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4179A - 음극선관 및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및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4179A
KR20030074179A KR10-2003-0013121A KR20030013121A KR20030074179A KR 20030074179 A KR20030074179 A KR 20030074179A KR 20030013121 A KR20030013121 A KR 20030013121A KR 20030074179 A KR20030074179 A KR 2003007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voltage
electrode plate
panel
fluoresc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키레오
오노히로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4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4Deflecting by electric fields only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음극선관은 패널, 퍼늘 및 네크를 포함하고, 그 내부가 밀봉되어 있는 벌브; 패널의 내부면의 형광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빔을 방사하는 전자총; 전자기 편향효과를 통하여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전자기 편향요크; 정전 편향 효과를 통하여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정전 편향전극을 포함한다. 정전 편향 전극은 네크로부터 패널까지 2개 이상의 부로 퍼널의 내면을 분할하는 전극판을 포함한다. 전극판의 단부는 접촉하지 않고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들 전극판은 네크로부터 패널까지 퍼늘의 내면을 덮는다. 다른 전압이 서로 인접하는 전극판에 인가된다.

Description

음극선관 및 영상 표시장치{Cathode-ray tub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이 출원은 2002년 9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번호 JP 2002-272926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러한 출원의 명세는 법에 의해 허가된 범위까지 참조하여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과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향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빔초점을 왜곡시키지 않고 편향각을 확장시켜서 더 넓은 스크린과 더 평평하고 얇은 화상표시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고 또한 전자빔 궤적의 변화를 더 억제하므로 최적의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음극선관과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음극선관(CRT)은 자기장으로 패널과 퍼늘로 구성된 벌브의 내부에서 네크에 놓여진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을 퍼늘 콘부의 외부에 놓여진 편향요크를 통하여 편향하므로 형광스크린을 주사하여 화상을 재생하는 장치이다.
종래, 이러한 음극선관의 편향요크를 사용하는 편향방법에서는, 전자빔은 애노드 전위로 가속되어 편향되므로, 편향각이 증가하면서 편향력이 증가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최근 몇년동안, 음극선관 표시의 확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스크린이 커지면서 음극선관의 전체 길이는 증가하고, 이것은 최종 제품의 스크린 크기에 제한을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음극선관의 편향각을 확장하여 전체 길이를 줄이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편향요크를 통한 편향각의 확장은 편향력의 증가를 가져온다. 또한, 스크린 코너에서 전자빔의 입사각은 예각이 되어, 빔초점의 증대를 가져오고, 화질의 열화를 가져온다. 그래서, 이 방법은 실제적인 사용에서 어려운 문제를 갖는다.
자장편향에 더하여 정전 편향을 통한 편향각의 확장방법으로서, 일본 공개특허출원(H5-6742)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음극선관의 퍼늘 내부에 놓여진 정전편향 전극의 형상과 배열을 고려한 상태는 아직 상세히 제안되지 못했다. 또한, 공보에 개시된 정전 편향전극이 분할된 전극판을 가지지만, 각각의 전극판의 단부는 중첩되지 않으므로 자기실드 효과가 제공되지 않고 정전 편향도 효과적으로 행해질 수 없다.
또한, 공보에 개시된 전자총은 퍼늘 형상의 뒷쪽 단부의 개구에 부착되고 형광 스크린에 직교하여 배열된 네크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 결과, 편향각이 확장할지라도 네크부의 길이가 감소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편향각이 확장되어도 그 구조를 더 얇게 만드는데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환경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는 편향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빔초점을 왜곡시키지 않고 편향각을 확장시켜서 더 넓은 스크린과 더 평평하고 얇은 화상표시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고 또한 전자빔 궤적의 변화를 더 억제하므로 최적의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음극선관과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전자총이 형광 스크린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진 음극선관에서 음극선관의 전체 길이를 줄이고 자장편향에 더하여 정전 편향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더 얇은 구조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CRT)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정전 편향전극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반단면도이고;
도 3은 전자빔의 궤적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CRT)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CRT)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빔의 궤적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이다.
상기 목표를 얻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르는 음극선관은 패널, 퍼늘 및 네크를 포함하고, 그 내부가 밀봉되어 있는 벌브; 패널의 내부면의 형광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빔을 방사하는 네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자총; 전자기 편향효과를 통하여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퍼늘의 외부에 부착된 자기장 편향부; 정전 편향 효과를 통하여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퍼늘의 내면에 위치하는 정전 편향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 편향 전극은 네크로부터 패널까지 2개 이상의 부로 퍼널의 내면을 분할하는 전극판을 포함하고, 각각의 전극판의 단부는 접촉하지 않고 중첩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전극판은 네크로부터 패널까지 퍼늘의 내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다른 전압이 서로 인접하는 전극판에 인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제 1음극선관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판이 퍼늘내부에 위치하고 전압은 각각의 전극판에 인가됨으로써 편향각을 확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장 편향부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은 복수의 전극판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에 의해 정전으로 편향되므로, 자기장 편향후 편향각을 확장하도록 전자빔 궤적이 변경될 수 있다. 정전 편향의 사용은 자기장 편향부의 편향력이 증가하지 않고 빔초점 왜곡에 의해 생긴 화질의 열화 없이 편향각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정전 편향용 복수의 전극판이 자기실드로서 동작하는 방법으로 전극판의 단부가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음극선관의 외부로부터 자기 영향을 실드하는 자기실드효과를 연합하여 갖는다. 이 때문에, 음극선관 외부로부터 자기 영향에 의해 발생한 전자빔 궤적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고, 그래서 최적의 화질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글래스 표면은 전자빔에 직접 근접하지 않는다. 그래서, 전기장글래스 표면의 전하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에 의해 생긴 전자빔 궤적의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그 결과, 이 관점으로부터 최적의 화질이 또한 얻어질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용 복수의 전극판의 단부가 각각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전자빔의 궤적은 스무스하게 된다. 특히, 스크린의 코너에서 조차도, 빔초점은 왜곡되지 않는다. 그래서, 왜곡으로 인한 화질의 열화없이 편향각의 확장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전 편향 전극은 네크로부터 패널까지 3개 이상의 부분으로 퍼늘의 내면을 분할하는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전극판을 가진다. 형광 스크린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네크에 가장 가까운 제 1전극판에 인가된다. 제 1전극판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네크로부터 패널까지의 중간 위치에서 제 2전극판에 인가된다. 제 2전극판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패널에 가장 가까운 제 3전극판에 인가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30 ∼ 35kV의 전압이 형광스크린에 인가되고, 10 ∼ 20kV의 전압이 제 1전극판에 인가되고, 30 ∼ 40kV의 전압이 제 2전극판에 인가되고, 5 ∼ 20kV의 전압이 제 3전극판에 인가된다.
상술한 전압 관계를 가지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점이 더 분명해진다.
바람직하게, 서로 인접하는 전극판사이의 중첩된 부분에서, 형광 스크린을 향하는 면이 정면으로 정의되고, 형광 스크린으로부터 숨겨진 면이 배면으로 정의될 때, 고전압이 인가되는 전극판의 단부는 저전압이 인가되는 전극판의 단부의 배면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상술 구성의 사용은 전극판들 사이에 중첩된 부분에서 전계에 원활한 변화, 전자빔의 편향효과의 개선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점의 개선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 정전 편향 전극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은 음극선관의 외부로부터 자기영향을 실드하기 위한 자기실드물질로 만들어진다. 자기실드물질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저탄소 냉간압연철 등이 인용될 수 있다. 정전 편향전극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은 자기실드물질로 만들어지므로 자기실드효과를 개선하고 더욱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점을 개선한다.
상술의 음극선관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제 1화상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술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제 2음극선관은 패널, 퍼늘 및 네크를 포함하고, 그 내부가 밀봉되어 있는 벌브; 패널의 내부면의 형광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빔을 방사하는 네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자총; 전자기 편향효과를 통하여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퍼늘의 외부에 부착된 자기장 편향부; 및 정전 편향 효과를 통하여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퍼늘의 내면에 위치하는 정전 편향전극을 포함하고; 전자총은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제 2음극선관에 있어서, 자기장 편향부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은 정전편향전극에 의해 생성된 전기장에 의해 정전으로 편향되므로 자기장 편향후 편향각을 확장하도록 전자빔 궤적이 변경될 수 있다. 정전 편향의 사용은 자기장 편향부의 편향력이 증가하지 않고 빔초점 왜곡에 의해생긴 화질의 열화없이 편향각을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음극선관의 더 얇은 구조를 가능하게 하고 편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빔의 입사각이 더 넓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스크린의 코너에서 빔초점의 왜곡을 특히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총은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된다. 그래서, 전자총이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에 직교하는 위치에 놓여진 제 1음극선관과 비교하여 더 얇은 구조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제 2음극선관에서도, 정전 편향용 복수의 전극판의 단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 경우에, 전자빔의 궤적은 스무스하게 된다. 특히, 스크린의 코너에서도, 빔초점은 왜곡되지 않는다. 그래서, 왜곡으로 인한 화질의 열화없이 편향각의 확장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에 평행한 위치에 놓여진 전자총의 수는 2개 이상이고, 쌍으로 동작하는 2개의 전자총은 서로 대향되게 대략 동일 직선의 형상으로 배열된다. 전자총의 수가 2로 설정되기 때문에, 음극선관의 더 얇은 구조와 더 넓은 스크린이 단일 전자총과 비교하여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벌브내에, 형광 스크린 전극이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고, 퍼늘 전극은 퍼늘의 내면에 형성되고, 형광스크린 전극과 퍼늘 전극이 서로 절연될 수 있으므로, 다른 전압이 인가된다.
바람직하게, 형광 스크린 전극보다 낮은 전압이 퍼늘 전극에 인가된다.
바람직하게, 정전 편향 전극은 2개 이상의 분할된 전극판으로 구성되고, 이들 전극판은 전자빔의 궤적을 따라서 서로 분할된 위치에서 퍼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전압이 서로 인접하는 전극판에 인가된다.
바람직하게, 벌브 내부에, 형광 스크린전극이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고, 퍼늘전극은 퍼늘의 내면에 형성되고, 정전 편향 전극은 퍼늘의 내면을 3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전극판을 가지고; 형광 스크린 전극에 인가된 전압과 동등한 전압이 상기 전자총에 가장 가까운 제 1전극판에 인가되고; 형광스크린 전극에 인가된 전압과 동등한 전압이 전자총에 가장 가까운 제 1전극판에 인가되고, 제 1전극판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전자총과 패널 사이의 중간 위치에 놓여진 제 2전극판에 인가되고; 제 2전극판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패널에 가장 가까운 제 3전극판에 인가된다.
바람직하게, 30 ∼ 35kV의 전압이 형광스크린전극에 인가되고, 25 ∼ 30kV의 전압이 퍼늘전극에 인가되고, 30 ∼ 35kV의 전압이 제 1전극판에 인가되고, 30 ∼ 40kV의 전압이 제 2전극판에 인가되고, 5 ∼ 20kV의 전압이 제 3전극판에 인가된다.
상술의 전압관계에 있을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점이 더 분명해진다.
바람직하게, 정전 편향 전극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은 음극선관의 외부로부터 자기영향을 실드하기 위한 자기실드물질로 만들어진다. 정전 편향전극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은 자기실드물질로 만들어지므로 자기실드효과를 개선한다.
상술의 음극선관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제2화상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술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도면과 함께 취해진 현재 본보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부가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CRT)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정전 편향전극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반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2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전자빔의 궤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CRT)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CRT)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전자빔의 궤적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도이다.
[제 1실시예]
도 1에 나타낸 것같이,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영상 표시장치인 칼라 텔레비전 수상기는 음극선관(CRT)(2)을 포함한다. 이 CRT(2)는 벌브(4)를 갖는다. 이 벌브(4)는 패널(6), 퍼늘(8) 및 넥(10)을 갖는다. 형광스크린(6a)은 패널(6)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애노드 전위(30 ∼ 35V)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총(12)은 네크(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자빔(50)은 패널(6)의 형광스크린(6a)을 향하여 방사된다. 칼라 선택 메카니즘으로서 기능하는 어퍼쳐 그릴(14)은 패널(6)의 내면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총(12)은 형광스크린(6a)에 직교하게 위치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기 편향효과에 의거하여 전자빔(50)의 궤적을 편향하는 전자기 평향요크(자계 편향부)(16)는 퍼늘(8)의 콘부(퍼늘(8) 및 네크(10)사이의 연결부)의 외측에 위치한다. 또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전극(20)은 네크(10)로부터 패널(6)까지 퍼늘(8)의 내면을 전체 덮도록 위치한다. 즉, 이 CRT(2)는 편향요크(16)를 통한 자계 편향이 메인 편향으로서 사용되고, 정전 편향전극(20)을 통한 정전 편향이 서브 편향으로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2종류의 편향 방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더욱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전극(20)은 제 1, 제 2 및 제 3전극판(22, 24, 26)을 구비하므로 퍼늘(8)의 내면은 네크로부터 패널까지 3개의 부분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전극판(22, 24, 26)은 퍼늘(8)의 내면을 따라서 콘형상이나 스커트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전극판(22, 24, 26)의 단부는 접촉하지 않고 중첩부위에 배치된다. 즉, 제 2전극판(24)의 일 단부는 제 1전극판(22)의 단부의 배면과 중첩하고, 제 2전극판(24)의 타단부는 제 3전극판(26)의 단부의 배면과 중첩된다. 단부들 사이의 그들 중첩된 부분에서, 형광 스크린(6a)을 향하는 면은 정면으로 정의하고, 형광 스크린(6a)에 숨겨진 면은 배면으로 정의하는 것에 주의한다. 단부 사이의 중첩된 부분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1mm와 약 몇십 mm 사이의 범위에 있다. 더 바람직하게, 몇 mm 및 십 여mm 사이의 범위에 있다. 중첩된 부분이 너무 짧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효과가 감소하는 반면, 이것이 너무 길면, 물질의 낭비를 가져온다.
그들 전극판(22, 24, 26)은 퍼늘(8)의 내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퍼늘(8)에 부착된 절연 지지부재를 통하여 퍼늘의 내면에 고정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극판(22, 24, 26)은 저탄소 냉간압연철 등과 같은 자기실드물질로 만들어진다.
퍼늘(8)을 구성하는 글래스는 추출 전극핀(30, 32, 34)이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추출 전극핀(30, 32, 34)은 전극판(22, 24, 26)과 각각 연결된다. 각각의 소정 전압이 각각의 전극판(22, 24, 26)에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 있다. 각각의 다른 전압이 각각의 전극판(22, 24, 26)에 인가될 수 있는 방법으로 핀이 개별로 부착될 수 있는 것에 주의한다. 대신에, 하나의 전극핀으로부터 보내진 고전압이 분할되어 각각의 전극판에 보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형광스크린(6a)에 인가된 전압(애노드 전위)보다 낮은 전압, 10 ∼ 20 kV의 전압이 추출전극핀(30)을 통하여 네크(10)에 가장 가까운 제 1전극판(22)으로 인가된다. 또한, 제 1전극판(22)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 30 ∼ 40 kV의 전압이 추출전극핀(32)을 통하여 네크(10)에서 패널(6)까지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제 2전극판(24)으로 인가된다. 또한, 제 2전극판(24)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 5 ∼ 20 kV의 전압이 추출전극핀(34)을 통하여 패널(6)에 가장 가까운 제 3전극판(26)에 인가된다.
형광스크린(6a)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 10 ∼ 20 kV이 네크(10)에 가장 가까운 제 1전극판(22)에 인가되는 이유는 편향요크(16)에서 자계 편향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즉, 자계편향시에, 전자빔(50)의 가속 전압의 저하는 편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CRT(2)와 이러한 CRT를 갖는 칼라 텔레비전 수상기는 복수의 전극판(22, 24, 26)을 퍼늘(8)의 내부에 놓고 각각의 전극판(22, 24, 26)에 전압을 인가하고, 정전 편향을 행함으로써 편향각의 증가를 얻을 수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편향요크(16)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50)은 복수의 전극판(22, 24, 26)에 의해 생성된 전계에 의해 정전으로 편향되므로 자계 편향뒤의 전자빔 궤적은 편향각을 확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정전 편향의 사용은 편향요크(16)의 편향력의 어떠한 증가도 없고 빔초점의 왜곡에 의해 생긴 화질의 열화없이 편향각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을 위한 복수의 전극판(22, 24, 26)이 자기실드로서 기능하는 방식으로, 전극판(22, 24, 26)의 단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되어 CRT(2)의 외부로부터 자기 영향을 실드한다. 그래서, 이것은 자기실드 효과를 갖는다. 이 때문에, CRT(2)의 외부로부터 자기 영향에 의해 생긴 전자빔 궤적의 변화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래서, 최적의 화질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퍼늘(8)의 글래스면은 전자빔(50)에 직접 근접하지 않는다. 그래서, 글래스면의 전기화된 전하에 의해 생성된 전계에 의한 전자빔 궤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관점으로부터, 최적의 화질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을 위한 복수의 전극판(22, 24, 26)의 단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하므로, 전자빔(50)의 궤적은 스무스하게 된다.특히, 스크린의 코너에서도 전자빔은 형광스크린(6a)에 직교하는 각도로 입사된다. 그 결과, 빔초첨은 왜곡되지 않는다. 그래서, 편향각의 확장은 왜곡에 의한 화질의 열화없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전극(20)은 3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 될 수 있는 것에 주의한다. 이 경우에, 중간에 놓여진 제 2전극판(24)은 더 분할된다. 분할수가 증가할 수록, 전자빔의 궤적은 쉽게 제어된다. 그러나, 전극판의 제조 및 설치는 다른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정전 편향 전압의 분할 수는 약 2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예]
도 4에 나타낸 것같이, 본 발명의 제 2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는 음극선관(CRT)(102)을 포함한다. 이 CRT(102)는 그 내부가 진공으로 밀봉된 벌브(4)를 갖는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벌브(104)는 전체 평평한 직사각형 상자의 형상을 하고,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으로서 기능하는 패널(106)과 패널(106)의 배면에 결합되고 평평한 상자형상의 윤곽을 명확히 하는 퍼늘(108)을 포함한다. 형광스크린전극(107)은 패널(106)의 내면에 형성되므로, 애노드 전위(즉, 30 ∼ 35kV)로 설정될 수 있다. 형광스크린전극(107)은 예를 들면 패널(106)의 내면에 형광스크린을 형성하는 형광물질코팅층에 알루미늄막을 증착하여 형성된다.
퍼늘 전극(109)은 퍼늘(108)의 내면에 형성된다. 퍼늘전극(109)은 예를들면 카본필름을 퍼늘(108)의 내면에 코팅하여 형성된다. 퍼늘전극(109)은 퍼늘(108)의 내면을 따라서 전체 면에 형성되고 패널(106)과 결합된 부분에까지 연장된다. 그러나, 형광스크린전극(107)과 절연되고, 다른 전압이 거기에 인가된다. 형광스크린전극(107)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퍼늘 전극(109)에 인가된다. 예를 들면, 25 ∼ 30kV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한쌍의 전자총(112)이 퍼늘(108)의 바닥판 안쪽에 패널(106)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스크린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된다. 더욱이, 쌍으로 기능하는 이들 2개의 전자총은 대략 직선의 형상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반대로 배치된다. 각각의 전자총(112)으로부터 방사된 전자빔(50)은 각각의 전자총(112)의 정면에 위치하는 편향요크(자계 편향장치)(116)를 통하여 통과하고 편향된다. 그러면, 그들은 서로 중앙에서 교차하여 형광스크린에 도달한다. 2개의 전자총(112)은 동시에 형광스크린의 각각 절반을 주사하고, 절반이 스크린 중앙에서 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영상을 생성한다. 칼라 선택 메카니즘으로 기능하는 어퍼쳐 그릴(114)은 형광스크린의 내면에 배치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편향요크(116)의 전자기 편향효과를 통하여 전자빔(50)의 편향에 부가하여, 전자빔(50)은 퍼늘(108)의 내부에 위치하는 정전 편향전극에 의해 편향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전극은 제 1전극판(122), 제 2전극판(124) 및 제 3전극판(126)으로 구성된다. 이들 전극판(122, 124, 126)은 퍼늘(108)내부에 전자빔(50)의 궤적을 따라서 서로 분할된 위치에 배열된다. 그래서, 다른 전압이 서로 인접하는 전극판에 인가된다. 이들 전극판(122, 124, 126)은 편향요크(116)로부터 전자빔(50)의 배출을 제외하는 부분에서 퍼늘(108)의 내면을 전체 덮는 것에 유의한다.
제 1전극판(122)은 퍼늘(108)에서 바닥판의 내면에 서로 반대로 놓여진 전자총(112)의 쌍 사이에 배치된다. 퍼늘(108) 내부의 전자총(112)의 전자빔 출력측에 위치하는 편향요크(116)의 근방으로부터 어프쳐 그릴(114)의 프레임의 주위까지 둘러싸도록 제 2 및 제 3전극판(124, 126)은 콘 또는 스커트 형상으로 연장된다. 제 2전극판(124)은 전자총의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 3전극판(126)은 어퍼쳐 그릴(114)의 프레임의 근방에 위치한다.
각각의 전극(122, 124, 126)에 다른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각각의 핀전극은 퍼늘(108)을 구성하는 글래스에 내장되므로 다른 전압이 외부로부터 각각의 전극판에 보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핀전극으로부터 보내진 고전압은 분할되어 각각의 전극판(122, 124, 126)에 보내질 수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극판(122, 124, 126)은 저탄소 냉간압연철 등과 같은 자기실드 물질로 만들어진다.
형광스크린 전극(107)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제 1전극판(122)에 인가된다. 제 1전극판(122)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전자총(112)과 패널(106)사이의 중간위치에 위치하는 제 2전극판(124)에 인가된다. 또한, 제 2전극판(124)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패널(106)에 가장 가까운 제 3전극판(126)에 인가된다.
특히, 30 ∼ 35 kV의 전압이 형광스크린 전극(107)에 인가된다. 25 ∼ 35kV의 전압이 퍼늘 전극(109)에 인가된다. 30 ∼ 35 kV의 전압이 제 1전극판(122)에 인가된다. 30 ∼ 40 kV의 전압이 제 2전극판(124)에 인가된다. 그리고, 5 ∼ 20 kV의 전압이 제 3전극판(126)에 인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CRT(102)와 이러한 CRT를 갖는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는 복수의 전극판(122, 124, 126)을 퍼늘(108)의 내부에 놓고 각각의 전극판(122, 124, 126)에 전압을 인가하고, 정전 편향을 행함으로써 편향각의 증가를 얻을 수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편향요크(116)에 의해 편향된 전자빔(50)은 복수의 전극판(122, 124, 126)에 의해 생성된 전계에 의해 정전으로 편향되므로 자계 편향후의 전자빔 궤적은 편향각을 확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정전 편향의 사용은 편향요크(116)의 편향력의 어떠한 증가없고 빔초점의 왜곡에 의해 생긴 화질의 열화없이 편향각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을 위한 복수의 전극판(122, 124, 126)이 자기실드물질로서 만들어지고, CRT(2)의 외부로부터 자기 영향을 실드하는 자기실드효과가 결합된다. 그래서, 이것은 자기실드 효과를 갖는다. 이 때문에, CRT(2)의 외부로부터 자기 영향에 의해 생긴 전자빔 궤적의 변화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래서, 최적의 화질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정전 편향을 위한 복수의 전극판(22, 24, 26)으로 인해, 전자빔(50)의 궤적은 스무스하게 된다. 특히, 스크린의 코너에서도 전자빔은 형광스크린에 직교하는 각도로 입사된다. 그래서, 빔초첨은 왜곡되지 않는다. 그 결과, 편향각의 확장은 왜곡에 의한 화질의 열화없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총(112, 112)은 패널(106)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스크린에 병렬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래서, 전자총(112, 112)이 패널(106)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스크린에 직교하는 위치에 놓여지는 도 1에 나타낸 음극선관보다 더 얇은 구조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자총의 수는 2로 설정된다. 그래서, 단일 전자총에 비해 음극선관의 더 얇은 구조와 더 넓은 형광스크린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전 편향전극은 3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 될 수 있는 것에 주의한다. 이 경우에, 중간에 놓여진 제 2전극판은 더 분할된다. 분할수가 증가할 수록, 전자빔의 궤적은 제어하기 쉽게 된다. 그러나, 전극판의 제조 및 설치는 다르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정전 편향 전압의 분할 수는 약 2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실시예]
도 5에 나타낸 것같이, 본 발명의 제 3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칼라 텔레비전 수상기는 음극선관(CRT)(202)을 포함한다. 이 CRT(202)는 그 내부가 진공으로 밀봉된 벌브(204)를 갖는다. 이 CRT(202)는 도 4에 나타낸 CRT(102)의 변형예이다. 그러나, 전자총의 수가 다르고, 다른 구조는 유사하다. 도 4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벌브(204)는 전체 평평한 직사각형 상자의 형상을 하고,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으로서 기능하는 패널(206)과 패널(206)의 배면에 결합되고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자형상의 윤곽을 명확히 하는 퍼늘(208)을 포함한다.
이 제 3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네크(210)는 퍼늘(208)의 일면에 집적되어 형성된다. 그 내면에, 전자총은 패널(206)의 형광스크린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된다. 편향요크(216)는 전자총(212)의 정면에 부착된다. 그러면, 콘 또는 스커트 형상을 갖는 정전 편향 전극은 편향요크(216)로부터 어퍼쳐그릴(214)의 주변 프레임을 향하여 배치된다. 정전 편향전극은 제 1전극판(222), 제 2전극판(224), 제 3전극판(226) 및 제 4전극판(22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1전극판은 다른 전압이 거기에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제 1전극판(122)은 퍼늘(208)의 바닥판내부에 편향요크(216)의 근방에 위치한다. 제 2전극판(224) 및 제 3전극판(226)이 퍼늘(208)의 내부에 제 1전극판(222)으로부터 어프쳐 그릴(214)의 프레임을 향하는 경로에 형성되고, 서로 분리된다. 제 3전극판(226)은 어프쳐 그릴(214)의 프레임의 근방에 배치된다. 제 2전극판(224)은 제 1전극판(222)과 제 3전극판(226)의 사이의 중간위치에 배치된다. 제 4전극판(228)은 퍼늘(208)에서 네크(210)로부터 패널(206)을 향하여 가장 짧은 측판내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전극(222, 224, 226 및 228)에 다른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각각의 핀전극은 퍼늘(208)을 구성하는 글래스에 내장되므로 다른 전압이 외부로부터 각각의 전극판에 보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핀전극으로부터 보내진 고전압은 분할되어 각각의 전극판(222, 224, 226 및 228)에 보내질 수 있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전극판(222, 224, 226 및 228)은 저탄소 냉간압연 철 등과 같은 자기실드 물질로 만들어진다.
형광스크린 전극(207)에 인가된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제 1전극판(222)에 인가된다. 제 1전극판(222)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제 2전극판(224)에 인가된다. 제 2전극판(224)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제 3전극판(226)에 인가된다. 그리고, 퍼늘 전극(209)과 동등한 전압이 제 4전극판(224)에 인가된다.
특히, 30 ∼ 35 kV의 전압이 형광스크린 전극(207)에 인가된다. 25 ∼ 35 kV의 전압이 퍼늘 전극(209)에 인가된다. 30 ∼ 35 kV의 전압이 제 1전극판(222)에 인가된다. 30 ∼ 40 kV의 전압이 제 2전극판(224)에 인가된다. 5 ∼ 20 kV의 전압이 제 3전극판(226)에 인가된다. 또한, 25 ∼ 30 kV의 전압이 제 4전극판(228)에 인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CRT(202)와 이러한 CRT를 갖는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더 넓은 스크린과 더 평평한 구조를 동시에 얻기 위한 시도가 행해질 때,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의 일예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범위 및 영역내에서 결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른 예는 보다 상세한 구현에 의거하여 아래에 서술한다.
[구현의 제 1예]
이 구현에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전극형상과 전극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얻어진 전자빔의 궤적은 시뮬레이트된 계산에 의해 결정된다. 각각의 전극판(22, 24, 26)에 인가된 전압은 다음과 같다. 제 1전극판(22)에 인가된 전압은 15kV이다. 제 2전극판(24)에 인가된 전압은 35kV이다. 제 3전극판(26)에 인가된 전압은 10kV이다. 그리고, 형광스크린(6a)(애노드)에 인가된 전압은 305kV이다. 시뮬레이션에서, 전계공간은 표면전하방법을 이용하여 계산되고, 전자빔이 이 공간에 방사될 때 전자빔궤적이 시뮬레이트된다.
정전 편향에서 사용된 전극판은 도 1, 2에 나타낸 같이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전극이 중첩하는 순서는 제 1전극판(22)과 제 2전극판(24)의 사이에 중첩된 부분에서, 제 2전극판(24)의 단부가 제 1전극판(22)의 배면에 배치되고, 제 2전극판(24)과 제 3전극판(26)의 사이에 중첩된 부분에서, 제 2전극판(24)의 단부가 제 3전극판(26)의 배면에 놓여지도록 된다. 이 이유는 전자빔(50)의 전계를 통하여 편향각을 가능한 한 크게 만드는 것이다. 전극형상 및 이 전극구성은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전자빔(50)의 궤적을 제공한다. 136°에 대응하는 편향각도의 실현이 확실해질 수 있다.
편향각(2θ)을 이하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형광스크린(6a)의 코너에 도달하는 전자빔(50)의 궤적에서, 형광스크린(6a)으로의 도착점(52)과 CRT의 축 코어에서 편향요크(16)의 축방향 센터(54)가 사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사선과 축코어 사이의 교차각도가 θ라고 가정될 때, 편향각(2θ)은 상기 교차각도의 2배와 동일한 값이다.
이 실행에서 CRT로부터, 다음의 이점이 얻어진다.
(1) 편향력의 저하가 얻어질 수 있다.
(2) CRT의 전체 길이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박형 TV가 얻어질 수 있다.
(3) 편향각이 확장할지라도, 형광스크린(6a)에의 빔입력각은 크다. 그래서, 스크린코너에서 빔 초점 왜곡은 억제될 수 있으므로 최적의 화질을 제공한다.
(4) 전극판은 자기실드로서 연합하여 기능하기 때문에, 또 다른 자기실드가 설치될 필요가 없다. 그래서, 비용감소가 얻어질 수 있다.
(5) 본 예는 한개의 빔분만 아니라 3개의 빔 편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래서, 칼라 CRT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현의 제 2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실행의 제 2실시예에서, 도 4에 나타낸 전극형상과 전극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얻어진 전자빔의 궤적은 시뮬레이션 계산에 의해 결정된다. 형광스크린 전극(107), 퍼늘전극(109) 및 각각의 전극판(222, 224, 226)에 인가된 전압은 다음과 같다. 형광스크린전극(107)에 인가된 전압은 30kV이다. 퍼늘전극(109)에 인가된 전압은 25kV이다. 제 1전극판(122)에 인가된 전압은 30kV이다. 제 2전극판(124)에 인가된 전압은 40kV이다. 그리고, 제 3전극판(126)에 인가된 전압은 10kV이다. 시뮬레이션에서, 전계공간은 표면전하방법을 이용하여 계산되고, 전자빔이 이 공간에 방사될 때 전자빔궤적이 시뮬레이트된다.
전극형상과 전극구성은 도 6에 나타낸 것같이 전자빔(50)의 궤적을 제공한다. 그래서, 의도된 전자빔 궤적의 실현이 확실히 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결과는 스크린의 세로축에 따른 전자빔 궤적인 것에 주의한다. 그러나, 유사한 전자빔 궤적은 다른 주사위치에서도 얻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의 CRT로부터 다음과 같이 이익이 얻어진다.
(1) CRT의 전체 길이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박형 TV가 얻어질 수 있다.
(2) 2개의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에서, 전체길이 감소효과는 한개의 경우와 비교해서 더 크다.
(3) 편향각이 더 좁기 때문에, 편향력에서의 감소가 얻어질 수 있다.
(4) 빔입력각이 더 넓기 때문에, 스크린 코너에서 빔초첨 왜곡 편향이 억제될 수 있어 최적의 화질을 제공한다.
(5) 이것은 한개의 빔 스캔뿐만 아니라 3개의 빔스캔에 대하여도 사용될 수있다. 그래서, 상기 효과는 칼라 음극선관에서도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떠한 조정, 변형, 조합 및 부조합은 상기 기술의 관점에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된 것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향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빔초점을 왜곡시키지 않고 편향각을 확장시켜서 더 넓은 스크린과 더 평평하고 얇은 화상표시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고 또한 전자빔 궤적의 변화를 더 억제하므로 최적의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음극선관과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총이 형광 스크린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진 음극선관에서 음극선관의 전체 길이를 줄이고 자장편향에 더하여 정전 편향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더 얇은 구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패널, 퍼늘 및 네크를 포함하고, 그 내부가 밀봉되어 있는 벌브;
    상기 패널의 내부면의 형광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빔을 방사하는 상기 네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자총;
    전자기 편향효과를 통하여 상기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상기 퍼늘의 외부에 부착된 자기장 편향부;및
    정전 편향 효과를 통하여 상기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상기 퍼늘의 내면에 위치하는 정전 편향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 편향 전극은 상기 네크로부터 상기 패널까지 2개 이상의 부로 상기 퍼널의 내면을 분할하는 전극판을 포함하고;
    각각의 전극판의 단부는 접촉하지 않으면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판은 상기 네크로부터 상기 패널까지 상기 퍼늘의 내면을 덮도록 구성되고;
    다른 전압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전극판에 인가되는 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편향 전극은 상기 네크로부터 상기 패널까지 3개 이상의 부분으로 상기 퍼늘의 내면을 분할하는 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전극판을 가지고;
    상기 형광 스크린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상기 네크에 가장 가까운제 1전극판에 인가되고;
    상기 제 1전극판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상기 네크로부터 상기 패널까지의 중간 위치에 놓여진 제 2전극판에 인가되고;
    상기 제 2전극판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상기 패널에 가장 가까운 제 3전극판에 인가되는 음극선관.
  3. 제 2항에 있어서,
    30 ∼ 35 kV의 전압이 상기 형광스크린에 인가되고; 10 ∼ 20 kV의 전압이 상기 제 1전극판에 인가되고; 30 ∼ 40 kV의 전압이 상기 제 2전극판에 인가되고; 5 ∼ 20kV의 전압이 상기 제 3전극판에 인가되는 음극선관.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전극판들 사이의 중첩된 부분에서, 더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판의 단부는 더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판의 단부의 배면과 중첩되도록 위치하고, 상기 형광 스크린을 향하는 면이 정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형광 스크린으로부터 숨겨진 면이 배면으로 정의되는 음극선관.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편향 전극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은 음극선관의 외부로부터 자기영향을 실드하기 위한 자기실드물질로 만들어지는 음극선관.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음극선관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장치.
  7. 패널, 퍼늘 및 네크를 포함하고, 그 내부가 밀봉되어 있는 벌브;
    상기 패널의 내부면의 형광스크린을 향하여 전자빔을 방사하는 상기 네크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자총;
    전자기 편향효과를 통하여 상기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상기 퍼늘의 외부에 부착된 자기장 편향부; 및
    정전 편향 효과를 통하여 상기 전자빔의 궤적을 편향하는 상기 퍼늘의 내면에 위치하는 정전 편향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총은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에 평행한 위치에 놓여지는 음극선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 스크린에 평행한 위치에 놓여진 전자총의 수는 2개 이상이고,
    쌍으로 동작하는 2개의 전자총은 대략 동일 직선이고 서로 대향하게 배열되는 음극선관.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내에, 형광 스크린 전극이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고, 퍼늘 전극은 상기 퍼늘의 내면에 형성되고,
    서로의 사이에 절연을 설치하면 상기 형광스크린 전극과 상기 퍼늘 전극에 다른 전압이 인가되는 음극선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스크린 전극보다 낮은 전압이 상기 퍼늘 전극에 인가되는 음극선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편향 전극은 2개 이상의 분할된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판은 상기 전자빔의 궤적을 따라서 서로 분할된 위치에서 상기 퍼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전압이 인접하는 전극판에 인가되는 음극선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 내부에, 형광 스크린전극이 상기 패널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퍼늘전극은 상기 퍼늘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전 편향 전극은 상기 퍼늘의 내면을 3개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하는적어도 제 1, 제 2 및 제 3전극판을 가지고;
    상기 형광 스크린 전극에 인가된 전압과 동등한 전압이 상기 전자총에 가장 가까운 제 1전극판에 인가되고;
    상기 제 1전극판에 인가된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상기 전자총과 상기 패널 사이의 중간 위치에 놓여진 제 2전극판에 인가되고;
    상기 제 2전극판에 인가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상기 패널에 가장 가까운 제 3전극판에 인가되는 음극선관.
  13. 제 12항에 있어서,
    30 ∼ 35 kV의 전압이 상기 형광스크린전극에 인가되고, 25 ∼ 30 kV의 전압이 상기 퍼늘전극에 인가되고, 30 ∼ 35 kV의 전압이 상기 제 1전극판에 인가되고, 30 ∼ 40 kV의 전압이 상기 제 2전극판에 인가되고, 5 ∼ 20kV의 전압이 상기 제 3전극판에 인가되는 음극선관.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편향 전극을 구성하는 각각의 전극판은 음극선관의 외부로부터 자기영향을 실드하기 위한 자기실드물질로 만들어지는 음극선관.
  15. 제 7항 내지 제 1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선관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3-0013121A 2002-03-05 2003-03-03 음극선관 및 영상 표시장치 KR20030074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8666 2002-03-05
JPJP-P-2002-00058666 2002-03-05
JPJP-P-2002-00272926 2002-09-19
JP2002272926A JP2003331754A (ja) 2002-03-05 2002-09-19 陰極線管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4179A true KR20030074179A (ko) 2003-09-19

Family

ID=2958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121A KR20030074179A (ko) 2002-03-05 2003-03-03 음극선관 및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30222565A1 (ko)
JP (1) JP2003331754A (ko)
KR (1) KR20030074179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742A (ja) * 1991-06-27 1993-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陰極線管
US6476545B1 (en) * 1999-04-30 2002-11-05 Sarnoff Corporation Asymmetric, gradient-potential, space-savings cathode ray tube
US6369498B1 (en) * 1999-11-03 2002-04-09 Intel Corporation Electron gun for addressing secondary emission targ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331754A (ja) 2003-11-21
US20030222565A1 (en) 200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1332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0188068A (ja) カラー陰極線管
US5357176A (en) Cathode ray tube
JP3422842B2 (ja) 陰極線管
JPH10116572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30074179A (ko) 음극선관 및 영상 표시장치
JPH11238471A (ja) 陰極線管
JPH11135031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0200561A (ja) 陰極線管
KR100323977B1 (ko) 두개의음극선관을갖는음극수상관
US6815913B2 (en) Cathode ray tube
US6570314B2 (en) Color display tube
US7362044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and cathode ray tube with the same
US7268478B2 (en) Electron gun assembly and cathode ray tube with the same
US6479951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7105996B2 (en) Electron gun for color CRT
US7148614B2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EP1349193B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JP2000149815A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294500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636704A (ja) 陰極線管
JPH07282740A (ja) カラ−陰極線管用電子銃
JP3053826B2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2000215828A (ja) カラ―陰極線管
KR20020015441A (ko) 칼라 음극선관과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