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548A -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548A
KR20030052548A KR1020010082552A KR20010082552A KR20030052548A KR 20030052548 A KR20030052548 A KR 20030052548A KR 1020010082552 A KR1020010082552 A KR 1020010082552A KR 20010082552 A KR20010082552 A KR 20010082552A KR 20030052548 A KR20030052548 A KR 20030052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parts
polyethylene
polyethyle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2112B1 (ko
Inventor
박지용
서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1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opening or clo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2HD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00중량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0.01~0.5중량부의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병뚜껑은 우수한 백색도와 오가노렙틱 성능을 갖는다.

Description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For Bottle Cap}
본 발명은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0.01~0.5중량부의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음료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크루 방식의 병뚜껑에 있어서 중요한 요구물성중의 하나는 우수한 오가노렙틱 특성으로서 이는 병뚜껑에 사용된 수지조성물이 음료의 맛과 냄새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는 것으로, 특히 생수와 같은 순수음료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최근 유럽시장을 중심으로 이러한 물성에 대한 요구가 급속히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병뚜껑용 수지조성물의 오가노렙틱 특성은 폴리에틸렌 자체의 저분자 물질과 폴리에틸렌의 기능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첨가제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US5948846, 한국특허 2001-046400는 병구와 병뚜껑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지방산 아마이드와 같은 저분자 활제성분의 영향을 지적하였고,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오가노렙틱 특성 개선 방법으로, 무기 제올라이트를 사용하거나 저분자 활제성분을 대체한 실리콘 화합물을 사용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오가노렙틱 특성의 영향인자를 마찰계수를 감소시키는 저분자량의 지방산 아마이드로 국한하여 페놀계 산화방지제와 같은 자극적 성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페놀계 산화방지제는 촉매잔사 및 무기안료등에 존재하는 티타늄등과 같은 금속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발색단을 형성시켜 황색계열의 색상을 나타내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색의 정도가 계속 심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화방지제로서 비페놀계 라디칼 포획제를 사용하여 음료의 맛과 냄새의 변화를 유발시키지 않고, 백색안료가 첨가된 백색 병뚜껑에 적용시 우수한 백색도를 나타내고 장기보관시에도 백색도의 변화가 없는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100중량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0.01~0.5중량부의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당 비페놀계의 라디칼 포획제로서 탈로우 알킬아민계의 산화방지제가 0.01~0.5중량부로 첨가되어 용융혼합된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틸렌은 에틸렌 단일 중합체와 1이상의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나타낸다. 사용될 수 있는 단량체는 부텐-1, 헥센-1, 4-메틸펜텐-1과 같이 4∼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파 올레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은 용융지수가 ASTM D1238에 따라 2.16kgf/㎠ 하중, 190℃ 온도하에서 측정했을때 0.1∼ 20g/10분이며, 밀도가 ASTM D1505에 따라 23℃ 온도하에서 0.940g/㎤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적합하다. 용융지수가 0.1g/10분 미만일 때는 유동성 저하로 사출 및 압축성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으며, 20g/10분 초과일 때는 기계적 물성의 저하로 병뚜껑의 기능을 발현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는 CIBA-GEIGY社의 Irgastab FS042와 같이 R-NOH-R(R=C18H37) 구조의 것이다.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는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당 0.01~0.5 중량부가 적합하며 0.01중량부 미만이면 산화방지의 기능이 저하되고, 0.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비페놀계 라디칼 포획제로서 탈로우 알킬 아민계 산화방지제외에 내산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에서 이들 첨가제의 각 함량은 1중량부 이하이고, 바람직하기로는 0.5중량부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병뚜껑의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료의 함량은 2 중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인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100중량부, 탈로우 알킬 아민계 산화방지제 0.01∼0.5중량부, 1중량부 이하의 기타 첨가제를 헨셀믹서를 이용하여 균일하게 분산후 압출기의 주공급부에 넣고 150∼220℃의 온도에서 용융압출하여 혼합시켜 펠렛 형태로 얻어진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압축성형 및 사출성형과 같은 일반적인 병뚜껑 제조성형 방법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용융지수 2.0g/10분, 밀도 0.952g/㎤을 갖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파우더 100중량부에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 FS042(Ciba-Geigy) 0.01중량부, 내산제인 칼슘스테아레이트 0.1중량부, 트리(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0.1중량부의 비율로 하여 전체 혼합물이 50kg이 되게 하여 헨셀 믹서로 혼합한 다음,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가공온도 220℃에서 압출 가공하여 펠렛상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로 사출쉬트및 병뚜껑을 제조한 후 백색도와 맛, 냄새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병뚜껑은 28mm 규격으로 48개 캐비티를 가진 사출기를 사용하였으며,사출온도 250℃, 사출압력 175 bar, 사출속도 160mm/초, 사출시간 2초, 사출보압 45 bar의 사출조건로 성형하였다.
<실시예 2>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를 0.5중량부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 0.01중량부대신에 페놀계의 산화방지제인 펜타에리티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평가하였으며, 평가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주)
(1)FS042(Ciba-Geigy)
(2)펜타에리티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 네이트)
(3)트리(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평가방법>
1)백색도는 비색계로 측정하였다.
2)관능검사는 500g의 펠렛을 5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생수로 채운 후 60℃의 오븐에 48시간 방치한 후, 48시간 자연냉각시킨 후, 동시험에 경험이 있는 5인의 패널이 행하였다.
상기 표1의 결과로부터 비페놀계 라디칼 포획제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병뚜껑은 비교예 1의 페놀계 라디칼 포획제를 첨가한 조성물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백색도와 오가노렙틱 성능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로 성형된 병뚜껑은 우수한 백색도를 지니며, 장기간 보관시에도 색상 변화가 없으며, 음료의 맛과 냄새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다.

Claims (5)

100중량부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0.01~0.5중량부의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로 구성된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용융지수가 2.16kgf/㎠의 하중, 190 ℃ 온도하에서 ASTM D1238에 따라 측정했을 때 0.1∼20g/10분이며, 밀도가 23℃ 에서 ASTM D1505에 따라 측정했을 때 0.940g/㎤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로우 알킬 아민계의 산화방지제가 R-NOH-R(R=C18H37) 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해서 내산제 및/또는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1중량부 이하 추가로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100중량부에 대해서 안료를 2중량부 이하 추가로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20010082552A 2001-12-21 2001-12-21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079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552A KR100792112B1 (ko) 2001-12-21 2001-12-21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552A KR100792112B1 (ko) 2001-12-21 2001-12-21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548A true KR20030052548A (ko) 2003-06-27
KR100792112B1 KR100792112B1 (ko) 2008-01-04

Family

ID=2957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552A KR100792112B1 (ko) 2001-12-21 2001-12-21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50A (ko) * 2017-11-28 2019-06-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내변색성이 우수한 필름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179B1 (ko) 2003-04-11 2009-10-19 삼성토탈 주식회사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된 성형품
KR101840126B1 (ko) * 2016-09-23 2018-03-1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내화학성이 우수한 중형 블로우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4915B1 (en) * 1998-12-10 2001-04-10 General Electric Company Stabiliz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KR100601146B1 (ko) * 1999-11-12 2006-07-13 삼성토탈 주식회사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된 성형품
GB0004437D0 (en) * 2000-02-25 2000-04-12 Clariant Int Ltd Synergistic combinations of phenolic antioxida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50A (ko) * 2017-11-28 2019-06-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내변색성이 우수한 필름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112B1 (ko) 200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1008434A3 (fr) Composition a base de polyolefine et procede de fabrication d&#39;objets faconnes a partir de cette composition.
US4611024A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 hydrotalcite and an acetal of an alditol
CA2465964C (en) Screw cap composition
EP0087210B1 (en) A rotational moulding process using polyethylene compositions
CA2404135C (en) Polyethylene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king shaped objects from same
AU2002357492A1 (en) Screw cap composition
JP2002531622A (ja) 瓶ネジキャップのためのポリマー組成物
US4692489A (en) Polypropylene compositions of improved clarity
KR870002104B1 (ko) 방사선에 안정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792112B1 (ko)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A1269489A (en) Injection blow molding grade propylene polymers
JP2004182955A (ja)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H0339107B2 (ko)
US5216056A (en) Color stabilization of filled polyolefins
JPH02163143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H0372544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0179443B1 (ko)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KR20100050105A (ko) 무균 병마개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성형품
KR100601146B1 (ko) 플라스틱 병뚜껑용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및 이로부터제조된 성형품
JPH0623274B2 (ja) 抗菌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2755531B2 (ja) 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JP3901345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00314706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S62156151A (ja)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
JPS60190443A (ja) 放射線に安定な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