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4063A -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 Google Patents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4063A
KR20030064063A KR1020020004491A KR20020004491A KR20030064063A KR 20030064063 A KR20030064063 A KR 20030064063A KR 1020020004491 A KR1020020004491 A KR 1020020004491A KR 20020004491 A KR20020004491 A KR 20020004491A KR 20030064063 A KR20030064063 A KR 2003006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ar
reinforcement
reinforcing bar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7170B1 (ko
Inventor
김옥민
윤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엠에스이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엠에스이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엠에스이그룹
Priority to KR10-2002-0004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1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축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종 조립식 옹벽벽체에 정착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앵커보강체를 옹벽벽체 배면에 설치하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옹벽벽체가 설치되는 현장여건에 따라 소요의 길이 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설치의 변경 및 응용이 용이한 앵커보강체를 제공함으로서 궁극적으로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보강토 옹벽 시공이 가능한 보강토옹벽축조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 위에 조립식 옹벽벽체를 적층하면서 뒷채움 한 후, 상기 조립식 옹벽벽체와의 정착수단에 의하여 보강앵커체를 조립식 옹벽벽체의 배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소요높이 까지 조립식 옹벽벽체를 설치한 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강토옹벽 축조공법{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축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종 조립식 옹벽벽체에 정착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앵커보강체를 옹벽벽체 배면에 설치하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고 무엇보다도 옹벽벽체가 설치되는 현장여건에 따라 소요의 길이 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어 설치의 변경 및 응용이 용이한 앵커보강체를 제공함으로서 궁극적으로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보강토옹벽축조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축조공법은 토체 내에 보강재를 삽입하여 토류 구조물을 보강하는 공법으로서 흙과 보강재를 일체화함에 따라 흙막이 옹벽을 만들거나 성토를 보강하여 지반의 지지력이나 사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공법으로서, 기술개발의 대상은 격자형상의 P.E.T 재질의 메쉬그리드, 지오그리드 및 여러 형상으로 가공된 철근과 같이 보강재를 그 대상으로 하는 것이 있고,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재질의 보강재를 옹벽에 설치하기 위해 다양한 보강재 연결구조를 가지는 옹벽용 블록에 대한 것이 있다.
즉 옹벽용 블록을 보강재와 잘 결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하는 경우, 그 옹벽용 블록의 자체를 이용하는 목적으로 보았을 때 그 목적 상 유리하지만 그 블록이 아니면 소요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무엇보다도 그 옹벽용 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별도의 설비 및 장치가 요구 될 수밖에 없어, 통상 대량생산되어 비용이 저렴하게 제작되는 콘크리트 판넬, 중공블록 또는 폐타이어블록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보강재의 경우, 기술개발이 재질적 부분에 주안점이 주어져 있고, 이를 현장에서 소요의 토압을 경제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나아가 현장여건상 그 크기 및 길이의 조정이 용이하여 효율적인 보강재의 설치 작업이 가능한 쪽으로 기술 개발된 경우가 거의 없어 실제 개발된 기술을 실용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강토옹벽용 콘크리트판넬, 중공블록 또는 폐타이어블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소요의 토압 등을 저항하는 보강재의 경우 현장여건에 따라 얼마든지 길이 및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철근 등을 이용하되 별도의 가공이 필요 없는 수단을 제공하며, 현장여건에 따라 설치구조 및 방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용적인 보강토 옹벽축조공법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축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장 경제적인 생산이 가능한 통상의 조립식 옹벽블록을 별도의 변경 없이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보강토 옹벽축조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설치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하며, 그 설치구조 및 방법의 변경 및 응용이 용이하도록 다양한 조립식옹벽블록과의 정착수단,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보강앵커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축조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1b는 옹벽벽체가 콘크리트판넬인 경우 본 발명의 보강앵커체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및 평면도의 구체예이다.
도2a 및 도2b는 옹벽벽체가 중공블록인 경우 본 발명의 보강앵커체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및 옹벽벽체에 보강앵커체가 설치된 구성도의 구체예이다.
도3은 옹벽벽체가 폐타이어블록의 경우 본 발명의 보강앵커체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의 구체예이다.
도4a 및 도4b는 보강앵커체 중 가로보강바의 선단보강체 및 연결용 바인더의 구체예이다.
도5a, 도5b 및 도5c는 가로보강바 및 세로보강바의 조합에 의한 본 발명의 보강앵커체의 구체예 및 그 변형예이다.
도6은 가로보강바 및 세로보강바의 연결장치의 구체예이다
도7a,도7b,도7c,도7d,도7e 및 도7f는 본 발명의 보강앵커체가 적용된 보강토옹벽의 구체예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옹벽벽체110:콘트리트판넬
120:중공블록130:폐타이어콘크리트블록
200:정착수단300:보강앵커체
310:가로보강바320:세로보강바
330:가로보강바 및 세로보강바의 연결수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1 내지 도7을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축조공법은 기초 위에 조립식 옹벽벽체(100)를 적층하면서 뒷채움 한 후, 상기 조립식 옹벽벽체(100)와의 정착수단(200)에 의하여 연결되는 보강앵커체(300)를 조립식 옹벽벽체의 배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소요높이 까지 조립식 옹벽벽체(100)를 설치한 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보강토옹벽을 축조해야할 지반에 기초터파기를 하고, 그 기초터파기 면에 다수의 옹벽벽체(100)를 차례로 소요의 높이까지 적층한다. 이때 옹벽벽체(100)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3가지 형태가 이용될 수 있는데 도1a 및 도1b와 같이 직육면체 콘크리트판넬(110) , 도2a와 같이 중공불록(120) 또는 도3과 같이 폐타이어블록(130)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후술되는 보강앵커체(300)와의 정착수단(200)에 차이가 있다고 할 것이다.
어떠한 형식이든 옹벽벽체(100)를 적층하면서 배면에 필요한 뒷채움을 하면서, 보강앵커체(300)를 설치해야할 높이까지 옹벽벽체(100)를 적층하면서 설치한다.
상기 보강앵커체(300)는 크게 옹벽벽체(100)와 정착수단(200)에 의하여 결합되며, 도1 내지 도3과 같이 가로보강바(310,BAR)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및 도5와 같이 가로보강바(310) 와 세로보강바(320)를 조합하여 격자형상으로 조합되는 경우가 있으며, 가로보강바와 세로보강바를 조합하는 경우 그 연결수단(330)이 가로보강바와 세로보강바의 교차지점에 설치된다.
가로보강바(310) 와 세로보강바(320)는 통상의 철근을 사용하되, 뒷채움 흙에 의해 매설되므로 수분 등의 원인으로 부식되어 결과적으로 옹벽벽체에 작용하는 뒷채움에 의한 토압을 지지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아연 도금 또는 에폭시코팅된 철근을 이용하거나, 재료적으로 부식되지 않는 복합재료 즉 보강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플라스틱은 CFRP 또는 GFR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로보강바(310)는 옹벽벽체(100)와 정착수단(200)에 의하여 옹벽벽체에 정착되며, 선단보강체(311)가 상기 정착수단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정착수단(200)은 옹벽벽체(100)의 종류에 따라 크게 2가지의 구체예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구체예1은 옹벽벽체(100)가 통상의 직육면체 콘크리트판넬(110)의 경우이다. 통상의 콘크리트판넬은 중공블록과는 달리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본 발명의 가로보강바(310)를 연결할 구멍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멍(111)에 도1b와 같이 가로보강바(310)가 삽입되어 정착할 수 있도록 인서트(11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서트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가로보강바의 콘크리트판넬과의 연결단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체결시키면 콘크리트판넬(110) 과 가로보강바(310)가 나사체결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둘째 구체예2는 옹벽벽체(100)가 중공블록(120) 또는 폐타이어블록(130)의 경우이다. 상기 중공블록(120)은 도2a와 같이 내부에 세로연결바(121) 및 중공(1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로보강바(310)의 연결단부를 배면 블록에 형성된가로보강바용 연결구멍(123)을 관통하여 중공 내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연결단부를 중공블록 내부에 정착시킬 수 있는 정착수단(200)이 필요하다.
상기 정착수단(200)은 외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2쌍의 커플러(210) 및 너트(220)가 이용된다. 즉 도2b와 같이 가로보강바(310)의 연결단부를 연결구멍(123)에 삽입시켜 놓은 후, 상기 2쌍의 커플러(210)를 연결단부를 감싸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너트(220)로 상기 연결구멍에 가로보강바가 연결구멍의 안쪽에 걸쳐 정착되도록 한다. 이로서 가로보강바(310)는 중공블록에 완전히 정착되어 설치하기도 용이하고, 정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필요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커플러 및 너트와 같은 정착수단의 변형예를 살펴보면, 도2b와 같이 별도의 커플러 및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가로보강바(310)의 정착단부를 갈고리형상으로 가공한 다음, 중공블록을 세로로 관통하는 세로연결바(121)가 갈고리에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폐타이어블록(130)의 경우에도 도3과 같이 상기 중공블록과 동일하게 가로보강바에 커플러 및 너트와 같은 정착수단 및 세로연결바에 가로보강바의 갈고리 형상의 정착단부가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선단보강체(311)는 가로보강바(310)의 정착단부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의 마찰저항체로서, 도1 내지 도3에는 대표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4a와 같이 삼각, 원형 또는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소요의 토압을 저항할 수 있도록 조정되며 결국 가로보강바(310)의 단부를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적인 단부의 결속을 위해 도4b와 같이 바인더(314,315)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를 사용하지 않고 용접에 의해 선단보강체를 가로보강바에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 가로보강바(310)의 역할은 보강토옹벽에 작용하는 수동토압을 마찰력으로 저항하는 저항체역할을 한다. 즉 마찰저항체로서 보다 큰 마찰력을 얻기 위해서는 가로보강바의 길이, 단면적이 중요한 인자라 할 것인데 상기 가로보강바를 철근으로 할 경우 부식을 완전히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어 소요의 마찰력을 얻기 위한 길이 및 단면적에 일종의 안전율로 일정 크기 이상의 길이 및 단면적을 할증시켜 부식에 의한 단면적의 감소를 미리 할증된 단면적에 의하여 상쇄시킬 수 있다.
상기 선단보강체(311)도 역시 보다 큰 마찰력을 얻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이로서 본 발명의 가로보강바의 길이, 단면적 및 선단보강체의 크기 및 형상에 의하여 소요의 마찰력을 얻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세로보강바(320)는 옹벽벽체(100)에 가로보강바(310)만으로는 소요의 토압에 저항하는 마찰력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가로보강바(310)와 직교하도록 도5a 내지 도5c와 같이 설치되며 그 직교하는 부분은 별도의 연결수단(330)이 설치된다.
도5a는 옹벽벽체(100)를 중공블록(110)으로 한 경우에 있어 가로보강바(310) 에 2개의 세로보강바(320)가 설치된 경우를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인데, 세로보강바(320)의 설치개수는 얼마든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토질 등에 따라 소요의 개수 및 간격이 조정된다. 즉 작업자는 현장여건 등에 따라 세로보강바(320)를 2개 이상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만약 세로보강바(320)의 설치 위치가 토질 및 자유수에 의하여 옹벽벽체 가까이 설치하는 경우 소요의 마찰력을 확보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작업자는 세로보강바(320)를 도5b와 같이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쪽에 간격을 촘촘히 하여 확보할 수 있다. 만약 도5a와 같이 토질에 상관없이 단순히 세로보강바(320)의 개수만으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라면 옹벽벽체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다수개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5c와 같이 세로보강바(320)를 연속하여 연결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경제적인 관점 또는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등에는 작업자가 얼마든지 불연속 형식으로 세로보강바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세로보강바의 설치위치, 개수 및 간격을 현장여건에 따라 작업자가 자유로이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다는 점은 종래의 보강재가 현장여건을 감안하지 않고 단순히 격자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보다 매우 효율적이며, 실용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즉 마찰력을 얻을 수 없는 지반에 격자형상의 보강재를 설치하는 경우, 종국적으로 보강토 축조의 하자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그 보수가 필요하게 되며, 결국 보강토 옹벽의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보수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을 미리 예측하고,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보강토옹벽의 설계 및 시공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의 장점이 있다 할 것이다.
상기 가로보강바(310)와 세로보강바(320)의 연결수단(330)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 도6이다. 상기 연결수단(330)은 가로보강바(310) 및 세로보강바(320)가 서로 직교되는 부분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그 기능은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세로보강바의 간격 및 개수의 조정에 있다고 할 것이므로 도6에서 도시된 것 이외의 형상으로 된 연결수단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6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수단(330)은 가로보강바를 수용할 수 있는 반원형 수용부(331) 및 상기 수용부 양쪽으로 형성된 연결판(33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교하는 가로보강바(310)과 세로보강바(320)를 직교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2개를 조합하여 설치하게 되며, 가로보강바를 수용하는 상부연결수단(330a)과 직교하도록 하부연결수단(330b)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연결수단을 볼트 및 너트로 조이면 가로보강바와 세로보강바가 고정되며, 보다 확실한 가로보강바 및 세로보강바의 연결을 위해 플레이트판과 같은 슬리브를 도6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연결수단 및 하부연결수단 사이에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가로보강바 만으로 소요의 토압에 대한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라면 세로보강바를 굳이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이 경우에는 가로보강바의 길이가 소요의 마찰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배인자라 할 것인데, 철근을 이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면, 그 길이는 이미 공장제품으로 출하되기 때문에 소요의 마찰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 철근을 연결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철근인 가로보강바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그 연결장치로서 커플러 및 너트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옹벽벽체에 설치된 정착수단에 의하여 배면쪽으로 돌출되도록 가로보강바를 설치할 경우 선단보강제까지 포함된 가로보강바를 설치하는 경우 시공상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는 도1과 같이 먼저 옹벽벽체에 일단 정착수단을 이용하여 가로보강바용 연결바를 배면쪽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선단보강체가 형성된 다른 가로보강바를 커플러 및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앵커보강체를 작업자가 얼마든지 길이, 개수 및 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 현장여건에 맞는 안정적인 옹벽벽체를 축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옹벽벽체(100)는 소용의 높이까지 적층되며, 이에 따라 앵커보강체도 아래부위부터 상부까지 설치되는데 앵커보강체의 상하 간격 및 수평 간격 등은 옹벽벽체의 높이 및 소요의 토압을 저항할 수 있는 마찰력의 확보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것이다.
옹벽벽체 및 앵커보강체의 설치가 완료되며 뒷채움을 최종적으로 포설 한후 다짐하고 필요한 배수로 등을 형성시켜 죄종적으로 보강토 옹벽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앵커보강체를 적용할 수 있는 대상의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 도7이다.
즉 도7a에서는 옹벽벽체(100)로서 콘크리트판넬(110)을 이용하여 앵커보강체(300)를 설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7b에서는 옹벽벽체로(100)로서 중공블럭(120)을 이용하여 앵커보강체(300)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7c에서는 도로성토 시와 같이 성토부분 양쪽으로 옹벽벽체(100)를 설치하고 앵커보강체(300)를 성토부 내부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7d 에서는 경사면에 설치된 사면안정블록에 설치된 앵커보강체(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7e 에서는 옹벽벽체에 앵커보강체를 설치하되, 수평으로 설치되는 앵커보강체의 길이만에 의해서는 소용의 마찰력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앵커보강체의 단부를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경사지게 어스앵카식으로 연장하여 설치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7f는 도7e와 같이 설치하되 별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앵커보강체를 수용하는 별도의 구멍에 그라우팅 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도7e 및 도7f의 경우 본 발명이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상 및 구조를 변경시켜 실제 보강토옹벽 축조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 이용되는 옹벽벽체로서 콘크리트판넬, 중공블록 및 폐타이어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할 수 있어 별도의 블록 제작없이도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며, 무엇보다도 현장여건에 따라 그 크기, 간격 및 길이를 얼마든지 작업자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보강토옹벽축조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의 보강토옹벽을 축조하면서 단지 보강재의 연결의 용이성만을 강조한 것과는 구별되어 매우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보강토옹벽 축조가 가능하다.

Claims (10)

  1. 기초 위에 조립식 옹벽벽체를 적층하면서 뒷채움 한 후, 상기 조립식 옹벽벽체와의 정착수단 및 보강앵커체를 조립식 옹벽벽체의 배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소요높이 까지 조립식 옹벽벽체를 설치한 후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앵커체는 선단보강체가 형성된 가로보강바를 단독 또는 상기 가로보강바와 직교하는 세로보강바를 조합한 것으로서, 상기 가로보강바의 길이 및 세로보강바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2. 제1항에서, 상기 조립식 옹벽벽체는 세로연결바가 형성된 중공블록, 가로보강바용 인서트가 형성된 콘크리트판넬 및 폐타이어블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3. 제2항에서, 상기 조립식 옹벽벽체가 세로연결바가 형성된 중공블록 또는 폐타이어블록의 경우, 보강앵커체의 가로보강바와 조립식 옹벽벽체와의 정착수단은,
    상기 중공블록 또는 폐타이어블록의 내부 및 외부를 관통하는 가로보강바 연결용 구멍 내부에 걸치면서 가로보강바의 연결단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커플러;
    상기 가로보강바의 연결단부를 감싼 거플러를 중공블록의 내부에서 정착되는 너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4. 제2항에서, 상기 조립식 옹벽벽체가 세로연결바가 형성된 중공블록 또는 폐타이어블록의 경우, 보강앵커체의 가로보강바와 조립식 옹벽벽체와의 정착수단은,
    상기 중공블록 또는 폐타이어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용 구멍을 통해 가로보강바의 갈고리 형상의 연결단부가 상기 세로연결바에 끼워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5. 제2항에서, 상기 조립식 옹벽벽체가 조립식 콘크리트판넬의 경우, 보강앵커체의 가로보강바와 조립식 옹벽벽체와의 정착수단은, 상기 콘크리트판넬에 형성된 인서트가 삽입된 연결구멍이며, 상기 인서트에 가로보강바가 나사체결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6. 제1항에서, 상기 앵커보강체의 가로보강바 또는 세로보강바는 아연도금, 에폭시코팅된 철근 및 복합재료로 제작된 바(BAR)중 어느 하나로서 부식방지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7. 제1항에서, 상기 앵커보강체의 가로보강바의 선단보강체는 다각형 또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8. 제1항에서, 상기 앵커보강체를 선단보강체가 형성된 가로보강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 길이조정은 조립식 옹벽벽체와의 정착수단으로부터 돌출된 연결단부 와 가로보강바의 연결단부를 서로 맞대어 높고,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커플러 및 너트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서 가로보강바의 전체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9. 제1항에서, 상기 앵커보강체를 선단보강체가 형성된 가로보강바 및 세로보강바의 조합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전체적인 형상이 격자형상으로 설치되도록 하며, 서로 교차하는 연결부는 반원형 수용홈 및 그 양 단부에 연결판으로 구성된 연결장치를 서로 직교하도록 볼트 및 너트로 체결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10. 제9항에서, 앵커보강체의 세로보강바의 간격조정은 상기 연결장치의 볼트 및 너트의 해체에 의해 소요간격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축조공법.
KR10-2002-0004491A 2002-01-25 2002-01-25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KR10046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491A KR100467170B1 (ko) 2002-01-25 2002-01-25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491A KR100467170B1 (ko) 2002-01-25 2002-01-25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431U Division KR200273547Y1 (ko) 2002-01-25 2002-01-25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063A true KR20030064063A (ko) 2003-07-31
KR100467170B1 KR100467170B1 (ko) 2005-01-24

Family

ID=3221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491A KR100467170B1 (ko) 2002-01-25 2002-01-25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1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136B1 (ko) * 2002-11-26 2005-09-15 이근희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0835632B1 (ko) * 2006-12-29 2008-06-09 (주)진영이엔씨 절취사면 보강토 옹벽 공법
KR100855014B1 (ko) * 2006-12-01 2008-08-28 김범수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0861494B1 (ko) * 2007-05-18 2008-10-02 최하영 옹벽용 블록
KR101031583B1 (ko) * 2009-01-16 2011-04-27 (주)기성지앤비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CN110258449A (zh) * 2019-06-25 2019-09-20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城市水环境景观用缓坡挡水结构
AT16709U1 (de) * 2018-03-01 2020-07-15 Gmk System Ag Stützmauerelement und Stützmauer aus Stützmauerelement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88B1 (ko) * 2008-09-16 2011-04-04 윤기현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KR100980760B1 (ko) * 2010-01-13 2010-09-10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58684B1 (ko) 2011-07-05 2012-06-22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커플러, 이를 이용한 옹벽블럭 설치구조 및 설치공법
KR102218755B1 (ko) 2020-11-23 2021-02-22 라파이엔씨 주식회사 보강토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KR102510850B1 (ko) * 2022-08-17 2023-03-16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성토부 보강을 위한 그리드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발파석 옹벽 시공 방법
KR102510851B1 (ko) * 2022-08-17 2023-03-16 더베스트테크 주식회사 성토부 보강을 위한 그리드 고정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발파석 옹벽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361B1 (ko) * 1998-01-14 2000-03-15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5136B1 (ko) * 2002-11-26 2005-09-15 이근희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0855014B1 (ko) * 2006-12-01 2008-08-28 김범수 인장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0835632B1 (ko) * 2006-12-29 2008-06-09 (주)진영이엔씨 절취사면 보강토 옹벽 공법
KR100861494B1 (ko) * 2007-05-18 2008-10-02 최하영 옹벽용 블록
KR101031583B1 (ko) * 2009-01-16 2011-04-27 (주)기성지앤비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AT16709U1 (de) * 2018-03-01 2020-07-15 Gmk System Ag Stützmauerelement und Stützmauer aus Stützmauerelementen
CN110258449A (zh) * 2019-06-25 2019-09-20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城市水环境景观用缓坡挡水结构
CN110258449B (zh) * 2019-06-25 2024-05-24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城市水环境景观用缓坡挡水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7170B1 (ko) 200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5564B1 (ko) 자립식 패널옹벽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자립식 패널옹벽 구조물
KR100467170B1 (ko)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WO2011114507A1 (ja) 新設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JP2007291707A (ja)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200409942Y1 (ko) 용이한 설치구조를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스트러트받침부재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200273547Y1 (ko)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JP2009185487A (ja) 浄化槽基礎構造体及びその構築法
KR100808977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코너 버팀보의 연결장치
JP6283906B2 (ja) 支柱基礎
JP6866980B2 (ja) 接合用キャップおよび杭頭接合構造
KR102352719B1 (ko) 2 방향 인양 하중에 저항하고 옹벽 세그멘트 연결장치를 겸용하는 하이브리드 인양 앵커와 이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467234B1 (ko) 패널 삽입식 옹벽 및 옹벽시공방법
KR102482690B1 (ko)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100935317B1 (ko) 보강재가 삽입된 조립식 옹벽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JP2010084460A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102272258B1 (ko) 강관을 이용한 h파일의 변위 저항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H09203053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
KR200194424Y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KR20010028793A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옹벽
JP2003166244A (ja) 補強土構造、補強材、補強土用ブロック及び補強土用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102652914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고정 장치
KR102400508B1 (ko)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