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793A -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793A
KR20030052793A KR1020010082832A KR20010082832A KR20030052793A KR 20030052793 A KR20030052793 A KR 20030052793A KR 1020010082832 A KR1020010082832 A KR 1020010082832A KR 20010082832 A KR20010082832 A KR 20010082832A KR 20030052793 A KR20030052793 A KR 20030052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avr
voltage regulator
test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9425B1 (ko
Inventor
유상식
Original Assignee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42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01R31/343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in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03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for measuring voltage only, e.g. digital volt meters (DV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출력이 가변되고, 가변된 출력이 상기 자동전압조정기에 입력되어 상기 발전기의 출력이 가변되도록 하는 스텝 조정부와, 상기 자동전압조정기의 동특성 시험 항목별 인출 단자과 연결되어 AVR의 동특성 시험 항목에 대한 각 출력을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자동전압조정기의 동특성 시험 항목별 출력을 그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와,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부 및,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에 대응하는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시험시 시험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시험시간을 단축하며, 효과적인 측정이 이루어져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Apparatus for testing moving characteristics of Auto voltage regulator}
본 발명은 발전소 특성화 설비인 자동전압조정기(AVR: Auto Voltage Regulator)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전압조정기의 동특성을 시험하기 위한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계통은 발전기를 중심으로 자동전압조정기, 발전기, 계통, 부하로 구성되어 있다. 발전기는 터빈의 회전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을 시작하고, 이때 회전자에 여자전원을 공급하면 고정자에 기전력이 유기되어 발전을 시작하며, 주 변압기를 통하여 승압한 후 전력 모선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자동전압조정기는 제어부, 정류부, 차단부 및 출력부로 구성되어,발전기 기동시 초기여자전원을 공급하며, 무부하 운전시에 발전기의 단자전압을 조정하고, 부하시에 무효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일련의 모든 피드백(feed-back) 신호와 조합하여 발전기 출력이 안정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자동전압조정기는 설비 특성상 계획예방정비 기간 즉, 발전기가 정지한 상태에서 주로 시험 및 정비를 수행하게 되는데, 자동전압조정기의 정비는 크게 정특성 시험과 동특성 시험이 있다.
정특성 시험은 계통의 운전을 제어하는 각종 카드(decontic card)들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임의의 신호들을 카드에 공급하여 카드의 특성변화를 점검하는 시험이며, 동특성 시험은 실제 신호들을 공급하여 시험 장치의 종합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험이다.
따라서, 자동전압조정기의 동특성 시험은 자동전압조정기에 입력되는 실제 신호들을 공급하여 자동전압조정기의 운전상태 및 오차신호 변동에 따른 여자기 및 발전기 단자전압의 속응상태를 측정함으로써 자동전압조정기의 건전성 여부를 판단하고 데이터를 확보하며 차기 정비시 활용한다.
자동전압조정기의 동특성 시험은 전압 빌드업(build up), 70G/90R NOTC II 특성, A(analog)&D(digital) 자동전압조정기 변환(change over), A&D 스텝(step) 응답 시험 등의 8가지 시험 항목이 있으며, 이러한 각 항목의 시험을 위해 신호변환기, 스텝 시험기 등의 기구와 각종 측정기를 사용하여 동특성 시험을 하고 있다.
이러한 동특성 시험은 유니트(Unit)의 모든 계획예방정비공사가 끝난 후 계통병입 직전에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 중요도가 매우 높고 정밀성이 요구되는 시험이다.
그러나, 동특성 시험은 터빈측 상황에 따라 시험시간과 회수가 협의되고, 그에 따라 터빈의 진동(교정) 여부에 따른 자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시험하여야 하는 관계로, 시험 항목에 비해 동특성 시험 시간이 부족하며, 더욱이 스텝 시험시 규정된 툴(tool)이 제작되어 있지 않아 인위적인 간이제작으로 스텝 시험을 하고, 1개의 시험기로 2개의 채널(A&D 자동전압조정기)에 사용하다보니 각종 라인(line)을 제배선하게 되어 제배선으로 인한 시간지연과 오배선에 따른 트립(trip)의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시험시 시험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시험시간을 단축하며, 효과적인 측정이 이루어져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R 동특성 시험 장치를 개략화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을 구체화한 일예에 따른 AVR 동특성 시험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AVR의 출력을 입력받아 자동전압조정기의 동특성을 시험하는 본 발명은 AVR의 동특성 시험 항목을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서 AVR의 해당 시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스텝 조정부, 입력 인터페이스부, 신호 변환부, 디지털 출력부 및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스텝 조정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AVR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신호를 상기 자동전압조정기로 출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부는 AVR과 연결되어 AVR의 동특성 시험 항목에 대한 각 출력을 입력받아 신호 변환부로 출력한다. 그러면, 신호 변환부는 상기 AVR 출력 입력부로 입력된 상기 AVR의 각 상태 출력을 그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전압 값으로 변환시키고, 디지털 표시부는 상기 신호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압값을 디지털 값으로 표시하며, 출력 인터페이스부는 AVR의 시험 항목의 결과를 기록하는 외부 장치인 출력 기록부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값을 전달한다.
따라서, 사용자 즉, 시험자는 디지털 표시부를 통해 AVR의 시험 항목에 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상황과 운전 특성, 위치에 따라 변하는 AVR의 동특성 시험 결과값을 AVR의 시험 항목의 결과를 기록하는 장치의 출력(특성 곡선)을 관찰함으로써 AVR의 이상 유, 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R 동특성 시험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R 동특성 시험 장치는 AVR(10)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출력값을 출력 기록부(20)에 출력하는 것으로, 입력 인터페이스부(100), 신호 변환부(200), 스텝(step) 조정부(300), 디지털 표시부(400)와 출력 인터페이스부(500)로 구성된다.
스텝 조정부(300)는 발전기의 AVR(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그 출력 전압이 가변되고, 가변된 출력 전압은 AVR(10)에 입력되어 발전기의 출력을 가변시킨다.
입력 인터페이스부(100)는 AVR(10)의 출력 단자에 각각 대응되는 입력 단자가 형성되어 AVR(10)과 연결되며 AVR(10)의 출력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신호 변환부(200)는 입력 인터페이스부(100)에 입력된 AVR(10)의 출력을 설정된 전압 값으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디지털 표시부(500)는 신호 변환부(200)에 의해 변환된 AVR(10)의 출력을 디지털 값으로 표시한다.
출력 인터페이스부(400)는 출력 기록부(20)의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어 출력 기록부(20)에 연결되며, 신호 변환부(200)에 의해 변환된 AVR(10)의 출력을 출력 기록부(20)에 전달한다.
그러면, 출력 기록부(20)는 출력 인터페이스부(400)로부터 입력되는 AVR(10)의 출력(시험 항목)을 특성 곡선으로 표시한다.
이하, 도 2를 참조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VR 동특성 시험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을 구체화한 일예에 따른 AVR 동특성 시험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8개의 전압 확립 동특성 시험과 스텝 응답 시험(신호편차 발생시험)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전압 확립 동특성 시험)
전압 확립 동특성 시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1G(12), 84V(13), D-AVR(14), A-AVR(15), 밸런스(16), VF(17), IF(18) 및, GV(19)가 있다.
첫 번째 시험 항목인 41G는 계자 차단기(FCB: Field Circuit Breaker)의 동작 유무를 결정하는 릴레이를 지칭하는 것으로, 41G 릴레이 동작 상태를 시험하여 계자 차단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는 의미이다. 계자 차단기는 발전기 운전시 여자 회로에 채용되며, 계자 차단기를 채용한 발전기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으면 이 직류 전원(전류)을 공급받는 만큼의 교류 전원을 생성하여 발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 동특성 시험 항목을 위해 AVR(10)은 FCB를 클로즈(close)시킬 수 있는 릴레이(도시하지 않음)측(보다 상세하게는, 릴레이의 동작에 따른 보조 접점)에 형성되는 전압을 신호원으로 인출하며, FCB가 클로즈일 때는 직류 125V가 인출되고, FCB가 오픈일 때는 0V가 인출된다.
두 번째 시험항목인 84V는 84V 릴레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 84V 릴레이는 발전기의 단자 전압이 정격 전압(교류 110V)의 20% 이상 도달하는 경우에 온(on) 되는 특성이 있다. 보다 상세히는, 발전기는 처음 기동시 FCB를 투입하게 되고 FCB 투입과 동시에 초기 여자회로가 동작하여 최초의 직류 전원이 여자기에 공급되어 공급된 만큼의 발전기 단자 전압이 되는데, 발전기 단자 전압이 정격전압(교류 110V)의 20% 이상 도달하면 84V 릴레이(relay)는 동작하여 초기 여자 회로를 차단하고, D-AVR 회로로 절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동특성 시험 항목은 발전기의 단자 전압의 상태를 시험하는 항목이며, 이를 위해 AVR(10)은 84V 릴레이의 동작에 따른 보조 접점에 형성되는 전압을 그 신호원으로 인출하여, 인출되는 신호원이 발전기의 단자 전압이 정격전압의 20% 이상에 도달하면 125V를, 정격전압의 20%에 도달하지 않으면 0V를 출력한다. 이러한 84V 항목을 시험함으로써 사용자는 릴레이의 동작에 따른 발전기 초기 단자전압 형성 상태와 D_AVR 절환 상태를 알 수 있게 한다.
세 번째 시험 항목인 D-AVR은 발전기를 수동 운전할 때에 사용되어지는 회로를 지칭하는 것으로, 그 사용은 세가지 경우가 있다. 제1 사용은 발전기 초기기동시 즉, 자동운전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의 전압 조정시에 사용되고, 제2 사용은 자동운전 상태에서 계통 및 자동운전회로가 고장시에 절환되어 사용되며, 제3 사용은 자동운전회로에서 발전기 정지시에 절환되어 사용된다. D-AVR은 발전기 여자전원(직류)으로부터의 피드백(feedback) 신호를 내부 전자회로의 연산증폭기(op-amp) 입력단에 입력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가 신호가 설정 운전치보다 높거나 낮으면 연산증폭기가 적당량의 출력 신호로 만들어 출력함으로써 여자 전원을 항상 일정한 운전치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D-AVR 동특성 시험을 위해, AVR(10)은 상기 연산증폭기의 출력단의 전압을 신호원으로 인출하였으며, 인출되는 신호원의 전압은 발전기 기동전에는 직류 0V이고, 발전기 기동후에는 최대 직류 8V이다. 그러나, 상기 인출되는 신호원의 전압은 유동적일 수 있다.
네 번째 시험 항목인 A-AVR은 발전기를 자동 운전할 때에 사용되는 회로로서, 각종 보호장치와 결합되어 전력계통 및 내부 장치 이상으로부터 발전기를 보호하고 또한 항상 일정한 설정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A-AVR은 발전기 단자전압(교류)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받아 전자회로의 연산증폭기 입력단에 공급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가 설정 운전치보다 높거나 낮으면 연산증폭기가 적당량의 출력신호를 발생하여 발전기의 단자전압을 항상 일정한 운전치가 되도록 한다. 이 동특성 항목을 시험하기 위해 AVR(10)은 연산증폭기 출력단의 전압을 신호원으로 인출하였으며, 이때 인출 전압은 발전기가 기동전이면 직류 0V, 발전기가 기동후이면 직류 8V이다. 이때, 인출 전압은 그 값이 유동적일 수 있다.
다섯 번째 시험 항목인 밸런스(balance)는 A-AVR과 D-AVR간 양쪽의 연산증폭기 출력 상태가 균형적인지 그렇지 않은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 운전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AFU(Atomatic Follow-Up Device)(자동추종장치)는 불균형을 감지하면 현재의 A-AVR 설정치만큼 D-AVR의 출력을 조정하고, 이상상태 발생시 자동에서 수동으로 전환하여 그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설비의 고장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 한다. 이 밸런스 동특성 시험을 위해 AVR(10)은 AFU 입력단에 설치한 지시계기에서 그 신호원을 인출하며, 이때 인출된 신호원은 밸런스시 0mV를, 언밸런스시 최대 ±200mV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항목에 대한 신호원의 상태를 통해 수동에서 자동으로 또는, 자동에서 수동으로 절체시 언밸런스 상태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여섯 번째 시험 항목인 VF는 발전기 여자 전압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 동특성 시험 항목은 발전기 초기 기동시에 여자전압의 변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AVR(10)은 패널의 지시계기(전압)에서 그 신호원을 인출하였으며 발전기 기동전은 직류 0V, 기동시에는 그 상태가 변화하여 최대 직류500V 까지 변화한다.
일곱 번째 시험 항목인 IF는 발전기 여자 전류를 지징하는 것이다. 이 동특성 시험 항목은 발전기 초기 기동시에 여자전류의 변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AVR(10)은 패널의 지시계기(전류)에서 그 신호원을 인출하였으며 발전기 기동전은 직류 0A, 기동시에는 그 상태가 변화하여 최대 직류6000A 까지 변화한다.
여덟 번째 시험 항목인 GV는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지칭하는 것으로, 발전기 초기 기동시 여자 전압 공급에 따른 발전기 출력 전압의 형성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항목의 시험을 위해, AVR(10)은 발전기 출력단의 변압기 2차단에서 신호원을 인출하였으며, 신호원은 발전기 정상 운전시 교류 110V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전압 확립 동특성 시험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의 출력은 입력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신호 변환기(200)에 전달된다.
신호 변환부(200)는 8개의 동특성 시험 항목에 대응하는 8개의 제1 내지 제8 신호 변환기(210 - 280)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신호 변환기(210)는 41G 항목에 대한 출력 전압(0V 또는 DC125V)을 0V 또는 DC9V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제2 신호 변환기(220)는 84V 항목에 대한 출력 전압(0V 또는 DC125V)을 0V 또는 DC9V로 변환시키며, 제3 신호 변환기(230)는 D-AVR 항목에서 출력하는 전압(0V∼ DC15V)을 그대로 0V∼DC15V로 출력하고, 제4 신호 변환기(240)는 A-AVR 항목에서 출력하는 전압(0V∼ DC15V)을 그대로 0V∼DC15V로 출력하며, 제5 신호 변환기(250)는 밸런스 항목에서 출력하는 전압(±DC200mV)을 그대로 ±DC200mV로 출력하고, 제6 신호 변환기(260)는 VF 항목에서 출력하는 전압(0V ∼ DC500V)을 0V∼DC500mV로 변환시켜 출력하며, 제7 신호 변환기(270)는 IF 항목에서 출력하는 전류(0V 또는 DC6000A)를 0∼DC50mV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제8 신호 변환기(280)는 GV 항목에서 출력하는 전압(0V 또는 AC110V)을 0V∼DC1.1V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상기 각 신호 변환기(210 내지 280)에서 출력하는 신호는 디지털 표시부(500)와 출력 기록부(20)에 각각 공통으로 입력된다. 다만, 제1 신호 변환기(210)의 출력은 출력 기록부(20)에만 입력된다.
디지털 표시부(500)는 입력되는 값을 각각 디지털 값으로 표시하고, 출력 기록부(20)는 입력되는 값을 해당 특성 곡선으로 나타내어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지털 표시부(500)와 출력 기록부(20)의 출력을 확인함으로써 FCB 투입에 따른 AVR(10)의 정상적인 초기 전압과 그에 따른 발전기 출력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41G의 출력이 디지털 표시부(500)로 입력되지 않는 것은 41G 즉, FCB는 차단기 동작상태를 나타내며 그 동작상태는 ON/OFF 즉,1과 0의 상태만을 의미하므로 디지털 표시부(500)에 나타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의 동특성 시험장치에 41G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함으로써 램프 동작을 보고 현재 41G가 동작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의 내부 동작 및 그 결과에 따른 출력 기록부의 출력 그래프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의 출력 그래프로서, 자동전압조정기가 정상적일 때 출력 조정부에서 출력되는 특성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압확립 시험(8개의 동특성 시험 항목)과, 전압확립 시험(12 내지 19)을 수행하기 위해 AVR(10)의 인출선(또는 인출선과 연결된 AVR의 출력단자)에 입력 인터페이스부(100)에 형성된 입력 단자를 연결하고, 출력 인터페이스부(400)의 출력 단자에 출력 기록부(20)의 입력 단자를 연결한다.
그리고, 출력 기록부(20)로 들어오는 41G(12)의 신호원에 트리거(trigger)를걸고 FCB를 투입하면, 트리거된 42G(12) 신호가 도 3에 도시된 T1 시점에서 출력이 발생하는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이와 동시에 T1 시점에서 초기여자 회로 전원에 의해 VF(17), IF(18)가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을 나타내고, 약 수 ms의 시간 지연후에 VG가 형성되어 그 단자전압이 서서히 증가하는 특성 곡선을 나타낸다. 발전기 단자전압(GV)이 증가함에 따라 D-AVR 및 A-AVR의 출력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는 VG의 증가에 따른 스탠바이(standby) 상태 즉, 최종 출력단의 릴레이 오프 상태이므로 실제로 출력이 나오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D-AVR과 A-AVR의 출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이에 대한 편차 상태를 알리는 밸런스가 그 값을 특성 곡선으로 나타내기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발전기 단자 전압(약 110V)의 20% 이상이 되는 시점인 T2에서, 84V가 동작하여 그 출력을 나타낸다. 이 84V 릴레이가 동작하면 초기 여자 전원회로가 차단되고 D-AVR 회로로 수동 운전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부터는 VF, IF, VG가 급격히 증가하여 빠른 시간 내에 발전기 단자 전압을 정격 전압(110V)으로 안정화시킨다.
단, 도 3에 도시된 D-AVR의 특성 곡선이 84V가 동작하는 시점(T2)에서 감소하는 현상은 D-AVR에 세팅되어 있는 노치(notch)값에 맞추기 위해서 연산 증폭기 편차가 줄어드는 현상으로 결국 피드백 신호가 증가하여 그 편차가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VF의 특성 곡선이 T2 시점에서 감소하는 현상은 초기여자전원에서 주 사이리스터(thyristor)로 전환할 때 생기는 현상으로 정지된 사이리스터가 구동될 때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이다.
도 3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출력 특성 그래프는 정상적인 상태일 때에 출력 기록부를 통해 나타나는 그래프이며, 비정상적일 때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고장 및 결함형태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비정상적일 때의 그래프를 확인함으로써 자동전압조정기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스텝 응답 시험)
한편, 스텝 응답 시험은 AVR(10)의 A-AVR(발전기 자동 운전시 사용되는 회로)와 D-AVR(발전기 수동 운전시 사용되는 회로)가 공급 전원의 가변에 대응하여 어떠한 형태로 변하고 얼마나 빨리 안정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스텝 조정부(300)와, 스텝 조정부(300)와 연결된 AVR(10)의 출력 가변 조정부(11)에 의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는, 스텝 조정부(300)는 0∼2k의 가변 저항 및 스텝 스위치(스텝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AVR(10)의 출력 가변 조정부(11)와 연결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발전기 단자전압을 22000V에 ??추고 스텝 조정부(300)의 가변 저항값을 '0'으로 설정한 후 스텝 스위치를 오프(off)한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변 저항을 서서히 가변하여 발전기의 출력을 2200V ±5%로 가변하면, 발전기의 전압은 21100V가 되며, 이때 스텝 스위치를 온시키면 발전기 단자전압은 21100V에서 22000V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행위는 D-AVR 또는 A-AVR의 연산증폭기 입력에 스텝을 주었을 때 연산증폭기가 얼마나 빠르게 또한 안정되게 원하는 설정값에 도달하는지를 알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 계통의 외란이 도래했을 때, AVR 속응성 및 안정도를 알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본 발명은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시험시 시험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시험시간을 단축하며, 효과적인 측정이 이루어져 고객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발전기를 구성하며 동특성 시험 항목을 위한 인출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전압조정기와 연결되어 동특성 시험을 수행하는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출력이 가변되고, 가변된 출력이 상기 자동전압조정기에 입력되어 상기 발전기의 출력이 가변되도록 하는 스텝 조정부;
    상기 자동전압조정기의 동특성 시험 항목별 인출 단자과 연결되어 AVR의 동특성 시험 항목에 대한 각 출력을 입력받는 입력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자동전압조정기의 동특성 시험 항목별 출력을 그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신호 변환부;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부; 및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에 대응하는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된 단자에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신호 변환부의 출력을 특성 곡선으로 출력하는출력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되는 상기 AVR의 동특성 시험 항목에 대한 출력은,
    계자 차단기의 정상 동작 여부, 설정 조건에서의 초기 여자 회로 차단 여부, D-AVR 정상 동작 여부, A-AVR 정상 동작 여부, 밸런스 조절 여부, 발전기 여자기에 공급되는 전압의 정상 여부, 발전기 여자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정상 여부 및 발전기 출력 전압 상태 확인을 나타내는 전류 또는 전압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 조정부는,
    발전기의 출력을 가변시킨 후 정상으로 복귀시켜, 얼마나 빨리 D-AVR 또는 A-DVR의 출력이 설정치에 도달하는지를 시험하는 스텝 응답 시험시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환부는,
    상기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항목에 대응하는 수만큼의 신호 변환기로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KR10-2001-0082832A 2001-12-21 2001-12-21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KR10044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832A KR100449425B1 (ko) 2001-12-21 2001-12-21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832A KR100449425B1 (ko) 2001-12-21 2001-12-21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793A true KR20030052793A (ko) 2003-06-27
KR100449425B1 KR100449425B1 (ko) 2004-09-22

Family

ID=29577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832A KR100449425B1 (ko) 2001-12-21 2001-12-21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4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44B1 (ko) * 2012-06-05 2014-02-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소 여자기 자동전압조정기의 카드 시험장치
CN109375104A (zh) * 2018-10-11 2019-02-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应用在网源平台的机组avr模型的在线校核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475B1 (ko) * 1995-03-28 1999-03-20 서석천 발전기의 자동전압 조정기 검사장치
JP3363002B2 (ja) * 1995-09-29 2003-01-07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 機器の試験方法および試験装置
JP3310522B2 (ja) * 1996-01-16 2002-08-05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 Avrの静特性・動特性自動試験用現地支援ツール
JPH1090333A (ja) * 1996-09-19 1998-04-10 Hitachi Eng & Services Co Ltd 機器特性の試験装置および試験方法
KR100294031B1 (ko) * 1998-09-07 2001-07-12 김형국 발전기 자동전압조정기의 속도계전기 시험장치
KR100317985B1 (ko) * 1999-10-29 2001-12-24 김형국 자동전압조정기 부하시험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344B1 (ko) * 2012-06-05 2014-02-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발전소 여자기 자동전압조정기의 카드 시험장치
CN109375104A (zh) * 2018-10-11 2019-02-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应用在网源平台的机组avr模型的在线校核方法
CN109375104B (zh) * 2018-10-11 2021-03-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应用在网源平台的机组avr模型的在线校核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9425B1 (ko)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48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alculating ground fault resistance
DK2461026T4 (en)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 system for producing electricity
KR101523300B1 (ko) 전력변환장치의 성능 시험 시스템 및 방법
JP6651541B2 (ja) エネルギー発生設備を中電圧グリッドに接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エネルギー発生設備
JP2010016990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49425B1 (ko) 자동전압조정기 동특성 시험 장치
US11143704B2 (en) Power generation system test apparatus and method
KR0168476B1 (ko) 자동전압 조정기의 제어카드 검사 장치
KR100330254B1 (ko) 전원의 전압가변 시험 장치 및 방법
JP2020101496A (ja) 検査方法および試験装置
Zabaiou et al. Development of a new library of IEEE excitation systems and its validation with PSS/E
CN113866483B (zh) 变电站二次电压自动校验方法及系统
US4152640A (en) Two phase high voltage insulation testing of multiphase windings
JP4770296B2 (ja) 異常電圧発生装置
KR100317985B1 (ko) 자동전압조정기 부하시험 장치 및 그 방법
CN110112788B (zh) 一种发电厂同期系统调试方法
KR101112632B1 (ko) 자동전압조정장치
Popescu et al. Aspects on the influence of starting the own services consumers of an energy group with unit of 330 mw on the power supply
JP3894346B2 (ja) 保護継電器制御回路試験装置
KR102064132B1 (ko) 여자 제어 시스템의 진단 장치
JPH04282479A (ja) 発電機の負荷試験制御装置
KR0168475B1 (ko) 발전기의 자동전압 조정기 검사장치
Lukić et al. Static Excitation of the 7.5 MW Synchronous Motor for Compressor Drive
JP3732864B2 (ja) 系統保護装置試験装置
RU2105987C1 (ru) Способ проверки исправности вторичных цепей трансформаторов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