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445A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445A
KR20030067445A KR1020020020131A KR20020020131A KR20030067445A KR 20030067445 A KR20030067445 A KR 20030067445A KR 1020020020131 A KR1020020020131 A KR 1020020020131A KR 20020020131 A KR20020020131 A KR 20020020131A KR 20030067445 A KR20030067445 A KR 2003006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iner
purifying
screw
re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에지마히데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Priority to PCT/JP2003/0046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3086979A1/ja
Priority to JP2003583943A priority patent/JPWO2003086979A1/ja
Publication of KR2003006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44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기(1)는 물이 저류(貯留)되는 용기(2)와, 그 상면 개구부(2a)를 폐색하는 개체(蓋體)(3)와, 개체(3)의 하면에서 수하(垂下)되어, 하부측의 물을 상부측으로 환류하는 것에 의해 용기(2)내에 저류된 물을 순환시키는 환류수단(4)과, 환류수단(4)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선단이 용기(2)의 저부(2b)근방까지 연설된 통상의 유도관(46)과 유도관내에 수용되고, 관내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을 구비한다. 정화수단을 교환할 때에는 유도관(46)째로 교환하여 정화수단에 의한 정화능력을 높이면서, 정화수단의 교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용기내의 물을 교반(攪拌)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에 저류 된 물을 순환시키면서 정화하는 비교적 간단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정수기로서, 예를 들면 용기에 저류된 수돗물을 용기 내에서 순환시키며, 수돗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정화수단에 의해 제거하는 소형의 간이정수기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특개평9-108658호). 상세하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W)이 저류되는 용기(70)와, 용기(70)의 상면 개구부를 폐색(occlusive,閉塞)하는 개체(71)와, 개체(71)의 하면에서부터 수하(垂下)되고, 용기(70)의 저부 부근의 물(W)을 상부측으로 환류시키는 환류수단(72)과, 환류수단(72)의 하측으로 배설(配設)되고 환류되는 물(W)을 정화하는 정화수단(73)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에서, 환류수단(72)은 파워 스프링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회전하는 스크류(74) 및 스크류(74)를 수용하는 원통체(75)를 가지고 있고, 이 원통체(75)의 하부에 상기 정화수단(73)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원통체(75)에는 상단근방의 주면(周面)에 토출구(76)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 흡입구(7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77)에는 가요성(可撓性) 튜브(78)가 접속되어 있고, 그 끝부분(下端)이 용기(70)의 저부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용기(70)에 주수(recharging,注水)한 후, 동력원에 의해 스크류(74)를 회전시키면, 용기(70)의 저부 부근의 물(W)이 튜브(78)를 매개하여 양수(揚水, pumping)되고, 원통체(75)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원통체(75)내에 배설된 정화수단 (73)을 통과할 때, 유해물질 등이 제거되고 정화된다. 또한, 정화수단(73)을 통과 한 물은 원통체(75)의 토출구(76)에서 넘치도록 토출되고, 수면부근의 물(W)과 혼합한다. 즉, 스크류(74)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용기(70)내에 저류된 물(W)이 순환하여 서서히 정화된다.
그런데, 여과부재 등의 정화수단은 사용시간 또는 사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정화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정수기도, 일년에 수회의 비율로 정화수단을 교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상기 정수기(80)는 정화수단(73)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없었다. 즉, 정화수단(73)은 스크류(74)와 함께 원통체(75)내에 수용되며, 게다가 원통체(75)의 상단은 개체(7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수단(73)을 교환할 때에는, 개체(71)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부(79)로부터 원통체(75)를 분리함과 동시에, 원통체(75)의 상하방향을 역으로 하여, 원통체(75)의 상단 개구로부터 다 사용한 정화수단(73)을 스크류(74)와 함께 꺼내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새로운 정화수단을 장착할 때에는, 원통체(75)의 상단개구로부터 정화수단(73) 및 스크류(74)를 차례로 삽입함과 동시에 원통체(75)를 돌출부(79)에 끼워 넣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80)에서는 정화수단(73)을 교환할 때, 사용자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사용자는 교환작업이 귀찮아지고, 정화능력이 저하되어도 교환하지않는 상태로 사용하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80)는 비교적 단소(短小)의 원통체(75)의 내부에 정화수단(73)이 수용되기 때문에, 정화수단(73)의 크기, 특히 상하방향(양수방향)에 있어서의 정화수단(73)의 두께가 제한되고, 정화능력을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원통체(75)를 길게 하면 상기의 단점은 해소되지만, 그 반면 정화수단(73)의 취출(取出) 난관이 조장되어 교환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부담이 한층 커져 버린다.
또한, 종래의 정수기(80)는 튜브(78)의 하단에서 흡입되어, 원통체(75)의 토출구(76)로부터 토출되지만, 튜브(78) 및 원통체(75)는 용기(70)의 대략 중앙에 직선상으로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세기가 약한 경우에는, 토출된 물은 원통체(75) 및 튜브(78)의 외주를 따라서 흐르고, 다시 튜브(78)의 하단에서 흡입되고 있었다. 즉, 토출구(76)로부터 토출된 정화수가 충분하게 확산되기 전에 다시 환류될 우려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튜브(78) 및 원통체(75)부근의 물은 단시간으로 정화되지만, 이들로부터 이탈된 용기(70)의 내벽근방의 물은 체류상태로 되기 쉽고, 용이하게 정화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즉, 용기(70)내의 물이 전부 정화되기까지 비교적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비추어 정화수단에 의한 정화능력을 향상함과 동시에 정화수단을 매우 용이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기의 제공을 제 1의 과제로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용기내의 물을 교반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기의 제공을 제 2의 과제로 한다.
제 1 항의 발명에 관한 정수기는 물이 저류되는 용기와, 그 용기의 상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개체와, 그 개체의 하면에서 수하되어 상기 용기의 하부측의 물을 상부측으로 환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 내에 저류된 물을 순환시키는 환류수단과, 그 환류수단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선단이 상기 용기의 저부 근방까지 연설(延設)된 통상의 유도관과, 그 유도관의 내부에 수용되고 관내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환류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회전력을 이용하여 수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크류와, 이 스크류를 수용하고 내부에 환류 통로를 형성하는 통상의 케이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도관은 케이싱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정화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돗물로부터 염소 및 트리하로메탄(triharomethane)을 제거하는 활성탄과, 유도관내를 통과하는 물에 미네랄성분을 방출하는 미네랄 함유물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항의 발명의 정수기에 의하면, 용기 내에 적당량의 물이 주수된 상태에서, 환류 수단을 작동시키면 용기의 저부 근방의 물이 유도관의 하단에서 흡입되고 유도관내를 통과한다. 유도관의 내부에는 정화수단이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된 물은 정화수단을 통과하는 것에 의해 정화된다. 그 후 정화된 물은 환류수단이 배설된 부분을 지나 용기의 상부측에서 토출된다.
유도관은 환류수단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수단을 수용한 유도관을, 환류수단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 인하여, 정화수단 및 그것을 수용하는 유도관을 하나의 정화카트리지로서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정화수단을 교환할 때 유도관째로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도관은 용기의 저부 부근까지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形狀)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정화수단의 두께가 유도관의 길이에 제한되어 어려워진다.
제 2항의 발명에 관한 정수기는 제 1 항에 기재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정화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제 2항의 발명의 정수기에 의하면, 제 1 항의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적층된 복수의 정화부재에 의해, 정화능력을 대폭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관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적층하는 정화부재의 수를 충분하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항의 발명에 관한 정수기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환류수단은 회전에 의해 수류를 발생시키는 스크류와, 이 스크류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스크류의 주위에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통상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의 하단보다 수면이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 내에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이 저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3항의 발명의 정수기에 의하면, 제 1항 또는 제 2 항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용기 내의 수면이 개구부의 하단보다 높아지는 위치까지 주수되면, 개구부를 향한 스크류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가 회전하면 케이싱 내를 통하여 물이 환류(揚水)되도록 이루어지지만, 이것과 함께스크류의 회전에 따르는 파동이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싱 주위의 물에 전달된다. 즉, 케이싱 주위의 물이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서 교반된다. 이로 인하여, 수면부근에 토출된 물(淨化水)이 효율 좋게 확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인 정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정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정수기에 있어서의 요부(要部)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정수기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정수기에 있어서, 정화 카트리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정수기의 개체(蓋體)에 있어서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정수기의 정화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종래 정수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2 : 용기
2a : 상면 개구(상면 개구부) 2b : 저부
3 : 개체(蓋體) 4 : 환류수단
5 : 정화카트리지 33 : 환류 케이싱
38 : 개구부 43 : 스크류
46 : 유도관 47 : 정화수단
52 : 미네랄 함유물(淨化部材) 53 : 토르마린(淨化部材)
54 : 염소제거재(淨化部材) 55 : 활성탄(淨化部材)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하나인 정수기(1)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정수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정수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3은 정수기(1)에 있어서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정수기(1)에 있어서의 물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5는 정수기(1)에 있어서 정화카트리지(5)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정수기(1)는 물이 저류되는 용기(2)와, 용기(2)의 상면개구(2a)를 폐색하는 개체(3)와, 개체(3)의 하면에서 수하되고 용기(2)내에 저류된 물을 순환시키는 환류수단(4)과, 환류수단(4)의 하단부근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내부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는 정화카트리지 (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용기(2)는 투명하기 때문에, 도 1, 도 2 및 도 4에서는 용기(2)내에 수용되어 있는 환류수단(4) 및 정화카트리지(5)를 실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용기(2)는 상면이 개구하고 대략 직방체형상의 외관을 이루고 있고, 예를 들면 수지와 유리등,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2)의 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가정용으로서 2리터 정도의 것이 적합하다. 즉, 용량이2리터 정도의 크기로, 직방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일반 냉장식품과 함께, 냉장고의 포켓에 수용하여 냉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별도의 용기에 옮기는 등의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정화된 냉수를 간단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용기(2)의 좌우측면의 상단부근에는 용기(2)의 상면에 대해서, 개체(3)를 수밀상태로 취부하기 위한 지구(止具, fastener)(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구(7)는 주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다짐을 위해 간단히 설명하면, 한쪽 가장자리가 경첩(hinge)(미도시)을 매개하여 용기(2)에 접속되며 다른 한쪽의 가장자리에 인괘부(引掛部)(미도시)가 형성된 부재이다. 개체(3)의 측면하부에 형성된 계지고리(6)(도 3참조)에 지구(止具)(7)의 인괘부를 계지(係止)하고, 그 후 경첩을 축으로 하여 지구(7)의 하단측을 용기(2)측에 압박 회동하는 것에 의해 계지고리(6)에 하향의 힘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개체(3)가 보유유지(保持)된다. 즉, 용기(2)의 상면에 대해서 개체(3)가 압접(壓接,pressure welding)되어 용기(2)내가 수밀상태로 유지된다.
개체(3)는 하면이 개방된 박스(箱)형의 덮개 케이싱(9)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케이싱(9)의 천정부(10)에는 주수하기 위한 주수구 (11)와, 건전지(D)를 삽입하기 위한 전지삽입구(12)가 천설(穿設)되고, 또한 이들을 각각 포위하도록 위쪽으로 돌출한 원환상(圓環狀)의 환상(環狀) 돌기부(13, 14)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돌기부(13, 1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male screw)(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에는 암나사(female screw)가 형성된 제 1 캡(15) 및제 2 캡(16)이 각각 나착(螺着)되어 있다. 또한 주수구(11)는 정화된 용기(2)내의 물을 배출하는 경우(예를 들면 컵에 따르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또한, 덮개 케이싱(9)의 천정부(10)에는 급수구(11)를 포위하도록 아래쪽으로 돌출한 내측 수하부(17) 및 외측 수하부(18)가 동심원상에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원환상의 패킹(19)이 끼워 넣어져 있다. 한편, 덮개 케이싱(9)의 하면 개구부는 판상의 저부(30)에 의해 폐색 되어있지만 저부(30)에 있어서, 주수구(11)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급수구(21)가 천설되어 있다. 또한, 저부(30)에는 급수구(21)를 포위하도록 통형의 급수 가이드부(20)가 설치되어 있고, 급수 가이드부(20)의 상단이 패킹(19)의 하면에 형성된 환상의 홈에 끼워 넣어져 있다. 즉, 주수구(11)와 급수구(21)가 급수가이드부(20)를 매개하여 연통(連通, communicating)하고 있다.
또한, 덮개 케이싱(9)의 천정부(10)에는 전지삽입구(12)를 상단개구로 하는 유저(有底)의 전지 수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지 수용부(22)는 두 개의 건전지(D)를 병설 가능한 크기이며, 전지삽입구(12)와 제 2 캡(16)과의 사이에는 두 개의 건전지(D)의 전극사이를 도통(導通)시키는 전극수판(電極受板)(미도시)이 배설되어 있다. 건전지(D)의 전력은 전선(미도시)을 매개하여 제어기판(23)에 공급되고, 모터(25)의 구동용 전력 등에 사용된다. 또한, 제어기판(23)은 브라켓(24)에 의해 천정부(10)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25)는 덮개 케이싱(9)의 대략 중앙부분에 배설되고, 환류수단(4)을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모터(25)의 회전축에는 자석(26)이 취부되어 있고, 모터(25)의 동작에 따라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케이싱(9)의 우측면에는 모터(25)의 동작, 즉 정화동작의 개시 및 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조작스위치(28)와, 정화동작 중인 것을 보고하는 운전램프(29)가 배설되어 있고, 이들은 제어기판(23)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개체(3)에 있어서의 저부(30)의 하면에는, 환류수단(4)을 취부하기 위한 취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취부부(31)는 자석(26)의 아래쪽에 배설된 원통상의 부재이며, 외주에 수나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환류수단(4)은 취부부(31)에 나착(螺着)된 대략 원통상의 환류케이싱 (33)과, 이 내부에 수용된 환류겸교반부(還流兼備攪拌部)(34)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환류케이싱(33)은 내주면에 암나사(미도시)가 형성된 상부측의 나사결합부(螺合部)(35)와 내부에 환류용의 수로가 형성된 하부측의 수로형성부(36)와, 나사결합부(35)의 외주면에 대해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나사결합부(35)와 수로형성부(36)를 연결하는 4개의 가교부(37)로 구성되어 있고, 가교부(37)사이에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로형성부(36)의 하부 외주면에는 원심방향으로 돌출하는 반구상(半球狀)의 계합철부(係合凸部)(39)가 설치되어 있다.
환류겸교반부(34)는 물을 환류(揚水)시키는 기능과, 용기(2)에 저류된 수면부근의 물을 교반시키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 이 환류겸교반부(34)는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전달부(41)와, 자석(26)의 회전에 따라서 전달부(41)를 매개로 회전하는 스크류(43)와, 수로형성부(36)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43)에 있어서의 회전축(42)의 하단을 축지(軸支)하는 축수부(軸受部)(4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스크류(43)의 상부 절반에 상당하는 부위가 환류 케이싱(33)의 개구부(38)를 향하고 있다.
정화카트리지(5)는 환류케이싱(33)의 수로형성부(3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이 용기(2)의 저부(2b)근방까지 연설된 통상의 유도관(46)과 유도관(46)내부에 수용되고 관내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47)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도관(46)은 수지로 형성되고, 그 상부측에는 수로형성부(36)에 외감(外嵌)되는 경대부(徑大部)(4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대부(48)에는 구형(鉤形)으로 파여진 계합홈(係合溝)(49)이 계합철부(係合凸部)(39)에 상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계합홈(49)은 계합철부(39)의 직경보다 폭이 넓은 세 개의 홈(溝), 즉 종구(縱溝)(49a), 횡구(橫溝)(49b) 및 반환구(49c)를 가지고 있다.
또한, 유도관(46)의 하단부근에는, 파여진 흡입구(50)가 주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또한 관내에는 유도관(46)의 저부를 이루는 격자상(格子狀)의 필터(51)가 유도관(4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유도관(46)의 하단은 용기(2)의 저부(2b)부근까지 연설되어 있고, 유도관(46)과 용기(2)의 저부(2b)와의 간격이 매우 좁게 이루어져 있지만, 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흡입구 (50)에 의해 충분한 수량의 흡입이 확보되어 있다.
정화수단(47)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4종류의 정화부재, 즉 미네랄 함유물(52), 토르마린(53), 염소제거재(54) 및 활성탄(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네랄 함유물(52)은 다종류의 금속원자와 탄소원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유기조암(造岩)광물, 또는 그 유기조암광물과 세라믹의 혼합체를 소성(燒成)한 것이다.이에 따르면, 수돗물에 함유하는 염소성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칼슘과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 성분을 방출하여 음료수로서의 맛을 증가시킨다. 토르마린(53)은 자발분극에 의해 수중에 미약전류를 흘려 물의 이온화를 촉진하는 것이고, 통과하는 물을 활성화한다. 염소제거재(54)는 유리염소를 무해화 하는 것이다. 활성탄(55)은 흡착작용을 가지는 것이고, 수돗물 안에 함유된 트리하로메탄류 및 염소성분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정수기(1)의 사용방법 및 정수방법에 대해서 도 3 및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캡(15)을 분리하고, 주수구(11)로부터 주수한다. 주수된 물(W)은 급수가이드부(20)에 의해 인도되어 용기(2)내에 급수된다. 주수는 용기(2)내에 저류되는 물(W)의 수면이 환류케이싱(33)에 있어서의 개구부(38)의 하단(L)보다 높아지는 위치,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8)의 상단(H)부근의 위치로 될 때까지 행하여진다. 상기에 의해, 개구부(38)를 향한 스크류(43)의 적어도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용기(2)의 표면에는 최적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선이 표시되어 있고, 그 수위선을 근거로 주수가 실행된다.
조작스위치(28)를 눌름(押壓)조작하여, 운전개시를 지시하면, 제어기판(23)은 모터(25)를 구동하고 자석(26)을 회전시킨다. 자석(26)의 자력은 저부(30)의 아래쪽에 배설된 전달부(41)에 전달되기 때문에, 전달부(41)를 매개하여 스크류 (43)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스크류(43)가 회전하면, 용기(2)의 저부(2b)근방의 물(W)이 유도관(46)의 흡입구(50)에서 흡인되고, 유도관(46)내를 통과한다. 유도관(46)의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에서 활성탄(55), 염소제거재(54), 토르마린(53) 및 미네랄 함유물(52)이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된 물에서 염소성분과 트리하로메탄 등의 유해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미네랄성분과 마이너스 이온에 의해 활성화된다. 정화·활성화된 물은 그 후 환류케이싱(33)내를 지나 개구부(38)에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스크류(43)의 회전에 의해 용기(2)내에 저류된 물(W)이 환류되는 것이지만, 본 실시형태의 정수기(1)에서는 개구부(38)가 스크류(43)의 상부 절반부분에 대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류(43)의 회전에 따라 파동이 개구부(38)를 통하여 환류케이싱(33)의 주위의 물에 전달되어 교반한다. 상기에 의해, 수면부근에 토출된 물(W)(정화수)이 효율 좋게 확산된다.
이와 같이 순환 및 교반을 일정시간 연속시키는 것에 의해, 용기(2)내에 저류된 물(W)이 서서히 정화·활성화되고, 음료수가 생성된다. 또한, 제어기판(23)은 타이머를 가지고 있고, 운전개시 후, 일정시간(예를 들면 8분)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모터(25)의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일정시간 경과하기 전에 조작 스위치(28)가 다시 눌름조작 된 경우에도 운전을 정지한다.
다음은, 정화카트리지(5)의 교환방법에 대해서, 도 1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지구(7)를 떼어내고, 용기(2)와 개체(3)를 분리한다. 환류수단(4)의 환류케이싱(33)은 개체(3)의 저부(30)에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환류수단(4) 및 정화카트리지(5)는 개체(3)와 함께 용기(2)에서 취출된다. 그 후, 정화카트리지 (5)의 유도관(46)을 파지(把持)하고 계합철부(39)에 대한 계합홈(49)의 계합상태를 해제한다. 즉, 계합철부(39)가 계합홈(49)의 반환구(49c)로부터 횡구(49b)에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그 후, 횡구(49b)로부터 종구(49a)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관(46)을 위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시 선회시킨다. 종구(46a)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철부(39)가 종구(46a)에 위치한 상태에서, 유도관(46)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계합철부(39)에 계지되지 않고 유도관(46)이 환류케이싱(33)의 수로형성부(36)에서 분리된다(도 5에 나타낸 상태). 즉, 정화카트리지(5)가 환류케이싱(33)에서 분리되어, 정화카트리지(5)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새로운 정화카트리지(5)를 장착할 때는 분리하는 경우와는 반대의 조작이 실행된다. 즉, 계합철부(39)가 종구(49a)의 상단에서 삽입되고, 종구(49a) 및 횡구(49b)를 통하여, 반환구(49c)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유도관(46)을 수로형성부(36)에 취부한다. 상기에 의해, 계합철부(39)와 계합홈(49)이 계합되고, 유도관(46)의 아래 방향 및 선회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즉 정화카트리지(5)가 환류케이싱(33)의 하단에 보유유지 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수기(1)에서는 유도관(46)과 정화수단(47)을 조합시켜, 하나의 정화카트리지(5)로서 취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환류케이싱(33)에서 사용완료의 정화카트리지(5)를 분리하여, 그 후, 새로운 정화카트리지(5)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정화수단(47)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교환작업이 매우 용이해지고,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정화 카트리지(5)의 케이싱에 상당하는 유도관(46)이 용기(2)의 저부(2b)부근까지 연설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의 정화부재의 두께와 적층시키는 정화부재의 수가 제한되는 일 없이 정화능력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화능력을 확실하게 향상시켜 정화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에서는 스크류(43)에 의해 수면부근의 물(W)이 교반되기 때문에, 용기(2) 전체에 걸쳐서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기(2)내의 물(W)이 모두 정화되기까지의 시간이 더욱 단축되고, 사용편의를 향상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스크류(43)를 환류 및 교반용으로서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정화수의 확산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수기(1)를 냉장고에 수용하여 냉각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수면부근의 교반에 의해 냉각효과가 커지고, 비교적 빠르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정수기(1)에서는 조작스위치(28) 및 운전램프(29)가 덮개 케이싱(9)에 있어서의 전지삽입구(12)측의 측면, 바꾸어 말하면 주수구(11)에서 이탈된 측면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주수구(11)로부터 주수할 때에 덮개 케이싱(9)의 표면에 물이 비산하여도, 조작스위치(28)등의 전기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조작스위치(28)등의 동작불량 발생을 저감 할 수 있다.
상기 정수기(1)에서는 용기(2)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고, 게다가 스크류 (43)의 주위에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처리중에 있어서의 스크류 (43)의 회전을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하면, 스크류(43)의 회전을 매개하여 정화처리중인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내부구조를 눈으로 확인 할 수 없는 블랙 박스상태의 정수기와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안심감을 주는 것과 동시에 정화에 대한 기대감을 향상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에서는 자력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비접촉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터(25)가 배설된 덮개 케이싱(9)의 내부와 환류수단(4)이 배설된 용기(2)내를 저부(30)에 의해 수밀상태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물의 비산 등에 의한 모터(25)의 동작불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적절한 실시형태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57)의 급수 가이드부(20)의 내주면에 자석(58)을 배설하고, 용기(2)에 급수되기 전에 자장을 통과시켜도 좋다. 또한 미도시이지만, 정화카트리지(5)에 있어서 유도관(46)의 내주면에 자석을 배설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수돗물에 함유된 실리카성분 등을 분리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도관(60)의 중앙부분에서 하단부분에 걸쳐서 복수의 흡입구(61)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흡입구(61)의 총면적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흡입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스크류(43)의 부하가 경감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정수기(1)에서는 정화수단(47)으로서 4개의 정화부재를 적층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정화부재의 종류 및 적층시키는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정화능력에 따라서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정용의 비교적 소형 정수기에 적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공업용 정수기에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정수기(1)에서는 모터(25)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건전지(D)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용(商用)전원을 이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 1 항 발명의 정수기는 유도관이 정화카트리지의 케이스로서 취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환류수단에서 사용완료의 유도관을 분리하고, 그 후, 새로운 유도관을 장착하는 것만으로 정화수단을 교환 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어,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정화수단의 두께를 정화능력에 따른 바라는 두께로 설정가능하기 때문에, 정화능력을 확실하게 향상시키고, 정화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 2 항의 발명의 정수기는, 제 1 항의 발명효과에 부가하여, 적층된 복수의 정화부재에 의해, 정화능력을 대폭으로 높이고, 정화에 필요한 시간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종류의 정화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보다 많은 종류의 유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미네랄 성분과 마이너스 이온 등에 의해 물을 활성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정화부재가 미리 적층된 상태에서 취급되기 때문에, 교환작업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고, 정화부재가 한 개인 경우와 같이 매우 간단한 작업에 의해 교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항 발명의 정수기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환류용의 스크류에 의해 주위의 물이 교반되기 때문에, 용기전체에 걸쳐서 물을 대략 균등하게 정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기내의 물이 전부 정화되기까지의 시간도 더욱 단축 할 수 있고 사용편의를 향상할 수 있다.

Claims (3)

  1. 물이 저류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면개구부를 폐색하는 개체와,
    상기 개체의 하면에서 수하되고, 상기 용기의 하부측의 물을 상부측으로 환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 내에 저류된 물을 순환시키는 환류수단과,
    상기 환류수단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끝부분이 상기 용기의 저부 근방까지 연설된 통상(筒狀)의 유도관과,
    상기 유도관의 내부에 수용되고, 관내를 통과하는 물을 정화하는 정화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은 상하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정화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류수단은,
    회전에 의해 수류를 발생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며, 상기 스크류의 주위에 개구부가 형성된 대략 통상의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의 하단보다 수면이 높아지도록 상기 용기 내에 일정수위 이상의 물이 저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020020131A 2002-02-08 2002-04-12 정수기 KR20030067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4669 WO2003086979A1 (en) 2002-04-12 2003-04-11 Water purifier
JP2003583943A JPWO2003086979A1 (ja) 2002-02-08 2003-04-11 浄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3142 2002-02-08
JP2002033142 2002-02-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445A true KR20030067445A (ko) 2003-08-14

Family

ID=4932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131A KR20030067445A (ko) 2002-02-08 2002-04-12 정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WO2003086979A1 (ko)
KR (1) KR2003006744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873A (ja) * 1992-07-30 1994-04-05 Nisshin:Kk 浴槽水循環加熱浄化装置
JPH09108658A (ja) * 1995-08-16 1997-04-28 Motoyuki Suzukawa 小型簡易浄水器
JPH09276852A (ja) * 1996-04-11 1997-10-28 Bridgestone Corp 浄水器及び浄化筒
KR20020088294A (ko) * 2001-05-21 2002-1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브이필터의 정수 순환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0873A (ja) * 1992-07-30 1994-04-05 Nisshin:Kk 浴槽水循環加熱浄化装置
JPH09108658A (ja) * 1995-08-16 1997-04-28 Motoyuki Suzukawa 小型簡易浄水器
JPH09276852A (ja) * 1996-04-11 1997-10-28 Bridgestone Corp 浄水器及び浄化筒
KR20020088294A (ko) * 2001-05-21 2002-1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브이필터의 정수 순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86979A1 (ja)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6375B2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ultraviolet LEDs
JP4430399B2 (ja) 浄水装置用の取りはずし可能な閉止栓アセンブリ
EP2730547B1 (en) A Fluid treatment unit
US20060249442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JP2006525870A (ja) 水処理装置及び該装置用カートリッジ
KR101910571B1 (ko) 자외선 led를 이용한 휴대용 정수 시스템
KR200408986Y1 (ko) 휴대용 알칼리 환원수 제조용기
KR20030067445A (ko) 정수기
US20190194032A1 (en) Bottle with filter and air pump
WO2003086979A1 (en) Water purifier
WO200900877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очистки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KR101165126B1 (ko) 연수기용 재생통
CN208883653U (zh) 一种旋转过滤水杯
KR200188540Y1 (ko) 휴대용 정수기
JPH11309447A (ja) 浄水ポット
JPH04104881A (ja) 飲料水の浄化容器
KR200322081Y1 (ko) 콕 밸브
JP3045001B2 (ja) ポット型浄水器ユニット
CN214861742U (zh) 一种多功能过虑器用桶盖组件
RU23285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очистки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KR200363664Y1 (ko) 필터를 구비한 연수통 구조
JP3106752B2 (ja) 給湯装置
JPH0785794B2 (ja) 濾過器
WO2020021393A1 (en) Filtration device for drinking water
JPH07241553A (ja) ポット型浄水器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