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085A -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085A
KR20030054085A KR1020010084187A KR20010084187A KR20030054085A KR 20030054085 A KR20030054085 A KR 20030054085A KR 1020010084187 A KR1020010084187 A KR 1020010084187A KR 20010084187 A KR20010084187 A KR 20010084187A KR 20030054085 A KR20030054085 A KR 20030054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strength
linear low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5318B1 (ko
Inventor
홍보기
노성균
김경현
정승환
양춘병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31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3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3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polyenes, i.e. containing more than one unsaturated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담지형 비메탈로센계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CH2=CHR (단, R은 C2~C8알킬기)를 공중합하여 합성한 고강도 LLDPE 70~99.9 중량% 및 HDPE 30~0.1 중량%를 포함하는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해 매우 우수한 낙추충격강도를 발현하고, 인장강도, 신율, 인열강도 및 개구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WITH HIGH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하고 인장강도, 신율, 인열강도, 개구성 등 필름 제반 물성이 양호한 특성을 갖는, 고강도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이하 LLDPE)을 기재로 한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LDPE는 에틸렌과 CH2=CHR (단, R은 C2~C8알킬기)의 공중합체로서 단쇄분지(Short Chain Branch)를 함유하고 있으며, 그 우수한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필름용도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 필름용 수지의 경우 기존 소재 대비 충격강도가 우수한 소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특히 필름 두께 100㎛ 이상의 중포장용 필름 용도에서 더욱 현저한 실정이다. 최근 국내외 특허들(KR 218,046; KR 223,105; USP 5,798,424; USP 6,114,276; JP 2,999,162 등)에 보고된 마그네슘 담지형 비메탈로센계(Non-Metallocene) 올레핀 중합용 신촉매는 올레핀 공중합시 고분자 사슬내 공단량체 분포, 분자량 분포 등과 같은 분자구조 제어능력이 탁월하여 소위 "고강도(Super Strength) LLDPE"를 합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강도 LLDPE는 기계적 물성 중 특히 낙추충격강도(Falling Dart Impact Strength)가 탁월하여 고충격 특성을 발현하는 신소재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이하 HDPE)은 LLDPE 대비 강직성(Stiffness) 및 인열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LLDPE와 블렌딩시 상용성(Miscible)을 가지며 공결정화(Co-crystallization)를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 Tashiro, K. Izuchi, M. Kobayashi, and R. S. Stein,Macromolecules, 27 , 1228 (1994); A. K. Gupta, S. K. Rana, and B. L. Deopura,J. Appl. Polym. Sci., 44 , 719 (1992)). 따라서 이러한 소재 특성들을 응용하면 탁월한 고충격특성을 발현하면서도 제반 필름 물성이 우수한 새로운 필름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강도 LLDPE와 HDPE를 혼합하여, 충격강도가 매우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 등 제반 필름 물성이 양호한 특성을 갖는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마그네슘 담지형 비메탈로센계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CH2=CHR (단, R은 C2~C8알킬기)를 공중합하여 합성한 고강도 LLDPE 70~99.9 중량%및 HDPE 30~0.1 중량%를 포함하는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강도 LLDPE와 HDPE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세하게는 고강도 LLDPE 70~99.9 중량% 및 HDPE 30~0.1 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LLDPE는 마그네슘 담지형 비메탈로센계 올레핀 중합용 신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헥센-1을 공중합하여 합성한 고강도 LLDPE 수지로서, 바람직하게는 용융흐름지수(Melt Flow Rate)가 ASTM D-1238(190℃, 2.16kg)로 측정시 0.2~20g/10분이며, 밀도가 0.910~0.930 g/cm3이다.
상기 고강도 LLDPE와의 혼합되는 HDPE 수지는 용융흐름지수가 ASTM D-1238(190℃, 2.16kg)로 측정시 0.2~20g/10분이며 밀도가 0.940~0.980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강도 LLDPE 및 HDPE의 용융흐름지수가 0.2g/10분 미만이면 수지의 흐름성이 매우 저하되고, 20g/10분 초과시 수지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필름(Film) 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기재로 사용되는 수지들을 먼저 텀블러 믹서(Tumbler Mixer) 등을 사용하여 드라이 블렌딩(Dry Blending)한 후, 일축(Single-Screw) 또는 이축 압출기(Twin-Screw Extruder)를 사용하여 각 수지들의 용융점 이상에서 용융 블렌딩(Melt Blending)후 펠렛상 시료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블렌딩된 펠렛상 혼련물을 블로운 필름기(Blown Film Machine)에 부착된 압출기 호퍼(Hopper)에 투입하여 수지의 용융점 이상에서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시킨 후 블로운 필름기에서 버블(Bubble) 팽창, 냉각, 압착 및 권취 공정을 거쳐 필름상으로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표 1에 본 발명에 사용된 수지조성물의 혼합비를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예 1에서는 고강도 LLDPE 단독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실시예 1~7은 고강도 LLDPE와 HDPE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교예 2은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로 합성된 공단량체가 헥센-1인 일반 LLDPE(이하 C6-LLDPE라 함)와 HDPE의 블렌드 수지조성물이고, 비교예 3는 공단량체가 옥텐-1인 일반 LLDPE(이하 C8-LLDPE라 함) 단독 수지조성물이다. 표 1의 수지조성물 혼합비에 따라서 고강도LLDPE와 블렌드용 일반 LLDPE 또는 HDPE 등의 수지를 먼저 텀블러 믹서에서 건식 혼합 후, 일축 압출기에서 용융혼합하여 펠렛상 시료를 제조하였다. 이 펠렛상 시료를 블로운 필름기에서 하기의 가공조건에서 성형시켜 두께가 약 170㎛인 필름을 제막하였다.
블로운 필름 가공조건
o블로운 필름기 온도 프로파일(Profile): 170/180/190/200/200/195℃
o다이갭(Die Gap): 2.5 mm
o팽창비(Blown-Up Ratio): 2.5
이와 같이 제막된 필름시편을 상온에서 충분히 냉각시킨 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필름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에 의해 성형된 필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 물성을 측정하였다.
① 낙추충격강도(Falling Dart Impact Strength)
낙추충격강도는 ASTM D-1709에 준하여 한 필름 시료당 20회 이상 측정후 그 값을 구하였다.
② 파단인장강도(Tensile Strength at Break) 및 파단신율(Elongation at Break)
파단인장강도 및 신율은 일정 두께의 필름을 다이 커터(Cutter)로 시험편 형태로 잘라낸 후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인장속도는 500㎜/분으로 하였으며, 한 시편당 10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③ 인열강도(Tear Strength)
인열강도는 ASTM D-1922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이 때 측정속도는 500mm/분으로 하였으며, 한 필름 시편당 10회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④ 개구성(Anti-blocking)
필름 시편의 개구성은 성형된 필름에 대해 5명의 시험자가 그 개구성을 "우수", "양호", "불량", "매우 불량"의 4 등급으로 관능 평가하여 그 평균치를 취하였다.
수지
고강도 LLDPE1) HDPE-12) HDPE-23) C6-LLDPE4) C8-LLDPE5)
비교예 1 100.0 - - - -
실시예 1 95.0 5.0 - - -
실시예 2 92.5 7.5 - - -
실시예 3 90.0 10.0 - - -
실시예 4 70.0 30.0 - - -
실시예 5 92.5 - 7.5 - -
실시예 6 90.0 - 10.0 - -
실시예 7 85.0 - 15.0 - -
비교예 2 - 10.0 - 90.0 -
비교예 3 - - - - 100.0
1) 공단량체: 헥센-1; 용융흐름지수= 0.9 g/10분; 밀도=0.917 g/cm3
2) 용융흐름지수= 0.9 g/10분; 밀도= 0.956 g/cm3
3) 용융흐름지수= 1.7 g/10분; 밀도= 0.960 g/cm3
4) 공단량체: 헥센-1; 용융흐름지수= 0.6 g/10분; 밀도= 0.923 g/cm3
5) 공단량체: 옥텐-1, 용융흐름지수= 0.7 g/10분, 밀도= 0.925 g/cm3
낙추충격강도(g) 파단인장강도(kgf/cm2) 파단신율(%) 인열강도(kgf/cm) 개구성a)
MD TD MD TD MD TD
비교예 1 2490 423 422 713 763 123 120
실시예 1 1757 437 402 725 750 125 121
실시예 2 1573 408 392 725 750 126 124
실시예 3 1440 420 414 738 775 129 133
실시예 4 932 437 431 769 731 145 141
실시예 5 1600 397 404 716 727 125 126
실시예 6 1490 416 409 717 743 135 127
실시예 7 1090 422 412 716 763 128 129
비교예 2 909 443 425 755 813 137 142
비교예 3 763 394 423 700 763 129 133
a) ○: 양호; ◎: 우수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필름산업계에서 170~190㎛의 중포장용 필름의 경우 인장강도가 330 kgf/cm2이상, 인열강도가 100 kgf/cm 이상, 낙추충격강도는 높을 수록 우수한 물성을 발현하는 필름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낙추충격강도의 경우 최종소비자가 제품 충진된 필름사용 및 운반시 필름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더욱 중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강도 LLDPE와 일반 HDPE-1와의 블렌드 수지조성물의 필름물성을 나타낸 실시예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렌드내 HDPE-1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예 1 대비 인열강도 및 개구성이 향상되며 기타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제반물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낙추충격강도의 경우 비교예 1 대비 블렌드내 HDPE-1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비교예 2~3와 대비시 아직도 매우 우수한 충격특성을 발현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7은 HDPE-1 대비 용융흐름지수와 밀도가 높은 HDPE-2를 고강도 LLDPE와 블렌딩한 수지조성물 필름의 물성을 나타낸 것으로, 블렌드내 HDPE-2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HDPE-1을 첨가했을 때와 유사한 물성 경향을 보였다. 즉, 낙추충격강도는 비교예 2~3보다 매우 우수하면서도 기타 제반 물성이 우수한 고충격특성 필름물성이 발현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충격특성 저밀도 선형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의해 매우 우수한 낙추충격강도를 발현하고, 인장강도, 신율, 인열강도 및 개구성 등의 제반 물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마그네슘 담지형 비메탈로센계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CH2=CHR (단, R은 C2~C8알킬기)를 공중합하여 합성한 고강도 LLDPE 70~99.9 중량% 및 HDPE 30~0.1 중량%를 포함하는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LLDPE는 용융흐름지수가 ASTM D-1238 (190℃, 2.16kg)로 측정시 0.2~20g/10분이며, 밀도가 0.910~0.930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DPE는 용융흐름지수가 ASTM D-1238 (190℃, 2.16kg)로 측정시 0.2~20g/10분이며, 밀도가 0.940~0.980 g/cm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20010084187A 2001-12-24 2001-12-24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074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187A KR100745318B1 (ko) 2001-12-24 2001-12-24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187A KR100745318B1 (ko) 2001-12-24 2001-12-24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085A true KR20030054085A (ko) 2003-07-02
KR100745318B1 KR100745318B1 (ko) 2007-08-01

Family

ID=3221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187A KR100745318B1 (ko) 2001-12-24 2001-12-24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3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0997A (zh) * 2011-08-05 2012-03-21 大连方盛塑料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的塑料基材薄膜及其加工工艺
CN102416745A (zh) * 2011-08-05 2012-04-18 大连方盛塑料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的塑料基材薄膜及其加工工艺
CN102416747A (zh) * 2011-08-05 2012-04-18 大连方盛塑料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的塑料基材薄膜及其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5906B2 (en) * 1992-12-28 2007-01-10 Exxonmobil Oil Corporation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KR100549709B1 (ko) * 1999-05-13 2006-02-08 삼성토탈 주식회사 열접착성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KR100563482B1 (ko) * 2003-06-18 2006-03-27 삼성토탈 주식회사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0997A (zh) * 2011-08-05 2012-03-21 大连方盛塑料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的塑料基材薄膜及其加工工艺
CN102416745A (zh) * 2011-08-05 2012-04-18 大连方盛塑料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的塑料基材薄膜及其加工工艺
CN102416747A (zh) * 2011-08-05 2012-04-18 大连方盛塑料有限公司 一种食品包装的塑料基材薄膜及其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318B1 (ko) 200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6392A (en) Ethylene polymer blends and films
US3998914A (en) Film from a blend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a low density ethylene polymer
KR100903600B1 (ko) 개선된 가공성의 폴리에틸렌 조성물
EP1819770B1 (en) Multimodal polyethylene composition obtainable with high activity catalyst
US5981664A (en) Low-shrinkage polyethylene moulding compounds
US9493641B2 (en) Resin compositions for extrusion coating
CA2598604A1 (en) Polyethylene mold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blown film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EP1546252A2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injection molding
JP2004502852A (ja) エチレンインターポリマーブレンド
JPH10508634A (ja) 成形用組成物、製造方法、成形方法及び成形品
KR100745318B1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EP0755970A1 (en) Process for the extrusion of polyethylene
KR100563482B1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EP3581611A1 (en) Polyethylene resin film
KR100745319B1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JPS60240748A (ja) 超高分子量ポリエチレン組成物
KR20040110114A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JPH0931260A (ja) 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
JPH0267345A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EP3753982A1 (en)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JP2859356B2 (ja) 多孔性フイルム
KR101812887B1 (ko) 일반 공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1114087B1 (ko)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220076194A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로운 필름
JPH01163235A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