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8457A -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8457A
KR20010058457A KR1019990065789A KR19990065789A KR20010058457A KR 20010058457 A KR20010058457 A KR 20010058457A KR 1019990065789 A KR1019990065789 A KR 1019990065789A KR 19990065789 A KR19990065789 A KR 19990065789A KR 20010058457 A KR20010058457 A KR 200100584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image
surveillance image
security system
secu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박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현 filed Critical 박종현
Priority to KR101999006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8457A/ko
Publication of KR20010058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45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5Multiple cameras, each having view on one of a plurality of scenes, e.g. multiple cameras for multi-room surveillance or for tracking an object by view hand-o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6Network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WAN, LAN, Intern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08B13/19658Telephone systems used to communicate with a camera, e.g. PSTN, GSM, PO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2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with smoke, gas, or coloured or odorous powder or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침입사실을 실시간적으로 경고해 줌과 더불어, 외부침입자를 촬상하여 제공함으로써 확실한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감시영역에 설치됨과 더불어, 감시지역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감시지역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상영상을 송출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와, 상기 각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신호전송망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다수의 감시영상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시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상출력수단과 상기 감시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정한 지역에 외부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경보신호와 더불어 해당 지역의 감시영상이 자동적으로 화상출력수단의 화면상에 출력되고, 또한 이러한 감시영상이 예컨대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등의 영상저장수단에 자동 저장되게 되므로, 외부침입상황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범인 검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Prevention system capable of supplying watched scene}
본 발명은 무인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침입사실을 실시간적으로 경고해 줌과 더불어, 외부침입자를 촬상하여 제공함으로써 확실한 방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각종 도난사건이 급증하면서 방범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주로 귀중품이 도난의 대상이었는데 반하여 최근에는 귀중품은 물론이고 기업비밀 등의 무형자산에 대해서도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되면서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장치에 대한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방법 시스템의 경우에는 다수의 카메라를 감시가 필요한 지역에 설치하고,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감시영상을 모니터상에 표시함으로써 경비원이 모니터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감시영상을 근거로 경비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범시스템에 있어서는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감시영상을 하나의 모니터상에 표시하게 되므로 하나의 모니터로 감시할 수 있는 카메라의 수효가 일정한 한도로 제한되게 된다. 또한, 모니터화면을 감시하기 위한 경비원이 필요하게 되므로 방범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각 사무소나 영업소에 외부인 침입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이들 감지장치로부터 경보신호가 전송되면 경비원을 출동시킴으로써 방범기능을 제공하도록 된 시스템도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시스템의 경우에는 경비원이 출동하는 동안에 칩입자가 도망을 간 경우에는 침입자를 검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효과적인방범기능을 수행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외부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상함과 더불어, 해당 촬상영상을 경고신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방범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외부침입자를 용이하게 식별 및 검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영상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영상 수신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영상 송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감시영상 송신장치, 200 : 감시영상 수신장치.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은 각각 감시영역에 설치됨과 더불어, 감시지역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감시지역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상영상을 송출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상기 각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신호전송망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다수의 감시영상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시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상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감시영상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은 각각 감시영역에 설치됨과 더불어, 감시지역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수단과, 각 감지수단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감시지역을 촬상하기 위한 다수의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이상상태가감지된 경우에는 해당 감지수단에 대응되는 촬상수단에 의한 촬상영상을 송출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상기 각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신호전송망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다수의 감시영상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시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상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감시영상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영상 수신장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온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저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감시영상 수신장치는 각각 마이크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호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영상 송신장치는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신호 출력포트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한 지역에 외부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경보신호와 더불어 해당 지역의 감시영상이 자동적으로 화상출력수단의 화면상에 출력되고, 또한 이러한 감시영상이 예컨대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 등의 영상저장수단에 자동 저장되게 되므로, 외부침입상황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범인 검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치에 구비되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가 외부 침입자와 대화를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침입자가 그 이상의 범법행위를 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시영상 송신장치에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가스분사기 등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방범효율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는 감시대상지역, 예컨대 사무소나 일반가정에 설치되어 감시영상을 송출하는 다수의 감시영상 송신장치(100: 1001∼100n)와 이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로부터 전송되어 온 감시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 등의 화면을 통해 제공하는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와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는 예컨대 PSTN이나 ISDN, 인터넷망 또는 LAN, WAN 등의 유선망이나, WLL, 이동통신망 등의 무선망을 통해 결합되게 된다.
상기 구성에서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를 구비함과 더불어, 외부 침입자를 검출하기 위한 예컨대 원적외선 센서 등의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감지수단에 의해 외부침입자가 감지되면 경고신호와 함께 해당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데이터를 감시영상 수신장치(200) 측으로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는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로부터 경고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해당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데이터를 모니터 화면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외부 침입자의 영상화면을 시스템 관리자에게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와 다수의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감시영상 송신장치(200)를 통해 감시영상 수신장치(100)를 원격제어하여 감시영상 송신장치(100)가 설치되는 지역의 영상화면을 임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와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는 각각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여 감시영상 수신장치(200) 측의 시스템 관리자가 감시영상을 확인하면서 감시영상 송신장치(100)가 설치된 지역내의 외부 침입자와 대화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범효율을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에서의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은 감시가 필요한 지역에 설치되어 외부 침입자를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이고, 2는 외부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예컨대 원적외선 센서, 3은 상기 카메라(2)의 촬상동작에 필요한 광을 출력하기 위한 조명기기, 2는 마이크, 5는 스피커, 6은 이후에 설명할 프로세서(1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1)와 조명기(3)를 구동제어하는 카메라 구동부(6)이다.
또한, 참조번호 7은 상기 카메라(1)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테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이고, 8은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7)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8), 9은 이 프레임 메모리(8)에 저장되는 디지탈 영상데이터를 MPEG 처리하여 출력하는 MPEG변환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0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이다. 이 프로세서(10)는 우선 센서(2)로부터 감지신호를 근거로 외부침입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2)로부터의 감지신호나 또는 이후에 설명할 라인정합부(13)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 카메라 구동부(6)를 통해 카메라(1)를 구동제어하거나 또는 조명기(3)를 점등제어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외부침입자에 대한 촬상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MPEG 변환부(9)로부터 입력되는 압축된 촬상데이터를 이후에 설명할 데이터 메모리(12)에 저장함과 더불어 그 저장된 데이터를 라인정합부(13)를 통해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로 전송제어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11은 상기 프로세서(10)의 제어동작을 위한 동작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11)이고, 12는 각종 처리데이터, 특히 상기 MPEG 변환부(9)로부터 수신된 촬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 13은 본 감시영상 수신장치(100)를 소정의 라인을 통해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와 결합시키기 위한 라인정합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와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는 예컨대 PSTN이나 ISDN, 인터넷망 또는 LAN, WAN 등의 유선망이나, WLL, 이동통신망 등의 무선망을 통해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와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라인정합부(13)는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와 감시영상 수신장치(200)가 결합되는 망의 특성에 적합한 구성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14는 프로세서(10)에 대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기위한 I/O 포트로서, 시스템 관리자는 별도의 데이터 터미널을 이용하여 상기 I/O 포트(14)를 통해 프로그램 메모리(11)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I/O 포트(14)에는 프로세서(10)가 상기 센서(2)로부터 감지신호나 또는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로부터의 소정의 제어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구동신호 출력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I/O 포트(14)에 경보기나 가스분사기 등의 장치를 결합시켜 방범효율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번호 15는 전원 플러그이고, 16은 입력전원을 근거로 시스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장치, 17은 외부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시스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장치이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에서의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에서 참조번호 201(2011∼201n)은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와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라인을 통해 접속하기 위한 라인정합부이고, 202(2021∼202n)는 상기 라인정합부(201)를 통해 수신되는 MPEG 데이터를 본래의 영상데이터로 디코딩하는 MPEG 변환부, 203은 상기 각 MPEG 변환부(20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중첩처리하는 화상중첩부, 204는 이후에 설명할 프로세서(21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MPEG 변환부(202)와 화상중첩부(203)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205는 상기 스위칭부(204)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와 프로세서(212)로부터 출력되는 예컨대 그래픽 문자데이터 등을 근거로 모니터 출력을 위한 VGA 신호를 생성하는 VGA 보드이고, 206은 입력되는 VGA 신호를 근거로 영상화면을 출력하는 모니터이다.
또한, 참조번호 207은 상기 VGA 보드(205)로부터 출력되는 VGA 신호를 예컨대 YUV 등의 방송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이고, 208은 프로세서(2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변환기(207)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녹화하는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이다.
또한, 참조번호 209는 마이크이고, 210은 스피커, 211은 상기 라인정합부(201)와 프로세서(212)간의 신호송수신을 실행함과 더불어, 프로세서(2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마이크(209)와 스피커(213)를 라인정합부(201)와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신호처리부이다.
그리고, 212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이고, 213은 시스템 관리자가 상기 프로세서(212)에 대해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예컨대 키보드 등의 키입력부, 214는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기이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경보상황이 발생되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우선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에 있어서는 프로세서(10)는 카메라 구동부(6)를 통해 카메라(1) 및 조명기(3)를 비동작상태로 설정함과 더불어, 라인정합부(13)를 통해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로부터의 명령입력에 대해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로부터의제어데이터에 따라 센서(2)를 구동 또는 비구동상태로 설정함으로써 감시동작을 실행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에 있어서는 프로세서(212)는 신호처리부(211)를 통해 감시영상 송신장치(200)로부터 경보신호가 입력되는 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함과 더불어, 키입력부(213)로부터의 입력명령에 따라 시스템 전체에 대한 제어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제어처리에는 각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를 구동 또는 비구동상태로 설정하는 감시동작 제어처리와, 특정한 감시영상 송신장치(100) 또는 전체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에 대해 감시영상을 송신하라는 명령을 송출한 후 수신된 감시영상을 모니터(206)를 통해 출력하는 정상감시동작 제어처리가 포함되게 된다.
상기 감시동작 제어처리는 시스템 관리자가 키입력부(213)를 통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동작을 통해 실행제어하게 된다. 즉, 시스템 관리자가 키입력부(213)를 통해 특정한 감시영상 송신장치 또는 전체 감시영상 송신장치(200)를 감시동작모드 또는 비감시동작모드로 설정하게 되면, 프로세서(212)는 신호처리부(211)와 라인정합부(201)를 통해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에 대해 소정의 제어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에 있어서는 프로세서(10)가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로부터의 제어데이터에 따라 카메라 구동부(6)를 통해 센서(2)를 동작상태 또는 비동작상태로 설정함으로써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에 의한 감시동작을 동작모드 또는 비동작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동작모드설정은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에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상감시동작 제어처리도 시스템 관리자가 키입력부(213)를 통해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실행되게 된다. 즉, 시스템 관리자가 키입력부(213)를 통해 특정한 감시영상 송신장치 또는 전체 감시영상 송신장치(200)의 감시영상을 모니터(206)에 디스플레이하라는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프로세서(212)는 신호처리부(211) 및 라인정합부(201)를 통해 해당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200)와 접속처리를 실행한 후 감시영상을 송신하라는 제어명령을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칭부(204)를 제어하여 선택된 감시영상 송신장치(200)에 대응하는 MPEG 변환부(202)의 출력, 또는 전체 감시영상 송신장치(200)가 선택된 경우에는 화상중첩부(203)의 출력을 VGA 보드(205)의 입력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어,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에 있어서 프로세서(10)는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로부터 상기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카메라 구동부(6)를 제어하여 카메라(1) 및 조명기(3)를 구동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MPEG 변환부(9)로부터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라인정합부(13)를 통해 감시영상 수신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시스템 관리자가 도 3에서 모니터(206)를 통해 원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의 감시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시스템 관리자는 키입력부(213)를 통해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를 구동함으로써 모니터(206)상으로 출력되는 감시영상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감시모드 동작상태에서 임의의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에서 외부 침입자가 감지된 경우, 즉 도 2에서 센서(2)로부터의 감지신호가 카메라 구동부(6)를통해 프로세서(10)로 입력된 경우에는 프로세서(10)는 우선적으로 카메라 구동부(6)를 통해 카메라(1) 및 조명기(3)를 구동함으로써 촬상동작을 실행함과 더불어 MPEG 변환부(9)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영상을 데이터 메모리(12)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이때 I/O 포트(14)의 경고신호 출력단자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해당 단자에 결합되는 경보장치나 또는 가스분사기 등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10)는 라인정합부(13)를 통해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와 접속처리를 실행한 후, 경보 데이터를 송출함과 더불어 상기 데이터 메모리(12)에 저장되는 촬상영상을 송출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보데이터에는 외부침입자가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더불어 자신의 고유코드를 송출함으로써 감시영상 수신장치(200)가 어느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로부터 경보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에 있어서는 감시영상 송신장치(200)로부터 경보데이터가 수신되면, 스위칭부(204)를 제어하여 해당 감시영상 송신장치(200)와 결합되는 MPEG 변환부(202)의 출력을 VGA 보드(205)의 입력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이때 감시영상 송신장치(200)로부터 송신되어 온 고유코드를 근거로 해당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의 지역정보, 또는 회사이름에 상당하는 문자정보를 VGA 보드에 입력함으로써 모니터(206)상에 감시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이때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208)를 구동함으로써 모니터(206)상으로 출력되는 감시영상을 기록하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212)는 상기와 같이 경보데이터가 수신되게 되면신호처리부(211)를 통해 경보기(214)를 구동함으로써 경보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또한 신호처리부(211)를 통해 마이크(209) 및 스피커(210)를 해당 라인정합부(201)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209)와 스피커(210)는 라인정합부(201), 감시영상 수신장치(100)의 라인정합부(13) 및 카메라 구동부(6)를 통해 해당하는 감시영상 수신장치(100)의 마이크(4) 및 스피커(5)와 결합됨으로써 시스템 관리자가 외부 침입자와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하나 이상의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로부터 경보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프로세서(212)는 스위칭부(204)를 제어하여 화상중첩부(203)의 출력화상을 VGA 보드(205)의 입력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시스템 관리자가 이상이 발생된 지역의 감시영상을 동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감시영상 수신장치(200)에 대해 다수의 감시영상 송신장치(100)를 결합시킴으로써 예컨대 한명의 시스템 관리자가 다수의 지역을 효울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특정한 지역에 외부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경보신호와 더불어 해당 지역의 감시영상이 자동적으로 모니터(206) 화면상에 출력되고, 또한 이러한 감시영상이 예컨대 비디오 카셋트 레코더(208)에 자동녹화되게 되므로, 외부침입상황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범인 검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치에 구비되는 마이크(4, 209) 및 스피커(5, 210)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가 외부 침입자와 대화를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외부침입자가 그 이상의 범법행위를 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시영상 송신장치(100)의 I/O 출력포트(14)에는 소정의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가스분사기 등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방범효율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시영상 송신장치(100)가 단일의 카메라(1)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영상 송신장치(400)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 4에서 도 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가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메라(1)와 센서(2) 및 조명기(3)를 구비하는 촬상부(41: 411∼41n)가 다수개 구비되어 있다. 물론, 이 경우 각 촬상부(41)에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피커 및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촬상부(41)에는 카메라(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71∼7n)가 결합되고, 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7)의 출력단에는 각각 해당 변환기(7)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8: 81∼8n)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 참조번호 42는 상기 각 프레임 메모리(8)에 저장되는 영상데이터를 중첩처리하는 화상중첩부이고, 43은 프로세서(10: 도 2)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각 프레임 메모리(8)와 화상중첩부(42)의 출력데이터를 선택적으로 MPEG변환부(9)의 입력으로 결합시키는 스위칭부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다수의 촬상부(41)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10)는 센서(2)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스위칭부(43)를 제어하여 그에 해당하는 프레임 메모리(8)의 출력데이터를 MPEG 변환부(9)의 입력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프로세서(10)는 하나 이상의 센서(2)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위칭부(43)를 제어하여 화상중첩부(42)의 출력을 MPEG 변환부(9)의 입력으로서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감시영역 송신장치가 담당해야 하는 감시영역이 다수인 경우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센서(2)로서 외부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하여 원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센서로서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열센서나 가스검출을 위한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것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침입자가 있는 경우에는 최부침입자를 자동으로 촬상함과 더불어, 해당 촬상영상을 경고신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방범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외부침입자를 용이하게 식별 및 검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각각 감시영역에 설치됨과 더불어, 감시지역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감시지역을 촬상하기 위한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촬상수단에 의한 촬상영상을 송출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상기 각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신호전송망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다수의 감시영상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시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상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감시영상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영상 송신장치는 경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신호 출력포트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 출력포트에는 경보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신호 출력포트에는 가스분사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감시영상 수신장치는 각각 마이크 및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호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영상 송신장치는 감시영상 수신장치에 의해 그 동작상태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영상 송신장치는 전원차단시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장치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영상 수신장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온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저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9. 각각 감시영역에 설치됨과 더불어, 감시지역의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수단과, 각 감지수단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감시지역을 촬상하기 위한 다수의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이상상태가 감지된 경우에는 해당 감지수단에 대응되는 촬상수단에 의한 촬상영상을 송출하는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상기 각 감시영상 송신장치와 신호전송망을 통해 결합됨과 더불어, 다수의 감시영상 송신장치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감시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상출력수단을 구비하는 감시영상 수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KR1019990065789A 1999-12-30 1999-12-30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KR200100584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89A KR20010058457A (ko) 1999-12-30 1999-12-30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5789A KR20010058457A (ko) 1999-12-30 1999-12-30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457A true KR20010058457A (ko) 2001-07-06

Family

ID=1963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5789A KR20010058457A (ko) 1999-12-30 1999-12-30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84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193A (ko) * 2002-02-01 2002-03-29 주식회사 아이티비젼 멀티미디어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종합관제방법 및 시스템
KR20030033131A (ko) * 2001-10-17 2003-05-01 이용우 최루가스 분사기를 이용한 방범 방법 및 그 장치
KR100672924B1 (ko) * 2006-05-25 2007-01-24 주식회사 훠엔시스 원격 감시 장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131A (ko) * 2001-10-17 2003-05-01 이용우 최루가스 분사기를 이용한 방범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24193A (ko) * 2002-02-01 2002-03-29 주식회사 아이티비젼 멀티미디어 메신저를 이용한 디지털 종합관제방법 및 시스템
KR100672924B1 (ko) * 2006-05-25 2007-01-24 주식회사 훠엔시스 원격 감시 장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3774B2 (en) Antitheft system with signals transmitted by mobile phone network
KR101832446B1 (ko) 단일 망으로 비상벨에서의 양방향 통화 기능이 구현된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US20110274421A1 (en) Remote-control door viewer surveillance system
US20040036596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s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1930443B1 (ko) 이벤트 서버가 구비되어 안정성을 높인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KR20030085921A (ko) 원격 감시 시스템
JP2003085662A (ja) 防犯システム、防犯管理装置、防犯方法、防犯管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11259775A (ja) 監視システム
KR20010008215A (ko) 실시간동영상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방법과 그인터페이스장치
KR20010058457A (ko) 감시영상 제공기능을 갖춘 방범시스템
JP2001218189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0709894B1 (ko) 무인기지 원격감시 시스템
KR100400669B1 (ko) 다중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 감시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1934534B1 (ko) 카메라의 동작 상태 판단이 가능한 ip 감시 카메라
US6285394B1 (en) Video monitoring system
KR20140131694A (ko) 방범용 버티컬 프로젝션 시스템
KR20110024370A (ko) 영상제어단말의 자동제어를 통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JP3939023B2 (ja) 画像監視システム
JP2002183845A (ja) 防犯装置
JP3969839B2 (ja) 画像監視装置
JP4068910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
KR970002971B1 (ko) 비디오폰을 사용한 방범장치
KR19980075548A (ko) 방범 장치
KR0141745B1 (ko) 브이오디의 방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