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323A - 어학 학습용 제어기 - Google Patents

어학 학습용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323A
KR20030077323A KR1020020016374A KR20020016374A KR20030077323A KR 20030077323 A KR20030077323 A KR 20030077323A KR 1020020016374 A KR1020020016374 A KR 1020020016374A KR 20020016374 A KR20020016374 A KR 20020016374A KR 20030077323 A KR20030077323 A KR 20030077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put
output
voice signa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알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토텍 filed Critical (주)알토텍
Priority to KR1020020016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323A/ko
Publication of KR2003007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3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와 음성 입출력 수단을 컴퓨터와 분리된 제어기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어학 학습용 제어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내에 하드 디스크내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어학 학습용 제어기에 있어서:
음성 입출력을 위하여 음성 입출력 기기들의 플러그들을 삽입하기 위한 음성 입출력 소켓들;
상기 음성 입출력 소켓들과 컴퓨터 음성 입출력포트들을 연결 및 연결상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스위치;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스위치들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어학 학습용 제어기{ controller for language sturdy }
본 발명은 컴퓨터의 음성 입출력을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음성 입출력 제어스테이션을 구비한 어학 학습용 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USB연결 포트 또는 음성 입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컴퓨터 외부로 음성 입출력 포트를 인출하여 제어토록 하며,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 또는 USB 연결포트에 접속되어 외부에서 컴퓨터내에 음성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음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어학 학습용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컴퓨터에는 음을 입력하는 수단은 마이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고, 카셋트 테이프 재생기 또는 CD 플레이어의 출력음을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및 이를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히, 이들이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하여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과 제어 횟수가 빈번한 어학 학습을 위해서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오디오 기기와 컴퓨터의 입력 포트를 중계 접속하여 외부 오디오 기기의 음성을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도록 하며, 상기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 음성신호의 재생시에 음성신호를 제어하고, 음성신호의 출력시 스피커, 헤드셋등으로 출력되는 것을 선택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컴퓨터와 분리되어 컴퓨터의 음성신호의 재생시에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어학 학습용 제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에 마이크 음성입력, 오디오 기기의 재생음의 입력 저장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저장된 음성신호를 보다 편리하고, 자유롭게 하며, 저장된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를 스테이션 형상으로 배치하여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편리하게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어학 학습용 제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제어기의 일실시예의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어학 학습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경우의 예시된 전시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음성학습프로그램의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컴퓨터내에 하드 디스크내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내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어학 학습용 제어기에 있어서:
음성 입출력을 위하여 음성 입출력 기기들의 플러그들을 삽입하기 위한 음성 입출력 소켓들;
상기 음성 입출력 소켓들과 컴퓨터 음성 입출력포트들을 연결 및 연결상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스위치;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스위치들이 구비된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음성 입출력을 위한 음성기기들은 스피커, 마이크, 헤드셋 유니트,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를 비롯한 오디오 재생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피커 소켓에는 마이크 또는 외부 오디오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의하여 동작되는 노이즈 제거회로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학용 학습 제어기에는 마이크 소켓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음성신호를 상기 헤드셋 유니트 소켓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마이크음을 상기 헤드셋 유니트로 출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어학용 학습제어기는 USB 코덱을 탑재하되 상기 컴퓨터와 오디오 기기간에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컴퓨터 USB연결단자와 스피커, 헤드셋 유니트, 헤드셋 마이크, 오디오 기기 음성신호 소켓으로 양방향 입출력 함으로써 외장형 사운드 카드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어학 학습용 제어기의 일실시예의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스위치(SW1)에는 컴퓨터 음성 입출력 단자에 접속되는 접점과 외부 음성 입출력 기기들이 접속되는 단자들이 접속되는 접점들이 구비된다. 스위치(SW1)는 NC접점들(1, 4, 7, 10)과, COM접점들(2, 5, 8, 11)과, NO접점들(3, 6, 9, 12)이 구비되되, COM접점들(2, 5, 8, 11)을 기준으로 NC접점들(1, 4, 7, 10)과 NO접점들(3, 6, 9, 12)들 중에 일측 접점들을 접속시키는 3로 절환 스위치이다.
스피커용 소켓(J1)은 NC 접점1, 4에 접속되고, 헤드셋 마이크용 소켓(J2)은 NO접점12에 접속되고, 헤드셋 유니트(J3)는 NO접점3, 4에 접속되고, 외부 오디오 소켓(J4)은 NO접점12에 접속된다. 또한, 각 소켓들의 그라운드 단자는 com단자8에 접속되어 접지된다. 또한, com단자2, 5는 컴퓨터 스피커 출력단자(spk R, spk L)와접속되어 있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스피커 소켓(J1)이나 헤드셋 유니트 소켓(J3)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또한, com단자11에는 컴퓨터 마이크 입력단자(MIC+)와 접속되어져, NO접점12에 접속된 헤드셋 마이크 소켓(J2)와 외부 오디오 기기 소켓(J4)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한다.
또한, 스피커 소켓에는 트랜지스터Q1, Q2로 이루어지는 노이즈 제거회로가 형성되어져 있다. 헤드셋 마이크 소켓(J2)과 오디오 기기 소켓(J4)의 출력선은 저항R1을 개재하여 트랜지스터Q1, Q2의 베이스에 연결되어지고, 트랜지스터Q1, Q2의 콜렉터는 접지되며, 에미터는 스피커 소켓(J1)의 접속선들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헤드셋 마이크 소켓(J2)과 오디오 기기 소켓(J4)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음성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저항R1에 전압이 인가되게 되고, 트랜지스터Q1, Q2은 동작되게되고, 스피커 선에 발생되는 유기전압을 접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되므로 마이크나, 외부 오디오기기의 동작시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하울링등의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셋 마이크 소켓(J2)와 외부 오디오 기기 소켓(J4)가 동작되는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LED1)가 동작되어 발광되도록 한다. 헤드 셋 마이크 소켓(J2)와 외부 오디오 기기 소켓(J4)과 NO접점12사이에는 저항(R3)가 개재된 공통선이 결선되고, 저항 R3와 병렬로 발광 다이오드(LED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NO접점12가 COM접점11과 접속되는 경우에는 컴퓨터의 단자MIC(+)로부터 인가되는 전압(5Volt)에 의하여 다이오드가 동작되게 된다.
또한, 헤드 셋 마이크 소켓(J2)과 외부 오디오 기기 소켓(J4)의 출력단에는 어학 체험 회로(20)가 형성되어진다. 어학 체험회로(20)는 헤드 셋 마이크소켓(J2)과 외부 오디오 기기 소켓(J4)의 출력단은 컴퓨터 전압 저지용 다이오드(D1)을 경유하여 음성신호가 입력되어 증폭되는 증폭부(AMP)와 증폭부로 출력되는 출력신호들을 재 증폭하기 위한 트랜지스터(Q5), (Q6)와 이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BAT)와 전원 온/오프용 스위치(SW3)로 이루어진다. 트랜지스터(Q5), (Q6)의 출력은 신호 크기 조절용 저항R8, R9를 스위치하기 위한 스위치(SW2)를 거쳐 COM접점2, 5에 접속되고, 헤드 셋 마이크 소켓(J2)과 외부 오디오 기기 소켓(J4)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COM접점들은 NO접점과 연결되기 때문에 헤드셋 유니트에 헤드셋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셋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에 자신의 헤드셋 유니트를 통하여 음성을 다시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어학학습의 체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컴퓨터 통신포트(JOYSTIC: 5, 6, 7, 8, 10, 11, 12단자)에는 녹음/듣기, 따라하기, 자동반복, 일시정지/재생, 음량작게, 빨리감기, 되감기, 음량크게/녹음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스위치들로 구성된 스위칭부(30)가 연결되어져 있다. 이때, 통신포트는 직렬 통신을 위한 RS232C를 상정한 통신포트이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된 것이다. 스테이션 내에 USB 코덱을 구비하고 컴퓨터의 USB통신포트에 접속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나아가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위해서 변경설계될 수 있다. 스위칭부(30)의 스위칭 구조는 스테이션 형상으로 접촉하기에 유리한 평면구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위칭부(30)의 음량작게, 빨리감기, 되감기, 음량크게/녹음스위치에는 트랜지스터 Q3, Q4와 다수의 저항들로 이루어진 스위칭 전압 안정부(31)를 거쳐 통신포트의 접점들에 연결된다.
컴퓨터 내에는 음성학습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음성학습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되면 도 2의 초기화면을 모니터 상에 전시한다.
음성학습 프로그램의 전시화면은 다양한 형태의 화면구성과 기능부여가 있을 수 있으나,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용량을 시간으로 나타내기 위한 바 형태의 전시창, 녹음시간 창, 볼륨 조절창, 마이크 볼륨 조절창, 음성 출력의 파형을 나타내기 위한 파형 출력창, 구간 반복횟수를 나타내기 위한 창, 반복구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음성이 멈추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창, 반복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창, 제어스위치(자동반복, 따라하기, 녹음&듣기, 반복)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창들이 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음성학습프로그램의 순서도이다.
우선 음성학습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도 2에 도시된 초기화면을 전시한다(S1), (S2). 외부 오디오 기기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를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고(S3), (S4), 기 저장된 음성신호를 하드 디스크로부터 재생하는 경우에는 하드 디스크로부터 독출하여 이를 재생시킨다(S4). 재생중에 다시듣고 싶거나 따라하고 싶을 때 자동반복 스위치를 입력하면 설정된 시간 또는 음성 멈춤구간을 기준으로 자동 반복구간을 설정하여 이를 계속 지정된 횟수 만큼 반복 후 자동재생된다(S6), (S7), (S8). 따라하기 스위치가 입력된 경우에는 헤드 셋 마이크(J2)로부터 음성 입력이 있는 가를 검출하고 음성입력이 있는 경우에 이를 음성으로 재출력하고, 출력파형으로 전시한 후 음성출력 후(S9), (S10), (S11)자동재생 된다. 처음부터 자동반복, 따라하기 스위치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일정한 반복구간을 설정하여 지정된 횟 수 만큼 자동반복 재생한다(따라하기 기능 동일).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컴퓨터를 온시켜 음성학습 프로그램을 온시켜 도 2에 도시된 초기화면을 전시하고, 스위치(SW1)의 접점이 NO와 COM접점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한 후에 외부 오디오기기, 바람직하게는 카셋트 테이프 재생기, CD플레이어에 연결된 플러그를 소켓(J4)에 삽입하여 음성신호를 소켓을 통하여 입력시킨 후 스위칭부(30)의 녹음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음성 학습 프로그램에 의하여 컴퓨터 하드 디스크에 저장됨과 동시에 저장되는 용량이 전시창에 시간으로 표시되며, 녹음시간이 창에 전시되게 되고, 녹음과 동시에 녹음 내용을 헤드셋 유니트(J3)를 통하여 들을 수도 있고, 자신의 목소리를 더빙하여 헤드셋 마이크(J2)로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녹음 후 멈춤을 누르고 PC젖아장치에 외부파일을 저장하거나 저장없이 바로 재생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녹음이 완료된 후에 재생을 하기 위하여 스위칭부(30)의 재생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재생되게 되며, 재생음의 출력내용이 출력바의 우측시간창에 전시되게 된다. 이때, 스위치(SW1)의 접점이 NC와 COM접점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라면, 컴퓨터에서 생성되는 재생음은 스피커 소켓(J1)에 접속되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게 되고, 스위치(SW1)의 접점이 NO와 COM접점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라면 헤드셋 유니트(J3)를 통하여 출력되게 된다. 스위칭부(30)의 따라하기 스위치를 입력하게 되면, 음성학습 프로그램은 재생과정을 멈추고 헤드셋 마이크로부터 음성입력이 있게 되는 경우에 이를 출력파형 전시창에 전시하고, 재생과정을 재시작한다.
또한, 어학 체험 회로(20)의 스위치(SW3)이 온 된 경우에는 헤드셋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을 자신의 헤드셋 유니트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화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학습 제어기 내에 마이크 입력, 오디오 입력, 스피커출력, 헤드셋 유니트 출력을 할 수 있도록 소켓을 구비하고, 컴퓨터에서 구동되는 음성학습 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부인 스테이션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입출력과 간단히 프로그램을 제어하도록 하여 음성학습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학용 뿐만이 아니라 녹취용으로 녹음된 내용을 반복하여 들음으로서 문서작성을 도와줄 수 있고, 게임용 스테이션으로 게임제어와 함께 사운드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컴퓨터내에 하드 디스크내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어학 학습용 제어기에 있어서:
    음성 입출력을 위하여 음성 입출력 기기들의 플러그들을 삽입하기 위한 음성 입출력 소켓들;
    상기 음성 입출력 소켓들과 컴퓨터 음성 입출력포트들을 연결 및 연결상태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스위치;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스위치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용 제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출력 소켓들에는 스피커, 헤드셋 유니트, 헤드셋 마이크, 오디오기기 음성신호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하드 디스크에는 상기 음성 입출력 소켓을 통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재생신호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용 제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소켓에는 마이크 또는 외부 오디오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의하여 동작되는 노이즈 제거회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용 제어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용 학습 제어기에는 마이크 소켓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음성신호를 상기 헤드셋 유니트 소켓으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마이크음을 상기 헤드셋 유니트로 출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용 제어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용 학습제어기는 USB 코덱을 탑재하되 상기 컴퓨터와 오디오 기기간에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컴퓨터 USB연결단자와 스피커, 헤드셋 유니트, 헤드셋 마이크, 오디오 기기 음성신호 소켓으로 양방향 입출력 함으로써 외장형 사운드 카드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용 제어기.
KR1020020016374A 2002-03-26 2002-03-26 어학 학습용 제어기 KR200300773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74A KR20030077323A (ko) 2002-03-26 2002-03-26 어학 학습용 제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74A KR20030077323A (ko) 2002-03-26 2002-03-26 어학 학습용 제어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493U Division KR200278509Y1 (ko) 2002-03-29 2002-03-29 어학 학습용 제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323A true KR20030077323A (ko) 2003-10-01

Family

ID=3237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374A KR20030077323A (ko) 2002-03-26 2002-03-26 어학 학습용 제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32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880A (ko) * 1994-12-14 1996-07-20 양승택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JPH08317365A (ja) * 1995-05-22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会議装置
KR19990051305A (ko) * 1997-12-19 1999-07-05 구자홍 디지털 녹음 장치
KR20000074393A (ko) * 1999-05-20 2000-12-15 윤종용 음성 녹음장치와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
KR20010081353A (ko) * 2000-02-14 2001-08-29 이규웅 음절 구분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KR20010105523A (ko) * 2000-05-13 2001-11-29 이명의 개선된 전자책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880A (ko) * 1994-12-14 1996-07-20 양승택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JPH08317365A (ja) * 1995-05-22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会議装置
KR19990051305A (ko) * 1997-12-19 1999-07-05 구자홍 디지털 녹음 장치
KR20000074393A (ko) * 1999-05-20 2000-12-15 윤종용 음성 녹음장치와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된 컴퓨터 시스템
KR20010081353A (ko) * 2000-02-14 2001-08-29 이규웅 음절 구분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장치 및방법
KR20010105523A (ko) * 2000-05-13 2001-11-29 이명의 개선된 전자책 단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758B1 (ko) 테이프레코더의 기록재생전환장치
US20070242838A1 (en) Electronic Device and Sound Level Control Method
US6882492B1 (en) Cassette type audio data or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792217B2 (ja) リモコン装置
KR200278509Y1 (ko) 어학 학습용 제어기
KR20030077323A (ko) 어학 학습용 제어기
WO2012053974A2 (en) Wearable voice playback device
KR100356742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JP2006048867A (ja) 車載オーディオ装置
KR100912633B1 (ko) 전자사전 기능을 구비한 어학 장치
KR100275363B1 (ko) 어학 학습기
KR200341204Y1 (ko) 이어 마이크의 녹음장치
KR930000754Y1 (ko) 자기 테이프를 이용한 분리형 문자 재생장치
KR960003487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4187444B2 (ja) 音声記録再生装置
JP3067587U (ja) 音響機器の拡張機能及びその装置
JP3365558B2 (ja) 記録再生装置
JP2502086Y2 (ja) 音響再生装置
JP2007251410A (ja) 音響機器
KR830001676Y1 (ko) 어학 연습용 카셋트 녹음기의 아답터
JP2975851B2 (ja) 音響機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204825Y1 (ko) 차량의 파워앰프용 엠피3 재생 아답터
KR100592439B1 (ko) 휴대용 음향기기의 원격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
JPH03123199A (ja) 音響機器の電源制御装置
JP2003132663A (ja) 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