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6272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6272A
KR20030076272A KR10-2003-0012715A KR20030012715A KR20030076272A KR 20030076272 A KR20030076272 A KR 20030076272A KR 20030012715 A KR20030012715 A KR 20030012715A KR 20030076272 A KR20030076272 A KR 20030076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ixing
recording sheet
fixing mean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9804B1 (ko
Inventor
노야모토이
노가미유타카
가네사와요시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6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1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nd/or cooling areas or units, two step fix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14C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06Plurality of separate fixing are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09Pressure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2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 G03G2215/2032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the belt further entrained around additional rotating belt support memb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48Surface layer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고광택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소형의 조작성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록 시트 상(上)에 미정착 토너상(像)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에 존재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이들의 복사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두 개의 정착 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정전 전사 방식)을 이용한 복사기,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풀 칼라 전자 사진식 복사기, 및 풀 칼라 전자 사진식 프린터는 최근 시장 도입이 번성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진 화상 출력용으로서 사용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이 경우, 사진 화상의 화질로서는 그 표면은 고평활, 고광택의 출력 화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반 문장 등의 흑백 출력 화상에 대해서는, 저광택의 출력 화상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종래부터, 특공평4-31393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 장치와는 별도 유닛으로서 고평활, 고광택의 출력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특개평5-158364호 공보에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에 롤 정착기와 벨트 정착기의 2종류의 정착기를 직렬로 배치하고, 2종류의 정착기의 배치 순서, 및 조작의 조합에 의해 반송 롤러 및 반송 가이드 등의 보조부재를 이용해 기록 매체의 반송 경로를 변경하고, 롤 정착기만, 벨트 정착기만, 또는 롤 정착기와 벨트 정착기의 양쪽 모두의 정착에 의해 광택/반광택/비광택의 화상을 바꾸어 출력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더 개선해야 할 과제가 존재한다.
첫째로, 공간 절약화를 들 수 있다. 즉, 특공평4-31393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와 고평활, 고광택 출력용 장치 2대를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1대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특개평5-158364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내부에 비광택 화상 출력시에 사용하는 정착기와, 광택 화상 출력시에 사용하는 정착기의 2종류의 정착기가, 수평 위치(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 자체의 사이즈가 크게 되어,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고광택과 저광택, 혹은 비광택의 출력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 오피스만이 아니라, 서적 판매점, 가전 판매점 등에서의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사진 화상 출력용 및 일반 문장 카피 서비스용으로서의 수요도 높아지고 있는 오늘, 서적 판매점, 가전 판매점 등의 점포 면적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관점에서도, 화상 형성 장치의 공간 절약화가 요구되고 있다.
둘째로, 조작성의 향상을 들 수 있다. 즉, 특개평5-158364호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또한 화상 형성된 기록 매체가 화상 형성 장치의 측면 아래측으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된 기록 매체가 꺼내기 어려워 조작성에 뒤떨어진다. 반면, 기록 매체의 꺼냄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높이를 높이면, 화상 판독 장치의 높이도 이에 따라 높게 되고, 또한 조작성도 저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1관점에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을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1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4는 제 1 정착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5는 제 2 정착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6은 실시예 1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비교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8은 실시예 1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계를 설명하는 블럭도,
도 9는 고광택 프린트 모드에서 사용하는 전용 광택지를 설명하는 단면 개략도,
도 10은 2차 정착 장치에서의 2차 정착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기록 시트의 사이즈와 제 2 정착 장치의 소비 전력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막대 그래프,
도 12는 정착 벨트폭과 제 2 정착 장치의 스탠바이 시(時)의 소비 전력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13은 정착 벨트 폭에 대응한 최대 사이즈의 기록 매체를 정착시킨 경우에 필요한 제 2 정착 장치의 소비 전력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2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15는 2차 정착 유닛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2차 정착 유닛의 고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예 3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18은 실시예 4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 개략도,
도 19는 실시예 4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0은 실시예 5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복사기 9 중간 전사 벨트
12 2차 전사롤 14 벨트 클리닝 장치
15 제 1 정착 장치 17 용지 트레이
17a 픽업롤 19, 24 반송롤 쌍
20 레지스트롤 쌍 22 제 1 배출롤 쌍
25 제 1 배출 트레이 26 제 2 배출 트레이
27 제 2 배출롤 쌍 100 장치 본체
101 제 2 정착 장치 102 화상 판독 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인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광택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소형의 조작성이 뛰어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도 1, 도 2의 개념도를 이용해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제 2 정착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의 위치 관계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기록 시트 상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일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 상측에 존재하는 것이다(도 1의 실선 화살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정보를 얻는 원고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시트 상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 또한 상기 원고 판독 수단의 하측에 존재하는 것이다(도 1의 실선 화살표 1 및 실선 화살표 2 참조). 게다가,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제 1 정착 수단 상측에 존재하는 것이기도 하다(도 1의 실선 화살표 3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제 2 정착 수단과 제 1 정착 수단의 위치 관계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기록 시트 상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제 1 정착 수단의 상측에 존재하는 것이다(도 1의 실선 화살표 3 참조). 게다가,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제 1 정착 수단의 바로 위에는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고를 판독해 화상 정보를 얻는 원고 판독 수단과, 기록 시트 상에 미정착 토너상을 상기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제 1 정착 수단의 상측, 또한 상기 원고 판독 수단의 하측에 존재하는 것이다(도 1의 실선 화살표 3, 실선 화살표 2 참조). 게다가,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 상측에 존재하는 것이기도 하다(도 1의 실선 화살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제 2 정착 수단과 화상 형성 수단의 영역 관계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기록 시트상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다(도 1의 점선 화살표 4 참조).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중간 전사체의 바로위에 존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고를 판독해 화상 정보를 얻는 원고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시트상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원고 판독 수단의 바로 아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다(도 1의 점선 화살표 5 참조). 또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바로 위 영역, 또한 상기 원고 판독 수단의 바로 아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어도 좋다(도 1의 점선 화살표 4, 점선 화살표 5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정착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정착 수단에 이르는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가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에 존재하는 것이다(도 1의 실선 화살표 1 참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정착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정착 수단에 이르는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가 적어도 반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에 존재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정착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정착 수단에 이르는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의 전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에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수단의 (수직 방향) 위치를 문제로 할 때에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수단에서는 기록 시트 상에 토너상을 형성하는 위치 (최종 전사 위치)를, 제 1 및 제 2 정착 수단에서는 기록 시트를 정착하는 위치(정착 위치)를, 원고 판독 수단에서는 원고를 판독하여 화상 정보를 얻는 위치(광전 변환위치)를 각각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수단의 (수직 방향) 영역을 문제로 할 때에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수단에서는 잠상 담지체나 토너상 담지체 및 이것들 주위로 배치되는 각 전자 사진 프로세스(대전, 노광, 현상, 전사, 클리닝, 제전(除電))을 위한 각 장치를, 원고 판독 수단에서는 플래턴(platen) 투명체, 이동 캐리지, 조명 램프 등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위치의 관계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기록 시트를 수용하는 수용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이르는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는 수평 방향 성분보다도 수직 방향 성분이 크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록 시트를 수용하는 수용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이르는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는 대략 수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록 시트 상에 미정착 토너가 형성되는 위치와 그 기록 시트가 1차 정착되는 위치를 잇는 1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은 상기 1차 정착 직선의 수평 성분보다도 큰 것이다. 예를 들면, 기록 시트 상에 미정착 토너가 형성되는 위치와 그 기록 시트가 1차 정착되는 위치를 잇는 1차 정착 직선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이라도 좋다.
또한, 기록 시트가 1차 정착되는 위치와 2차 정착되는 위치를 잇는 2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은 상기 2차 정착 직선의 수평 성분보다도 작은 것이다. 예를 들면, 기록 시트가 1차 정착되는 위치와 2차 정착되는 위치를 잇는 2차 정착 직선은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이어도 좋다.
또한, 기록 시트 상에 미정착 토너가 형성되는 위치와 그 기록 시트가 1차 정착되는 위치를 잇는 1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과 수평 성분의 비율(수직 성분/수평 성분)은 그 기록 시트가 1차 정착되는 위치와 2차 정착되는 위치를 잇는 2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과 수평 성분의 비율(수직 성분/수평 성분)보다도 큰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수단의 바로 위에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는 상기 중간 전사체의 바로 위에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들과 같이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의 공간 절약화와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 및 상기 제 1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본체 유닛과, 상기 제 2 정착 수단을 포함해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한 2차 정착 유닛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저광택, 혹은 비광택의 일반 문장용의)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새롭게 2차 정착 유닛을 부설하는 것만으로 고광택 화상을 얻을 수 있어, 고광택 화상을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발,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가능한 2차 정착 유닛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2차 정착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설치 투영 면적은(도 2(b-1)의 S3, (b-2)의 S4 참조),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도 2(a)의 S1 참조)과 상기 2차 정착유닛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도 2(a)의 S2 참조)의 합보다도 작은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2차 정착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도 2(b-2)의 S4 참조),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도 2(a)의 S1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 및 상기 제 1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본체 유닛과, 상기 제 2 정착 수단을 포함해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한 후처리 유닛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후처리 유닛은 2차 정착된 기록 시트를 소망한 크기(사이즈)로 컷하는 절단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과 상기 후처리 유닛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의 합보다도 작게 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보다도 크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가능한 한 공간의 유효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후처리 유닛의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대한 돌출 부분의 바로 아래에는, 화상 형성장치의 주변 기기가 부설 가능하도록, 또는 부설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로서는, 코인 유닛 또는 카드 유닛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정착 수단으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사이즈는 상기 제 1 정착 수단으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사이즈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정착 수단으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사이즈를 제 1 정착 수단으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사이즈의 반 이하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 2 정착 수단으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최대 사이즈를 엽서 사이즈, 또는 사진의 L판 사이즈로 하고, 제 1 정착 수단으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최대 사이즈를 A3 사이즈로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2차 정착 장치가 소형화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이 아웃을 채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광택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공간 절약화와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소형의 제 2 정착 수단은 전력 절약에도 이바지한다. 고광택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사정으로부터 소비 전력량을 억제할 필요가 높다. 일반적으로, 고광택 화상 출력과 비광택, 저광택 화상 출력을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보통 종이 (비광택, 저광택 화상)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용 전원의 전력을 허용 한계인 1,50OW(l0OV 15A)까지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고광택처리를 위해서, 제 2 정착 수단으로서, 가열원을 더 사용하고, 고화질용의 화상 처리 장치와, 제 2 정착기의 드라이브ㆍ냉각 팬에 전력을 사용하면, 제 1 정착 수단과 제 2 정착 수단이 동시 동작한 경우, 장치 전체의최대 전력이 1,500W를 크게 넘어 버린다.
가령, 상용 전원을 2콘센트 준비한 경우라도, 일반적인 오피스, 서적 판매점, 가전 판매점 등의 사용 환경에서는, 원래 전원이 20A 브레이커이고, 최대로도 그 소비 전력을 2,000W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2,000W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 환경에 대규모 전원 공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제 1 정착 수단과 제 2 정착 수단의 가열원이, 동시에 점등하지 않게 제어하는 것으로써, 새로운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정착 수단만으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모드와, 제 1 및 제 2 정착 수단으로 기록 시트를 1차 및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 1 정착 모드에 의해 비교적 저광택의 화상을 출력하고, 제 2 정착 모드에 의해 고광택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어, 1대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저광택 및 고광택의 양쪽 모두의 화상 출력이 가능해져, 공간 절약에 이바지한다. 또한, 제 1 정착 수단으로 정착된 후에 제 2 정착 수단에 기록 시트가 반송되기 때문에,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의 방향이 도중에서 굽어져 있어도, 화상 디펙트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 결과, 진공식 반송 장치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개발,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절약의 관점으로부터는, 상기 제 1 정착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와 상기 제 2 정착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는 어느 것이나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에 배출되는 것, 상기 제 1 정착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와, 상기 제 2 정착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는 어느 것이나 화상 형성 수단의 바로 위에 배출되는 것, 상기 제 2 정착 수단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제 1 정착 모드에서의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가열원을 구비하는 가열 롤과 1 이상의 텐션(tension) 롤과, 이것들 가열 롤 및 텐션 롤에 의해 인장되는 무단(無端) 벨트와, 상기 무단 벨트를 사이에 끼워 가열 롤과 대치(對峙)하는 가압 롤을 갖고, 상기 기록 시트를 상기 무단 벨트와 가압 롤의 닙(nip)부분에서 가압하여 무단 벨트 표면에 부착시키고, 반송 후, 무단 벨트 표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기록 시트가 부착된 상태로 반송되는 무단 벨트의 이면에 접촉하고 상기 무단 벨트를 통해서 기록 시트를 냉각하는 냉각 부재를 갖는 것이라도 좋다. 이 냉각부재로서는, 상기 무단 벨트의 이면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 등을 들 수 있고, 더욱이 이 히트 싱크에 대해서 송풍(送風)하는 팬 부재를 병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정착 수단에 의해 2차 정착되는 기록 시트는 적어도 그 토너상을 보유하는 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열가소성 수지층은 토너상을 구성하는 토너 수지와 동질로 하여, 양 수지의 융해 온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광택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소형의 조작성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탠덤(tandem) 칼라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복사기(1)은 장치 본체(100)와 화상 판독 장치(원고 판독 수단)(1O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00) 내에는, 화상 출력부와 제 2 정착 장치(제 2 정착 수단)(101)이 내장되어 있다. 화상 출력부는 제 1 정착 장치(제 1 정착 수단)(15)와 화상 형성부(화상 형성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부는 복수의 텐션 롤에 인장되어 회전되는 무단상(無端狀)의 중간 전사 벨트(9)와 상기 중간 전사 벨트(9)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에 걸쳐 줄지어 있는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블랙(black)의 각색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유닛(1Y~K)과, 중간 전사 벨트(9)에 대치하는 벨트 클리닝 장치(14), 동일하게 중간 전사 벨트(9)에 대치하는 2차 전사 롤(12), 보통 종이(기록 시트)(18)(S), 전용 광택지(기록 시트)(18)(P)를 각각 수용하는 용지 트레이(17), 픽업 롤(17a), 반송 롤쌍(19, 24), 레지스트 롤쌍(20), 제 1 배출롤쌍(22), 제 1 배출 트레이(25), 제 2 배출 롤쌍(27), 제 2 배출 트레이(26)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유닛(1Y~K)는 감광체 드럼(2), 대전 롤(3), 현상 장치(5), 1차 전사롤(6), 드럼 클리닝 장치(7), 제전 롤(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제 1 정착 장치(15)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 제 1 정착 장치(15)는 소열용량(小熱容量)의 정착 롤(30)과, 가압 벨트(31)ㆍ가압 패드(32)로 되는 가압 벨트식 정착 장치이다. 정착 롤(30)은 알루미늄으로 되는 두께 1.5mm,외경 25mm, 길이 380mm의 코어(30a) 표면에, 고무 경도(JIS-A)가 33˚의 실리콘 고무로 되는 탄성체층(30b)을 두께 0.5mm, 길이 320mn로 피복하고, 또 탄성체층(30b)의 표면에 두께 30 마이크로m의 PFA 튜브로 되는 이형(離型)층(30c)을 피복해 형성되어 있다. 정착 롤(30)의 내부에는, 가열원으로서 650W의 할로겐 램프(33)가 배치되어 있고, 정착 롤(30)의 표면 온도가 소정의 온도(170˚C)가 되도록 내부로부터 가열한다.
가압 벨트(31)는 두께 75 마이크로m, 외경 30mm, 길이 330mm의 폴리이미드 벨트의 표면에, 두께 30 마이크로m의 PFA 튜브로 되는 이형층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 벨트(31) 내부에는 가압 벨트(31)를 정착 롤(30)에 압압(押壓)하여 닙을 형성하는 가압 패드(32)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 패드(32)의 압압 하중은 33Kg이고, 닙폭은 6.5mm이다. 가압 벨트(31)ㆍ가압 패드(32) 측에는 열원을 갖고 있지 않다.
도 5는 제 2 정착 장치(101)의 구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 제 2 정착 장치(101)는 열원을 갖는 가열 정착 롤(가열 롤)(40), 박리 롤(텐션 롤)(44), 스티어링 롤(텐션 롤)(45), 가열 정착 롤(40) 및 박리 롤(44)과 스티어링 롤(45)에 돌려 감아진 정착 벨트(무단 벨트)(47), 정착 벨트(47)을 통해서 가열 정착 롤(40)에 압압해 닙을 형성하는 가압 롤(42), 정착 벨트(47)의 회전 방향의 닙 하류측에서 정착 벨트(47)를 냉각하는 냉각기(냉각부)(46)를 갖고, 토너를 담지한 기록 시트(18)는 토너 화상이 정착 벨트(47)와 접하도록 닙부에 반송되어 가열 가압 정착되어, 냉각기(46)에서 정착 벨트(47) 및 기록 시트(18)가 냉각된 후에, 정착 벨트(47)와 기록 시트(18)를 박리하는 벨트 정착기이다.
가열 정착 롤(40)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제의 코어(40a)의 표면에, PFA 튜브 등의 불소 수지층으로 되는 이형층(40b)을 형성하고, 코어(40a) 중에, 할로겐 램프 등의 가열원(41)이 구비되고, 가열 정착 롤(40)의 표면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고, 정착 벨트(47)와 토너상이 형성된 기록 시트(18)를 가열한다. 가압 롤(42)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제의 코어(42a)의 주위에 고무 경도(JIS-A)가 40˚정도의 실리콘 고무 등으로 되는 탄성체층(42b)을 피복하고, 게다가 그 표면 PFA 튜브 등의 불소 수지층으로 되는 이형층(42c)을 형성하고, 코어(42a) 중에 할로겐 램프 등의 가열원(43)이 구비되고, 가압 롤(42)의 표면 온도가 소정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고, 정착시의 기록 시트(18)에 압력을 인가시키는 것과 동시에, 기록 시트(18)를 이면으로부터 가열시킨다. 가열 정착 롤(40)과 가압 롤(42)의 구성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록 시트(18)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정착 벨트(47)를 통해서 기록 시트(l8) 상에 정착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박리 롤(44)은 정착 벨트(47)로부터 기록 시트(18) 자신의 강성에 의해 박리시키는 것이고, 그 외 외경 형상(치수)은 정착 벨트(47)와 기록 시트(18)의 부착력, 및 정착 벨트(47)의 박리 롤(44)에의 감김 각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스티어링 롤(45)은 정착 벨트(47)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한쪽으로 치우침에 의해 벨트 단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한쪽의 축이 고정되고, 다른 쪽의 축을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가열 정착 롤(40)에 대해서 기울게 함으로써, 정착 벨트(47)가 치우친 경우 역방향으로 벨트의 진행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냉각기(46)는 정착 벨트(47)와 밀착하고 있는 기록 시트(18)를 냉각하기 위한 것이고, 정착 벨트(47)의 내주면에서, 또 가열 정착 롤(40)의 하류측, 박리 롤(44)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기(46)는 가열 정착 롤(40)과 가압 롤(42)에 의해 용융하게 된 기록 시트(18)의 표면의 투명 수지층(l8a)과 토너상을 냉각시키고, 화상 표면 전체를 정착 벨트(47) 표면에 따른 평활한 상태로 고화(固化)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정착 벨트(47)는 열경화형 폴리이미드제의 무단(無端) 형상 필름 위에, 두께 35 마이크로m의 실리콘 고무층 등을 피복한 것이 사용된다. 소비 전력의 면에서는 벨트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도적인 관점에서 폴리이미드 기재(基材)는 75 마이크로m 이상, 화질적인 관점에서 실리콘 고무층은 30 마이크로m 이상이 필요하다. 또한, 정착 벨트(47)는 가열 정착 롤(40)과 박리 롤(44), 스티어링 롤(45)의 사이에 걸쳐져, 가열 정착 롤(40)으로 종동(從動) 회전한다.
여기서, 제 2 정착 장치(101)는 화상 판독 장치(102)의 하측에 존재하고,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2차 전사 위치)의 상측,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에 존재하고, 제 1 정착 장치(15)의 상측에 존재하지만 바로 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제 2 정착 장치(101)는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하고, 또한 화상 판독 장치(102)의 바로 아래 영역에 존재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관한 칼라 복사기(1)의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를 설명하는 것이다. 제 1 정착 장치(15)로부터 제 2 정착 장치(101)를 거쳐 제 2 배출 트레이(26)에 이르는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P2)는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한편, 제 1 정착 장치(15)로부터 제 1 배출 트레이에 이르는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P1)는 화상 형성부의 바로 위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용지 트레이(17)로부터 제 1 정착 장치(15)에 이르는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P)는 대략 수직이다.
또한, 2차 전사 위치와 1차 정착 위치를 잇는 1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이 되어 있다. 또한, 1차 정착 위치와 2차 정착 위치를 잇는 2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은 상기 2차 정착 직선의 수평 성분보다도 작은 것이다. 또한, 제 2 정착 장치(101)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18)는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레이 아웃을 채용함으로써, 제 1로, 제 2 정착 장치(101)를 구비하는 것에 관계 없이, 전체의 장치(1)의 공간 절약(특히, 설치 면적에서의)이 도모되고, 제 2로, 기록 시트(18)가 비교적 높은 위치로 배출되기 때문에, 조작성에도 뛰어나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칼라 복사기(1)와 대략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칼라 복사기(비교예)이다. 또한, 양 복사기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칼라 복사기(1)와 비교예에 관한 칼라 복사기를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 관한 칼라 복사기(1)는 비교예에 관한 종래의 칼라 복사기와 대략 동일 사이즈인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칼라 복사기(1)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을 통상 프린트 모드(제 1 정착 모드)와 고광택 프린트 모드(제 2 정착 모드)로 나누어 설명한다.
도 8은 각 프린트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계를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이 제어계는 칼라 복사기(1)의 제어부(10)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10)의 계측 대상으로서, 복사기(1)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 PC나 도시하지 않은 복사기(1)의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제어 명령 신호, 도시하지 않은 제 1 정착 장치(15)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온도 신호, 도시하지 않은 제 2 정착 장치(101)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온도 신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의 제어 대상으로서, 반송 방향 전환 게이트(16)의 제어 명령 신호, 제 1 정착 장치(15)의 가열원에 공급되는 전력(P1), 제 2 정착 장치(101)의 가열원에 공급되는 전력(P2)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프린트 모드
우선, 통상 프린트 모드에서의 화상 출력에 대해서 설명한다. 퍼스널 컴퓨터 PC 등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칼라 화상 정보나, 화상 판독 장치(102)로부터 판독된 칼라 원고의 칼라 화상 정보 등이 입력되면, 입력된 화상 정보에 대해서 화상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중간 전사 벨트(9)로의 단색 토너상 형성의 동작을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유닛(1Y)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감광체 드럼(2Y)은 균일 대전 롤(3Y)에 의해 그 표면을 음극성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다음에 노광기(4)에 의해 (먼저 화상 처리가 된 화상 정보에 기초해) 옐로우 화상에 대응하는 상노광(像露光)이 되어, 감광체 드럼(2Y)의 표면에는 옐로우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 옐로우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5Y)에 의해서 옐로우 토너상이 되고, 1차 전사 수단 일부를 구성하는 1차 전사 롤(6Y)의 압접력(壓接力)및 정전흡인에 의해서 중간 전사 벨트(9) 상에 전사된다. 전사 뒤의 감광체 드럼(2Y) 상에 잔류한 옐로우 토너는 드럼 클리닝 장치(7Y)에 의해 벗겨내진다. 감광체 드럼(2Y)의 표면은 제전 롤(8Y)에 의해 제전된 후, 다음의 화상 형성 사이클을 위해 균일 대전 롤(3Y)에 의해 다시 대전된다.
다색의 칼라 화상 형성을 행하는 칼라 복사기(1)에서는 각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유닛(1Y, lM, 1C, lK)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를 고려한 타이밍으로, 상기와 같은 화상 형성 공정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유닛(1M, 1C, lK)에서도 행해져, 중간 전사 벨트(9) 상에 풀 칼라 토너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9) 상에 형성된 풀 칼라 토너상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2차 전사 위치로 반송되는 기록 시트(18) 상에 중간 전사 벨트(9)를 지지하는 백업 롤(13)과, 백업 롤(13)에 압접하는 2차 전사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2차 전사 롤(12)의 압접력 및 정전 흡인에 의해 전사된다.
기록 시트(18)는 칼라 복사기(1)의 하부에 배치된 기록 매체 수용부로서의 급지(給紙) 카셋트(17)으로부터, 소정의 사이즈의 것이 피드 롤(17a)에 의해 급지된다. 여기서, 통상 프린트 모드에서는, 기록 시트(18)로서 보통 종이(18(S))가 급지된다. 급지된 기록 시트(18)는 복수의 반송롤(19) 및 레지스트 롤(20)에 의해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중간 전사 벨트(9)의 2차 전사 위치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기록 시트(18)에는 상술한 것처럼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백업 롤(13)과 2차 전사 롤(12)에 의해서 중간 전사 벨트(9) 위로부터 풀 칼라 토너상이 일괄해 전사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9) 위로부터 풀 칼라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18)는 중간 전사 벨트(9)로부터 분리된 뒤, 2차 전사 수단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정착 장치(15)로 반송되어, 이 제 1 정착 장치(l5)에 의해서 열 및 압력으로 토너상이 기록 시트(18) 상에 1차 정착된다. 그리고, 2차 전사 수단에 의해 기록 시트(18) 상에 전사할 수 없었던 중간 전사 벨트(9) 상의 잔류 토너는 그대로 중간 전사 벨트(9) 상에 놓인 상태로 중간 전사체 클리닝 장치(l4)까지 반송되어, 클리닝 수단(l4)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9) 상에서 제거된다.
여기서, 통상 프린트 모드에서는 제어부(10)에 의해 반송 방향 전환 게이트(16)의 방향이 제어되어 반송 방향이 제 1 기록 매체 배출구(21)측으로 전환되어, 배출 롤(22)에 의해서 보통 종이 모드용 배지(排紙) 트레이(25) 상에 화상 형성면이 상향으로 배출된다.
고광택 프린트 모드
다음으로, 고광택 프린트 모드에서의 화상 출력에 대해서 통상 프린트 모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화상 정보의 입력, 화상 처리, 중간 전사 벨트(9)로의 풀 칼라 토너상의 형성에 대해서는 통상 프린트 모드와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한편, 급지 카셋트(17)로부터 소정의 사이즈의 것이 피드 롤(17a)에 의해 급지될 때, 고광택 프린트 모드에서는 기록 시트(18)로서 전용 광택지(18(P))가 급지된다. 이 전용 광택지(18(P))는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종이 기재(18b)의 한면에 폴리 에스테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것을 두께 5~20 마이크로m의 범위로, 예를 들면 10 마이크로m의 두께로 피복한 투명한 수상(受像)층(투명 수지층)(18a)을 설치한 것이다.
급지된 기록 시트(18)는 마찬가지로 풀 칼라 토너상이 일괄해 2차 전사되어, 1차 정착된다. 여기서 고광택 프린트 모드에서는 제어부(10)에 의해 반송 방향 전환 게이트(16)의 방향이 제어되어 반송방향이 제 2 정착 장치(101)측으로 전환되어 반송 롤(24)에 의해 제 2 정착 장치(101)측으로 반송된다(도 3 참조).
도 10은 제 2 정착 장치(101)에 의한 2차 정착의 동작을 설명하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 2 정착 장치(101)의 가열 정착 롤(40)에 돌려 감겨진 정착 벨트(47)와 가압 롤(42)에 의해 기록 시트(18) 상의 토너(49)가 전용 광택지(18(P)) 표면의 투명 수지층(18a) 내부에 묻혀서, 정착 벨트(47)에 밀착한 상태에서 반송, 냉각기(46)에 의해 소정의 온도에서 냉각된 후에, 박리 롤(44)부에 의해 정착 벨트(47)로부터 기록 시트(48)가 박리되고, 배출 롤(48)에 의해 고광택 프린트 모드용 배지 트레이(26) 위에 화상 형성면이 하향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제 2 정착 장치(101)에 반송되는 기록 시트(18) 상의 토너(49)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부에 배치된 제 1 정착 장치(15)에 의해 이미 일단 정착이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반송 방향 전환 게이트(16)에 의해 반송 방향 전환 동작을 했을 때에, 화상 형성면이 반송 지지 부재 등과 접촉한 경우에 있어서도 화상 왜곡 등의 화질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한 대의 칼라 복사기(1)에서 1차 정착만에 의해 저광택도의 화상 출력을 행하는 통상 프린트 모드와, 1차 및 2차 정착에 의해 고광택도의 화상 출력을 행하는 고광택도 프린트 모드를 구비하기 때문에, (각각 개별 화상 형성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제 2 정착 장치(101)는 소비 전력의 감소, 소형화, (결과적으로) 칼라 복사기(1)의 조작성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하, 이들의 구성을 변형예 1, 변형예 2로서 설명한다.
변형예 1
이 변형예에서는 제 2 정착 장치(101)에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18)의 최대 사이즈를 제 1 정착 장치(15)에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최대 사이즈보다도 작은 것으로 설정했다. 즉, 제어부(10)의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일정 이상의 사이즈의 기록 시트(18)에 대해서는 고광택 프린트 모드를 선택할 수 없도록 설정한다.
도 11은 제 2 정착 장치(101)에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18)의 사이즈와 각 사이즈에서의 제 2 정착 장치(101)의 소비 전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막대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 2 정착 장치(101)에서는 기록 시트(18)를 정착 벨트(47)와 함께 가열, 냉각하는 사이클을 반복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매우 크게 되어 있고, 기록 시트(18)를 A4 횡(long-edge) 전송(LEF) 8ppm으로 하면, 제 2 정착 장치(101)만으로 약 1000W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제 1 정착 장치(15)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1500W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합계로 2000W 이상의 전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제 2 정착 장치(101)에서 출력되는 기록 시트(18)의 사이즈를 고광택, 고평활 화상이 요구되는 우편엽서 또는 사진의 L판으로 한정함으로써, 제 2 정착 장치(101)의 총 소비전력이 약 800W로 되고, 약 200W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2
이 변형예에서는, 제 2 정착 장치(101)의 (정착 벨트(47) 등의) 회전 축방향 길이를 제 1 정착 수단(15)의 (정착 롤(30) 등의) 회전 축방향 길이보다 짧게 구성하고 있다.
도 12는 정착 벨트(47)의 회전축 방향 길이 (폭)와 제 2 정착 장치(101)의 스탠바이(공회전)시의 소비 전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13은 제 2 정착 장치(1O1)의 정착 벨트(47) 폭에 대응한 최대 사이즈의 기록 매체를 정착시킨 경우에 필요한 제 2 정착 장치(l01)의 소비 전력을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이들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소비 전력은 정착 벨트(47)의 폭에 비례하고 있고, 소비 전력은 정착 벨트(47)에 의한 전력 로스가 크게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사진 모드로 출력되는 기록 시트(18)의 사이즈를 고광택, 고평활 화상으로서의 요구가 높은 우편 엽서나 사진의 L판에 한정한 제 2 정착 장치(1O1), 즉 제 2 정착 장치(101)의 가열 정착 롤(40), 가압 롤(42), 또 소비 전력 로스가 큰 정착 벨트(47)의 축방향 길이를 L판 사이즈가 정착 가능한 길이(약 165mm)까지 짧게 함으로써, 제 2 정착 장치(l0l)에서의 소비 전력을 380W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A4 횡전송(LEF) 우편엽서
정착 및 가열 롤 가압 롤 정착 및 가열 롤 가압 롤
롤 구성 외경 φA mm φA mm φ0.7A mm φ0.7A mm
탄성체층 두께 없음 B mm 없음 B mm
코어 두께 C mm C mm 1.5C mm 0.5C mm
길이 D mm D mm 0.5D mm 0.5D mm
닙 폭 E mm E mm
설정 부하 F kgf 0.5F kgf
휨량 43.6 ㎛ 56.8 ㎛ 6.5 ㎛ 22.1 ㎛
표 1은 제 2 정착 장치(101)의 축방향 길이를 A4 사이즈 횡전송에 대응시킨 길이, 우편 엽서 사이즈에 대응시킨 길이로 구성한 경우의 각 롤 구성, 휨량의 설계값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표 1 중, A, B, C, D, E, F는 어느 것이나 어떤 설정값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 2 정착 장치(l01)의 축방향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정착 특성 (화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가열 정착 롤과 가압 롤을 소경화(小徑化)(약 3할 감소)할 수 있었다. 게다가 가압 설정 하중을 저감(약 5할 감소)할 수 있어, 강도 부재인 가압 구조 부재, 및 제 2 정착 장치(101)를 구성하는 부품을 소형화할 수 있었다. 가열 정착 롤(40)과 가압 롤(42)의 소경화와, 가압 설정 하중을 저감에 따른 구성 부품의 소형화에 의해, 제 2 정착 장치(101)를 약 3할 소형,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변형예 3
이 변형예에서는, 제 1 정착 장치(15)의 가열원(加熱源)인 할로겐 램프(33)와 제 2 정착 장치(101)의 가열원인 할로겐 램프(41, 43)에 동시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게, 제어부(10)의 제어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것이다(도 8 참조). 즉, 제 1정착 장치(15)의 온도가 그 설정 온도를 밑돌고, 동시에 제 2 정착 장치(101)의 온도가 그 설정 온도를 밑돈 경우라도, 제어부(1O)는 한 쪽의 가열원에밖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설정한다(P1 또는 P2). 이 때, 보다 열용량이 작은 정착 장치(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정착 장치(15))의 가열원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변형예 1~3의 조치에 의해, 제 2 정착 장치(101)의 소전력화, 가열원이 동시 점등하지 않게 ON/OFF 제어나 동작 타이밍 제어 등을 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0)와 제 2 정착 장치(101)의 소비 전력을 1,500W 이하로 하고, 일반적인 오피스ㆍ편의점 등의 사용 환경(전원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정착 장치(101)의 소형, 박형화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 상부에 제 2 정착 장치(101)를 배치했을 때에도, 화상 판독 장치(102)의 배치 높이가 높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판독 장치(102)의 조작성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실시예 2
도 14는 본 실시예에 관한 탠덤형 칼라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복사기(1)는 장치 본체 유닛(화상 형성 본체 유닛)(100U)와 화상 판독 장치(원고 판독 수단)(102)와 장치 본체 유닛(10OU)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2차 정착 유닛(101U)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2차 정착 유닛(101U)는 화상 판독 장치(102)의 하측에 존재하고,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2차 전사 위치)의 상측에 존재하고, 제 1 정착 장치(15)의상측에 존재한다. 그리고, 2차 정착 유닛(101U)은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하고, 또한 화상 판독 장치(102)의 바로 아래 영역에 존재한다. 그리고, 제 1 정착 장치(15)로부터 2차 정착 유닛(101U)에 이르는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의 전부는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또, 2차 전사 위치와 1차 정착 위치를 잇는 1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이 되어 있다. 그리고, 1차 정착 위치와 2차 정착 위치를 잇는 2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은 상기 2차 정착 직선의 수평 성분보다도 작은 것이다. 그리고, 2차 정착 유닛(101U)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18)는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에 배출된다.
이러한 레이아웃을 채용함으로써, 제 1로, 2차 정착 유닛(101U)을 장착하고 있는 것에 관계없이, 전체 장치(1)의 공간 절약(특히, 설치 면적에서의)이 도모된다. 즉, 장치 본체 유닛(10OU)에 2차 정착 유닛(101U)을 부설한 복사기(1)의 설치 투영 면적은 장치 본체 유닛(10OU)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2로, 기록 시트(18)가 비교적 높은 위치로 배출되기 때문에, 조작성에도 뛰어나다. 제 3으로, 2차 정착 유닛(101U)을 장치 본체 유닛(10OU)과 별도 유닛화함으로써, 기존의 통상 프린트 모드만의 화상 형성 장치(장치 본체 유닛(10OU))에 제 2 정착 장치(101)(2차 정착 유닛(101U))를 부착할 수 있게 되어,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새롭게 개발하지 않고, 고광택(사진 화상)과 비광택(일반 문장 등)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구체적인 2차 정착 유닛(101U)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2차 정착 유닛(101U)의 저면 및 측면 등에 복수의 지지부재(60), 및 복수의 고정부(61)를 마련하고, 직접 장치 본체 유닛(100U) 상에 고정할 수도 있고, 도 16에 나타내는 것처럼, 2차 정착 유닛(101U) 표면, 또는 측면에 복수의 지시 부재(60)를 마련해, 화상 판독 장치(102)의 저면부, 또는 화상 판독 장치(102)를 떠받치고 있는 화상 판독 장치 부착 부재(103) 등에 매다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17은 본 실시예에 관한 탠덤형 칼라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복사기(1)는 장치 본체 유닛(화상 형성 본체 유닛)(100U)과 화상 판독 장치(원고 판독 수단)(102)와 장치 본체 유닛(100U)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후처리 유닛(103U)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후처리 유닛(103U)의 내부에는 제 2 정착 장치(101)와 제 2 정착 장치(101)보다도 기록 시트(18)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절단 장치(절단 수단)(103)를 구비하고 있고, 후처리 유닛(103U)과 일체적으로 제 2 배출 트레이(26)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절단 장치는 반송 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의 2개소에 길로틴 커터를 구비해, 이들 두 개의 길로틴 커터의 사이에 롤 커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되는 전용 광택지(18(P))는 소정 위치에서 일단 정지되어, 그 반송 방향 상류단 및 하류단이 각각 길로틴 커터로 절단된다. 한편, 전용 광택지(18(P))의 반송 방향측단부는 반송 중에 롤 커터에 의해 절단된다. 또한, 이러한 절단 장치(103)에 의해, 전용 광택지(18(P))의 주변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비화상 영역이 잘려 떨어뜨려져, 은염 사진 프린트와 마찬가지로, 전용 광택지(18(P))의 전(全)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절단 장치(103)의 구성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전용 광택지(18(P))를 소정의 크기(사이즈)로 절단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여기서, 제 2 배출 트레이(26)를 포함하는 후처리 유닛(103U)은 화상 판독 장치(102)의 하측에 존재하고,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2차 전사 위치)의 상측에 존재하고, 제 1 정착 장치(15) 상측에 존재한다. 그리고 후처리 유닛(103U)의 일부는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하고, 또한 화상 판독 장치(102)의 바로 아래 영역에 존재한다. 또한 제 1 정착 장치(15)로부터 후처리 유닛(103U)에 이르는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의 전부는,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또, 2차 전사 위치와 일차 정착 위치를 잇는 1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이 되어 있다. 그리고, 1차 정착 위치와 2차 정착 위치를 잇는 2차 정착 직선의 수직 성분은 상기 2차 정착 직선의 수평 성분보다도 작은 것이다.
그리고, 화상 형성 본체 유닛(100U)에 후처리 유닛(103U)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화상 형성 본체 유닛(10OU)의 설치 투영 면적보다도 크고, 후처리 유닛(103U)의 화상 형성 본체 유닛(100U)에 대한 돌출 부분(제 2 배출 트레이(26))의 바로 아래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변 기기로서의 코인 유닛(104U)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코인 유닛(104U) 대신에, 선불 카드 유닛을부설할 수도 있다.
이러한 레이아웃을 채용함으로써, 제 1로, 후처리 유닛(103U)을 장착하고 있는 것에 관계없이, 전체 장치(1)의 공간 절약(특히, 설치 면적에서의)이 도모된다. 즉, 장치 본체 유닛(10OU)에 후처리 유닛(103U)을 부설한 복사기(1)의 설치 투영 면적은 장치 본체 유닛(100U)과 코인 유닛(104U)의 설치 투영 면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2로, 기록 시트(18)가 비교적 높은 위치로 배출되기 때문에, 조작성에도 뛰어나다. 제 3으로, 후처리 유닛(103U)을 장치 본체 유닛(100U)과 별도 유닛화함으로써, 기존의 통상 프린트 모드만의 화상 형성 장치(장치 본체 유닛(10OU))에 제 2 정착 장치(101)(2차 정착 유닛(101U))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져,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새롭게 개발하는 일 없이, 고광택(사진 화상)과 비광택(일반 문장 등)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가능하게하고 있다.
또한, 구체적인 후처리 유닛(103U)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실시예 2의 도 15와 마찬가지로, 후처리 유닛(103U)의 저면 및 측면 등에 복수의 지지 부재(60), 및 복수의 고정부(61)를 마련해, 직접 장치 본체 유닛(100U) 상에 고정할 수도 있고,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마찬가지로, 후처리 유닛(103U) 상면, 또는 측면에 복수의 지시 부재(60)를 마련해, 화상 판독 장치(102)의 저면부, 또는 화상 판독 장치(102)를 떠받치고 있는 화상 판독 장치 부착 부재(103) 등에 매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8은 본 실시예에 관한 탠덤형 칼라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복사기(1)는 장치 본체(100)와 화상 판독 장치(원고 판독 수단)(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치 본체(100) 내에는 화상 출력부와 제 2 정착 장치(제 2 정착 수단)(101)가 내장되어 있다. 화상 출력부는 제 1 정착 장치(제 1 정착 수단)(15)와 화상 형성부(화상 형성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배출 트레이(25)가 제 2 정착 장치(101) 상측에 존재하고, 제 1 정착 장치(15) 이후의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가 동일 방향(여기서는, 도면을 향해서 좌측)이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칼라 복사기(1)의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를 설명하는 것이다. 제 1 정착 장치(15)로부터 제 2 정착 장치(101)를 거쳐 제 2 배출 트레이(26)에 이르는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P2)는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하고 있다. 한편, 제 1 정착 장치(15)로부터 제 1 배출 트레이에 이르는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P1)도 화상 형성부의 바로 위 영역에 존재한다. 또한, 용지 트레이(17)로부터 제 1 정착 장치(15)에 이르는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P)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대략 수직이다.
또, 통상 프린트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18)와 고광택 프린트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18)는 어느 것이나 화상 형성부의 상측에 배출되고, 특히 화상 형성부(예를 들면, 중간 전사 벨트(9))의 바로 위로 배출된다. 즉, 제 2 정착 장치( 101)의 상측에 통상 프린트 모드에서의 기록 시트(18)의 반송 경로가 존재한다.
이러한 레이 아웃을 채용함으로써 제 1로, 제 2 정착 장치(101)를 구비하는것에 관계없이, 전체 장치(1)의 공간 절약(특히, 설치 면적에서의)이 도모되고, 제 2로, 기록 시트(18)가 비교적 높은 위치로 배출되기 때문에, 조작성에도 뛰어난 것 외, 제 3으로, (실시예 1에 비교해) 제 1 배출 트레이(25) 분만큼 장치(1)의 설치 투영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20은 본 실시예에 관한 탠덤형 칼라 복사기(화상 형성 장치)(1)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 복사기(1)는 장치 본체 유닛(화상 형성 본체 유닛)(100U)과 화상 판독 장치(원고 판독 수단)(1O2)와 장치 본체 유닛(10OU)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2차 정착 유닛(101U)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4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레이아웃을 채용함으로써, 제 1로, 제 2 정착 장치(101)를 구비하는 것에 관계없이, 전체 장치(1)의 공간 절약(특히, 설치 면적에서의)이 도모되고, 제 2로, 기록 시트(18)가 비교적 높은 위치로 배출되기 때문에, 조작성에도 뛰어난 것 외, 제 3으로, (실시예 1에 비교해) 제 1 배출 트레이(25) 분만큼, 장치(1)의 설치 투영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4로, 2차 정착 유닛(101U)을 장치 본체 유닛(10OU)과 별도 유닛화함으로써, 기존의 통상 프린트 모드만의 화상 형성 장치(장치 본체 유닛(10OU))에 제 2 정착 장치(101)(2차 정착 유닛(101U))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져,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새롭게 개발하지 않고, 고광택(사진 화상)과 비광택(일반 문장 등)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고광택의 화상을 출력할 수 있는 소형의 조작성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9)

  1. 기록 시트 상(上)에 미정착 토너상(像)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원고를 판독해 화상 정보를 얻는 원고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록 시트상에 미정착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미정착 토너상을 보유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수단과,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된 기록 시트를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 또한 상기 원고 판독 수단의 하측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제 1 정착 수단의 상측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제 1 정착 수단의 바로 위에는 존재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상기 중간 전사체의 바로 위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기록 시트를 수용하는 수용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이르는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는 수평 방향 성분보다도 수직 방향 성분이 큰 화상 형성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기록 시트를 수용하는 수용 트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 1 정착 수단에 이르는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는 대략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착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정착 수단에 이르는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는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는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의 바로 위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벨트 형상의 중간 전사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정착 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록 시트는 상기 중간 전사체의 바로 위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 및 상기 제 1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본체 유닛과, 상기 제 2 정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한 2차 정착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2차 정착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과 상기 2차 정착 유닛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의 합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2차 정착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 및 상기 제 1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본체 유닛과, 상기 제 2 정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한 후처리 유닛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유닛은 2차 정착된 기록 시트를 소망한 크기로 자르는 절단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과 상기 후처리 유닛 단독의 설치 투영 면적의 합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대한 상기 후처리 유닛의 돌출 부분의 바로 아래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변 기기가 부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대한 상기 후처리 유닛의 돌출 부분의 바로 아래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변 기기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는 코인 유닛 또는 카드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에 상기 후처리 유닛을 부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설치 투영 면적은 상기 화상 형성 본체 유닛의 설치 투영 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으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사이즈는 상기 제 1 정착 수단으로 정착 가능한 기록 시트의 사이즈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착 수단만으로 기록 시트를 1차 정착하는 제 1 정착 모드와, 제 1 및 제 2 정착 수단으로 기록 시트를 1차 및 2차 정착하는 제 2 정착 모드를 선택하는 제어 수단을 더 갖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착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와, 상기 제 2 정착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는 어느 것이나 화상 형성 수단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착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와 상기 제 2 정착 모드로 정착된 기록 시트는 어느 것이나 화상 형성 수단의 바로 위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제 1 정착 모드에서의 기록 시트의 반송 경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은 가열원을 구비하는 가열 롤과, 1 이상의 텐션 롤(tension roll)과, 이들 가열 롤 및 텐션 롤에 의해 인장되는 무단(無端) 벨트와, 상기 무단 벨트를 사이에 끼워 가열 롤과 대치(對峙)하는 가압 롤을 갖고,
    상기 기록 시트를, 상기 무단 벨트와 가압 롤의 닙부분에서 가압하여 무단 벨트 표면에 부착시키고, 반송 후, 무단 벨트 표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착 수단에 의해 2차 정착되는 기록 시트는 적어도 그 토너상을 보유하는 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30012715A 2002-03-19 2003-02-28 화상 형성 장치 KR100559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76850 2002-03-19
JPJP-P-2002-00076850 2002-03-19
JP2002275880A JP2003345156A (ja) 2002-03-19 2002-09-20 画像形成装置
JPJP-P-2002-00275880 2002-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272A true KR20030076272A (ko) 2003-09-26
KR100559804B1 KR100559804B1 (ko) 2006-03-15

Family

ID=2804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715A KR100559804B1 (ko) 2002-03-19 2003-02-28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50727B2 (ko)
JP (1) JP2003345156A (ko)
KR (1) KR100559804B1 (ko)
CN (1) CN126407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6191B2 (ja) * 2002-09-24 2010-01-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定着方法
JP4506225B2 (ja) * 2004-03-23 2010-07-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292652A (ja) * 2004-04-02 2005-10-20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05103837A1 (ja) * 2004-04-26 2005-11-03 Canon Kabushiki Kaisha 定着方法及び定着装置
US7672634B2 (en) * 2004-11-30 2010-03-02 Xerox Corporation Addressable fusing for an integrated printing system
JP4652796B2 (ja) * 2004-12-14 2011-03-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36866B2 (ja) * 2004-12-14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
JP2006227065A (ja) * 2005-02-15 2006-08-3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51062A (ja) * 2005-03-08 2006-09-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706293B2 (ja) * 2005-03-22 2011-06-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96308B2 (en) * 2005-07-20 2009-02-24 Fujifilm Corporation Image transferring and forming apparatus
JP4577148B2 (ja) * 2005-08-12 2010-11-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4829709B2 (ja) * 2005-09-05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821301B2 (ja) 2005-12-13 2011-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8134309A (ja) * 2006-11-27 2008-06-1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497217B2 (ja) * 2008-03-06 2010-07-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材処理装置
JP2011075780A (ja) * 2009-09-30 2011-04-14 Seiko Epson Corp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60824B2 (ja) * 2011-12-09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KR20210041320A (ko) * 2019-10-07 2021-04-1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프린터 용지의 선택적 광택 처리
US11838048B2 (en) * 2020-01-17 2023-12-05 Infinera Corporation SD-FEC defect propagation across regeneration nodes in support of single and multi-carrier super channel protection in ROADM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8364A (ja) 1991-12-03 1993-06-25 Konica Corp 光沢、非光沢と、切り替えて定着する画像形成装置
US5659864A (en) * 1994-04-22 1997-08-19 Minolta Co., Ltd. Dual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0131893A (ja) 1998-10-27 2000-05-12 Fujitsu Ltd 両面印刷装置
JP3302337B2 (ja) * 1999-04-15 2002-07-15 富士通株式会社 両面印刷装置
US6272310B1 (en) 1999-10-20 2001-08-07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fuser system having post-fuser media conditioner
JP2002196598A (ja) * 2000-12-27 2002-07-12 Ricoh Co Ltd 画像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4072C (zh) 2006-07-12
KR100559804B1 (ko) 2006-03-15
US6850727B2 (en) 2005-02-01
JP2003345156A (ja) 2003-12-03
US20030180074A1 (en) 2003-09-25
CN1445623A (zh) 200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804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587087B2 (ja) 定着装置
US88919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oner image on recording medium
US7917074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79219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8120517A (ja) 画像形成装置
US8331840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interdigitated rollers
US20180299807A1 (en)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169893A (ja) 定着装置及び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10160290A (ja) 定着装置および、該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7447473B2 (en) Fixing device with pressing member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447451B2 (en) Image printing apparatus with fixing device
JP2008107390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21413B2 (ja) 画像形成装置
US8781382B2 (en) Fix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154974B2 (ja) 後処理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927612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1051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09905A (ja) 画像形成装置
WO2017111180A1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85960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098654A (ja) 複連式画像形成装置
JP2012194298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4680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73030A (ja) 定着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