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087A -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087A
KR20030063087A KR1020020061362A KR20020061362A KR20030063087A KR 20030063087 A KR20030063087 A KR 20030063087A KR 1020020061362 A KR1020020061362 A KR 1020020061362A KR 20020061362 A KR20020061362 A KR 20020061362A KR 20030063087 A KR20030063087 A KR 20030063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inding
support surface
clasp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자키다다히로
오가와기요시
Original Assignee
다이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3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0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65B13/027Hand-held tools for applying straps having preformed connecting means, e.g. cable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Kniv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결속물의 결속작업에 있어서, 결속밴드의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의 자른 나머지나 절단장소의 치우침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의 절단단을 만곡형상으로 형성하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결속장치(2)가 결속밴드(1)를 감아 걸친 피결속물(M)을 조이는 조임기능과, 피결속물(M)을 조인 후에 밴드부(12)의 잉여부분을 절단제거하는 절단제거기능을 갖고, 결속장치(2)의 조임기능이 꼭지쇠(2)의 받침면(32)에서 결속밴드(1)의 헤드부(13)를 받아 고정한 상태에서 밴드부(12)를 인출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발휘되며, 꼭지쇠(2)의 받침면(32)을 곡형으로 형성하고 그 받침면(32)에 미끄러짐성을 구비시키며, 절단날(5)의 날끝(52)의 형상을 만곡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속장치{TYING DEVICE}
본 발명은 결속장치, 특히 피결속물에 감아 걸친 결속밴드를 조여서 절단할 수 있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선설비(wiring harness ) 등의 선재나 그 밖의 피결속물을 결속하는데 이용되는 결속밴드로서 도 10에 나타낸 결속밴드(1)가 알려져 있다. 이 결속밴드(1)는 밴드부(12)의 일단부에 헤드부(13)가 연설된 합성수지의 일체성형체로 이루어지고, 밴드부(12)의 한쪽면측에 걸어고정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대해 헤드부(13)에는 걸어고정보습(14)을 갖는 밴드부삽입구멍부(1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밴드부(12)를 구부려서 그 타단부를 밴드부삽입구멍부(15)에 편측으로부터 화살표(a)와 같이 삽입하여 화살표(b)와 같이 타측으로 인출하면 밴드부(12)의 임의 장소에서 상기 걸어고정보습(14)이 걸어맞추고, 그것에 의하여 밴드부(12)를 밴드부삽입구멍부(15)로부터 반삽입방향(반화살표(a)방향)으로 인발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밴드부(12)를 화살표(b)방향으로 인출하는 조작을 실시했을 때에는 밴드부(12)가 밴드부삽입구멍부(15)에 삽입되어 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결속밴드(1), 즉 밴드부(12)와 이 밴드부(12)가 화살표(a)방향으로 삽입 가능하고 반삽입방향(반화살표(a)방향)으로 인발 불가능한 밴드부삽입구멍부(15)를 구비한 헤드부(13)를 갖는 결속밴드(1)를 사용하여 배선설비 등의 피결속물을 결속할 때에 이용되는 결속장치로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것이 알려져 있다.
도 8은 결속장치(2)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의 설명도, 도 9는 결속장치(2)의 요부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결속장치(2)는 총신부(21)를 구비한 총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총신부(21)의 선단에 꼭지쇠(3)가 부착되고, 또한 그 꼭지쇠(3)의 후측에 클램프(4)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꼭지쇠(3)의 안쪽에는 절단날(5)이 편입되어 있는 동시에, 꼭지쇠(3)는 슬릿상의 개구(31)를 가지고 있다. 또 클램프(4)는 고정편(41)과 이 고정편(41)에 대하여 접근 이반 요동되는 가동편(42)을 가지고 있다. 이 결속장치(2)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트리거를 인입하는 조작을 통하여 클램프(4)가 후퇴하고, 트리거의 원위치로 복귀하는 조작을 통하여 클램프(4)가 전진한다. 그리고 클램프(4)가 후퇴할 때에는 가동편(42)이 지축(43)을 지점으로 하여 고정편(4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클램프모드로 되고, 클램프(4)가 전진할 때에는 가동편(42)이 지축(43)을 지점으로 하여 고정편(4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클램프해제모드로 된다. 또 클램프(4)를 후퇴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일정값을 초과한다는 상황이 생겼을 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레버(51)가 동작하여 절단날(5)을 밀어올림으로써 그 절단날(5)이 꼭지쇠(3)의 개구(31)를 가로질러서 이동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결속밴드(1)의 밴드부(12)를 배선설비 등의 피결속물(M)에 감아 걸쳐서 헤드부(13)의 밴드부삽입구멍부(15)에 삽입하는 동시에, 그 밴드부삽입구멍부(15)의 타측으로 인출된 밴드부(12)를 꼭지쇠(3)의 개구(31)에 삽입통과시키고, 또한 그 밴드부(12)를 클램프(4)의 고정편(41)과 가동편(42)의 사이에 삽입통과시킨 후 결속장치(2)의 상기 트리거의 인입동작과 복귀조작을 반복하면, 결속밴드(1)의 헤드부(13)가 꼭지쇠(3)의 평탄한 전단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받침면(32)에 의하여 받아 고정된 상태에서 트리거가 인입조작될 때마다 밴드부(12)가 클램프(4)에 의하여 헤드부(13)의 밴드부삽입구멍부(15)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어서 피결속물(M)이 밴드부(12)에 의하여 조여진다(결속장치의 조임기능).
이렇게 하여 피결속물(M)이 밴드부(12)에 의하여 조여진 상태를 도 11a에 설명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b에 밴드부(12)를 절단했을 때의 상태를 설명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a와 같이 피결속물(M)이 조여진 후의 트리거의 인입조작에서는 클램프(4)를 도 11b의 화살표(d)와 같이 후퇴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일정값을 초과하므로, 도 9에 나타낸 레버(51)의 동작을 통하여 도 11b와 같이 절단날(5)이 화살표(c)와 같이 밀어 올려져서 꼭지쇠(3)의 개구(31)를 가로지른다. 이것에 의해 절단날(5)이 밴드부(12)를 절단하고 밴드부(12)의 잉여부분(12a)이 절단제거된다(결속장치의 절단제거기능).
종래의 결속장치(2)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절단날(5)은 그 날끝(52)이 직선상으로 되어 있었다(이하 직선상의 날끝(52)을 「직선날」이라고 한다). 그 때문에 그 결속장치(2)를 이용하여 결속밴드(1)로 도 11b와 같이 피결속물(M)을 결속하고 밴드부(12)를 절단하여 잉여부분(12a)을 절단제거하면, 도 12a와 같이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한 밴드부(12)의 절단날(12b)의 형상도 직선상으로 되어 그 절단단(12b)의 양측에 에지(12c)가 형성된다.
그런데 도 12a와 같이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한 밴드부(12)의 절단단(12b)의 양측에 에지(12c)가 형성되어 있으면 그 에지(12c)에 작업자의 손이나 손가락이 걸려서 상처가 난다는 위험이 있다.
그래서 그와 같은 위험을 없애기 위해,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한 밴드부(12)의 절단단의 형상을 만곡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생기고, 그 대책을 위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날(5)의 날끝(52)을 만곡형상으로 변경했다.
도 13은 만곡형상의 날끝(52)을 갖는 절단날(5)이 안쪽에 편입된 꼭지쇠(3)의 횡단면형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동일 도면의 절단날(5)의 날끝(52)의 형상은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후방에 위치하도록 만곡해 있다. 환언하면, 이 절단날(5)의 날끝(52)은 도 10에 나타낸 결속밴드(1)의 헤드부(13)의 밴드부삽입구멍부(15)로부터의 밴드부(12)의 인출방향(화살표(b))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이하 만곡형상의 날끝(52)을 「만곡날」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절단날(5)의 날끝(52)을 직선날로부터 만곡날로 변경하면 종래의 결속장치(2)를 이용하여 결속밴드(1)로 도 11b와 같이 피결속물(M)을 결속하고, 밴드부(12)를 절단하여 잉여부분(12a)을 절단제거하면 도 12b와 같이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한 밴드부(12)의 절단단(12b)의 형상도 만곡형상으로 되어서 그 절단단(12b)의 양측에 에지가 되지 않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이 없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결속장치에서는, 도 8에 설명한 바와 같이 결속밴드(1)의 헤드부(13)가 꼭지쇠(3)의 평탄한 전단면에서 형성되어 있는 받침면(32)에 의하여 받음고정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절단날(5)의 날끝(52)을 도 13과 같은 만곡날로 변경하면 다음에 도 14 또는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문제가 새롭게 발생했다. 도 14는 결속밴드(1)가 정상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꼭지쇠(3)의 횡단면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결속밴드(1)가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꼭지쇠(3)의 횡단면형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즉 도 14와 같이 결속밴드(1)의 헤드부(13)가 꼭지쇠(3)의 선단면에 구비되어 있는 평탄한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받아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하여 꼭지쇠(3)의 개구(31)에 삽입통과된 밴드부(12)가 절단날(5)의 만곡날로 이루어지는 날끝(52)의 폭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므로, 절단날(5)에 의하여 그 밴드부(12)가 절단되면 밴드부(12)의 절단단(12b)(도 12 참조)의 형상이 좌우대칭인 만곡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밴드부(12)의 절단단(12b)(도 12 참조)의 형상이 좌우대칭인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도 14와 같이 결속밴드(1)의 헤드부(13)가 꼭지쇠(3)의 평탄한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받아 고정되어 있을 때뿐이고, 그 밖의 상태에서는 밴드부(12)의 절단단(12b)(도 12 참조)의 형상이 좌우대칭인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5와 같이 결속밴드(1)의 헤드부(13)가 꼭지쇠(3)의 평탄한 받침면(32)의 중앙부로부터 편측에 치우친 장소에서 받아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하여 꼭지쇠(3)의 개구(31)에 삽입통과된 밴드부(12)가 절단날(5)의 만곡날로 이루어지는 날끝(52)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편측에 치우친 장소에 대향하도록 되므로, 절단날(5)에 의하여 그 밴드부(12)가 절단되면밴드부(12)의 절단단(12b)(도 12 참조)의 형상이 좌우비대칭으로 되어 절단단(12b)의 편측에 에지가 형성되거나 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밴드부(12)의 일부만이 절단날(5)에 의해 절단되고 밴드부(12)에 자른 나머니가 생겨서 밴드부(12)가 절단제거되지 않게 된다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 L1은 꼭지쇠(1)의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 및 절단날(5)의 만곡날의 폭방향 중앙부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인출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심축선을 나타내며, L2는 결속밴드(1)의 밴드부(12)의 폭방향 중앙부를 통과하는 중심축선을 나타내고 있고, 도 14의 경우에는 2개의 중심축선(L1, L2)이 일치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결속장치에서는 절단날(5)의 날끝(52)이 직선날이었기 때문에, 피결속물(M)을 결속한 결속밴드(1)의 밴드부(12)의 절단단(12b)의 형상이 직선상으로 되고, 그 절단단(12b)의 양측에 형성되는 에지(12c)로 작업자가 상처를 입을 위험이 있었다.
그래서 그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절단날(5)의 날끝(52)을 만곡날로 변경하면 이번에는 꼭지쇠(3)의 받침면(32)이 평탄면이기 때문에, 결속밴드(1)의 헤드부(13)를 꼭지쇠(3)의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결정하여 받아 고정시키기 위한 귀찮음으로 번거로운 수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그 때문에 많은 장소를 결속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결속작업의 작업효율이 대폭적으로 저하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이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꼭지쇠의 받침면의 형상에 고안함으로써 결속밴드로 피결속물을 조이는 작업을 통하여 결속밴드의 헤드부가 꼭지쇠의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자연스럽게 위치결정되도록 되고,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에 자른 나머지가 생긴다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절단날의 날끝을 만곡날로 한 경우에 결속밴드의 헤드부를 수작업으로 꼭지쇠의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결정한다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그 헤드부가 꼭지쇠의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자연스럽게 위치결정되어 그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의 절단단이 좌우대칭의 만곡형상을 형성되도록 되는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속밴드의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의 돌출길이를 정확하게 정하는 것이 가능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결속장치는, 밴드부와 이 밴드부가 삽입 가능하고 반삽입방향으로 인발 불가능한 밴드부삽입구멍부를 구비한 헤드부를 갖는 결속밴드의 상기 밴드부삽입구멍부에 삽입된 상기 밴드부를 상기 밴드부삽입구멍부로부터의 인출방향으로 인출하여 그 밴드부를 감아 걸친 피결속물을 조이는 조임기능과, 피결속물을 조인 후에 상기 밴드부삽입구멍부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상기 밴드부의 잉여부분을 절단제거하는 절단제거기능을 갖고, 상기 조임기능이 꼭지쇠의 전단면에 구비된 받침면에서 상기 헤드부를 받아 고정한 상태에서 그 꼭지쇠의 슬릿상의 개구에 삽입통과된 상기 밴드부의 잉여부분을 클램프기구에 의해 쥐게 하여 상기 인출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발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조건은 도 8 또는 도 9 등에서설명한 결속장치에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꼭지쇠의 상기 받침면이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상기 인출방향 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헤드부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구비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결속밴드의 헤드부를 꼭지쇠의 받침면에 받아 고정시킨 후에 그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를 클램프기구에 의해 쥐게 하여 인출방향으로 인출하고 피결속물을 조이면 헤드부가 받침면에 밀어붙여진다. 그 때문에 헤드부가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헤드부가 그 위치에서 받침면에 밀어붙여지는 것에 대해, 헤드부가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로부터 편측으로 치우쳐 있을 때에는 헤드부가 받침면을 미끄러져서 그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로 밀려진다는 구심작용이 발휘된다. 그 때문에 피결속물을 조인 후에 헤드부의 밴드부삽입구멍부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밴드부의 잉여부분을 절단제거할 때에는 헤드부가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자연스럽게 위치결정되어 있으며, 게다가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가 절단날의 날끝의 폭방향 중앙부에 대향하여 그 날끝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절단되도록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경사면은 상기 받침면의 중앙부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인출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심축선을 끼워서 위치하는 평탄한 편측영역과 평탄한 타측영역의 상기 중심축선에 대한 열림각도가 동일한 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결속밴드의 헤드부가 받침면의 상기 중심축선의 좌우 어느 쪽의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어도 피결속물이 조여져서 헤드부가 받침면에 밀어붙여지면, 상기한 받침면의 구심작용에 의하여 헤드부가 받침면의 푹방향 중앙부에 같은 상태로 위치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절단제거기능이 상기 꼭지쇠의 안쪽에서 슬릿상의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서 이동하는 절단날에 의하여 발휘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 절단날의 날끝이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상기 인출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받침면이 상기한 구심작용을 발휘하는 것과, 절단날의 날끝이 만곡날인 것이 서로 어울려서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의 절단단의 만곡형상이 좌우대칭으로 되어 그 양단에 에지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면에 의하여 받아 고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단면과 상기 밴드부의 절단단의 간격이 상기 받침면에 의한 상기 헤드부의 받음고정장소와 상기 절단날의 날끝의 간격에 의하여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받침면에 의한 헤드부의 받음고정장소와 절단날의 날끝의 간격이 헤드부의 단면과 밴드부의 절단단의 간격에 정확하게 반영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편측영역과 상기 타측영역에 걸쳐서 상기 헤드부를 받아 들이고 그 헤드부를 상기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위치결정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그 오목부의 저면이 상기 헤드부를 받아 고정하는 보조받침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기 보조받침면에 의하여 받아 고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단면과 상기 밴드부의 절단단의 간격이 상기 보조받침면에 의한 상기 헤드부의 받음고정장소와 상기 절단날의 날끝의 간격에 의하여 정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보조받침면에의한 헤드부의 받음고정장소와 절단날의 날끝의 간격이 헤드부의 단면과 밴드부의 절단단의 간격에 정확히 반영된다. 또 헤드부가 오목부에 들어가는 크기이면 보조받침면이 헤드부를 받아 고정하여 받침면 내지 보조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결정하는 것을 돕고, 헤드부가 오목부에 들어가지 않는 크기이면 오목부의 주위의 받침면이 헤드부를 받아 고정하고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결정하는 것을 돕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에 이용되는 꼭지쇠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동일 꼭지쇠에 절단날을 맞붙인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꼭지쇠(3)를 채용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의 작용설명도.
도 4는 도 1의 꼭지쇠(3)를 채용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의 다른 상태에서의 작용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에 이용되는 다른 꼭지쇠의 개략사시도.
도 6은 도 5의 꼭지쇠를 채용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의 작용설명도.
도 7은 받침면을 형성하고 있는 곡형의 사시면의 열림각도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결속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의 설명도.
도 9는 결속장치의 요부의 개략단면도.
도 10은 결속밴드를 예시한 측면도.
도 11a는 피결속물(M)이 조여진 상태의 설명도, 도 11b는 밴드부를 절단했을 때의 상태의 설명도.
도 12a는 직선날을 이용한 경우의 밴드부의 절단단의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도 12b는 만곡날을 이용한 경우의 밴드부의 절단단의 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만곡날을 갖는 절단날이 안쪽에 편입된 꼭지쇠의 횡단면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결속밴드가 정상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꼭지쇠의 횡단면형상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결속밴드가 정상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꼭지쇠의 횡단면형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결속밴드3: 꼭지쇠
4: 클램프기구5: 절단날
12: 밴드부12a: 밴드부의 잉여부분
12b: 밴드부의 절단단13: 헤드부
15: 밴드부삽입구멍부31: 개구
32: 받침면33: 편측(片側)영역
34: 타측(他側)영역36: 오목부
36a: 보조받침면52: 절단날의 날끝
b: 인출방향θ1, θ2: 열림각도
M: 피결속물L1: 중심축선
X1, X2: 헤드부의 단면과 밴드부의 절단단의 간격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에 이용되는 꼭지쇠(3)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동일 꼭지쇠(3)에 절단날(5)을 맞붙인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꼭지쇠(3)를 채용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의 작용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도 8∼도 12 등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의 꼭지쇠(3)는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결속장치(2)의 꼭지쇠(3)와 치환하여 이용된다. 도 1의 꼭지쇠(3)는 그 전단면의 전체가 받침면(32)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그 받침면(32)은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결속밴드(1)의 헤드부(13)에 대한 미끄러짐성이 풍부해 있다. 받침면(32)의 미끄러짐성은 꼭지쇠(3)의 재료를 적당히 선택하거나 받침면(32)에 도금층을 형성하거나 하는 것 등에 의하여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예의 꼭지쇠(3)의 받침면(32)은 평탄한 편측영역(33)과 평탄한 타측영역(34)으로 좌우에 2구획되어 있으며, 그들의 각 영역(33, 34)이 곡형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각 영역(33, 34)의 경계부분(35)이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받침면(32)은 그 폭방향(W1)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후방에 위치하는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받침면(32)을 형성하고 있는 곡형의 경사면은 도 8에서 설명한 형태에서 피결속물을 결속밴드(1)로 결속하는 경우에 받침면(32)에 받아 고정시킨 결속밴드(1)의 헤드부(13)의 밴드부삽입구명부(15)에 삽입통과한 밴드부(12)를 그 밴드부삽입구멍부(15)로부터 인출하는 방향(화살표(b): 도 10 참조)에 위치하는 장소만큼 인출방향(b)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게다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면(32)을 형성하고 있는 곡형의 경사면은 받침면의 중앙부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인출방향(b)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심축선(L1)을 끼워서 위치하는 평탄한 편측영역(33)과 평탄한 타측영역(34)의 상기 중심축선(L1)에 대한 열림각도(θ1, θ2)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받침면(32)을 구비하는 꼭지쇠(3)는 가로로 긴 슬릿상의 개구(31)를 갖고 있는 동시에, 그 안쪽에 절단날(5)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 또는 도 4에 설명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날(5)은 그 날끝(52)이 만곡날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날끝(52)이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상기 인출방향(b)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31)는 편측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개방구(31a)를 통하여 상기한 결속밴드(1)의 밴드부(12)를 중간부분을 개구(31)에 끼워넣어서 삽입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꼭지쇠(3)는 도 9에 나타낸 꼭지쇠(3)로 치환하고 결속장치(2)의 총신부(21)의 선단에 나사고정 등의 적당한 수단으로 부착된다. 또 도 2에 나타낸 절단날(5)에는 도 9의 레버(51)가 연결되고, 그 레버(51)의 동작에 의하여 절단날(5)이 상하 슬라이드된다.
실시형태의 결속장치(2)에 있어서도 첫머리에서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꼭지쇠(3)의 후측에 클램프(4)가 배치되어 있고, 클램프(4)는 고정편(41)과 이 고정편(41)에 대하여 접근 이반 요동되는 가동편(4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고 있지 않은 트리거를 인입하는 조작을 통하여 클램프(4)가 후퇴하고, 트리거의 원위치로 복귀하는 조작을 통하여 클램프(4)가 전진한다. 그리고 클램프(4)가 후퇴할 때에는 가동편(42)이 지축(43)을 지점으로 하여 고정편(4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클램프모드로 되고, 클램프(4)가 전진할 때에는 가동편(42)이 지축(43)을 지점으로 하여 고정편(42)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요동하여 클램프해제모드로 된다. 또 클램프(4)를 후퇴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일정값을 넘는다는 상황이 생겼을 때에는 도 9에 나타낸 레버(51)가 동작하여 절단날(5)을 밀어올림으로써 그 절단날(5)이 꼭지쇠(3)의 개구(31)를 가로질러서 이동한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결속밴드(1)의 밴드부(12)를 배선설비 등의 피결속물(M)에 감아 걸쳐서 헤드부(13)의 밴드부삽입구멍부(15)에 삽입하는 동시에, 그 밴드부삽입구멍부(15)의 타측으로 인출된 밴드부(12)를 꼭지쇠(3)의 개구(31)에 삽입통과시키고, 또한 그 밴드부(12)를 클램프(4)의 고정편(41)과 가동편(42)의 사이에 삽입통과시킨 후 결속장치(2)의 상기 트리거의 인입조작과 복귀조작을 반복하면, 결속밴드(1)의 헤드부(13)가 꼭지쇠(3)의 받침면(32)에 의하여 받아 고정된 상태에서트리거가 인입조작될 때마다 밴드부(12)가 클램프(4)에 의하여 헤드부(13)의 밴드부삽입구멍부(15)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고 피결속물(M)이 밴드부(12)에 의하여 조여져서 조임기능이 발휘된다. 이렇게 하여 도 11a와 같이 피결속물(M)이 조여진 후의 트리거의 인입조작에서는 클램프(4)를 도 11b의 화살표(d)와 같이 후퇴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일정값을 초과하므로, 도 9에 나타낸 레버(51)의 동작을 통하여 도 11b와 같이 절단날(5)이 화살표(c)와 같이 밀어올려져서 꼭지쇠(3)의 개구(31)를 가로지른다. 이것에 의해 절단날(5)이 밴드부(12)를 절단하고, 밴드부(12)의 잉여부분(12a)이 절단제거되어서 절단제거기능이 발휘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절단날(5)의 날끝(52)이 만곡날로 되어 있으므로,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한 밴드부(12)의 절단단(12b)의 형상도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만곡형상으로 되어, 그 절단날(12b)의 양측에 에지가 되지 않게 되어서 작업자가 상처를 입는다는 위험이 없어진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의 결속장치(2)에 있어서, 꼭지쇠(3)의 받침면(32)은 그 폭방향(W1)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상기 인출방향(b)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결속밴드(1)의 헤드부(13)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구비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결속물(M)에 감아 걸려져서 헤드부(13)의 밴드부삽입통과구멍부(15)에 삽입통과시킨 밴드부(12)를 꼭지쇠(3)의 개구(31)에 삽입통과시킨 초기의 상태가,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받침면(32)의 편측에 치우쳐 있다고 해도 결속밴드(1)의 헤드부(13)를 받침면(32)에 받아 고정시킨 후에 그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한 밴드부(12)를 도 8에 나타낸 클램프기구(4)에 의해 쥐게 하고인출방향(b)으로 인출하여 피결속물(M)을 조이면 헤드부(13)가 받침면(32)을 미끄러져서 그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로 밀려진다는 구심작용이 발휘된다. 그 때문에 피결속물(M)을 조인 후에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해 있는 밴드부(12)의 잉여부분을 절단제거하는 데에는 헤드부(13)가 도 3과 같이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자연스럽게 위치결정되어 있으며, 게다가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한 밴드부(12)가 절단날(5)의 날끝(52)의 폭방향 중앙부에 대향하여 그 날끝(52)이 폭방향 중앙부에서 절단된다. 밴드부(12)를 꼭지쇠(3)의 개구(31)에 삽입통과시킨 초기의 상태에서 이미 헤드부(13)가 도 3과 같이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헤드부(13)가 그 위치에서 받침면(32)에 밀어붙여지기 때문에, 헤드부(13)로부터 돌출한 밴드부(12)도 절단날(5)의 날끝(52)의 폭방향 중앙부에 대향하여 그 날끝(52)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절단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받침면(32)이 그 중심축선(L1)을 끼우서 위치하는 좌우의 평탄한 영역(33, 34)의 중심축선(L1)에 대한 열림각도(θ1, θ2)가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의 상태에서 결속밴드(1)의 헤드부(13)가 받침면(32)의 중심축선(L1)의 좌우 어느 쪽의 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었다고 해도 피결속물(M)이 조여져서 헤드부(13)가 받침면(32)에 밀어붙여지면 그 받침면(32)의 구심작용에 의하여 헤드부(13)가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같은 상태로 위치결정되고, 그 결과 많은 장소에서 결속장치를 실시하는 경우에 어느 장소의 결속밴드(1)의 밴드부(12)의 절단단도 같은 형상으로 완성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에 이용되는 다른 꼭지쇠(3)의 개략사시도, 도 6은 도 5의 꼭지쇠(3)를 채용한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의 작용설명도이다. 이하 도 5의 꼭지쇠(3)를 채용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도 1이나 도 2 등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5의 꼭지쇠(3)는 받침면(32)에 구비되어 있는 평탄한 편측영역(33)과 평탄한 타측영역(34)에 걸쳐서 가로로 긴 오목부(36)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36)의 저면이 보조받침면(36a)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오목부(36)의 저벽부분에 슬릿상으로 형성된 개구(3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면예에서는 받침면(32)을 형성하고 있는 곡형의 경사면의 곡저(谷底)부분(37)을 평탄하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이외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꼭지쇠(3)와 같은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도 5의 꼭지쇠(3)를 총신부(21)에 부착한 결속장치(2)에 의하면, 헤드부(13)의 크기가 다른 결속밴드(1)에 따라서 받침면(32)과 보조받침면(36a)을 구별지어 처리해서 결속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오목부(36)에 들어가는 크기의 헤드부(13)를 구비한 결속밴드(1)로 피결속물(M)을 결속할 때에는 결속장치(2)에서 상기한 조임기능을 발휘시키면 받침면(32)의 구심작용에 의하여 헤드부(13)가 도 6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36)에 들어가서 보조받침면(36a)에 의하여 받아 고정되고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결정된다. 또 오목부(36)에 들어가지 않는 크기의 헤드부(13)를 구비한 결속밴드(1)로 피결속물(M)을 결속할 때에는 결속장치(2)에서 상기한 조임기능을 발휘시키면 받침면(32)의 구심작용에 의하여 헤드부(13)가 오목부(36)에 들어가지 않고 받침면(32)에 의하여 받아 고정되고 받침면(32)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결정된다. 그 밖의 작용은 도 1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꼭지쇠(3)와 동등하게 발휘된다.
그런데 도 1에서 설명한 꼭지쇠(3)를 이용한 결속장치(2)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면(32)에 의하여 받아 고정되는 헤드부(13)의 단면과 밴드부(12)의 절단단의 간격(X1)이 받침면(32)에 의한 헤드부(13)의 받음고정장소와 절단날(5)의 날끝(52)의 간격에 의하여 정확하게 정해진다. 그 때문에 받침면(32)에 의한 헤드부(13)의 받음고정장소와 절단날(5)의 날끝(52)의 간격이 헤드부(13)의 단면과 밴드부(12)의 절단단의 간격(X1)에 정확하게 반영된다. 똑같이 도 5에 나타낸 꼭지쇠(3)를 이용한 결속장치에 있어서, 오목부(36)에 들어가는 크기의 헤드부(13)를 구비한 결속밴드(1)를 취급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보조받침면(36a)에 의하여 받아 고정되는 헤드부(13)의 단면과 밴드부(12)의 절단단의 간격(X2)이 보조받침면(36a)에 의한 헤드부(13)의 받음고정장소와 절단날(5)의 날끝(52)의 간격에 의하여 정확하게 정해진다. 그 때문에 보조받침면(36a)에 의한 헤드부(13)의 받음고정장소와 절단날(5)의 날끝(52)의 간격이 헤드부(13)의 단면과 밴드부(12)의 절단단의 간격(X2)에 정확하게 반영된다.
그리고 도 1에서 설명한 꼭지쇠(3)의 경우에는 받침면(32)에 의한 헤드부(13)의 받음고정장소와 절단날(5)의 날끝(52)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도 5에 설명한 꼭지쇠(3)의 경우에는 보조받침면(36a)에 의한 헤드부(13)의 받음고정장소와 절단날(5)의 날끝(52)의 간격을 바꿈으로써, 헤드부(13)의 단면과 밴드부(12)의 절단단의 간격(X1, X2)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도 15에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결속장치에 따르면, 결속밴드로 피결속물(M)을 조이는 작업을 통하여 결속밴드의 헤드부가 꼭지쇠의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자연스럽게 위치결정되게 되므로,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에 자른 나머지가 생긴다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는다. 또 절단날의 날끝을 만곡날로 한 것으로는 결속밴드의 헤드부를 수작업으로 꼭지쇠의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결정한다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그 헤드부가 꼭지쇠의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 자연스럽게 위치결정되고 그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의 절단단이 좌우대칭의 만곡형상으로 형성되게 되어 안전한 결속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속밴드의 헤드부로부터 돌출한 밴드부의 돌출길이를 정확하게 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밴드부와 이 밴드부가 삽입 가능하고 반삽입방향으로 인발 불가능한 밴드부삽입구멍부를 구비한 헤드부를 갖는 결속밴드의 상기 밴드부삽입구멍부에 삽입된 상기 밴드부를 상기 밴드부삽입구멍부로부터의 인출방향으로 인출하여 그 밴드부를 감아 걸친 피결속물을 조이는 조임기능과, 피결속물을 조인 후에 상기 밴드부삽입구멍부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상기 밴드부의 잉여부분을 절단제거하는 절단제거기능을 갖고, 상기 조임기능이 꼭지쇠의 전단면에 구비된 받침면에서 상기 헤드부를 받아 고정한 상태에서 그 꼭지쇠의 슬릿상의 개구에 삽입통과된 상기 밴드부의 잉여부분을 클램프기구에 의해 쥐게 하여 상기 인출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발휘되도록 되어 있는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꼭지쇠의 상기 받침면이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상기 인출방향 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헤드부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구비한 경사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경사면은 상기 받침면의 중앙부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인출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중심축선을 끼워서 위치하는 평탄한 편측영역과 평탄한 타측영역의 상기 중심축선에 대한 열림각도가 동일한 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거기능이 상기 꼭지쇠의 안쪽에서 슬릿상의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서 이동하는 절단날에 의하여 발휘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 절단날의 날끝이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상기 인출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제거기능이 상기 꼭지쇠의 안쪽에서 슬릿상의 상기 개구를 가로질러서 이동하는 절단날에 의하여 발휘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그 절단날의 날끝이 그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 가까운 장소만큼 상기 인출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에 의하여 받아 고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단면과 상기 밴드부의 절단단의 간격이 상기 받침면에 의한 상기 헤드부의 받음고정장소와 상기 절단날의 날끝의 간격에 의하여 정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6. 제 2 항에서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면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편측영역과 상기 타측영역에 걸쳐서 상기헤드부를 받아 들이고 그 헤드부를 상기 받침면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위치결정하는 오목부가 구비되고, 그 오목부의 저면이 상기 헤드부를 받아 고정하는 보조받침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받침면에 의하여 받아 고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단면과 상기 밴드부의 절단단의 간격이 상기 보조받침면에 의한 상기 헤드부의 받음고정장소와 상기 절단날의 날끝의 간격에 의하여 정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KR1020020061362A 2002-01-21 2002-10-09 결속장치 KR20030063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11270 2002-01-21
JP2002011270A JP3536045B2 (ja) 2002-01-21 2002-01-21 結束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087A true KR20030063087A (ko) 2003-07-28

Family

ID=1919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362A KR20030063087A (ko) 2002-01-21 2002-10-09 결속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26045B2 (ko)
JP (1) JP3536045B2 (ko)
KR (1) KR20030063087A (ko)
CN (1) CN1255300C (ko)
TW (1) TWI22113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308B1 (ko) * 2013-12-04 2014-06-25 임성일 고정 밴드 클램프 장치
KR102267779B1 (ko) * 2020-07-20 2021-06-22 박상철 하니스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3660B1 (en) * 2004-06-04 2012-12-19 Panduit Corporation Low tension flush cut-off cable tie installation tool
JP5297684B2 (ja) * 2008-04-25 2013-09-25 ヘラマンタイトン株式会社 手動結束工具
US10035246B2 (en) * 2014-05-28 2018-07-31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ing a cable tie
CN104085557B (zh) * 2014-06-18 2016-03-30 浙江松盛金属制品有限公司 扁钢打包装置
JP6607400B2 (ja) * 2015-08-10 2019-1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磁性体コアの固定構造
JP2018030638A (ja) * 2016-08-26 2018-03-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ンド切断装置
US11511894B2 (en) 2019-09-26 2022-11-29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tie application tool
EP3862514A1 (en) 2020-02-10 2021-08-11 Max Co., Ltd. Binding machine
USD1012641S1 (en) 2021-10-25 2024-01-30 Aptiv Technologies Limited Tool nosepiece
US20230128208A1 (en) * 2021-10-26 2023-04-27 Hellermanntyton Corporation Severing a Cable Tie with a Rounded Cu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2346A (en) * 1971-03-26 1973-01-23 Thomas & Betts Corp Strap tightening and cutting tool
US3746055A (en) * 1972-06-23 1973-07-17 Thomas & Betts Corp Ejecting means
US5127446A (en) * 1990-10-05 1992-07-07 Band-It-Idex, Inc. Banding tool with a force storing device
US5832964A (en) * 1997-10-24 1998-11-10 Pandiut Corp. Cable tie tensioning and severing tool
US6206053B1 (en) * 1999-11-01 2001-03-27 Panduit Corp. Cable tie tensioning and severing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308B1 (ko) * 2013-12-04 2014-06-25 임성일 고정 밴드 클램프 장치
KR102267779B1 (ko) * 2020-07-20 2021-06-22 박상철 하니스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12204A (ja) 2003-07-30
CN1255300C (zh) 2006-05-10
US6926045B2 (en) 2005-08-09
JP3536045B2 (ja) 2004-06-07
CN1433932A (zh) 2003-08-06
US20030136278A1 (en) 2003-07-24
TWI221138B (en) 200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63087A (ko) 결속장치
US6463631B2 (en) Binding tool
US6560822B2 (en) Low profile cable tie with prebent strap
US8667874B2 (en) Pliers having wire strippers
US7918148B2 (en) Wire stripping knife
US5561903A (en) Messenger removal tool
WO2007030730A1 (en) Clamping device with cut band shiel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PT1333997E (pt) Mola de fixação para a ligação amovível de dois componentes
EP1211187B1 (en) Device for cutting the remaining length of the tongue of a clamping ring
EP0488051B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binding electric cables
JP4322186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装着治具
EP0985832A1 (en) Clip
US20030182767A1 (en) Device for bundling objects, such as cable bundles
JP2002291127A (ja) ケーブルハーネスなどの対象物を結束するための工具
JP3085169B2 (ja) 線状体束の分岐部固定用結束バンド
JP2005501782A (ja) ケーブルバンド
EP0187693A2 (en) Buckle for use with ties
JPH0728470Y2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0243832Y1 (ko) 밴드 커터
JPH10281347A (ja) 結束バンド
JP7166604B2 (ja) 管被覆材用カット工具
KR200184525Y1 (ko) 체결스트립용 체결헤드
KR200191657Y1 (ko) 케이블타이용 절단기
KR20130003290U (ko) 밴드 케이블
JPH02292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