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636A - 세트 전지 - Google Patents

세트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636A
KR20030064636A KR10-2003-0005099A KR20030005099A KR20030064636A KR 20030064636 A KR20030064636 A KR 20030064636A KR 20030005099 A KR20030005099 A KR 20030005099A KR 20030064636 A KR20030064636 A KR 20030064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nnecting body
holding
plating layer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7282B1 (ko
Inventor
구니모또기요시
도야쇼이찌
고오노사부로
우에끼유따까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178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59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06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2387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250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697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322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06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0232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223877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30Nickel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5Gastight metal hydrid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6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8Short-circuiting members for bridging contacts in a counterpart
    • H01R31/085Short circuiting bus-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세트 전지는 복수의 전지를 접속체에서 직선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접속체는 한 쪽 전지에 용접되는 내주부와 이 내주부의 외측에 있어서, 다른 쪽 전지에 용접되는 외주부를 갖는다.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에는 단차가 있어서 내주부를 접속체의 오목부에 배치하고 있다. 접속체의 내주부는 한 쪽 전지의 전지 단부면에 설치하고 있는 코오킹 볼록조의 내측에 있어서, 코오킹 볼록조에 접촉하는 일 없이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여 접속하고 있다. 외주부는 다른 쪽 전지의 전지 단부면 외주부에 용접하여 접속하고 있다.

Description

세트 전지{SET BATTERY}
본 발명은 복수의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고 있는 세트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고 있는 세트 전지는 주로 하이브리드카 등의 전동 차량에 사용된다. 이 구조의 세트 전지는 저저항인 상태에서 확실하게 이차 전지를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큰 접속 저항은 세트 전지의 출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주울열이 발생하여 발열하고, 또한 저항 손실에 의해 전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이차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는 세트 전지로서, 접속체를 사용하는 구조가 일본 특허 공개 평10-106533호 공보에 기재된다. 이 공보의 세트 전지와 접속체를 도1과 도2에 도시한다. 이 세트 전지는 접속체(190)에금속 캡을 사용한다. 금속 캡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부(193)의 외주에 원통부(194)를 연결한 형상으로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다. 이 금속 캡은 도1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 이차 전지(110)의 밀봉판(112)에 평면부(193)를 스폿 용접하여, 다른 쪽 이차 전지(110)의 원통 외장관(111)의 원주면에 원통부(194)를 스폿 용접하여 2개의 이차 전지(110)를 직선형으로 연결한다.
도1에 도시한 세트 전지는 2 공정에서 금속 캡을 이차 전지(110)에 스폿 용접할 필요가 있다. 평면부(193)를 한 쪽 이차 전지(110)의 밀봉판(112)에 스폿 용접하고, 원통부(194)를 다른 쪽 이차 전지(110)의 외장관(111)에 스폿 용접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금속 캡의 접속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이 구조의 금속 캡은 평면부(193)와 원통부(194)의 스폿 용접하는 위치가 떨어지므로, 2개의 이차 전지(110)를 스폿 용접하는 부분 사이의 전기 저항이 커지는 결점도 있다.
이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원 출원인은 도3에 도시한 형상의 접속체(390)를 개발하였다(특허 출원 2000-273647호). 이 접속체(390)는 양면에 용접하는 용접 볼록부(392)를 돌출시키고 있다. 양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용접 볼록부(392)는, 도4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늘어서 있는 이차 전지(310)의 대향하는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여 접속된다. 이 접속체(390)는 이차 전지(310)에 협착되는 상태에서 이차 전지(310)를 거쳐서 용접 전류를 흘려 전지 단부면에 용접된다. 이 구조의 세트 전지는 1 공정에서 접속체(390)를 대향하는 이차 전지(310)의 전지 단부면에 용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세트 전지는 인접하는 이차 전지(310)를 접속체(390)에서 확실하게 강인한 구조로 연결하는 것이 어려운 결점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체(390)로 연결하고 있는 세트 전지 접속부의 굽힘 강도가 약해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 결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게 저저항인 상태에서 전기 접속하면서, 전지를 확실하게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는 세트 전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세트 전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세트 전지의 접속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출원인이 먼저 출원한 세트 전지에 사용하는 접속체의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한 접속체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세트 전지의 측면도.
도6은 도5에 도시한 세트 전지를 케이스에 수납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도5에 도시한 세트 전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8은 접속체의 금속 도금층을 도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9는 도7에 도시한 세트 전지의 접속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9에 도시한 접속체의 정면도.
도11은 도9에 도시한 접속체의 평면도.
도12는 도11에 도시한 접속체의 A-A선 단면도.
도13은 도7에 도시한 세트 전지의 완충 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세트 전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지
11 : 외장관
12 : 밀봉판
13 : 볼록부 전극
14 : 가스킷
15 : 홈부
16 : 코오킹 볼록조
20, 90 : 접속체
21 : 중심 구멍
22, 92 : 용접 볼록부
23 : 내주부
24 : 외주부
25 : 단차부
26 : 절결부
30 : 보유 지지 캡
31 : 통부
32 : 보유 지지부
33 : 관통 구멍
34 : 계지 볼록부
40 : 절연체
41 : 절연 링
42 : 링 볼록조
60 : 단자
70 : 케이스
71 : 하부 케이스
72 : 범버
93 : 평면부
94 : 원통부
본 발명의 세트 전지는 복수의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세트 전지는 연결되는 전지 사이에 전지를 전기 접속하는 접속체를 배치하여, 접속체를 전지에 용접하여 전기 접속하고 있다. 접속체는 한 쪽의 전지에 용접되는 내주부와, 이 내주부의 외측에 있어서, 다른 쪽의 전지에 용접되는 외주부를 갖는다.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에는 단차가 있어 내주부를 접속체의 오목부에 배치하고 있다. 접속체의 내주부는 한 쪽 전지의 전지 단부면에 설치하고 있는 코오킹 볼록조의 내측에 있어서, 코오킹 볼록조에 접촉하는 일 없이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여 접속하고 있다. 접속체의 외주부는 다른 쪽 전지의 전지 단부면 외주부에 용접하여 접속하고 있다.
접속체는 전지에 용접되는 용접 볼록부를 내주부와 외주부에 설치하여 내주부의 용접 볼록부와 외주부의 용접 볼록부를 서로 접근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접속체는 내주부 또는 외주부에 복수의 용접 볼록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용접 볼록부 사이에 절결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세트 전지는 접속체의 외주부와 코오킹 볼록조 사이에 절연체를 배치할 수 있다. 이 세트 전지는 접속체가 코오킹 볼록조에 접촉하여 쇼트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세트 전지는 서로 직선형으로 연결되는 전지 사이에 접속체와 절연체의 보유 지지 캡을 배치할 수 있다. 이 세트 전지는 접속체와 절연체를 보유 지지 캡으로 보유 지지하면서 능률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구조의 세트 전지는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고, 게다가 저저항인 상태에서 전지를 전기 접속하면서 전지를 확실하게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것은 세트 전지가 동일 원주 상의 점을 대향하는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는 것은 아니고, 접속체의 내주부와 외주부를 각각의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접속체는 코오킹 볼록조와의 사이를 절연체로 절연하여 그 외형을 크게 할 수 있다. 큰 접속체의 복수 부위를 용접하여 전지를 연결하고 있는 세트 전지는 접속 부분의 강도가 강하고, 특히 굽힘 응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로서 전지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내주부와 외주부의 복수점을 대향하는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는 구조는 내주부와 외주부의 용접점을 접근할 수 있으므로, 동일 원주 상의 복수점을 대향하는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고 있는 종래의 세트 전지에 비교하여 접속 부분에 전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접속체의 양면을 대향하는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고 있는 것과 상승하여 2개의 전지를 저저항인 상태에서 접속할 수 있는 특징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전술된 목적과 특징 및 그 외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5에 도시한 세트 전지는 복수의 이차 전지(10)를 직렬로 접속하여 직선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 구조의 세트 전지는 복수개를 직렬로 접속하여 주로 하이브리드 카 등의 전동 차량에 사용된다. 단, 본 발명의 세트 전지는 전동 차량 이외의 용도이며, 대출력이 요구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면의 세트 전지는 원통형 전지인 이차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여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단, 세트 전지는 각형 전지인 이차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여 직렬로 접속할 수도 있다.
세트 전지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평면에 평행하게 늘어 세워 케이스(70)에 수납된다. 가로로 늘어 세운 세트 전지는 서로 직렬로 접속되어 출력 전압을 높게 하고 있다. 세트 전지는 그 양단부가 케이스(70)에 고정된다. 이 세트 전지는 케이스(70)에 연결하는 단자(60)를 양단부의 전지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고정하고 있다. 도면의 세트 전지는 전지 단부면에 수직으로 단자(60)를 고정하고 있다. 단자(60)는 하부 케이스(71)의 정위치에 끼워 넣게 되는 버스 바아(72)에 나사 고정하여 고정된다. 버스 바아(72)는 인접하는 세트 전지를 서로 연결하는 동시에, 세트 전지를 직렬로 전기 접속한다. 버스 바아(72)와 단자(60)는 하부 케이스(71)와 상부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협착되어 정위치에 고정된다.
이차 전지(10)는 니켈 - 수소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니켈 - 카드뮴 전지 등의 충전할 수 있는 모든 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전동 차량용 세트 전지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에는 니켈 - 수소 전지가 적합하다. 체적과 중량에 대한 출력이 크고, 우수한 대전류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차 전지(10)는 도7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관(11)의 개구부를 밀봉판(12)으로 기밀하게 밀폐하고 있다. 외장관(11)과 밀봉판(12)은 금속판이다. 외장관(11)은 금속판을 바닥이 있는 통형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된다. 밀봉판(12)은 중앙에 볼록부 전극(13)을 용접하고 있다. 외장관(11)의 내부에는 전극(도시하지 않음)이 내장된다. 또한, 전해액도 충전된다. 외장관(11)은 개구부의 단부를 코오킹 가공하여 밀봉판(12)을 기밀하게 고정하고 있다. 밀봉판(12)은 가스킷(14)을 거쳐서 외장관(11)의 코오킹부에 협착되어 기밀하게 고정된다. 가스킷(14)은 절연재의 고무형 탄성체이고, 밀봉판(12)과 외장관(11)을 절연하는 동시에, 밀봉판(12)과 외장관(11)의 간극을 기밀하게 폐색한다. 이 구조의 이차 전지(10)는 밀봉판(12)을 코오킹하여 협착하기 위해, 밀봉판(12)을 설치하고 있는 단부에 주위에 따라서 홈부(15)가 마련된다. 또한, 밀봉판(12)의 주연에는 코오킹 볼록조(16)가 설치된다. 이 이차 전지(10)는 밀봉판(12)을 제1 전극으로 하고, 외장관(11)을 제2 전극으로 하고 있다. 니켈 - 수소 전지는 제1 전극을 플러스극으로 하고 제2 전극을 마이너스극으로 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제1 전극을 마이너스극으로 하고 제2 전극을 플러스극으로 할 수도 있다.
도5 내지 도7의 세트 전지는 복수의 이차 전지(10)를 직선형으로 연결하여 직렬로 접속하고 있다. 이 세트 전지는 직선형으로 연결하고 있는 이차 전지(10)의 단부면 사이에, 이차 전지(10)를 전기 접속하는 접속체(20)와, 이 접속체(20)를 정위치에 배치하는 보유 지지 캡(30)을 배치하고 있다. 이 세트 전지는 한 쪽의이차 전지(10)의 밀봉판(12)과 다른 쪽의 이차 전지(10)의 외장관(11)을 접속체(20)로 접속하고 있다. 이차 전지(10)는 밀봉판(12)을 제1 전극, 외장관(11)을 제2 전극으로 하고 있으므로, 밀봉판(12)에 접속되는 접속체(20)가 외장관(11)의 일부인 코오킹 볼록조(16)에 접촉하면 쇼트한다. 따라서, 이 세트 전지는 접속체(20)와 코오킹 볼록조(16)를 절연체(40)로 절연하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접속체(20)는 도8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을 금속 도금한 금속판(29)을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된다. 금속판(29)은 강판이다. 금속판(29)을 강판으로 하는 접속체(20)는 우수한 강도를 갖는다. 단, 접속체를 제작하는 금속판(29)은 철판이나 니켈판 등과 같이, 저저항 도금층(82)보다도 도전율이 낮은 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저저항 도금층(82)보다도 도전율이 낮은 금속판(29)은 용접할 때의 주울열이 크기 때문에, 바람직한 상태에서 이차 전지(10)에 용접할 수 있다.
접속체(20)는 양면에 금속 도금층(80)을 설치하고 있다. 금속 도금층(80)은 서로 도전율이 다른 고저항 도금층(81)과 저저항 도금층(82)을 구비한다. 저저항 도금층(82)은 고저항 도금층(81)보다도 도전성이 우수한 전기 저항이 작은 금속의 도금층이다. 저저항 도금층(82)은, 예를 들어 0 ℃에 있어서의 저항율을 1.5 × 10-8내지 3 × 10-8(Ωㆍm), 바람직하게는 1.5 × 10-8내지 2.5 × 10-8(Ωㆍm),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10-8내지 2 × 10-8(Ωㆍm)로 하는 금속이다. 저저항 도금층(82)의 금속으로는 구리 또는 구리의 합금, 혹은 은 또는 은의 합금을 사용할 수있다. 고저항 도금층(81)은, 예를 들어 0 ℃에 있어서의 저항율을 4 × 10-8내지 2 × 10-7(Ωㆍm), 바람직하게는 4 × 10-8내지 1.5 × 10-7(Ωㆍm),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0-8내지 1 × 10-7(Ωㆍm)로 하는 금속이다. 고저항 도금층(81)은 니켈 또는 니켈의 합금, 혹은 크롬 또는 크롬의 합금, 혹은 티탄 등과 같이 도전율이 높은 금속의 도금층이다.
접속체(20)는, 바람직하게는 저저항 도금층(82)의 표면에 고저항 도금층(81)을 적층한다. 이 접속체(20)는 고저항 도금층(81)으로 유효하게 발열시켜 빠르게 용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니켈이나 크롬 등의 고저항 도금층(81)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특징도 있으므로, 이를 표면에 설치하고 있는 접속체(20)는 공기 중에서 안정되어 변질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단, 접속체는 고저항 도금층의 표면에 저저항 도금층을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저저항 도금층(82)과 고저항 도금층(81)의 막 두께는 각각 3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이다. 저저항 도금층(82)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접속체(20)의 전기 저항을 작게 한다. 단, 저저항 도금층(82)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여 접속체(20)의 전기 저항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원활하게 용접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저저항 도금층(82)의 막 두께를 얇게 하여 전기 저항이 커지면, 접속체(20)의 전기 저항이 커져 이차 전지(10)를 접속하는 부분의 저항이 커진다. 고저항 도금층(81)은 지나치게 두껍거나 얇아도 용접이 어려워지므로, 전술한 범위에서 최적치로 한다. 또한, 고저항도금층(81)을 표면에 설치하고 있는 접속체(20)는 고저항 도금층(81)이 지나치게 얇으면 내부식성이 저하되므로, 이 점에서도 고저항 도금층(81)의 막 두께는 전술한 범위로 한다. 가장 바람직한 접속체(20)는 금속판(29)을 강판으로 하여 그 표면에 저저항 도금층(82)으로서 3 내지 5 ㎛의 동도금층을 설치하고, 그 표면에 고저항 도금층(81)으로서 3 내지 5 ㎛의 니켈 도금층을 설치한 것이다.
저저항 도금층(82)과 고저항 도금층(81)을 적층하고 있는 접속체(20)는 고저항 도금층(81)에서 발열하기 쉬워 전지 단부면에 빠르게 용접되고, 또한 저저항 도금층(82)에 의해 전기 저항이 작아 이차 전지(10)를 저저항인 상태에서 직렬로 접속할 수 있다.
이상의 구조의 세트 전지는 확실하게 용접하면서 접속 부분의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것은 세트 전지가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는 접속체에 금속 도금층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금속 도금층을 저저항 도금층과 고저항 도금층의 적층 구조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저항 도금층은 접속체의 저항을 낮게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극감한다. 고저항 도금층은 용접할 때에 유효하게 발열하여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접속체가 저저항인 상태에서 전지를 연결하고 있는 세트 전지는 무효인 전력 소비를 적게 하여 통전시의 발열을 적게 하고, 게다가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세트 전지에 사용하는 접속체로서, 구리의 저저항 도금층에 니켈의 고저항 도금층을 적층한 금속 도금층을 갖는 접속체를 제작하여 니켈만의 도금층을 갖는 접속체와 비교한 바, 대략 동등한 연결 강도를 실현하면서 접속체의 저항치를 2할 이상 작게할 수 있다. 이것은 세트 전지의 통전시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극감하여 출력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이상의 세트 전지는 접속체에 저저항 도금층과 고저항 도금층을 적층하여 확실한 용접과, 접속 부분의 저저항화를 실현하므로, 접속체에 다양한 금속판을 사용할 수 있다. 고저항 도금층과 저저항 도금층을 갖고 금속판의 전기 저항의 영향을 적게 하여 확실한 용접과 접속 부분의 저저항화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속체의 금속판에는, 예를 들어 강판과 같이 매우 강인한 금속판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전지를 연결하면서, 이상적인 전기 특성으로 접속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접속체(20)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인접 이차 전지(10)의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여 접속되고, 이차 전지(10)를 직렬로 전기 접속하고 있다. 도9 내지 도12는 접속체(20)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한 접속체(20)는 금속판을 구멍이 있는 링형으로 성형하여, 양면으로 돌출하여 전지 단부면에 용접되는 복수의 용접 볼록부(22)를 마련하고 있다. 양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용접 볼록부(22)는 대향하는 전지 단부면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용접되고,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이차 전지(10)를 직렬로 접속한다. 또한, 도7의 접속체(20)는 중심 구멍(21)을 마련하여 여기에 볼록부 전극(13)을 배치하고 있다. 접속체는 중심 구멍을 개구하는 일 없이, 볼록부 전극을 안내하는 부분을 돌출시키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접속체(20)는 전지 단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코오킹 볼록조(16)의 내형보다 외형을 크게 하고 있다. 도7의 접속체(20)는 이차 전지(10)의 외형에 대략 동등한외형으로 하고 있다. 이 접속체(20)는 코오킹 볼록조(16)에 접촉하여 쇼트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코오킹 볼록조(16) 사이에 절연체(40)를 배치하고 있다. 절연체(40)는 고무형 탄성체나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를 링형으로 성형한 절연 링(41)이다. 도면의 절연 링(41)은 외형을 이차 전지(10)의 외형에 대략 동등하게 하고 있다. 내주연에는 코오킹 볼록조(16)의 내면을 피복하는 링 볼록조(42)를 일체 성형하여 설치하고 있다. 링 볼록조(42)는 코오킹 볼록조(16)의 내측에 끼워 넣게 되는 형상이다. 이 절연 링(41)은 링 볼록조(42)를 코오킹 볼록조(16)의 내측에 끼워 넣어 정위치에 배치된다.
도7의 세트 전지는 절연 링(41)을 완충 링(50)으로 하고 있다.
완충 링(50)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형 탄성체나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를 링형으로 성형한 것이다. 도7에 도시한 세트 전지는 한 쪽의 이차 전지(10)의 밀봉판(12)과 다른 쪽 이차 전지(10)의 외장관(11)을 접속체(20)로 접속하고 있다. 이차 전지(10)는 밀봉판(12)을 제1 전극, 외장관(11)을 제2 전극으로 하고 있으므로, 밀봉판(12)에 접속되는 접속체(20)가 외장관(11)의 일부인 코오킹 볼록조(16)에 접촉하면 쇼트한다. 따라서, 이 세트 전지는 완충 링(50)을 절연재에 의해 링형으로 성형하여, 접속체(20)와 코오킹 볼록조(16)를 절연하는 절연 링(41)으로 병용하고 있다. 도면의 완충 링(50)은 외형을 이차 전지(10)의 외형에 대략 동등하게 하고 있다.
도13에 도시한 완충 링(50)은 접속체(20)의 외주부(24)와 대향하는 표면에 복수의 완충 볼록부(51)를 일체 성형하여 설치하고 있다. 복수의 완충 볼록부(51)는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완충 링(50)은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완충 볼록부(51)가 접속체(20)의 외주부(24)와 복수점에서 접촉하므로, 완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장이 있다. 또한, 완충 볼록부(51)를 갖는 완충 링(50)은 표면이 접속체(20)의 외주부(24)에 밀착하지 않으므로, 인접하는 완충 볼록부(51) 사이를 가스 빼기의 통로로서 완충 링(50)과 접속체(20) 사이에 가스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특장도 있다. 도면에 도시한 완충 링은 8개의 완충 볼록부(51)를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있다. 단, 완충 볼록부는 3 내지 7개 혹은 9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7의 완충 링(50)은 코오킹 볼록조(16)의 내면을 피복하는 링 볼록조(52)를 내주연에 일체 성형하여 설치하고 있다. 링 볼록조(52)는 코오킹 볼록조(16)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형상이다. 이 완충 링(50)은 링 볼록조(52)를 코오킹 볼록조(16)의 내측에 끼워 넣어 정위치에 배치된다. 도7의 완충 링(50)은 접속체(20)와 코오킹 볼록조(16)를 절연하는 절연 링(41)으로 병용하고 있다. 단, 완충 링은 절연 링과 별도의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이 세트 전지는 코오킹 볼록조와 접속체 사이에 절연 링을 배치하여 이들의 쇼트를 저지하는 동시에, 절연 링과 접속체의 외주부 사이에 완충 링을 배치하여 복수의 이차 전지를 우수한 내충격성으로서 직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완충 링을 구비하는 세트 전지는 복수의 전지를 우수한 내충격성으로서 직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그것은 세트 전지가 전지를 접속체로 연결하는 동시에, 이 접속체와 한 쪽 전지의 전지 단부면 사이에 탄성체의 완충 링을 배치하고 있고, 또한 접속체는 이 완충 링의 내측에서 한 쪽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여접속체의 외주부를 다른 쪽 전지의 전지 단부면 또는 외주면에 용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구조의 세트 전지는, 예를 들어 굽힘력이 작용하면, 접속체와 전지 단부면 사이의 완충 링의 일부가 눌려 찌부러지도록 탄성 변형하여 굽힘력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가늘고 긴 세트 전지에 굽힘력이 작용하면, 굽힘력을 완충 링으로 흡수하면서 굽힘을 저지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 굽힘을 저지한다. 또한, 탄성체인 완충 링은 탄성 변형해도 무리한 힘은 작용하지 않고, 바람직한 상태에서 세트 전지의 굽힘력을 흡수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이것은 가늘고 긴 세트 전지를 조립하는 공정에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트 전지를 교환할 때, 혹은 다소 구부린 상태에서 케이스에 조립될 때에 일어나는 폐해를 해소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접속체(20)는 내주부(23)와 외주부(24)에 단차가 있는 형상으로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고 있다. 내주부(23)는 밀봉판(12)의 표면에 접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외주부(24)는 절연 링(41)의 표면에서 외장관(11)의 바닥면에 접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접속체(20)는 내주부(23)와 외주부(24)에 각각 용접하기 위해 복수의 용접 볼록부(22)를 마련하고 있다. 내주부(23)의 용접 볼록부(22)는 밀봉판(12)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밀봉판(12)에 용접된다. 외주부(24)의 용접 볼록부(22)는 외장관(11)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어 외장관(11)의 바닥면 외주부에 용접된다. 내주부(23)와 외주부(24)의 용접 볼록부(22)가 대향하는 이차 전지(10)에 용접되어 이차 전지(10)는 직렬로 접속된다.
도9 내지 도12에 도시한 접속체(20)는 내주부(23)와 외주부(24)에 각각 4개의 용접 볼록부(22)를 마련하고 있다. 내주부(23)와 외주부(24)에 설치되는 각 4개의 용접 볼록부(22)는 동심 원형으로 배치하고 있다. 내주부(23)와 외주부(24)는 90도 피치로 등간격으로 용접 볼록부(22)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내주부(23)의 용접 볼록부(22)와 외주부(24)의 용접 볼록부(22)는 서로 접근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접속체(20)는 내주부(23)의 용접 볼록부(22)와 외주부(24)의 용접 볼록부(22)를 동일 반경 상에 배치하여 이들을 가장 접근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내주부(23)의 용접 볼록부(22)와 외주부(24)의 용접 볼록부(22)를 접근하여 배치하는 구조는 통전 경로의 거리를 최단으로 하여 이 사이의 전기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단, 접속체는 내주부와 외주부에 3 내지 10개의 용접 볼록부를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내주부(23)와 외주부(24)는 각각 인접하는 용접 볼록부(22) 사이에 절결부(26)를 설치하고 있다. 내주부(23)의 절결부(26)는 내주부(23)의 중심 구멍(2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하고 있다. 외주부(24)의 절결부(26)는 외주연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하고 있다. 내주부(23)와 외주부(24)는 90도 피치로 등간격으로 절결부(26)를 설치하고 있다. 서로 대향하는 내주부(23)의 절결부(26)와 외주부(24)의 절결부(26)는 각각의 바닥부가 접근하도록 동일 반경 상에 설치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절결부(26)는 동일한 폭의 슬릿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단, 절결부는 반드시 슬릿형으로 할 필요는 없고, 삼각 형상이나 원호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용접 볼록부(22) 사이에 절결부(26)를 갖는 접속체(20)는 각각의 용착 볼록부(22)에 흐르는 용착 전류를 균일하게 하여 확실하게 용접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또한, 이 접속체(20)는 내주부(23)나 외주부(24)를 절결부(26)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각 영역의 상대적인 방향을 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내주부(23)와 외주부(24)는 절결부(26)를 경계로 하여 다소는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구조의 접속체(20)는 분할된 내주부(23)나 외주부(24)의 탄성에 의해, 세트 전지의 접속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분산하여 용착 부분이 받는 손상을 극감할 수 있다. 따라서, 세트 전지의 접속부에 있어서의 진동이나 굽힘에 대한 강도를 향상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도면의 접속체(20)는 내주부(23)와 외주부(24)의 양 쪽에 절결부(26)를 설치하여 내주부(23)와 외주부(24)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있다. 단, 접속체는 내주부 혹은 외주부의 한 쪽에만 절결부를 설치하여 이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접속체(20)는 내주부(23)와 외주부(24)를 절결부(26)에서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있지만, 접속체는 내주부나 외주부를 절결부에서 3 내지 10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보유 지지 캡(30)은 전체를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로 성형하고 있다. 보유 지지 캡(30)은 인접하는 이차 전지(10)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체(20)를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정위치에 보유 지지한다. 보유 지지 캡(30)은 보유 지지하는 접속체(20)의 양면을 대향하는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기 위해 관통 구멍(33)을 마련하고 있다. 도7의 보유 지지 캡(30)은 접속체(20)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2)와, 이 보유 지지부(32)의 외주에 연결하도록 성형하고 있는 통부(31)를구비한다. 플라스틱제의 보유 지지 캡(30)은 통부(31)와 보유 지지부(32)로 이루어지는 전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보유 지지부(32)와 통부(31)를 각각 제작하여 연결할 필요가 없다. 관통 구멍(33)은 보유 지지부(32)에 개구된다. 통부(31)는 주위에 홈부(15)가 있는 이차 전지(10)의 단부를 삽입하고 있다. 또한 통부(31)는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이차 전지(10)에 삽입하기 위해, 내면으로 돌출하여 계지 볼록부(34)를 설치하고 있다. 계지 볼록부(34)는 이차 전지(10)의 단부에 있는 홈부(15)에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 캡(30)이 이차 전지(10)로부터 빠져 나가기 어렵게 한다. 도면의 보유 지지 캡(30)은 통부(31)의 내면에 따르는 볼록조를 설치하여 계지 볼록부(34)로 하고 있다. 계지 볼록부(34)는 반드시 볼록조의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계지 볼록부는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이차 전지의 홈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계지 볼록부(34)의 내면 돌출 높이는 너무 높으면 통부(31)에 이차 전지(10)의 단부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너무 낮으면 삽입한 이차 전지(10)가 빠져 나가기 어렵다. 따라서, 계지 볼록부(34)의 높이는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으며, 동시에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설계된다. 보유 지지 캡은 통부에 세로 방향으로 슬릿을 마련할 수 있다. 이 통부는 높은 계지 볼록부를 설치하여 원활하게 이차 전지의 단부를 삽입할 수 있다. 슬릿에 의해 복수로 분리된 통부가 탄성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단, 계지 볼록부의 높이를 가장 적절하게 하여 슬릿이 없는 통부에 이차 전지를 원활하게 삽입하면서 빠져 나가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도7의 세트 전지는 코오킹 볼록조(16)를 절연하기 위해 절연 링(41)을 배치하고 있다. 절연 링(41)은 내주연에 링 볼록조(4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절연 링(41)은 코오킹 볼록조(16)와 접속체(20)의 외주부(24) 사이에 배치되어 접속체(20)와 코오킹 볼록조(16)를 절연한다. 절연 링(41)은 외형을 이차 전지(10)의 외형에 대략 동등하게 하여 보유 지지 캡(30)으로 정위치에 보유 지지되고, 또한 링 볼록조(42)를 코오킹 볼록조(16)의 내측에 끼워 넣어 코오킹 볼록조(16)에 의해서도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정위치에 배치된다.
도7의 보유 지지 캡(30)은 관통 구멍(33)을 크게 하여 보유 지지부(32)의 폭을 좁게 하고 있다. 큰 관통 구멍(33)은 코오킹 볼록조(16)의 상방에 배치되는 접속체(20)의 외주부(24)를, 도면에 있어서 상방에 배치하고 있는 외장관(11)의 바닥면으로 표출시킨다. 보유 지지부(32)는 접속체(20)의 외주연 상면에 위치하여 접속체(20)를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정위치에 보유 지지한다. 접속체(20)의 외형은 이차 전지(10)의 외형에 대략 동등하고, 바꾸어 말하면 통부(31)의 내형과 대략 동등하고, 통부(31)의 내면에 접촉하여 수평 방향의 어긋남이 저지된다. 또한, 이 도면의 접속체(20)는 내주부(23)와 외주부(24) 사이에 단차를 마련하고 있으므로, 이 단차부(25)를 절연 링(4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정위치에 배치된다.
이상의 구조의 세트 전지는 접속체의 쇼트를 확실하게 저지하면서 전지를 매우 능률적으로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그것은 세트 전지가 전지를 연결하는 접속체를 보유 지지 캡으로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면서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보유 지지 캡은 접속체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지지부와, 주위에 홈부가 있는 전지의 단부에 삽입되는 통부를 갖고, 또한 전지의 홈부에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 캡이 빠져 나가기 어려워지는 계지 볼록부를 통부의 내면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보유 지지 캡의 통부를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전지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트 전지는 보유 지지 캡의 보유 지지부에서 접속체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고, 게다가 보유 지지 캡을 전지에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접속체의 쇼트를 확실히 저지하여 전지를 매우 능률적으로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다. 게다가, 세트 전지는 보유 지지 캡으로 접속체를 전지의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므로, 전지를 연결할 때의 자세에 관계없이, 전지를 모든 자세로 하여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캡은 도14에 도시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상부 1자리를 제외한 하부 자리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번호를 붙이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보유 지지 캡(530)은 전체를 플라스틱 등의 절연재로 성형하고 있다. 보유 지지 캡(530)은 인접하는 이차 전지(510) 사이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이차 전지(510)를 연결한다. 인접하는 이차 전지(510)를 연결하기 위해, 보유 지지 캡(530)은 서로 연결되는 한 쪽의 이차 전지(510)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제1 통부(537)와, 다른 쪽의 이차 전지(510)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제2 통부(538)를 갖고, 제1 통부(537)와 제2 통부(538)를 서로 직선형으로 배치하고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이차 전지(510)는 각각의 단부를 제1 통부(537)와 제2 통부(538)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 캡(530)을 갖고 직선형으로 연결된다.
제1 통부(537) 및 제2 통부(538)는 이차 전지(510)의 외장관(511)의 단부를 간극없이 삽입할 수 있는 통형으로 성형된다. 원통형 전지의 이차 전지(510)를 삽입하는 제1 통부(537) 및 제2 통부(538)는 원통형이고, 그 내경을 원통형 전지의 외경에 대략 동등하고, 정확하게는 내경을 원통형 전지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한다. 약간 작은 원통형의 제1 통부(537) 및 제2 통부(538)는 이차 전지(510)를 삽입하면 약간 신장하여 이차 전지(510)의 외장관(511)에 정확하게 간극없이 밀착한다. 또한, 이차 전지(510)의 외장관(511)은 제조 공정에 의해 외경에 약간의 변동이 있다. 규정된 치수보다도 약간 작게 성형하고 있는 제1 통부(537) 및 제2 통부(538)는 외경에 변동이 있는 외장관, 특히 가는 외장관의 이차 전지를 간극없이 삽입할 수 있다. 제1 통부(537) 및 제2 통부(538)가 탄성적으로 신장하여, 외장관의 큰 변동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제1 통부(537)는 주위에 홈부(515)가 있는 이차 전지(510)의 단부를 삽입하고 있다. 이 제1 통부(53)는 내면으로 돌출하여 계지 볼록부(534)를 설치하고 있다. 계지 볼록부(534)는 이차 전지(510)의 단부에 있는 홈부(515)에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 캡(530)이 이차 전지(510)로부터 빠져 나가기 어렵게 한다. 보유 지지 캡(530)은 제1 통부(537)의 내면에 따르는 볼록조를 설치하여 계지 볼록부(534)로 하고 있다. 계지 볼록부는 반드시 볼록조의 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다. 계지 볼록부는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이차 전지의 홈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의 보유 지지 캡(530)은 접속체(520)를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532)를 설치하고 있다. 보유 지지부(532)는 제1 통부(537)와 제2 통부(538)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보유 지지하는 접속체(520)의 양면을 대향하는 전지단부에 용접하기 위해 관통 구멍(533)을 마련하고 있다. 플라스틱제의 보유 지지 캡(530)은 제1 통부(537) 및 제2 통부(538)와 보유 지지부(532)로 이루어지는 전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보유 지지부(532)와 제1 통부(537) 및 제2 통부(538)를 각각 제작하여 연결할 필요가 없다. 관통 구멍(533)은 보유 지지부(532)에 개구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선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청구 범위의 영역 및 경계 또는 그 영역 및 경계에 상당 범위 내에서의 변화는 청구 범위에 의해 보호되도록 의도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은 기본 특징의 기술 사상 내에서 몇몇 형태로 실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제한적이지는 않다.
이 구조의 세트 전지는 간단하고 또한 용이하고, 게다가 복수의 전지를 확실하게 직선형으로 연결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그것은 세트 전지가 연결되는 전지 사이에 접속체와 보유 지지 캡을 배치하고, 보유 지지 캡에는 한 쪽 전지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제1 통부와, 다른 쪽의 전지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제2 통부를 설치하고, 인접하는 2개의 전지 단부를 제1 통부와 제2 통부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 캡을 갖고 직선형으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구조의 세트 전지는 연결하는 전지의 각각의 단부를 보유 지지 캡의 제1 통부와 제2 통부에 넣어 간단하고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직선형으로 배치하고 있는 제1 통부와 제2 통부에 넣어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므로, 2개의 전지를 정확하게 직선형으로 늘어세워 연결할 수 있는 특장도 있다. 또한, 이 구조의 세트 전지는 서로 직선형으로 배치되는 전지의 단부를 제1 통부와 제2 통부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하므로, 전지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굽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굽힘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는 세트 전지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해 우수한 내구성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접촉 불량 등을 유효하게 방지하여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세트 전지는, 필요하면 보유 지지 캡으로 접속체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면서 능률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특장도 있다. 보유 지지 캡에 의해 정위치에 보유 지지되는 접속체는 용접되어 전지의 정확한 위치에 연결된다. 이 세트 전지는 접속체를 정확한 위치에 보유 지지할 필요가 없고, 연결되는 전지와 접속체를 정확한 위치에서 능률적으로 용접하여 연결할 수 있는 특장이 있다.
도7과 도14의 보유 지지 캡(30, 530)은 보유 지지부(32, 532)에서 접속체(20, 520)를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보유 지지하지만, 본 발명은 보유 지지 캡이 접속체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구조를 이상의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다. 보유 지지 캡은 접속체를 보유 지지부의 관통 구멍으로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끼움 부착하여 정위치에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제의 보유 지지 캡을 성형할 때에 접속체를 삽입하여 정위치에 보유 지지할 수도 있고, 또한 접속체를 접착하여 정위치에 보유 지지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트 전지는 반드시 보유 지지 캡으로 접속체를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보유 지지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세트 전지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유 지지 캡을 배치하는 일 없이 복수의 이차 전지를 직선형으로 연결하여 직렬로 접속 할 수도 있다.
이 세트 전지는 접속체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에 설치된 단차부를 완충 링의 내주면에 접촉시켜 접속체를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Claims (23)

  1. 복수의 전지(10)를 직선형으로 연결하고 있는 세트 전지이며, 연결되는 전지(1O) 사이에 전지(10)를 전기 접속하는 접속체(20)를 배치하여, 접속체(20)를 전지(10)에 용접하여 전기 접속하고 있는 세트 전지이며,
    접속체(20)는 한 쪽 전지(10)에 용접되는 내주부(23)와, 상기 내주부(23)의 외측에 있어서 다른 쪽의 전지(10)에 용접되는 외주부(24)를 갖고, 내주부(23)와 외주부(24) 사이에는 단차가 있어서 내주부(23)를 접속체(2O)의 오목부에 배치하고 있으며,
    접속체(20)의 내주부(23)는 한 쪽 전지(10)의 전지 단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코오킹 볼록조(16)의 내측에 있어서, 코오킹 볼록조(16)에 접촉하는 일 없이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여 접속되고,
    접속체(20)의 외주부(24)는 다른 쪽 전지(10)의 전지 단부면 외주부에 용접하여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접속체(20)가 전지(10)에 용접되는 용접 볼록부(22)를 내주부(23)와 외주부(24)에 설치하고 있으며, 내주부(23)의 용접 볼록부(22)와 외주부(24)의 용접 볼록부(22)를 서로 접근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내주부(23) 또는 외주부(24)에 복수의 용접 볼록부(22)를 설치하고 있으며, 인접하는 용접 볼록부(22) 사이에 절결부(26)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접속체(20)의 외주부(24)와 코오킹 볼록조(16) 사이에 절연체(40)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절연체(41)가 접속체(20)의 외주부(24)와 코오킹 볼록조 (16) 사이에 협착되어 이루어지는 절연 링(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접속체(20)의 표면에 금속 도금층(80)을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금속 도금층(80)은 서로 도전율이 다른 고저항 도금층(81)과 저저항 도금층(8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금속 도금층(80)은 저저항 도금층(82)의 표면에 고저항 도금층(81)을 적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8. 제6항에 있어서, 고저항 도금층(81)은 니켈 또는 니켈의 합금, 혹은 크롬 또는 크롬의 합금이고, 저저항 도금층(82)은 구리 또는 구리의 합금, 혹은 은 또는 은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고저항 도금층(81)은 니켈이고, 저저항 도금층(82)은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0. 제6항에 있어서, 접속체(20)의 양면을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고 있는 전지 (1O)의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여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1.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직선형으로 연결되는 전지(10) 사이에, 접속체(20)의 보유 지지 캡(30)을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보유 지지 캡(30)은 접속체(20)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2)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부(32)는 접속체(20)의 양면을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지(10)에 접속하기 위한 관통 구멍(3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3. 제11항에 있어서, 보유 지지 캡(30)은 접속체(20)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2)와, 상기 보유 지지부(32)의 외주에 연결되어 주위에 홈부(15)를 갖는 전지(10)의 단부를 삽입하고 있는 통부(31)를 갖고, 상기 통부(31)는 전지(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홈부(15)에 끼워 넣어져 보유 지지 캡(30)이 빠져 나가기 어렵게 하는 계지 볼록부(34)를 내면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고, 상기보유 지지 캡(30)은 계지 볼록부(34)를 전지(10)의 홈부(15)로 안내하여 전지(10)에 연결되고, 전지(10)에 연결되는 보유 지지 캡(30)은 접속체(20)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4. 제11항에 있어서, 보유 지지 캡(3O)은 서로 연결되는 한 쪽 전지(1O)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제1 통부(37)와, 다른 쪽 전지(10)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제2 통부(38)를 갖고, 제1 통부(37)와 제2 통부(38)는 서로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인접하는 2개의 전지(10)의 단부를 제1 통부(37)와 제2 통부(38)에 삽입하여 보유 지지 캡(30)을 갖고 직선형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통부(37)가 전지(10)의 단부에 있는 홈부(15)로 안내되는 계지 볼록부(3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6. 제14항에 있어서, 보유 지지 캡(30)은 접속체(20)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2)를 갖고, 상기 보유 지지부(32)는 제1 통부(37)와 제2 통부(38)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접속체(20)의 양면을 대향하여 배치되는 전지(10)에 접속하기 위한 관통 구멍(3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7. 제1항에 있어서, 전지 단부면의 외주연와 접속체(20) 사이에 탄성체의 완충 링(50)을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완충 링(50)의 내측에서 접속체(20)를 한 쪽 전지 단부면에 용접하고 있고, 또한 접속체(20)의 외주부(24)를 다른 쪽 전지(10)의 전지 단부면 또는 외주면에 용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완충 링(50)은 절연 링(41)이고, 전지(10)의 전지 단부면 주위로 돌출하고 있는 외장관(11)의 코오킹 볼록조(16)와 접속체(20) 사이에 협착되어, 외장관(11)의 코오킹 볼록조(16)와 접속체(20)를 절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완충 링(50)은 코오킹 볼록조(I6)의 내측에 배치되는 링 볼록조(52)를 내주연에 따라서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20. 제17항에 있어서, 접속체(20)의 내주부(23)와 외주부(24) 사이에 설치된 단차부(25)를 완충 링(50)의 내측에 끼워 넣고 있으며, 접속체(20)의 내주부(23)를 한 쪽 전지(10)의 밀봉판(12)에 용접하여 연결하고, 외주부(24)를 다른 쪽 전지(10)의 외장관(11)의 바닥면에 용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21. 제17항에 있어서, 직선형으로 연결되는 전지(10) 사이에서 접속체(20)에다가 접속체(20)를 정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캡(30)을 배치하고 있고,
    상기 보유 지지 캡(30)은 직선형으로 연결되는 전지(10)의 단부를 삽입하는 통부(31)와, 접속체(20)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3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완충 링(50)의 외형을 보유 지지 캡의 통부(31)의 내형에 대략 동등하게 하여, 통부(3I)에 완충 링(50)을 끼워 넣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23. 제21항에 있어서, 완충 링(50)과 접속체(20)의 외형을 통부(31)의 내형에 대략 동등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전지.
KR1020030005099A 2002-01-28 2003-01-27 세트 전지 KR100877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17899 2002-01-28
JP2002017899A JP3895995B2 (ja) 2002-01-28 2002-01-28 組電池
JPJP-P-2002-00020604 2002-01-29
JP2002020604A JP2003223879A (ja) 2002-01-29 2002-01-29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2022508A JP3869733B2 (ja) 2002-01-30 2002-01-30 組電池
JPJP-P-2002-00022508 2002-01-30
JP2002023227A JP3920651B2 (ja) 2002-01-31 2002-01-31 組電池
JPJP-P-2002-00023227 2002-01-31
JP2002023228A JP2003223877A (ja) 2002-01-31 2002-01-31 組電池
JPJP-P-2002-00023228 2002-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636A true KR20030064636A (ko) 2003-08-02
KR100877282B1 KR100877282B1 (ko) 2009-01-07

Family

ID=2753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099A KR100877282B1 (ko) 2002-01-28 2003-01-27 세트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60643B2 (ko)
EP (1) EP1331682B1 (ko)
KR (1) KR100877282B1 (ko)
CN (1) CN1278435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93B1 (ko) * 2008-06-03 2010-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WO2010114318A3 (ko) * 2009-04-01 2011-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듈의 구조 설계에 유연성을 가진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2898B2 (en) * 2003-10-28 2014-01-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system including batteries that have a plurality of positive terminal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terminals
US20050112457A1 (en) * 2003-11-25 2005-05-26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cluding battery assembly having multiple separable subassemblies
KR100556101B1 (ko) 2003-12-16 2006-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JP4245525B2 (ja) * 2004-07-22 2009-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電源のバッテリー装置
JP5051410B2 (ja) * 2005-05-30 2012-10-17 株式会社Gsユアサ 密閉形電池用リード、そのリードを用いた密閉形電池及びその電池の製造方法
ATE528807T1 (de) * 2006-05-11 2011-10-15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Modulares batteriesystem
US8568915B2 (en) * 2006-08-11 2013-10-29 Johnson Controls—SAFT Power Solutions LLC Battery with integrally formed terminal
JP5110842B2 (ja) * 2006-09-30 2012-12-26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0823510B1 (ko) * 2006-10-17 2008-04-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11660971B2 (en) 2006-11-07 2023-05-30 Clarios Advanced Solutions Llc System for arranging and coupl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module
KR100846955B1 (ko) * 2006-11-30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JP4379467B2 (ja) * 2006-12-11 2009-1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N101627490B (zh) * 2006-12-14 2012-10-03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电池模块
KR100859948B1 (ko) * 2007-01-25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단위 전지간 직렬 인터페이스
KR20080072443A (ko) * 2007-02-02 2008-08-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용접식 고정 캡 및 이를 구비한 전지 모듈
KR100913174B1 (ko) * 2007-04-04 2009-08-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5141090B2 (ja) * 2007-05-16 2013-02-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KR100971367B1 (ko) * 2007-05-31 2010-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방식의 전기적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팩
JP5153230B2 (ja) * 2007-06-28 2013-02-2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WO2009011540A2 (en) 2007-07-16 2009-01-22 Lg Chem, Ltd. Electrical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EP2176900B1 (en) * 2007-07-16 2014-03-26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pack based on mechanical connection manner
EP2179461B1 (en) * 2007-07-30 2016-12-21 Johnson Controls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Storage battery arrangement
DE102007063195B4 (de) * 2007-12-20 2013-08-29 Daimler Ag Batterie mit einem Gehäuse und einer Wärmeleitplatte
DE102008013188A1 (de) 2008-03-07 2009-09-17 Johnson Controls Hybrid And Recycling Gmbh Elektrochemischer Akkumulator und Fahrzeug mit einem elektrochemischen Akkumulator
CN102165625B (zh) * 2008-08-14 2015-11-25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具有密封的放气室的电池模块
KR101002511B1 (ko) * 2008-09-19 2010-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전지팩
CN103943912B (zh) 2008-11-12 2018-02-27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具有热交换器的电池系统
KR101049832B1 (ko) * 2009-06-04 2011-07-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JP5570407B2 (ja) * 2010-03-26 2014-08-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20110137638A (ko) 2010-06-17 2011-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셀 조립체
US8394525B2 (en) * 2010-06-22 2013-03-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pport assembly for an array of battery cells
KR101211794B1 (ko) * 2010-10-22 2012-12-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DE102011104255B4 (de) * 2011-06-15 2013-10-10 Frako Kondensatoren- Und Anlagenbau Gmbh Kontaktteil zum Kontaktieren von Stirnkontaktschichten auf den Stirnseiten eines Kondensatorwickels sowie ein- und dreiphasige elektrische Becherkondensatoren mit selbigem
US9343722B2 (en) 2013-12-27 2016-05-17 Intel Corporation Battery pack having a spring to connect at least two battery cell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2640A (en) 1977-10-05 1979-04-25 Hitachi Ltd Welding torch able to regulate wire feeding speed at hand
JP2734765B2 (ja) 1990-09-28 1998-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066338B2 (ja) 1996-03-27 2000-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 池
JP3312853B2 (ja) * 1996-09-26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JPH11297300A (ja) 1998-04-04 1999-10-29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電池用リード材料とリード付き二次電池
JP2000058025A (ja) 1998-08-10 2000-02-25 Toshiba Battery Co Ltd 集合電池
EP1120841B1 (en) * 1998-09-01 2010-02-17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batteries
JP4242953B2 (ja) 1998-09-21 2009-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
JP3723354B2 (ja) * 1998-09-29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電池
JP3636603B2 (ja) 1998-09-29 2005-04-06 三桜工業株式会社 接続板及び接続板の接続方法
JP2000138051A (ja) 1998-10-30 2000-05-16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及び組電池
JP2000357502A (ja) 1999-06-15 2000-12-26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の接続構造
JP3851038B2 (ja) 1999-10-29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電池
DE10064648C2 (de) * 1999-12-28 2003-09-18 Honda Motor Co Ltd Batterieeinheit
JP3723433B2 (ja) * 2000-03-30 2005-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95905B2 (ja) 2000-05-31 2007-03-22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
JP2001345086A (ja) * 2000-05-31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3838872B2 (ja) 2000-12-13 2006-10-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693B1 (ko) * 2008-06-03 2010-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WO2010114318A3 (ko) * 2009-04-01 2011-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듈의 구조 설계에 유연성을 가진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1682A3 (en) 2005-09-14
EP1331682B1 (en) 2012-12-12
CN1445876A (zh) 2003-10-01
KR100877282B1 (ko) 2009-01-07
EP1331682A2 (en) 2003-07-30
US7160643B2 (en) 2007-01-09
CN1278435C (zh) 2006-10-04
US20030143459A1 (en)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282B1 (ko) 세트 전지
JP5153230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5528746B2 (ja) 組電池
JP5606851B2 (ja) 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5110842B2 (ja)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0542238B1 (ko) 전지 모듈
CN106784576B (zh) 二次电池
US20120189889A1 (en) Secondary battery
KR20120055770A (ko) 배터리 모듈
JP4827442B2 (ja) 組電池
CN114365344A (zh) 二次电池
JP3869733B2 (ja) 組電池
CN106876618B (zh) 可再充电电池
JP4167573B2 (ja) 電池の接続構造
JP3895995B2 (ja) 組電池
JP3920651B2 (ja) 組電池
JP2003229107A (ja) 組電池
US10381629B2 (en) Movable body equipped with battery
WO2021014705A1 (ja) 角形二次電池
CN117438753A (zh) 电池
CN115117571A (zh) 电池组
CN101512793B (zh) 具有新颖电池间连接的方形电池组
JP5196995B2 (ja) 組電池の製造方法
JP2003223877A (ja) 組電池
JP2003223879A (ja) 組電池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