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034B1 -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 Google Patents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034B1
KR102284034B1 KR1020210030314A KR20210030314A KR102284034B1 KR 102284034 B1 KR102284034 B1 KR 102284034B1 KR 1020210030314 A KR1020210030314 A KR 1020210030314A KR 20210030314 A KR20210030314 A KR 20210030314A KR 102284034 B1 KR102284034 B1 KR 10228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ift
height adjustment
height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오
전호영
Original Assignee
김현오
전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오, 전호영 filed Critical 김현오
Priority to KR1020210030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6Sets of pav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승강가이드홀에 각각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피대상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공법은,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층을 형성하는 기층형성단계; 상기 기층의 상면에 복수개의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지지부들의 상면에 복수개의 피대상물을 나열, 안착하되, 어느 하나의 지지부의 상면과 다른 하나의 지지부의 상면에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안착하는 안착단계; 상기 지지부의 승강가이드홀에 높낮이 조절부를 체결한 다음,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대상물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단계;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지지부들의 사이 공간마다 몰탈을 채움하는 몰탈층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DEVICE FOR LIFT AND LIFT METHO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프트 장치 및 리프트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도에 적용되는 판석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판석들의 두께가 서로 상이 하더라도 최상면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는 리프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프트 공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바닥면이 견고한 강성을 가지면서 환경이 미려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판석을 설치하여 차도를 형성하는데, 이러한 판석은 통상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엇갈림 배열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판석을 설치하는 시공 공정은 원래의 지반을 강하게 다지는 지반 다짐단계가 완료된 후 모래 및 자갈이 뒤섞인 혼합골재를 포설하여 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층재 투입단계, 콘크리트의 분리막을 도포하는 분리막 도포단계, 혼합골재의 상부측에 시멘트와 모래 및 자갈이 뒤섞인 레미콘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레미콘 타설단계, 자갈이 제거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는 콘크리트 조절층 타설단계,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의 상부측에 판석을 배열하는 판석 배열단계, 판석의 사이 틈으로 줄눈 시멘트를 투입하여 판석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줄눈 시공단계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레미콘 타설단계에서는 와이어 매시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레미콘이 더욱 견고하게 양생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의 상부에 바로 판석을 올려놓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판석의 하중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이 하부로 처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이 양생되더라도 판석의 하중으로 인해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판석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판석들의 높이를 모두 일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두께가 다른 판석을 설치할 경우 판석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두께가 동일한 판석을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4358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다수개의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지지부의 상부에 판석들을 배치하면서 높낮이 조절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판석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판석들의 두께가 서로 상이 하더라도 최상면의 높이를 일치 시킬 수 있는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지부들의 사이 공간마다 받침 몰탈을 용이하고 균일하게 주입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을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낮이 조절부가 지지부 및 판석에 가려지더라도 조작이 가능한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을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도나 인도에 적용되어 바닥판을 형성하는 피대상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리프트 장치로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승강가이드홀에 각각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피대상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된 상부 수평부; 상기 상부 수평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는 상단이 상기 상부 수평부의 저면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수평부의 상면 중앙부분에 연결하여, 'H'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부 수평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은,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층을 형성하는 기층형성단계; 상기 기층의 상면에 복수개의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지지부들의 상면에 복수개의 피대상물을 나열, 안착하되, 어느 하나의 지지부의 상면과 다른 하나의 지지부의 상면에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안착하는 안착단계; 상기 지지부의 승강가이드홀에 높낮이 조절부를 체결한 다음,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대상물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단계;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지지부들의 사이 공간마다 몰탈을 채움하는 몰탈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단계와 몰탈층 형성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와 피대상물의 사이 공간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된 상부 수평부; 상기 상부 수평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는 상단이 상기 상부 수평부의 저면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수평부의 상면 중앙부분에 연결하여, 'H'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부 수평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에 의하면, 지면에 다수개의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지지부의 상부에 판석들을 배치하면서 높낮이 조절부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판석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판석들의 두께가 서로 상이 하더라도 최상면의 높이를 일치 시킬 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지부들의 사이 공간마다 받침 몰탈을 용이하고 균일하게 주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낮이 조절부가 지지부 및 판석에 가려지더라도 조작이 가능한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을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통해 차도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통해 차도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 적용된 판석, 지지부, 기층 및 몰탈층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통해 차도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통해 차도를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 적용된 판석, 지지부, 기층 및 몰탈층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는, 지면에 다수개로 나열 배치되는 피대상물(2)의 양측을 지지하고, 피대상물(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피대상물(2)들의 최상면 높이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이때, 피대상물(2)은 차도나 인도에 적용될 수 있다.
피대상물이 차도에 적용되는 경우 차량의 타이어가 구름 이동하게 되는 바닥판을 형성하고, 인도에 적용되는 경우 사람이 발로 밟고 지나가는 바닥판을 형성한다.
피대상물(2)은 다각판 형상, 원판 형상, 타원형 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피대상물이 판석으로 적용되어 차도를 형성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1)는 지지부(10) 및 높낮이 조절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차도상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이다.
지지부(10)는 일정한 두께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상부 수평부(11)와 하부 수평부(13) 및 상부 수평부(11)와 하부 수평부(13)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12)는 상부 수평부(11)와 하부 수평부(13)의 중앙부분을 연결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수평부(11)와 하부 수평부(13) 및 수직부(12)가 조합된 형상은 "H"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수평부(11)의 상면에는 판석(2)이 안착된다. 이때, 판석(2)은 일측이 어느 하나의 지지부(10)를 구성하는 상부 수평부(11)의 상면 일정영역에 안착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지지부(10)를 구성하는 상부 수평부(11)의 상면 일정영역에 안착된다.
즉, 판석(2)은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상부 수평부(11)의 상면에 공동으로 안착된다.
그리고, 상부 수평부(11)의 일측과 타측에는 후술되는 높낮이 조절부(20)가 체결되는 승강가이드홀(11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승강가이드홀(11a)은 높낮이 조절부(20)가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되어 상부 수평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즉, 승강 가이드홀을 복수개로 적용하는 경우 높낮이 조절부(20)가 다수개의 판석(2)들의 저면 상에 고루게 분포된 상태에서 판석(2)들을 각각 균형 있게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수직부(12)는 상단이 상부 수평부(11)의 저면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하단은 하부 수평부(13)의 상면 중앙부분에 연결된다.
수직부(12)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2a)이 형성된다.
관통홀(12a)은 다수개로 적용되어 수직부(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관통홀(12a)은 지지부(10)들의 사이 공간에 몰탈을 채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손을 넣어 높낮이 조절부(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리프트 공법과 함께 상세히 기재하기로 한다.
한편, 높낮이 조절부(20)는 판석(2)을 지지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높낮이 조절부(20)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바디 및 바디와 연결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볼트로 적용되어 승강가이드홀(11a)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높낮이 조절부(20)는 상부 수평부(11)의 하방에서 승강가이드홀(11a)에 체결된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부(20)의 헤드는 상부 수평부(11)의 하측에 위치되고, 바디는 판석(2)의 저면 가장자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상부 수평부(11)의 하방에서 헤드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디가 승강가이드홀(11a)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됨으로 판석(2)도 상승된다.
그리고, 헤드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디가 승강가이드홀(11a)을 따라 점진적으로 하강됨으로 판석(2)도 하강된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부(20)들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판석(2)들의 높낮이를 일치시키면 된다.
이때, 높낮이 조절부(20)의 바디에 형성된 나선의 피치 및 승강가이드홀(11a)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선의 피치를 좁게 형성할 경우, 판석(2)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다수개의 판석(2)의 경우에도, 높낮이 조절부(20)를 통해 판석(2)들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판석(2)들의 최상면이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공법은 기층형성단계, 배치단계, 안착단계, 높이 조절단계, 배치단계, 안착단계, 높이조절단계, 고정단계 및 몰탈층(40) 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층형성단계는 먼저, 차도를 형성하고자 하는 장소의 지면을 일정 깊이로 터파기 한다.
이후, 터파기 한 장소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기층(30)을 형성한다.
배치단계는 기층(30)의 상면에 복수개의 지지부(10)를 일정간격으로 안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지지부(10)의 하부 수평부(13)는 기층(30)에 앙카볼트 및 앙카너트로 구성되는 앙카셋트(3)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안착단계는 지지부(10)들의 상면에 복수개의 판석(2)들을 순차적으로 안착하는 단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석(2)은 대략 다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석(2)의 저면 일측과 타측을 어느 하나의 지지부(10)를 구성하는 상부 수평부(11)의 상면과 다른 하나의 지지부(10)를 구성하는 상부 수평부(11)의 상면에 각각 안착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2개의 상부 수평부(11)는 어느 하나의 판석(2)을 공동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판석(2)들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형태로 상부 수평부(1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높이 조절단계는 상부 수평부(11)의 승강가이드홀(11a)들에 높낮이 조절부(20)를 체결한 다음, 높낮이를 조절부를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판석(2)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도 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부(10a,10b)의 상부 수평부(11) 상면에 복수개의 판석(2)들을 나열 안착한 다음, 높낮이 조절부(20)들을 각각 회전시켜 판석(2)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키면 된다.
이때, 수직부(12)에는 관통홀(12a)이 형성되어 있는 바, 작업자는 관통홀(12a)에 손을 집어 넣어 2개의 지지부(10) 사이에 가려진 높낮이 조절부(20)를 회전시켜 판석(2)들의 높낮이를 조절하면 된다.
이후, 판석(2)의 일정영역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10b)와 다른 지지부(10c)의 상면에 새로운 판석(2)들을 나열 안착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부(20)를 조작하여 새로운 판석(2)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킨다.
고정단계는 판석(2)을 상부 수평부(11)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높낮이 조절부(20)에 의해 상부 수평부(11)와 판석(2)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수평부(11)와 판석(2)의 사이 공간에 에폭시(50)를 도포하여 판석(2)을 상부 수평부(11)에 고정하면 된다.
이때, 에폭시(50) 중 일부는 상부 수평부(11)의 상부로 돌출된 볼트의 바디를 감쌀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든 지지부(10)들 상에서 판석(2)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킨 다음에는 지지부(10)들의 사이 공간을 보강하는 몰탈 몰탈층(40)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몰탈층(40) 형성단계는 먼저, 지지부(10)들의 가장자리에 거푸집(미도시)을 설치한다.
이때, 거푸집은 사각박스 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지지부(10)들은 거푸집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그리고, 거푸집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개의 주입홀(미도시)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주입홀을 통해 몰탈을 고압으로 주입하면 몰탈이 수직부(12)들의 관통홀(12a)을 통과하여 지지부(10)들의 사이 공간마다 채움된다.
그리고, 몰탈이 양생됨에 따라 기층(30), 지지부(10) 및 판석(2)이 일체화 된다.
이때, 판석(2)들의 사이마다 몰탈을 주입하여 판석(2)들을 일체화 시키는 작업이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몰탈이 양생되면 거푸집을 탈형함으로써, 차도(L)를 완성하면 된다.
부가적으로, 차도의 양측에는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측구(4)를 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리프트 장치 10 : 지지부
11 : 상부 수평부 11a : 승강가이드홀
12 : 수직부 12a : 관통홀
13 : 하부 수평부 20 : 높낮이 조절부
30 : 기층 40 : 몰탈층
50 : 에폭시

Claims (4)

  1. 차도나 인도에 적용되어 바닥판을 형성하는 피대상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리프트 장치로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승강가이드홀에 각각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피대상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된 상부 수평부;
    상기 상부 수평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는 상단이 상기 상부 수평부의 저면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수평부의 상면 중앙부분에 연결하여, 'H'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부 수평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으로서,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층을 형성하는 기층형성단계;
    상기 기층의 상면에 복수개의 지지부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는 배치단계;
    상기 지지부들의 상면에 복수개의 피대상물을 나열, 안착하되, 어느 하나의 지지부의 상면과 다른 하나의 지지부의 상면에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안착하는 안착단계;
    상기 지지부의 승강가이드홀에 높낮이 조절부를 체결한 다음,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대상물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단계;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지지부들의 사이 공간마다 몰탈을 채움하는 몰탈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단계와 몰탈층 형성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와 피대상물의 사이 공간에 에폭시를 도포하여 고정하는 고정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된 상부 수평부;
    상기 상부 수평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저면에 형성되고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 수평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부는 상단이 상기 상부 수평부의 저면 중앙부분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 수평부의 상면 중앙부분에 연결하여, 'H'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부 수평부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리프트 공법.
  4. 삭제
KR1020210030314A 2021-03-08 2021-03-08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KR10228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14A KR102284034B1 (ko) 2021-03-08 2021-03-08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14A KR102284034B1 (ko) 2021-03-08 2021-03-08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034B1 true KR102284034B1 (ko) 2021-07-30

Family

ID=7714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314A KR102284034B1 (ko) 2021-03-08 2021-03-08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0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89Y1 (ko) * 2007-06-22 2007-12-07 오철호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KR20120016387A (ko) *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해광 건물용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62794Y1 (ko) * 2012-07-06 2012-10-02 최낙훈 수로관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시공 구조
KR101243583B1 (ko) 2010-09-20 2013-03-20 이윤근 투수 도로판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89Y1 (ko) * 2007-06-22 2007-12-07 오철호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KR20120016387A (ko) *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해광 건물용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43583B1 (ko) 2010-09-20 2013-03-20 이윤근 투수 도로판석
KR200462794Y1 (ko) * 2012-07-06 2012-10-02 최낙훈 수로관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수로관 시공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9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169731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 보수와 포장 공법
US20050284095A1 (en) Structural concrete membe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AU20133062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leveling a concrete panel
US2720017A (en) Method of erecting buildings
US6899489B2 (en) Pre-fabricated warped pavement slab, forming and pav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and making same
CN106245670A (zh) 一种外露式钢柱脚施工方法
US20150211204A1 (en) Pre-cast decorative retaining wall system
JP5596876B1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装置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方法
KR100525156B1 (ko) 영구앵커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 구조및 옹벽의 시공방법
KR101389704B1 (ko)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방법
CN110230239A (zh) 一种可调平的预制混凝土道面板及施工方法
KR102284034B1 (ko)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US5558823A (en) Method for forming walls
EP0726361B1 (en) Method of forming pavement on automobile test road and pavement member for automobile test road
KR101544985B1 (ko) 소켓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KR102257960B1 (ko)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EP3124705A1 (en) Formers
JP3585567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施工方法、コンクリート製品及び埋込インサート
KR100445627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JP2988878B2 (ja) 化粧材打込み床板と床板の施工方法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CN113431077B (zh) 塔吊基础施工方法
JP2020002550A (ja) 堤防法面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設置構造
KR200314876Y1 (ko) 영구앵커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