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7304A -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7304A
KR20030077304A KR1020020016352A KR20020016352A KR20030077304A KR 20030077304 A KR20030077304 A KR 20030077304A KR 1020020016352 A KR1020020016352 A KR 1020020016352A KR 20020016352 A KR20020016352 A KR 20020016352A KR 20030077304 A KR20030077304 A KR 2003007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e
racing
data
unit
rel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혁
Original Assignee
유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혁 filed Critical 유재혁
Priority to KR1020020016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7304A/ko
Publication of KR2003007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3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4Betting or bookmaking, e.g. Internet betting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곤충, 소형 동물, 전자제어로봇 또는 미니어추어 카등과 같이 행동결과의 예측이 매우 어려운 경주대상물의 경주상황을 인터넷 또는 다른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은, 곤충, 소형동물 또는 전자제어로봇, 미니어추어 카 등과 같은 경주대상물(150)을 수용하고 경주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경주장(10)과, 상기 경주장(10)에서 진행되는 경주대상물(150)의 경주결과를 측정하도록 결승선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감지부(20)와, 상기 경주장(10)에서 발생되는 경주대상물(150)의 경주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촬영부(30)와, 상기 카메라촬영부(30)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화상처리부(40)와, 경주와 관련된 정보와 센서감지부(20)로부터의 경주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경주장(10)에서의 경주시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카메라촬영부(30)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중계서버(Server)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System for transmitting the race of moving obeject for leisure}
본 발명은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곤충, 소형 동물, 전자제어로봇 또는 미니어추어 카등과 같이 행동결과의 예측이 매우 어려운 경주대상물의 경주상황을 인터넷 또는 다른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카드결제시스템, 은행결제시스템 및 휴대단말기 통신 결제시스템을 통하여 내기를 할 수 있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경마, 경륜과 같은 경쟁지향적인 스포츠가 대중적인 레저스포츠로 자리잡고있다. 경마 또는 경륜은 기수(또는 선수)들의 기량과 그날의 컨디션에 의하여 승부가 좌우되기 때문에 같은 기량을 가진 기수(또는 선수)들이 경주를 하는 경우에는 승부예측이 어렵다. 또한 소액을 투자하여 거액의 당첨시에 경제적인 이익을 향유할 수 있기 때문에 대중들에게 많은 사랑받고 있다.
그러나 경마 또는 경륜은 경주를 위하여 넓은 면적의 잘 정리된 경기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경기장 건설에 많은 자금이 투입되며 많은 시일이 소요되고 있는 형편이다. 더욱이, 일단 건설된 경기장은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마 또는 경륜 경주를 보기 위하여 사람들이 직접 이동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교통체증이 발생된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경주를 즐기기에는 경기장에서 수용할 수 있는 인원에 한계가 있다. 더욱이 경주를 하는 대상물이 경주용으로 등록된 말과 기수, 또는 선수 등에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화되고, 또한 경주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경주대상물 및 경기장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 소형 동물, 전자제어로봇 또는 미니어추어 카등과 같이 행동결과의 예측이 매우 어려운 경주대상물의 경주상황을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중계할 수 있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마 또는 경륜 뿐만 아니라 경주대상물의 영역을 더욱 확대하여 다양한 경주대상물에 대한 오락경주를 제공할 수 있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주대상물들에 대하여 소액의 내기를 함으로서 경주결과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주장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주장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경주장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게이트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연결상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블럭구성도,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제어부의 블럭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작동상태 흐름도,
도 9는 도 8의 흐름도중의 회원참가접수 및 배당표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예시적인 화면의 일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주장 20: 센서감지부
30: 카메라촬영부 40: 화상처리부
50: 제어부 60: 모터
70: 모뎀 80: 롬/램
90: 입력부 100: 데이타저장부
101: 경주장펜스 102: 분리판
103: 게이트 103a: 삽입부
104: 회동축 105: 주행로공간
110: 표시부 120,130: 은행서버
140,141,..,n: 개인용컴퓨터 150: 경주대상물
201,202,.,,n: 감지센서 301,302,..,n: 카메라
501:경기일정 및 조편성출력모듈 502: 화면출력제어모듈
503: 데이터통신제어모듈 504: 경주상태 및 결과표시모듈
505: 제어모듈 506: 참가자관리모듈
507: 배당금관리모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은, 곤충, 소형동물 또는 전자제어로봇, 미니어추어 카 등과 같은 경주대상물을 수용하고 경주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경주장과, 상기 경주장에서 진행되는 각각의 경주대상물의 경주결과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감지부와, 상기 경주장에서 발생되는 경주대상물의 경주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촬영부와, 상기 카메라촬영부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화상처리부와, 경주와 관련된 정보와 센서감지부로부터의 경주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경주장에서의 경주시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카메라촬영부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연결상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곤충, 소형동물 또는 전자제어로봇, 미니어추어 카 등과 같은 경주대상물(150)을 수용하고 경주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경주장(10)과, 상기 경주장(10)에서 진행되는 각각의 경주대상물(150)의 경주결과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감지부(20)와, 상기 경주장(10)에서 발생되는경주대상물(150)의 경주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촬영부(30)와, 상기 카메라촬영부(30)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화상처리부(40)와, 경주와 관련된 정보와 센서감지부(20)로부터의 경주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경주장(10)에서의 경주시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카메라촬영부(30)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중계서버(Server)를 포함한다.
상기 경주장(10)은 곤충, 소형동물, 로봇, 또는 경주용 미니어추어 차 등과 같이 이동이 가능한 대상물들을 수용하고 동일한 다수 대상물들에 의한 경주가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경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서 경주장(10)의 크기와 구조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경주장(10)에 대한 일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4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경주장(10)은 경주대상물로서 체구가 매우 작은 곤충, 특히 개미를 위하여 설계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개미를 차단하기 위한 경주장펜스(101)가 사각형으로 둘러쳐져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내부를 분리하기 위한 다수의 분리판(10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치판(102)의 갯수는 경주대상물의 숫자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다. 경주장(10)의 길이도 또한 경주대상물에 따라서 가변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상기 분리판(102)에 의하여 주행로공간(105)이 형성되며, 이 주행로공간(105)을 통하여 경주대상물들이 경주를 하게 된다.
또한 주행로공간(105)의 우측단부에는 경주대상물의 도착을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센서(201,202,..,n)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센서들은센서감지부(20)에 포함되어 있으며, 감지센서들의 숫자도 역시 경주대상물의 숫자에 따라서 변경시킬 수 있다.
다수의 분리판(10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게이트(10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103)는 경주대상물들이 경주시작전에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발선역할을 한다.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게이트(103)는 분리판(102)의 일측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주행로공간(105)을 두 부분으로 분리시킨다. 도면에서 좌측의 벽쪽에 인접한 부분의 차단공간에 경주대상물인 개미들이 투입된다. 투입된 개미(150)들은, 도 2를 참고하면, 게이트(103)에 의하여 차단된 공간에 갖혀 있다가 게이트(103)가 회동함에 따라서 개방되어서 주행로공간(105)을 이동하게 된다. 주행로공간(105)의 타측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하부에 설치된 감지센서(202)에 의하여 도착이 감지되며, 먼저 도착하는 순서에 따라서 다수의 감지센서(201,202,..,n)들로부터 각각 순서대로 신호가 생성된다. 이 순서에 의하여 순위가 결정된다.
도 3은 다수의 경주대상물(150)들이 출발신호를 기다리는 경주장(10)의 평면도이다. 차단된 공간에 다수의 경주대상물(150)들인 개미들이 투입되어 있으며 게이트(103)의 일측단부에는 모터(60)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서버(server)로부터의 작동신호에 따라서 모터(60)가 게이트(103)를 회동시키고 이에 따라서 주행로공간(105)이 하나의 공간으로 연통된다. 게이트(103)의 구조는, 정면도인 도 4를 참고하면, 분리판(102)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부(103a)가 형성되어 있어서 분리판(102)과 틈새없이 형합된다. 따라서 경주대상물이 다른 칸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경주장(10)의 상부 및 측면에 필요한 숫자만큼의 카메라가 설치된다. 카메라들은, 카메라촬영부(30)에 포함되어 있으며, 경주대상물(150)들의 경주상태를 실시간으로 영상화시켜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경주장(10)의 상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전체적인 경주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화면을 잡을 수 있도록 측면에 카메라를 설치(이 때 경주장펜스(101)는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한다)하거나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각각의 경주대상물(150)들의 경주상태를 개별적으로 촬영하도록 카메라들을 배치할 수 있다. 다수의 카메라들에 의하여 동시에 촬영되는 영상은 단독영상 또는 분할된 다수의 화면으로 각각 표시된다. 이러한 화면표시는 중계서버에 의하여 수행된다.
카메라촬영부(30)에 구비된 각각의 카메라들에 의하여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중계서버(server)에 내장되거나 또는 독립적인 유닛으로 존재하는 화상처리부(미도시됨)에 의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 처리된다. 이렇게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은 인터넷을 통하여 경주실황데이터를 전송하고 또한 화면의 합성을 위한 것이다.
상기 중계서버(server)은 상기 경주장(10)과 상기 센서감지부(20)와 상기 카메라촬영부(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경주결과를 판단하고 경주진행상황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중계 서버는 제어부와, 표시부와, 모뎀과, 롬/램과, 입력부와, 데이터저장부와 인터넷 웹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이 후에 설명된다. 또한본 발명에서는 경주를 더 흥미있게 하기 위하여 경주대상물들에 대하여 내기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내기는 소액금액의 한도내에서 미성년자들을 배제시킨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계서버(server)와 은행서버(120,130)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어서 진행된다.
다시말하여, 내기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접속자(또는 사용자)는 중계서버(server)에 접속한 후에 경기일정 및 조편성 표시화면상에서 회원으로 참가하여 소정금액을 경주대상물에 걸면, 회원의 은행서버(120,130)와 연계된 계좌에서 소액금액이 이체되고, 참가희망자에 의한 참가신청이 완료된 후에, 경주결과에 따라서 금액이 배분된다. 내기에 참가를 위하여 회원은 계좌번호, 회원이름, 주민등록번호 또는 계좌소유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중계서버(server)의 블럭구성도로서,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전체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와, 경주장(10)의 경주개시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되는 게이트용 모터(60)와, 인터넷 통신망 또는 전용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뎀(70)과, 제어용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램(80)과,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90)와,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작동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100)와,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경주관련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50)는 통상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있으며, 롬/램(8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제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을 제어한다. 상기 롬/램(80)은 데이터 및 제어프로그램의 저장 및 읽기/쓰기가 가능한 메모리소자등을 사용한다.
도 7은 상기 제어부(50)의 블럭구성모듈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것들은 프로그램형태로 롬/램(80)에 저장되었다가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작동시에 제어부(50)에 적재되어서 수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경주대상물들의 경기일정 및 조편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경기일정 및 조편성 출력모듈(501)과, 화상처리부(4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출력제어모듈(502)과, 모뎀(70)을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제어모듈(503)과, 센서감지부(20)로부터 입력되는 경주대상물들의 경기결과를 검출하고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경주상태 및 결과표시모듈(504)과, 상기 화상처리부(40) 및 센서감지부(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처리하고 작동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모듈(505)과, 경주대상물에 대한 내기를 위하여 참가하는 회원들을 관리하는 것으로 계좌번호등의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저장하기 위한 참가자관리모듈(506)과, 내기를 위하여 지불하는 금액의 합산, 참가자숫자의 합산, 배당률산출 및 경기결과에 따른 배당금산출과 상기 참가자관리모듈(506)에 저장된 계좌정보를 이용하여 이체를 수행하는 배당금관리모듈(507)을 포함한다.
상기 경기일정 및 조편성출력 모듈(501)은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로서 경주를 위한 경주대상물과 경주일정등이 결정되면 인터넷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경주 및 날자등을 표시하도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되는 경주관련데이터의 일례가 도 10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화면출력제어모듈(502)은 화상처리부(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출력방식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모듈(50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화면출력방식을 하나 또는 다수의 분할된 화면으로 출력한다. 하나의 화면의 출력은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전체 진행 상황을 출력할 수 있으며, 분할된 화면은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상태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이다. 화면출력제어모듈(502)에 의한 화면은 표시부(110)(모니터화면)를 통하여 표시되며, 이것이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컴퓨터(140,141,142,..)의 모니터화면을 동시에 표시되도록 출력을 제어한다. 화면표시를 위한 명령입력은 관리자가 입력부(90)를 이용하여 수행하며, 입력된 화면표시명령에 따라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통신제어모듈(503)은 하드웨어장치인 모뎀(70)을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것은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콘텐츠를 표시하는 인터넷 통신을 위한 것이며, 또다른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주상태 및 결과표시모듈(504)은 센서감지부(20)의 감지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에 따라서 경주대상물들의 순위를 검출하여 그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경주진행중에 각각의 경주대상물(150)들의 주행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주행상태의 표시는 예를 들어서 주행로공간(105)의 이동거리를 숫자로 표시하거나 남은 거리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리이동상태의 측정을 위하여 주행로공간(105)에 일정한 간격으로 거리이동측정용 감지센서들을 설치한다. 상기 거리이동측정용 감지센서들은 결승선에 설치된 것과 같은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각 감지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해석을 각각 다르게 판단하여 진행상태 및 결승선 도달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결승선에 부착된 감지센서(201,202,..,N)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결승점도착으로 구분하고 나머지 감지센서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이동상태신호로 구분한다. 이 때 각 감지센서들로부터의 신호입력상태에 따라서 경주대상물(150)의 이동상태를 막대(bar)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참가자관리모듈(506)은 경주대상물(150)들에 대하여 돈을 걸고 내기를 하는 경우에 내기에 참가하기 원하는 참가자들을 관리하는 것으로서, 내기에 거는 금액은 기존 휴대단말기(휴대폰, PDA, IMT2000 단말기등) 통신결제시스템, 기존 카드결재시스템, 기존은행결제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내기금액(betting)의 결제를 위하여 참가자관리모듈(506)은 휴대단말기 통신결제시스템, 카드결제시스템, 및 은형결제시스템과 접속하여 계좌이체등을 처리할 수 있는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참가자들은 경기일정 및 조편성 출력모듈(501)에 의하여 표시되는 경주대상물들의 경주일정을 참고하여 자신이 원하는 경주에 참가할 수 있다. 물론 참가를 원하지 않는 사람들은 참가하지 않고 경주중계만을 시청할 수 있다. 참가자관리모듈(506)은 참가자들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저장, 관리한다. 필요한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서 은행결제시스템과 연계되어 운영 할 경우 참가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은행계좌번호, 경주참가금액 등의 데이터가 된다. 은행계좌번호가 입력된 후에 중계서버(server)에서는 각 은행에 참가자들이 제시한 참가금액을 계좌이체하도록 요청한다. 은행서버에서는 요청에 따라서 해당금액을 중계서버(server)의 관리자에 의하여 미리 신청된 서버은행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경주결과에 따라서 서버은행계좌로부터 배당금을 탈 수 있는 참가자들에게 이체한다. 또는 경주결과후에 배당금관리모듈(507)에 의하여 승리한 참가자들에게 직접 계좌이체할 수 있다.
참가자들에 의한 내기참가신청이 종료되면, 배당금관리모듈(507)에서는 참가자들에 대한 계좌이체완료데이터를 참가자관리모듈(506)로부터 입력받아서 승리한 참가자에 대한 배당금을 산출한다. 배당금의 산출은 종래 경마 또는 경륜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경주가 끝난후에 배당금관리모듈(507)에서는 경주결과에 따라서 할당된 배당금을 승리한 참가자의 은행계좌로 계좌이체시켜서 경주를 완료한다.
상기 모터(60)는, 다시 도 6을 참고하면, 경주장(10)의 게이트(103)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작동되어 게이트(103)를 개방시킴으로서 경주대상물들이 경주를 시작하도록 한다. 모터(60)는 스텝핑모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모터 대신에 게이트의 회전을 위하여 유압실린더, 솔레노이드 코일과 같은 구동수단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모뎀(70)은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T1 전용선 모뎀, 케이블 모뎀, ADSL 모뎀등과 같이 초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뎀을 이용한다.
상기 입력부(90)는 제어부(50)에 필요한 자료 입력 및 명령어 입력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휴대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의 키보드, 마우스, 전자펜, 특화된 전용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입력부(90)를 통하여 관리자는 경주에 관련된 자료, 예를 들면 경주대상물, 경주시간등을 입력시킨다.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는 무선으로 명령어 또는 자료를 입력시킬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100)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경주시간, 경주대상물에 대한 자료, 또는 내기에 참가하는 회원들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00)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드라이브, 광자기디스크드라이브등과 같이 읽기/쓰기가 가능한 저장매체가 된다. 상기 센서감지부(20)와 카메라촬영부(30)는 이미 설명되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도 8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중계서버(server) 관리자는 경주대상물, 조편성 및 경주일정 등이 확정되면, 중계서버에 경주관련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경주관련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인터넷 또는 전용통신망을 이용하여 공개한다. 도 10에는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표시되는 경주대상물과 조편성, 일정등이 기재된 화면의 일례가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경주에는 개미가 경주대상물로서 7(n)마리의 개미가 경기를 벌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사용자는 "경주개미 1-7(n)번" 을 눌러서 도 11과 같은 각 벼룩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참가한 각각의 개미에 대한 명칭, 체중, 전적 등과 같은 데이터가 표시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승자를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S100).
또한 사용자는 경기일정을 보는 도중에, 도 10에 표시된 "참가" 버튼을 눌러서 내기에 참가할 수 있다(S200). 내기참가는 각 경주에 대하여 경마 또는 경륜과 같이 소액의 내기돈을 걸고서 승자를 알아맞춘 참가자에게 경품 또는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두 참가하여야 하는 것이 아니라, 참가의사가 있는 사용자만을 대상으로 한다. 물론 미성년자의 참가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참가금액을 참가자들이 선택하지 못하도록 일정금액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9에는 "회원참가 접수 및 배당표시"의 단계가 구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참가를 원하는 사용자는 도 10에 표시된 "참가" 버튼을 눌러서 참가의사를 확인한다. 참가의사를 확인하면 중계서버(server)에서는 참가자의 모니터화면에 경주번호, 대상물선택, 참가금액, 참가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내기금액을 이체할 계좌번호, 필요하면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참가자에 의한 데이터입력이 확인되면 은행결제 경우 해당 은행계좌에서 참가금액을 중계서버의 은행계좌로 이체시키고 확인을 위한 참가번호를 부여한다.참가접수가 종료되면, 참가회원과 이체금액을 이용하여 배당률에 따른 배당금의 계산을 완료하고 각 참가회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한다(S200). 물론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카드결제등도 종래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2에는 참가자들에 의한 참가관련 데이터의 일례가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참가자들의 명칭(아이디), 선택대상물, 계좌번호, 참가금액등에 대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중계서버(server)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표시양식이다.
상기와 같이 배당금의 산출이 완료된 후에, 중계서버에 의하여 경주가 시작된다. 경주는 경주장(10)에 설치된 모터(60)를 작동시켜서 게이트(103)를 개방하여 경주대상물들이 동작함으로서 시작된다. 경주대상물들의 경주상황은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중계된다(S300). 경주결과가 입력되면 중계서버(server)에서는 경주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고(S400), 배당률에 따라 자금이체를 실시하여 하나의 경주를 종료한다(S500).
도 13에 도시된 것은 경주결과에 따른 배당금 당첨상황을 예시한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여기에는 경주대상물들에 대한 경주상황을 나타내는 그래픽화면이 표시되어 있으며, 특정 참가자에 대한 정보와 참가한 경주 및 당첨상황등이 표시되어 있다. 참가자는 성명이 "홍길동"이고 주민등록번호가 "700715-1155332"인 남성으로 참가한 게임은 G1이고 내기금액은 10,000원이며, 1번(L1)에 건 것이 표시되어 있다. 하부에 표시된 것을 해당 경주(G)에 참가중인 경주대상물들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 화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일실시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다른 형태로 변경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에서는 경주대상물로서 곤충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곤충 뿐만 아니라 쥐, 모르모트, 토끼 등과 같은 소형 동물, 또는 로봇,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미니어추어 카등과 같은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주장의 주행로도 직선주행로가 아니라 곡선 또는 미로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경주결과에 대한 예측성을 저하시킴으로서 더욱 흥미있는 경주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곤충, 소형 동물, 전자제어로봇 또는 미니어추어 카등과 같이 행동결과의 예측이 매우 어려운 경주대상물의 경주상황을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중계함으로서, 경주대상물의 영역을 더욱 확대하여 다양한 대상물에 대한 오락경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소액의 내기를 함으로서 경주결과에 대한 흥미를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곤충, 소형동물 또는 전자제어로봇, 미니어추어 카 등과 같은 경주대상물(150)을 수용하고 경주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경주장(10)과,
    상기 경주장(10)에서 진행되는 경주대상물(150)의 경주결과를 측정하도록 결승선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감지부(20)와,
    상기 경주장(10)에서 발생되는 경주대상물(150)의 경주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촬영부(30)와,
    상기 카메라촬영부(30)로부터 출력되는 다수의 영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화상처리부(40)와, 그리고
    경주와 관련된 정보와 센서감지부(20)로부터의 경주결과를 표시하고 상기 경주장(10)에서의 경주시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카메라촬영부(30)로부터 입력되는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하는 중계서버(Serv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서버(server)가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전체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와, 경주장(10)의 경주개시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되는 게이트용 모터(60)와, 인터넷 통신망 또는 전용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모뎀(70)과, 제어용 데이터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롬/램(80)과, 제어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90)와,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작동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저장부(100)와, 그리고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의 작동상태 및 경주관련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가 관리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경주대상물들의 경기일정 및 조편성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경기일정 및 조편성 출력모듈(501)과, 화상처리부(4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출력제어모듈(502)과, 뎀(70)을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통신제어모듈(503)과, 센서감지부(20)로부터 입력되는 경주대상물들의 경기결과를 검출하고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경주상태 및 결과표시모듈(504)과, 그리고 상기 화상처리부(40) 및 센서감지부(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처리하고 작동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모듈(50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이, 참가를 원하는 인터넷 또는 통신망 접속자에 대하여 경주대상물에 대하여 소정금액을 걸고서 내기를 하고, 내기결과에 따라서 배당금을 수령할 수 있는 "회원참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참가모듈이, 경주대상물에 대한 내기를 위하여 참가하는 회원들을 관리하는 것으로 계좌번호등의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저장하기 위한 참가자관리모듈(506)과, 내기를 위하여 지불하는 금액의 합산, 참가자숫자의 합산, 배당률산출 및 경기결과에 따른 배당금산출과 상기 참가자관리모듈(506)에 저장된 계좌정보를 이용하여 이체를 수행하는 배당금관리모듈(5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참가자관리모듈(506)이 내기금액(betting)의 결제를 위하여 참가자관리모듈(506)은 휴대단말기 통신결제시스템, 카드결제시스템, 또는 은형결제시스템과 접속하여 계좌이체등을 처리할 수 있는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주장(10)이 경주대상물에 따라서 직선, 곡선, 또는 미로형태로의 구조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감지부(20)가, 다수의 감지센서들이 주행로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서 경주대상물의 이동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이동상태를 막대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촬영부(30)에 포함된 카메라가 경주장(10)의 상부, 경주장(10)의 측면, 및/또는 경주장(10)의 주행로공간(105)의 정면에 설치되어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전체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KR1020020016352A 2002-03-26 2002-03-26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KR20030077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52A KR20030077304A (ko) 2002-03-26 2002-03-26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352A KR20030077304A (ko) 2002-03-26 2002-03-26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304A true KR20030077304A (ko) 2003-10-01

Family

ID=3237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352A KR20030077304A (ko) 2002-03-26 2002-03-26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73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69A (ko) * 2018-02-13 2019-08-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곤충 행동관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행동특성 확인 방법
KR20190130438A (ko) * 2018-05-14 2019-11-22 나병승 기마전 경기 운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024A (ja) * 1995-11-17 1997-06-06 Hiroyasu Nitsuta 遠隔投票システム
KR19990073202A (ko) * 1999-06-21 1999-10-05 송경호 실시간레이싱경기중계시스템
KR20000008314A (ko) * 1998-07-13 2000-02-07 진정철 인터넷 경마중계시스템
KR20010092831A (ko) * 2000-03-27 2001-10-27 김익주 인터넷을 통한 경주 게임 서비스 방법
KR20030022558A (ko) * 2001-09-11 2003-03-17 정화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이동체 게임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7024A (ja) * 1995-11-17 1997-06-06 Hiroyasu Nitsuta 遠隔投票システム
KR20000008314A (ko) * 1998-07-13 2000-02-07 진정철 인터넷 경마중계시스템
KR19990073202A (ko) * 1999-06-21 1999-10-05 송경호 실시간레이싱경기중계시스템
KR20010092831A (ko) * 2000-03-27 2001-10-27 김익주 인터넷을 통한 경주 게임 서비스 방법
KR20030022558A (ko) * 2001-09-11 2003-03-17 정화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이동체 게임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69A (ko) * 2018-02-13 2019-08-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곤충 행동관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행동특성 확인 방법
KR20190130438A (ko) * 2018-05-14 2019-11-22 나병승 기마전 경기 운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36694A1 (en) Handheld wagering game system and methods for conducting wagering games thereupon
CA255941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to-peer wagering game
US6848991B2 (en) Online game method and game system
US20180021671A1 (en) Scavenger Treasure Hunt Software Application
EP1191492A2 (en) Network game method and network game system
CN101681539A (zh) 模拟具有交互的主持人和游戏者的真实游戏环境
US6887150B2 (en) Racing game machine with virtual telescope
US20170243433A1 (en) Gesture based gaming controls for an immersive gaming terminal
US20030232641A1 (en) Wire/wireless internet lottery system using random-number generator
EP3769828A1 (en) Autonomous driving unit racing game providing method and racing device and system
KR101184134B1 (ko) 영상 골프 시스템 서버 및 네트워크 접속 장치
JP7398319B2 (ja) 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
EP1452213A1 (en) Method for a computer network racing game and an optical-mechanical generator of two random numbers used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4632767B2 (ja) 遊技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遊技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748162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64735A1 (en) Sports bett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00028463A (ko) 골프시뮬레이션 서버 시스템, 골프시뮬레이션 단말, 골프시뮬레이션 네트워크게임 시스템 및 방법
TWI402089B (zh) Game system and constitute the common point of the management device
KR20030077304A (ko) 오락용 경주중계시스템
KR20010067871A (ko) 카지노 영업현장의 실제게임을 원격지에서 애니메이션과그래픽화된 가상게임으로 실시간 동일하게 구현한 사이버카지노 게임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70094629A (ko) 게임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구비한 게임 시스템
JP2002325977A (ja) 遊技処理システム並びに遊技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9990073202A (ko) 실시간레이싱경기중계시스템
KR20100122201A (ko) 원격 게임 시스템 및 방법
JP202109315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