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1281A - 클램프너트 및 콜릿척 - Google Patents

클램프너트 및 콜릿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1281A
KR20030061281A KR1020020042517A KR20020042517A KR20030061281A KR 20030061281 A KR20030061281 A KR 20030061281A KR 1020020042517 A KR1020020042517 A KR 1020020042517A KR 20020042517 A KR20020042517 A KR 20020042517A KR 20030061281 A KR20030061281 A KR 20030061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nut
clamp nut
thrust ring
porous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미네쯔요시
Original Assignee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빅알파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2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23B31/201Characteriz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2012Threaded cam actuator
    • B23B31/20125Axially fixed cam, mov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4Cooling or lubr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06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291Resilient split socket
    • Y10T279/17299Threaded cam slee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10T279/17487Moving-cam actuator
    • Y10T279/17504Threaded cam sleeve
    • Y10T279/17512Loose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411Spring biased jaws
    • Y10T279/17529Fixed cam and moving jaws
    • Y10T279/17538Threaded-sleeve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클램프너트와 콜릿척의 슬라이딩면의 윤활성을 향상시키고, 마찰계수를 작게 하고, 늘어붙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불균형에 의한 진동을 일으킴이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속회전시킨 경우에도,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는 클램프너트 및 이 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을 제공한다. 콜릿을 통해서 공구를 파지하는 콜릿척본체에 장착되고, 콜릿척본체와 함께 콜릿을 조이는 클램프너트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클램프너트 및 콜릿척{CLAMP NUT AND COLLET CHUCK}
본 발명은, 콜릿을 통해서 공구를 파지하는 콜릿척본체에 장착되고, 이 콜릿척본체와 함께 상기 콜릿을 조이는 클램프너트, 및 이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공작기계에 설치한 척본체의 선단부의 테이퍼구멍에 콜릿을 결합하고, 이것에 장착되는 절삭공구를 클램프너트에 의해서 조임으로써 콜릿이 축경되어 절삭공구를 파지하도록 한 콜릿척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콜릿척에서는, 균형을 좋게 하기 위하여, 스러스트링과 너트본체를 일체화하여 클램프너트의 지름을 작게 구성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을 구비한 콜릿척은, 콜릿과 클램프너트 사이에 걸리는 응력이 크게 되고, 늘어붙음이 생기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너트본체와 콜릿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과, 상기 너트본체와의 사이에 스러스트볼을 배치하고, 상기 스러스트링과 너트본체 사이의 마찰계수를 작게 하는 것이므로, 늘어붙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 콜릿척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5-86407호 공보에는, 콜릿의 전방테이퍼부와 클램프너트의 테이퍼면 사이에 저마찰기구를 개재시킨 콜릿척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저마찰기구로서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테이퍼롤러, 저마찰면을 설치한 테이퍼형상 원판, 또는 저마찰성 재료를 적어도 클램프너트의 테이퍼면, 테이퍼형상 원판, 테이퍼롤러, 콜릿의 전방 테이퍼부의 일면에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저마찰기구로서, 스러스트볼이나 테이퍼롤러를 배치한 콜릿척은, 볼이나 롤러의 삽입구나, 충전된 볼이나 롤러의 기울어짐에 의해, 균형이 나쁘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고속회전시켰을 때에 진동이 생기기 쉽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조비용이 높다라는 문제도 있다.
또한, 저마찰기구로서, 저마찰면을 설치한 테이퍼형상 원판을 배치하는, 또는, 저마찰성 재료를 적어도 클램프너트의 테이퍼면, 테이퍼형상 원판, 테이퍼롤러, 콜릿의 전방 테이퍼부의 일면에 형성한 콜릿척은, 저마찰화에 관해서는 제안되어 있지만, 이들을 윤활성에 우수한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므로, 그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해서는 어디에도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너트 및 콜릿척을 개량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고, 클램프너트와 콜릿의 슬라이딩면의 윤활성을 향상시키고, 마찰계수를 작게 하고, 늘어붙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함과 함께, 고속회전시킨 경우이어도, 균형이 좋은 것이므로 편하중에 의한 진동을 일으키지 않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는 클램프너트 및 이 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5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6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고, 클램프너트를 콜릿척본체에 조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고, 클램프너트를 콜릿척본체에 조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콜릿을 통해서 공구를 파지하는 콜릿척본체에 장착되고, 이 콜릿척본체와 함께 상기 콜릿을 조이는 클램프너트로서, 적어도 상기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클램프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구비한 클램프너트는, 콜릭척본체에 장착하여 회전시켜서 콜릿의 크램프를 개시하였을 때에, 클램프너트와 콜릿의 슬라이딩면의 윤활성을 향상시키고, 마찰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면에 늘어붙음(용착 등)이 생기는 것이나 마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콜릿의 조임을 행할 때에, 콜릿에 비틀리는 힘이 걸리지 않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하는 것이므로, 양자 사이가 쉽게 미끄러지게 되고, 상기 클램프너트를 콜릿척본체에 대해서 회전시키기 쉽게 되기 때문에, 공구의 파지력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상기 기공부에 봉입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체는, 상기 클램프너트를 조일 때에, 외부로부터 유입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유체는, 윤활유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는, 기체이어도, 액체이어도 좋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클램프너트는,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를 충전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다공질재료는, HRC50이상의 경도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클램프너트본체를 이 다공질재료로 구성하여도 클램프너트로서 충분히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너트 전체를 상기 다공질재료로 구성함으로써, 클램프너트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불균형이 생기는 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속회전에 의한 진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클램프너트가 마모하였더라도, 윤활성이 손실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클램프너트는, 너트본체와,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러스트링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된 구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러스트링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를 충전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너트본체는, 상기 스러스트링에 대해서 회전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너트본체는, 상기 스러스트링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콜릿을 통해서 공구를 파지하는 콜릿척본체와, 상기 구성의 클램프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콜릿척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구비한 콜릿척은, 상기 구성의 클램프너트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클램프너트와 콜릿의 슬라이딩면의 윤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아울러, 마찰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면에 늘어붙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공구의 장착 정밀도, 공구의 파지력을 향상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너트 및 이것을 구비한 콜릿척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삽입측을 「선단측」, 그 반대측을 「기단측」으로서 설명한다.
(실시형태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1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실시형태1에 관한 콜릿척(1)은, 콜릿척본체(10)와, 콜릿척본체(10)에 장착되는 클램프너트(3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콜릿척본체(10)는, 그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서서히 지름이 작게 되는 테이퍼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구멍(11)에 테이퍼콜릿(100)이 삽입된다. 콜릿척본체(10)의 선단측의 외주면에는, 뒤에 후술하는 클램프너트(3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1)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콜릿척본체(10)는, 클램프너트(30)를 외부에서 끼워 나사결합하여 조임으로써, 테이퍼구멍(11) 내에 삽입된 테이퍼콜릿(100)을 축경시키고, 테이퍼콜릿(100) 내에 파지한 공구를 강고하게 고정한다.
이 테이퍼콜릿(100)은,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부터 교대로 축방향으로 노치된 복수개의 슬롯(101)을 각각 구비되어 있다. 테이퍼콜릿(100)은, 이 슬롯(100)에 의해 탄성변형을 수반한 지름의 확대축소를 가능하게 하고, 공구의 섕크를 양호하게 해방하거나 파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퍼콜릿(100)의 선단측의 외주면은, 선단을 향하여 축경하도록 구성된 테이퍼면(102)으로 되어 있고, 이 테이퍼면(102)의기단측에는 환형홈(103)이 인접되어 있다. 이 환형홈(103)에는, 클램프너트(3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어맞춤 볼록부(32)가 헐겁게 끼워진다.
클램프너트(30)는,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윤활유가 충전된 「오일함유 금속」(이하,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윤활유가 충전된 것을 「오일함유 금속」이라 기록한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1에서는, 금속계 다공질재료 중에, 공구강계, 고속도강계 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재료를 사용하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윤활유를 진공주입하였다. 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된 클램프너트(30)는, 그 경도가 HRC50이상(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1에서는, HRC50~65정도)이고, 클램프너트(30)의 전체를 구성하여도, 클램프용 너트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하는 것이다. 또한, 윤활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테이퍼콜릿(100)과의 마찰계수를 0.2~0.1정도까지 작게 할 수 있다.
이 클램프너트(30)는, 내주면의 기단측에, 콜릿척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의 선단측에는, 테이퍼콜릿(100)의 테이퍼면(102)과 서로 보충하여, 선단측을 향하여 내경이 축경되도록 형성된 테이퍼면(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테이퍼면(33)의 기단측에는, 테이퍼콜릿(100)의 환형홈(103)에 헐겁게 끼워지는 걸어맞춤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실시형태1에 관한 콜릿척(1)의 구체적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콜릿척(1)에 도시하지 않은 공구를 파지시키기에는, 테이퍼콜릿(100)을 축경시키면서, 테이퍼콜릿(100)의 선단에 클램프너트(30)를 설치한다. 이어서, 클램프너트(30)가 장착된 테이퍼콜릿(100)을 콜릿척본체(10)의 테이퍼구멍(11) 내에 삽입하고, 이 콜릿척본체(10)의 선단측에 클램프너트(30)를 가체결한다. 이어서, 공구의 섕크(도시않함)를 테이퍼콜릿(100) 내에 삽입하고, 클램프너트(30)를 회전(나사결합)시키면, 크램프너트(30)의 테이퍼면(33)이, 테이퍼콜릿(100)의 테이퍼면(102)을 압압하고, 테이퍼콜릿(100)은, 슬롯(101)의 폭의 축소에 의해서 축경하면서 테이퍼구멍(11)의 기단측에 눌러넣고, 공구의 섕크를 파지한다. 이 때, 클램프너트(30)가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테이퍼면(33) 및 (102) 사이의 윤활성을 향상할 수 있고, 마찰계수가 작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면 (102)과 테이퍼면(33) 사이에 늘어붙음(용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31)도 마찬가지로 윤활성이 향상하고 있기 때문에, 클램프너트 (30)를 조이기 쉽고, 콜릿척본체(10)의 나사부(12)에 대한 클램프너트(30)의 나사부(31)의 추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테이퍼콜릿(100)을 조이는 힘(파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공구를 보다 한층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1에 관한 클램프너트(30)는, 독립된 스러스트링을 이용하지 않고, 스러스트링이 일체로 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프너트(30)의 지름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시의 균형이 보다 한층 좋고, 고속회전에도 충분히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클램프너트가 마모되었더라도, 윤활성이 손실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실시형태1에서는, 클램프너트(30) 전체를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클램프너트(30)는, 적어도, 테이퍼콜릿(100)과 접촉되는 부분(슬라이딩하는 부분)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1에서는, 클램프너트(30)로서,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미리 윤활유를 봉입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클램프너트(30)는,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너트(30)를 콜릿척본체(10)에 조일 때에, 클램프너트(30)를 구성하는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윤활유 공급기구(130)로부터 윤활유를 유입시키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윤활유 공급기구(130)는, 클램프너트(30)의 외주부에 서로 보충하고, 또한 클램프너트(30)의 외주부에 압착가능한 내주면(131)을 구비한 대략 링형상부 (132)를 갖고 있다. 대략 링형상부(132)의 내주면(131)은, 윤활유 공급로(133)에 연통되어 있고, 이 윤활유 공급로(133)는 도시하지 않는 윤활유 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다. 클램프너트(30)를 콜릿척본체(10)에 조일 때에, 상기 윤활유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는, 윤활유 공급로(133)롤 경유하여 내주면(131)에 이르고, 클램프너트(30)를 구성하는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유입된다. 이로써, 양 테이퍼면 (33) 및 (102) 사이의 윤활성을 향상할 수 있고, 마찰계수가 작게 되고, 테이퍼면 (102)과 테이퍼면(33) 사이에 늘어붙음(용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사부(31)도 마찬가지로 윤활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테이퍼콜릿(100)을 조이는 힘(파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 결과, 공구를 보다 한층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고, 클램프너트를 콜릿척본체에 조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실시형태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클램프너트 및 이것을 구비한 콜릿척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2에서는, 실시형태1에서 설명한 콜릿척(1)과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2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2에 관한 콜릿척(2)의, 실시형태1에 관한 콜릿척(1)과 다른 주된 점은, 테이퍼콜릿(110)의 형상과, 클램프너트(40)의 형상이다.
즉, 실시형태2에 관한 테이퍼콜릿(110)은,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부터 교대로 축방향으로 노치된 복수개의 슬롯(101)을 구비하고, 선단보다 약간 기단측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12)와 테이퍼콜릿(110)의 선단 사이에는, 얕은 환형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홈(113)에는, 뒤에 상술하는 클램프너트(40)의 내주며네 형성된 볼록부(41)가 삽입된다.
클램프너트(40)는, 전체가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클램프너트 (40)는, 내주면의 기단측에, 콜릿척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의 선단측은, 클램프너트(40)의 내경이 작게 되도록 내측에 연장된 연장부(41)로 되어 있다. 이 연장부(41)의 기단측에는, 테이퍼콜릿(110)의 환형홈(113)에 삽입되는 볼록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연장부(41)의 기단측에 형성된 벽(43)이, 테이퍼콜릿(110)의 플랜지부(112)의 선단측의 벽(114)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2에 관한 콜릿척(2)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클램프너트(40)가 설치된 테이퍼콜릿 (110)을 콜릿척본체(10)의 테이퍼구멍(11)에 끼워맞춰지고, 클램프너트(40)를 콜릿척본체(10)에 가체결된다. 다음에, 공구의 섕크(도시않함)를 테이퍼콜릿(110) 내에 삽입하고, 클램프너트(40)를 회전(나사결합)시키면, 클램프너트(40)의 연장부 (41)의 벽(43)이, 테이퍼콜릿(110)의 플랜지부(112)의 벽(114)을 압압하고, 테이퍼콜릿 (110)은, 테이퍼 슬롯(101)의 촉의 축소에 의해서 축경하면서 테이퍼구멍(11)의 기단측을 향하여 눌러넣어진다. 이 때, 클램프너트(40)가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장부(41)의 내경면과, 테이퍼콜릿(110)의 선단측 외주면 사이의 윤활성이 향상하고, 마찰계수가 작게 된다. 이 때문에, 양자간에 늘어붙음(용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31)도 마찬가지로 윤활성이 향상하고 있기 때문에, 클램프너트(40)를 조이기 쉽고, 콜릿척본체(10)의 나사부(12)에 대한 클램프너트(40)의 나사부(31)의 추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테이퍼콜릿(110)을 조이는 힘(파지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공구를 보다 한층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2에 관한 클램프너트(40)도,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독립된 스러스트링을 이용하지 않고, 스러스트링이 일체로 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프너트(40)의 지름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시의 균형이 보다 한층 좋고, 고속회전에도 충분히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2에서는, 클램프너트(40) 전체를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클램프너트(40)는, 적어도, 테이퍼콜릿(110)과 접촉되는 부분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2에 관한 클램프너트(40)도,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미리 윤활유를 봉입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클램프너트(40)를 콜릿척본체(10)에 조일 때에, 클램프너트(40)를 구성하는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윤활유 공급기구 등에 의해 윤활유를 유입시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관한 클램프너트 및 이것을 구비한 콜릿척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3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콜릿척과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3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3에 관한 콜릿척(3)의, 실시형태1에 관한 콜릿척(1)과 다른 주된 점은, 클램프너트(50)의 형상이다. 즉, 실시형태3에 관한 클램프너트(50)는, 너트본체(51)와, 테이퍼콜릿(100)과 너트본체(51)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5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너트본체(51)는, 내주면의 기단측에, 콜릿척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본체(51)의 내주면의 선단측은, 그 내경이 작게 되도록 내측에 연장된 연장부(53)로 되어 있다. 이 연장부(53)는, 뒤에 상술하는 스러스트링(52)의 선단부에 형성된 계단부(54)에 배치된다. 또한, 너트본체(51)의 내주면 대략 중앙부에는, 스러스트링(52)의 기단측의 끝면에 접촉되는 너트(57)가 나사결합되고, 너트본체(51)와 스러스트링(52)은 고정되어 있다.
스러스트링(52)은, 전체가, 상기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러스트링(52)의 기단에는, 스러스트링(52)의 내경이 작게 되도록 내측에 연장되고, 테이퍼콜릿(100)의 환형홈(103)에 헐겁게 끼워지는 끼워맞춤 볼록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스러스트링(52)의 내주면은, 테이퍼콜릿(100)의 테이퍼면(102)과 서로 보충하여, 선단측을 향하여 내경이 축경하도록 형성된 테이퍼면(56)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러스트링(52)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너트본체(51)의 연장부(53)의 형상에 서로 보충하는 계단부(5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3에 관한 콜릿척(3)의 구체적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테이퍼콜릿(100)을 축경시키면서, 테이퍼콜릿(100)의 선단에 스러스트링(52) 및 너트본체(51)를 설치한다. 다음에, 스러스트링(52) 및 너트본체(51)가 장착된 테이퍼콜릿(100)을 콜릿척본체(10)의 테이퍼구멍(11) 내에 삽입하고, 이 콜릿척본체(10)의 선단측에 스러스트링(52) 및 너트본체(51)를 가체결한다. 이어서, 공구의 섕크(도시않함)를 테이퍼콜릿(100) 내에 삽입하고, 너트본체(51)를 회전(나사결합)시키면, 너트본체(51)의 연장부(53)를 스러스트링(52)의 계단부(54)의 선단측의 끝면에 압압한다. 이로써, 스러스트링(52)의 테이퍼면(56)이, 테이퍼콜릿 (100)의 테이퍼면(102)을 압압하고, 테이퍼콜릿(100)은, 슬롯(101)의 폭의 축소에 의해서 축경하면서 테이퍼구멍(11)의 기단측을 향하여 눌어넣어진다. 또한, 스러스트링(52)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테이퍼면(56) 및 (102) 사이의 윤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마찰계수가 작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면(102)과 테이퍼면(56) 사이에 늘어붙음(용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구를 보다 한층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3에서는, 스러스트링(52) 전체를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너트본체(51)와, 스러스트링 (52)은, 예컨대,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는, 너트본체(51)의 소정위치에 스러스트링 (52)을 압입하는 등의 방법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3에서는, 스러스트링(52)로서,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미리 윤활유를 봉입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러스트링(52)은, 예컨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너트본체(51)를 콜릿척본체(10)에 조일 때에, 스러스트링(52)을 구성하는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윤활유 공급기구(140)로부터 윤활유를 유입시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윤활유 공급기구(140)는, 클램프너트(50)의 외주부의 대략 절반에 서로 보충하고, 또한 클램프너트(50)의 외주부에 압착가능한 내주면(141)을 구비한 대략 반링형상부(142)를 갖고 있다. 대략 반링형상부(142)의 내주면(141)의 선단에는, 윤활유 공급로(143)에 연통한 주입노즐(144)이 배치되어 있고, 윤활유 공급로(143)는, 도시하지 않는 윤활유 공급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너트본체(51)에는, 주입노즐(144)이 삽입되는 삽입구멍(14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구멍(145)의 바닥부가, 스러스트링(52)까지 관통한 관통구멍(146)에 연통되어 있다.
너트본체(51)를 콜릿너트본체(10)에 조일 때에, 상기 윤활유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는, 윤활유 공급로(143)를 경유하여 주입노즐(144)에 이르고, 관통구멍(146)을 경유하여 스러스트링(52)을 구성하는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유입된다. 이로써, 양 테이퍼면(56) 및 (102) 사이의 윤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마찰계수가 작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면(102)과 테이퍼면(56) 사이에 늘어붙음(용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공구를 보다 한층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고, 클램프너트를 콜릿척본체에 조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10은, 도 9의 우측면도이다.
(실시형태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관한 클램프너트 및 이것을 구비한 콜릿척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4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콜릿척과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4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4에 관한 콜릿척(4)의, 실시형태3에 관한 콜릿척(3)과 다른 주된 점은, 클램프너트(60)를 구성하는 너트본체(61)와, 스러스트링(62)의 형상이다.
너트본체(61)는, 내주면의 기단측에, 콜릿척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의 선단측은, 너트본체(61)의 내경이 작게 되도록 내측에 연장된 연장부(63)로 되어 있다. 이 연장부(63)는, 뒤에 상술하는 스러스트링(62)의 선단부 끝면(64)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너트본체(61)의 내주면 대략 중앙부에는, 스러스트링(62)의 기단측면에 접촉하는 고정륜(58)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고정륜(58)은, 내주측이 테이퍼콜릿 (100)의 환형홈(103)에 헐겁게 끼워지고, 너트본체(61)와 스러스트링(62)을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러스트링(62)은, 전체가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러스트링 (62)은, 기단측이 단변으로 되고, 선단측이 장변으로 되는 단면 대략 사다리꼴을 갖고, 그 내주면은, 테이퍼콜릿(100)의 테이퍼(102)과 서로 보충하여, 선단측을 향하여 내경이 축경하도록 형성된 테이퍼면(66)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러스트링 (62)의 선단부 끝면(64)은, 너트본체(61)의 연장부(63)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4에 관한 콜릿척(4)의 구체적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시형태3과 마찬가지로, 스러스트링(62) 및 너트본체(61)가 설치된 테이퍼콜릿(100)을 콜릿척본체(10)의 테이퍼구멍(11)에 끼워맞추고, 스러스트링(62) 및 너트본체(61)를 콜릿척본체(10)에 가체결한다. 다음에, 공구의 섕크(도시않함)를 테이퍼콜릿(100)에 삽입하고, 너트본체(61)를 회전(나사결합)시키고, 너트본체(61)의 연장부(63)가 스러스트링(62)의 선단부 끝면(64)을 기단측에 압압한다. 이로써, 스러스트링(62)의 테이퍼면(66)이, 테이퍼콜릿(100)의 테이퍼면 (102)을 압압하고, 테이퍼콜릿(100)은, 슬롯(101)의 폭의 축소에 의해서 축경하면서 테이퍼구멍(11)의 기단측을 향하여 눌러넣어진다. 이 축경이 진행하면, 스러스트링 (62)은, 테이퍼콜릿(100)에 대해서 회전을 정지하고, 기단측을 향하여 슬라이딩하고, 너트본체(61)은, 스러스트링(62)에 대해서 회전슬라이딩한다. 여기서, 스러스트링(52)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양 테이퍼면(66) 및 (102) 사이의 윤활성이 향상하고, 마찰계수가 작게 된다. 따라서, 테이퍼면(102)과 테이퍼면(66) 사이에 늘어붙음(용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공구를보다 한층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4도 실시형태3과 마찬가지로, 스러스트링(62) 전체를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러스트링(62)은, 적어도, 테이퍼콜릿(100)과 접촉되는 부분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3과 마찬가지로, 너트본체(61)와, 스러스트링(62)은 일체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4에 관한 스러스트링(62)도, 실시형태3와 마찬가지로,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미리 윤활유를 봉입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너트본체(61)를 콜릿척본체(10)에 조일 때에, 스러스트링(62)을 구성하는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윤활유 공급기구 등에 의해 윤활유를 유입시켜도, 상기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5에 관한 클램프너트 및 이것을 구비한 콜릿척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5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콜릿척과 같은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5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5에 관한 콜릿척(5)의, 실시형태2에 관한 콜릿척(2)과 다른 주된 점은, 클램프너트(70)의 형상이다. 즉, 실시형태5에 관한 클램프너트(70)는, 너트본체(71)와, 테이퍼콜릿(110)과 너트본체(71)의 사이에배치되는 스러스트링(7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너트본체(71)는, 내주면의 기단측에, 콜릿척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의 선단측은, 너트본체(71)의 내경이 작게 되도록 내측에 연장된 연장부(73)로 되어 있다. 이 연장부(73)는, 뒤에 상술하는 스러스트링(72)의 선단부에 형성된 계단부(74)에 배치된다. 또한, 너트본체(71)의 내주면 대략 중앙부에는, 스러스트링(72)의 기단면 (76)에 접촉하는 고정륜(59)이 배치되어 있고, 스러스트본체(71)와 스러스트링(72)을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러스트링(72)은, 전체가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러스트링 (72)은, 선단측의 외경이 약간 작게 되도록 구성된 계단부(74)와, 선단측의 내경이 약간 크게 되도록 구성된 계단부(75)를 구비한 단면 대략 T자형상을 갖고 있다. 계단부(74)는, 너트본체(72)의 연장부(73)가 배치되고, 계단부(75)에는, 테이퍼콜릿 (110)의 선단에 배치된다. 스러스트링(72)의 계단부(75)의 기단측에 인접한 부분은, 테이퍼콜릿(110)의 환형홈(113)에 삽입된다. 스러스트링(72)의 기단면(76)은, 테이퍼콜릿(110)의 플랜지부(112)의 벽(114)에 접촉한다.
다음에, 실시형태5에 관한 콜릿척(5)의 구체적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시형태2과 마찬가지로, 스러스트링(72) 및 너트본체(71)가 설치된 테이퍼콜릿(110)을 콜릿척본체(10)의 테이퍼구멍(11)에 끼워맞추고, 스러스트링(72) 및 너트본체(71)를 콜릿척본체(10)에 가체결한다. 다음에, 공구의 섕크(도시않함)를 테이퍼콜릿(110) 내에 삽입하고, 너트본체(71)를 회전(나사결합)시키고,너트본체(71)의 연장부(73)가 스러스트링(72)의 계단부(74)를 기단측에 압압한다. 이로써, 스러스트링(72)의 기단면(76)이 테이퍼콜릿(110)의 플랜지부(112)의 벽 (114)을 압압하고, 테이커콜릿(100)은, 슬롯(101)의 폭의 축소에 의해서 축경하면서 테이퍼구멍(11)의 기단측을 향하여 눌러넣어진다. 이 때, 스러스트링(52)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퍼콜리(110)의 선단측 외주면과의 사이의 윤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마찰계수가 작게 된다. 이 때문에, 양자간에 늘어붙음(용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공구를 보다 한층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5도 실시형태3 및 4와 마찬가지로, 스러스트링(72) 전체를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러스트링(72)은, 적어도, 테이퍼콜릿(110)과 접촉되는 부분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3 및 4와 마찬가지로, 너트본체(71)와, 스러스트링(72)은 일체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5에 관한 스러스트링(72)도, 실시형태3와 마찬가지로,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미리 윤활유를 봉입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너트본체(71)를 콜릿척본체(10)에 조일 때에, 스러스트링(72)을 구성하는 다공질재료의 기공부 내에, 윤활유 공급기구 등에 의해 윤활유를 유입시켜도, 상기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6에 관한 클램프너트 및 이것을 구비한 콜릿척에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6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콜릿척과 마찬가지의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6에 관한 클램프너트를 구비한 콜릿척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6에 관한 콜릿척(6)의, 실시형태2에 관한 콜릿척(2)과 다른 주된 점은, 클램프너트(80)의 형상이다. 즉, 실시형태6에 관한 클램프너트(80)는, 너트본체(81)와, 테이퍼콜릿(110)과 너트본체(81)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8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너트본체(81)는, 내주면의 기단측에, 콜릿척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주면의 선단측은, 너트본체(81)의 내경이 약간 작게 되도록 내측에 연장된 연장부(83)로 되어 있다. 이 연장부(83)의 기단측에는, 뒤에 상술하는 스러스트링(82)이 압입되는 압입구멍 (8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83)의 내주면에는, 테이퍼콜릿(110)의 환형홈 (113)에 삽입되는 볼록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스러스트링(82)은, 전체가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러스트링 (82)은, 단면 대략 직사각형상을 구비하고, 너트본체(81)의 압입구멍(84)에 압입되어 있다. 스러스트링(82)의 기단측 끝면(86)은, 테이퍼콜릿(110)의 플랜지부(112)의 벽(114)에 접촉한다.
다음에, 실시형태6에 관한 콜릿척(6)의 구체적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너트본체(81)의 압입구멍(84)에 스러스트링(82)을 압입한다. 다음에, 테이퍼콜릿(110)을 축경하면서, 스러스트링(82)이 압입된 너트본체(81)를 테이퍼콜릿(110)의 선단에 설치한다. 이어서, 이 테이퍼콜릿(110)을 콜릿척본체(10)의 테이퍼구멍(11)에 끼워맞추고, 스러스트링(82)이 압입된 너트본체(81)를 콜릿척본체 (10)에 가체결한다. 다음에, 공구의 섕크(도시않함)를 테이퍼콜릿(110) 내에 삽입하고, 너트본체(81)를 회전(나사결합)시키고, 스러스트링(82)의 기단측 끝면(86)을 플랜지부(112)의 벽(114)에 압압한다. 이로써, 테이퍼콜릿(110)은, 슬롯(101)의 폭의 축소에 따라서 축경하면서 테이퍼구멍(11)의 기단측을 향하여 눌러넣는다. 이 때, 스러스트링(82)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퍼콜릿(110)의 선단측 외주면과의 사이의 윤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마찰계수가 작게 된다. 이 때문에, 양자간에 늘어붙음(용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공구를 보다 한층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고,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6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스러스트링(82) 전체를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러스트링(82)은, 적어도, 테이퍼콜릿(110)과 접촉되는 부분이 오일함유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실시형태6에서는, 스러스트링(82)을 너트본체(81)에 압입하여 배치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러스트링(82)은, 접착제 등에 의해 너트본체(81)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고, 또한, 별체로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클램프너트 및 이것을 구비한 콜릿척은, 콜릿과의 슬라이딩면의 윤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마찰계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면에 늘어붙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불균형에 의한 진동을 일으킴이 없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상 회전은 물론 고속회전시킨 경우에도, 공구의 장착 정밀도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20)

  1. 콜릿을 통해서 공구를 파지하는 콜릿척본체에 장착되고, 이 콜릿척본체와 함께 상기 콜릿을 조이는 클램프너트로서,
    적어도 상기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기공부에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클램프너트를 조일 때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윤활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윤활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기공부에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윤활유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클램프너트를 조일 때에, 외부로부터 유입되어서 상기 기공부에 봉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7. 제1항에 있어서,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8. 제1항에 있어서,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너트를 조일 때에, 상기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상기 유체가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9. 제1항에 있어서,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러스트링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10. 제1항에 있어서,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러스트링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너트를 조일 때에, 상기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11. 제1항에 있어서,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12. 제1항에 있어서,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너트를 조일 때에, 상기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외부로부터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13. 제1항에 있어서,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러스트링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본체는, 상기 스러스트링에 대해서 회전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14. 제1항에 있어서,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본체는, 상기 스러스트링에 대해서 회전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15. 제1항에 있어서,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러스트링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본체는, 상기 스러스트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16. 제1항에 있어서,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전체가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본체는, 상기 스러스트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너트.
  17. 콜릿을 통해서 공구를 파지하는 콜릿척본체; 및
    상기 콜릿을 통해서 공구를 파지하는 콜릿척본체에 장착되고, 이 콜릿척본체와 함께 상기 콜릿을 조이는 클램프너트를 구비하고,
    상기 클램프너트는, 적어도 상기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척.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너트는,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러스트링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척.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너트는,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러스트링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본체는, 상기 스러스트링에 대해서 회전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척.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너트는,
    너트본체; 및
    상기 콜릿과 상기 너트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스러스트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러스트링의 적어도 콜릿에 접촉되는 부분이 다공질재료로 이루어지고, 이 다공질재료의 기공부에 유체가 충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너트본체는, 상기 스러스트링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릿척.
KR1020020042517A 2002-01-11 2002-07-19 클램프너트 및 콜릿척 KR200300612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04873A JP2003205409A (ja) 2002-01-11 2002-01-11 締付けナット及びコレットチャック
JPJP-P-2002-00004873 2002-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281A true KR20030061281A (ko) 2003-07-18

Family

ID=1919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517A KR20030061281A (ko) 2002-01-11 2002-07-19 클램프너트 및 콜릿척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86835B2 (ko)
EP (1) EP1329272A3 (ko)
JP (1) JP2003205409A (ko)
KR (1) KR20030061281A (ko)
CN (1) CN1301817C (ko)
TW (1) TW53644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73Y1 (ko) * 2011-06-23 2011-09-19 조창식 밀링머신용 공구 고정 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74722A0 (en) * 2006-04-02 2006-08-20 Hanoch Guy Chuck and article
TWI409133B (zh) * 2008-06-27 2013-09-21 Hon Hai Prec Ind Co Ltd 夾持裝置
JP4772900B2 (ja) * 2008-12-15 2011-09-14 株式会社日研工作所 工具ホルダ
US20140327214A1 (en) * 2013-05-02 2014-11-06 Pazzles, Inc. Instrument holder for a plotter
CH709850A1 (de) * 2014-07-07 2016-01-15 Rego Fix Ag Vorrichtung zur Zuführung von Kühl- oder Schmierflüssigkeit zu drehfesten, in Drehmaschinen eingespannten Werkzeugen.
EP3511098B1 (en) * 2016-09-06 2023-02-22 Big Daishowa Co., Ltd. Tool chuck, tool-holding method and tool-detaching method
US10668541B2 (en) * 2017-07-31 2020-06-02 Iscar, Ltd. Tool holding system having captive and non-releasable members, method of manufacture and assembly of same and cutting tool
TWI655984B (zh) * 2018-10-17 2019-04-11 心源工業股份有限公司 Tool bar for reducing component combination tolerance
CN111872415B (zh) * 2020-08-03 2021-09-14 哈尔滨市金海盛工贸有限公司 一种航空航天紧固零件车削加工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7495A (en) * 1958-02-19 1960-12-29 Martin Littmann Articles having female threads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rticles
NL175040C (nl) * 1974-08-19 1984-09-17 Durofac Kartro As Booropneeminrichting voor een klopboormachine.
NL8005112A (nl) * 1980-09-11 1982-04-01 Philips Nv Lagedrukkwikdampontladingslamp.
US4496163A (en) * 1981-08-03 1985-01-29 Bernfeld Kenneth G Adaptors for a collet chuck
SE8202293L (sv) * 1982-04-13 1983-10-14 Lofab Square Ab Anordning for fastspenning av ett verktyg
US4516787A (en) * 1982-11-10 1985-05-14 At&T Technologies, Inc. Lightguide preform chuck
US4795292A (en) * 1985-09-06 1989-01-03 Leonard Dye Chuck for rotary metal cutting tool
US4817972A (en) * 1986-09-12 1989-04-04 Daishowa Seiki Co., Ltd. Collet chuck
DE3750904T2 (de) * 1987-06-29 1995-08-0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Vorschubeinrichtung.
DE4115992A1 (de) * 1991-05-16 1992-11-19 Bilz Otto Werkzeug Spannzange fuer werkzeuge
JPH0586407A (ja) 1991-09-27 1993-04-06 Ishihara Sangyo Kaisha Ltd 磁気記録用金属磁性粉末の製造方法
GB2279277B (en) * 1993-06-28 1997-03-05 Crawford Collets Ltd Collets
US5601386A (en) * 1995-01-18 1997-02-11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Cutter body including cutting fluid gland
JPH11506704A (ja) * 1995-06-07 1999-06-15 パワー ツール ホルダ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固体薄膜潤滑剤を組み込んだ改良された工具保持装置
DE29612328U1 (de) * 1996-07-16 1996-09-12 Zuern Wolfgang Spannmutter für Spannwerkzeuge
US5941664A (en) * 1997-09-04 1999-08-24 Kennametal Inc. Toolholder having impeller-type coolant inducer
CN1112981C (zh) * 1998-01-29 2003-07-02 Pmv有限责任公司 钻、铣头
SE516997C2 (sv) * 1999-11-16 2002-04-02 Etp Transmission Ab Monteringsverktyg för hydromekanisk chu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73Y1 (ko) * 2011-06-23 2011-09-19 조창식 밀링머신용 공구 고정 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2741A (zh) 2003-07-30
EP1329272A3 (en) 2003-08-06
CN1301817C (zh) 2007-02-28
EP1329272A2 (en) 2003-07-23
JP2003205409A (ja) 2003-07-22
US6886835B2 (en) 2005-05-03
TW536443B (en) 2003-06-11
US20030132580A1 (en) 200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001B2 (en) Tool holder
US6352395B1 (en) Tool holder and tool holder attachment mechanism
KR20120016257A (ko) 척 장치
KR20030061281A (ko) 클램프너트 및 콜릿척
CA2282221C (en) Two-surface constrainable tool
JP2001065760A (ja) 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軸受け構造
US7017919B2 (en) Chuck
US20010049984A1 (en) Tool holder and tool holder attachment mechanism
JP3834159B2 (ja) 軸継手の軸締結装置
US5613795A (en) Conical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machine components
KR20040007204A (ko) 고정용 너트 및 이것을 구비한 공구홀더, 그리고 스패너
JP2009131930A (ja) コレット式工具ホルダ
JP2010082789A (ja) 工具ホルダ
JPH0131363Y2 (ko)
US20050161888A1 (en) Workpiece holder
JP3526745B2 (ja) 皿ばね及びその皿ばねを用いた主軸装置
JPH0623608A (ja) 工具ホルダ
US4734808A (en) Tape guide for use in tape recorder
JP2778693B2 (ja) 工作機械の主軸のがたつき防止装置
JPH0214891Y2 (ko)
JP2571325B2 (ja) 工具ホルダー取付装置
JP2002370134A (ja) 工具ホルダー
JP2572136Y2 (ja) チャック装置
JPH0329068Y2 (ko)
JPH0311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