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693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693A
KR20030061693A KR10-2003-0002600A KR20030002600A KR20030061693A KR 20030061693 A KR20030061693 A KR 20030061693A KR 20030002600 A KR20030002600 A KR 20030002600A KR 20030061693 A KR20030061693 A KR 20030061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absorbent article
skin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7198B1 (ko
Inventor
요시마사와타루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1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4Straps, belts, ties or endles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61F13/82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with means for attaching to the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Abstract

본 발명은 질구와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고,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체 흡수 유지 기능을 갖는 본체(2)와 신장한 상태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전방 지지체(10)와 후방 지지체(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후방 지지체(20)를 신장시켜, 상기 양쪽 지지체(10, 20)의 선단부(先端部)에 마련된 피부 고정 수단으로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시키면, 상기 본체(2)가 상기 양쪽 지지체(10, 20)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착용자의 질구에 밀착한다. 또한, 상기 양쪽 지지체(10, 20)를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속옷의 이완이나 신장, 속옷과 신체와의 상대 위치에 어긋남이 생긴 경우라도 본체(2)와 질구와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PRODUCTS}
본 발명은 액체 흡수 유지 기능을 갖는 본체가 신체의 고간부(股間部)에 밀착한 상태로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중인 여성이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은 경혈을 확실하게 흡수하기 위해서 질구와 흡수성 물품이 항상 밀착하고 있어야 한다.
일본 실용 공개 평3-101933호 공보에는, 흡수체를 갖는 본체와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플랩이 마련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플랩은 상기 본체의 세로 방향의 양끝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랩의 피부 접촉면과 반대측의 면에 쉐어 커넥터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은 상기 플랩을 신장시킨 상태로, 상기 쉐어 커넥터재를 쇼츠 등의 속옷의 내측에 고정하여 착용한다. 착용 상태에서는 상기 플랩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본체가 착용자의 질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상기 본체가 착용자의 질구에 밀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은 상기 플랩이 속옷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서 속옷에 이완이나 신장 등이 생기거나, 혹은 속옷과 신체와의 상대 위치에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는 상기 흡수성 물품과 신체와의 상대 위치도 어긋남이 생기게 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과 질구와의 높은 밀착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질구와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고,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II-II선의 단면도, (B)는 (A)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의 전방 지지체와 후방 지지체를 접어 겹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의 (A)는 쉐어 커넥터(shear connector) 전단력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박리력의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의 (A)는 도 6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신체의 정면도, (B)는 도 6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신체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생리대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흡수성 물품
2: 본체
2a: 앞 가장자리 부분
2b: 뒤 가장자리 부분
3: 표면 시트
4: 이면 시트
5: 흡수층
6, 11, 21, 211A, 211B, 221A, 221B, 311A, 311B: 접합부
10: 전방 지지체
12, 22, 212A, 212B, 222A, 222B, 312: 감압 접착제층
20: 후방 지지체
본 발명은 액체 흡수 유지 기능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앞 가장자리 부분보다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전방 지지체, 및 상기 본체의 뒤 가장자리 부분보다 후방측으로 연장하는 후방 지지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는 신장한 상태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고,
상기 전방 지지체 및 상기 후방 지지체에는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피부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의 선단부에 마련된 피부 고정 수단을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시켜 착용한다. 상기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서 속옷의 이완이나 신장 혹은 속옷과 신체와의 상대 위치에 어긋남이 생긴 경우라도 흡수성 물품과 질구와의 높은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양쪽 지지체를 신장시킨 상태로 착용하면, 상기 본체가 상기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착용자의 성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상기 본체가 착용자의 질구에 밀착한다.
예컨대, 상기 본체에는 이면측으로의 액체의 투과를 차단하는 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본체에 흡수 유지된 체배설액이 상기 층에서 차단되기 때문에 쇼츠 등의 속옷을 체배설액으로 더럽히는 일이 없다.
또는, 상기 후방 지지체의 전단부는 상기 본체의 세로 방향을 2분하는 중심선보다 전방 영역측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상기 전단부와 상기 본체의 이면이 접합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본체에 이면으로의 액체 투과 기능을 부여하면 속옷의 내측에 착용된 생리대 등의 다른 흡수성 물품의 보조용으로서 사용하는 데 알맞다. 이 경우, 질구에 밀착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본체가 체배설액을 흡수하고, 상기 본체의 흡수 유지량을 넘은 액체가 주어졌을 때는, 상기 본체에서 흡수할 수 없는 체배설액이 본체의 이면을 통해 상기 다른 흡수성 물품에 주어져 흡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박형인 것이거나, 또는 상기 다른 흡수성 물품이 박형인 것이라도 체배설액의 흡수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체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세로 방향을 2분하는 중심선보다 전방 영역으로 연장하여, 상기 전방 영역에서 적어도 상기 일단부와 상기 본체의 이면이 접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후방 지지체의 탄성 압박력이 상기 본체의 중심선에 따라서 작용하여, 본체를 착용자의 질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어, 상기 본체를 질구에 밀착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 범위에서 폭 치수가 3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폭 치수를 30 mm 이하로 하면 상기 후방 지지체를 둔부의 홈내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 지지체가 둔부의 홈내에 밀착되면, 신체가 움직였을 때에 후방 지지체가 둔부에서 어긋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되어, 상기 본체의 신체로의 밀착 위치를 안정시키기 쉬워진다.
이 경우에, 상기 후방 지지체는 상기 소정의 길이 범위보다도 후방 부분의 폭 치수가 서서히 넓어지고, 폭 치수가 최대가 된 부분에 상기 피부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지지체의 폭 치수가 30 mm 이하의 부분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서서히 넓어지면, 피부 고정 수단의 폭 치수를 넓게 하여 피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체와 상기 후방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본체로부터 2개 이상 연장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전방 지지체 또는 상기 후방 지지체를 2개 이상 마련하거나, 또는 양쪽 지지체를 2개 이상 마련하면, 상기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에 착용자의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외력이 주어졌을 때에 상기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의 위치 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가 신장했을 때에 전방 지지체의 피부 고정 수단과 후방 지지체의 피부 고정 수단과의 거리가 신장 전의 1.2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가 신장하여 전방 지지체의 피부 고정 수단과 후방 지지체의 피부 고정 수단과의 거리가 신장 전의 1.2배가 되었을 때에, 상기 2개의 피부 고정 수단의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 수축력은 1960 m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수축력이 1960 mN 이하이면, 상기 양쪽 지지체를 신장시킨 상태로 신체에 장착했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에 작용하는 압박감을 작게 할 수 있고, 더구나 본체를 질구에 밀착시키기 쉬워진다.
이 경우, 상기 전방 지지체에 마련된 피부 고정 수단 및 상기 후방 지지체에 마련된 피부 고정 수단의 각각의 피부 고정 수단과 피부와의 밀착시 쉐어 커넥터 전단력은 1960 mN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쉐어 커넥터 전단력이 1960 mN 이하이면, 상기 양쪽 지지체를 신장시킨상태로 상기 피부 고정 수단을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시켰을 때에 상기 피부 고정 수단이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피부 고정 수단의 박리력이 25 mm 폭에 대해 0.49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력이 상기 수치보다도 크면, 착용자가 상기 피부 고정 수단을 박리할 때에 아픔을 느낄 우려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로서 생리중인 여성이 사용하는 흡수성 물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II-II선의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전방 지지체와 후방 지지체를 접어 겹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1)은 생리중인 여성이 성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주로 경혈로 이루어지는 체배설액을 흡수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 흡수성 물품(1)은 본체(2) 및 전방 지지체(10), 후방 지지체(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는 세로 방향(도시 Y 방향)의 길이 치수가 폭 방향(도시 X 방향)의 최대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거의 원호 형상의 앞 가장자리 부분(2a)과, 마찬가지로 거의 원호 형상의 뒤 가장자리 부분(2b), 및 우측 가장자리 부분(2c)과 좌측 가장자리 부분(2d)을 가지고 있다. 상기 우측 가장자리 부분(2c)과 상기 좌측 가장자리 부분(2d)과의 거리, 즉 본체(2)의 폭 치수는 장소에 의해서 변화하고, 상기 본체(2)를 세로 방향으로 2분하는 중심선 O-O보다도 앞 가장자리 부분(2a)측에 위치하는 전방 영역(2A)의 최대 폭 치수(W1)보다도, 상기 중심선 O-O보다 뒤 가장자리 부분(2b)측에 위치하는 후방 영역(2B)의 최대 폭 치수(W2)가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의 상기 중심선 O-O선보다 약간 앞 가장자리 부분(2a)측에 치우친 부분이 최소 폭 치수(W3)가 되고, 상기 본체(2)의 평면 형상은 모래 시계 형상이다.
도 2(A)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는 액체 투과 기능을 갖는 표면 시트(3), 액체 차단 기능을 갖는 이면 시트(4), 및 상기 표면 시트(3)와 상기 이면 시트(4)와의 사이에 마련된, 액체를 흡수하는 기능과 흡수한 액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흡수층(5)이 중첩된 구조이다.
상기 표면 시트(3)는 착용자의 성기와 접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표면 시트(3)의 상면(도 1의 Z1측의 면)은 액체 수용면(50)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흡수층(5)의 두께가 일정하며, 따라서 상기 액체 수용면(50)은 거의 평탄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3)와 상기 이면 시트(4)가 동일한 크기이며, 상기 표면 시트(3) 및 이면 시트(4)의 앞 가장자리 부분과 뒤 가장자리 부분 및 우측 가장자리 부분과 좌측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본체(2)의 앞 가장자리 부분(2a)과 뒤 가장자리 부분(2b) 및 우측 가장자리 부분(2c)과 좌측 가장자리 부분(2d)과 일치하고 있다.
상기 흡수층(5)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가장자리 부분(5a), 뒤 가장자리 부분(5b), 우측 가장자리 부분(5c) 및 좌측 가장자리 부분(5d)을 갖는 형상이다. 상기 흡수층(5)의 상기 앞 가장자리 부분(5a)과 뒤 가장자리 부분(5b)은 본체(2)의 상기 앞 가장자리 부분(2a) 및 뒤 가장자리 부분(2b)과 서로 비슷한 형상이며, 흡수층(5)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5c)과 좌측 가장자리 부분(5d)도 본체(2)의 상기 우측 가장자리 부분(2c) 및 좌측 가장자리 부분(2d)과 서로 비슷한 형상이다.
상기 흡수층(5)의 앞 가장자리 부분(5a), 뒤 가장자리 부분(5b), 우측 가장자리 부분(5c) 및 좌측 가장자리 부분(5d)은 본체(2)의 상기 앞 가장자리 부분(2a), 뒤 가장자리 부분(2b), 우측 가장자리 부분(2c) 및 좌측 가장자리 부분(2d)보다 3∼10 mm의 폭을 두고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층(5)의 상기 앞 가장자리 부분(5a), 뒤 가장자리 부분(5b), 우측 가장자리 부분(5c) 및 좌측 가장자리 부분(5d)보다 외측의 영역에서, 상기 표면 시트(3)와 상기 이면 시트(4)가 핫멜트형 접착제나 열시일 등으로 접합되어, 접합부(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1)에는 상기 앞 가장자리 부분(2a)으로부터 전방(도 1의 Y1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상기 뒤 가장자리 부분(2b)으로부터 후방(도 1의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후방 지지체(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10)의 후단 영역(10a)은 상기 본체(2)의 앞 가장자리 부분(2a)보다 약간 내측에서 상기 본체(2)의 이면에 중첩되고, 상기 후단 영역(10a)과 상기 본체(2)의 이면이 핫멜트형 접착제나 열시일로 접합되어, 접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10)의 전단 영역(10b)의 상면에는장착자의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피부 고정 수단인 감압 접착제층(1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10)는 본체(2)의 하면에 위치하는 후단(10c)으로부터 전단(10d)을 향해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지지체(20)의 전단 영역(20a)은 상기 본체(2)의 뒤 가장자리 부분(2b)보다 약간 내측에서 핫멜트형 접착제나 열시일 등으로 접합되어, 접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지지체(20)는 상기 본체(2)의 뒤 가장자리 부분(2b)으로부터 길이 L1의 범위에서 일정한 폭 치수(30 mm 이하)로 형성되어 있고, 이 일정한 폭 치수의 부분이 상기 둔부 홈에 닿는 영역(24)으로 되어 있다.
상기 둔부 홈에 닿는 영역(24)의 후단(24a)으로부터 후단 영역(20b)에 걸쳐서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 영역(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단 영역(20b)의 상면에 피부 고정 수단인 감압 접착제층(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10)와 후방 지지체(20)는 동일한 구조이며, 상기 전방 지지체(10)와 상기 후방 지지체(20)는 도 2(B)에 도시하는 시트 적층체(3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 적층체(30)는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표면측 보조 시트(32),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이면측 보조 시트(33), 및 상기 양쪽 보조 시트(32와 33) 사이에 끼워진 탄성 부재(31)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31)는 실 형상 또는 허리띠 형상이며, 여러 개가 평행하게 마련되고, 전방 지지체(10)의 후단(10c)으로부터 전단(10d)에 걸쳐서 마련되며, 또한 후방 지지체(20)의 전단(20c)으로부터 후단(20d)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31)는 신장된 상태로, 상기 표면측 보조 시트(32)와 상기 이면측 보조 시트(33)에 예컨대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후방 지지체(20)는 신장한 상태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3)는 액체 투과 기능을 가지고 있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과의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된 에어 스루 부직포, 상기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된 스펀 레이스 부직포, 상기 각 부직포에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된 것, 또는 수지 필름에 다수의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된 것, 또한 다수의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된 수지 필름과, 상기 어느 하나의 부직포가 라미네이트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촉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크레이프 가공이나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표면 시트도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본체(2)의 이면 시트(4)는 액체 차단 기능을 가지고 있고,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 필름, 상기 수지 필름과 부직포가 라미네이트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흡수층(5)은 액체를 흡수하는 기능과 흡수한 액체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SAP)와의 혼합물, 액체 흡수 기능을 갖는 종이와 종이와의 사이에 SAP를 끼워 형성된 시트, 에어 레이드 펄프, 발포 셀룰로오스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후방 지지체(20)에 이용되고 있는 상기 탄성부재(31)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탄성실, 폴리우레탄 폼 등이다. 또한, 상기 표면측 보조 시트(32) 및 상기 이면측 보조 시트(33)는 밀도가 낮은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은 수용성의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생성된 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아크릴산과 폴리아크릴산나트륨과의 공중합체, 수산화알루미늄, 타르타르산, 글리세린 및 물을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은 상기 수용성의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생성된 겔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비수용성의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여 생성된 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스티렌과 이소프렌과의 블록 공중합체{…(스티렌 중합체)-(이소프렌 중합체)-(스티렌 중합체)…의 구조를 가짐}에 파라핀유 및 접착 부여제를 가열 용융하여 제조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 전의 상기 흡수성 물품(1)은 전방 지지체(10)와 후방 지지체(20)가 본체(2)의 이면측으로 W자 형상으로 접어 겹쳐지고,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이 이형 시트(40)로 덮힌 상태로 포장 필름에 의해 개별적으로 포장되어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1)을 사용할 때에는 상기 이형 시트(40)를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으로부터 벗겨내고, 상기 전방 지지체(10)를 상기 본체(2)의 전방으로 연장시키며, 상기 후방 지지체(20)를 상기 본체(2)의 후방으로 연장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2)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3)를 착용자의 성기에 접촉시키고, 상기 전방 지지체(10)를 상기 본체(2)의 전방으로 신장시키며, 감압접착제층(12)을 착용자의 하복부의 피부에 접착시킨다. 상기 전방 지지체(10)는 전단(10d)을 향해 서서히 폭 치수가 커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착용자의 하복부로의 압박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감압 접착제층(12)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착용자의 피부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 지지체(20)도 상기 본체(2)의 후방으로 신장시킨 상태로 감압 접착제층(22)을 착용자의 둔부 홈의 상측의 하요부(下腰部)의 피부에 고정시킨다. 이 때, 후방 지지체(20)의 상기 둔부 홈에 닿는 영역(24)이 착용자의 둔부의 홈내에 들어가, 폭 치수가 서서히 넓어지는 테이퍼 영역(25)이 신체 둔부의 홈이 얕아지는 부분에 닿게 되어, 후방 지지체(20)가 체형에 대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상기 후방 지지체(20)가 신장한 상태로 신체의 피부에 고정되면, 양쪽 지지체(10 및 20)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상기 본체(2)는 착용자의 성기의 방향으로 압박되어, 착용자의 질구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후방 지지체(20)가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을 통해 착용자의 신체에 고정되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서 속옷에 이완이나 신장 혹은 어긋남이 생기더라도 본체(2)는 속옷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질구에 대하여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상기 효과에 덧붙여,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이 하복부 및 하요부에 고정된 상태로 신체가 움직였을 때에,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상기 후방 지지체(20)가 유연하게 변형하여 신체의 움직임에 기인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2)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게 된다.
본체(2)의 외력에 대한 특성으로서는, 건조 상태에 상기 본체(2)의 액체 수용면(50)의 전역에 평판을 실어 그 위에서 하중을 부여하여 1471 Pa의 압력을 부여했을 때에, 상기 액체 수용면(50)이 상기 압력하에서 가라앉는 양이 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라앉는 양이 5 mm 미만이면 상기 액체 수용면(50)이 착용자의 성기의 요철에 따르기 어려워져 상기 본체(2)와 질구 사이의 밀착성이 저하하기 쉽다.
여기서, 「건조 상태」란 온도 20 ±2℃, 상대 습도 65 ±2%의 분위기 중에 흡수성 물품(1)을 30분 이상 방치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후방 지지체(20)는 도 2(B)에 도시하는 상기 표면측 보조 시트(32)와 상기 이면측 보조 시트(33)가 다 신장될 때까지 신장시킬 수 있지만, 상기 감압 접착제층(12)과 상기 감압 접착제층(22)을 전후로 인장했을 때에, 상기 감압 접착제층(12)과 상기 감압 접착제층(22)과의 거리가 신장 전의 1.2배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배 이상이다. 또한, 감압 접착제층(12)과 감압 접착제층(22)과의 거리가 신장 전의 1.2배의 거리가 되었을 때의, 상기 감압 접착제층(12)과 감압 접착제층(22)에 작용하는 탄성 수축력은 1960 m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기 전방 지지체(10)와 후방 지지체(20)가 완전히 다 신장되었을 때에 상기 감압 접착제층(12)과 감압 접착제층(22)에 작용하는 탄성 수축력도 1960 m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압 접착제층(12)과 감압 접착제층(22)과의 거리가 1.2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3배 이상으로 신장할 수 있고, 또한 이 때에 감압 접착제층(12) 및 감압 접착제층(22)에 작용하는 탄성 수축력이 1960 mN 이하이면, 전방 지지체(10)와 후방 지지체(20)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서 감압 접착제층(12와 22)이 고착되어 있는 부분의 피부에 지나친 인장력을 부여하는 일이 없어져, 본체(2)가 질구로부터 전후로 위치가 어긋나거나, 또한 본체(2) 및 전방 지지체(12)와 후방 지지체(22)가 신체에 지나친 압박감을 부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방 지지체(10) 및 후방 지지체(20)를 신장시킨 상태로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이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의 쉐어 커넥터 전단력이 1960 mN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쉐어 커넥터 전단력」이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한 측정치를 의미한다.
도 4(A)는 상기 쉐어 커넥터 전단력의 측정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을 구성하는 접착제를 상기 표면측 보조 시트(32) 또는 상기 이면측 보조 시트(33)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부직포에 대하여,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과 동일한 두께로 도포한다. 접착제를 도포한 부직포를 25×25 mm 크기의 정방형으로 절단하여, 이 정방형의 한 변(62)에 루프부(60)를 마련하여 이것을 시료(61)로 한다.
이 상기 시료(61)를 상기 접착제가 인간의 전완(前腕)의 내부 전완부에 접하는 상태로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 때, 상기 루프부(60)가 마련된 한 변(62)이 전단 방향(도시 화살표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한다. 10분 경과 후, 시료(61)의 상기 루프부(60)에 SHIMPO사 제조의 디지털 포스 게이지 「SHIMPO FGC-0.2」(63)의 접촉자에 부착된 후크형의 훅을 걸어, 상기 전단 방향으로 서서히 인장한다. 상기 시료가 박리될 때의 상기 디지털 포스 게이지로 표시된 하중의 최대값을 읽어낸다.
(상기 최대값)×{실제 감압 접착제층의 면적(mm2)/(25 mm×25 mm)}이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의 「쉐어 커넥터 전단력」이다.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의 박리력은 25 mm 폭에 대해 0.49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력이 상기 수치보다 크면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을 피부로부터 박리할 때에 아픔을 느끼게 되기 쉽다.
상기 「박리력」은 이하에 진술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측정치를 의미한다.
도 4(B)는 상기 박리력의 측정 방법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상기 시료(61)를 상기 접착제가 인간의 전완의 내부 전완부에 접하는 상태로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 때, 상기 루프부(60)가 마련되어 있는 상기 시료의 주변(62)이 인장 방향과 역방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10분 경과 후, 상기 시료(61)의 상기 루프부(60)에 SHIMPO사 제조의 디지털 포스 게이지 「SHIMPO FGC-0.2」(63)의 접촉자에 부착된 후크형의 훅을 걸어, 도시 상측(시료(61)의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서서히 인장한다. 상기 시료(61)가 박리될 때에 상기 디지털 포스 게이지로 표시된 최대 하중을 읽어내어, 이 최대 하중을 25 mm 폭에 대한 「박리력」이라고 한다.
다음에, 상기 본체(2)의 세로 방향의 길이 치수 L2는 90∼30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50 mm이다. 상기 길이 치수 L2가 90 mm 미만이면 음순을 세로 방향으로 덮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경혈이 새기 쉬워진다. 또한, 300 mm보다 크면 양호한 착용감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길이 치수 L2를 150 mm 이하로 하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생기게 하지 않고, 우수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2)의 중심선 O-O에서의 폭 방향의 길이 치수 W4는 30∼7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 치수 W4가 30 mm 미만이면 음순을 폭 방향으로 덮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경혈이 새기 쉬워진다. 또한, 70 mm보다도 크면 상기 본체(2)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2c) 및 좌측 가장자리 부분(2d)이 착용시에 착용자의 양 내측 허벅다리 부분에 의해서 폭 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본체를 변형시켜 경혈이 새기 쉬어진다.
상기 본체(2)의 상기 앞 가장자리 부분(2a)에서 상기 전방 지지체(10)의 전단(10d)까지의 길이 치수 L3은 감압 접착제층(12)과 감압 접착제층(22)과의 간격을 신장시키지 않았을 때의 1.2배로 신장시켰을 때에, 상기 감압 접착제층(12)을 음모가 나지 않은 부분의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범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감압 접착제층(12)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박리시의 아픔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2)의 상기 뒤 가장자리 부분(2b)에서 상기 후방 지지체(20)의 후단(20d)까지의 길이 치수 L4는 신체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감압 접착제층(12)과 감압 접착제층(22)과의 간격을 상기한 바와 같이 1.2배로 신장시켰을 때에 착용자의 둔부 홈의 상측에서의 하요부에 고정할 수 있는 범위의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치수 L3 및 L4는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본체(2)의 길이 치수 L2에 따라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100) 중,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100)은 후방 지지체(120)의 전단(120c)이 상기 본체(2)의 중심선 O-O선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전방 영역(2A)까지 연장되고, 후방 지지체(120)의 전단 영역(120a)이 상기 이면 시트(4)의 표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나 열시일 등으로 접합되어, 접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지지체(120)는 상기 접합부(121)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이면 시트(4)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자유 영역(126)을 지니고, 또한, 본체(2)의 뒤 가장자리 부분(2b)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둔부에 닿는 영역(24)이 연속하고 있다. 상기 자유 영역(126)과 둔부에 닿는 영역(24)은 동일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착용시에는 상기 후방 지지체(120)의 탄성 수축력이 상기 자유 영역(126)에 작용하여, 본체(2)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 부분이 상기 자유 영역(126)에 의해서 착용자의 성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끌어 올려진다. 따라서, 상기 본체(2)가 착용자의 성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본체(2)가 착용자의 질구에 밀착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 자유 영역(126)이 상기 이면 시트(4)에 접합되어 있지 않은 구성 대신에, 상기 자유 영역(126)이 본체(2)의 이면 시트(4)에 접착제나 열시일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각 구성 대신에 후방 지지체(120)의 전단(120c)이 본체(2)의 뒤 가장자리 부분(2b) 부근에 고정되어 있고, 전방 지지체(10)의 후단(10c)이 본체(2)의 후방 영역(2B)까지 연장되어 상기 이면 시트(4)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조라도 본체(2)를 볼록 형상으로 변형시키기 쉬워진다. 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의 후방 영역(2B)을 후방 지지체(120)의 자유 영역(126)이 세로 방향으로 종단하는 구조이면 후방 영역(2B)이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져, 후방 영역(2B)을 질구로부터 항문 부근에 밀착시키기 쉬워져 후방으로의 액체 누출을 방지하는 데 유효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2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200) 중,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200)은 2개의 전방 지지체(210A, 210B)와, 2개의 후방 지지체(220A, 220B)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210A)의 후단 영역(210Aa)은 본체(2)를 폭 방향으로 2분하는 중심선 II-II선보다도 우측 가장자리 부분(2c)측에서 본체(2)의 하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나 열시일 등으로 접합되어, 접합부(2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210A)의 전단 영역(210Ab)의 상면에는 장착자의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피부 고정 수단인 감압 접착제층(212A)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210A)는 후단(210Ac)에서 전단(210Ad)을 향하여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210B)의 후단 영역(210Ba)은 상기 중심선 II-II선보다도 좌측 가장자리 부분(2d)측에서, 본체(2)의 하면에 핫멜트형 접착제나 열시일 등으로 접합되어, 접합부(2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210B)의 전단 영역(210Bb)의 상면에는 장착자의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피부 고정 수단인 감압 접착제층(212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방 지지체(210B)도 후단(210Bc)에서 전단(210Bd)을 향해서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도록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지지체(220A)의 전단 영역(220Aa)과 후방 지지체(220B)의 전단 영역(220Ba)은 본체(2)의 상기 중심선 II-II선의 좌우 양측에서 뒤 가장자리 부분(5b)의 내측의 영역에 핫멜트형 접착제나 열시일 등으로 접합되어, 접합부(221A와 22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 지지체(220A)의 후단 영역(220Ab)의 상면에는 감압 접착제층(222A)이 마련되고, 후방 지지체(220B)의 후단 영역(220Bb)의 상면에는 감압 접착제층(222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후방 지지체(220A 및 220B)는 전단(220Ac, 220Bc)에서 후단(220Ad, 220Bd)을 향해서 폭 치수가 서서히 커지는 테이퍼형이다.
도 7(A)(B)는 상기 흡수성 물품(200)을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A)는 신체의 정면도, 도 7(B)는 신체의 배면도이다.
이 흡수성 물품(200)은 상기 본체(2)의 상기 액체 수용면(50)을 착용자의 성기에 댄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전방 지지체(210A,210B)를 전방으로 신장시켜, 감압 접착제층(212A, 212B)을 착용자 하복부의 피부의 가로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후방 지지체(220A, 220B)를 상기 본체(2)의 후방으로 신장시켜, 감압 접착제층(222A, 222B)을 착용자 하요부의 피부의 가로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고정시킨다.
상기 감압 접착제층(212A, 212B, 222A, 222B)은 신체의 움직임에 영향을 잘 받지 않는 하복부 또는 하요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본체(2)의 어긋남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에 덧붙여, 상기 흡수성 물품(200)의 전방 영역(2A) 및 후방 영역(2B)을 좌우 두 방향에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2)를 착용자의 질구에 밀착하기 쉽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흡수성 물품(3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300)은 그 기본적인 구조가 도 6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200)과 동일하고, 전방 지지체의 구조만 다르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300) 중 도 6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200)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도 6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흡수성 물품(300)은 2개의 전방 지지체(310A, 310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지지체(310A와 310B)의 후단 영역(310Aa, 310Ba)은 본체(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방 지지체(310A)의 전단 영역(310Ab)과 상기 전방 지지체(310B)의 전단 영역(310Bb)이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피부 고정 영역(3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부 고정 영역(313)의 상면에 장착자의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피부 고정 수단인 감압 접착제층(312)이 마련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300)은 상기 전방 지지체(310A)와 전방 지지체(310B)가 연결된 상기 피부 고정 영역(313)을 지니고, 이 부분이 복부에 접착 고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방 지지체(310A와 310B)를 피부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흡수성 물품(400)을 도시한 것으로, 도 9는 사시도, 도 10은 이면 시트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이 흡수성 물품(400)은 도 2에 도시한 상기 흡수성 물품(1)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도 2에 도시한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흡수성 물품(400)의 본체(2)는 이면 시트(404)의 중앙 영역만 액체 투과 기능을 갖는 액체 투과 영역(405)으로 되어 있고, 그 주위가 액체 차단 영역(406)으로 되어 있다.
예컨대, 액체 차단 기능을 갖는 이면 시트를 가지고 있는 다른 생리대를 속옷의 클롯치부에 설치하여 착용하고, 상기 생리대의 내측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400)을 신체의 피부에 고정하여 착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수성 물품(400)을 착용자의 성기에 밀착시킬 수 있어, 질구로부터 배설된 경혈은 우선 상기 흡수성 물품(400)의 본체(2)에 의해 흡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체(2)의 액체 유지 용량을 넘은 만큼의 경혈은 상기 이면시트(404)의 액체 투과 영역(405)을 투과하여, 상기 다른 생리대에 의해서 흡수 유지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면, 질구에 흡수성 물품(400)을 밀착시킨 상태로, 흡수성 물품(400)과 상기 다른 생리대로 다량의 경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400)의 본체(2)를 작고 박형인 것으로 할 수 있어, 성기에 밀착시키기 쉬워진다.
특히, 상기 이면 시트(404)의 중앙 부분에 액체 투과 영역(405)이 마련되어 있으면, 본체(2)로부터 다른 생리대의 중앙부에 경혈을 이송하기 쉬워진다.
상기 이면 시트(404)를 구성하는 재료는, 예컨대 분쇄 펄프나 면 섬유를 공기중에 분산시켜 스크린상에 모은 후, 수용성 수지의 바인더로 접착한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재료 대신에, 폴리비닐알콜이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구성되는 시트의 중앙 부분에 액체 투과 구멍을 개구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재료 대신에, 액체 투과성 시트의 일부를 소수 처리하거나, 또는 일부에 액체 차단 기능을 갖는 필름이나 시트를 라미네이트하여 상기 액체 차단 영역(406)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재료 대신에, 이면 시트(404)를 에텐과 초산비닐과의 공중합체,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시트에 액체 투과 기능을 부여한 것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상기 흡수성 물품(400)은 다른 생리대와 병용될 것을 고려하여, 교환이나 폐기를 쉽게 하기 위해서, 각 재료를 수해성 재료 또는 생분해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해성」이란, 시트가 수중에 놓여졌을 때에 시트를 구성하는 섬유가 뿔뿔이 분산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또한 「생분해성」이란, 생체 내에서 혹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분해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상기 이면 시트(404)를 구성하는 수해성 재료로서는 섬유를 수용성 바인더로 고정한 부직포, 섬유를 수류로 체결시킨 부직포, 섬유를 수소 결합이나 반 데르 발스의 힘 등에 의해 접착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생분해성의 상기 표면 시트(3) 및 상기 이면 시트(404)로서는 젖산의 중합체,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로 구성되는 시트에 액체 투과 구멍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 대신에, 생분해성의 상기 흡수층(5)은 상기 표면 시트(3) 및 상기 이면 시트(404)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 외, 알긴산나트륨, 전분, 녹말의 섬유로 형성되는 시트나 입상물(粒狀物)의 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생분해성의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후방 지지체(20)의 상기 탄성 부재(31)로서는 천연 고무(주성분은 cis-1,4-폴리이소프렌)를 사용할 수 있다.
생분해성의 상기 전방 지지체(10) 및 후방 지지체(20)를 구성하는 상기 표면측 보조 시트(32) 및 이면측 보조 시트(33)는 상기 표면 시트(3) 및 상기 이면 시트(404)와 동일한 생분해성의 부직포나 필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 재료를 접합하는 수단으로서, 수용성의 폴리비닐알콜을 접착제로서 이용하거나, 또는 열용착이나 수소 결합을 이용함으로써 수해성의 흡수성 물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 대신에, 상기 흡수성 물품의 이면 시트 전체가 액체 투과 기능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 대신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400)의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의 구조는, 도 5, 도 6, 도 8 등에 도시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덧붙여, 본체(2)의 상기 액체 수용면(50)에 성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융기하는 융기부를 마련하여 구성하는 것이나, 음순의 사이에 끼우는 피부 접촉 부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흡수성 물품(1, 100, 200, 300, 400)은 상기 전방 지지체(10, 210A, 210B, 310A, 310B) 및 상기 후방 지지체(20, 120, 220A, 220B)를 신장시킨 상태로 착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신장시키지 않고 착용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라도 상기 감압 접착제층(12, 22, 212A, 212B, 222A, 222B, 312)이 하복부 및 하요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전방 지지체(10, 210A, 210B, 310A, 310B) 및 상기 후방 지지체(20, 120, 220A, 220B)가 신장하여 변형하고, 신체의 움직임에 기인하는 힘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본체(2)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요실금 환자가 사용하기 위한 소변 흡수 패드나, 여성용 생리 시트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탄성 수축력을 갖는 전방 지지체와 후방 지지체를신장시켜, 상기 양 지지체의 선단부에 마련된 피부 고정 수단으로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시켜 착용한다. 이 때, 상기 본체가 상기 양 지지체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착용자의 성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상기 본체를 착용자의 질구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지지체를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서 속옷에 이완이나 신장 혹은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라도 흡수성 물품과 질구와의 높은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액체 흡수 유지 기능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앞 가장자리 부분보다 전방측으로 연장하는 전방 지지체와, 상기 본체의 뒤 가장자리 부분보다 후방측으로 연장하는 후방 지지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체 및 상기 후방 지지체는 신장한 상태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고,
    상기 전방 지지체 및 상기 후방 지지체에는 착용자의 피부에 고정할 수 있는 피부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이면측으로의 액체의 투과를 차단하는 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이면의 적어도 중앙 영역이 액체 투과성인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체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세로 방향을 2분하는 중심선보다 전방 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방 영역에서 적어도 상기 일단부와 상기 본체의 이면이 접합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길이 범위에서 폭 치수가 30 mm 이하인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체는 상기 소정의 길이 범위보다도 후방 부분의 폭 치수가 서서히 넓어지고, 폭 치수가 최대가 된 부분에 상기 피부 고정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체와 상기 후방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본체로부터 2개 이상 연장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체 및 상기 후방 지지체가 신장했을 때에, 상기 전방 지지체의 피부 고정 수단과 상기 후방 지지체의 피부 고정 수단과의 거리가 신장 전의 1.2배 이상이 되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전방 지지체 및 후방 지지체가 신장하여 전방 지지체의 피부 고정 수단과 후방 지지체의 피부 고정 수단과의 거리가 신장 전의 1.2배가 되었을 때에, 상기 2개의 피부 고정 수단 사이에 작용하는 탄성 수축력은 1960 mN 이하인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체에 마련된 피부 고정 수단 및 상기 후방 지지체에 마련된 피부 고정 수단의 각각의 피부 고정 수단과 피부와의 밀착시의 쉐어 커넥터(shear connector) 전단력이 1960 mN보다도 큰 것인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고정 수단의 박리력이 25 mm 폭에 대해 0.49 N 이하인 것인 흡수성 물품.
KR1020030002600A 2002-01-15 2003-01-15 흡수성 물품 KR100837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05521 2002-01-15
JP2002005521A JP4002766B2 (ja) 2002-01-15 2002-01-15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693A true KR20030061693A (ko) 2003-07-22
KR100837198B1 KR100837198B1 (ko) 2008-06-13

Family

ID=1919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600A KR100837198B1 (ko) 2002-01-15 2003-01-1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25401B2 (ko)
EP (1) EP1327433B1 (ko)
JP (1) JP4002766B2 (ko)
KR (1) KR100837198B1 (ko)
CN (1) CN1432351A (ko)
AT (1) ATE367139T1 (ko)
DE (1) DE60314925T2 (ko)
ES (1) ES2287413T3 (ko)
TW (1) TW568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2766B2 (ja) * 2002-01-15 2007-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50256452A1 (en) * 2002-11-15 2005-11-17 Demarchi Thomas Steerable vascular sheath
US20050148985A1 (en) * 2003-12-30 2005-07-07 Bronk Susan K.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waist feature
US7722593B2 (en) * 2004-05-25 2010-05-25 Margaret Lee Disposable thong underwear
JP4526434B2 (ja) * 2005-05-17 2010-08-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2005339299A1 (en) * 2005-12-20 2007-06-28 Sca Hygiene Products Ab New article
KR100741906B1 (ko) * 2006-05-29 2007-07-24 황선문 시술 및 수술용 일회용 팬츠
JP4819580B2 (ja) * 2006-06-02 2011-11-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54143B2 (ja) 2006-06-02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54106B2 (ja) * 2006-06-02 2013-02-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890947B2 (ja) * 2006-06-02 2012-03-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251969B2 (en) 2007-08-03 2012-08-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734413B2 (en) * 2007-08-03 2014-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012137B2 (en) * 2007-08-03 2011-09-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applying such article to a wearer
US8702672B2 (en) * 2007-08-03 2014-04-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292862B2 (en) 2007-08-03 2012-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ynamic fitting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20210386596A1 (en) * 2007-08-03 2021-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ckaged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672911B2 (en) 2007-08-03 2014-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029489B2 (en) 2007-08-03 2011-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adhering such article to a wearer
US8197456B2 (en) * 2007-08-03 2012-06-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062275B2 (en) 2007-08-03 2011-11-22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donning such article
US7947027B2 (en) * 2007-12-28 2011-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20090118692A1 (en) * 2007-10-31 2009-05-07 Rosenfeld Leonard G Body-attachable sanitary napkin
US7918837B2 (en) * 2007-10-31 2011-04-05 Mcneil-Ppc, Inc. Body-attachable sanitary napkin
JP5224794B2 (ja) * 2007-12-05 2013-07-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1147722B2 (en) * 2008-11-10 2021-10-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functional acrylate skin-adhesive composition
US8157780B2 (en) * 2008-12-15 2012-04-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line of weakness for folding the article
US10022468B2 (en) * 2009-02-02 2018-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a multifunctional gel
JP4558080B1 (ja) * 2009-03-31 2010-10-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21140B2 (ja) * 2010-01-28 2014-02-1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758547B2 (en) 2011-02-08 2014-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orientated in the cross-machine direction with reduced curl
US8764922B2 (en) 2011-02-08 2014-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orientated in the machine direction with reduced curl
US8603062B1 (en) * 2011-02-11 2013-12-10 Sherian A. Smith Feminine hygienic pad assembly
US8777914B2 (en) * 2011-06-25 2014-07-15 Kimberly Reaume Absorbent member
US9132049B2 (en) 2011-09-02 2015-09-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ttached absorbent article donning system
US20150202090A1 (en) * 2012-09-07 2015-07-23 Renew Medical, Inc. Absorbent Article
US20140243779A1 (en) * 2013-02-28 2014-08-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dular Body-Adhering Absorbent Article
CN106572929A (zh) * 2014-08-28 2017-04-19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可延伸的吸收制品
CN108324432A (zh) * 2018-02-12 2018-07-27 黄礼莲 一种多重护理的棉柔卫生巾
ES2762755B2 (es) * 2018-11-23 2020-11-26 Marlon Jesus Gavironda Compresa femenina desplegable
US11857402B1 (en) * 2018-12-11 2024-01-02 Florida A&M University Osmotic sanitary collection bag
US20220241120A1 (en) * 2019-06-26 2022-08-04 Sarit VAN PRAAG Sanitary pad with fold out abrasion protection
KR102394821B1 (ko) * 2020-03-18 2022-05-06 박윤정 수술용 기저귀
WO2022221408A1 (en) * 2021-04-13 2022-10-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para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from post-consumer superabsorbent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9124A (en) * 1931-07-18 1933-07-18 Panullo Henry Sanitary appliance
US3185394A (en) * 1963-05-24 1965-05-25 Farrell John Attachment for garments
US3575174A (en) * 1969-07-11 1971-04-20 Personal Products Co Sanitary napkin
US3906952A (en) 1970-11-27 1975-09-23 Sophie Zamist Anatomically-contoured sanitary napkin
US4072151A (en) 1975-03-31 1978-02-07 Levine Faye E Sanitary napkin
US4505707A (en) * 1982-09-22 1985-03-19 Feeney Francis T Male sanitary device
US4484919A (en) * 1982-10-25 1984-11-27 Affiliated Surgical Supplies Rectal area dressing
USD298459S (en) * 1986-03-14 1988-11-08 Mccormick Sheila V Sanitary napkin
US4753648A (en) * 1987-05-08 1988-06-28 Personal Products Company Sanitary napkin adhesively attached via elastic member
JPH03101933A (ja) 1990-08-30 1991-04-26 Toyo Polymer Kk 紫外線遮断剤を含有した複合保護フイルム
USD365877S (en) * 1995-04-10 1996-01-02 Elisabeth Fraser Sanitary napkin
JPH09117473A (ja) * 1995-10-25 1997-05-06 Ryoko Nachi 生理用ナプキン
SG85108A1 (en) * 1998-03-23 2001-12-19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for prevention of sideward leak
JP2000185074A (ja) * 1998-11-09 2000-07-04 Johnson & Johnson Inc 液漏れ防止機能を有する後方延長部付き生理用ナプキン
SE9904839L (sv) * 1999-12-29 2001-06-30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fastsättningsanordningar
USD473300S1 (en) * 2000-02-08 2003-04-15 Samuel Llanos-Vega Sanitary napkin for the genital area
US6613031B2 (en) * 2000-12-22 2003-09-02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intergluteal strip
US6632210B1 (en) * 2000-12-22 2003-10-14 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intergluteal strip
US6461341B1 (en) * 2000-12-23 2002-10-08 Joseph H. Bennett Absorption of light bodily discharges
US6997915B2 (en) * 2001-06-12 2006-02-14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adjustable length intergluteal strip
US6755808B2 (en) * 2001-11-02 2004-06-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having a body comforming absorbent composite
US6802834B2 (en) * 2002-01-15 2004-10-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discontinuous absorbent core
JP4002766B2 (ja) * 2002-01-15 2007-1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1692A (en) 2003-07-16
ES2287413T3 (es) 2007-12-16
CN1432351A (zh) 2003-07-30
JP2003204989A (ja) 2003-07-22
US7125401B2 (en) 2006-10-24
EP1327433B1 (en) 2007-07-18
DE60314925T2 (de) 2008-04-17
KR100837198B1 (ko) 2008-06-13
EP1327433A2 (en) 2003-07-16
EP1327433A3 (en) 2004-01-02
TW568775B (en) 2004-01-01
ATE367139T1 (de) 2007-08-15
JP4002766B2 (ja) 2007-11-07
US20030135188A1 (en) 2003-07-17
DE60314925D1 (de)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198B1 (ko) 흡수성 물품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JP4230778B2 (ja) 陰唇間パッド
JP3782110B2 (ja) 複合型生理用ナプキン
TWI236895B (en) Absorbent article equipped with flexible axes
US7927322B2 (en) Body-adhering personal care product
KR100804562B1 (ko) 생리대
US7621899B2 (en) Sanitary napkin
JP4960946B2 (ja)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JP2004181085A (ja) 縦長の吸収性物品
JP2004089392A (ja) 吸収性物品
KR100948897B1 (ko) 흡수성 물품
JP4178040B2 (ja) 陰唇間パッド
JPWO2002094158A1 (ja) 陰唇間パッド
JP4178042B2 (ja) 陰唇間パッド
JP5773591B2 (ja) 吸収性物品
JP4542288B2 (ja) 吸収性物品
KR19980033925A (ko) 생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