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510Y1 -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510Y1
KR200189510Y1 KR2020000002983U KR20000002983U KR200189510Y1 KR 200189510 Y1 KR200189510 Y1 KR 200189510Y1 KR 2020000002983 U KR2020000002983 U KR 2020000002983U KR 20000002983 U KR20000002983 U KR 20000002983U KR 200189510 Y1 KR200189510 Y1 KR 200189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er
jaw
plate
edge portion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욱
Original Assignee
박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욱 filed Critical 박준욱
Priority to KR2020000002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04F15/02435Sealing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1Strips or bars, e.g. nailing strips

Abstract

본 고안은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에서 바닥재로 사용하는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의 구성 중 조이너(Joiner)의 조립구조를 개선한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상면에 마감재(1)가 접착되는 상판(2)과, 상기 상판(2)의 하단에 접합되는 하판(3)과, 상기 상판(2)과 하판(3)이 상호 결합되는 에지부(4)에 플라스틱재의 조이너(5)가 결합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4)의 밑면에 턱(9)이 형성되고 상기 조이너(5)의 하측부에는 상기 턱(9)과 당접되어 결착되는 결착용 턱(8)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이중바닥판의 에지부(4)에 플라스틱재의 조이너(5)을 조립함에 있어 조이너(5)의 하측부에 결착용 턱(8)을 형성하여 에지부(4)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턱(9)과 당접되게 결합함으로써 조이너(5)의 조립상태를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이중바닥판에 충격 등이 장기간 가해지더라도 에지부(4)의 밑면에서 조이너(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The joiner assembly structure of free access floor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에서 바닥재로 사용하고 있는 이중 바닥판(Access Floor)에서 이 이중바닥판을 구성하는 조이너(Joiner)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조이너의 이탈을 방지 함은 물론 상기 이중바닥판 위에 접착된 마감재의 파손 및 탈리보호와 설치되는 이중바닥판의 분리, 조립을 원활하게 하는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급 빌딩이나 오피스 빌딩 및 정보화 빌딩 등에서는 각종전자 제품 및 가전기기의 통신케이블과 전선의 배선을 용이하게 하고 위치변동을 자유롭게하기 위하여 이중바닥판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중바닥판은 통상 프리 액세스 플로어(Free Access Floor) 또는 오에이 플로어(OA Floor)라 칭하고, 흔히 액세스 플로어(Access Floor)로 약칭된다.
이러한 이중바닥판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건물의 바닥에 지주를 통하여 일정높이 이상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므로, 상기 바닥면과 이중바닥판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공간부인 배선통로가 형성되며, 이 배선통로를 통하여 각종 전자제품 및 가전기기의 통신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배선할 수 있다.
또한, 이중바닥판은 상기의 목적외에도 실내를 미려하게 형성함과 아울러 바닥면의 쿠션을 향상시켜 실내의 고급화에도 기여한다.
상기와 같은 이중바닥판은 지주상에 조립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며 금속재의 상판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하판 및 상기 상판의 상면에 접착되는 마감재와, 상기 상하판의 접합부위인 에지(Edge)부에 결합되어 인접한 바닥판과 마찰에 따른 소음을 줄이고 마감재 사이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하며 마감재의 파손 및 탈리보호와 바닥판의 설치 및 분리를 원활하게 하며 쫄대라 불리우는 플라스틱재의 조이너(Joiner)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중바닥판을 조립함에 있어서는 마감재가 접착된 상판 밑에 하판을 접합하고, 상기 상판을 결속하는 상판의 에지부에 플라스틱재의 조이너를 단순히 압입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의 이중바닥판은 상판의 에지부에 끼워진 조이너가 보행자의 발이나 타 물체 등에 걸려 자주 빠지는 단점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바닥판의 제작공정 중에서 본드를 칠해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 마감재가 쉽게 더러워지기 때문에 제작공정 중 자주 닦아 주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다른 예로써 상판의 에지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을 뚫고 플라스틱재의 조이너에는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다수의 보스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호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상판 제작시 에지부에 구멍을 뚫기 위한 별도의 천공작업이 필요하고, 플라스틱재의 조이너를 압출이 아닌 사출성형을 통하여 얻어야 함으로 제작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고안자)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고안을 안출하여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하였고 실용신안등록 제155279호로 등록한 바 있다.
그런데, 본 출원인의 선 등록된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155279호는 이중박판의 상판 에지(Edge)부에 직선형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플라스틱재의 조이너에는 걸림턱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도록 구성하였는데 조이너가 상판의 에지부 상면에서는 걸림홈과 걸림턱에 의해 양호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나 에지부의 밑면에서는 양호한 결착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물론 조이너의 자체탄성에 의해 어느정도 결착상태를 유지토록하나 보행자의 보행시 또는 사무용 가구 등을 옮김으로 인한 경우등 외부의 충격 등이 계속해서 장기간 가해지면 결착상태가 이완될 염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선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55279호(명칭; 2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를 개량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중바닥판의 에지부에 결합되는 조이너가 에지부의 밑면에서 양호한 결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중바닥판의 에지부에 결합되는 조이너의 하측부에 결착용 턱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에지부의 밑면에 형성되는 턱에 결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도5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6의 저면에서 본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8은 도6의 저면에서 본 다른 실시예의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마감재 2: 상판
3: 하판 4: 에지부
5: 조이너 6: 걸림홈
7: 걸림턱 8: 결착용 턱
9: 턱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 내지 도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며, 도 3은 도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마감재(1)가 접착되는 상판(2)과, 상기 상판(2)의 하단에 접합되는 하판(3)과, 상기 상판(2)과 하판(3)이 결합되는 에지부(4)에 결합되는 조이너(5)로 구성되며, 상기 상판(2)의 에지부(4) 상면에 직선형의 걸림홈(6)을 형성하고 플라스틱재 조이너(5)의 내부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6)에 끼워지는 걸림턱(7)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플라스틱재로 된 조이너(5)의 하측부에 결착용 턱(8)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는 상기 하판(3)의 에지부에서 상판(2)을 컬링(Curling)하여 결합함에 따른 에지부(4)의 밑면에 형성되는 턱(9)에 당접되어 결착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상하판(2,3)의 에지부(4)에 결합하는 조이너(5)의 제2 실시예로서 도시된 도4에서와 같이 조이너(5)의 내측 상면에 돌출 형성한 걸림턱(7)과 상판(2)에 형성된 걸림홈(6)을 생략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서 도시된 도5 내지 도8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대한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도5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7은 도6의 저면에서 본 일부 발췌 사시도이며, 도 8은 도6의 저면에서 본 다른 실시예의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판(2,3)이 스폿트 용접 등으로 결합 된 에지부(4)의 밑면에 상기 조이너(5)의 결착용 턱(8)과 결합되는 턱(9)을 형성하되, 이 턱(9)은 엠보싱(Embossing)가공 등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턱(8)은 도7에서와 같이 직선형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도 있고, 도8에서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턱(8)의 형상은 그 단면형상이 반원형, 원형, 사각형, 삼각형, 오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조이너(5)의 결착용 턱(8)이 걸려 결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턱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판(2)과 하판(3)의 접합이 완료된 다음, 상판 상단에 마감재(1)를 접착하고, 상판(2)의 에지부(4)에는 조이너(5)를 삽입하여 걸림턱(7)이 걸림홈(6)에 끼워지도록하되, 상기 조이너(5)의 걸림턱(7)이 상판(2)의 걸림홈(6)에 끼워지는 경우는 도시된 도2 및 도3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경우이고, 도4 및 도5 내지 도6과 같은 제2 및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고, 단지 조이너(5)의 내측 상면이 상판(2)위에 결합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조이너(5)의 하측부에 형성된 결착용 턱(8)은 에지부(4)의 밑면에 형성된 턱(9)과 당접되게 결합된다.
위와 같은 조이너(5)의 조립은 조이너(5)가 플라스틱재로 되어있어 조이너(5)의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에지부(4)의 측방으로부터 직접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조이너(5)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조이너(5)의 결착용 턱(8)과 상하판(2,3)의 에지부(4) 밑면에 형성된 턱(9)이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조이너(5)의 하측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고, 특히 조이너(5)의 내측 상면에 돌출 형성한 걸림턱(7)과 상판(2)의 걸림홈(6)이 함께 결합된 상태가 이루어지면 조이너(5)의 조립상태는 더욱 견고해져 조이너의 결속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의 이중바닥판을 시공할 시에는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바닥면에 실내의 크기와 이중바닥판의 크기를 감안하여 복수개의 지주를 입설한 후 각각의 지주 상단에 이중 바닥판을 올려놓으면 된다.
이렇게 하면, 지주와 지주 사이에 이중바닥판의 네 모서리가 수평으로 지지되어 견고히 고정되므로서 본래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바닥면과 이중바닥판 사이에 각종 통신 케이블이나 전기배선을 위한 배선통로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이중바닥판의 에지부(4)에 플라스틱재의 조이너(5)을 조립함에 있어 조이너(5)의 하측부에 결착용 턱(8)을 형성하여 에지부(4)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턱(9)과 당접되게 결합함으로써 조이너(5)의 조립상태를 장기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이중바닥판에 충격 등이 장기간 가해지더라도 에지부(4)의 밑면에서 조이너(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면에 마감재(1)가 접착되는 상판(2)과, 상기 상판(2)의 하단에 접합되는 하판(3)과, 상기 상판(2)과 하판(3)이 상호 결합되는 에지부(4)에 플라스틱재의 조이너(5)가 결합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4)의 밑면에 턱(9)이 형성되고 상기 조이너(5)의 하측부에는 상기 턱(9)과 당접되어 결착되는 결착용 턱(8)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판(2)의 에지부(4)에 직선형의 걸림홈(6)을 형성하고 플라스틱재 조이너(5)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6)과 끼워지는 걸림턱(7)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턱(9)은 그 단면형상이 원형, 반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한 형상을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20000002983U 2000-02-03 2000-02-03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0189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983U KR200189510Y1 (ko) 2000-02-03 2000-02-03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983U KR200189510Y1 (ko) 2000-02-03 2000-02-03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510Y1 true KR200189510Y1 (ko) 2000-07-15

Family

ID=1964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983U KR200189510Y1 (ko) 2000-02-03 2000-02-03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51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61B1 (ko) * 2002-11-13 2005-03-15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물용 이중바닥판
KR100720265B1 (ko) * 2006-02-17 2007-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0884779B1 (ko) 2007-08-14 2009-02-23 (주)아도니스글로벌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49911Y1 (ko) * 2008-04-01 2010-08-18 주식회사 일호산업 이중 바닥판의 조이너
KR101118643B1 (ko) * 2009-08-04 2012-03-09 주식회사 세양 건물용 이중 바닥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361B1 (ko) * 2002-11-13 2005-03-15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물용 이중바닥판
KR100720265B1 (ko) * 2006-02-17 2007-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0884779B1 (ko) 2007-08-14 2009-02-23 (주)아도니스글로벌 바닥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49911Y1 (ko) * 2008-04-01 2010-08-18 주식회사 일호산업 이중 바닥판의 조이너
KR101118643B1 (ko) * 2009-08-04 2012-03-09 주식회사 세양 건물용 이중 바닥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068522A (ja) おもちゃ組立ブロック
WO2010048750A1 (zh) 一种新型塑料地垫
KR200189510Y1 (ko)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JP3169539B2 (ja) 床化粧材およびこの床化粧材の敷設構造
US20020152702A1 (en) Wood floor structure
KR200284080Y1 (ko) 건물용 이중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0155279Y1 (ko) 2중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0398872Y1 (ko) 건축용 개구부 덮개 구조물
US20030070382A1 (en) Floor assembly
KR100878149B1 (ko) 선거용 홍보 포스터 벽보판
KR200375788Y1 (ko) 걸레받이
KR200332771Y1 (ko) 건물용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200405104Y1 (ko) 연등갓 마감틀
US6654069B2 (en) Frame with a mounting plate for electrical devices
KR200233404Y1 (ko) 이음새 간극을 최소화한 바닥판
KR200142591Y1 (ko) 다용도 깔판
KR200234130Y1 (ko) 조립식 바닥판의 마감판
KR200254605Y1 (ko) 마루깔개 매트블록
KR0134482Y1 (ko) 조립 탁자
KR100660354B1 (ko) 벽면 흡음제 시공을 위한 결합부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174975Y1 (ko) 요철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KR200411514Y1 (ko) 조립식 건물용 골재 결합구
KR200192110Y1 (ko) 야외용 깔판
JP4450551B2 (ja) ラック
JPH02175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316

Effective date: 200710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514

Effective date: 200710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22

Effective date: 20071031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