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960B1 -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 Google Patents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960B1
KR102257960B1 KR1020210030313A KR20210030313A KR102257960B1 KR 102257960 B1 KR102257960 B1 KR 102257960B1 KR 1020210030313 A KR1020210030313 A KR 1020210030313A KR 20210030313 A KR20210030313 A KR 20210030313A KR 102257960 B1 KR102257960 B1 KR 102257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body
body portion
float
height adjustment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오
전호영
Original Assignee
김현오
전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오, 전호영 filed Critical 김현오
Priority to KR102021003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장치는,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플로트 본체부; 및 상기 플로트 본체부에 각각 체결되되,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로트 본체부 및 피대상물을 지지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플로트 본체부 및 피대상물을 공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공법은, 지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층 형성단계; 상기 기초층의 상부에 몰탈을 타설하는 몰탈층 형성단계; 상기 몰탈층의 상부에 물과 혼합된 시멘트를 도포하는 접착층 형성단계;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에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에 높낮이 조절부를 각각 체결한 다음,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상기 피대상물을 안착하는 안착단계; 및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의 승강가이드홀에 체결된 높낮이 조절부를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대상물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DEVICE FOR FLOAT AND FLOAT METHOD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로트 장치 및 플로팅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에 적용되는 판석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판석들의 두께가 서로 상이 하더라도 최상면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으며, 판석을 지지한 상태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판석의 하부에 시공되는 기초층(콘크리트)이나 몰탈층에 판석의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인도 등의 보도에는 바닥면이 견고한 강성을 가지면서 환경이 미려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판석을 지면에 설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판석은 통상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엇갈림 배열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판석을 설치하는 시공 공정은 원래의 지반을 강하게 다지는 지반 다짐단계가 완료된 후 모래 및 자갈이 뒤섞인 혼합골재를 포설하여 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기층재 투입단계, 콘크리트의 분리막을 도포하는 분리막 도포단계, 혼합골재의 상부측에 시멘트와 모래 및 자갈이 뒤섞인 레미콘을 타설하여 양생하는 레미콘 타설단계, 자갈이 제거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는 콘크리트 조절층 타설단계,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의 상부측에 판석을 배열하는 판석 배열단계, 판석의 사이 틈으로 줄눈 시멘트를 투입하여 판석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줄눈 시공단계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레미콘 타설단계에서는 와이어 매시 등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레미콘이 더욱 견고하게 양생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양생이 완료되지 않은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의 상부에 바로 판석을 올려놓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판석의 하중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이 하부로 처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이 양생되더라도 판석의 하중으로 인해 콘크리트 몰탈 조절층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판석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판석들의 높이를 모두 일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두께가 다른 판석을 설치할 경우 판석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두께가 동일한 판석을 사용해야 한다는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4358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판석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고, 판석들의 두께가 서로 상이 하더라도 최상면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는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석을 지지한 상태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판석의 하부에 시공되는 기초층(콘크리트)이나 몰탈층에 판석의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장치는,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로트 본체부; 및 상기 플로트 본체부에 각각 체결되되,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로트 본체부 및 피대상물을 지지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플로트 본체부 및 피대상물을 공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트 본체부는 상기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 플로트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의 측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로트 본체부에는 상기 고정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개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고, 상기 고정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각각 형성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개재부 및 수용홈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재부는 1개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립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장치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은, 지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층 형성단계; 상기 기초층의 상부에 몰탈을 타설하는 몰탈층 형성단계; 상기 몰탈층의 상부에 물과 혼합된 시멘트를 도포하는 접착층 형성단계;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에 높낮이 조절부를 각각 체결한 다음,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상기 피대상물을 안착하는 안착 단계; 및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의 승강가이드홀에 체결된 높낮이 조절부를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대상물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의 측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로트 본체부에는 상기 고정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개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고, 상기 고정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로트 장치에 의하면, 판석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판석들의 두께가 서로 상이 하더라도 최상면의 높이를 일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판석을 지지한 상태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판석의 하부에 시공되는 기초층(콘크리트)이나 몰탈층에 판석의 하중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가 피대상물인 판석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에 적용된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에 보강립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에 적용된 제2 플로트 본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를 통해 판석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를 통해 판석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가 피대상물인 판석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에 적용된 제2 플로트 본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1)는, 지면에 다수개로 나열 배치되는 피대상물(2)의 양측을 지지하고, 피대상물(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피대상물(2)들 간의 높이를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제품이다.
이때, 피대상물(2)은 보도에 시공되는 것으로, 보행자가 발로 밟고 지나가는 바닥판을 형성하게 된다.
피대상물은 석재, 합성수지,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피대상물(2)은 다각판 형상, 원판 형상, 타원형 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피대상물(2)의 좌측과 우측에는 후술되는 제1 플로트 본체부(11)와 제2 플로트 본체부(12)가 고정되는 고정홈(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피대상물(2)의 상면에는 지역을 홍보하는 그림이나, 문구, 로고, 기타 다양한 내용이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1)는 피대상물(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되는 플로트 본체부(10) 및 상기 플로트 본체부(10)에 각각 체결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플로트 본체부(10) 및 피대상물(2)을 공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낮이 조절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트 본체부(10)는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로트 본체부(11)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로트 본체부(11)는 피대상물(2)의 좌측에 형성된 고정홈(2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1 플로트 본체부(11)의 양측에는 고정홈(2a)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편(11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편(111)에는 후술되는 높낮이 조절부(20)가 체결되는 승강가이드홀(111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면에는 돌출편(111)에 승강가이드홀(111a)이 1개씩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1)에서 돌출편(111)에 형성되는 승강가이드홀(111a)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힌다.
부가적으로, 돌출편(111)의 사이에는 후술되는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개재부(121)가 수용되는 수용홈(11a)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11a)은 사다리꼴 단면 형상, "ㄷ'자 단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다리꼴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제2 플로트 본체부(12)는 일정한 길이와 두께를 갖는 바아(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로트 본체부(12)는 피대상물(2)의 우측에 형성된 고정홈(2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양측 끝부분 사이에는 고정홈(2a)의 외부로 돌출되는 개재부(121)가 형성된다.
일 예로, 개재부(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로 적용되며 수용홈(11a)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재부(121)는 마주하는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수용홈(11a)에 수용된다. 개재부(121)로 인해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양측 끝부분에는 마주하는 제1 플로트 본체부(11)의 돌출편(111)이 수용되는 부가 수용홈(121b)이 형성된다.
개재부(121)가 수용홈(121b)에 수용되면 개재부(121)와 돌출편(111)이 서로 맞물리게 됨으로, 일직선상으로 나열 배치되는 피대상물(2)들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개재부(121)가 수용홈(121b)에 수용되는 구조로 인해 피대상물(2)들 간의 간격를 좁힐 수 있다.
그리고, 개재부(121)에는 후술되는 높낮이 조절부(20)가 체결되는 승강가이드홀(121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도면에는 개재부(121)의 일측과 타측에 승강가이드홀(121a)이 1개씩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1)에서 개재부(121)에 형성되는 승강가이드홀(121a)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음을 밝힌다.
다른 예로, 개재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개재부(121)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돌출편(111)과 마주할 수 있다.
한편, 높낮이 조절부(20)는 피대상물(2)을 지지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높낮이 조절부(20)는 일정한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나선(20a)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높낮이 조절부(20)는 무두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
높낮이 조절부(20)는 총 4개로 적용되어 돌출편(111)의 승강가이드홀(111a) 및 개재부(121)의 승강가이드홀(121a)에 각각 체결된다.
높낮이 조절부(20)는 하단이 지면과 접하고, 상측부분은 돌출편(111) 및 개재부(12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부(20)는 제1 플로트 본체부(11)와 피대상물(2)의 좌측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와 피대상물(2)의 우측을 각각 지지한다.
높낮이 조절부(20)의 상측 부분을 드라이버나 기타 도구로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편(111) 및 개재부(121)가 높낮이 조절부(20)의 나선(20a)을 따라 점진적으로 상승된다.
그리고, 높낮이 조절부(20)의 하측 부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편(111) 및 개재부(121)가 높낮이 조절부(20)의 나선(20a)을 따라 점진적으로 하강된다.
즉, 높낮이 조절부(20)의 상측 부분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플로트 본체부(11)와 피대상물(2)의 좌측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와 피대상물(2)의 우측이 공동으로 상승되고, 높낮이 조절부(20)의 상측 부분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플로트 본체부(11)와 피대상물(2)의 좌측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와 피대상물(2)의 우측이 공동으로 하강됨으로, 높낮이 조절부(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피대상물(2)들의 높낮이를 일치시키면 된다.
이때, 높낮이 조절부(20)에 형성된 나선(20a)의 피치를 좁게 형성할 경우 플로트 본체부(10)를 나선(20a)의 피치 간격 만큼 미세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대상물(2)의 높낮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다수개의 피대상물의 경우에도, 높낮이 조절부(20)를 통해 피대상물(2)들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피대상물(2)들의 최상면이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1)에 적용된 플로트 본체부(10)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트 장치에 적용된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에 보강립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는 각각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S1,S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내부공간(S1,S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립(112,122)이 각각 형성된다.
보강립(112,122)은 다양한 개수 및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5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내부에 공간(S1,S2)을 형성하는 경우,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보강립(112,122)으로 인해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장치를 통해 판석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장치를 통해 판석을 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지면에 피대상물(2)을 위치시키기 위한 기초층(30) 형성단계를 수행한다.
지면에 상면과 저면이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거푸집을 배치하고, 거푸집의 내부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일정높이를 갖는 기초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후, 기초층(30)의 상부에 몰탈을 타설 및 양생하여 기초층(3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몰탈층(40)을 형성한다.
이때, 몰탈은 반건식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습식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반건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후에, 거푸집을 탈형한 다음, 몰탈층(40)의 상부에 물과 일정비율로 혼합된 시멘트를 도포하여 접착층(50)을 형성한다.
이후, 피대상물(2)의 좌측에 형성된 고정홈(2a)에 제1 플로트 본체부(11)를 고정하고, 피대상물(2)의 우측에 형성된 고정홈(2a)에 제2 플로트 본체부(12)를 고정한 다음, 돌출편(111)과 개재부(121)의 승강가이드홀(111a,121a)에 높낮이 조절부(20)를 각각 체결한다. 이와 같은 경우, 높낮이 조절부(20)의 상측과 하측은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상측과 하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다.
이어서, 피대상물(2)을 접착층(50)의 상부에 안착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접착층(50)이 피대상물(2)의 저면에서 양생됨으로, 피대상물(2)이 접착층(50)에 안정적으로 정착된다.
나아가, 피대상물(2)을 접착층(50)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높낮이 조절부(20)가 지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높낮이 조절부(20)의 지지력이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를 통해 피대상물(2)에 작용하게 된다.
즉, 높낮이 조절부(20)는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를 매개로 피대상물(2)을 지지함에 따라, 몰탈층(40)이 피대상물(2)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거나 하방으로 눌리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피대상물(2)을 지지하면 기초층(30)에 전달되는 피대상물(2)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기초층(30)의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접착층(50), 몰탈층(40) 및 기초층(30)의 파손을 방지하여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에, 제1 플로트 본체부(11) 및 제2 플로트 본체부(12)의 체결홀에 체결된 높낮이 조절부(20)를 각각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피대상물(2)을 기 설계한 높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플로트 장치 10 : 플로트 본체부
11 : 제1 플로트 본체부 11a : 수용홈
111 : 돌출편 111a,121a : 승강가이드홀
112,122 : 보강립 12 : 제2 플로트 본체부
121 : 개재부 121b : 부가 수용홈
20 : 높낮이 조절부 20a : 나선
30 : 기초층 40 : 몰탈층
50 : 접착층

Claims (6)

  1.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로트 본체부; 및
    상기 플로트 본체부에 각각 체결되되, 하단이 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플로트 본체부 및 피대상물을 지지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플로트 본체부 및 피대상물을 공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높낮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트 본체부는 상기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 플로트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의 측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로트 본체부에는 상기 고정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개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고, 상기 고정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각각 형성되는 플로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승강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원형 바아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상기 승강가이드홀에 체결되는 나선이 형성된 플로트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재부 및 수용홈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재부는 1개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플로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립이 형성된 플로트 장치.
  6.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로트 장치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으로서,
    지면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초층 형성단계;
    상기 기초층의 상부에 몰탈을 타설하는 몰탈층 형성단계;
    상기 몰탈층의 상부에 물과 혼합된 시멘트를 도포하는 접착층 형성단계;
    피대상물의 일측과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에 높낮이 조절부를 각각 체결한 다음,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상기 피대상물을 안착하는 안착 단계; 및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 및 제2 플로트 본체부의 승강가이드홀에 체결된 높낮이 조절부를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피대상물들의 최상면 높이를 일치시키는 높이 조절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의 측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로트 본체부에는 상기 고정홈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개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로트 본체부의 양측에는 상기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고, 상기 고정홈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각각 형성되는 플로팅 공법.
KR1020210030313A 2021-03-08 2021-03-08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KR10225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13A KR102257960B1 (ko) 2021-03-08 2021-03-08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313A KR102257960B1 (ko) 2021-03-08 2021-03-08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960B1 true KR102257960B1 (ko) 2021-05-28

Family

ID=7614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313A KR102257960B1 (ko) 2021-03-08 2021-03-08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9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503A (ja) * 1995-10-05 1997-04-15 Taisei Rotetsuku 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の連結用治具
JP2003227225A (ja) * 2002-02-05 2003-08-15 Tootec:Kk 床下地材のレベル調整台座
KR20090017096A (ko) * 2007-08-14 2009-02-18 (주)아도니스글로벌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43583B1 (ko) 2010-09-20 2013-03-20 이윤근 투수 도로판석
KR101865749B1 (ko) * 2017-04-10 2018-06-11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Pc트렌치 레벨작업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503A (ja) * 1995-10-05 1997-04-15 Taisei Rotetsuku Kk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の連結用治具
JP2003227225A (ja) * 2002-02-05 2003-08-15 Tootec:Kk 床下地材のレベル調整台座
KR20090017096A (ko) * 2007-08-14 2009-02-18 (주)아도니스글로벌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43583B1 (ko) 2010-09-20 2013-03-20 이윤근 투수 도로판석
KR101865749B1 (ko) * 2017-04-10 2018-06-11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Pc트렌치 레벨작업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0337A1 (en) Concrete module with reinforcing sheet shaped to provide anchors
US10422133B2 (en) Precast concrete composite wall
KR1015449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US20160090740A1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JP5596876B1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装置及びプレキャスト床版の製造方法
US2695159A (en) Precast fence
JP505159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を使用した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の構築方法
US6899489B2 (en) Pre-fabricated warped pavement slab, forming and pav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lling and making same
KR102257960B1 (ko)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US7735278B2 (en) Edge-adapted detectable warning tiles with bottom-side extensions
US7779591B2 (en) Tiles with bottom-side extensions and method for installation
KR101756466B1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544985B1 (ko) 소켓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포장공법
WO2020226510A1 (en) Modular slab, slab system, pil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09053185A2 (en) A self-supporting paving for outdoor use
EP3397824B1 (en) Assembly for applying a screed and method for applying a screed
KR102284034B1 (ko) 리프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프트 공법
KR100948585B1 (ko) 바닥 시공방법
US7845123B2 (en) Staircase block and staircas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taircase block
US11293189B2 (en) Flooring system for use in a sloped floor
JP2988878B2 (ja) 化粧材打込み床板と床板の施工方法
KR101956517B1 (ko) 콘크리트 바닥 조인트
KR100559149B1 (ko) 계단구축용 디딤블록
KR100953962B1 (ko) 경계석 부양 시공장치
CN1192795A (zh) 有关面砖和地板表面的改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