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416A -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416A
KR20030067416A KR1020020007600A KR20020007600A KR20030067416A KR 20030067416 A KR20030067416 A KR 20030067416A KR 1020020007600 A KR1020020007600 A KR 1020020007600A KR 20020007600 A KR20020007600 A KR 20020007600A KR 20030067416 A KR20030067416 A KR 20030067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on
information
reserv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곤
Original Assignee
(주)비앤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앤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비앤비코리아
Priority to KR102002000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7416A/ko
Publication of KR2003006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망 및 무선망을 통하여 이용자가 숙박업소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은, 이용자가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을 통하여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소망하는 숙소에 대한 예약을 요청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예약 요청에 대하여 상기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서 예약 허가를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에서 상기 예약 요청한 숙소에 대한 숙박비를 과금 처리한 후, 상기 이용자의 휴대통신단말로 예약 허가를 통지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Lodgings Booking Service Method Through Wired and Wireless Networks}
본 발명은 유선통신망 및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가 숙박업소를 실시간적으로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같은 유선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전화에 의하여 문의 및 예약이 점차 인터넷을 통해서 검색하고 예약하는 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발맞춰서 숙박업소들에 대하여도 인터넷 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있고 또한 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숙박업소 예약 서비스는 대형 호텔과 같이 인터넷이 개설되어 있는 숙박업소에 대해서는 거의 실시간으로 예약을 할 수 있지만, 통신환경이 열악한 시골의 민박과 같은 숙박업소들에 대해서는 통신망을 통한 실시간적인 예약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즉, 숙소로서의 환경이 우수하면서 주변 자연 환경도 좋은 시골의 민박업소는 외딴 곳에 위치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유선통신망이 가설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장비(즉, 퍼스널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숙박업소에 대해서는 실시간으로 숙소의 예약사항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이용자들이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이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예약하는 경우에도 숙소정보제공사(여러 숙박업소들에 대한 정보를 웹사이트에 올려놓고 이용자들에게 예약을 대행해주는 숙박업소 정보 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 운영회사)에서는 전화 등을 통하여 해당 숙박업소에 문의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방이 예약가능한지를 확인한 다음에 그 결과를 해당 이용자에게 전화 또는 전자메일로 통지해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 이용자가 이동 중에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제공받는 것은 더욱 더 곤란한 실정이다. 즉, 이용자가 여행 중에 근처의 숙소를 예약하고자 할 경우, 가까운 PC방 등에 들러 퍼스널 컴퓨터를 통하여 인터넷상의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해서 근방의 숙박업소 정보를 검색하고 예약을 하여야 하며, 이 때에도 상기와 같이 그 예약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선통신망 및 무선통망을 통하여 이용자가 숙박업소를 실시간적으로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주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휴대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근방에 위치한 숙박업소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숙소를 예약할 수 있으며, 해당 숙박업소까지의 최단거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망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신규 숙박업소의 등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숙박업소의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숙소 예약 서비스에 접속한 경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인 페이지와 숙박업소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자가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회원등록 및 회원정보 수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자가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회원등록 및 회원정보 수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숙소 예약 서비스에 접속한 경우의 화면에 표시되는 회원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자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회원등록 및 회원정보 수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자가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숙소정보 조회, 숙소 예약 및 숙소 예약 취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자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숙소정보 조회, 숙소 예약, 근거리 숙소 조회, 숙소까지의 최단거리 조회, 숙소 예약 취소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숙소 예약 서비스에 접속한 경우의 화면에 표시되는 회원 페이지의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_1~10_n : 숙박업소 이동통신단말 20,20_1,20_n : 숙박업소 고정통신단말
30,30_1~30_n : 이용자 이동통신단말 40,40_1,40_n : 이용자 고정통신단말
50 : 무선통신망 51,53 : 통신서버
52 : 메인 서버 54 : 위치추적서버
55 : 과금 서버 56 : 데이터베이스(DB) 서버
57A,57B : 데이터베이스(DB) 60 : 유선통신망
70 :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 71 : 웹(WEB)서버
72 : 왑(WAP)서버 73 : 메인 서버
74 : 데이터베이스(DB) 서버 75,76 : 데이터베이스(DB)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은, 이용자가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을 통하여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소망하는 숙소에 대한 예약을 요청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예약 요청에 대하여 상기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서 예약 허가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에서 상기 예약 요청한 숙소에 대한 숙박비를 과금 처리한 후, 상기 이용자의 휴대통신단말로 예약 허가 정보를 통지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숙박업소 이동통신단말(10)과, 숙박업소 고정통신단말(20), 이용자 이동통신단말(30), 이용자 고정통신단말(40), 무선통신망(50), 유선통신망(60) 및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숙박업소 이동통신단말(10)은 이용자에 의하여 예약 가능한 숙박업소들에서 자기 업소의 정보를 갱신하거나 자기 업소의 예약 내역을 조회하거나 또는 숙소정보제공사로부터 신규 예약결과 등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받을 수 있는 숙박업소가 소유하고 있는 휴대폰(10_1)이나 PDA(10_n)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이다.상기 숙박업소 고정통신단말(20)은 이용자에 의하여 예약 가능한 숙박업소들에서 자기 업소의 정보를 갱신하거나 자기 업소의 예약 내역을 조회하거나 또는 숙소정보제공사로부터 신규 예약결과 등의 정보를 전자메일로 받을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20_1~20_n) 등을 포함하는 고정통신단말이다.
그리고, 상기 이용자 이동통신단말(30)은 이용자가 회원가입, 회원정보 갱신, 숙박업소들의 검색 및 예약, 예약 내역 조회, 예약 취소 등을 행하거나 또는 숙소정보제공사로부터 신규 예약결과 등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받을 수 있는 이용자가 소지하는 휴대폰(10_1)이나 PDA(10_n) 등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이다. 상기 이용자 고정통신단말(40)은 이용자가 회원가입, 회원정보 갱신, 숙박업소들의 검색 및 예약, 예약 내역 조회, 예약 취소 등을 행하거나 또는 숙소정보제공사로부터 신규 예약결과 등의 정보를 전자메일로 받을 수 있는 이용자가 소유하는 퍼스널 컴퓨터(20_1~20_n) 등을 포함하는 고정통신단말이다.
상기 유선통신망(50)은 퍼스널 컴퓨터(20_1~20_n; 40_1~40_n)를 통하여 유선으로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에 접속 가능하도록 된 유선 네트워크로 예를 들면 인터넷을 들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망(60)은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 통신 단말기들의 무선통신 환경을 조성한 무선통신망으로, TDMA 방식의 무선통신망이나 CDMA 방식의 무선통신망을 포함한다.
상기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은 여러 숙박업소들에 대한 정보를 웹사이트에 올려놓고 이용자들에게 숙소의 검색 및 예약을 대행해주는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 운영회사의 시스템으로, 웹(WEB)서버(71),왑(WAP)서버(72), 메인서버(73), 데이터베이스(DB)서버(74) 및 데이터베이스(DB)(75,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웹서버(71)는 숙소정보제공사에서 각종의 숙박업소 정보를 실시간으로 올려놓고 이용자가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정보를 검색하고 소망하는 숙소를 예약할 수 있도록 된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가 탑재되는 서버이다. 상기 왑(WAP)서버(72)는 숙소정보제공사에서 각종의 숙박업소 정보를 실시간으로 올려놓고 이용자가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정보를 검색하고 소망하는 숙소를 예약할 수 있도록 된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왑 페이지들이 탑재되는 서버이다. 상기 DB(75,76)는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각종의 숙박업소 정보와 각 숙박업소의 인증 정보, 이용자 회원 정보, 회원 인증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DB서버(74)는 상기 DB(75,76)를 관리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메인 서버(73)는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의 전체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서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이동통신사의 무선 통신망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망(50)은 이동통신단말(10,30)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기지국(BS)과, 기지국(BS)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서버(51), 무선통신망의 전체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메인 서버(52),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서버(53), 가입자 정보 및 과금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DB; 57A,57B), 데이터베이스(DB)(57A,57B)를 관리하는 DB서버(56), 가입자 이동통신단말의 통화료, 부가서비스 이용료 및 본 발명에서의 예약 숙소의 숙박요금 등을 과금하기 위한 과금서버(55) 및, 가입자 이동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위한 위치추적 서버(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신규 숙박업소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숙박업소에서 숙소정보제공사에 소정 통신수단을 통하거나 또는 방문하여 제휴를 요청하면, 숙소정보제공사에서는 직접 방문하여 해당 숙박업소에 대한 실사를 실시해서 회원들에게 추천할만한 정도의 요건을 구비하고 있는 지에 대하여 판단한다(단계 S11~S13).
해당 숙박업소가 요건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하면, 숙소정보제공사에서는 해당 숙박업소를 신규 제휴 숙소로서 데이터베이스(75,76)에 등록 저장한다(단계 S14). 여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숙박업소 정보로서는 해당 숙박업소의 식별코드와, 숙소(방) 정보(예를 들면 1인실, 2인실 3인실 등과 같은 크기정보와 거실, 주방 및 화장실 등의 부대시설 정보), 각 숙소(방)의 가격정보, 해당 숙박업소 소유의 이동통신단말의 번호, 이동통신단말 가입자명 및 그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해당 숙박업소의 사업자명, 대표자명, 대표자의 주민등록번호, 해당 숙박업소의 유선전화번호, 해당 숙박업소의 전자우편주소(e-mail address), 해당 숙박업소의 주소(전자지도상의 지번), 해당 숙박업소의 위치를 이용자 회원들에게 알려주기 위한 지도정보, 해당 숙박업소의 전경 사진 및 동영상, 해당 숙박업소의 숙소(방)의 사진 및 동영상, 각 숙소(방)에 구비된 비품(예를 들면, 싱크대, 냉장고, 에어콘, 선풍기 등)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후,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의 메인 서버(73)는 왑서버(72)를 통하여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신규 숙박업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단계 S15),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상기 통신서버(53)로부터 수신된 신규 숙박업소에 대한 정보를 DB서버(56)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57A,57B)에 등록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S16).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사로 전송되는 신규 숙박업소의 정보는, 예를 들면 숙박업소 식별코드, 숙박업소 패스워드, 해당 숙박업소의 주소(전자지도상의 지번) 및, 해당 숙박업소 소유의 이동통신단말의 번호,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명 및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숙소정보제공사의 메인서버(73)는 상기 신규등록 숙박업소의 이동통신단말로 신규등록이 되었음을 확인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왑서버(72)를 제어하고, 왑서버(72)를 통해 전송된 문자메시지는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와 메인서버(52), 통신서버(51) 및 기지국(BS)을 경유하여 해당 숙박업소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된다(단계 S17). 이에 따라 해당 숙박업소에서는 자신의 숙박업소가 등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문자메시지 뿐만 아니라 해당 숙박업소의 전자우편주소로 전자우편을 추가적으로 발송하도록 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등록된 숙박업소의 정보를 고정통신단말(유선통신망)을 통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숙박업소에서 자신의 고정통신단말(즉, 퍼스널 컴퓨터)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숙소정보제공사 웹서버(71)의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메인 페이지에서 숙박업소 로그인 메뉴를 선택하고 숙박업소 식별코드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단계 S21). 여기서, 숙박업소 식별코드(ID)와 패스워드는 숙박업소의 신규 등록시에 전자우편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하여 해당 숙박업소에 전달되거나 또는 실시가능한 다른 방법에 의하여 전달되는 것이다.
그후, 예를 들면 도 5b와 같은 숙박업소 페이지가 표시되면 숙박업소 정보갱신 메뉴를 선택하고, 미도시한 숙박업소 정보갱신 페이지에서 해당 숙박업소의 식별코드(ID) 및 패스워드, 해당 숙박업소 소유의 이동통신단말 번호,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명, 그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해당 숙박업소의 유선전화번호, 해당 숙박업소의 전자우편주소(e-mail address) 및, 해당 숙박업소의 주소(전자지도상의 지번) 등의 변동사항에 대하여 수정하고 갱신을 요청한다(단계 S22).
이어, 숙박업소의 고정통신단말로부터 갱신요청을 받은 숙소정보제공사의 웹서버(71)는 이 사항을 메인 서버(73)에 통지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기저장된 해당 숙박업소의 정보 중에서 상기 갱신 요청된 정보를 갱신하도록 한다(단계 S23).
그후,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갱신된 해당 숙박업소의 정보가 이동통신사에서 알고 있어야 하는 숙박업소 식별코드(ID), 패스워드, 해당 숙박업소 소유의 이동통신단말 번호,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명, 그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해당 숙박업소의 주소(전자지도상의 지번) 등인 것으로 판단되면, 그 갱신 정보와 함께 해당 숙박업소 식별코드를 왑서버(72)를 통하여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전송하고(단계 S24,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상기 통신서버(53)로부터 수신된 해당 숙박업소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그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숙박업소 정보에서 상기 갱신 정보를 갱신 등록 저장하도록 DB서버(56)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57A,57B)를 제어한다(단계 S25).
그후, 상기 숙소정보제공사의 메인서버(73)는 웹서버(71)의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의 숙박업소 정보 갱신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갱신 요청한 정보가 정상적으로 갱신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화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6). 또한, 해당 숙박업소의 이동통신단말로 해당 정보가 갱신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를 통지하거나 또는 해당 숙박업소의 전자우편주소로 전자우편을 발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한 도 4의 예에서는 숙박업소 정보를 갱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5b의 숙박업소 페이지에서 숙소 예약 내역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자신의 숙박업소에 대한 현재 숙소 예약 내역을 확인할 수도 있고, 또한 숙소정보제공사를 통하지 않고 고객이 자신의 숙박업소에 직접 예약한 경우 그 예약 내용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숙소 예약등록 메뉴를 선택한 후에 그 예약 내용[즉, 예약된 숙소(방) 정보]을 입력 등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숙박업소에서 예약 내용을 입력 등록하는 경우, 웹서버(71)는 이 입력 등록 사항을 메인 서버(73)에 통지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기저장된 해당 숙박업소의 예약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등록된 숙박업소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무선통신망)을 통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숙박업소에서 자신의 이동단말(즉, 휴대폰 또는 PDA)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동통신사의 부가서비스에 접속하고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 왑 메뉴에서 숙박업소 로그인 메뉴를 선택하고 숙박업소 식별코드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한다(단계 S21').
그후, 예를 들면 도 5b와 같은 숙박업소 페이지가 표시되면 숙박업소 정보갱신 메뉴를 선택하고, 미도시한 숙박업소 정보갱신 페이지에서 해당 숙박업소의 식별코드(ID) 및 패스워드, 해당 숙박업소 소유의 이동통신단말 번호,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명, 그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해당 숙박업소의 유선전화번호, 해당 숙박업소의 전자우편주소(e-mail address) 및, 해당 숙박업소의 주소(전자지도상의 지번) 등의 변동사항에 대하여 수정하고 갱신을 요청한다(단계 S22').
이어, 숙박업소로부터 갱신요청을 받은 이동통신사의 메인 서버(52)는 그 갱신 정보 중에서 자신이 알고 있어야 하는 숙박업소 식별코드(ID), 패스워드, 해당 숙박업소 소유의 이동통신단말 번호, 이동통신단말의 가입자명, 그 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해당 숙박업소의 주소(전자지도상의 지번) 등이 포함되어 있으면 그 갱신 내용을 DB 서버(56)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57A,57B)에 갱신 등록하도록 한다(단계 S23')
그후, 상기 갱신 요청된 모든 갱신 정보를 해당 숙박업소 식별코드와 함께 통신서버(53)를 통하여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송한다(단계 S24'). 상기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는 상기 수신된 갱신정보를 해당 숙박업소의 식별코드와 함께 메인 서버(73)에 통지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기저장된 해당 숙박업소의 정보 중에서 상기 갱신 요청된 정보를 갱신하도록 한다(단계 S25').
이어, 상기 숙소정보제공사의 메인서버(73)는 해당 숙박업소의 이동통신단말로 해당 정보가 정상적으로 갱신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를 통지하거나 또는 해당 숙박업소의 전자우편주소로 전자우편을 발송하도록 한다(단계 S26').
한편, 상기한 도 6의 예에서는 숙박업소 정보를 갱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5b의 숙박업소 페이지에서 숙소 예약 내역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자신의 숙박업소에 대한 현재 숙소 예약 내역을 확인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에서 숙박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에게 해당 숙박업소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숙소 예약 내역 확인 요청을 행하고, 왑서버(72)에서 그 요청에 대하여 숙소 예약 내역을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로 전송해 줌으로써, 해당 숙박업소 소유의 이동통신단말 화면에 자신의 숙박업소에 대한 예약 내역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숙소정보제공사를 통하지 않고 고객이 자신의 숙박업소에 직접 예약한 경우 그 예약 내용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숙소 예약등록 메뉴를 선택한 후에 그 예약 내용[즉, 예약된 숙소(방) 정보]을 입력 등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통신서버(53)를 통하여 숙소정보 제공사의 왑서버(72)에게 해당 숙박업소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숙소 예약 등록 요청을 행하고, 왑서버(72)는 이 숙소 예약 등록 사항을 메인 서버(73)에 통지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기저장된 해당 숙박업소의 예약 정보를 갱신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이용자가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회원 등록 및 회원정보 수정을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용자가 유선통신망, 즉 인터넷을 통하여 숙소정보제공사 웹서버(71)의 숙소정보제공사 웹서버(71)의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메인 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메뉴를 선택하고 미도시한 회원가입 웹 페이지에서 회원 정보 항목을 입력한 후 회원등록 요청을 행하면(단계 S31), 상기 신규 회원 등록 요청을 숙소정보제공사의 웹서버(71)는 이 사항을 메인 서버(73)에 통지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해당 이용자에 대하여 회원 등록하도록 한다(단계 S32). 여기서, 회원 등록 정보로서는, 이용자 식별코드(ID)와 패스워드,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유선 전화번호, 이동단말(휴대폰 또는 PDA) 번호 및 전자우편주소(e-mail address)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후,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의 메인 서버(73)는 왑서버(72)를 통하여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신규 등록 회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단계 S33),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상기 통신서버(53)로부터 수신된 신규 등록 회원에 대한 정보를 DB서버(56)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57A,57B)에 등록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S34).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사로 전송되는 신규 등록회원의 정보는, 예를 들면 이용자 식별코드, 이용자 패스워드 및 이용자의 이동단말 번호, 이용자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숙소정보제공사의 메인서버(73)는 웹서버(71)의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의 회원 등록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회원 등록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화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5). 또한, 해당 이용자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해당 회원 등록이 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를 통지하거나 또는 해당 이용자 회원의 전자우편주소로 전자우편을 발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회원 등록을 행한 이용자 회원이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메인 페이지에서 회원 로그인 메뉴를 선택하고 회원 식별코드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단계 S30), 예를 들면 도 8과 같은 회원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회원정보 갱신 메뉴를 선택하면, 미도시한 회원 정보갱신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 회원 정보갱신 페이지에서 회원의 이용자 식별코드(ID) 및 패스워드, 이동통신단말 번호, 회원의 유선전화번호, 회원의 전자우편주소 및, 해당 회원의 주소 등의 변동사항에 대하여 수정하고 갱신을 요청하면(단계 S36), 회원의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갱신요청을 받은 숙소정보제공사의 웹서버(71)는 이 사항을 메인 서버(73)에 통지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기저장된 해당 회원의 정보 중에서 상기 갱신 요청된 정보를 갱신하도록 한다(단계 S37).
그후,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갱신된 해당 회원의 정보가 이동통신사에서 알고 있어야 하는 해당 회원의 이용자 식별코드(ID), 패스워드, 이동단말 번호 등인 것으로 판단되면, 그 갱신 정보와 함께 해당 회원의 이전 식별코드, 이용자성명 및 주민등록번호를 왑서버(72)를 통하여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전송하고(단계 S38),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상기 통신서버(53)로부터 수신된 해당 이용자의 이전 식별코드와 이용자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 정보에 대응하는 이용자 정보를 DB서버(56)에서 검색하여, 상기 갱신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이용자 정보를 갱신 등록하도록 데이터베이스(57A,57B)를 제어한다(단계 S39).
그후, 상기 숙소정보제공사의 메인서버(73)는 웹서버(71)의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의 회원 정보 갱신 페이지를 통하여 상기 회원 정보 갱신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를 이용자의 고정통신단말의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40). 또한, 해당 이용자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해당 회원 정보 갱신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를 통지하거나 또는 해당 이용자 회원의 전자우편주소로 전자우편을 발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한 도 7의 예에서는 회원 등록 및 회원 정보 갱신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8의 회원 페이지에서 숙박업소 소개 메뉴를 선택하면 숙소정보제공사에서 제공되고 있는 모든 숙박업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또 예약 내역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현재 해당 회원이 예약한 내역을 확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이용자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회원 등록 및 회원정보 수정을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용자가 무선통신망(예를 들면 이동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즉, 휴대폰 또는 PDA)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의 부가서비스에 접속하고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 왑 메뉴에서 회원가입 메뉴를 선택하고 미도시한 회원가입 왑 페이지에서 회원 정보 항목을 입력한 후 회원등록 요청을 행하면(단계 S51), 통신서버(51)를 통하여 상기 신규 회원 등록 요청을 수신한 이동통신사의 메인 서버(52)는 상기 회원 등록 요청 정보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DB 서버(56)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57A,57B)에 해당 이용자에 대하여 회원 등록 입력을 행하도록 한다(단계 S52).
여기서, 상기 회원 등록 요청 정보로서는, 이용자 식별코드(ID)와 패스워드,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유선 전화번호, 이동단말(휴대폰 또는 PDA) 번호 및 전자우편주소(e-mail address)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사의 데이터베이스(57A,57B)에 등록 저장되는 회원 등록 요청 정보는, 예를 들면 이용자 식별코드, 이용자 패스워드 및 이용자의 이동단말 번호,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상기 신규 회원 등록 요청 내용 전체를 통신서버(53)를 통하여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송한다(단계 S53). 상기 왑서버(72)는 상기 수신된 신규 회원 등록 요청 내용을 메인 서버(73)에 전달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해당 이용자에 대하여 회원 등록 입력하도록 한다(단계 S54).
그후,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의 메인 서버(73)는 왑서버(72)를 통하여 이동통신사 시스템측으로 해당 이용자에 대한 회원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회원등록 확인 통지를 전송하고,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통신서버(53)를 통하여 수신된 회원등록 확인 통지를 통신서버(52)를 통하여 해당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즉, 휴대폰 또는 PDA)로 전송함으로써,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에 상기 회원 등록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S55). 또한,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의 메인 서버(73)는 해당 이용자 회원의 전자우편주소로 회원 등록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통지하는 전자우편을 추가적으로 발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회원 등록을 행한 이용자 회원이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 왑 메뉴에서 회원 로그인 메뉴를 선택하고 회원 식별코드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단계 S50), 예를 들면 도 8과 같은 회원 페이지 왑 메뉴가 이용자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회원정보 갱신 메뉴를 선택하면, 미도시한 회원 정보갱신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 회원 정보 갱신 페이지에서 회원의 이동단말 번호, 회원의 유선전화번호, 회원의 전자우편주소 및, 해당 회원의 주소 등의 변동사항에 대하여 수정하고 갱신을 요청하면(단계 S56), 회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기지국(BS) 및 통신서버(51)를 경유하여 회원정보 갱신요청 신호가 이동통신사의 메인 서버(52)에 통지되고, 상기 메인 서버(52)는 상기 회원정보 갱신요청 신호 내용 중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DB 서버(56)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57A,57B)에 해당 이용자에 대하여 회원 정보 갱신 등록을 행하도록 한다(단계 S57).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사의 데이터베이스(57A,57B)에 갱신 등록되는 회원 등록 정보는 예를 들면 이용자의 회원식별코드, 패스워드 및 이동단말 번호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상기 회원정보 갱신요청 신호 내용 전체를 통신서버(53)를 통하여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송한다(단계 S58). 상기 왑서버(72)는 상기 수신된 회원정보 갱신요청 신호 내용을 메인 서버(73)에 전달하고, 상기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해당 이용자 회원의 회원 정보 중에서 상기 회원정보 갱신요청 신호 내용에 대응하는 회원정보를 갱신 등록하도록 한다(단계 S59). 여기서, 상기 회원정보 갱신요청 신호 내용으로서는 이용자 식별코드와 패스워드, 성명, 주소, 유선 전화번호, 이동단말(휴대폰 또는 PDA) 번호 및 전자우편주소(e-mail address)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후,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의 메인 서버(73)는 왑서버(72)를 통하여 이동통신사 시스템측으로 해당 이용자에 대한 회원정보 갱신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회원정보 갱신등록 확인 통지를 전송하고,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통신서버(53)을 통하여 수신된 회원정보 갱신등록 확인 통지를 통신서버(52)를 통하여 해당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즉, 휴대폰 또는 PDA)로 전송함으로써, 이용자의 이동통신단말의 화면에 상기 회원정보 갱신 등록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단계 S60). 또한, 숙소정보제공사 시스템(70)의 메인 서버(73)는 해당 이용자 회원의 전자우편주소로 회원 정보 갱신 등록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통지하는 전자우편을 추가적으로 발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한 도 9의 예에서는 회원 등록 및 회원 정보 갱신을 행하는 예에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8과 같은 회원 페이지에서 숙박업소 소개 메뉴를 선택하면 숙소정보제공사에서 제공되고 있는 모든 숙박업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또 예약 내역 확인 메뉴를 선택하면 현재 해당 회원이 예약한 내역을 확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이용자가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숙소 정보 조회, 숙소 예약 및 숙소 예약 취소를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회원 등록을 행한 이용자 회원이 유선통신망, 즉 인터넷을 통하여 숙소정보제공사 웹서버(71)의 숙소정보제공사 웹서버(71)의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서비스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메인 페이지에서 회원 로그인 메뉴를 선택하고 회원 식별코드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면(단계 S70), 예를 들면 도 8과 같은 회원 서비스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회원 서비스 페이지에서 숙박업소 소개 메뉴를 선택하면, 이용자가 숙박업소를 검색할 수 있는 미도시한 숙박업소 소개 페이지가 이용자의 고정통신단말로 제공되어 그 고정통신단말의 화면에 표시된다(단계 S72). 상기 숙박업소 소개 페이지에서는 각 숙박업소를 지역별(예를 들면 경기 수도권,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등), 형태별(예를 들면 콘도식, 전원주택식, 별장식 등), 관광지별(예를 들면 제주권, 설악권, 강능 동해안권, 지리산권 등), 가격대별(예를 들면 5만원이하, 5~10만원대, 10~15만원대, 15~20만원대, 20만원 이상 등), 추천 숙박업소 등으로 분류하여, 이용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숙박업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박업소 소개 페이지에서 이용자가 소망하는 숙박업소를 선택하면 해당 숙박업소 페이지가 해당 이용자 회원의 고정통신단말로 전달된다(단계 S73). 이때, 해당 숙박업소 페이지는 해당 숙박업소에 대한 사진 및 동영상을 볼 수 있고, 해당 숙박업소의 지도, 각 숙소(방)의 사진 및 동영상, 각 숙소의 정보(가격정보, 크기정보, 부대시설정보, 구비 비품 정보 등), 각 숙소의 예약정보(예약가능한지를 표시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용자가 상기 숙박업소 페이지에서 해당 숙박업소의 정보를 검토한 후, 미도시한 숙박업소 페이지의 예약 메뉴를 선택하면, 회원 식별코드(ID) 및 패스워드, 숙박일시, 예약 숙소(방) 코드(상기 숙박업소 페이지에 표시됨) 및 입금방법(제휴 카드결제, 제휴 은행 온라인 결제, 무통장 입금 등) 등을 입력하는 예약페이지가 이용자 회원의 고정통신단말에 전달되어 화면에 표시되고, 이용자 회원이 상기 항목을 입력한 후에 숙소예약을 요청하면, 해당 예약요청정보가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웹서버(71)에 전달되고, 상기 예약요청정보를 받은 숙소정보제공사의 웹서버(71)는 이 예약요청정보를 메인 서버(73)에 통지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상기 예약요청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S75).
그후,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예약 요청 정보에 대하여 예약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웹서버(71)를 통하여 상기 이용자 회원의 고정통신단말로 전송한다(단계 S76). 여기서, 상기 메시지에는 예약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해당 이용자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해당 예약 요청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를 통지하거나 또는 해당 이용자 회원의 전자우편주소로 전자우편을 발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예약요청에 대응하는 숙박업소의 이동통신단말로 숙소가 예약되었음을 통지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왑서버(72)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숙박업소의 전자메일 주소로 동일한 내용의 전자 메일을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77).
한편, 상기 단계 S72에서 이용자가 숙소정보를 조회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원 서비스 페이지에서 숙소예약 메뉴를 선택하면 숙소 예약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되며, 이때 상기한 단계 S74에서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숙소예약을 행하는 경우 그 흐름은 상기한 단계 S75로 진행한다(단계 S74').
한편, 상기 단계 S74'에서 이용자가 숙소 예약을 행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원 서비스 페이지에서 예약 취소 메뉴를 선택하면 미도시한 숙소 예약 취소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되며, 이때 이용자 회원 식별코드(ID), 패스워드 및 기 예약된 예약 코드 등을 포함하는 예약 취소 항목을 입력한 후, 미도시한 숙소 예약 취소 페이지의 예약 취소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S75'), 상기 입력한 예약 취소 요청이 유선통신망을 통하여 웹서버(71)에 전달되고, 상기 예약취소 요청을 받은 숙소정보제공사의 웹서버(71)는 이 예약취소요청정보를 메인 서버(73)에 통지하고 메인 서버(73)는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에 상기 예약취소요청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단계 S76').
그후,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예약 취소 요청에 대하여 예약 취소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웹서버(71)를 통하여 상기 이용자 회원의 고정통신단말로 전송한다(단계 S77'). 여기서, 상기 메시지에는 예약 취소 코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해당 이용자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해당 예약 취소 요청이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확인하기 위한 문자메시지를 통지하거나 또는 해당 이용자 회원의 전자우편주소로 전자우편을 발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어서,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예약취소요청에 대응하는 숙박업소의 이동통신단말로 해당 숙소의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통지하는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왑서버(72)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숙박업소의 전자메일 주소로 동일한 내용의 전자 메일을 전송하도록 한다(단계 S78).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이용자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숙소 정보 조회, 숙소 예약, 숙소 예약 취소 및 숙소까지의 최단거리 정보제공을 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용자가 무선통신망(예를 들면 이동전화통신망)을 통하여 자신의 이동통신단말(즉, 휴대폰 또는 PDA)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의 부가서비스에 접속하고 예를 들면 도 5a와 같은 숙박업소 정보제공 및 예약 왑 메뉴에서 회원 로그인 메뉴를 선택하면, 도시하지 않은 회원 로그인 페이지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회원 로그인 페이지에서 회원 식별코드(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의 통화버튼을 누르면(단계 S81), 회원의 로그인 요청 정보(M1)가 기지국(BS) 및 통신서버(51)를 통해서 메인서버(52)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서버(52)는 과금서버(55)를 제어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에 대하여 부가서비스 과금을 수행하도록 제어함(단계 S82)과 동시에, 상기 메인서버(52)는 상기 로그인 요청정보에 포함된 회원 식별코드 및 패스워드를 DB(57A,57B)에 저장된 회원정보DB에서 검색하여 일치하는 회원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일차적인 인증처리를 행한다(이는 회원 식별코드와 패스워드가 잘못된 경우 즉시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의 부하 및 숙소정보제공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메인서버(52)는 상기 로그인 요청 정보(M2)를 통신서버(53)를 통해서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달하고, 상기 왑서버(72)는 상기 수신된 상기 로그인 요청 정보를 메인서버(73)로 전달한다. 상기 메인서버(73)는 상기 전달받은 로그인 요청 정보에 포함된 회원 식별코드(ID) 및 패스워드를 추출하고, DB 서버(74)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75,76)의 회원 DB에서 상기 추출된 회원 식별코드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회원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탐색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회원 인증을 행한다(단계 S83).
그후, 일치하는 회원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메인서버(73)는 도 12와 같은 회원 서비스 초기 화면 왑(WAP) 페이지를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왑서버(72)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왑서버(72)는 회원 서비스 초기 화면 왑(WAP) 페이지 정보(M3)(해당 회원의 식별코드 등을 포함)를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전송한다. 상기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는 상기 통신서버(53)를 통해서 수신된 회원 서비스 초기 화면 왑(WAP) 페이지 정보에 포함된 예를 들면 해당 회원의 식별코드 등을 이용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회원 서비스 초기 화면 왑 페이지 정보(M4)를 전송하도록 통신서버(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BS)을 통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에 회원 서비스초기 화면 왑 페이지 정보(M4)가 수신되어 화면상에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은 회원 서비스 초기화면 왑 페이지가 출력된다(단계 S84).
그후, 회원이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은 회원 서비스 초기화면 왑 페이지에서 숙박업소 조회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S85), 회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숙박업소 조회 요청 신호(M4)가 출력되어 기지국(BS) 및 통신서버(52)를 경유하여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서버(52)는 숙박업소 조회 요청 신호(M6)를 통신서버(53)를 통해서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달하고, 상기 왑서버(72)는 상기 요청된 숙소정보 페이지를 구성하여(단계 S86) 숙소정보 페이지 정보(M7)를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서버(53)를 통하여 숙소정보 페이지 정보를 전달받은 메인 서버(52)는 숙소정보 페이지 정보(M8)를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서버(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BS)을 통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에 숙소정보 페이지 정보(M8)가 수신되어 화면상에 미도시한 숙소정보 왑 페이지가 출력된다(단계 S87).
한편, 회원이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은 회원 서비스 초기화면 왑 페이지 또는 미도시한 숙소정보 왑 페이지에서 숙소 예약 메뉴를 선택하고, 숙소 정보(예를 들면 화면상에서 제공되는 숙소 코드)를 선택 입력하고 예를 들면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의 통화 버튼을 조작하면(단계 S88), 회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숙소 예약 요청 신호(M9)가 출력되어 기지국(BS) 및 통신서버(52)를 경유하여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서버(52)는 숙소 예약 요청 신호(M10)를통신서버(53)를 통해서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달하고, 상기 왑서버(72)는 그 숙소 예약 요청 신호를 메인 서버(73)에 전달한다.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숙소 예약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숙소 코드에 대응하는 숙소의 예약정보(해당 회원의 식별코드와 숙박 일시 등)를 데이터베이스(75,76)에 등록 저장하도록 DB서버(74)를 제어하고(단계 S91), 상기 숙소 코드에 대응하는 숙박업소의 전자메일주소를 DB(75,76)에서 검색하도록 DB서버(74)를 제어하여 그 검색된 전자메일주소로 해당 숙소가 예약되었음을 통지하는 전자메일(M11)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숙박업소에서 해당 숙소가 예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단계 S92).
그후, 상기 메인 서버(73)는 해당 숙소 예약 요청에 대하여 숙소 예약 확인정보(M12)(회원 식별코드, 숙소의 숙박요금 등을 포함)를 생성하여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전송하도록 왑서버(72)를 제어한다. 상기 통신서버(53)을 통하여 숙소 예약 확인정보(M12)를 수신한 이동통신사의 메인 서버(52)는 해당 회원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요금에 해당 숙소의 숙박료를 부가하여 청구하도록 과금서버(55)를 제어한다(단계 S92). 이어서, 상기 메인 서버(52)는 숙소 예약 확인정보(M13)를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서버(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BS)을 통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에 숙소 예약 확인정보가 수신되어 화면상에 숙소 예약 확인정보에 포함된 확인 메시지가 출력된다(단계 S93).
한편, 회원이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은 회원 서비스 초기화면 왑 페이지에서 근거리 숙소 조회 메뉴를 선택하면(단계 S94), 회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근거리 숙소 조회 요청 신호(M14)가 출력되어 기지국(BS) 및 통신서버(52)를 경유하여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서버(52)는 위치추적 서버(54)를 제어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여 확인한다(단계 S95). 그후, 메인 서버(52)는 상기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포함하는 근거리 숙소 조회 요청신호(M15)를 생성하여 통신서버(53)를 통해서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달하고, 상기 왑서버(72)는 그 근거리 숙소 조회 요청 신호를 메인 서버(73)에 전달한다.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숙소 예약 요청 신호에 포함된 해당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정보를 근거로 예를 들면 반경 30km 이내에 위치하는 숙박업소 정보 중에서 현재 예약 가능한 숙박업소의 숙소 정보를 DB(75,76)에서 검색하여 읽어내도록 DB 서버(74)를 제어한다(단계 S96). 그후,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DB 서버(74)에서 전달받은 근거리 숙소 정보를 해당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가까운 순서로 정렬하여 근거리 숙소 정보(M16)를 생성하여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전송하도록 왑서버(72)를 제어한다.
상기 통신서버(53)를 통하여 근거리 숙소 정보(M16)를 수신한 이동통신사의 메인 서버(52)는 근거리 숙소정보(M17)를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서버(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BS)을 통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에 근거리 숙소 정보가 수신되어 화면상에 현재 예약 가능한 근거리 숙소 정보가 출력된다(단계 S99).
그후, 회원이 화면에서 출력되는 근거리 숙소 정보를 조회하여 소망하는 숙소에 대한 예약을 하기 위하여 숙소 예약 메뉴를 선택하고, 숙소 정보(예를 들면화면상에서 제공되는 숙소 코드)를 선택 입력하고 예를 들면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의 통화 버튼을 조작하면(단계 S99), 회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숙소 예약 요청 신호(M18)가 출력되어 기지국(BS) 및 통신서버(52)를 경유하여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서버(52)는 숙소 예약 요청 신호(M19)를 통신서버(53)를 통해서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달하고, 상기 왑서버(72)는 그 숙소 예약 요청 신호를 메인 서버(73)에 전달한다.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숙소 예약 요청 신호에 포함된 숙소 코드에 대응하는 숙소의 예약정보(해당 회원의 식별코드와 숙박 일시 등)를 데이터베이스(75,76)에 등록 저장하도록 DB서버(74)를 제어하고(단계 S101), 상기 숙소 코드에 대응하는 숙박업소의 전자메일주소를 DB(75,76)에서 검색하도록 DB서버(74)를 제어하여 그 검색된 전자메일주소로 해당 숙소가 예약되었음을 통지하는 전자메일(M11)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숙박업소에서 해당 숙소가 예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단계 S102).
그후, 상기 메인 서버(73)는 해당 숙소 예약 요청에 대하여 숙소 예약 확인정보(M21)(회원 식별코드, 숙소의 숙박요금 등을 포함)를 생성하여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전송하도록 왑서버(72)를 제어한다. 상기 통신서버(53)를 통하여 숙소 예약 확인정보(M21)를 수신한 이동통신사의 메인 서버(52)는 해당 회원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요금에 해당 숙소의 숙박료를 부가하여 청구하도록 과금서버(55)를 제어한다(단계 S103). 이어서, 상기 메인 서버(52)는 숙소 예약 확인정보(M22)를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서버(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BS)을 통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에 숙소 예약확인정보가 수신되어 화면상에 축소 예약 확인정보에 포함된 확인 메시지가 출력된다(단계 S104).
한편, 회원이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은 회원 서비스 초기화면 왑 페이지에서 최단거리 정보 메뉴를 선택하고 미도시한 숙박업소 선택화면에서 소망하는 숙박업소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한 숙소 예약 후에 최단거리 정보 메뉴를 선택하면(이때는 가장 최근에 예약한 숙박업소의 최단거리 정보를 요청하는 것으로 자동인식함)(단계 S105), 회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최단거리 정보 요청 신호(M23)가 출력되어 기지국(BS) 및 통신서버(52)를 경유하여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서버(52)는 과금 서버(55)를 제어하여 최단거리 정보제공에 대한 추가 적인 과금을 수행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위치추적 서버(54)를 제어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여 확인한다(단계 S107).
그후, 메인 서버(52)는 상기 최단거리 정보 요청 신호(M23)에 포함된 숙박업소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57A,57B)에 기 저장된 숙박업소의 주소 및 전자지도의 지번을 상기 위치 추적 서버(54)에 제공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에서 해당 숙박업소까지의 최단거리 지리 정보를 산출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108).
이어, 상기 메인 서버(52)는 상기 위치 추적 서버(54)에서 산출된 최단거리(예를 들면 "영동고속도로 둔내 IC, 47번 도로 횡성방향 4km 진행, 46번 도로 우회전 진입 2km 진행")를 포함하는 최단거리 정보(M26)를 생성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서버(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BS)을 통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에 최단거리정보가 수신되어 화면상에 최단거리가 출력된다(단계 S110).
그후, 회원이 예를 들면 도 12와 같은 회원 서비스 초기화면 왑 페이지에서 예약 취소 메뉴를 선택한 후에 미도시한 예약 코드 입력 화면에서 최소하고자 하는 예약 코드를 입력하고 예를 들면 이동통신단말의 통화 버튼을 조작하면(단계 S111), 회원 이동통신단말로부터 예약 취소 요청 신호(M27)가 출력되어 기지국(BS) 및 통신서버(52)를 경유하여 이동통신사의 메인서버(52)에 전달되고, 상기 메인 서비(52)는 예약 취소 요청 신호(M28)를 통신서버(53)를 통해서 숙소정보제공사의 왑서버(72)로 전달하고, 상기 왑서버(72)는 그 예약 취소 요청 신호를 메인 서버(73)에 전달한다. 상기 메인 서버(73)는 상기 예약 취소 요청 신호에 포함된 예약 코드에 대응하는 숙소의 예약정보(해당 회원의 식별코드와 숙박 일자 등)가 취소되었음을 데이터베이스(75,76)에 등록 저장하도록 DB서버(74)를 제어하고(단계 S113), 상기 숙소 코드에 대응하는 숙박업소의 전자메일주소를 DB(75,76)에서 검색하도록 DB서버(74)를 제어하여 그 검색된 전자메일주소로 해당 숙소의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통지하는 전자메일(M29)을 전송함으로써, 해당 숙박업소에서 해당 숙소의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단계 S114).
그후, 상기 메인 서버(73)는 해당 예약 취소 요청에 대하여 예약 취소 확인정보(M30)(회원 식별코드, 숙소의 숙박요금 등을 포함)를 생성하여 이동통신사의 통신서버(53)로 전송하도록 왑서버(72)를 제어한다. 상기 통신서버(53)를 통하여 예약 취소 확인정보(M30)를 수신한 이동통신사의 메인 서버(52)는 해당 회원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통신요금에 이전 예약시에 가산된 해당 숙소의 숙박료를 감산하여 청구하도록 과금서버(55)를 제어한다(단계 S115). 이어서, 상기 메인 서버(52)는 예약 취소 확인정보(M31)를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서버(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BS)을 통하여 해당 회원의 이동통신단말에 예약 취소 확인정보가 수신되어 화면상에 예약 취소 확인 메시지가 출력된다(단계 S115).
한편, 상기한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요금 청구서에 포함하여 숙소의 숙박료를 청구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용 가능한 다른 결제 방식을 이용하여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선통신망 및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가 숙박업소를 실시간적으로 검색하고 예약할 수 있게 된다. 또, 휴대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숙박업소에서 예약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자도 휴대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숙박업소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숙소를 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용자가 휴대 통신단말기를 통하여 근방에 위치한 숙박업소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숙소를 예약할 수 있으며, 해당 숙박업소까지의 최단거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이용자가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을 통하여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 접속하여 소망하는 숙소에 대한 예약을 요청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예약 요청에 대하여 상기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서 예약 허가 확인을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에서 상기 예약 요청한 숙소에 대한 숙박비를 과금 처리한 후, 상기 이용자의 휴대통신단말로 예약 허가 확인을 통지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숙소에 대한 최단거리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위치정보와 상기 숙소의 기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이용자 휴대통신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은 상기 예약 요청된 숙소에 대응하는 숙소 사업자의 통신단말로 해당 숙소가 예약되었음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 사업자 통신단말이 이동통신단말이고, 상기 통지는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을 경유하는 문잔 단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숙소 사업자 통신단말이 인터넷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이고, 상기 통지는 상기 인터넷을 경유하는 전자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6. 이용자가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을 통하여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 현재 위치에서의 예약 가능한 근거리 숙소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 전달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예약 가능한 숙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 휴대통신단말에 전달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정보 서비스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검색된 숙소들을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순서로 정렬하여 상기 이용자 휴대통신단말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정보 서비스 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휴대통신단말을 이용하여 소망하는 숙소에 대한 최단거리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사의 시스템에서 상기 휴대통신단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이 산출된 위치정보와 상기 숙소의 기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단거리를 산출하여 상기 이용자 휴대통신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정보 서비스 방법.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서 규정한 제 1단계 내지 제 3단계에 추가하여,
    상기 제 3단계에서 전달된 예약 가능한 숙소 정보 중에서 소망하는 숙소에대한 예약을 요청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예약 요청에 대하여 상기 숙소정보제공 및 숙소 예약 제공사의 시스템에서 예약 허가 확인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측으로 전송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예약 요청한 숙소에 대한 숙박비를 과금 처리한 후, 상기 이용자의 휴대통신단말로 예약 허가 확인을 통지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KR1020020007600A 2002-02-08 2002-02-08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KR20030067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600A KR20030067416A (ko) 2002-02-08 2002-02-08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600A KR20030067416A (ko) 2002-02-08 2002-02-08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416A true KR20030067416A (ko) 2003-08-14

Family

ID=3222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600A KR20030067416A (ko) 2002-02-08 2002-02-08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74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183A (ko) * 2013-12-13 2015-06-23 김태우 게스트하우스 검색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합한 게스트하우스 검색 방법
WO2018124322A1 (ko) * 2016-12-27 2018-07-05 조영호 대규모 이벤트를 위한 숙박시설 연계 및 예약,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3100A (ja) * 1996-04-26 1997-11-11 Adobuansuto Infuoomeishiyon Design:Kk 自動電話宿泊予約装置および電話による自動宿泊予約方法
JPH10240820A (ja) * 1997-02-28 1998-09-11 Hitachi Ltd ホテル予約受付管理システム
KR20000030541A (ko) * 2000-03-06 2000-06-05 김준수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6611A (ko) * 2001-07-14 2001-09-15 장태관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KR20010092218A (ko) * 2000-03-21 2001-10-24 최부용 인터넷을 이용한 호텔 예약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JP2001306714A (ja) * 2000-04-17 2001-11-02 Nec Saitama Ltd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飲食店利用方法
KR20010108617A (ko) * 2000-05-30 2001-12-08 천길성 숙박 및 요식업소의 인터넷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3100A (ja) * 1996-04-26 1997-11-11 Adobuansuto Infuoomeishiyon Design:Kk 自動電話宿泊予約装置および電話による自動宿泊予約方法
JPH10240820A (ja) * 1997-02-28 1998-09-11 Hitachi Ltd ホテル予約受付管理システム
KR20000030541A (ko) * 2000-03-06 2000-06-05 김준수 통신망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2218A (ko) * 2000-03-21 2001-10-24 최부용 인터넷을 이용한 호텔 예약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JP2001306714A (ja) * 2000-04-17 2001-11-02 Nec Saitama Ltd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飲食店利用方法
KR20010108617A (ko) * 2000-05-30 2001-12-08 천길성 숙박 및 요식업소의 인터넷 예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86611A (ko) * 2001-07-14 2001-09-15 장태관 이동 콜택시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183A (ko) * 2013-12-13 2015-06-23 김태우 게스트하우스 검색 시스템 그리고 이에 적합한 게스트하우스 검색 방법
WO2018124322A1 (ko) * 2016-12-27 2018-07-05 조영호 대규모 이벤트를 위한 숙박시설 연계 및 예약,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952B1 (ko) 일자리 매칭 서버 및 방법
US2006024202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vertisement rates
CN100413356C (zh) 用于通信网络的终端、设备及方法
US20090258656A1 (en) Method for Exchanging Location-Relevant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with an Interactive Map Display
JP2002517918A (ja) 個人情報の制御及び電気通信装置への/からの情報配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984155A (zh) 用于处理位置信息访问请求的方法
KR2005011459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소록 자동 관리방법 및 시스템
CN101383740B (zh) 一种预订服务的系统和方法
US20030093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regarding a customer
JP7301108B2 (ja) 情報通知装置、情報通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2032402A (ja) 広告情報の提供方法
KR101849310B1 (ko) 실시간 숙박 시설 예약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행하기 위한 숙박업체 단말 및 서버
KR20110040335A (ko) 전자 명함을 이용한 인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11253261A (ja) 予約処理装置、予約処理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予約処理方法
KR20030067416A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숙소 예약 서비스 방법
KR100876339B1 (ko) 모바일과 인터넷을 융합한 일용직 구인 또는 구직 정보등록 시스템 및 방법
US20020161771A1 (en) System for receiving, storing and updating data over a network upon request
US20050097002A1 (en) Present giving system, present giving server system, present giving program, and present giving method
KR102140376B1 (ko) 신혼 재무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7123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916684B1 (ko) 메시지 전송 및 자료 분류 접수 관리 방법 그리고 이에 적합한 메시지 전송 시스템
JP2002123580A (ja) 旅行情報処理装置、旅行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旅行情報処理方法
KR100422240B1 (ko) 외국인을 위한 맞춤형 주택임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522643B2 (ja) ポイント処理システム
KR2000004989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일정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