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971B1 -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971B1
KR970002971B1 KR1019930029440A KR930029440A KR970002971B1 KR 970002971 B1 KR970002971 B1 KR 970002971B1 KR 1019930029440 A KR1019930029440 A KR 1019930029440A KR 930029440 A KR930029440 A KR 930029440A KR 970002971 B1 KR970002971 B1 KR 97000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ssword
voice
im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030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9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971B1/ko
Publication of KR95002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제어부 12 : 의부마이크/스피커부
14 : 내부마이크/스피커부 16 : 의부비 밀번호입력부
18 : 음성처리부 20 : 음성메모리부
22 : 제1백업전원부 24 : 벨신호입력부
26 : 모드설정부 28 : 비밀번호설정부
30 : 도어열림감지부 32 : 화상메모리부
34 : 제2백업전원부 36 : CCD카메라
38, 62 : 디스플레이구동부 40, 60 : 디스플레이
52 : 제2제어부 54 : 경보부
56 : 스피커부 58 : 메모리부
본 발명은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밀번호를 설정해 두고서 방문자가 오류적인 비밀번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도어를 열면 경보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CCD카메라로부터의 화상과 외부마이크로부터의 음성을 저장하도록 된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비디오폰에서는 CCD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서 재구성하여 방문자를 디스플레이상에서 확인할 수 있음과 더불어 내부 및 외부에 각각 설치된 마이크/스피커를 통해서 방문자와의 음성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에 따라 방문자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한 비디오폰에 외출시 등에 방문자에게 메시지를 남겨 놓거나 또는 방문자의 메시지 및 방문자의 화상을 저장하도록 하는 자동음성안내기능이 추가된 비디오폰도 제안된 상태이다.
그러나, 그러한 비디오폰에서는 방문자의 화상과 음성에 대한 기록기능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임에 따라 그 비디오폰을 이용하여 무단침입자를 촬영할 수 있는 방범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밀번호를 설정해 두고서 방문자가 오류적인 비밀번호를 입력한 상태에서 도어를 열면 경보를 발생시키면서 CCD카메라로부터의 화상과 외부마이크로부터의 음성을 저장하도록 된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방문자가 실외에서 벨을 누르면 작동되는 벨신호입력부와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CCD카메라, 디스플레이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CCD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실외에 설치된 외부마이크/스피커 및, 실내에 설치된 내부마이크/스피커부를 구비한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에 있어서; 상기 CCD카메라에서 촬영한 화상을 저장하는 화상저장수단과; 상기 외부 및 내부마이크/스피커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음성처리부;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저장수단;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설정부, 침입자의 화상과 음성을 각각 상기 화상저장수단과 상기 음성저장수단에 저장하기 위한 방범모드와 상기 방범모드에서 저장된 침입자의 환상과 음성을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내부마이크/스피커부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부;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 경보부를 갖추고서 상기 외부비밀번호 입력부로부터의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설정부에서 설정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나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고서 상기 도어열림감지부에서 도어열림이 감지된 경우에 작동되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수단; 상기 모드설정부에 설정된 각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처리부와 상기 음성저장수단, 상기 화상저장수단, 상기 경보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제어부는 모드설정부에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어떤 모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비디오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모드설정부에 방범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비밀번호설정부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외부비밀번호 입력부에서 비밀번호입력을 대기하고 있다가 비밀번호의 입력이 소정횟수 이상 잘못되는 경우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열림감지부에 의해 도어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음성저장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로부터 음성처리부를 매개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화상저장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CCD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화상을 저장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으로 경보신호로 출력하며, 상기 모드설정부에 재생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음성저장수단에 저장된 음성을 상기 음성처리부를 매개로 상기 내부 마이크/스피커부로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화상저장수단에 저장된 동일 시간대의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보수단은 상기 CCD카메라로부터의 화상과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로부터의 음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CCD카메라로부터의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구동부 및,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로부터의 음성을 재생하는 스피커부, 상기 제1제어부와 통신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의해 상기 경보부와 상기 메모리부, 상기 스피커부,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의 블럭구성도로, 방문자가 실외에서 벨을 누르면 작동되는 벨신호입력부(24)와,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CCD카메라(36), 상기 CCD카메라(36)에서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0), 상기 디스플레이(40)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구동부(38), 실외에 설치된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 실내에 설치된 내부마이크/스피커부(14) 및 상기 외부 및 내부마이크/스피커부(12, 14)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음성처리부(18)가 설치되는 바, 그러한 구성요소는 통상적인 비디오폰에 갖추어진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범장치에는 상기 CCD카메라(36)에서 촬영한 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예컨데 RANM 또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 등으로 화상메모리(32)와 정전시 상기 화상메모리부(3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백업전원부(34)로 이루어진 화상저장수단과,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기 위한 예컨데 기록용 테이프/기록재생장치 또는 RAM으로 된 음성메모리부(20)와 정전시 상기 음성메모리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백업전원부(34)로 이루어진 음성저장수단, 예컨데 4자리 숫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에컨대 0-9의 숫자키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비밀번호설정부(28), 침입자의 화상과 음성을 각각 상기 화상메모리부(32)와 상기 음성메모리부(20)에 저장하기 위한 방범모드와 상기 방범모드에서 저장된 침입자의 화상과 음성을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40)와 상기 내부마이크/스피커부(14)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예컨데 버튼 스위치로 이루어진 모드설정부(26);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30); 경보부(54)를 갖추고서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로부터의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설정부(28)에서 설정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나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고서 상기 도어열림감지부(30)에서 도어열림이 감지된 경우에 작동되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수단(50) 및; 상기 모드설정부(26)에 설정된 각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처리부(18)와 상기 음성저장수단(20, 22), 상기 화상저장수단(32, 34), 상기 경보수단(50) 및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3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0)가 더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제1제어부(10)는 상기 모드설정부(26)에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어떤 모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비디오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와 내부마이크/스피커부(14), 상기음성처리부(18), 상기CCD카메라(36),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38) 및 상기 디스플레이(40)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설정부(26)에 방범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비밀번호설정부(28)에 예컨데 4자리의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제1제어부(10)는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로부터의 비밀번호입력을 대기하고 있다가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그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상기 비밀번호설정부(28)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대조해서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메모리부(20)에 저장된 예컨데 "비밀번호가 잘못되었으니 재입력하여 주십시오"와 같은 비밀번호 재입력안내음을 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 출력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이 예컨데 3회 잘못되는 경우 상기 음성메모리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 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화상메모리부(32)를 제어하여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 촬영되는 화상을 저장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경보부(54)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에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 열림감지부(30)에 의해 도어열림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1제어부(10)는 상기 음성메모리부(2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 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함과 더블어 상기 화상메모리부(32)를 제어하여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 촬영되는 화상을 저장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경보부(54)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에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상기 비밀번호설정부(28)에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모드설정부(26)에 설정된 방범모드를 해제해서 이 경우 도어가 열리더라도 상기 경보부(54)는 동작하지 않게 됨과 더불어 상기 음성메모리부(20)와 상기 화상메모리부(32)의 저장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설점부(26)에 재생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1제어부(10)는 상기 화상메모리부(32)에 저장된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38)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40)로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음성메모리부(20)에 저장된 상기 화상과 동일한 시간대의 음성을 내부마이크/스피커부(14)로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경보수단(50)은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의 화상과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의 음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8)와,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의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0), 상기 디스플레이(60)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구동부(62) 및, 상기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의 음성을 재생하는 스피커부(56), 상기 제1제어부(10)와 통신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어부(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경보부(54)와 상기 메모리부(58), 상기 스피커부(56),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62) 및 상기 디스플레이(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52)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어도 되는 바, 이 경우에는 상기 경보수단(50)이 예컨데 경비실이나 파출소 등에 설치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 상기 제1제어부(10)는 상기 모드설정부(26)에 방범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비밀번호설정부(28)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에서 비밀번호입력을 대기하고 있다가 비밀번호의 입력이 소정횟수 이상 잘못되는 경우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열림감지부(30)에 의해 도어열림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저장수단(20, 22)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 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화상 저장수단(32, 34)을 제어하여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 촬영되는 화상과 저장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경보수단(50)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 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상기 경보수단(50)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경보수단(50)에서는 상기 제2제어부(52)가 상기 제1제어부(52)로부터의 경보신호와 음성신호 및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경보부(54)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상기 음성신호를 스피커부(56)로 출력하고 상기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구동부(62)를 매개로 디스플레이(60)로 출력하면서 상기 음성신호와 화상신호를 메모리부(58)에 저장하도륵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양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밀번호를 설정해 두었다가 방문자가 비밀번호를 소정횟수이상 잘못 입력하거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서 도어를 열면 경보수단을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외부마이크로부터의 음성과 CCD카메랄로부터의 화상을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을 경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방문자가 실외에서 벨을 누르면 작동되는 벨신호입력부(24)와 방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CCD카몌라(36), 디스플레이구동부(38)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CCD카메라(36)에서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0) 실외에 설치된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 및 실내에 설치된 내부마이크/스피커부(14)를 구비한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에 있어서, 상기 CCD카메라(36)에서 촬영한 화상을 저장하는 화상저장수단(32, 34)과; 상기 외부 및 내부마이크/스피커부(12, 14)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는 음성처리부(18);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하는 음성저장수단(20, 22);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비밀번호설정부(28), 침입자의 화상과 음성을 각각 상기 화상저장수단(32, 34)과 상기 음성저장수단(20, 22)에 저장하기 위한 방범모드와 상기 방범모드에서 저장된 침입자의 화상과 음성을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40)와 상기 내부마이크/스피커부(14)로 재생하기 위한 재생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부(26);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부(30); 경보부(54)를 갖추고서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로부터의 비밀번호가 상기 비밀번호설정부(28)에서 설정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나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고서 상기 도어열림감지부(30)에서 도어열림이 감지된 경우에 작동되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수단(50); 상기 모드설정부(26)에 설정된 각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처리부(18)와 상기 음성저장수단(20, 22), 상기 화상저장수단(32, 34), 상기 경보수단(50) 및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38)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1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10)는 상기 모드설정부(26)에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어떤 모드도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비디오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모드설정(26)에 방범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비밀번호설정부(28)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에서 비밀번호입력을 대기하고 있다가 비밀번호의 입력이 소정횟수 이상 잘못되는 경우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열림감지부(30)에 의해 도어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음성저장수단(20, 22)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 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화상저장수단(32, 34)을 제어하여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 촬영되는 화상을 저장하도록 하면서 상기 경보수단(50)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모드설정부(26)에 재생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음성저장수단(20, 22)에 저장된 음성을 상기 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상기 내부마이크/스피커부(14)로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회상저장수단(32, 34)에 저장된 동일 시간대의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38)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4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50)은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의 화상과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의 음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58)와,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의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0), 상기 디스플레이(60)를 구동시키는 디스플레이구동부(62) 및,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의 음성을 재생하는 스피커부(56), 상기 제1제어부(10)와 통신케이블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1제어부(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경보부(54)와 상기 메모리부(58), 상기 스피커부(56),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62) 및 상기 디스플레이(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52)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10)는 상기 모드설정부(26)에 방범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비밀번호설정부(28)에 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비밀번호입력부(16)에서 비밀번호입력을 대기하고 있다가 비밀번호의 입력이 소정횟수 이상 잘못되는 경우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열림감지부(30)에 의해 도어열림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음성저장수단(20, 22)을 제어하여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 상기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입력되는 음성을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화상저장수단(32, 34)을 제어하여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 촬영되는 화상을 저장하도록 하고 그와 동시에 상기 경보수단(50)으로 경보신호를 출력함과 더불어 상기 외부마이크/스피커부(12)로부터 음성처리부(18)를 매개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CCD카메라(36)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상기 경보수단(50)으로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52)는 상기 제1제어부(52)로부터의 경보신호와 음성신호 및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경보부(54)를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상기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부(56)로 출력하고 상기 화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구동부(62)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60)로 출력하면서 상기 음성신호와 화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부(58)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저장수단은 음성메모리(20)와 제1백업전원부(24)로 구성되고, 상기 화상저장수단은 화상메모리부(32)와 제2백업전원부(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KR1019930029440A 1993-12-24 1993-12-24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KR970002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440A KR970002971B1 (ko) 1993-12-24 1993-12-24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440A KR970002971B1 (ko) 1993-12-24 1993-12-24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030A KR950023030A (ko) 1995-07-28
KR970002971B1 true KR970002971B1 (ko) 1997-03-13

Family

ID=1937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440A KR970002971B1 (ko) 1993-12-24 1993-12-24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9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372B1 (ko) * 1997-10-30 200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오토메이션시스템의현관출입자영상녹화/재생장치
KR100451047B1 (ko) * 2002-11-08 2004-10-07 영일전자산업 주식회사 비디오폰의 영상 및 음성 보존 시스템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030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67712A (ja) ビジュアル電話機
US20110274421A1 (en) Remote-control door viewer surveillance system
KR970002971B1 (ko)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KR20010008215A (ko) 실시간동영상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방법과 그인터페이스장치
US6285394B1 (en) Video monitoring system
JPH08322038A (ja) 集合住宅用監視システム
KR200318523Y1 (ko) 무선 화상 전송 기능을 내장한 디지털 도어록
KR20000061145A (ko) 감시 및 녹화 시스템
KR200385302Y1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 시스템
KR100281843B1 (ko) 보안용 브이 씨 알의 시간정보 녹화방법
KR20140131694A (ko) 방범용 버티컬 프로젝션 시스템
KR20000074038A (ko) 무인경비 및 경보 시스템겸 전화기
KR20050005139A (ko) 양방향통신 시큐리티시스템
JPH06338957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装置
KR20010007949A (ko) 건물의 외부침입 감지시스템
JP2005094621A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20010058457A (ko)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JP3622139B2 (ja) 集合玄関機
KR19990027397A (ko) 브이씨알을 이용한 보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5367A (ko) 화상메모리장치를 이용한 간이형 보안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00008683A (ko) 방범기능이 내장된 티브이씨알(tvcr)장치와 녹화방법
KR960009579B1 (ko) 일반 전화기와 tv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000001460A (ko)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감시용 카메라
KR200337973Y1 (ko) 침입 감지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KR0141745B1 (ko) 브이오디의 방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