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6301A - 소형물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소형물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6301A
KR20030066301A KR1020020070039A KR20020070039A KR20030066301A KR 20030066301 A KR20030066301 A KR 20030066301A KR 1020020070039 A KR1020020070039 A KR 1020020070039A KR 20020070039 A KR20020070039 A KR 20020070039A KR 20030066301 A KR20030066301 A KR 2003006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rotation
center
opening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275B1 (ko
Inventor
오가와아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6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2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과제) 소형물 수납장치에 관하여,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개방되도록 한 것으로서, 덮개체의 개방동작 전역에서 회전댐퍼의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해결수단) 소형물 수납장치(10)는, 상자체(20), 덮개체(30), 탄지수단(40), 로크수단(50), 제동수단(60)을 구비한다. 상자체(20)와 덮개체(30)의 사이에는, 덮개체(30)의 개폐동작시의 제 1 회전중심(c)과, 개폐동작에 연속하여 덮개체(30)를 하강시키기 위한 인입동작시의 제 2 회전중심(d)이 구비되어 있다. 제동수단(60)은 회전댐퍼(130)의 댐퍼축에 연결되는 기어(131)와, 기어(131)가 맞물리는 래크(140)로 구성되어 있다. 래크(140)에는, 제 1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원호면(141)과, 제 1 원호면(141)에 연속되며 제 2 회전중심(d)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원호면(142)이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소형물 수납장치{SMALL ARTICLE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소형물 수납장치에 관하여,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덮개체가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개방되도록 한 것으로서, 덮개체의 개방동작 전역에서 회전댐퍼의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게 것이다.
종래의 소형물 수납장치로서는 다음과 같은 공보가 알려져 있다.
(1)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6-69002 호 「차량용 소형물 수납장치」
상기 고안은, 덮개체가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제동하기 위해서 회전댐퍼가 사용되었다.
상기 덮개체가 회전할 때에는 회전댐퍼의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덮개체가 하강할 때에는 회전댐퍼가 연결된 덮개체의 축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댐퍼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0-278656호 「도어 및 컵 홀더의 개폐기구」
상기 발명은, 덮개체가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개방되도록 한 것으로서, 덮개체는 하강하지 않는다.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제동하기 위해서 회전댐퍼가 사용되었다.
상기 회전댐퍼는 상자체측에 고정되고, 덮개체측에는 회전댐퍼의 기어에 맞물리는 래크가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차량용 소형물 수납장치」(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평6-69002호)에서는, 덮개체가 하강할 때에 회전댐퍼의 댐퍼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
(청구항 1)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덮개체의 개방동작 전역에 있어서 회전댐퍼의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회전중심의 회전반경을 거의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회전댐퍼의 기어와 래크의 맞물림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2개의 축을 개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안내홈을 상호 독립시킴으로써 덮개체의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덮개체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소형물 수납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덮개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덮개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대응하여 덮개체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대응하여 덮개체의 개방도중을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대응하여 덮개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측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형물 수납장치20 - 상자체
21 - 분할벽 22 - 개방상면
30 - 덮개체 31- 암부
40 - 탄지수단 41- 개방 스프링
50 - 로크수단 60 - 제동수단
70 - 소형물 압압장치71 - 압압판
72 - 압압 스프링 80 - 방진고무
90 - 브래킷100 - 개폐지지장치
101 - 제 1 축 102 - 제 2 축
103 - 제 1 안내홈 104 - 제 2 안내홈
105 - 회전부106 - 하강부
110 - 로크 핀 111 - 로크 암
112 - 웨이트 113 - 로크 스프링
120 - 캠홈 130 - 회전댐퍼
131 - 기어 140 - 래크
141 - 제 1 원호면 142 - 제 2 원호면
a - 덮개체의 개폐동작시의 궤적 b - 덮개체의 인입동작시의 궤적
c - 제 1 회전중심 d - 제 2 회전중심
각 청구항에 각각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 설명한다.
괄호 안의 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한 부호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번호도,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한 도면의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소형물 수납장치(10)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 상자체(20)
상자체(20)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형태이다.
(2) 덮개체(30)
덮개체(30)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0)의 개방상면(22)을 개폐하는 것이다.
(3) 탄지수단(40)
탄지수단(40)은, 덮개체(30)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이다.
(4) 로크수단(50)
로크수단(50)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지수단(4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덮개체(30)를 폐쇄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해제가능한 것이다.
(4) 제동수단(60)
제동수단(60)은, 탄지수단(40)의 탄지력을 제동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상자체(20)와 덮개체(30)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다.
(5) 제 1 회전중심(c)
제 1 회전중심(c)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30)의 개폐동작시의 회전중심이다.
(6) 제 2 회전중심(d)
제 2 회전중심(d)은, 예를 들면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동작에 연속하여, 덮개체(30)를 하강시키기 위한 인입(引入)동작시의 회전중심이다.
셋째, 제동수단(60)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7) 기어(131)
기어(131)는 회전댐퍼(130)의 댐퍼축에 연결되는 것이다.
(8) 래크(140)
래크(140)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131)가 맞물리는 것이다.
넷째, 래크(140)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9) 제 1 원호면(141)
제 1 원호면(141)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10) 제 2 원호면(142)
제 2 원호면(142)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원호면(141)에 연속되며 제 2 회전중심(d)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 1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하는 덮개체(30)의 개폐동작시의 회전반경과, 제 2 회전중심(d)을 중심으로 하는 덮개체(30)의 인입동작시의 회전반경을,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덮개체(30)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1) 제 1 축(101)
(2) 제 2 축(102)
둘째, 상자체(20)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3) 제 1 안내홈(103)
제 1 안내홈(103)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축(10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4) 제 2 안내홈(104)
제 2 안내홈(104)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내홈(103)과 독립하여, 제 2 축(102)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셋째, 제 1 회전중심(c)을,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내홈(103) 안에서 회전하는 제 1 축(101)과 일치시킨다.
넷째, 제 2 회전중심(d)을,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내홈(103)을 슬라이드 하면서 회전하는 제 1 축(101) 및 제 2 안내홈(104)을 슬라이드하면서 회전하는 제 2 축(102)에 의해서 정해지는 가상점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면의 설명)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덮개체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소형물 수납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덮개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덮개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대응하여 덮개체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대응하여 덮개체의 개방도중을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측면도, 도 7은 도 1에 대응하여 덮개체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소형물 수납장치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소형물 수납장치(10)]
도면 중 부호 10은 소형물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소형물 수납장치(1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실내에 고정된다.
또한 소형물 수납장치(10)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음료, 동전, 카드 등의 소형물을 수납할 수 있다. 음료는, 캔, 팩, 컵, 빈, PET병등에 담겨진 상태로, 소형물 수납장치(10) 내에 수납할 수 있고, 컵 홀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형물 수납장치(10)의 설치위치는, 차실내에 한정되지 않고 항공기, 선박, 또는 가구등에 고정해도 된다.
소형물 수납장치(10)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별하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1) 상자체(20)
(2) 덮개체(30)
(3) 탄지수단(40)
(4) 로크수단(50)
(5) 제동수단(60)
또한 소형물 수납장치(10)의 부품은, 상기한 (1) 내지 (5)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자체(20)]
상자체(20)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상자형을 이루고 있다.
상자체(20) 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자체(20)의 부품은, 다음의 (1) 내지 (3)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분할벽(21)
분할벽(2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0)의 내부를 좌우로 분할하는 것이다.
(2) 소형물 압압장치(70)
소형물 압압장치(70)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압압판(71,71), 좌우의 각 압압판(71)을 수평방향으로 각각 탄지하는 압압 스프링(72,72)이 구비되어 있다.
(3) 방진고무(80)
방진고무(8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0)의 앞측 좌우 양단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덮개체(30)]
덮개체(3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0)의 개방상면(22)을 개폐하는 것이다.
덮개체(3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단부로부터 상자체(20)를 향해서 연장되는 좌우 1쌍의 암부(31,31)를 가진다. 좌우의 암부(31)에는브래킷(90)을 각각 고정하여 보강하고 있다.
[개폐 지지장치(100)]
좌우의 암부(31)와 상자체(20)의 사이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지지장치(100)를 설치하여, 덮개체(30)가 상자체(20)에 대해서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개방되도록 지지하고 있다.
개폐 지지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개폐 지지장치(100)의 부품은 다음의 (1) 내지 (4)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제 1 축(101)
제 1 축(10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암부(31)에 각각 고정되고, 좌우의 브래킷(90)을 각각 관통하여 상자체(20)를 향해서 서로 대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2) 제 2 축(102)
제 2 축(10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축(101)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며, 좌우의 암부(31)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축(102)은, 제 1 축(101)과 같이, 좌우의 암부(31)에 각각 고정되며, 좌우의 브래킷(90)을 각각 관통하여 상자체(20)를 향해서 서로 대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3) 제 1 안내홈(103)
제 1 안내홈(10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0)의 좌우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제 1 축(101)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안내홈(103)은 상하로 길게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4) 제 2 안내홈(104)
제 2 안내홈(104)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체(20)의 좌우의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제 1 안내홈(103)과 독립하여, 제 2 축(102)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안내홈(104)은, 제 1 안내홈(103)으로부터 하측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며 좌우로 길게 원호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안내홈(104)은, 좌우로 길게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회전부(105)와, 회전부(105)에 연속하며 하측을 향해서 L자형으로 연장되는 하강부(106)를 갖는다.
[개폐 지지장치(100)의 동작]
계속해서,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개폐 지지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 지지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2가지 동작을 갖는다.
(1) 덮개체(30)의 개폐동작(궤적a)
(2) 덮개체(30)의 인입동작(궤적b)
[덮개체(30)의 개폐동작]
폐쇄위치의 덮개체(30)가 개방될 때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30)는 제 1 축(10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궤적a를 움직인다.
즉, 제 1 축(101)은,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안내홈(103)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제 1 축(101)은 덮개체(30)의 개폐동작시에는 제 1 회전중심(c)이 된다.
이 때, 제 2 축(102)은,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안내홈(104)의 좌우로 길게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회전부(105)를 따라서 옆으로 슬라이드 한다.
[덮개체(30)의 인입동작]
덮개체(30)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동작위치에서 더욱 개방될 때에는, 덮개체(30)는, 제 2 회전중심(d)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궤적b를 움직인다. 이 때, 덮개체(30)는, 회전하면서 하강하여 상자체(20)의 배면측으로 인입된다.
즉, 제 1 축(10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안내홈(103)을 따라서 하강한다.
이 때, 제 2 축(102)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안내홈(104)의 회전부(105)에 연속되는 하강부(106)를 따라서 하강한다.
이 때문에, 궤적b의 제 2 회전중심(d)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점이 된다.
제 1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하는 덮개체(30)의 개폐동작시의 회전반경과, 제 2 회전중심(d)을 중심으로 하는 덮개체(30)의 인입동작시의 회전반경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탄지수단(40)]
탄지수단(40)은 덮개체(30)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탄지수단(4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 스프링(41)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 스프링(41)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의 링부가 상자체(20)의 좌우의 외측면에 각각 지지되며, 일단부가 상자체(20)에, 타단부가 덮개체(30)의 좌우의 암부(31)에 각각 고정된다. 그 결과, 개방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서 덮개체(30)가 개방방향으로 탄지된다.
또한, 탄지수단(40)은, 개방 스프링(41)에 한정되지 않고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해도 된다.
[로크수단(50)]
로크수단(50)은, 탄지수단(40)의 탄지력, 즉 개방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덮개체(30)를 폐쇄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해제가능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로크수단(5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로크수단(50)의 부품은, 다음의 (1) 내지 (2)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로크 핀(110)
로크 핀(1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암(111)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로크 암(11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의 도중이 상자체(20)의 외측면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부에는 웨이트(112)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암(111)은, 로크 스프링(113)을 통해서 로크 핀(110)이 후술하는캠홈(120)을 트레이스하도록 탄지되어 있다.
(2) 캠홈(120)
캠홈(1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30)의 암부(31)의 선단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로크 핀(110)이 끼워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캠홈(1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트형으로 형성되며, 덮개체(30)의 폐쇄위치에서 로크 핀(110)을 로크함과 아울러, 덮개체(30)가 폐쇄위치에서 더 압입되었을 때에, 로크 핀(110)의 로크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이 있다.
그리고 로크 핀(110)을 상자체(20)측에 설치하고 캠홈(120)을 덮개체(30)측에 설치하였으나, 역으로 로크 핀(110)을 덮개체(30)측에 설치하고 캠홈(120)을 상자체(20)측에 설치해도 된다.
로크수단(50)은, 로크 핀(110)과 캠홈(120)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동수단(60)]
제동수단(60)은, 탄지수단(40)의 탄지력, 즉 개방 스프링(41)의 복원력을 제동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제동수단(6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을 구비한다.
(1) 회전댐퍼(130)
(2) 래크(140)
[회전댐퍼(130)]
회전댐퍼(13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댐퍼축에 연결되는 기어(131)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회전댐퍼(130)는, 오일식의 것이 사용되고, 덮개체(30)의 암부(31)에 고정되며, 그 기어(131)는 브래킷(90)을 관통하여 상자체(20)를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회전댐퍼(130)는 오일식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식 등이라도 좋다.
그리고 기어(131)를 회전댐퍼(130)의 댐퍼축에 직결하였으나 기어 상자체 등을 통해서 기어(131)에 연결해도 된다.
[래크(140)]
래크(140)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댐퍼(130)의 기어(131)가 맞물리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래크(14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131)에 맞물리는 기어 이가 부채꼴의 내주면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래크(140)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2개의 원호면이 구비되어 있다.
(1) 제 1 원호면(141)
제 1 원호면(14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중심(c), 즉 제 1 축(101)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2) 제 2 원호면(142)
제 2 원호면(14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원호면(141)에 연속되며 가상점인 제 2 회전중심(d)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다.
[소형물 수납장치(10)의 개폐동작]
이하,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소형물 수납장치(10)의 개폐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되어 있는 덮개체(30)를 개방하려면, 덮개체(30)를 상자체(20)를 향해서 약간 눌러 내리면 된다.
덮개체(30)가 눌러 내리면, 로크수단(50)의 로크상태가 해제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30)는, 탄지수단(40)의 탄지력, 즉 개방 스프링(41)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 1 회전중심(c)로서의 제 1 축(101)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열린다.
이 때, 회전댐퍼(130)의 기어(131)가,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중심(c), 즉 제 1 축(101)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래크(140)의 제 1 원호면(141)을 따라서 회전한다. 이 때, 회전댐퍼(130)의 제동력이 발생하여 덮개체(30)는 조용하게 천천히 개방된다.
또한, 덮개체(30)가 개방되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체(30)는 가상점인 제 2 회전중심(d)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한다.
이 때, 회전댐퍼(130)의 기어(131)가, 도 6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회전중심(d), 즉 제 2 축(102)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래크(140)의 제 2 원호면(142)을 따라서 회전한다. 이 때, 회전댐퍼(130)의 제동력이 발생하여 덮개체(30)는 조용하게 천천히 하강하면서 개방된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된 덮개체(30)를 폐쇄하기 위해서는 덮개체(30)의 선단부를 비스듬하게 하향으로 누르면 된다.
덮개체(3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상점인 제 2 회전중심(d)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그 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중심(c)로서의 제 1 축(101)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닫힌다.
덮개체(3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수단(50)에 의해서 폐쇄위치로 로크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덮개체의 개방동작 전역에 있어서 회전댐퍼의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2개의 회전중심의 회전반경을 대략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회전댐퍼의 기어와 래크의 맞물림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축을 개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2개의 안내홈을 서로 독립시킴으로써 덮개체의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면이 개방된 중공의 상자체와,
    상기 상자체의 개방상면을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덮개체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탄지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상기 덮개체를 폐쇄위치로 로크하기 위한 해제가능한 로크수단과,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력을 제동하기 위한 제동수단을 구비하는 소형물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자체와 덮개체의 사이에는,
    상기 덮개체의 개폐동작시의 제 1 회전중심과,
    상기 개폐동작에 연속하여, 상기 덮개체를 하강시키기 위한 인입동작시의 제 2 회전 중심을 구비하며,
    상기 제동수단은,
    회전댐퍼의 댐퍼축에 연결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가 맞물리는 래크로 구성되어 있는 소형물 수납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상기 제 1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원호면과,
    상기 제 1 원호면에 연속되며, 상기 제 2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원호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 수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덮개체의 개폐동작시의 회전반경과,
    상기 제 2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덮개체가 인입동작시의 회전반경을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 수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2개의 제 1, 제 2 축을 구비하며,
    상기 상자체는,
    상기 제 1 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안내홈와,
    상기 제 1 안내홈과 독립하여, 제 2 축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안내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회전중심을, 상기 제 1 안내홈 안에서 회전하는 상기 제 1 축과 일치시키고,
    상기 제 2 회전중심을, 상기 제 1 안내홈을 슬라이드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제 1 축 및 상기 제 2 안내홈을 슬라이드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제 2 축에 의해서 정해지는 가상점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물 수납장치.
KR10-2002-0070039A 2002-02-04 2002-11-12 소형물 수납장치 KR100450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6694 2002-02-04
JP2002026694A JP3900259B2 (ja) 2002-02-04 2002-02-04 小物収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301A true KR20030066301A (ko) 2003-08-09
KR100450275B1 KR100450275B1 (ko) 2004-09-30

Family

ID=2774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039A KR100450275B1 (ko) 2002-02-04 2002-11-12 소형물 수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00259B2 (ko)
KR (1) KR1004502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688A (ko) * 2008-11-06 2011-07-29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용 조립체고정장치
KR101055007B1 (ko) * 2008-04-08 2011-08-0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5486B2 (ja) * 2005-10-07 2011-11-30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開閉機構
TWM303913U (en) * 2006-02-07 2007-01-01 Yuan Min Aluminum Co Ltd Descending structure of the lid of garbage can
JP5016350B2 (ja) * 2007-03-29 2012-09-0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物入装置
JP5134388B2 (ja) 2008-02-14 2013-01-30 株式会社ニフコ リッド装置
JP6396683B2 (ja) * 2014-06-02 2018-09-26 中央発條株式会社 窓開閉装置
JP7356284B2 (ja) * 2019-07-30 2023-10-04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1733U (ja) * 1982-02-13 1983-08-19 河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電話器内蔵のコンソ−ルボツクス
JPS59160765U (ja) * 1983-04-13 1984-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グラブボツクスドア等の支持装置
JP2594955Y2 (ja) * 1993-03-15 1999-05-24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の小物収納装置
JP3650844B2 (ja) * 1997-04-10 2005-05-25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ドア及びカップホルダの開閉機構
JP2001303829A (ja) * 2000-04-18 2001-10-31 Kojima Press Co Ltd 車両用収納体
JP2002331875A (ja) * 2001-05-11 2002-11-19 Piolax Inc コンソールボックスにおけるリッドの開閉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007B1 (ko) * 2008-04-08 2011-08-05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체의 개폐기구 및 차량용 소품상자
KR20110086688A (ko) * 2008-11-06 2011-07-29 줄리우스 블룸 게젤샤프트 엠.베.하. 가구플랩의 작동장치용 조립체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00259B2 (ja) 2007-04-04
KR100450275B1 (ko) 2004-09-30
JP2003227268A (ja) 2003-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964B1 (ko) 도어체의 개폐기구 및 이것을 이용한 개폐장치
US9586731B2 (en) Lid opening/closing mechanism
KR100450275B1 (ko) 소형물 수납장치
US20120104011A1 (en) Cup holder
GB2327251A (en) Damping device
KR20030030848A (ko) 개폐부재의 제동기구와 이것을 구비한 용기홀더 및자동차용 도어
US11766970B2 (en) Storage box
CN107650809B (zh) 一种杯托储物盒及车辆
KR101417535B1 (ko) 자동차의 멀티 박스
US20110259906A1 (en) Cup holder
GB2394456A (en) Glove compartment and cup holder device for automobile
KR20200049973A (ko) 차량의 수납 장치
KR20030006976A (ko) 용기 홀더
JP2018131217A (ja) 車両用収納装置
CN107139796B (zh) 一种用于汽车的杯托
JP4333499B2 (ja) 容器ホルダ装置
EP1932716A1 (en) Article stowage device for vehicle
KR100612562B1 (ko)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
CN213501995U (zh) 杯托总成及汽车
KR100422718B1 (ko) 글러브 박스 댐핑장치
KR100250918B1 (ko) 차량적재용 소품수납장치
CN213322790U (zh) 杯托、副仪表板和车辆
CN217812925U (zh) 一种汽车储物盒的配重锁止机构
CN217919615U (zh) 一种自动开盖结构和一种垃圾桶
CN110962752B (zh) 一种笔架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