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927A -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927A
KR20030067927A KR1020020007663A KR20020007663A KR20030067927A KR 20030067927 A KR20030067927 A KR 20030067927A KR 1020020007663 A KR1020020007663 A KR 1020020007663A KR 20020007663 A KR20020007663 A KR 20020007663A KR 20030067927 A KR20030067927 A KR 20030067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concrete
formwork
stone
pl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627B1 (ko
Inventor
양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영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영토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영토건
Priority to KR10-2002-000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627B1/ko
Publication of KR2003006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6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의 사이를 구획하는 도로 경계석을 받침부재 위에 올려서 정렬한 후 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함으로서 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각각 한번에 완료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계석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단계와 시간을 최소화하고, 하나의 경계석 설치구역을 나누지 않고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 위의 규정된 높이에 경계석이 위치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경계석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 위에 받침부재를 세워서 경계석의 열과 높이를 맞추면서 규정된 높이를 유지하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재와 경계석 의 양측으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로 경계석을 시공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A road border construction process}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의 사이를 구획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의 사이를 구획하는 도로 경계석을 받침부재 위에 올려서 정렬한 후 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경계석은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차도와 보도를 구획하는 도로 경계석은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들이 운전자의 부주의 등으로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로 쉽게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는 보호석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로 경계석은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 위에 규정된 높이가 되도록 콘크리트로 경계석을 설치하여 차도와 보도를 구획하고 있다.
종래의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51)위에 1차 거푸집(52)(53)을 설치하는 단계와, 그 설치된 1차 거푸집(52)(53) 사이에 기초콘크리트(54)를 타설하여 일부 양생시키는 단계와, 일부 양생된 기초콘크리트(54)의 윗면을 평평하게 정리하고 1차 거푸집(52)(53) 중의 차도쪽 거푸집(53)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1차 거푸집(52)(53) 중의 하나의 거푸집(53)이 제거된 상태에서 일부 양생된 기초콘크리트(54) 위에 경계석(55)을 올려서 일렬로 올려지는 무수히 많은 경계석(55)들의 열과 높이를 타공방식으로 맞추어 설치하는 단계와, 제거된 거푸집(53)이 설치되어 있던 면을 치핑하고 완전 양생시키는 단계와, 남아있는 하나의 1차 거푸집(52)과 함께 L형 측구 시공을 위한 2차 거푸집(56) 하나를 추가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2개의 거푸집(52)(56) 사이에 L형 측구 콘크리트(57)를 타설하고 L형 측구 콘크리트(57) 윗면을 정리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로 경계석(55)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방법은 경계석(55)을 올리기 위한 기초콘크리트(54)를 타설하는 1차 거푸집(52)(53)과 L형 측구 콘크리트(57)를 타설하기 위한 2차 거푸집(56)을 설치해야 하므로 경계석(55) 설치를 준비하는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계석(55)을 설치하기 위하여 기초콘크리트(54)를 타설 및 양생하고, 다시 L형 측구 콘크리트(57)를 타설 및 양생해야 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이 반복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양생시간에 맞춰서 연속되는 경계석(55)을 나눠서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 외에도 기초콘크리트(54) 위에 경계석(55)을 시공한후, L형 측구 콘크리트(57)를 타설할 때 경계석(55) 뒤쪽은 별도로 뒤채움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 무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그 뒤채움콘크리트의 타설은 5cm정도의 좁은 공간에 뒤채움콘크리트를 투입해야 하므로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경계석(55) 시공방법에서 기초콘크리트(54)에 경계석을 시공하는 과정은 기초콘크리트(54)를 타설 한 후 물빼기와 양생이 이루어질 때 즉 완전히 양생되기 전에 경계석(55)을 완전 양생되지 않은 기초콘크리트(54) 위에 올려 놓으면서 타공방식으로 경계석들의 열과 높이를 맞춰야 하는 것이므로 기초콘크리트(54)의 강도가 약해지고, 이로 인하여 경계석(55)을 완전시공한 뒤에도 경계석(55)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의 사이를 구획하는 도로 경계석을 받침부재 위에 올려서 정렬한 후 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함으로서 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각각 한번에 완료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경계석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단계와 시간을 최소화하고, 하나의 경계석 설치구역을 나누지 않고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도로 경계석의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받침부재로 기층 위에 경계석을 올린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 2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경계석 양측으로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시공된 경계석의 작업 완료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종래의 기초콘크리트 시공단계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종래의 기초콘크리트 위에 경계석을 올린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종래의 L형 측구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종래의 L형 측구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1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층 2 : 받침부재
3 : 경계석 4, 5 : 거푸집
6 : 콘크리트 7 : 차도
8 : 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1) 위의 규정된 높이에 경계석(3)이 위치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경계석(3)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51) 위에 받침부재(2)를 세워서 경계석(3)의 열과 높이를 맞추면서 규정된 높이를 유지하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재(2)와 경계석(3) 의 양측으로 거푸집(4)(5)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거푸집(4)(5)의 내부에 콘크리트(6)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로 경계석을 시공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2)는 벽돌과 높이조절볼트, 스페이서, 등을 사용하여 경계석(3)이 규정된 높이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받침부재(2)가 경계석(3)의 저면 모서리부분들을 받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1) 위의 받침부재(2)를 세우고 그 위에 경계석(3)을 올려 놓는다.
이때, 상기 기층(1) 위에 세워지는 받침부재(2)는 차도(7)와 보도(8)의 경계석(3)을 설치할 하나의 구역 전체에 받침부재(2)를 세우고, 그 위에 경계석(3)을 올리면서 경계석(3)의 구역 전체에 대한 열과 높이를 맞춘다.
상기와 같이 기층(1) 위에 세워지는 받침부재(2)는 기존의 벽돌이나 새로 제작한 전용 벽돌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통상의 높이조절볼트나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받침부재(2)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벽돌이나 높이조절볼트 및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받침부재(2)는 각각의 경계석(3) 저면 모서리부분에 받쳐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받침부재(2)를 경계석(3) 저면의 모소리부분에만 받침부재(2)가 받쳐지도록 하면 경계석(3)의 하측과 양측이 모두 하나의 공간을 이루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한번에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재(2)를 기층(1) 위에 설치하고, 그 위에 경계석(3)을 올리면서 열과 높이를 모두 맞춘 후에는 받침부재(2)와 경계석(3)의 양측으로 콘크리트(6) 타설을 위한 거푸집(4)(5)을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4)(5)의 설치작업은 경계석이 시공되는 하나의 구역 전체에 경계석(3)과 함께 설치하여 한번의 콘크리트(6) 타설 작업으로 시공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받침부재(2) 위에 경계석(3)을 올리고, 그 양측으로 거푸집(4)(5)을 설치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설치된 거푸집(4)(5)의 사이로 콘크리트(6)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6)의 타설작업은 경계석(3)과 거푸집(4)(5)의 사이 공간 중에서 콘크리트(6) 타설이 용이한 넓은 공간에 콘크리트(6)를 타설하면 경계석(3)의 저면 모서리부분을 받치고 있는 받침부재(2)들 사이로 거푸집(4)(5) 사이 전체에 고르게 콘크리트(6)가 타설되므로 종래와 같이 경계석을 올리기 위하여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과 경계석 뒤쪽의 뒤채움콘크리트 투입작업 등의 번거로운 작업없이 한번의 콘크리트(6) 타설로 모든 콘크리트(6) 사용에 대한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4)(5) 사이에 콘크리트(6) 타설이 완료되면 L형 측구 콘크리트면을 평탄하게 정리하고, 콘크리트(6)를 양생시킨 후 거푸집(4)(5)을 제거하면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7)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8)의 경계석(3)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의 사이를 구획하는 도로 경계석을 받침부재 위에 올려서 정렬한 후 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함으로서 거푸집 설치와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각각 한번에 완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석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단계와 시간을 최소화하고, 하나의 경계석 설치구역을 나누지 않고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2)

  1.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1) 위의 규정된 높이에 경계석(3)이 위치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경계석(3)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석으로 이루어진 기층(51) 위에 받침부재(2)를 세워서 경계석(3)의 열과 높이를 맞추면서 규정된 높이를 유지하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받침부재(2)와 경계석(3) 의 양측으로 거푸집(4)(5)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거푸집(4)(5)의 내부에 콘크리트(6)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는 벽돌과 높이조절볼트, 스페이서, 등을 사용하여 경계석(3)이 규정된 높이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받침부재(2)가 경계석(3)의 저면 모서리부분들을 받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002-0007663A 2002-02-09 2002-02-09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044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663A KR100445627B1 (ko) 2002-02-09 2002-02-09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663A KR100445627B1 (ko) 2002-02-09 2002-02-09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927A true KR20030067927A (ko) 2003-08-19
KR100445627B1 KR100445627B1 (ko) 2004-08-25

Family

ID=3222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663A KR100445627B1 (ko) 2002-02-09 2002-02-09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6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00B1 (ko) 2010-11-26 2011-03-2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토목과 도로와 조경과 공원용 경계석 받침과 측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CN113550195A (zh) * 2021-06-22 2021-10-26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沥青混凝土道路路缘石基础一次成型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066B1 (ko) * 2006-02-08 2007-02-12 이병화 하수관이나 도로측구의 일체형 덮개시공방법
KR100958949B1 (ko) 2010-02-04 2010-05-19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자동 레벨 경계석과 측구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경 토목용 현장 타설용 경계석과 측구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0202U (ja) * 1982-03-16 1983-09-21 株式会社辰野組 道路境界ブロツク
JP2000110105A (ja) * 1998-10-01 2000-04-18 Kuresuko:Kk 境界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00036982A (ko) * 2000-04-03 2000-07-05 오영철 경계석 받침대
KR20020061025A (ko) * 2001-01-12 2002-07-22 이순호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272862Y1 (ko) * 2001-12-31 2002-04-20 조용우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받침구
KR200272863Y1 (ko) * 2001-12-31 2002-04-20 조용우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KR200274502Y1 (ko) * 2002-02-07 2002-05-04 이경환 높이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측구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400B1 (ko) 2010-11-26 2011-03-23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토목과 도로와 조경과 공원용 경계석 받침과 측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통돌이형 시공 장치 및 방법
CN113550195A (zh) * 2021-06-22 2021-10-26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沥青混凝土道路路缘石基础一次成型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5627B1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526A (en) Mold device for forming concrete pathways
US4445802A (en) System of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for constructing paths
KR20090040712A (ko) 지하 박스 구조물 형성용 강재 거푸집
CN102493350A (zh) 景观桥梁外挂式防撞护栏的施工方法
US10053833B2 (en) Pre-cast decorative retaining wall system
US6939078B1 (en) Tactile detectable warning ramps for pedestrian pathways
KR100777153B1 (ko) 경계석 시공방법
US2993600A (en) Catch basin construction
KR100445627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20110132880A (ko)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방법
KR10042105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0432863B1 (ko)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JP2004218348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布設方法
JP2009161961A (ja) 側溝及び側溝施工方法
KR20100092609A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2284034B1 (ko)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JP2008038336A (ja) 土間コンクリート構造
KR200272862Y1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받침구
JP2950393B2 (ja) 側 溝
KR20130000494A (ko) 도로경계석 설치구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CN217106439U (zh) 一种清水红砖葫芦瓶栏杆的结构
JP3086659U (ja) 乾式階段ブロック
JPH08311832A (ja) 道路等の防護柵構造物の改修方法
KR200330361Y1 (ko) 교량 보도부의 배수처리용 높이인상 받침블록 설치구조
JPH0925639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据置用アジャ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