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643A -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지닌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지닌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643A
KR20030077643A KR10-2003-7011013A KR20037011013A KR20030077643A KR 20030077643 A KR20030077643 A KR 20030077643A KR 20037011013 A KR20037011013 A KR 20037011013A KR 20030077643 A KR20030077643 A KR 2003007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yanate
weight
mdi
ethylene oxide
poly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샘펠릭스오콘
페델리루카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7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6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66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7Compounds of group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5Combination of polyisocyanates of C08G18/78 with other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08Foam properties flexi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41Foam properties having specified density
    • C08G2110/005< 50kg/m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83Foam properties prepared using water as the sole blowing ag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a)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60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인 에틸렌 옥사이드(EO)/프로필렌 옥사이드(PO)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와 반응시켜 생성된,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6 내지 33중량%인 반응 생성물 20 내지 80중량%; 및 b) MDI 중합체 2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본원에 기술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 지닌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이의 용도{Isocyanate composition and its use in the preparation of expanded polyurethane with improved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특정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 지닌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은 특정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기제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 지닌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 지닌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은, 밀도가 바람직하게는 50kg/m3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kg/m3이고, DIN-EN-ISO 3386-98에 따라 측정된 압축 내성(휨도(deflection) 40%)이 적합하게는 3kpa 이상 이고, 최적으로는 ISO 1856-80에 따라 시험된 영구 변형 또는 압축영구변형(compression set)이 약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인 일체형 외판, 주조물(냉온), 슬래브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들을 포함한 발포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 포옴을 의미한다.
특정 분야에서, 예를 들면 가구 및 자동차 산업의 경우,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 또는 풀리우레탄 포옴으로 제조된 제품인 슬래브 및 주조물은 둘다 양호한 쾌적 특성 및 물리-기계적 특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특성을 수득함에 있어서 고밀도(≥55kg/m3) 포옴에 대해서는 특정 단계의 수행이 요구되지 않는 반면, 중밀도 내지 저밀도(25 내지 45kg/m3) 포옴에 대해서는, 특히 저밀도 제품의 경우에 가공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발포 단계에서 1차 발포제, 예를 들면 물과 배합된 2차 발포제의 사용을 요구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할로겐화 탄화수소, 특히 FREON 11(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과 같은 클로로플루오로알칸이 수 년간 2차 발포제로서 사용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의 구입 용이성, 폴리우레탄 시약과 이들과의 상용성, 및 발포제로서의 이들의 특성 때문이다.
그러나, 성층권 오존 층의 고갈과 관련된 제품의 사용 및 제조를 규제하고자 하는 1987년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클로로플루오로 알칸의 사용이 단계적으로 금지되면서, 양호한 물리-기계적 특성을 지닌 저밀도 폴리우레탄 포옴을, 물을 유일한 발포제로서 사용하여 수득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예를 들면 EP-A-486,034에 기술된 바와 같이 개발되었다. 기타 발포제는 EP477,920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이르러, 본원의 출원인은, 발포제로서 물만이 요구되는, 탁월한 쾌적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지닌 중밀도 내지 저밀도의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공하는 특정 MDI-기제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놀랍도록 안정하고 월등한 "보존 수명"을 가진다.
본 발명은,
a)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5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 또는 80중량%, 특히 70 내지 80중량%인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와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6 내지 33 중량%, 바람직하게는 29 내지 33중량%인 반응 생성물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및
b) 화학식 I의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특히 4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식에서,
Φ는 페닐 그룹을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은,
a)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25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 또는 80중량%, 특히 70 내지 80중량%인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6 내지 33 중량%, 바람직하게는 29 내지 33중량%인 반응 생성물 3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b) 화학식 I의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70중량%; 및
c) 우레톤이민 개질된 메틸렌 디페닐이소시아네이트 5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Φ는 페닐 그룹을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본 발명은,
a)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25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 또는 80중량%, 특히 70 내지 80중량%인 제1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 또는 80중량%, 특히 70 내지 80중량%인 제2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며 제1 폴리올에 비해 제2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50중량% 미만의 농도로 존재하는 혼합물을 MDI와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6 내지 33 중량%, 바람직하게는 29 내지 33중량%인 반응 생성물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및
b) 화학식 I의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Φ는 페닐 그룹을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또 다른 태양에서,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폴리올을 MDI및 화학식 I의 중합체성 MDI와 함께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30%의 2,4'-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MDI와 화학식 I의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5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 또는 80중량%, 특히 70 내지 80중량%인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반응시켜 수득된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Φ는 페닐 그룹을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합한 중합체성 MDI로는 평균 관능성이 2.6 내지 2.8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되며; 상기 생성물은 각종 명칭, 예를 들면 "TEDIMON 31" (Enichem S.p.A.), "SUPRASEC DNR" (Huntsman), "VORANATE M-220" (DOW) 및 DESMODUR 44 V20 (Bayer)로 시판되고 있다. 우레톤이민 개질된MDI는 메틸렌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와 과량의 카보디이미드 유도체와의 반응 생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예비중합체(a)의 제조에 사용된 MDI는 4,4' 및 2,4'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이 혼합물중 2,4' 이성질체의 농도는 MDI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50중량%, 특히 20% 내지 30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MDI 및 임의로 중합체성 MDI와의 반응 생성물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적합하게는 2 내지 8의 하이드록실 관능성을 갖는다. 관능성이 2인 폴리에테르 디올, 즉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관능성이 3 이상인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관련있는 가교가 부존재하기 때문에, 이들로 부터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포옴에 대해 양호한 신장 특성을 부여할 것으로 기대될 수 있으나, 불량한 압축영구변형 및 동적 피로(dynamic fatigue) 특성, 예를 들면 Peugeot 시험 방법 D42.1047-84하에 시험했을 때 고수준의 두께 손실% 및 압축 하중 손실%이 초래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관능성이 2인 본 발명에 따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은 양호한 신장 특성을 제공할 뿐아니라 놀랍게도 탁월한 동적 피로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a)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25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 또는 80중량%, 특히 70 내지 80중량%인 폴리에테르 디올(관능성이 2)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6 내지 33 중량%, 바람직하게는 29 내지 33중량%인 반응 생성물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및
b) 화학식 I의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Φ는 페닐 그룹을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태양에서 폴리에테르 디올은 에틸렌 디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디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2500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디올의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은 50 내지 75% 또는 80%, 특히 70 내지 80%이다.
적절하게는, 폴리에테르 디올와 함께 사용된 MDI는 4,4' 및 2,4' 이성질체의혼합물을 포함하며, 이 혼합물중 2,4' 이성질체의 농도는 MDI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18 내지 50%, 특히 20 내지 30%이다.
2,4'-MDI 이성질체 20 내지 30%를 함유하는 MDI를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폴리에테르 디올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9 내지 33중량%인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임의로, MDI를 본원에 기술된 화학식 I의 중합체성 MDI와 혼합한 후, 당해 폴리에테르 디올과 반응시켜 당해 반응 생성물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i) a)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6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5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중량% 또는 80중량%, 특히 70 내지 80중량%인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와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6 내지 33 중량%, 바람직하게는 29 내지 33중량%인 반응 생성물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 및
b) 화학식 I의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ii)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당량이 200 내지 2000인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 및 물을 함께 반응시킴을 포함하여,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 지닌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I
상기식에서,
Φ는 페닐 그룹을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발포 폴리우레탄 포옴은, 본원에서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특히 2,4'-MDI 이성질체 20 내지 30%를 함유하는 MDI를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폴리에테르 디올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9 내지 33중량%인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임의로, MDI를 본원에 기술된 화학식 I의 중합체성 MDI와 혼합한 후, 당해 폴리에테르 디올과 반응시켜 당해 반응 생성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적합하게는, 바람직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은, Peugeot 시험 방법 D42.1047-84하에 시험했을 때, 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의 두께 손실% 및 16% 미만의 압축 내성 손실%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과 반응하는 폴리올은 동일할 수 있다. 임의로, MDI 및 중합체성 MDI는 폴리올 폴리에테르와 반응하여 단일 단계로 발포 폴리우레탄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도가 50kg/m3이하이고, ISO 2439-97에 따르면지탱력(bearing capacity)이 40N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400N이고, Peugeot 시험 방법 D42.1047-84하에 시험했을 때 두께 손실%가 5% 미만이고, 압축 내성 손실%가 16% 미만인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청구범위중 임의의 청구항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제조공정에 따라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사용된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 에스테르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아민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으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올로는, 2개 이상의 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출발) 화합물상에 탄소수 2 내지 6의 올레핀 옥사이드를 축합시켜 수득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올레핀 옥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 및 폴리에테르 폴리올중의 EO 또는 PO 단위를 제공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적합한 출발 화합물로는 글리콜, 트리올, 테트롤, 아민, 알칸올아민, 폴리아민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태양에서,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적합하게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출발물질은 글리콜(예: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올(예: 글리세린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롤(예: 펜타에리트리톨), 디아민(예: 에틸렌 디아민), 방향족 아민(예: 오르토-톨루엔 디아민), 알칸올 아민(예: 트리에탄올아민) 및 다관능성 하이드록실 알칸(예: 크실리톨, 아라비톨, 소르비톨 및 만니톨)로 부터 선택된다.
당해 폴리올은 그대로 사용될 수 있거나, 고체 입자,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성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당해 입자는 2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크기를 갖고, 적절히 분산되거나, 또는 폴리올 쇄에 부분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에 특히 적합한 중합체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이들 중합체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및 요소계 중합체가 포함된다. 상기 고체 입자는 폴리올과 동일계 중합으로 제조되거나, 별도로 제조된 후 폴리올에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당해 폴리올 화합물은 아민 촉매(예: 트리에틸렌디아민) 및/또는 금속물질(예: 옥토에이트 주석), 셀(cell) 조절제, 열-산화 안정화제, 안료 등과 같은, 발포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문헌["Saunders & Frisch- Polyurethanes, Chemistry and Technology" Interscience, New York, 1964]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함에 있어서, 발포제는 적합하게는 물을 포함한다. 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클로로플루오로 알칸 이외의 2차 발포제와 배합될 수 있고, 물은 다른 모든 발포제 보다도 더 높은 수준으로 존재한다. 물은 발포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이유는 물로 부터 요소 결합이 형성되고, 이는 이산화탄소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이산화탄소는 폴리우레탄 수지 발포/팽윤 과정을 촉발하여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이 수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적합하게는 물은 폴리올 화합물 100부에 대해 3 내지 6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이산화탄소는, 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NCO 그룹을 반응시켜 동일계에서 발생하는 주요 제제로서, 폴리우레탄 수지를 발포시키는데 적합하게 사용된다.
감소된 밀도, 예를 들면 25kg/m3이하의 밀도를 갖는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물 단독으로 부터 유래된 이산화탄소의 발포 작용은, 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 그룹간의 발열 반응으로 인한 문제(연소 또는 "스코칭"(scorching))를 야기함이 없이, 목적하는 밀도에 도달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물에 부가하여, 2차 발포제가 사용된다.
적합한 2차 발포제로는 공기, 액체 또는 기체 CO2, 질소, 오존 고갈 잠재력이 낮거나 없는 알칸 플루오르화수소화물, 탄화수소, 예를 들면 n-펜탄, i-펜탄, 및 사이클로펜탄,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중합 반응물중의 제1 발포제가 바람직하게는 동일계에서 발생하지만, 1차 및/또는 2차 발포제의 외적 도입, 예를 들면 주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득된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은 적합하게는 코어의 밀도가 25 내지 50Kg/m3또는 그 이하이고, 지탱력(ISO 2439 표준에 따름)은 40N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400N이다. 이들 폴리우레탄은 유리하게도 열-산화 분해 현상, 예를 들면 스코칭을 나타내지 않으며, 또한 탁월한 기계적 특성, 예를 들면 파단시의 신장, 영구 변형, 압축 내성 및 공기 투과력을 보유한다. 이들 특성 때문에, 본 발명으로 부터 유래된 포옴은 다양한 분야,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위에서언급한 특성을 지닌 재료를 필요로 하는 가구 및/또는 장식품 부문 및 운송 및/또는 자동차 산업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실시예 1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80/20 비의 4.4'-MDI/2.4'-MDI의 혼합물 42 중량부; 50/50 비의 4.4'-MDI/2.4'-MDI의 혼합물 14.0 중량부를,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기본으로하는 평균 분자량이 2500이고 EO/PO 비가 75/25인 폴리에테르 폴리올(EniChem's Nixolen VS 40)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약 2시간 동안 70℃에서 수행된 반응의 종료시에, 유리 NCO가 30.1%인 예비중합체가 수득된다. 이어서, 30.5%의 유리 NCO가 수득될 때까지, 중합체성 MDI(TEDIMON 31) 40중량부를 당해 예비중합체에 첨가한다.
실시예 2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80/20 비의 4.4'-MDI/2.4'-MDI의 혼합물 55 중량부; 50/50 비의 4.4'-MDI/2.4'-MDI의 혼합물 8 중량부를, Nixolen VS 40, 및 에틸렌 옥사이드를 기본으로하는 평균 분자량이 60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Enichem's Priowax 600)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약 2시간 동안 70℃에서 수행된 반응의 종료시에, 예비중합체가 수득된 후, 30.4%의 유리 NCO가 수득될 때까지, 중합체성 MDI(TEDIMON 31)를 당해 예비중합체에 첨가한다.
실시예 3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80/20 비의 4.4'-MDI/2.4'-MDI의 혼합물 50 중량부; 50/50 비의 4.4'-MDI/2.4'-MDI의 혼합물 10 중량부, 및 우레톤이민 개질된 MDI(출원인에 의한 TEDIMON 318)를,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기본으로하는 평균 분자량이 4000이고 EO/PO 비가 20/8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TERCAROL 838)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약 2시간 동안 70℃에서 수행된 반응의 종료시에, 유리 NCO가 29.9%인 예비중합체가 수득된다. 이어서, 30.5%의 유리 NCO가 수득될 때까지, 중합체성 MDI(TEDIMON 31)를 당해 예비중합체에 첨가한다.
실시예 4 내지 6
실시예 1 내지 3의 화합물을,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폴리올 성분과 배합된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사용하였다. 표 1은 또한 이와 같이 수득된 포옴의 물리-기계적 특성을 보여준다.
실시예 4 내지 6에서 시험된 포옴의 동적 피로 특성을 Peugeot 시험 방법 D42.1047-84에 따라 측정하였다. 50% 영구 변형 데이터 (압축영구변형)을 ISO 1856-80에 따라 측정하였다. 압축 내성 데이터 또는 압축력 휨도(deflection)를 DIN EN ISO 3386-1-98에 따라 측정하였다. 지탱력 또는 삽입력(indentation force) 휨도를 ISO 2439-97에 따라 측정하고, 당해 포옴 밀도를 DIN EN ISO 845-95에 따라 측정하였다.
실시예 4 5 6
Tercarol427 100 100 100
Tercarol 241 1.5 1.5 1.5
XD7436 2.0 2.0 2.0
DEOA 0.5 0.5 0.5
물, pp 3.7 3.7 3.7
NIAX A 107, pp 0.2 0.2 0.2
NIAX A 310, pp 0.2 0.2 0.2
POLYCAT 77, pp 0.15 0.15 0.15
NIAX L 3410, pp 1.0 1.0 1.0
이소시아네이트실시예 1 (지수) 95 - -
이소시아네이트실시예 2 (지수) - 95 -
이소시아네이트실시예 3 (지수) - - 95
밀도, kg/m3 43 44.5 45
영구 변형 50%,% (압축영구변형) 4.5 4.8 5.5
압축 내성. 40%, kPa 7.5 7.2 6.4
지탱력 40%, N 320 294 233
동적 피로
두께 손실 % 2.1 2.2 1.9
압축 내성 손실 % 11.5 13.3 15.2
TERCAROLR241 - 관능성이 3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PM 4000
TERCAROLR427 - 관능성이 3인 폴리에테르 폴리올 PM 6000
XD 7436 - 가교제
NIAX A 107 - Witco Corporation 아민화 촉매
NIAX A 310- Witco Corporation 아민화 촉매
NIAX L 3410 - Witco Corporation 실리콘 텐소액티브(Tensoactive)
POLYCAT 77 - 공기 제품 아민화 촉매
실시예 4 내지 6의 폴리우레탄을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하였으며, 이때 예비 중합체는 관능성이 2인 디올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디올 성분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로 부터 제조된, 필수적으로 가교결합이 부존재하는 발포 폴리우레탄 포옴은 탁월한 신장 특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놀랍게도 상기 표에 제시된 데이터에서와 같이, 엄격한 Peugeot 동적 피로 시험하에 측정했을 때 탁월한 동적 피로 특성 및 압축영구변형 특성을 제공한다 (3Hz에서 25 내지 75% 휨도사이의 200,000 사이클. 피로 달성 후 30분에 측정).

Claims (15)

  1. a)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60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인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와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6 내지 33 중량%인 반응 생성물 20 내지 80중량%; 및
    b) 화학식 I의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화학식 I
    상기식에서,
    Φ는 페닐 그룹을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이 400 내지 6000인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의 반응 생성물인 성분 a) 30 내지 70중량%, 성분 b) 10 내지 70중량%, 및 개질된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우레톤이민 5 내지 30중량%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6000인 제1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인 제2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폴리올이 독립적으로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이고; 제2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제1 폴리올에 비해 50중량% 미만의 농도로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가 4,4' 및 2,4' MDI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이 혼합물중의 2,4' 이성질체 농도가 MDI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30%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폴리에테르 디올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디올의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50 내지 75% 또는 80%, 특히 70 내지 80%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2,4'-MDI 이성질체 20 내지 30%를 포함하는 MDI를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70 내지 80%인 폴리에테르디올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9 내지 33%인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둘 모두가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반응하는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9. i) a) 에틸렌 옥사이드(EO)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PO)를 포함하고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6000이고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20 내지 90중량%인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MDI)와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6 내지 33 중량%인 반응 생성물 20 내지 80중량%; 및
    b) 화학식 I의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이 2.2 내지 2.9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ii) 관능성이 2 내지 8이고 당량이 200 내지 2000인 하나 이상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 성분 및 물을 함께 반응시킴을 포함하여, 연질성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I
    상기식에서,
    Φ는 페닐 그룹을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제1항 내지 제8항중의 어느 한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이, 2,4'-MDI 이성질체 20 내지 30%를 포함하는 MDI를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70 내지 80%인 폴리에테르 디올과 반응시켜 생성되는 유리 NCO 그룹 함량이 29 내지 33%인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i)에서,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중합체성 메틸렌 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둘 모두가 하나 이상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반응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과 반응하는폴리올이 동일하고, 임의로 MDI 및 중합체성 MDI는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반응하여 단일 단계로 발포 폴리우레탄을 생성하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이 폴리올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 3 내지 6중량부인 방법.
  15. 밀도가 50kg/m3이하이고, ISO 2439-97에 따르면 지탱력이 40N 이상이고, Peugeot 시험 방법 D42.1047-84하에 시험했을 때 두께 손실%가 5% 미만이고, 압축 내성 손실%가 16% 미만인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중의 어느 한항에 따른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의 용도.
KR10-2003-7011013A 2001-02-22 2002-02-22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지닌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이의 용도 KR200300776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01A000357 2001-02-22
IT2001MI000357A ITMI20010357A1 (it) 2001-02-22 2001-02-22 Composizioni isocianiche e loro impiego nella preparazione di espansipoliuretanici a migliorate caratteristiche fisico-meccaniche
PCT/EP2002/001898 WO2002068492A1 (en) 2001-02-22 2002-02-22 Isocyanate composition and its use in the preparation of expanded polyurethane with improved physico-mechanical proper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643A true KR20030077643A (ko) 2003-10-01

Family

ID=1144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013A KR20030077643A (ko) 2001-02-22 2002-02-22 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향상된 물리-기계적 특성을지닌 발포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058408A1 (ko)
EP (1) EP1385894A1 (ko)
JP (2) JP2004521981A (ko)
KR (1) KR20030077643A (ko)
CN (1) CN100354330C (ko)
BR (1) BR0207777A (ko)
CA (1) CA2439072A1 (ko)
IT (1) ITMI20010357A1 (ko)
MX (1) MXPA03007562A (ko)
PL (1) PL363319A1 (ko)
WO (1) WO20020684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055A (ko) * 2016-08-3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 형성용 조성물,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KR101867064B1 (ko) * 2017-11-24 2018-06-14 (주)유원플렛폼 폴리우레탄폼
US10189966B2 (en) 2016-04-07 2019-01-29 Hyundai Motor Company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polyurethane foam and molded articl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4343A1 (en) * 2003-02-14 2004-09-0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Hydrophilic polyurethane polymers derived from a mdi-based isocyanate-terminated prepolymer
JP4895071B2 (ja) * 2004-11-17 2012-03-1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ク保持体
CA2656799A1 (en) * 2006-07-05 2008-01-10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polymer polyol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ITMI20062253A1 (it) 2006-11-24 2008-05-25 Nuova Pansac Spa Materiale in film con riporto igienizzante e-o assorbiodori
EP2459030B1 (en) * 2009-07-29 2013-05-01 Technogel Italia S.R.L. Modular support element
CN101993520B (zh) 2009-08-24 2014-02-19 拜耳材料科技(中国)有限公司 异氰酸酯封端预聚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282398B (zh) 2010-11-03 2015-02-18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自冲压的聚氨酯体系
US20120235070A1 (en) * 2011-03-18 2012-09-20 Basf Se Process for producing flame-retardant porous materials based on polyurea
JP6080404B2 (ja) * 2012-06-28 2017-02-15 旭有機材株式会社 配管カバー
AU2015339621B2 (en) * 2014-10-29 2019-03-28 Dow Global Technologies Llc Hydrophilic prepolymer for polyurethane foams
US10208154B2 (en) * 2016-11-30 2019-02-19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Cmp Holdings, Inc. Formulations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s and CMP pads made therewith
CN108409940B (zh) * 2018-03-14 2021-04-27 烟台合力聚氨酯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高回弹泡沫的改性mdi的制备方法
WO2023117936A1 (en) * 2021-12-21 2023-06-29 Basf Se Environmental attributes for chemical compounds comprising a carbonyl group
CN114316184B (zh) * 2021-12-29 2024-01-26 优麦化学(山东)有限公司 一种遇水膨胀单组份预聚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29755B (it) * 1989-05-17 1991-09-10 Montedipe Spa Composizioni poliisocianiche e loro impiego nella preparazione di schiume poliuretaniche flessibili.
DE4205934A1 (de) * 1992-02-27 1993-09-0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uorchlorkohlenwasserstoff freien, niedrigdichten polyurethan-weichschaumstoffen und weichelastischen polyurethan-formschaumstoffen sowie hierfuer verwendbare, mit urethangruppen modifizierte polyisocyanatmischungen auf diphenylmethan-diisocyanatbasis
GB9208377D0 (en) * 1992-04-16 1992-06-03 Ici Plc Process for prepar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s
CA2094554C (en) * 1992-05-12 2001-12-25 Thirumurti Narayan Polymethylene polyphenyl polyisocyanate based prepolymers
JP3311388B2 (ja) * 1992-08-19 2002-08-05 三井化学株式会社 インテグラルスキン付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3242706B2 (ja) * 1992-08-19 2001-12-25 三井化学株式会社 インテグラルスキン付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US5597885A (en) * 1993-02-10 1997-01-28 Basf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chlorofluorocarbon-free flexible polyurethane foams using diphenylmethane diisocyanate-based polyisocyanate mixtures containing urethane groups, and modified polyisocyanate mixtures
JP3242755B2 (ja) * 1993-06-18 2001-12-25 三井化学株式会社 インテグラルスキン付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H07258373A (ja) * 1994-03-18 1995-10-09 Shell Internatl Res Maatschappij Bv 低密度かつ低硬度の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5389693A (en) * 1994-05-31 1995-02-14 The Dow Chemical Company Integral skin polyurethane foam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DE19521798A1 (de) * 1995-06-16 1996-12-19 Bayer Ag Polyurethanelastomere aus aliphatischen Polyisocyanaten und Polyesteretherpolyolen
US5663272A (en) * 1995-12-22 1997-09-02 Bayer Corporation Allophanate-modified diphenylmethane diisocyanate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JP3610138B2 (ja) * 1995-12-22 2005-01-12 三井武田ケミカル株式会社 低密度高弾性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3020445B2 (ja) * 1996-05-28 2000-03-15 大八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CA2284462A1 (en) * 1997-02-11 1998-08-13 James Holloway Isocyanate compositions for low density polyurethane foam
US5877227A (en) * 1997-08-11 1999-03-02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Low density flexible polyurethane foams
CN1174014C (zh) * 1999-11-02 2004-11-03 亨茨曼国际有限公司 制备高弹性泡沫体的方法
US6376567B1 (en) * 2000-12-07 2002-04-23 Bayer Corporation Polyisocyanate composition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ow-density flexible foams with low humid aged compression sets from these polyisocyanate composi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9966B2 (en) 2016-04-07 2019-01-29 Hyundai Motor Company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polyurethane foam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20180025055A (ko) * 2016-08-3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우레탄 폼 형성용 조성물, 폴리우레탄 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KR101867064B1 (ko) * 2017-11-24 2018-06-14 (주)유원플렛폼 폴리우레탄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3007562A (es) 2003-12-11
JP2008179831A (ja) 2008-08-07
JP2004521981A (ja) 2004-07-22
WO2002068492A1 (en) 2002-09-06
BR0207777A (pt) 2004-03-23
CA2439072A1 (en) 2002-09-06
PL363319A1 (en) 2004-11-15
US20060058408A1 (en) 2006-03-16
EP1385894A1 (en) 2004-02-04
ITMI20010357A1 (it) 2002-08-22
CN100354330C (zh) 2007-12-12
CN1492888A (zh) 200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563B1 (ko) 이소시아네이트-말단된 예비중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가요성 폴리우레탄 발포체
EP0877042B1 (en) Reactive catalyst compositions for improving water blown polyurethane foam performance
US4980388A (en) Use of carbon dioxide adducts as blowing agents in cellular and microcellular polyureas
JP2008179831A (ja) イソシアナート組成物および改善された物理機械的特性を有する発泡ポリウレタンの製造におけるその使用
EP1213310B1 (en) Polyisocyanate compositions and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ow-density flexible foams with low humid aged compression sets from these polyisocyanate compositions
EP2513183B1 (en) Flame retardant polyurethane foams containing biuret linkages
US5143942A (en) Polyurethanes
US5166115A (en) Polyurethanes
US5182314A (e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WO2002077056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fo polyurethane foams
US8901187B1 (en) High resilience flexible polyurethane foam using MDI
KR20200100706A (ko) 폴리우레탄 포함 물질의 알데히드 배출 감소 방법
JPH01167324A (ja) アルコキシル化ジエチルトルエンジアミンを含有するポリウレタン系
US5397811A (e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EP0486034B1 (e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US5166185A (en) Chlorofluorocarbon-free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method of making with blowing efficiency enhancers
EP1092746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ow density flexible polyurethane foams
JP2958941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の製造方法
JP3214781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の製造方法
EP0582328B1 (en) Process for preparing low-density flexible polyurethane foams, and the polyurethane foams obtained
JP5133486B2 (ja) 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耐燃性が付与された発泡ポリウレタン材料の製造のためのその使用
JP3504770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147044A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H04249518A (ja) 高レジリエンス可撓性ポリウレタン発泡体
JP2516526B2 (ja)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