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8019A - 삼산화비소(As₂O₃)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치료증진제 - Google Patents

삼산화비소(As₂O₃)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치료증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8019A
KR20030058019A KR1020010088147A KR20010088147A KR20030058019A KR 20030058019 A KR20030058019 A KR 20030058019A KR 1020010088147 A KR1020010088147 A KR 1020010088147A KR 20010088147 A KR20010088147 A KR 20010088147A KR 20030058019 A KR20030058019 A KR 20030058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cancer cells
arsenic trioxide
cells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8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용진
김경중
김수관
홍석일
이창훈
박인철
박명진
우상혁
조철구
류성렬
이수재
이윤실
김태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to KR1020010088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8019A/ko
Publication of KR20030058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0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6Arseni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1/00Medicinal preparations obtained by treating materials with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Therapies using these preparations
    • A61K41/0038Radiosensitizing, i.e.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 agents that enhance the effect of radi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산화비소(Arsenic Trioxide, As2O3) 화합물의 방사선 치료 증진제로서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생체 내 암을 치료하기 위하여 암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기 전, 또는 조사하는 동안 투여하여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As2O3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물질은 암 조직에서 방사선 치료 효율을 증진시키므로, 방사선 치료의 선량을 낮추면서도 고선량 처리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므로, 고선량 방사선 치료시 나타나는 부작용인 정상세포의 손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어서, 방사선 치료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삼산화비소(As₂O₃)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 증진제{Radiosensitizer containing arsenic trioxide as the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삼산화비소의 방사선 치료 증진제로서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생체 내 암을 치료하기 위하여 암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기 전, 또는 조사하는 동안 투여하여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삼산화비소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암의 치료법은 수술, 방사선 치료법, 화학요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현재 암 환자 중 국내의 경우 약 35%, 미국의 경우 약 50% 정도가 방사선 치료를 받고 있으며, 국내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암치료에 있어 방사선 치료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방사선 치료는 현재 다양한 종류의 암에 필수적인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암세포의 방사선 내성 획득, 고선량 방사선 치료시 정상 조직의 손상 등이 치료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대두되며서 방사선 치료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사선 치료 증진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사선 치료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증진제에 관한 연구들이 계속 진행되고 있는데, 항암제로 알려진 탁솔(Taxol)과 시스플라틴(cisplatin)이 유방암, 자궁암, 폐암, 위암, 대장암 등 여러 고형암들에서 방사선 민감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되었으며, 현재에는 임상적으로 이것들을 고형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방사선과 함께 투여해 본 결과, 방사선 민감도를 증진시켜 방사선 치료 효율을 증진시킨다는 것이 입증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항암제들은 그 부작용이 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암조직에서 고르게 효과를 나타내지도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비소(Ar)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전통적인 중국의학에서 항암제로 사용되어져 왔는데, 1970년대에 항암 치료에 사용된 비소 화합물 중에서 As2O3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확인되어졌고, 장기간 임상 실험에서 As2O3가 급성 전골수 백혈병(Acute premylocytic lukemia: APL)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백혈병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또한 As2O3는 레티노산(retinoic acid) 치료 후 재발한 환자에게도 임상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이 As2O3는 혈액암 치료에 그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서 현재 임상 실험을 진행중이지만, 이 물질이 어떠한 작용기작에 의해 암세포를 살상하는지에 대해서는 완전히 알려져 있지 않다. 몇몇 연구에서 As2O3는 유전자(DNA)에 손상을 주거나, 유전자 변이를 야기시키는 산화제일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급성 전골수 백혈병 세포주 NB4에 대한 체외(ex vivo) 연구에서 As2O3는 bcl-2 발현을 감소 조절하고 분명한 분화없이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하는 것으로 설명된 바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As2O3는 레티노산(retinoic acid) 융합 단백질(fusion protein)이 결합하는 핵 수용기 붕괴를 유도하여 급성 전골수 백혈병 종양세포에 특이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As2O3에 관한 연구들은, As2O3단독처리시나 다른 항암제와의 병용처리시에 항암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에 국한되어 있을 뿐, 방사선과의 병용처리에 의한 방사선 민감도 증진작용에 관한 보고는 현재까지 전무하다.
또한 As2O3를 생체에 투여할 때, 그 양을 너무 작게 하면 부작용은 없으나 항암제로서의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편 암세포를 살상할 수 있는 유효량으로 인체에 투여했을 때에는 그 부작용이 상당히 심각하여, 비소 화합물의 항암제로서의 사용은 현재 임상 실험 단계에 머물고 있을 뿐, 아직까지 항암제로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정상세포에 부작용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에 고르게 효과를 나타내는 신규한 방사선 치료 증진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인체 자궁암 세포에 일정한 양의 방사선과 각각 상이한 농도의 As2O3를 함께 처리했을 때, As2O3의 상이한 농도에 따른 잔존세포수를 시간의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인체 자궁암 세포에 As2O3와 방사선을 각각 그리고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암세포 사멸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은 인체 자궁암 세포에 방사선량과 As2O3의 양을 달리 하면서 처리한 경우의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As2O3에 대한 인체 자궁암세포의 방사선 치료 증진효과가 어떤 경로를 통하여 일어나는지를 DAPI 염색법과 유세포분석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는 인체 자궁암 세포에 As2O3와 방사선을 각각 그리고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시간에 따른 암세포 사멸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인체 자궁암 세포에서 방사선과 As2O3처리 시간에 따른, As2O3농도에 따른 암세포 사멸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인체 자궁암 세포에 각각 상이한 농도의 As2O3를 방사선과 함께 처리했을 때, 그리고 따로 처리했을 때의 세포사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인체 자궁암 세포 이식 누드 생쥐에 As2O3및 방사선을 투여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및 그래프이고,
도 9는 인체 자궁암 세포 이식 누드 생쥐에 As2O3및 방사선을 투여했을 때, 시간에 따른 종양 부피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인체 폐암세포에서 As2O3의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살상 증진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1은 As2O3가 0.5 μM 일 때, 방사선 투여량에 따른 세포 생존 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인체 폐암세포에 방사선과 0.5μM 농도의 As2O3의 병용처리에 따른 암세포 사멸을 조사한 결과를, 삼산화비소와 방사선 각각의 단독처리군의 세포 사멸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3은 3가지 종류의 인체 자궁암 세포에 삼산화비소를 방사선과 함께 처리 했을 때의 생존율을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4는 통상 방사선 민감도 증진제로서 사용되는 탁솔을 방사선과 함께 투여했을 때의 세포 사멸 증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산화비소(As2O3)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도 증진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현재 항암제로 임상실험 중에 있는 As2O3에 방사선 치료 증진효과가 있음을 밝혀 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배양세포 수준에서 세포 자체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적은 양의 As2O3를, 방사선 치료 주 대상 암으로알려진 자궁암 세포와 폐암 세포에 방사선과 병행 처리한 결과, 방사선 단독 처리군에 비해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살상능을 현저히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비소화합물 중의 하나인 삼산화비소(As2O3)를 정상세포에 부작용을 주지 않으면서 암세포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방사선치료 증진제로 개발하여 항암치료에 적용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 항암제로써 임상시험중인 As2O3를 정상세포에 부작용을 주지 않는 극소량으로 암세포에 단독 처리한 경우에는 세포 살상 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러한 극소량 투여와 방사선 치료를 병행 처리한 경우에는 방사선을 단독 처리한 경우보다 월등히 우수한 방사선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시 As2O3를 정상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는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동일한 암세포 살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요구되는 방사선량을 크게 낮출 수 있었고, 동시에 정상세포에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는 탁월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즉, 방사선치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방사선에 의한 부작용을 현저히 낮추면서도 방사선의 치료효율을 현저히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배양암세포 수준이나 암세포이식 동물실험을 통해 방사선 민감도 증진효과가 입증된 As2O3를, 인체 자궁암세포와 인체 폐암세포에 대하여 더 적용함으로써, 자궁암과 폐암 세포에 대한 방사선치료효율을 현저하게 증진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은 하기하는 시험예에서와 같이 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삼산화비소 화합물은 방사선 치료의 주 대상이 되는 암 세포인, 자궁암 세포, 폐암 세포에 방사선과 병행 처리하였을 때, 방사선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살상능을 20% 이상 현저히 증가시켰다. 또한, 암세포 이식 누드 생쥐를 이용한 암세포 이식 동물실험의 결과에서도 삼산화비소 화합물은 방사선과 병행처리하였을 때, 방사선 단독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암세포 증식을 월등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삼산화비소 화합물는 랫트를 대상으로 한 독성 실험에서 급성경구 독성이 LD50>50mg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경구투여 시 50 mg 농도 이하의 삼산화비소가 부작용 없이 인체 폐암세포, 자궁암 세포에서 방사선 효율을 현저하게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방사선 치료 증진제의 활성 성분으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삼산화비소 화합물을 의약으로 사용할 경우 약제학적 제제 및 그 투여 방법에 있어서는 각종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삼산화비소 화합물은 비경구, 경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주사제, 산제, 과립제, 정제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제형으로도 할 수 있다. 삼산화비소 화합물을 방사선 치료 증진제의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제화할 경우, 유효 성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의약에 사용되는 각종 보조제, 예컨대 담체나 기타 첨가제, 예컨대 안정제, 완화제, 유화제 등을사용할 수 있다.
약제학적 제형에 있어서, 삼산화비소의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다.
또한 삼산화비소 화합물의 투여량 및 투여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암세포의 양에 따라서 다양화될 수 있지만 방사선 치료 전 또는 치료 중 하루 최대 20 mg/kg이 적당하다.
이하, 삼산화비소 화합물의 약리학적 작용에 대하여 시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시험예
삼산화비소의 방사선민감도 증진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실험 재료는, 인체 자궁암 세포인 HeLa, CaSki 및 HeLa229와 인체 폐암 세포인 NCI-H1299을 10 %의 FBS와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 streptomycin)이 들어 있는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실험들을 통하여 방사선 민감도 증진 작용을 시험하였다.
1. DAPI 염색법
As2O3또는 방사선 또는 둘 다를 처리한 세포를 실온에서 30분동안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고정한 후 PBS로 씻어주었다. 50 ng/ml의 DAPI 염색액을 고정된 세포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PBS로 다시 씻어준 뒤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포사멸이 일어난 세포들을 세포핵의 응축과 단편화에 의해 확인하고 그 수를 세어 전체에 대한 사멸세포의 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2.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
As2O3와 방사선을 함께 또는 분리하여 처리한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모두 모은 후, 70% 에탄올로 고정시켰다. 다시 세포를 모은 다음 PBS-1mM EDTA로 씻어준 후, PI 염색시약으로 10분간 반응시킨 후, 유세포 분석기로 분석하였다.
3. 콜로니 형성 실험
약 500개의 세포들을 60mm 디쉬에 넣고 37℃의 CO2배양기에서 하루정도 배양한 후 As2O3또는 방사선을 함께 또는 분리하여 처리하고 콜로니가 형성될 때까지 계속 배양하였다. 적당한 콜로니가 형성되면, 메탄올 : 아세트산 = 3 : 1 고정액으로 고정한 후 트리판 블루(trypan blue)로 염색하여 콜로니 수를 세어 콜로니형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4. 동물실험
인체 자궁암세포인 HeLa세포를 누드 생쥐의 대퇴부에 이식시킨 후 종양크기가 120-150cm3에 이르면 As2O3(20 mg/kg)를 3회 구강투여하고 1회의 방사선(15Gy)을 조사한 후 2회 더 구강투여하였다. 대조군, As2O3단독군, 방사선 단독군, As2O3와 방사선 병용처리군 각각에서 3일 간격으로 종양의 부피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1) 인체 자궁암세포에서 As2O3의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
콜로니 형성 실험을 통하여 HeLa, CaSki 및 HeLa229, 3종의 인체 자궁암세포에서 As2O3의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살상 효과를 조사한 결과, 도 13과 같이 3종의 인체 자궁암세포에서 방사선 단독처리보다 둘의 병용처리에서 3종의 자궁암세포의 살상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들 3종의 자궁암세포중에서 SER (Sensitizer Enhancement Ratio) 값이 가장 큰 HeLa 세포를 선택하여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HeLa CaSki HeLa229
1 μM As2O3 1.40 1.11 1.08
2 μM As2O3 1.55 1.23 1.16
세포수 측정을 통하여 인체 자궁암 세포(HeLa)에서 As2O3의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도 1과 같이 방사선 단독처리와 As2O3단독처리보다 둘의 병용처리에서 자궁암세포의 증식이 저해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As2O3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암세포의 증식을 더욱 저해시킴을 관찰하였다.
또한 도 2의 사진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콜로니 형성 실험을 통하여 인체 자궁암세포에서 As2O3의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살상 증진 효과를 조사하였을 때, 방사선 단독 처리와 As2O3단독 처리보다는 방사선과 As2O3의 병용처리에서 자궁암세포의 살상 효과가 약 25%정도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도 3과 하기하는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s2O3의 농도에 따른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를 검증하였 때, 0.1μM에서 2μM까지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SER(Sensitizer Enhancement Ratio)값이 1.14 에서 1.55 까지 증가함으로 방사선 치료 효과가 농도에 따라 확실히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As2O3의 농도 SER 값(대조구의 투여량/민감도증진제의 투여량)
0.1μM 1.14
0.5μM 1.31
1.0μM 1.40
2.0μM 1.55
2) 인체 자궁암세포에서 As2O3의 방사선 세포사멸 증진 효과
As2O3에 대한 인체 자궁암세포의 방사선 치료 증진효과가 어떤 경로를 통하여 일어나는지를 DAPI 염색법과 유세포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을 때 자기 세포사멸(apoptosis)을 경유하여 사멸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선 단독과 단독 처리군보다 병용처리군에서 더 많은 세포가 사멸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삼산화 비소와 방사선을 함께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삼산화비소와 방사선을 따로 처리한 경우의 각각의 세포사멸효과를 합한 것 이상의 세포사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방사선과 As2O3처리 시간에 따른, As2O3농도에 따른 암세포 사멸을 조사한 결과, 처리시간에 의존적으로, 또한 농도에 의존적으로 방사선, As2O3의 단독처리군보다 병용처리군에서 더 많이 세포사멸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고, 각각의 단독처리군보다 24시간 병용처리군에서는 약 7%, 48시간 병용처리군에서는 약 12%, 72시간 병용처리군에서는 약 17% 세포사멸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0.5μM As2O3와 방사선 병용처리군에서는 약 20% 세포사멸이 증가하였고, 1μM As2O3와 방사선 병용처리군에서는 약 25% 세포사멸이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3) 인체 자궁암세포 이식 누드 생쥐를 이용한 As2O3의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
세포수준에서의 As2O3의 방사선에 의한 방사선 민감도 증진 효과가 실제로 생체 수준에서도 치료증진 효과가 일어나는지를 자궁암세포이식 누드 생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체 자궁암세포를 이식한 누드 생쥐(종양크기 120∼150 ㎣)에 방사선과 삼산화비소를 병용처리하였을 때, 방사선 단독이나 As2O3단독 처리한 생쥐군보다 암세포의 크기가 확연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누드 생쥐의 배양 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궁암세포만 이식한 군은 배양일수 의존적으로 크기가 증가하였고, 자궁암세포를 이식한 생쥐에 As2O3를 처리한 군과방사선을 처리한 군은 배양일수 의존적으로 자궁암세포만 이식한 군보다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자궁암세포를 이식한 생쥐에 방사선과 As2O3를 병용처리한 군의 경우는 자궁암세포의 크기가 배양을 시작했을 시기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암세포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의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도 9로부터, As2O3는 배양세포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생체에서도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인체 폐암세포에서 As2O3의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 및 세포사멸 증진 효과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콜로니 형성 실험을 통하여 인체 폐암세포에서 As2O3의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살상 증진 효과를 조사하였을 때, 방사선 단독과 As2O3단독보다는 방사선과 As2O3의 병용처리에서 자궁암세포의 살상 효과가 약 10%정도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0.5 μM As2O3일 때, SER 값이 1.11로 인체 자궁암세포에 비해서는 효과가 적기는 하지만 방사선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인체 폐암세포도 인체 자궁암세포와 동일한 세포사멸 경로를 통해 암세포가 사멸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방사선과 0.5μM 농도의 As2O3의 병용처리에 따른 암세포 사멸을 조사한 결과, 삼산화비소와 방사선 각각의 단독처리군의 세포 사멸을 합친 것 이상으로 세포사멸이 증가한다는 것을 도 12에서와 같이 확인하였다.
따라서 As2O3는 인체 자궁암세포뿐만 아니라 인체 폐암세포에도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실험예
인체 자궁암세포에서 방사선민감도 증진제로서 현재 범용으로 사용하는 Paclitaxel의 방사선에 의한 암세포 살상 증진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0.1nM 농도의 Paclitaxel에 대하여 동일한 실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ER값이 1.3정도로 As2O3의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냈다.
이상과 같은 시험예로부터, 삼산화비소가 인체 폐암, 유방암, 자궁암, 혈액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정상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는 양으로 방사선과 병용 처리 시 방사선 치료의 선량을 낮추면서도 치료 효율적인 측면에서는 고선량 처리 효과를 얻을 수가 있어, 고선량 방사선 치료시 나타나는 부작용인 정상세포의 손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방사선 치료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s2O3는 암조직에 방사선과 병용처리시 방사선 치료의 선량을 낮추면서 치료 효율적인 측면에서는 고선량 효과를 얻을 수가 있어, 고선량 방사선 치료 시 나타나는 부작용, 즉 고선량 방사선 조사에 의한 정상세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등 치료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As2O3는 배양세포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인체 암세포 이식 생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도 방사선 치료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

  1. 삼산화비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방사선 민감도 증진제.
KR1020010088147A 2001-12-29 2001-12-29 삼산화비소(As₂O₃)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치료증진제 KR20030058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147A KR20030058019A (ko) 2001-12-29 2001-12-29 삼산화비소(As₂O₃)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치료증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8147A KR20030058019A (ko) 2001-12-29 2001-12-29 삼산화비소(As₂O₃)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치료증진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019A true KR20030058019A (ko) 2003-07-07

Family

ID=3221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147A KR20030058019A (ko) 2001-12-29 2001-12-29 삼산화비소(As₂O₃)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치료증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80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308A1 (ko) * 2008-12-16 2010-06-24 (주)천지산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증진용 조성물
WO2012155061A1 (en) * 2011-05-12 2012-11-15 Board Of Regents, University Of Texas System Use of arsenic for cancer therapy protection
KR101309036B1 (ko) * 2011-05-30 2013-09-16 주식회사 코미팜 방사선 민감도 증진용 약학 조성물
US8795738B2 (en) 2009-11-12 2014-08-05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Use of arsenic for cancer therapy protection
US8834938B2 (en) 2011-05-18 2014-09-16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Use of arsenic for cancer therapy pro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755A (ko) * 1997-10-15 2001-02-26 폴락스 바이오파르마큐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비소 화합물을 이용하여 1차 신형성 질환 및 전이성신형성 질환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20010031938A (ko) * 1997-11-10 2001-04-16 추후제출 삼산화비소 조성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삼산화비소 또는멜랄소프롤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755A (ko) * 1997-10-15 2001-02-26 폴락스 바이오파르마큐티칼스 인코포레이티드 비소 화합물을 이용하여 1차 신형성 질환 및 전이성신형성 질환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방법
KR20010031938A (ko) * 1997-11-10 2001-04-16 추후제출 삼산화비소 조성물을 생산하는 방법 및 삼산화비소 또는멜랄소프롤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inical Cancer Research, Ruchan Uslu et al., 2000, 6, p.4957-4964 *
World J Gastroenterol, Wei Wang et al., 2001, 7(5),p702-705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1308A1 (ko) * 2008-12-16 2010-06-24 (주)천지산 암에 대한 방사선 치료 증진용 조성물
US8795738B2 (en) 2009-11-12 2014-08-05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Use of arsenic for cancer therapy protection
WO2012155061A1 (en) * 2011-05-12 2012-11-15 Board Of Regents, University Of Texas System Use of arsenic for cancer therapy protection
EP2707008A4 (en) * 2011-05-12 2014-11-26 Univ Texas USE OF ARSENIC IN THE PROTECTION AGAINST CANCER THERAPY
US8834938B2 (en) 2011-05-18 2014-09-16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Use of arsenic for cancer therapy protection
KR101309036B1 (ko) * 2011-05-30 2013-09-16 주식회사 코미팜 방사선 민감도 증진용 약학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70578C2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n-хлорфенилкарбаматы или n-хлорфенилтиокарбаматы и производные n-фосфоноглицина, для ингибирования роста злокачественных новообразований и вирусов у млекопитающих
EA015922B1 (ru) ВВЕДЕНИЕ ИНГИБИТОРА mTOR ДЛЯ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О ЗЛОКАЧЕСТВЕННОЙ ОПУХОЛЬЮ
US8664268B2 (en) Gallium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and methods of use
CN116115617A (zh) 一种抗肺癌的药物及其应用
EP2026657A1 (en) Anti-canc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11214475B (zh) 一种抗双重打击淋巴瘤的联合用药物组合物及其应用
KR20030058019A (ko) 삼산화비소(As₂O₃)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치료증진제
CN109419803A (zh) 细胞自噬抑制剂与阿法替尼药物组合物及其在制备肿瘤增效制剂中的用途
TW475897B (en) A composition for inducing cell of neoplastic cells
CN110075106B (zh) 一种抗肿瘤药物及异烟肼在制备抗肿瘤药物中的应用
US20060193917A1 (en) Radiosensitizer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use
AU2020255063B2 (en) Combined use of A-nor-5α androstane compound drug and anticancer drug
KR20030071029A (ko)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 증진제로서 유용한 조성물
US20090131391A1 (en) Inhibitor for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precursor cells
US20080038376A1 (en) Anti-canc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421261B1 (ko) 피토스핑고신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치료 증진제
WO2005084754A2 (en) Cancer treatment with topoisomerase-ii inhibitor, a bis-dioxypiperazine and radiation
KR100457113B1 (ko) 세라마이드류 또는 그 유도체와 다이메틸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사선민감도 증진제
Sekiya et al. The effects of hormones and chemotherapeutic agents on rat uterine adenocarcinoma cells in tissue culture
KR102212699B1 (ko) 유방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726801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терапии опухолей
Crooks et al. Use of L-canavanine as a chemo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CN112294829A (zh) 红景天苷在制备治疗或预防癌症的药物中的应用
KR100544374B1 (ko) 올레아미드를 포함하는 방사선 치료 민감제
CN116808051A (zh) 日蟾毒它灵在制备治疗铂耐药型卵巢癌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