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1145A - 감시 및 녹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및 녹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1145A
KR20000061145A KR1019990009974A KR19990009974A KR20000061145A KR 20000061145 A KR20000061145 A KR 20000061145A KR 1019990009974 A KR1019990009974 A KR 1019990009974A KR 19990009974 A KR19990009974 A KR 19990009974A KR 20000061145 A KR20000061145 A KR 20000061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tr
recording
signal
display device
video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상
Original Assignee
권준상
한세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준상, 한세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준상
Priority to KR101999000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61145A/ko
Publication of KR2000006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및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 상태에서도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피감시 영역에서 발생되는 침입 또는 도난 등과 같은 상황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또 녹화 및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는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피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5)를 가지는 촬영장치(10)와, 상기 카메라(5)에 의해 촬영되는 동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50)를 구비하는 감시 및 녹화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29)과, 비교회로, 메모리 및 카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처리장치(C), 상기 동 화상의 표시를 온, 오프하고, 또 상기 표시장치(50)에 적합한 모드를 설정하는 모드 선택단자(21, 22), 녹화 시간을 설정하고, 또 경보음의 발생을 온, 오프하는 부저단자(23, 24) 및 상기 부저단자(23, 24)의 선택에 따라 상기 처리장치(C)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25)로 구성되는 제어장치(30)와, 상기 제어장치(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50)에 표시되는 동 화상을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거나 또는 상기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된 동 화상을 재생하는 VTR(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촬영장치(10)는,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3)와,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무인 상태에서도 피감시 영역을 감시 및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시 및 녹화 시스템{watching and recording system}
본 발명은 감시 및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피감시 영역에서 발생되는 침입이나 도난 등과 같은 상황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또 녹화 및 재생하는 감시 및 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은행, 전시장, 서점 등과 같은 피감시 건물 및 지역에는 출입자의 상황을 감시하거나 물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CC(Closed Circuit) TV와 같은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화점, 은행, 전시장, 서점 등과 같은 피감시 영역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촬영장치(10)와, 상기 촬영장치(10)에 의해 연속적으로 촬영되는 피감시 영역을 동 화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50)로 구성되어 있고, 관리자는 상황실 또는 관리실에서 상기 표시장치(50)를 통해 표시되는 동 화상을 주시함으로써, 피감시 영역의 상황을 감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은, 관리자가 상황실 또는 관리실에서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피감시 영역의 상황을 항상 주시하고 있어야 하고, 또 관리자가 장시간 또는 잠시 자리를 비우는 경우에는 피감시 영역을 감시하거나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피감시 영역에서 발생되는 침입 또는 도난 등과 같은 상황을 무인 상태에서도 자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감시 영역에서 발생되는 침입 또는 도난 등과 같은 상황을 녹화 및 재생할 수 있는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10)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30)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장치(10)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촬영장치(10)의 하부 본체(1)에는,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3), 소리 등과 같은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4), 상기 적외선 센서(3) 또는 마이크로폰(4)의 신호에 의해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5), 이들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PR), 비디오 신호단자(VO) 및 오디오 신호단자(AO)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부 본체(9)에는 하부 본체(1)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장치(6), 벽 등에 고정시키는 나사 등과 같은 고정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3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감시 및 녹화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우선, 피감시 영역인 건물 및 지역의 소정 위치에는 촬영장치(10)가 설치되어 있고, 상황실 또는 관리실에는 제어장치(30), VTR(40) 및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50)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촬영장치(10)와 제어장치(30), 상기 제어장치(30)와 VTR(40) 및 표시장치(50)는 신호선(SL)에 의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30)는, 상기 촬영장치(10)의 카메라(5)에 의해 촬영되는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고, 또 상기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된 동 화상을 재생하여 표시장치(50)에 표시한다. 또한, 이 제어장치(30)의 프레임(29)의 내부에는, 비교회로, 메모리 및 카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처리장치(C), 상기 처리장치(C)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25)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외부에는 상기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상기 표시장치(5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는 모드 선택단자(21, 22) 및 상기 동 화상이 VTR(40)에 녹화되는 시간을 설정하고, 또 상기 스피커(25)를 통해 출력되는 경보음의 발생을 온, 오프하는 부저단자(23, 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전원이 촬영장치(10), 제어장치(30), VTR(40) 및 표시장치(50)로 공급되어 각각 대기 상태로 된다. 이어서, 제어장치(30), VTR(40) 및 표시장치(50)는 통상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고, TV 프로그램 모드, VTR 녹화 모드 및 시간 조정모드 등이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먼저, VTR 녹화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영장치(10), 제어장치(30), VTR(40) 및 표시장치(50)로 각각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어장치(30)의 내부에 설치된 처리장치(C)에 의해 VTR 녹화모드가 실행된다. 이때, 상기 촬영장치(10)에 의해 적외선 신호 또는 소리 등과 같은 음향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상기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고, 동시에 상기 처리장치(C)에 저장된 소정의 경보음을 약 4초 동안 상기 스피커(25)를 통해 출력하며, 이것은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신호가 검출될 때마다 반복된다. 또한, 상기 모드 선택단자(21)를 누르면, 상기 촬영장치(10)에 의해 신호가 검출될 때, 상기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상기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지만, 상기 처리장치(C)에 저장된 소정의 경보음을 상기 스피커(25)를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TV 프로그램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장치(50)와 비디오 테이프가 삽입된 VTR(40)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모드 선택단자(21)을 약 2초간 누르면, 상기 VTR(40)의 동작이 정지되고, TV 프로그램 모드가 실행되어 상기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이 상기 표시장치(50)상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장치(10)의 카메라(5)에 의해 촬영되는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이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되는 시간 또는 상기 표시장치(50)에 표시되는 동작 시간은, 상기 부저단자(23, 24)를 사용하여 2분 내지 39분까지 2분 단위로 설정 및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촬영장치(10)는 적외선 센서(3)와 마이크로폰(4)의 상태를 각각 검사한다. 이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3)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4)에 의해 첫번째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카메라(5)에 의해 촬영된 피감시 영역의 상황을 2분 내지 30분까지 2분 단위로 설정된 녹화(동작)시간 동안 VTR 녹화모드 또는 TV 프로그램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표시장치(50)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녹화하고, 상기 촬영장치(10)에 의해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VTR(40) 및 표시장치(50)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촬영장치(10)에 의해 두번째 이후의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 신호가 검출되는 경우, 2 내지 30분까지 2분 단위로 설정된 녹화(동작)시간을 초과하였는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2 내지 30분을 초과하면 상기 카메라(5)에 의해 촬영되는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설정된 녹화(동작)시간동안 상기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녹화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50)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녹화(동작)시간이 2분인 경우에는 1 내지 30회의 범위를 기준 카운트로 하고, 녹화시간이 30분인 경우에는 1 내지 2회의 범위를 기준 카운트를 설정한 후, 상기 기준 카운트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으면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상기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녹화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50)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부저단자(23, 24)를 이용하여 녹화시간을 해제하면, 상기 촬영장치(10)에 의해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 신호가 검출될 때마다, 상기 카메라(5)로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촬영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50)상에 표시하면서 상기 기준 카운트를 카운트하여 기준 카운트의 범위를 초과하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기준 카운트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으면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순차적으로 녹화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50)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기준 카운트를 초과하면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VTR(40)의 녹화된 비디오 테이프상에 다시 녹화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장치(50)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외선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피감시 영역에서 발생되는 침입 또는 도난 등과 같은 상황을 자동적으로 인식하고,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녹화하기 때문에, 무인 상태에서도 피감시 영역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감시 영역에서 발생되는 침입 또는 도난 등과 같은 상황을 동 화상으로 녹화하여 재생하기 때문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관리자가 녹화된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재생하여 확인할 수 있고, 또 경보음을 출력하기 때문에, 피감시 영역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피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5)를 가지는 촬영장치(10)와, 상기 카메라(5)에 의해 촬영되는 동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50)를 구비하는 감시 및 녹화 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29), 상기 프레임(20)의 내부에 설치되어 비교회로, 메모리 및 카운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처리장치(C), 상기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상기 표시장치(5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VTR(40)의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는 모드 선택단자(21, 22), 상기 동 화상이 VTR(40)에 녹화되는 시간을 설정하고, 또 상기 스피커(25)를 통해 출력되는 경보음의 발생을 온, 오프하는 부저단자(23, 24) 및 상기 부저단자(23, 24)의 선택에 따라 상기 처리장치(C)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경보음을 출력하는 스피커(25)로 구성되는 제어장치(30)와,
    상기 제어장치(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50)에 표시되는 피감시 영역의 동 화상을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 또는 재생하는 VTR(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촬영장치(10)는, 적외선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3)와, 음향 신호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30), VTR(40) 및 표시장치(50)는 통상의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1019990009974A 1999-03-24 1999-03-24 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20000061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974A KR20000061145A (ko) 1999-03-24 1999-03-24 감시 및 녹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974A KR20000061145A (ko) 1999-03-24 1999-03-24 감시 및 녹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145A true KR20000061145A (ko) 2000-10-16

Family

ID=1957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974A KR20000061145A (ko) 1999-03-24 1999-03-24 감시 및 녹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6114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664B1 (ko) * 2000-07-20 2003-05-09 주식회사 스피드칩 영상 및 무선인식을 이용한 개체인식 및 측정 장치
KR20030067212A (ko) * 2002-02-07 2003-08-1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KR20040025149A (ko) * 2002-09-18 2004-03-24 에스엘투(주) 영상/환경음향을 이용한 보안장치
KR100980314B1 (ko) * 2008-12-11 2010-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역사내 우범 지역 감시 시스템
KR20160097577A (ko) 2015-02-09 2016-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입사각 분포를 최소화하는 집광형 타원해석기용 조리개
KR20160097576A (ko) 2015-02-09 2016-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고속 이미징 타원해석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664B1 (ko) * 2000-07-20 2003-05-09 주식회사 스피드칩 영상 및 무선인식을 이용한 개체인식 및 측정 장치
KR20030067212A (ko) * 2002-02-07 2003-08-14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적외선 열상 장비를 이용한 감시 및 보안방법
KR20040025149A (ko) * 2002-09-18 2004-03-24 에스엘투(주) 영상/환경음향을 이용한 보안장치
KR100980314B1 (ko) * 2008-12-11 2010-09-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역사내 우범 지역 감시 시스템
KR20160097577A (ko) 2015-02-09 2016-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입사각 분포를 최소화하는 집광형 타원해석기용 조리개
KR20160097576A (ko) 2015-02-09 2016-08-18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고속 이미징 타원해석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86283A (en) A recording apparatus for use in a video door phone or telephone
JPH11331822A (ja) 監視カメラ装置
KR20000061145A (ko) 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100287758B1 (ko) 감시 시스템
KR200385302Y1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 시스템
KR970002971B1 (ko)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KR20030024114A (ko) 모션 디텍션 모드에서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KR0168520B1 (ko) 프레임스위처의 전환방법
KR100281843B1 (ko) 보안용 브이 씨 알의 시간정보 녹화방법
JPH06153043A (ja) カメラ一体型vtr
KR100566120B1 (ko)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KR20000008683A (ko) 방범기능이 내장된 티브이씨알(tvcr)장치와 녹화방법
JPS636987A (ja) 監視装置
JP3254776B2 (ja) 監視用テレビ
KR20060085367A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시스템의 운영 방법
JP2553535B2 (ja) 監視用磁気記録再生装置
KR0162326B1 (ko) 캠코더의 하울링 방지방법 및 장치
KR100282637B1 (ko) 감시용 텔레비젼
JP3566859B2 (ja) 監視カメラ映像録画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S62271581A (ja) テレビインタ−ホン装置
KR950026289A (ko) 방문객 감시/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9990042204A (ko) 감시용 카메라의 영상 녹화방법
JP3012788B2 (ja) 報知装置
JPH09261586A (ja) 画像情報記憶装置
JPS63142789A (ja) テレビインタ−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