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096A -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096A
KR20090017096A KR1020070081575A KR20070081575A KR20090017096A KR 20090017096 A KR20090017096 A KR 20090017096A KR 1020070081575 A KR1020070081575 A KR 1020070081575A KR 20070081575 A KR20070081575 A KR 20070081575A KR 20090017096 A KR20090017096 A KR 2009001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loor structure
flooring
flooring material
adjust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4779B1 (ko
Inventor
우귀동
Original Assignee
(주)아도니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도니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아도니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07008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47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4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88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filled with material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닥면에 콘크리트 몰탈을 시공하여 양생시키는 1단계(S1)와; 레이저 또는 먹줄을 이용하여 기준면을 설정하는 2단계(S2)와; 기준면 및 바닥재(2)의 규격에 맞게 가로 및 세로로 높이조절부재(4)를 바닥면에 접착 설치하는 3단계(S3)와; 바닥면 및 높이조절부재(4)의 상면에 접착제(200)를 도포하는 4단계(S4)와; 바닥재(2)의 단턱부(22)에 높이조절부재(4)의 메인지지대(42)가 삽입되고, 상기 보조지지대(44)가 상기 바닥재(2)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안착시켜, 다수의 바닥재(2)를 접착 시공하는 5단계(S5)와; 압착기로 바닥재(2)를 압착하여 양생시키는 6단계(S6)로 구성됨으로써, 줄눈이 없이 시공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바닥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고, 바닥재들 사이에 틈새가 없어 먼지가 끼이지 않고, 오염될 염려가 없게 된다.
바닥, 타일, 판재, 줄눈, 높이조절

Description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Floor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석이나 광택타일과 같은 석재류의 바닥판재를 간편하고, 용이하며, 오염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이나 대리석 등과 같이 일정크기로 정형화 된 타일형 바닥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전후좌우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시공된다.
이러한 타일형 바닥재의 종래 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일형 바닥재(10)를 시공하고자 하는 공간의 바닥에 시멘트와 모래와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몰탈을 소정두께로 평탄하게 펴서 기초바닥층(2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바닥층(20)의 상면에 표면 광택작업이 이루어진 다수의 타일형 바닥재(10)를 약 5㎜ 정도 간격을 두면서 상하좌우 연속적으로 배열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간격을 두면서 연속적으로 배열 결합된 타일형 바닥재(10)와 바닥재(10) 사이에 시멘트와 모래와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몰탈을 주입시켜 줄눈(3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줄눈(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타일형 바닥재(10) 표면에 묻은 몰탈을 세척기 또는 물걸래 등으로 세척하는 단계를 거쳐 타일형 바닥재(10)의 시공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타일형 바닥재의 시공은 줄눈 몰탈의 백화, 오염, 부패 등 비위생적인 폐단이 발생되고, 외관상 조잡하여 미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줄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바닥재의 수평 높이를 정확하게 유지하여 시공하기가 어렵고, 그로 인해 숙련된 시공자가 요구됨에 따라 인건비 상승되어 전체적으로 타일형 바닥재 시공비가 상승하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바닥재 사이에 줄눈이 많아 외관이 조잡하였다. 또한, 줄눈의 백화, 오염, 부패등이 발생되어 비위생적이었다.
종래에는 선마감, 일부 돌출 등으로 신체 손상의 위험이 있고, 청소기의 파손 우려가 있으며, 바닥재의 모서리가 파손되는 위험이 있었다.
종래에는 청소가 어렵고, 물건을 끌때 파손될 우려가 있다.
종래에는 접착제가 굳기 전까지의 시간, 즉 오픈 타임이 약 10~20분 정도이나, 이 시간 내에 레벨조절과 배치를 완벽하게 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바닥면의 콘크리트 몰탈 작업 후 크랙 등의 하자 발생시 이의 보수작업과 후속 공정과의 일정으로 공사기간이 압박되고, 보수작업시 훼손될 우려가 있다.
종래 기술은 공정이 복잡하여 숙련공이라도 작업능률이 낮고,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줄눈 몰탈을 사용하지 않아 오염이나 백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바닥재의 수평 높이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바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다수로 설치된 바닥재로 구성된 바닥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하부 측단에 단턱부가 형성된 장방형 판재이며,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단면이 직육면체이며 상기 단턱에 일측이 삽입되는 메인지지대와, 상기 메인지지대의 양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보조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보조지지대에는 레벨조절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어 다수로 설치된 바닥재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재는 하부 측단에 단턱부가 형성된 장방형 판재이며,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단면이 직육면체이며 상기 단턱에 일측이 삽입되는 메인지지대와, 상기 메인지지대의 양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보조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보조지지대에는 레벨조절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바닥구조물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콘크리트 몰탈을 시공하여 양생시키는 1단계; 레이저 또는 먹 줄을 이용하여 기준면을 설정하는 2단계; 기준면 및 바닥재의 규격에 맞게 가로 및 세로로 높이조절부재를 바닥면에 접착 설치하는 3단계; 바닥면 및 높이조절부재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4단계; 바닥재의 단턱부에 높이조절부재의 메인지지대가 삽입되고, 상기 보조지지대가 상기 바닥재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안착시켜, 다수의 바닥재를 접착 시공하는 5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줄눈이 없이 시공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바닥구조물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닥재들 사이에 틈새가 없어 먼지가 끼이지 않고, 오염될 염려가 없게 된다.
바닥재의 균일한 수평높이를 구현할 수 있어, 신체손상이나 청소기의 파손과 같은 위험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시공이 간편하고 정확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고품질의 바닥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에 대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을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A)은,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높이조절부재(4)와, 상기 높이조절부재(4)의 상부에 안착되어 다수로 설치된 바닥재(2)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재(2)는 하부 측단에 단턱부(22)가 형성된 장방형 판재이며, 상기 높이조절부재(4)는, 단면이 직육면체이며 상기 단턱부(22)에 일측이 삽입되는 메인지지대(42)와, 상기 메인지지대(42)의 양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보조지지대(4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보조지지대(44)에는 상기 바닥재(2)의 수평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절구(6)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닥재(2)는, 대리석이나 광택 타일과 같은 석재류를 장방형으로 가공한 판상으로써, 상부측 모서리부를 연마하여 곡선형태의 만곡부(20)가 형성되고, 하부 측단에 길이방향으로 단턱부(22)를 요입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단턱부(22)에 후술될 높이조절부재(4)의 메인지지대(42)가 삽입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만곡부(20)는 직경이 약 2 ~ 3mm로 둥글게 연마시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재(2)는, 접착제(200)와의 접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도록 저면에 다수의 요철(24)이 형성된다.
상기 요철(24)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일 수도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높이조절부재(4)는, 단면이 직육면체이며 상기 바닥재(2)의 단턱부(22)에 일측이 삽입되는 메인지지대(4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지지대(42)의 양측면에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보조지지대(44)가 일체로 형성된 소정 길이를 갖는 판재이다.
상기 보조지지대(44)에는, 상기 바닥재(2)의 수평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절구(6)가 설치된다. 즉, 상기 레벨조절구(6)를 조작하여 그 상부에 안착된 바닥재(2)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수평높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벨조절구(6)는, 상기 보조지지대(44)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을 갖는 결합공(440)과, 상기 결합공(440)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보조지지대(44)의 저면에 지지되는 환턱(642)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공구삽입홈(644)이 형성된 볼트(64)로 구성된다.
상기 공구삽입홈(644)은 "-", "+"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볼트(64)를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바닥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닥구조물(A)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상기 바닥면에 콘크리트 몰탈을 시공하여 양생시키는 1단계(S1)와; 레이저 또는 먹줄을 이용하여 기준면을 설정하는 2단계(S2)와; 기준면 및 바닥재(2)의 규격에 맞게 가로 및 세로로 높이조절부재(4)를 바닥면에 접착 설치하는 3단계(S3)와; 바닥면 및 높이조절부재(4)의 상면에 접착제(200)를 도포하는 4단계(S4)와; 바닥재(2)의 단턱부(22)에 높이조절부재(4)의 메인지지대(42)가 삽입되고, 상기 보조지지대가 상기 바닥재(2)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안착시켜, 다수의 바닥재(2)를 접착 시공하는 5단계(S5)와; 압착기로 바닥재(2)를 압착하여 양생시키는 6단계(S6)로 구성된다.
1단계(S1)
상기 바닥면(100)에 콘크리트 몰탈(함수율 5%이내;일명 '방통몰탈'이라 함)을 시공하여 양생하고, 균열을 보수한다.
이때, 바닥면(100)의 수평높이가 균일하도록 하되, 일부 레벨편차가 심한 부분은 그라인딩 또는 몰탈덧칠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수한다.
2단계(S2)
레이저 또는 먹줄을 이용하여 기준면을 설정한다.
즉, 바닥재(2)의 기준높이를 설정하고, 설치될 위치를 설정한다.
3단계(S3)
기준면 및 바닥재(2)의 규격에 맞게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높이조절부재(4)를 바닥면(100)에 접착 설치한다.
즉, 바닥면(100)에 접착제(200)를 도포한 후 높이조절부재(4)를 길이방향으로 배치하되, 접착제(200)가 굳기 전에 레벨조절구(6)의 볼트(64)를 회전시켜 높이조절부재(4)의 수평높이를 조절한다.
즉, 볼트(6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64)가 하강하면서 환턱(642)이 바닥면(100)을 밀게되며, 이때의 반발력으로 높이조절부재(4)가 상승되는 것이고, 볼트(6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64)가 상승하면서 결합공(440) 내로 삽입되므로 상대적으로 높이조절부재(4)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4단계(S4)
바닥재(2)를 시공하기 위해 바닥면(100) 및 높이조절부재(4)의 상면에 접착제(200)를 충분히 도포한다.
5단계(S5)
바닥재(2)를 바닥면(100)에 안착시키되, 하부의 단턱부(22)에 높이조절부재(4)의 메인 및 보조지지대(42,44)가 삽입되도록 안착시켜서 다수의 바닥재(2)를 접착 시공한다.
6단계(S6)
압착기로 바닥재(2)를 압착하면서 양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닥구조물 시공방법에 따르면, 줄눈 몰탈을 사용하지 않아 오염이나 백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바닥재(2)의 수평 높이를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에 대한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된 바닥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바닥재 4 : 높이조절부재
6 : 레벨조절구 20 : 만곡부
22 : 단턱부 24 : 요철
42 : 메인지지대 44 : 보조지지대
64 : 볼트 440 : 결합공
644 : 공구삽입홈 642 : 환턱

Claims (6)

  1. 바닥면(1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높이조절부재(4)와, 상기 높이조절부재(4)의 상부에 안착되어 다수로 설치된 바닥재(2)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바닥재(2)는 하부 측단에 단턱부(22)가 형성된 장방형 판재이며,
    상기 높이조절부재(4)는, 단면이 직육면체이며 상기 단턱부(22)에 일측이 삽입되는 메인지지대(42)와, 상기 메인지지대(42)의 양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보조지지대(4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보조지지대(44)에는 상기 바닥재(2)의 수평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절구(6)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2)는 상부측 모서리부가 곡선으로 연마되어 만곡부(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2)는 저면에 다수의 요철(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조절구(6)는, 상기 보조지지대(44)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선을 갖는 결합공(440)과, 상기 결합공(440)에 나사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단에 환턱(642)이 형성되며, 상단에 공구삽입홈(644)을 갖는 볼트(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
  5. 바닥면(100)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높이조절부재(4)와, 상기 높이조절부재(4)의 상부에 안착되어 다수로 설치된 바닥재(2)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바닥재(2)는 하부 측단에 단턱부(22)가 형성된 장방형 판재이며, 상기 높이조절부재(4)는, 단면이 직육면체이며 상기 단턱부(22)에 일측이 삽입되는 메인지지대(42)와, 상기 메인지지대(42)의 양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보조지지대(44)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보조지지대(44)에는 상기 바닥재(2)의 수평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조절구(6)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바닥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콘크리트 몰탈을 시공하여 양생시키는 1단계(S1);
    레이저 또는 먹줄을 이용하여 기준면을 설정하는 2단계(S2);
    기준면 및 바닥재(2)의 규격에 맞게 가로 및 세로로 상기 높이조절부재(4)를 바닥면에 접착 설치하는 3단계(S3);
    상기 바닥면 및 높이조절부재(4)의 상면에 접착제(200)를 도포하는 4단계(S4);
    상기 바닥재(2)의 단턱부(22)에 상기 높이조절부재(4)의 메인지지대(42)가 삽입되고, 상기 보조지지대(44)가 상기 바닥재(2)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안착시켜, 다수의 바닥재(2)를 접착 시공하는 5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S3)는, 접착제(200)가 굳기 전에 상기 레벨조절구(6)를 회전시켜 상기 높이조절부재(4)의 수평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구조물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070081575A 2007-08-14 2007-08-14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4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575A KR100884779B1 (ko) 2007-08-14 2007-08-14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575A KR100884779B1 (ko) 2007-08-14 2007-08-14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096A true KR20090017096A (ko) 2009-02-18
KR100884779B1 KR100884779B1 (ko) 2009-02-23

Family

ID=4068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575A KR100884779B1 (ko) 2007-08-14 2007-08-14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47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024B1 (ko) * 2016-06-21 2016-10-17 이범석 건축물 바닥용 타일 시공방법
KR102257960B1 (ko) * 2021-03-08 2021-05-28 김현오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3830Y2 (ja) * 1993-02-04 1996-10-09 勝也 平岡 化粧材打込み床板
KR100352035B1 (ko) 1999-10-30 2002-09-11 최종수 건물 바닥에 설치되는 아스타일 바닥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189510Y1 (ko) 2000-02-03 2000-07-15 박준욱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100661816B1 (ko) 2006-08-04 2006-12-28 손용락 건축물의 벽체(壁體) 시공용 강재 받침대 조립체 및 그것을이용한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024B1 (ko) * 2016-06-21 2016-10-17 이범석 건축물 바닥용 타일 시공방법
KR102257960B1 (ko) * 2021-03-08 2021-05-28 김현오 플로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로팅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4779B1 (ko) 2009-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76121B (zh) 一种地砖铺装结构及地砖铺设施工工艺
US2009012003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aying marble tile flooring
KR100916326B1 (ko) 바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GB2264728A (en) Wall cladding method
CN111305410A (zh) 一种防开裂墙体及其施工方法
CN108049592B (zh) 地面铺装底座、铺装组件及铺装方法
KR100884779B1 (ko)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205330078U (zh) 一种地面复合装饰板的铺装结构
CN111827184A (zh) 现浇钢筋混凝土地袱石材栏杆及其安装方法
JP3194011B2 (ja) タイルパネル及びそのタイルパネルを使用した壁面の乾式施工方法
EP1577460A2 (en) Cushioned tile spacer system
JP5880085B2 (ja) 床面の改修工法およびトイレ改修工法
US5761876A (en) Stone wall guide and forming system
CN111851964B (zh) 用于找平瓷砖粘贴面的伸缩设备
CN210857778U (zh) 装配式楼梯包覆结构
CN210482878U (zh) 石材地板连接结构
CN111877713A (zh) 一种地砖铺贴用衬垫及地砖铺贴结构
JP2988878B2 (ja) 化粧材打込み床板と床板の施工方法
KR20090003786A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KR101486849B1 (ko)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CN111021647B (zh) 一种装配式楼梯包覆结构及其安装方法
ITAN20070006A1 (it) Pannello di pavimentazione autoposante in legno naturale, parquet, particolare per il ricoprimento di pavimenti sopraelevati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tale pannello.
CN109138385B (zh) 一种面砖调平方法
CN212295542U (zh) 一种地砖铺贴用衬垫及地砖铺贴结构
CN112095972B (zh) 一种减少空鼓的石材背景墙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