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014A - 섬유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섬유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014A
KR20030052014A KR1020010081754A KR20010081754A KR20030052014A KR 20030052014 A KR20030052014 A KR 20030052014A KR 1020010081754 A KR1020010081754 A KR 1020010081754A KR 20010081754 A KR20010081754 A KR 20010081754A KR 20030052014 A KR20030052014 A KR 2003005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oftener
softener composition
alkyl
weight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8023B1 (ko
Inventor
강주영
정국인
김정철
강윤석
윤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8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02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헥사메틸렌바이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포스페이트를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포함하여 항균 및 소취기능이 뛰어난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섬유유연제 조성물{FABRIC SOFTENER COMPOSITION}
본 발명은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균 및 소취 기능이 뛰어난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유연제는 의류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고, 섬유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위생 및 청결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보다 쾌적한 의생활을 추구하려 함에 따라, 의류에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 증식 방지 및 악취제거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유연제의 기본 기능 이외에도 항균 및 소취 기능이 뛰어난 섬유유연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의류를 장시간 동안 착용할 경우, 또는 습기가 높은 우천시나 하절기에는 의류 및 섬유 제품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미생물들에 의해 미생물들에 의한 피부염증 및 각종 피부질환이 발병할 수도 있고, 불쾌한 냄새가 나서, 의복 착용시 쾌적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세균 및 곰팡이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항균제를 적용한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적용된 항균제는 항균제 원료 자체의 항균력은 우수하나 섬유 흡착능력이 우수하지 못하여 섬유표면에 제대로 흡착하지 못하므로, 항균력을 거의 발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복 착용 시 불쾌감을 유발하는 악취 문제에 있어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악취를 제거하는데 사용해 온 방법들로는 화학적 제거방법, 물리화학적 제거방법, 감각적 탈취방법, 및 생물화학적 제거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우선, 상기 화학적 제거방법은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또는 가수분해와 같은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악취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악취 물질을 분해하거나,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물리화학적 제거방법은 활성탄이나 실리카, 또는 사이클로 덱스트린과 같이 흡착 및 포집 능력이 뛰어난 화합물을 사용하여 악취를 유발하는 성분을 흡착 또는 포집하여 제거하거나, 악취를 유발하는 성분을 고비점의 용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에 흡수하여 유동 파라핀, 고급 알코올,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피복시켜 제거하는 방법이다. 또한, 감각적 탈취방법은 악취를 유발하는 성분에 대하여 방향성의 향료를 사용하여 냄새를 중화시키거나, 감각적으로 중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냄새를 마스킹(masking)하여 제거한다. 끝으로, 생물화학적 방법은 양성 계면활성제, 살균제 등의 항균 및 살균 작용으로 세균에 의한 악취성분의 발생을 차단하거나, 소화효소, 세균, 효모 등을 이용하여 악취 유발 물질로 알려진 유기산을 분해하는 방법이다.
의류나 섬유제품에 발생하는 악취의 대부분은 몸에서 나는 땀이나, 사람의 체취가 대부분인 것으로, 대개의 사람들은 이러한 불쾌치를 참고 견디다 세탁을 하거나, 또는 상기한 방법들 중의 하나와 같이 방향성 향료로 냄새를 마스킹함으로써 악취를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처럼 불쾌한 냄새를 마스킹하는 경우, 오히려 불쾌한 냄새들과 교호 작용하여 더욱 더 심한 악취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항균 및 소취 효과가 뛰어난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섬유의 불쾌취 및 의류에 번식하는 미생물을 제거하여 쾌적한 의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헥사메틸렌바이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포스페이트를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헥사메틸렌바이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포스페이트를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헥사메틸렌바이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Poly(hexamethylenebiguanide)hydrochloride), 및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포스페이트(Poly(hexamethylene-guanidine)phosphate)는 섬유흡착능력이 우수한 양이온성 항균제로서, 각각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나타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의 식에서, n은 12이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의 식에서, m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며, m/n은 1 내지 2이다.
상기 양이온성 항균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이온성 항균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함량이 미미하여 만족스런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소취효과를 부여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식물 추출물로는 페놀성 수산기, 다당류, 및 아미노산이 주성분인 감잎추출물 0.01 내지 10 중량%, 또는 두 개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글리옥살 0.01 내지 1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기로는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4급 암모늄염은 하기 화학식 3의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dialk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하기 화학식 4의 디알킬 이미다졸리늄염(dialkyl imidazolynium salt), 하기 화학식 5의 디알킬아미도 4급 암모늄염(dialkylamido quaternary ammonium salt), 또는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5]
상기 화학식 3 내지 5의 식에서, R은 탄소수 12∼18의 알킬기이다.
상기 4급 암모늄염의 함량은 본 섬유유연제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급 암모늄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의류의 유연 효과 및 정전기 방지 효과를 만족할 수 없으며,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화안정성 및 빙결 안정성이 불량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양이온성 유연성분, 항균제, 및 소취제의 유화제로서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탄소수 10∼20의 폴리옥시에틸렌 (2 내지 200 몰) 알킬-알케닐에테르 또는 탄소수 10∼20의 폴리옥시에틸렌 (2 내지 200 몰) 알킬-알킬페닐에테르; 탄소수 10∼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40 몰)알킬-알케닐에스테르 또는 탄소수 10∼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40 몰)알킬-하이드록시 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또는 이의 에틸렌옥사이드(15 내지 40 몰)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30 몰)알킬-알케닐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50 몰)알킬-알케닐아민, 또는 글리세릴 모노알킬-알케닐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탄소수 8∼22의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 베타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인,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레시틴, 또는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레시틴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계면 활성제는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은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40 중량%인 것인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 내에서 5 중량% 미만인 경우, 섬유유연제의 경시 유화 안정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안정성은 물론, 유연성분이 의류에 흡착되는 것을 방해하여 유연효과를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분산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안정제로는 유기 또는 무기 분산안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탄소수 1∼8의 저급 알콜 또는 글리콜류, 탄소수 14∼20의 고급 알콜류, 요소,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 안정제의 함량은 섬유유연제의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안정제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섬유유연제의 유연효과가 저해될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원가가 불필요하게 상승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섬유유연제의 첨가제로서 일반적으로사용되는 향료, 방부제, 살균제, 형광증백제, 색소, 산화방지제, 소포제 등을 제품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0.01 내지 3 중량%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물의 함량은 적절히 조절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일반 제품에서 섬유유연제의 순물질 기준 함량은 3 내지 12 중량%인 것이 대부분이지만, 세탁 후 헹굼 시 각종 섬유에 유연처리를 하게 되는 표준 사용 농도로 환산하면 일반 제품의 경우 세탁수 1 ℓ 당 0.67 ㎖로서, 순물질 기준으로 동일한 농도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를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 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통상 시판중인 제품과 유사하게, 순물질 기준 함량으로 구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로 구별하여 제품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 때, 본 발명의 비교예로는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은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였다.
상기 성능평가는 평가항목을 각각 항균력 평가, 유연효과 시험, 잔향효과 시험, 흡수성시험, 및 정전기 방지 시험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각각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양이온성 항균제로는 폴리(헥사메틸렌바이구아나이드)(이하, PHMB라 칭함), 또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포스페이트(이하, PHMG라 칭함)을 사용하였다. 또한, 유화제로는 POE(30) 경화피마자유를, 분산안정제로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각각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유화제로는 POE(30) 경화피마자유를, 분산안정제로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의 조성을 기재하였으며, 각 조성의 단위는 중량%이다.
조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PHMB 0.01 10 0 0 0 0 0 0
PHMG 0 0 0.01 10 0 0 0 0
0.3 0.3 0.3 0.3 0.3 0.2 0.1 0
에스테르형 4급 암모늄염 5 5 5 5 5 5 5 5
계면활성제 0.1 0.1 0.1 0.1 0.1 0.1 0.1 0.1
분산안정제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기타 첨가제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100 중량%까지
하기 방법에 따르는 상기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 에 기재하였다.
실험예: 성능평가 실험
(항균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를 사용농도(0.67 g/ℓ)로 희석시킨 다음, 실험균주인Staphylococcus aureus를 106/㎖의 농도로 희석한 용액에 적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적정액을 투입한다. 상기 용액을 미생물 배지에 도포하여 37 ℃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성장한 미생물의 양을 측정하여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상기한 항균효과 시험 외에, K 0693-1990 시험법에 의거하여Staphylococcus aureus를 실험균주로 하여 상기 미생물 106마리를 면, 및 PET에 대하여 접종하였다. 미생물이 접종된 상기 직물들의 항균도를 측정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실시한 항균효과의 실험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 2에 기재하였고, 성장한 미생물이 103마리 이하이면 매우 우수(◎), 104마리 이하이면 우수(○), 105마리 이하이면 보통(△), 변화가 없는 경우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유연효과 실험)
일반 세탁세제 표준사용량을 사용하여 시판되는 100 %의 면타올을 세탁기로 5 회 반복세탁한 후 탈수시켰다. 상기 탈수된 면타올을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 표준사용량(6.7 ㎖/10ℓ세탁수)을 기준으로 용해한 각각의 헹굼물(욕비 1:30, 25 ℃)에 유연처리한 다음 탈수하여 20 ℃, 상대습도 65 %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콘디쇼닝(conditioning) 시켰다. 다음으로 숙련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대한 촉감정도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촉감정도에 대한 유연점수는 최저 1 점에서 최고 5 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것을 3 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 유연효과를 측정하였다. 유연효과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고, 유연효과 점수가 4.5 이상이면 매우 우수(◎), 3.5 이상 4.5 미만이면 우수(○), 2.5 이상 3.5 미만이면 보통(△), 2.5 미만이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잔향효과 시험)
일반 세탁세제 표준사용량을 사용하여, 시판되는 100 %의 면타올을 세탁기로 5 회 반복세탁한 후 탈수시켰다. 상기 탈수된 면타올을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 표준사용량(6.7 ㎖/10ℓ세탁수)을 기준으로 용해한 각각의 헹굼물(욕비 1:30, 25 ℃)에 유연처리한 다음 탈수하여 20 ℃, 상대습도 65 %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콘디쇼닝(conditioning) 시켰다. 다음으로 숙련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대한 잔향의 강도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잔향의 강도에 대한 점수는 최저 1 점에서 최고 5 점까지 부여하게 하고, 이것을 3 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 잔향효과를 측정하였다. 잔향효과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고, 잔향효과 점수가 4.5 이상이면 매우 우수(◎), 3.5 이상 4.5 미만이면 우수(○), 2.5 이상 3.5 미만이면 보통(△), 2.5 미만이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흡수성 시험)
표준 면포를 위사, 및 경사로 구분하여 2 ㎝ ×15 ㎝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상기한 유연효과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연처리한 다음 탈수하여 20 ℃, 상대습도 65 %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콘디쇼닝(conditioning) 시켰다. 다음으로콘디쇼닝 처리한 상기 면포를 클램프와 추를 사용하여 수직으로 매단 다음, 수용성 청색 염료를 0.1 %로 희석시킨 수용액 중에 상기 면포의 말단을 동시에 담갔다. 면포를 담근 지 20 분 뒤, 청색 염료의 상승높이를 측정하였고, 상기 과정을 3 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 흡수성을 평가하였다. 흡수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고, 상승높이가 100 ㎜ 이상이면 매우 우수(◎), 70 이상 100 ㎜ 미만이면 우수(○), 40 이상 70 ㎜ 미만이면 보통(△), 40 ㎜ 미만이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정전기 방지성 시험)
(1) 마찰대전압 측정법
KS K-0950의 염색 견뢰도 시험용 백 면포, 백 폴리에스테르포, 나일론포 (각각 한국의류 시험 연구원 제작)를 각각 4 ㎝ × 6 ㎝의 크기로 절단하고, 상기 유연효과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연처리한 다음 탈수하여 20 ℃, 상대습도 65 %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콘디쇼닝(conditioning) 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시료포들을 로터리 스테이틱 테스터(Rotary static tester, 일본 다이에 카가쿠 사 제품)를 이용하여 KS K-0555B 시험방법에 따라 60 초 동안 600 rpm으로 회전 마찰시켜 발생된 대전압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시험 과정을 3 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 정전기 방지성을 평가하였다. 정전기 방지성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고, 상기 백 면포에 대하여 발생한 대전압이 100 V 미만이면 매우 우수(◎), 100 이상 300 V 미만이면 우수(○), 300 이상 500 V 미만이면 보통(△), 500 V 미만이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또한, 상기 백 폴리에스테르포, 및 나일론포에 대하여 발생한 대전압이 800 V 미만이면 매우 우수(◎), 800 이상 1200 V 미만이면 우수(○), 1200 이상 1800 V 미만이면 보통(△), 1800 V 이상이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2) 반감기 측정법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한 유연효과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연처리한 다음 탈수하여 20 ℃, 상대습도 40 %의 조건에서 24 시간 동안 콘디쇼닝(conditioning) 시켰다. 다음으로, 각각의 면타올에 대하여 정전압계(스위스 Rothschild 사 제조)를 이용하여 초기전압 150 V를 인가한 다음, 전압이 반으로 떨어지는 시간으로 정전압 누설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시험을 3 회 이상 반복하여 그 평균값으로 정전기 방지성을 측정하였다. 정전기 방지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고, 누설속도가 10 초(sec) 이하면 매우 우수(◎), 10 이상 102초 미만이면 우수(○), 102이상 103초 미만이면 보통(△), 103초 이상이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성능평가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항균효과 × × × ×
잔향효과
유연효과
흡수성
정전기방지성 마찰대전압
반감기측정
상기의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4의 섬유유연제 조성물보다 항균효과, 잔향효과, 유연효과, 흡수성, 및 정전기 방지성의 모든 면에서 동시에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 조성물은 유연제 조성물로서 항균 및 소취 효과가 뛰어나다. 이에 따라, 의류 및 섬유 제품에 발생할 수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미생물의 번식으로 인한 각 종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불쾌취를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의생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섬유유연제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헥사메틸렌바이구아나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포스페이트를 섬유유연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감잎추출물 0.01 내지 10 중량%, 또는 두 개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글리옥살 0.01 내지 1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a) 4급 암모늄염 1 내지 30 중량%;
    b) 유화제 5 내지 40 중량%; 및
    c) 분산 안정제 0.01 내지 30 중량%
    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유연제 조성물이 d) 향료, 방부제, 살균제, 형광증백제, 색소, 산화방지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첨가제 0.01 내지 3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탄소수 10∼20의 폴리옥시에틸렌 (2 내지 200 몰) 알킬-알케닐에테르, 탄소수 10∼20의 폴리옥시에틸렌 (2 내지 200 몰) 알킬-알킬페닐에테르, 탄소수 10∼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40 몰)알킬-알케닐에스테르, 탄소수 10∼20의 폴리옥시에틸렌(2 내지 40 몰)알킬-하이드록시 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알킬에스테르 및 이의 에틸렌옥사이드(15 내지 40 몰)부가물,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30 몰)알킬-알케닐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1 내지 50 몰)알킬-알케닐아민, 글리세릴 모노알킬-알케닐에스테르, 탄소수 8∼22의 알킬디메틸베타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 베타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베타인,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에틸 레시틴, 및 알킬디메틸하이드록시프로필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안정제가 탄소수 1∼8의 저급 알콜 또는 글리콜류, 탄소수 14∼20의 고급 알콜류, 요소,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및 질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20010081754A 2001-12-20 2001-12-20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0828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754A KR100828023B1 (ko) 2001-12-20 2001-12-20 섬유유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754A KR100828023B1 (ko) 2001-12-20 2001-12-20 섬유유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014A true KR20030052014A (ko) 2003-06-26
KR100828023B1 KR100828023B1 (ko) 2008-05-08

Family

ID=2957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754A KR100828023B1 (ko) 2001-12-20 2001-12-20 섬유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0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3361A (en) * 2013-04-24 2014-10-29 Intelligent Fabric Technologies Plc Fabric softe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427B1 (ko) 2010-09-09 2012-08-07 주식회사 대원케미코 산화방지제를 이용한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7968A (ja) * 1995-06-12 1996-12-24 Unitika Ltd セルロース系繊維布帛の抗菌加工方法
JPH09209270A (ja) * 1996-01-25 1997-08-12 Lion Corp 液体糊組成物
KR100230978B1 (ko) * 1997-03-07 1999-11-15 남창우 알킬기가 축쇄된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과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항균제로서의 용도
KR100593037B1 (ko) * 1999-11-19 2006-06-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100828021B1 (ko) * 2001-11-07 2008-05-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3361A (en) * 2013-04-24 2014-10-29 Intelligent Fabric Technologies Plc Fabric softener
WO2014174272A1 (en) * 2013-04-24 2014-10-30 Intelligent Fabric Technologies Plc Fabric sof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023B1 (ko) 200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375B6 (ja) 布地及び関連する基材のための消毒性組成物、及び抗菌的、抗ウイルス的、及び抗真菌的消毒性、洗浄耐久性を提供し、多機能的特性を用いて必要に応じて強化するための基材の処理方法
US11598047B2 (en) Process for producing fibrous material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CN102933762A (zh) 合成无纺织物的抗微生物处理
JP2016535179A5 (ko)
US20160138214A1 (en) Antimicrobial finish on fabrics
US3317376A (en) Germicidal fabric
KR20040085417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KR100828023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2004041677A (ja) 湿潤性ワイパー
KR20080087499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구비한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20030050969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Islam et al. New automotive fabrics with anti-odour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JP2006069919A (ja) 殺菌消毒剤
JP4441228B2 (ja) 抗菌・殺菌剤
KR20050090217A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JPS6385181A (ja) 繊維製品類の耐洗濯性衛生加工方法
KR0179521B1 (ko) 의류용 정전지 방지제 조성물
KR100228507B1 (ko) 가정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JP4324893B2 (ja) 衛生性に優れる変性ポリエステル系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80067B1 (ko) 섬유처리제 조성물
KR100561102B1 (ko) 섬유 유연제 조성물
JP2021080597A (ja) 繊維用抗菌防臭剤、繊維用処理液および抗菌防臭繊維
KR20230147814A (ko) 시트형 섬유유연제와 이의 제조방법
KR20100111775A (ko) 원적외선 방사용 섬유유연제 조성물
CN112538758A (zh) 柔顺抗静电的去除阴干异味的织物护理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