판;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플래시 이미터,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 및 상기 전지를 수납하는 기밀한 플래시 케이스
    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착된 전면 커버;
    상기 본체의 후면에 고착된 후면 커버; 및
    상기 장착부를 구성하도록 상기 전면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플래시 장치 및 상기 더미 블럭 중의 선택된 하나 상에 부착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장치 또는 상기 더미 블럭의 외표면은 상기 전면 커버의 표면의 연장부에 놓이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및 상기 플레시 장치는 아래 방향에서 보았을 때 L자 형상인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상기 플래시 장치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인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34.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용 플래시 장치로서,
    플래시 방전관을 갖는 플래시 이미터;
    상기 플래시 방전관으로 하여금 노출 동작과 동기하여 조명하도록 하는 플래시 회로 기판;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플래시 이미터,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 및 상기 전지를 수납하는 기밀한 플래시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케이스는 상기 외부 커버 상에 형성된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착되고, 상기 외부 커버의 외표면의 연장부 상에 표면을 갖는 플래시 장치.
  35.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을 덮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서,
    플래시 방전관을 갖는 플래시 이미터;
    상기 플래시 방전관으로 하여금 노출 동작과 동기하여 조명하도록 하는 플래시 회로 기판;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지; 및
    상기 플래시 이미터, 상기 플래시 회로 기판 및 상기 전지를 수납하고, 상기 외부 커버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기밀한 플래시 케이스
    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36. 비노출 포토 필름이 미리 장전된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으로서,
    상기 포토 필름을 수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면에 고착된 후면 커버;
    상기 본체의 전면에 고착된 플래시 타입의 전면 커버; 및
    상기 전면 커버의 후면에 고착되어, 상기 플래시 포토그래프의 노출 시 플래시 광을 방출하는 기밀 내장형 플래시 장치
    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장치는 전지를 포함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장치가 없는 일광 타입의 전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타입 및 상기 일광 타입의 전면 커버 중의 선택된 하나가 제조 중에 지정되어, 상기 본체에 고착되는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KR10-2003-0019487A 2002-03-28 2003-03-28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KR200300787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93331 2002-03-28
JPJP-P-2002-00093332 2002-03-28
JPJP-P-2002-00093333 2002-03-28
JP2002093331A JP3609383B2 (ja) 2002-03-28 2002-03-28 ストロボ装置
JP2002093332A JP3753315B2 (ja) 2002-03-28 2002-03-28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ストロボ装置
JP2002093333A JP3773186B2 (ja) 2002-03-28 2002-03-28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ストロボ装置並びにレンズ付きフイルム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754A true KR20030078754A (ko) 2003-10-08

Family

ID=2780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487A KR20030078754A (ko) 2002-03-28 2003-03-28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839510B2 (ko)
EP (1) EP1348995A1 (ko)
KR (1) KR20030078754A (ko)
CN (1) CN12872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88366B2 (en) * 2012-03-13 2016-11-08 Canon Kabushiki Kaisha Light emission device for imaging apparatus
GB2502053B (en) * 2012-05-14 2014-09-24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smoking device
GB2502055A (en) * 2012-05-14 2013-11-20 Nicoventures Holdings Ltd Modular electronic smoking device
GB2507104A (en) 2012-10-19 2014-04-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GB2507103A (en) 2012-10-19 2014-04-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JP2014191147A (ja) * 2013-03-27 2014-10-06 Panasonic Corp 撮像装置
GB2519101A (en) 2013-10-09 2015-04-15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TWI584040B (zh) * 2015-03-09 2017-05-21 曦威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外掛閃光燈閃光時間的方法
CN204360072U (zh) * 2015-01-09 2015-05-27 乐清市创意影视器材有限公司 相机机顶闪光灯
GB2540135B (en) 2015-07-01 2021-03-0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JP2018168750A (ja) * 2017-03-30 2018-11-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発電機
GB201721821D0 (en) 2017-12-22 2018-02-07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US20230314494A1 (en) * 2022-03-29 2023-10-05 Saudi Arabian Oil Company Portable Sync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2599A1 (de) 1971-03-16 1972-09-28 Agfa Gevaert Ag Fotografische Aufnahmeeinrichtung
US3969736A (en) * 1973-12-26 1976-07-13 Polaroid Corporation Photographic camera and flash lamp selection system
US3943532A (en) 1974-06-25 1976-03-09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Flash attachment for self-developing collapsible cameras
JPS5767917A (en) * 1980-10-14 1982-04-24 Canon Inc Camera having strobe device
GB2206221B (en) * 1987-06-05 1991-11-27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flash for a camera
US4801957A (en) * 1988-02-18 1989-01-31 Eastman Kodak Company Disposable single-use camera and accessory re-usable electronic flash unit
JPH0312229U (ko) 1989-06-23 1991-02-07
JPH04217888A (ja) 1990-12-20 1992-08-07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制御のasr制御装置
JPH07120883A (ja) 1993-10-27 1995-05-12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432017B2 (ja) 1994-10-17 2003-07-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トロボ回路
US6377751B1 (en) * 1999-03-19 2002-04-23 Fuji Photo Film Co., Ltd. Waterproof type lens-equipped film uni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351608B1 (en) * 2000-03-27 2002-02-26 Eastman Kodak Company One-time-use camera with external flash unit
DE10066000A1 (de) * 2000-05-09 2001-11-22 Agfa Gevaert Ag Fotografische Funktionseinheit und fotografische Kamera sowie Verfahren und deren Zusammenbau
US7030514B2 (en) * 2001-08-17 2006-04-18 Dynagen Technologies Incorporated Power transfer switch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48995A1 (en) 2003-10-01
CN1287219C (zh) 2006-11-29
US6839510B2 (en) 2005-01-04
US20030185553A1 (en) 2003-10-02
US7082263B2 (en) 2006-07-25
US20050058441A1 (en) 2005-03-17
CN1455296A (zh) 200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8754A (ko) 렌즈 부착형 포토 필름 유닛, 플래시 장치, 및 렌즈부착형 포토 필름 시스템
US5752084A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electronic flash device for use therewith
US6339679B1 (en) Single use camera with built-in electronic flash
JPH10186583A (ja) カメラ及び光学書込みシステム並びに使い捨てカメラの再利用方法
JP3609383B2 (ja) ストロボ装置
JP3773186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ストロボ装置並びにレンズ付きフイルムシステム
JP3753315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ストロボ装置
US6061531A (en) One-time use camera with strobe circuit baseboard
JP331759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6035129A (en) Optical film encoder for camera
KR100665725B1 (ko) 보조 모듈을 갖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JP2003330150A (ja) カメラ本体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2004341332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5049600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4288626A (ja) 異種電池を選択的に使用可能な電子機器
JP2000181022A (ja) カメラ用シンクロスイッチ
JP2004125973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1013635A (ja) カメラ用電池ホルダ
JP2005031262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4117898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5123155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用電池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2004012709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0254029A (ja) ストロボ装置
JPH10293345A (ja) ストロボ内蔵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9230542A (ja) ストロボ内蔵型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