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113A - 역학적으로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 - Google Patents

역학적으로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113A
KR20030060113A KR10-2003-7007693A KR20037007693A KR20030060113A KR 20030060113 A KR20030060113 A KR 20030060113A KR 20037007693 A KR20037007693 A KR 20037007693A KR 20030060113 A KR20030060113 A KR 2003006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gions
eye
region
fl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프맨제프리에이치
쥬뱅필립에프
와싱턴앨릭스티
Original Assignee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존슨 앤드 존슨 비젼 케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1/04790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46829A2/en
Publication of KR2003006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1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2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materials containing microcapsules; Preparing or processing such materials, e.g. by pressure; 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G03F7/0022Devices or apparatus
    • G03F7/003Devic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storage means for the light sensitive material, e.g. cart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56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moisture cont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G01N27/12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of the fluid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안정화 영역이, 렌즈 표면의 하나 이상의 주변 영역을 나타내기 위하여 스플라인 또는 다항식을 사용함으로써 수득되는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가 제공된다. 렌즈의 안정화 영역은 눈에서 효과적으로 안정화되고, 렌즈 착용자에게 편안한 렌즈를 제공하도록 렌즈로 원활히 통합된다.

Description

역학적으로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Dynamic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특정한 광학 결함의 보정은 원통형 또는 다촛점 특성과 같은 비구면 보정 특성을 콘택트 렌즈로 부여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또한, 기술적 진보로 각막 토포그래피 및 파면 수차 측정법을 사용하는 특별한 착용자에게 주문된 렌즈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렌즈의 사용은 렌즈를 특정 배향으로 유지하면서 눈에 효과적이어야 하는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는 눈꺼풀 및 눈물 이동 뿐만 아니라, 껌벅거림으로 인하여 눈 위에서 회전한다.
이들의 눈 위의 배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렌즈는 통상 두 개의 일반적인 형태로 존재한다. 한 형태는 배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프리즘 안정화 또는 특정 렌즈 부분의 비대화를 사용한다. 프리즘 안정화법의 예로는 렌즈 배면에 대해 전면의 탈중심화(decentering), 프리즘 밸런싱, 보다 낮은 렌즈 가장자리의 비대화,보다 낮은 눈꺼풀 위에 렌즈를 지지하는 방법, 렌즈 표면에 함몰부 또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법 및 렌즈 가장자리를 절단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두번째 렌즈 형태인 역학적으로 안정화된 렌즈는 렌즈 배향을 유지하기 위하여 눈꺼풀의 움직임을 사용한다. 역학적 안정화법에는 렌즈 외부 표면의 두께를 두 개의 대칭적으로 놓인 영역에서, 통상 렌즈상의 상부 및 하부 영역에서 감소시키면서, 외부 영역의 두께를 수평 중심축으로 유지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렌즈 배향을 유지하는 공지된 방법은 렌즈가 제조를 위해 특수 축외 공구를 필요로 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이들 렌즈는 착용하기에 불편하며, 공지된 방법은 상당히 효과적이지 못한 점을 포함하는 수많은 단점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단점을 극복하는 렌즈의 눈 위 배향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콘택트 렌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눈과 관련하여 렌즈의 배향을 안정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안정화 영역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렌즈의 한 양태의 전면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렌즈의 두번째 양태의 전면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렌즈의 세번째 양태의 전면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양태
본 발명의 발견은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가 렌즈 표면의 하나 이상의 주변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스플라인(spline) 또는 다항식을 사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눈 위의 렌즈 안정화를 위해 효과적인 방법 및, 본 방법을 도입하는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렌즈의 주변 안정화 영역의 도안을 고도로 조절하면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생성된 렌즈의 안정화 영역은 눈 위에서 효과적으로 안정화되고, 렌즈 착용자에게 편안한 렌즈를 제공하는 렌즈 표면으로 원활하게 통합된다. 또한, 렌즈는 특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컴퓨터 수치 제어("CNC"; computer numerically controlled) 코딩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양태로, 본 발명은 시각 영역, 주변 영역 및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들로 이루어지는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고, 이때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은 스플라인, 고차 다항식 또는 이들의 조합인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또 하나의 양태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주변 영역"은 중심 시각 영역 외부의 렌즈 영역을 의미한다. 통상, 렌즈의 주변 영역은 제한없이, 비광학적 렌즈 영역, 렌즈 가장자리, 베벨(bevel) 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할 수 있다. "고차 다항식(high order polynomial)"은 4차 이상의 다항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렌즈는 하드 또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이다.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은 전면, 배면 또는 이들 표면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전면(front surface)"은 렌즈의 물체면을 의미한다. "배면(back surface)"은 눈 위에 놓이는 렌즈의 표면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은 전면 위에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렌즈는 전면 및 배면 중의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포함되는다양한 보정적 광학 특성 중의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는 하나 이상의 구면, 비구면, 이중 초점, 다초점, 프리즘 또는 원통형 보정 또는 이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표면은 각막 토포그래피 측정으로부터 계산되는 표면, 토포그래피적으로 유도된 표면, 눈의 파면 수차 측정으로부터 계산되는 표면 등 및 이들이 조합된 상태의 표면일 수 있다.
박편 영역의 위치, 두께 및 대칭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조합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해 보면, 렌즈(10)는 시각 영역(11) 및, 비광학 렌즈 영역인 주변 영역(12)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박편 영역(13)은 렌즈(10)의 90°축에 대해 중심이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시각 영역(21), 렌즈 영역(22) 및 비대칭적인 박편 영역(23 및 24)을 갖는 렌즈(2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박편 영역(31)이 렌즈 영역(32)에 도시된 렌즈(30)가 도시되어 있다.
박편 영역은 시각 영역의 외부로, 바람직하게는 시각 영역의 최외각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약 200㎛를 초과하고, 비광학적 렌즈 영역 이내에 존재하는 렌즈 표면 상의 특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렌즈는 베벨을 포함하고, 박편 영역(들)은 시각 영역의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약 200㎛를 초과하여 위치하며, 베벨의 최심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베벨의 최심부 가장자리(innermost edge of the bevel)"는 시각 영역에 근접하는 베벨의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이 사용되는 경우에, 각 영역은 렌즈의 기하학적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방사상 거리에 존재할 수 있거나, 이 거리는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로, 하나 이상의 렌즈 표면, 바람직하게는 배면은 개개인의 각막 토포그래피의 전부 또는 일부와 일치하도록 개개인의 각막 토포그래피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안된다. "일치한다"는 의미는 렌즈 표면이 핸드-인-글로브(hand-in-glove) 방식으로 각막에 적합하도록 고안된 것을 의미한다. 이 양태는 배면이 눈위에서 렌즈의 회전 안정성을 돕는 잇점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로, 렌즈의 배면은 토포그래피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안되며, 전면 및 배면 중의 하나 또는 이들 모두는 또한 눈의 파면 수차에 대해 보정한다.
본 발명의 렌즈의 박편 영역의 곡률이 스플라인 함수, 고차 다항식 함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기술됨을 의미하는 본 발명의 렌즈의 박편 영역이 생성된다. 박편 영역 외부의 렌즈의 가장 두꺼운 지점과 박편 영역내의 가장 얇은 지점 사이의 두께차는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00㎛이다.
본 발명의 렌즈는 콘택트 렌즈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 도안은 금속으로 절단할 수 있고, 금속은 렌즈 표면을 위한 플라스틱 주형 삽입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적절한 액체 수지를 삽입물 사이에 가하고, 삽입물을 압착시킨 다음, 수지를 경화시켜 렌즈를 형성한다. 또는, 본 발명의 렌즈는 선반 위에서 렌즈를 절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본 발명의 잇점이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 공구 또는 렌즈의 CNC 래딩(lathing)을 사용함으로써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를 형성하는데 유용한 재료는 하드 또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시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렌즈 형성용으로 선택되는 재료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 형성용으로 적합한 재료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이러한 콘택트 렌즈 형성용으로 적합한 재료에는 제한없이, 실리콘 탄성 중합체, 제한없이,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371,147호, 제5,314,960호 및 제5,057,578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실리콘 함유 마크로머, 하이드로겔, 실리콘 함유 하이드로겔 등 및 이들의 배합물이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은 실록산이거나, 제한없이, 폴리디메틸 실록산 마크로머, 메타크릴옥시프로필 폴리알킬 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실록산 작용기, 실리콘 하이드로겔 또는 하이드로겔(예: 에타필콘 A)을 함유한다.

Claims (20)

  1. 시각 영역, 주변 영역, 및 주변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스플라인(spline), 고차 다항식 또는 이들의 조합인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소프트 콘택트 렌즈인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이 전면 상에 위치하는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이 배면 상에 위치하는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이 배면 및 전면 상에 위치하는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배면이 개개인의 각막 토포그래피의 모두 또는 일부와 일치하는 렌즈.
  7. 제1항에 있어서, 전면이 개개인의 각막 토포그래피의 모두 또는 일부와 일치하는 렌즈.
  8. 제6항에 있어서, 전면, 배면 또는 이들 표면 모두가 눈의 파면 수차 측정치로부터 계산되는 렌즈.
  9. 제7항에 있어서, 전면, 배면 또는 이들 표면 모두가 눈의 파면 수차 측정치로부터 계산되는 렌즈.
  10.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이 시각 영역의 최외각 가장자리로부터 적어도 약 200㎛를 초과하여 위치하는 렌즈.
  11. 제10항에 있어서, 주변 영역이 비광학적 렌즈 영역과 베벨(bevel)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이 베벨의 최심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렌즈.
  1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이 스플라인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렌즈.
  13.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이 고차 다항식 함수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렌즈.
  14. 스플라인, 고차 다항식 또는 이들의 조합인 함수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박편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생성 단계가 스플라인 함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생성 단계가 스플라인 함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개개인의 각막 토포그래피의 모두 또는 일부와 일치하는 렌즈 배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개개인의 각막 토포그래피의 모두 또는 일부와 일치하는 렌즈 전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개개인의 눈의 파면 수차 측정치로부터 렌즈의 전면, 배면 또는 이들 표면 모두를 계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개개인의 눈의 파면 수차 측정치로부터 렌즈의 전면, 배면 또는 이들 표면 모두를 계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03-7007693A 2000-12-08 2001-12-10 역학적으로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 KR200300601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32,547 2000-12-08
US09/732,547 US6450015B1 (en) 2000-12-08 2000-12-08 Ambient condition sensor for a photosensitive media cartridge
PCT/US2001/047902 WO2002046829A2 (en) 2000-12-08 2001-12-10 Dynamic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113A true KR20030060113A (ko) 2003-07-12

Family

ID=2494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693A KR20030060113A (ko) 2000-12-08 2001-12-10 역학적으로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6450015B1 (ko)
EP (1) EP1229386A3 (ko)
JP (1) JP2002268185A (ko)
KR (1) KR200300601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5362A1 (en) * 2002-10-02 2004-04-23 Cycard Technologies, Inc. Card printing system and method
TWI314989B (en) * 2006-06-23 2009-09-21 Fego Prec Ind Co Ltd Humidity sensor having temperature compensation self-compa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JPWO2015029904A1 (ja) * 2013-09-02 2017-03-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水分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609A (en) * 1976-01-02 1977-07-12 Fuller David L Digital sensing device
US4298855A (en) 1980-08-26 1981-11-03 Honeywell Inc. Conductive polymer film humidity sensor
DE3270451D1 (en) 1981-09-28 1986-05-15 Hitachi Ltd Humidity sensor and method for preparing a humidity sensor
US4440846A (en) 1981-11-12 1984-04-03 Mead Corporation Photocopy sheet employing encapsulated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and imaging process
US4399209A (en) 1981-11-12 1983-08-16 The Mead Corporation Transfer imaging system
US4416966A (en) 1982-08-25 1983-11-22 The Mead Corporation Capsular imaging system comprising decolorizing agent
JPS6156952A (ja) 1984-08-28 1986-03-22 Sharp Corp 感湿抵抗素子
US4766050A (en) 1987-03-27 1988-08-23 The Mead Corporation Imaging system with integral cover sheet
EP0311939A3 (en) * 1987-10-12 1990-10-17 Nihon Parkerizing Co., Ltd. Humidity sensor
JPH01167646A (ja) * 1987-12-23 1989-07-03 Tekune Yoko:Kk 電気容量型湿度計
JPH02150754A (ja) * 1988-11-30 1990-06-11 Toshiba Corp 感応素子の製造方法
US5230982A (en) 1989-03-09 1993-07-27 The Mead Corporation Photoinitiator compositions containing disulfides and photohardenable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WO1991003734A1 (de) 1989-08-29 1991-03-21 At & S Austria Technologie & System Technik Gesellschaft M.B.H. Verwendung eines quellfähigen kunststoffe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esistiven feuchtigkeitssensors
US5091743A (en) * 1990-03-30 1992-02-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controllable to one of exposure condition and pressure developing condition
JPH0419662A (ja) * 1990-05-14 1992-01-23 Brother Ind Ltd 圧力現像装置
US5512882A (en) * 1991-08-07 1996-04-30 Transducer Research, Inc. Chemical sensing apparatus and methods
US5608374A (en) * 1992-02-14 1997-03-04 Seiko Epson Corporation Humidity sensor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humidity sensor
AU689336B2 (en) 1994-06-10 1998-03-26 Eastman Kodak Company Self-contained imaging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images therein
JP3054850B2 (ja) * 1994-09-16 2000-06-19 科学技術振興事業団 湿度検知方法
JPH10123724A (ja) 1996-10-24 1998-05-1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625348B2 (ja) * 1996-12-10 2005-03-02 Tdk株式会社 感湿素子
JPH11231428A (ja) * 1998-02-16 1999-08-2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DE10016427C2 (de) * 2000-04-01 2003-02-13 Bosch Gmbh Robert Sensor, insbesondere Feuchtesenso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6390694B1 (en) * 2000-06-19 2002-05-21 Eastman Kodak Company Imaging assembly and media cartridge having cooperating linkage arrangements
US6268094B1 (en) * 2000-06-19 2001-07-31 Eastman Kodak Company Photosensitive media cartridge having an ambient condition sensor
US6483575B1 (en) * 2000-06-19 2002-11-19 Eastman Kodak Company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photosensitive media having microencapsulated imaging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9386A3 (en) 2006-04-12
US20030219661A1 (en) 2003-11-27
US6450015B1 (en) 2002-09-17
US20020071999A1 (en) 2002-06-13
US6638700B2 (en) 2003-10-28
EP1229386A2 (en) 2002-08-07
JP2002268185A (ja) 2002-09-18
US20020160285A1 (en) 2002-10-31
US6689550B2 (en) 200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1392B2 (en) Dynamic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US6899425B2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JP4263172B2 (ja) 周方向の角度位置が安定したコンタクトレンズ
US6364482B1 (en) Contact lens useful for avoiding dry eye
JP4954358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EP1853962B1 (en) A toric lens design
CA2432422C (en) Contact lenses with improved centering and orienting
WO2001016641A1 (en) Rotationally stabilized contact lenses
JP2000056275A (ja) プログレッシブ付加レンズ
KR101778511B1 (ko)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
KR20080108308A (ko) 다초점 콘택트렌즈
AU2001297597A1 (en) Contact lenses with improved centering and orienting
US5988813A (en) Differential thickness contact lens utilizing multiple base curv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P1468324B1 (en)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WO2007075950A1 (en) Toric contact lenses
JP4298515B2 (ja) 偏心球体面を有するコンタクトレンズ
KR20030060113A (ko) 역학적으로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
JPH08262376A (ja) プリズム付きコンタクトレンズ
US20040017544A1 (en)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their design
KR20050032574A (ko) 회전 안정화된 콘택트 렌즈
GB1569764A (en) Progressive power ophthalmic lens
AU2005211553B2 (en) Contact lens useful for avoiding dry ey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