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124A -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124A
KR20030072124A KR1020020011694A KR20020011694A KR20030072124A KR 20030072124 A KR20030072124 A KR 20030072124A KR 1020020011694 A KR1020020011694 A KR 1020020011694A KR 20020011694 A KR20020011694 A KR 20020011694A KR 20030072124 A KR20030072124 A KR 20030072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aft assembly
press
fit
servo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599B1 (ko
Inventor
임병훈
Original Assignee
텔스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스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스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5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5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7/3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2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21/2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alignment of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전륜에 장착되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 및 흔들림양을 측정하기 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축 조립체를 수평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니트와, 축 조립체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지지된 상기 축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지지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축 조립체를 상기 지지유니트에 로딩하고 언로딩하는 리프트유니트와, 서보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서보모터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압입헤드가 상기 지지유니트에 지지된 축 조립체를 상부 중심부에서 접촉하여 압입하는 압입유니트와, 상기 지지유니트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측정하는 측정유니트와, 상기 측정유니트에서 측정한 상기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근거로 상기 축 조립체의 적합, 부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주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복잡한 유압유니트를 사용하지 않아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축 조립체를 압입하는 압입하중을 안정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도 높은 측정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A axle- assembly measuring apparatus having a press unit using servomotor}
본 발명은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 및 흔들림양을 측정하는 축 조립체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압유니트를 사용하지 않아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 및 흔들림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축 조립체를 압입하는 압입하중을 안정되고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륜에 장착되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 및 흔들림양을 측정하는 것은 고정밀도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상기 축 조립체의 중심축을 일정한 고하중으로 압입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 가운데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켜 두께 변화량 및 흔들림양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축 조립체 측정장치에서는 축 조립체를 고하중으로 압입하는 압입유니트가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설치되며, 상기 압입유니트가 얼마나 안정되고 정확하게 축 조립체를 압입하는가에 따라 축 조립체 측정장치의 전체 성능이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도 1 은 종래의 축 조립체 측정장치의 압입유니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축 조립체 측정장치의 압입유니트는 상하운동하면서 축 조립체의 중심축에 접촉하여 압입하는 압입헤드(101)와, 상기 압입헤드(101)가 상하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고하중의 압입을 가능하게 하는 유압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유압유니트는 오일탱크(103)와 상기 오일탱크(103)로부터 압유를 발생시키는 유압펌프(105)와, 압유의 운동방향과 유량을 제어하는 다수의 밸브(107a,107b,107c,107d.107e,107f)와 압유를 압송 또는 회수하기 위한 유압라인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압입유니트가 상기 압입헤드(101)가 내장된 실린더(109)로 압유를 공급 또는 회수함에 따라 상기 압입헤드(101)가 상기 실린더(109) 내에서 저널되어 상하운동하면서 축 조립체를 압입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축 조립체 측정장치는 압입유니트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유압유니트를 사용하는 관계로,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지는 것은 물론, 소정의 시간동안 안정된 하중으로 축 조립체를 압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상기 압입유니트가 안정된 하중으로 축 조립체를 압입하는 것이 어려운 것은, 유동적인 유체를 매개체로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유니트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축 조립체 측정장치에서는 압입유니트가 요구되는 정확한 하중으로 축 조립체를 압입하는 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유니트를 사용하지 않아 구성이 간단하면서 축 조립체를 안정되고 정밀한 하중으로 압입할 수 있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입유니트가 요구되는 정확한 하중으로 축 조립체를 압입하는 데 용이한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축 조립체 측정장치의 압입유니트를 도시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을 정면에서 도시한 참조도.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 는 본 발명에서 압입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측정유니트의 변위센서를 보여주는 참조도.
도 6 은 도 3 에서 각인유니트와 디스플레이가 더욱 포함된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7 은 본 발명의 작업단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이송유니트 5 : 리프트유니트
7 : 지지유니트 9 : 압입유니트
11 : 측정유니트 13 : 주 제어유니트
15 : 압입헤드 17 : 연결부재
19 : 서보모터 21 : 서보모터 제어유니트
23 : 하중센서 27 : 압입축
37a,37b,39a,39b : 변위센서 41 : 각인유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 및 흔들림양 정장치는, 축 조립체를 수평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니트와, 축 조립체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지지된 상기 축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지지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축 조립체를 리프팅하여 상기 지지유니트에 로딩하고 언로딩하는 리프트유니트와, 서보모터가 포함되고, 상기 서보모터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압입헤드가 상기 지지유니트에 지지된 축 조립체를 상부 중심부에서 접촉하여 압입하는 압입유니트와, 상기 지지유니트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측정하는 측정유니트와, 상기 측정유니트에서 측정한 상기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근거로 상기 축 조립체의 적합, 부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주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입유니트는, 상기 압입축과 상기 서보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압입축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입헤드와 압입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입헤드가 상기 축 조립체에 가하는 압입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와,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에 반응하여 상기 압입헤드가 상기 축 조립체를 소정의 하중으로 압입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서보모터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정유니트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 상하 양면에 접촉되어 상기 디스크가 회전할 때 흔들림양 및 두께 변화량을 측정하는 변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 제어부에서 결정한 축 조립체의 적합, 부적합 여부를 해당하는 축 조립체에 각인하는 각인유니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유니트가 측정한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 및 적합, 부적합 여부를 상기 주 제어유니트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서보모터 제어유니트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상기 서보모터 제어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을 실시간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을 정면에서 도시한 참조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유니트(3)와, 지지유니트(7)와, 리프트유니트(5)와, 압입유니트(9)와, 도시되지 않은 측정유니트(11) 및 주 제어유니트(1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 상기 이송유니트(3)는 반입된 축 조립체(1)를 이송하고, 상기 리프트유니트(5)는 상기 이송유니트(3)에 의해 이송되는 축 조립체(1)를 상기 지지유니트(7)에 로딩하고 언로딩하며, 상기 지지유니트(7)는 로딩된 축 조립체(1)를 지지하고 회전시키며, 상기 압입유니트(9)는 서보모터의 동력을 사용하여 상기 지지유니트(7)에 로딩된 축 조립체(1)를 압입하며, 상기 측정유니트(11)는 상기 축 조립체(1)가 압입되어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축조립체(1)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측정하게 되며, 상기 주 제어유니트(13)는 측정된 상기 축 조립체(1)의 적합, 부적합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입유니트(9)는 종래와는 달리 유압유니트가 아닌 서보모터(19)에 의하여 동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안정된 압입하중으로 축 조립체(1)를 압입할 수 있게 되어, 축 조립체(1)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유니트(3)와 리프트유니트(5)와 지지유니트(7)와 측정유니트(11)와 압입유니트(9)와 주 제어유니트(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니트(3)는 측정하고자하는 축 조립체를 이송하는 역할을수행하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컨베이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축 조립체가 반입되어 반출되기까지 전체 작업구간에 걸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유니트(5)는 축 조립체를 상기 지지유니트(7)에 로딩하고 언로딩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유니트(5)에는 1 개의 리프팅머신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유니트(7)의 좌우로 수평 이동하면서 이송되는 축 조립체를 상기 지지유니트(7)에 로딩하고 이를 다시 언로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리프팅머신이 상기 지지유니트(7) 좌우에 각각 1 개씩 설치되어 좌측에 설치된 리프팅머신은 이송되는 축 조립체를 상기 지지유니트(7)에 로딩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우측에 설치된 리프팅머신은 로딩되어 측정작업이 마쳐진 축 조립체를 언로딩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니트(7)는 축 조립체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지지된 상기 축 조립체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니트(7)는 견고하게 설치되어 압입유니트(9)가 상부에서 가하는 고하중에도 파손되거나 움직임이 없어야 하며, 축 조립체가 상기 이송유니트(3)에 놓여진 높이와 동일 높이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입유니트(9)는 상기 지지유니트(7) 상부에 설치되어, 서보모터(19)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압입헤드(15)가 상기 지지유니트(7)에 지지된 축 조립체를 상부 중심부에서 접촉하여 압입한다.
또한, 상기 측정유니트(11)는 상기 지지유니트(7)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주 제어유니트(13)는 상기 측정유니트(11)에서 측정한 상기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근거로 상기 축 조립체의 적합, 부적합 여부를 결정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서 압입유니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입유니트(9)는 압입헤드(15)와 상기 압입헤드(15)와 결합되어 상하운동하는 압입축(27)과, 상기 압입축(27)에 동력을 제공하는 서보모터(19)와, 상기 서보모터(19)의 회전력을 상기 압입축(27)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달부재(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재(17)는 상기 서보모터(19)의 회전축(25)과 접하여 회전하는 구동기어(31)와, 상기 구동기어(31)와 맞물린 종동기어(33)와, 상기 종동기어(33)와 접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압입축(27)을 상하운동하게 하는 회전자(35)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자(35)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통공을 가지며,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는 소용돌이 형상의 스크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입축(27)은 외주면에 상기 회전자(35)의 스크류와 대응하는 스크류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자(35)의 통공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35)가 정방향,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전환되어 운동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재(17)가 설치되면, 상기 서보모터(19)의 회전력을 상기 압입헤드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서보모터(19)는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기 압입헤드(15)의 상하 위치 변위량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서보모터(19)는 종래의 유압유니트와는 달리 변위가 없는 안정된 동력을 상기 압입유니트(9)에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압입유니트(9)가 흔들림없는 안정된 압입하중으로 축 조립체를 압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압입유니트(9)에는 하중센서(23)가 상기 압입헤드(15)와 압입축(27)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서보모터 제어유니트(21)가 더욱 설치되어 상기 하중센서(23)로부터 측정값을 전달받아 상기 서보모터(19)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중센서(23)는 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중센서(23)와 서보모터 제어유니트(21)가 설치되면, 상기 압입헤드(15)가 축 조립체에 가하는 압입하중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서 측정유니트의 변위센서를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유니트(11)는 복수개의 변위센서(37a,37b,39a,39b)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변위센서(37a,37b,39a,39b)는 회전하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1a) 상하 양면에 접촉되어 디스크(1a)의 두께 변화량 및 흔들림양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두께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크(1a) 상하 양면에 접촉되어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최소한 1 쌍의 변위센서(37a,37b,39a,39b)가 필요하며, 도시된 바에 의하면 37a 와 37b, 39a 와 39b를 한쌍으로 하는 2 쌍의 변위센서(37a,37b,39a,39b)가 설치되어 상기 디스크(1a)의 두께 변화량을 넓은 범위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쌍을 이루는 변위센서(37a,37b,39a,39b)간 간격 변화에 의해 상기 디스크(1a)의 두께 변화량을 측정한다.
한펀, 상기 디스크(1a)의 흔들림양은 설치된 변위센서(37a,37b,39a,39b)가 기준 위치에서 수직방향으로 얼마의 변위를 갖는가를 통해서 측정되며, 두께 변화량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된 변위센서(37a,37b,39a,39b)를 사용한다.
여기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측정유니트(11)에는 변위센서(37a,37b,39a,39b)가 2 쌍이 설치되었지만, 더욱 신뢰할 만한 측정값을 얻기 위해서 적절한 수의 변위센서(37a,37b,39a,39b)를 더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은 도 3 에서 각인유니트와 디스플레이가 더욱 포함된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인유니트(41)와 제 1, 2 디스플레이(43, 45)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인유니트(41)는 상기 압입유니트(9)와 측정유니트(11)가 설치된 다음 작업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측정유니트(11)에서 측정한 축 조립체의 디스크(1a)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상기 주 제어유니트(13)로부터 전달받아 해당하는축 조립체에 각인한다.
또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43)는 상기 측정유니트(11)가 측정한 축 조립체의 디스크(1a)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 및 적합, 부적합 여부를 상기 주 제어유니트(13)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45)는 상기 하중센서(23)가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서보모터 제어유니트(21)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45)는 상기 서보모터 제어유니트(21)에 의하여, 상기 하중센서(23)가 측정한 측정값을 수치로만이 아니라 실시간 그래프로서 비주얼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43,45)가 설치되면 작업자는 보다 신속하게 측정값을 얻으면서 작업동향을 파악할 수 있어서 더욱 향상된 품질관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주 제어유니트(13)와 서보모터 제어유니트(21)와 연결되는 데이타베이스와 출력수단이 더욱 설치되어 상기 제 1, 2 디스플레이(43, 45)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자료들을 저장하거나 용지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작업단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은 축 조립체의 반입단계(S100)와 이송단계(S200)와 로딩단계(S300)와 압입단계(S400)와 회전단계(S500)와 측정단계(S600)와 적합, 부적합 결정단계(S700)와, 언로딩단계(S800)와 각인단계(S900)와 축 조립체의 반출단계(S1000)로 진행된다.
여기서, 먼저, 축조립체의 반입단계(S100)가 진행된다.
상기 반입단계(S100)에서는, 작업자가 이송유니트(3)에 축 조립체를 올려 놓게 되며, 이때 축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파레트가 필요하다면 파레트와 축 조립체를 세팅한 후 상기 이송유니트(3)에 올려 놓는다.
또한, 상기 반입단계(S100) 이후 이송단계(S200)가 진행된다.
상기 이송단계(S200)에서는, 상기 이송유니트(3)가 축 조립체를 리프트유니트(5)가 위치한 곳까지 이송한다.
또한, 상기 이송단계(S200) 이후 로딩단계(S300)가 진행된다.
상기 로딩단계(S300)에서는 상기 리프트유니트(5)가 상기 이송유니트(3)에 의해 이송되는 축 조립체를 리프팅하여 지지유니트(7)에 로딩한다.
또한, 상기 로딩단계(S300) 이후 압입단계(S400)가 진행된다.
상기 압입단계(S400)에서는 압입유니트(9)에 설치된 압입헤드(15)가 상기 지지유니트(7)에 로딩된 축 조립체의 상부 중심부에 접촉하여 소정의 하중으로 압입한다.
이때, 상기 압입헤드(15)에 설치된 하중센서(23)에 의해 상기 압입헤드(15)가 가하는 압입하중이 측정되어 서보모터 제어유니트(21)에 전달되며, 상기 서보모터 제어유니트(21)는 전달된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서보모터(19)를 제어하여 상기 압입헤드(15)가 정확한 하중으로 축 조립체를 압입하게 한다.
이때, 제 2 디스플레이(45)가 설치되었다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45)는 상기 서보모터 제어유니트(21)로부터 상기 하중센서(23)가 측정한 측정값을 전달받아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압입단계(S400) 이후 회전단계(S500)가 진행된다.
상기 회전단계(S500)에서는 상기 지지유니트(7)에 의해 압입된 축 조립체의 디스크(1a)가 100RPM 정도의 속도로 소정시간 회전하며, 이때 축 조립체가 상기 지지유니트(7)에 정확하게 자리잡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유니트(7)가 축 조립체의 디스크(1a)를 20RPM 정도의 속도로 정속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단계(S400)에서 축 조립체의 디스크(1a)가 정속 회전되는 동안 측정단계(S500)가 진행된다.
상기 측정단계(S600)에서는 측정유니트(11)의 변위센서(37a,37b,39a,39b)가 회전하는 상기 디스크(1a) 상하 양면에 접촉되고, 이후 상기 디스크(1a)의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측정하여 주 제어유니트(13)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S600) 이후 적합, 부적합 결정단계(S700)가 진행된다.
상기 적합, 부적합 결정단계(S700)에서는 상기 주 제어유니트(13)가 상기 변위센서(37a,37b,39a,39b)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디스크(1a)의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근거로 축 조립체의 적합, 부적합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43)가 설치되었다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43)는 상기 주 제어유니트(13)로부터 상기 변위센서(37a,37b,39a,39b)가 측정한 측정값과 적합, 부적합 여부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상기 지지유니트(7)는 축 조립체에 대한 회전을 중단하고, 상기 압입유니트(9)는 축 조립체에 대한 압입을 해제한다.
또한, 상기 적합, 부적합 결정단계(S700) 이후 언로딩단계(S800)가 진행된다.
상기 언로딩단계(S800)에서는 상기 리프트유니트(5)가 상기 지지유니트(7)에 로딩된 축 조립체를 언로딩한다.
또한, 상기 언로딩단계(800) 이후 각인단계(S900)가 진행된다.
상기 각인단계(S900)에서는 상기 리프트유니트(5)에 의해 축 조립체가 각인유니트(41)에 옮겨지고, 상기 측정유니트(11)는 변위센서(37a,37b,39a,39b)가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주 제어유니트(13)로부터 전달받아 해당하는 축 조립체에 각인한다.
마지막으로, 반출단계(S1000)가 진행된다.
상기 반출단계(S1000)에서는 축 조립체가 작업라인에서 반출되며, 이때, 상기 축 조립체의 적합, 부적합 여부에 따라 분류되어 반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는 유압유니트를 사용하지 않아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축 조립체를 안정되고 정밀한 하중으로 압입할 수 있게 되어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입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는 하중센서가 설치되어 요구되는 정확한 압입하중으로 축 조립체를 압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축 조립체를 수평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니트와;
    축 조립체를 하부에서 지지하고, 지지된 상기 축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지지유니트와;
    상기 이송유니트에 의해 이송되는 축 조립체를 상기 지지유니트에 로딩하고 언로딩하는 리프트유니트와;
    서보모터에 의해 상하운동하는 압입헤드가 상기 지지유니트에 지지된 축 조립체를 상부 중심부에서 접촉하여 압입하는 압입유니트와;
    상기 지지유니트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측정하는 측정유니트와;
    상기 측정유니트에서 측정한 상기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을 근거로 상기 축 조립체의 적합, 부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주 제어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유니트는,
    상기 압입헤드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압입축과;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압입축의 상하운동으로 전환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헤드와 압입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입헤드가 상기 축 조립체에 가하는 압입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센서와;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에 반응하여 상기 압입헤드가 상기 축 조립체를 소정의 하중으로 압입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하는 서보모터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니트는,
    축 조립체의 디스크 상하 양면에 접촉되어 상기 디스크가 회전할 때 흔들림양 및 두께 변화량을 측정하는 변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유니트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측정유니트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해당하는 축 조립체에 각인하는 각인유니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니트가 측정한 축 조립체의 디스크 두께 변화량과 흔들림양 및 적합, 부적합 여부를 상기 주 제어유니트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을 상기 서보모터 제어유니트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는 상기 서보모터 제어유니트에 의하여 상기 하중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을 실시간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 측정장치.
KR10-2002-0011694A 2002-03-05 2002-03-05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측정장치 KR10043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694A KR100433599B1 (ko) 2002-03-05 2002-03-05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694A KR100433599B1 (ko) 2002-03-05 2002-03-05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124A true KR20030072124A (ko) 2003-09-13
KR100433599B1 KR100433599B1 (ko) 2004-05-31

Family

ID=3222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694A KR100433599B1 (ko) 2002-03-05 2002-03-05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24B1 (ko) * 2011-08-19 2013-11-01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밸브조립시스템용 코터 자동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4814A (ja) * 1984-11-21 1986-06-12 Sunstar Giken Kk デイスクブレ−キ用プレ−ト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0164693B1 (ko) * 1995-12-29 1999-03-30 정몽원 디스크의 두께 진동 측정장치
KR100237786B1 (ko) * 1997-12-29 2000-01-15 정몽규 주행 상태시 디스크 두께 변위량 측정장치
KR100388098B1 (ko) * 1998-06-25 2003-10-10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두께측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124B1 (ko) * 2011-08-19 2013-11-01 텔스타홈멜 주식회사 내연기관의 밸브조립시스템용 코터 자동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599B1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53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brading a workpiece
KR100252141B1 (ko) 웨이퍼 가압 장치
CN102323171B (zh) 一种摇摆端面式摩擦磨损试验装置及方法
KR100433599B1 (ko)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압입유니트를 구비한 축 조립체측정장치
CN201437205U (zh) 一种多触头液压夹具
US4489598A (en) Tire rolling resistance measurement system
KR102517550B1 (ko) 방향성을 가진 부쉬 압입기
CN110900356A (zh) 全口径抛光中抛光盘表面摩擦特性的在线检测装置及方法
CN214998920U (zh) 一种新型的铁芯轴承自动压入设备
JP2001194269A (ja) トラクション試験方法とその装置
CN212363651U (zh) 一种摇臂轴承寿命试验装置
CN209878323U (zh) 一种发动机轴承摩擦测量装置
CN113231928A (zh) 一种圆柱形铸件打磨夹具及铸件打磨生产线
CN214250925U (zh) 一种变速箱差速器顶部轴承与接合面动态高度的测量装置
CN215036195U (zh) 一种圆柱形铸件打磨夹具及铸件打磨生产线
CN100447402C (zh) 泵体内轴轴向配合间隙的动态检测设备
CN212536325U (zh) 一种耐久试验机的液压供油装置
CN101666602A (zh) 无级变速器的带轮轴装配体的尺寸测定装置
CN114689239A (zh) 一种扭矩检测标准装置及其使用方法
CN213762608U (zh) 定位机构以及具有该定位机构的加胶装置
CN114986121B (zh) 一种带压力位移监控的电机转子轴承带轮压装机
JPH1190811A (ja) 球加工機
JPH0192063A (ja) 両面研磨装置
CN217452836U (zh) 电机转子轴承双向压装机构
CN219683053U (zh) 一种水松纸的涂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