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7212A -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7212A
KR20030067212A KR1020020007103A KR20020007103A KR20030067212A KR 20030067212 A KR20030067212 A KR 20030067212A KR 1020020007103 A KR1020020007103 A KR 1020020007103A KR 20020007103 A KR20020007103 A KR 20020007103A KR 20030067212 A KR20030067212 A KR 20030067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image
displayed
image change
curr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창
고진신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7212A/ko
Publication of KR2003006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72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54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ubtraction of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함에 있어서 영상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영상의 변화를 쉽게 눈에 띄게 표시하는 방법과 상기 영상의 변화가 있을 시에 이를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제 1과정과, 상기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영상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영상 변화 표시 영역을 설정하여 표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저장 매체의 장착과 경보 설정을 검사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감시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돌발 상황 시에 현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효율적인 감시 및 보안 요구 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SURVEILLANCE AND SECURITY METHODE USING THERMAL IMAGE SYSTEM}
본 발명은 적외선 열상 장비(Infrared Thermal Image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외선 열상 장비(Infrared Thermal Image System)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감시 시스템은 CCD(CHANGE COUPLED DEVICE)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CCD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나 CCTV를 말한다. 상기 CCD 카메라는 빛이 없는 곳에서나 야간 감시용으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CCD 카메라는 사용하는 감시 시스템은 빛이 있는 곳에서만 감시를 할 수 있어, 현재에는 야시 장비를 사용하여 야간 감시용으로 쓰고 있다. 상기 야시 장비는 희미한 빛에 의해 보이는 것을 증폭을 시켜서 보이도록 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감시 시스템의 적용 분야를 넓히기 위해서 적외선 열상 장비의 사용이 필연적이었다. 상기 적외선 열상 장비는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미약한 적외선 에너지 차이를 적외선 카메라 소자에 의해 감지한 뒤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화하는 장치이다. 적외선 에너지 차이는 물체가 갖는 온도 차이에 비례하므로 온도가 다른 물체는 열 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열상 장비는 건물의 열 손실 탐지, 저장 탱크 내부의 저장량 측정, 전송 선로의 이상 유무 확인, 침입자 감시 등 산업계에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쇄 회로 기판의 검사와 분석, 위성에 의한 기상관측, 의료 기기에도 적용되어 점차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상 장비는 영상의 표시 목적으로만 제작이 되어 있어 감시 및 보안 시스템에 적용 시에는 추가적인 저장 매체가 사용된다. 상기 추가적인 저장 매체는 비디오 테이프 또는 DVR(Digital Video Recorder)과 같은 매체이다. 그리고 상기 열상 장비를 사용하는 감시 시스템은 관리자가 항상 상주하여 움직임을 발견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CCD 카메라로는 빛이 없는 곳에서나 야간 감시용으로는 정확한 감시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열상 장비를 감시 시스템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테이프 또는 DVR(Digital Video Recorder)과 같은 추가적인 저장 매체의 계속적인 소모로 인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리자가 항상 상주해야 한다는 인력의 낭비와 상기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을 시에는 실시간 감시가 불가능하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하여 영상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의 변화 영역을 쉽게 눈에 띄도록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의 변화 감지시에 실시간으로 알림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제 1과정과, 상기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영상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영상 변화 표시 영역을 설정하여 표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저장 매체의 장착과 경보 설정을 검사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상 장비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변화 및 존재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 및 보안을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프레임 차분에 따라 영상의 변화 감지를 위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히스토그램 차분에 따라 영상의 변화 감지를 위한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하여 감시 및 보안을 위해 영상 변화 감지, 감지된 영역 표시 및 영상 변화가 감지됨을 알림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상 장비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감시 및 보안을 위한 영상 장비의 구성 및 각 구성들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적외선 검출부(100)는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적외선 카메라 소자에 의해 감지하고 화소별 밝기 값을 나타내는 적외선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적외선 영상 신호는 매 프레임 주기마다 아날로그/디지털(Analog to Digital: A/D)변환기(102)에 의하여 소정 비트의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에 의해 변환된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해 영상 표시에 필요한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04)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영상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영상 변화를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현재 프레임이 입력이 되면 상기 프레임 메모리(106)에서 이전 프레임을 읽어 와서 차분값을 계산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계산된 차분값이 미리 정해져 있는 문턱치값 이상이면 영상 변화가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영상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현재 프레임의 히스토그램과 이전 프레임의 히스토그램의 차분을 계산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문턱치값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분값이 크게 되면 영상 변화가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에서 감지한 영상 변화의 영역을 설정을 해서, 상기 영상 변화의 영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디지털/아날로그(Digital to Analog: D/A) 변환기(108)는 상기 영상 처리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112)로 제공함으로써 영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알람부(110)와 저장 매체(114)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아날로그(Digital to Analog: D/A) 변환기(108)에서 처리된 신호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04)에서 영상의 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알람부(110)를 통해 경보를 울려서 현재 상황을 알림을수행하기 위해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저장 매체(114)는 상기 영상 처리부(104)에서 영상의 변화를 감지한 경우 상기 영상의 변화를 감지한 시점부터 저장하기 위해 구비한다.
프레임 메모리(106)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여 상기 영상 처리부(104)로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임 메모리(106)는 이전 프레임을 저장하고 있어 상기 영상 변화 감지 시에 상기 영상 처리부(104)로 상기 이전 프레임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시 및 보안을 위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감시 및 보안을 위한 영상의 변화 감지, 감지된 영역 표시 및 영상 변화가 감지됨을 알리기 위한 동작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400 단계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로부터 현재 프레임이 입력이 되면 402 단계로 진행하여 영상 처리부(104)는 영상 변화가 있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402 단계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04)가 영상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프레임 차분에 따라 영상의 변화 감지를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영상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500 단계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로부터 현재 프레임이 입력이 되면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106)로부터 이전 프레임을 읽어온다.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504 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현재 프레임과 상기 읽어 온 이전 프레임의 차분값을 계산한다. 상기 차분값을 계산하는 것은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변화 및 존재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200은 상기 프레임 메모리(106)로부터 읽어 온 이전 프레임이다. 그리고 202는 상기 영상 처리부(104)로 입력된 현재 프레임이다. 상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차분값은 빗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차분값의 계산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 각각 같은 위치에 대응되는 화소들의 차분을 계산하는 것이다.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506 단계에서 상기 차분값과 상기 미리 정해져 있는 문턱치값과 비교를 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분값이 상기 문턱치값보다 더 큰 경우에는 508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510 단계로 진행하다. 이때 상기 문턱치값을 낮추거나 노이즈 제안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영상 변화의 감도나 잡음에 대한 강건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문턱치값보다 차분값이 커서 진행한 508 단계에서 영상 변화 모드를 수행한다. 영상 변화가 감지되어 진행한 상기 "영상 변화 모드"는 상기 영상 변화 영역을 설정하고, 화면에 상기 영상 변화를 표시하는 모드이다. 상기 영상 변화 모드는 도 4의 404 단계와 406 단계에 해당하며, 하기 도 4의 404 단계와 406 단계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510 단계에서 상기 비교 결과 문턱치값이 커서 진행하여 영상 무변화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영상 무변화 모드"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차분값이 상기 미리 정해져 있는 문턱치값보다 작아 거의 변화가 없는 경우, 화면에 상기 변화하지 않은 영상을 표시부(112)를 통해 표시하도록 수행된다. 상기 영상 무변화 모드는 도 4의 420 단계에 해당하며, 하기 도 4의 420 단계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영상 변화 감지하는 또 다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히스토그램 차분에 따라 영상의 변화 감지를 위한 흐름도이다.
600 단계에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2)로부터 현재 프레임이 입력이 되면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입력된 현재 프레임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계산한다. 상기 히스토그램을 계산하는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변화 및 존재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X 축은 화면의 수평축을 나타내고, Y 축은 화면의 수직축을 나타낸다. 먼저 302는 현재 입력된 프레임이다. 상기 프레임에 대한 히스토 그램을 X 축과 Y 축으로 계산하면, 상기 302 의 Y 축들의 화소들을 각각 더하여 히스토그램 322가 계산된다. 그리고 상기 302의 X 축들의 화소들을 각각 더하여 히스토그램 312가 계산된다.
상기 604 단계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602 단계에서 계산이 된현재 히스토그램과 이전 히스토그램의 차분값을 계산하다. 상기 차분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전 프레임의 300에 대한 히스토그램은 310과 320이다. 상기 이전 히스토그램의 310과 상기 현재 히스토그램의 312의 차분값을 계산한다. 또한 상기 이전 히스토그램의 320과 현재 히스토그램의 322의 차분값을 계산한다. 상기 히스토그램 차분값을 빗금으로 표시한다.
606 단계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히스토그램의 차분값과 문턱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차분값이 더 큰 경우에는 608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61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8 단계의 영상 변화 모드와 상기 610 단계와 영상 무변화 모드는 상기 도 5에서의 상기 영상 변화 모드와 상기 무변화 모드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402 단계에서 영상 변화를 감지한다. 그러면 상기 402 단계에서 영상 변화 감지가 되어 진행한 404 단계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상기 감지된 영상 변화를 표시할 표시 영역을 설정한다. 하기에서 상기 영상 변화를 나타내는 영역을 "표시 영역"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 영역 설정 과정을 상기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도 2에서, 상기 이전 프레임의 200과 현재 프레임의 202의 차분값이 빗금으로 표시가 되어 있다. 상기 차분값들 중에서 가장 왼쪽/위의 것과 오른쪽/아래의 화소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두 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변화를 표시할 표시 영역을 사각형으로 설정한다. 204가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인 사각형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수직축, 수평축의 두 축 방향으로 각각 문턱치값보다 높은 차분값 중에 최소와 최대인 두 점을 찾는다. 상기 네 점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사각형 영역을 설정한다. 상기 네 점은 304, 306, 308, 309이다. 또한 상기 330이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인 사각형에 해당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영상 처리부(104)는 404 단계에서 표시 영역을 설정한다.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406 단계에서 표시부(112)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화면에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표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영상은 그대로 두고,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부분은 밝기 값을 줄여 준다. 이때 밝기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부분을 상기 표시 영역의 밝기의 반으로 할 수도 있고, 상기 밝기를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을 역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부분은 그대로 표시한다. 상기 역상은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영역이 흑색이면 백색으로, 백색이면 흑색으로 표시함을 말한다. 이때 상기 표시 영역을 그대로 두고,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부분은 역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영역은 모의 칼라링(pseudo coloring)에 의한 칼라 영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부분은 그대로 한다. 이때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부분을 반대로 하거나, 상기 표시 영역만 다른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406 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화면 표시를 수행하고, 408 단계로 진행하면저장 매체가 장착이 되어 있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저장 매체가 장착이 되어 있으면 41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1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비디오 테이프나 DVR(Digital Video Recorder)과 같은 저장 매체를 말한다.
410 단계에서 경보 설정이 되어 있는 지를 검사하여 설정이 되어 있으면 412 단계로 진행하여 경보 설정 모드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400 단계로 진행하여 감시 및 보안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경보 설정 모드"는 본 발명에서 영상 변화를 감지하였을 시에 경보를 울림으로서 현 상황을 알려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수행하는 모드이다.
한편 상기 408 단계에서 저장 매체가 장착이 된 경우에 414 단계에서, 경보 설정이 되어 있는 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 결과 저장 매체는 장착이 되어 있으나 경보 장치가 설정이 되지 않을 시에는 418 단계로 진행하여 418 단계에서 화면 저장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화면 저장 모드"는 본 발명에서 영상 변화를 감지하였을 시점부터 상기 저장 매체에 상기 영상 변화가 있는 표시 영역을 바로 저장하는 모드이다. 이때 영상 변화를 감지하였을 시부터 상기 저장 매체에 저장하기 때문에 파워가 온(on)시부터 저장하는 것보다 상기 저장 매체의 비용을 절감시킨다.
상기 저장 매체가 되어 있고, 경보도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진행한 416 단계에서는 상기 412 단계와 418 단계에서 수행하는 경보 설정 모드와 화면 저장 모드를 동시에 수행하는 화면 저장 및 경보 설정 모드를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간은 물론 야간이나 빛이 전혀 없는 곳에서 영상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빛이 없는 곳에서도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조명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이 절감이 된다. 또한 상기 영상의 변화 감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돌발 상황 발생 시에 경보를 울리거나 다른 방법으로 현 상황을 알려 상황에 대처할 수 있고, 상기 돌발 상황 시에만 저장 매체를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케 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변화를 감지했을 시부터 저장 매체를 사용하거나 경보를 울리거나 다른 방법으로 현 상황을 알리기 때문에 관리자가 항상 상주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에 있어서,
    현재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입력받는 제 1과정과,
    상기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을 비교하여 영상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영상 변화 표시 영역을 설정하여 표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저장 매체의 장착과 경보 설정을 검사하여 실시간으로 알림을 수행하는 제 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상기 현재 프레임과 상기 이전 프레임의 차분값을 계산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문턱치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분값이 미리 정해져 있는 문턱치값을 초과하면 영상 변화가 있음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상기 차분값들 중에서 가장 왼쪽/위의 화소와 오른쪽/아래의 화소를 선택하여 상기 두 점을 기준으로 상기 영상 변화 표시 영역을 사각형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값은 상기 현재 프레임과 상기 이전 프레임의 각각 동일한 위치에 대응되는 화소의 차분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상기 현재 프레임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계산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에 대한 히스토그램과 이전 프레임에 대한 히스토그램의 차분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히스토그램 차분값이 미리 정해져 있는 문턱치값을 초과하면 영상 변화가 있음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상기 히스토그램 차분값들 중에서 수평축과 수직축 방향으로 각각 문턱치보다 높은 최소와 최대의 화소를 찾아 상기 네 점을 기준으로 사각형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프레임에 대한 히스토그램은,
    상기 입력된 현재 프레임의 각각 수직축과 수평축으로 각 화소들을 더하여 계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6.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그대로 두고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밝기 값을 줄여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7.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밝기 값을 줄이고, 상기 표시 영역 외는 그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8.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역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를 그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9.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그대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를 역상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10.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칼라 영상으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를 그대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11.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그대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 영역 외를 칼라 영상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12.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의 상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나타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만을 다른 색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과정은,
    상기 영상 변화 감지시 상기 저장 매체가 장착이 되었을 경우 상기 영상 변화 감지된 시점부터 저장하고, 상기 경보 설정이 되었을 경우 경보를 울려 알림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비에서 감시 및 보안방법.
KR1020020007103A 2002-02-07 2002-02-07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KR20030067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103A KR20030067212A (ko) 2002-02-07 2002-02-07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103A KR20030067212A (ko) 2002-02-07 2002-02-07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7212A true KR20030067212A (ko) 2003-08-14

Family

ID=3222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103A KR20030067212A (ko) 2002-02-07 2002-02-07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721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06B1 (ko) * 2006-11-13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및 영상 감시 시스템
KR100945116B1 (ko) * 2008-04-05 2010-03-02 이시우 영상 비교, 변화감지와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069181B1 (ko) * 2004-08-31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모션 검출 영역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KR101320864B1 (ko) * 2013-04-29 2013-10-23 주식회사 이도링크 형상체를 활용한 모니터링영역 내의 외부 객체 유무 판별방법
US9189863B2 (en) 2012-06-25 2015-11-17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otion capable of removing shadow by heat
KR20230072588A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알씨엔 공동주택 화재대응을 위한 피난통로의 내부공간을 감시하는 감시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4266A (ko) * 1990-12-31 1992-07-30 이헌조 영상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KR960015338A (ko) * 1994-10-14 1996-05-22 김광호 열상장비에 있어서 영상변화 감지회로
KR960036671A (ko) * 1995-03-31 1996-10-28 박한욱 영상의 변화와 좌표설정을 이용한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보방법
KR20000061145A (ko) * 1999-03-24 2000-10-16 권준상 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20020040033A (ko) * 2000-11-23 2002-05-30 정진교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4266A (ko) * 1990-12-31 1992-07-30 이헌조 영상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KR960015338A (ko) * 1994-10-14 1996-05-22 김광호 열상장비에 있어서 영상변화 감지회로
KR960036671A (ko) * 1995-03-31 1996-10-28 박한욱 영상의 변화와 좌표설정을 이용한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보방법
KR20000061145A (ko) * 1999-03-24 2000-10-16 권준상 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20020040033A (ko) * 2000-11-23 2002-05-30 정진교 방범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181B1 (ko) * 2004-08-31 201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모션 검출 영역 자동설정장치 및 방법
KR100837406B1 (ko) * 2006-11-13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및 영상 감시 시스템
US9761103B2 (en) 2006-11-13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having video surveillance apparatus, video surveillance method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video surveillance system
KR100945116B1 (ko) * 2008-04-05 2010-03-02 이시우 영상 비교, 변화감지와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US9189863B2 (en) 2012-06-25 2015-11-17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otion capable of removing shadow by heat
KR101320864B1 (ko) * 2013-04-29 2013-10-23 주식회사 이도링크 형상체를 활용한 모니터링영역 내의 외부 객체 유무 판별방법
KR20230072588A (ko) * 2021-11-18 2023-05-25 주식회사 알씨엔 공동주택 화재대응을 위한 피난통로의 내부공간을 감시하는 감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1953B2 (en) Image monitoring system
US57318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 in a video signal
US7376244B2 (en) Imaging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event detection in low illumination
JP4803376B2 (ja) カメラ妨害検知方式
JP2010028627A (ja) 表示装置
KR20030067212A (ko)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JP2010256194A (ja) 侵入検知装置
JP2001160146A (ja) 画像認識方法および画像認識装置
JP2847597B2 (ja) 赤外線監視システム
JP4112117B2 (ja) 侵入検知装置及び方法
JPH03138596A (ja) 移動物体検出装置
JPH0638217A (ja) 赤外線監視システム
JPH1066054A (ja) 映像監視装置
KR100906259B1 (ko) 침입자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5027644B2 (ja) 複合型侵入検知装置
JPH0271397A (ja) 画像監視装置
JPS6355646B2 (ko)
JP3792460B2 (ja) 侵入物体検知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0149155A (ja) 状態監視装置
JP2000184362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US2024018555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reflections in thermal images
JPH01288086A (ja) 赤外線監視システム
CN118154828A (zh) 用于识别热图像中的反射的方法和系统
JP2691194B2 (ja) 監視装置
KR20210111992A (ko) 일반 영상과 열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