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120B1 -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120B1
KR100566120B1 KR1020030073277A KR20030073277A KR100566120B1 KR 100566120 B1 KR100566120 B1 KR 100566120B1 KR 1020030073277 A KR1020030073277 A KR 1020030073277A KR 20030073277 A KR20030073277 A KR 20030073277A KR 100566120 B1 KR100566120 B1 KR 100566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ode
camera
audio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8080A (ko
Inventor
박정재
Original Assignee
이화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화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1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72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sonic detecting means, e.g. a microphone operating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화 모드가 오디오 디텍션 모드일 때 카메라에 부착된 마이크로 혹은 별도로 부착된 마이크로부터 전송된 음향 신호에 의해서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초고속 및 고화질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기록하고,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도 음향 신호가 감지될 때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초고속 및 고화질에서 저속 및 저화질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가변 시켜 저장 매체에 녹화함으로써, 무인 경비 시스템에서 중요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장 매체의 저장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모션 디텍션을 피하는 경우에도 오디오 디텍션에 의해 더 높은 보안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Digital video recoding method in an audio detection mode}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2 … 마이크
3, 4 … 디코더 5 …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6 …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 8 … 중앙처리부
9 … 저장매체 10 … 입력부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녹화 모드인 오디오 디텍션(Audio Detection) 모드에서 카메라에 부착된 마이크 혹은 별도 부착된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포착될 때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로 변화시켜 녹화하는 오디오 디텍션에서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인 경비 시스템은 대단위 집합 주택 또는 고층 빌딩에 설치된 자동화 기기와 경비실 기기를 연계하여 운용되는 제어 방식으로 주로 사용되며 가정이나 빌딩 등에 불시에 침입하는 침입자를 검출한다거나 화재 발생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입자가 들어오기 쉬운 출입구나 창문 또는 화재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이나 화재 감지가 쉬운 영역에 화재 감지 센서를 컴퓨터에 연결한 후 원격지에 표시된 모니터를 통해서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무인 경비 시스템의 일 예로써, 은행이나 박물관 등과 같은 주요 지역에 설치되어, 도난 방지를 위한 장시간 감시 관찰용으로 사용되는 타임 랩스 영상 녹화 재생기(Time Lapse Video Tape Recorder)가 있는데, 이는 외부 촬영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화면을 실시간으로 전 프레임 녹화하는 것이 아니라, 녹화부의 캡스턴 모터에 의한 녹화 테이프의 주행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송신되는 실시간 영상화면 중 선택된 일정 시간 간격마다 1 프레임씩 기록하게 되고, 또한 녹화 테이프에 기록된 영상 신호의 재생 시도 녹화부의 캡스턴 모터를 제어하여 테이프를 영상 프레임 단위로 진행시키면서 녹화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 프레임을 독출하게 되는데, 상기 영상 프레임의 녹화 및 재생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 설정된 시간 모드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영상 신호의 간헐 녹화 및 재생이 이루어졌었다.
상기 영상 녹화 재생기의 관리 운용자는 녹화 테이프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다중 녹화 및 재생화면 분할과 같은 특수 기능을 수행하 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날로그 방식의 녹화 테이프가 아닌 디지털 방식의 기록 매체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 녹화 재생기(DVR : Digital Video Recorder)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에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을 녹화하고 재생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손상 없이 기록 데이터를 거의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고, 다중 녹화 및 재생 화면 분할 등과 같은 특수 기능을 별도의 외부 장치 없이도 단독 수행할 수 있는 고가의 장비이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는 녹화 모드와 초당 프레임 설정을 사용자가 하게 되는데 녹화모드로는 일반 연속 녹화 모드, 움직임 감지에 의한 녹화 모드, 센서 감지에 의한 녹화 모드가 있으며 각 모드당 초당 녹화 프레임을 설정하는데 일반적으로 4가지 정도로 이하와 같이 설정된다. 녹화 속도가 초당 1 프레임인 초저속 모드와, 녹화 속도가 초당 5프레임인 저속 모드와, 녹화 속도가 초당 9 프레임이 중속모드와, 녹화 속도가 초당 20 프레임인 고속 모드와, 녹화 속도가 초당 30 프레임인 초고속 모드가 있다.
여기서,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의 녹화 모드인 모션 디텍션 모드는 무인 경비 시스템에서 침입자의 침입에 따라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의 명암과 명암의 움직임감도를 조정하여 검출하는 녹화하는 모드로,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의 용도인 무인 경비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능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초고속 모드로 녹화속도를 설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모션 디텍션 모드의 경우에는 전에 전적으로 이전 설정에 따 라 녹화함으로써, 이전 설정이 초고속 모드일 때는 많은 프레임을 얻을 수 있지만 저장 매체의 저장 용량을 차지 비중에 커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전 설정이 일반 모드인 경우에는 저장 매체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량은 늘릴 수 있을지 몰라도 중요 화면(예를 들면, 침입자에 대한 정보)을 상세하게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화면의 어두워 명암의 구별의 식별이 구별되지 않거나 용의자가 모션 디텍션 모드의 움직임의 감도보다 낮은 움직임으로 모션 디텍션 녹화 모드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션 디텍션 모드에서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설정 임계값 이상의 오디오 신호가 검출되었을때 녹화할 수 있는 오디오 디텍션을 제공함으로서 모션 디텍션에 감지되지않을 시에도 이차적으로 오디오가 감지되면 초고속 및 고화질로 관리자가 설정한 여러대의 카메라의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 설정된 시간 후에는 점차적으로 초저속 모드로 영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션 디텍션 모드와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음성의 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분석하여 움직임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시그널 프로세서에서 분석하여 오디오신호가 일 정한 임계값 이상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가 발생할 때,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사용자가 설정한 모션디텍션 모드의 설정과 오디오 디텍션 모드의 설정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카메라의 센서로부터 동작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의 녹화를 중지시키거나, 상기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초고속 및 고화질에서 저속 및 저화질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가변 시켜 상기 저장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라면 이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텍션(Motion Detection)과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녹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는 신호 연결된 카메라(1)로부터 촬영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코더(A/D Converter)(4),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는 디코더(A/D Converter)(3), 디지털 신호로 변화된 영상에서 모션 디텍션을 감지할 수 있는 비디오 프로세서(6), 각 디코더(3, 4)와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전송된 디지털 신호중 음성의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오디오 디텍션을 감지하며 기 설정된 압축 방식으로 영상과 음성을 압축 부호화하여 총 데이터 량을 압축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 코덱(Codec)(5), 압축된 영상,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기록하는 저장 매체(9), 저장 매체(9)의 영상 데이터 기록 과정을 총괄 제어하는 중앙 처리부(8) 및 녹화 모드(일반 모드, 모션 디텍션 모드, 오디오 디텍션 모드, 센서 모드)의 설정에 따라 입력 신호를 중앙 처리부(8)에 제공하는 입력부(10)로 구성된다.
카메라(1)는 영상을 입력 받고, 마이크는 음성을 입력 받아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센서는 녹화 모드가 모션 디텍션 모드일 때 움직임이 감지됨에 따라 동작 신호를 발생하여 중앙 처리부(8)에 전송하고 음성은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서 감지하여 중앙 처리부에 전송한다.
중앙 처리부(8)는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감지한 모션 디텍션과 디지털 시그날 프로세서에서 감지한 오디오 디텍션에 의해 전송된 동작 신호에 의해서 녹화를 진행하는데, 이때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시간에 따라 가변 시켜 카메라(1)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더(4) 및 코덱(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서 담당)을 통해서 전송 받아 저장 매체(9)에 기록한다.
다시 말해서, 중앙 처리부(8)는 센서로부터 전송된 동작 신호에 의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녹화 속도를 녹화 모드에 맞추어 녹화한 후에 센서로부터 동작 신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동작 신호가 계속해서 있을 때 녹화 속도 및 화질을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가변 시켜 저장 매체(9)에 영상과 음성 데이터를 기록한다.
중앙 처리부(8)에 의해서 가변 되는 녹화 속도는 일반 녹화모드에서 오디오 디텍션 모드과 모션 디텍션 모드 등으로 가변 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과정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에 앞서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는 모션 디텍션 모드로 녹화 모드와 오디오 디텍션 모드가 설정되기 전에 녹화 속도가 낮은 프레임으로 설정된 일반 모드로 녹화를 진행하고 있는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처리부(8)는 일반 모드로 녹화를 진행 중에 모션 디텍션을 감지하는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 혹은 오디오 디텍션을 감지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서 신호가 오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
중앙 처리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판단한 결과 모션 디텍션 모드 설정 신호이거나 오디오 디텍션 설정신호가 아닐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일반 모드(저속 및 저화질)로 카메라(1)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더(4) 및 코덱을 통해 전송 받아 저장 매체(9)에 기록한다(S2).
중앙 처리부(8)는 디텍션 시그날이 들어오는 입력부(10)에서 입력된 신호를 판단한 결과 모션 디텍션 모드 혹은 오디오 디텍션 모드 설정 신호일 때, 디지털 비디오 프로세서에서 움직임을 감지 했는지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서 음성을 감 지했는지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는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오디오인지 모션인지에 따라 녹화해야 할 카메라 설정 값에 따라(1)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매체(8)에 일정시간 동안 기록하며 일정시간이 지날 때 까지 오디오나 모션 디텍션 신호가 없다면 일반 녹화 모드로 돌아가고 계속해서 동작 신호 발생 유무를 판단한다(S3, S4).
즉, 중앙 처리부(8)는 센서로부터 계속해서 동작 신호가 입력될 때에 일정 간격으로 녹화 속도와 화질을 가변 시켜 녹화를 진행한 후, 기존 셋팅 모드인 일반 모드로 점차적으로 변화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녹화 모드가 오디오 디텍션 모드일 때 센서가 부착된 상기 카메라의 마이크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을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가 분석하여 이벤트를 발생시켜 중앙처리 장치에 신호를 보내서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초고속 및 고화질등의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기록하고,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도 동작 신호가 감지하지 않을 경우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초고속 및 고화질에서 일반 녹화모드로 설정된 녹화 모드로 가변 시켜 저장 매체에 녹화함으로써, 화면이 어두워 명암의 구별의 식별이 구별되지 않거나 용의자가 모션 디텍션 모드의 움직임 감도보다 낮은 움직임으로 모션 디텍션 녹화 모드를 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무인 경비 시스템에서 중요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얻을 수 있을 뿐만 모션 디텍션이 검출 하지 못하는 부분을 충족함으로서 보안수준의 향상과 함께 매체의 저장 용량 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

  1. 센서가 부착되어 움직임이 감지되면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마이크에서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영상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음성의 검출 여부를 판단하여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에서 분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가 일정 값 이상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일정값 이상인 오디오 신호가 발생할 때,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사용자가 설정한 모션디텍션 모드의 설정과 오디오 디텍션 모드의 설정에 따라 변경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저장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로부터 오디오 신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마이크에서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녹화를 중지시키거나, 상기 녹화 속도 및 화질을 초고속 및 고화질에서 저속 및 저화질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가변시켜 상기 저장 매체에 녹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KR1020030073277A 2003-10-21 2003-10-21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KR100566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77A KR100566120B1 (ko) 2003-10-21 2003-10-21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77A KR100566120B1 (ko) 2003-10-21 2003-10-21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80A KR20050038080A (ko) 2005-04-27
KR100566120B1 true KR100566120B1 (ko) 2006-03-30

Family

ID=3724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277A KR100566120B1 (ko) 2003-10-21 2003-10-21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3096B (zh) * 2022-07-08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画面内容配音方法、装置及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80A (ko) 200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6088B2 (en) Digital video recording method in an audio detection mode
US20070189728A1 (en)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surveillance images in DVR
JPH0877468A (ja) 監視装置
JP3659744B2 (ja) 画像情報記録装置
WO2001089218A1 (fr) Enregistreur
KR100566120B1 (ko) 오디오 디텍션 모드에서의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KR20030024114A (ko) 모션 디텍션 모드에서 디지털 영상 녹화 방법
KR20160016022A (ko) 이벤트 저장 기능을 가진 cctv 시스템
JP4618019B2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3257948B2 (ja) 画像抽出装置
KR100453010B1 (ko) 디지털 영상 녹화 장치 및 방법
KR101017155B1 (ko) Dvr시스템 녹화 및 재생 방법
JP3124169U (ja) 警報監視装置
JP2000132774A (ja) 侵入者監視システム
KR100239889B1 (ko) 컴퓨터 스크린 세이버와 화상처리/압축저장 기법을 사용한개인용 감시/경비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1069185B1 (ko) 감시용 카메라에서의 피사체 접근 감시장치 및 방법
KR20100030691A (ko) 음향감지를 통한 감시 방법 및 시스템
JP3177411B2 (ja) 監視用画像記録再生装置
KR100711867B1 (ko)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감시영상 녹화재생장치
KR20010007949A (ko) 건물의 외부침입 감지시스템
KR20070032542A (ko) 모션 이벤트 발생 율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녹화 제어장치및 방법
KR101102648B1 (ko) Dvr시스템 녹화 방법
KR200323214Y1 (ko) 전화선 잭을 통한 경보 시스템
KR200262163Y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감시 장면 녹화 장치
KR100739995B1 (ko) 자동 검색 기능을 구비한 cctv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