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972A -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972A
KR20030051972A KR1020010081654A KR20010081654A KR20030051972A KR 20030051972 A KR20030051972 A KR 20030051972A KR 1020010081654 A KR1020010081654 A KR 1020010081654A KR 20010081654 A KR20010081654 A KR 20010081654A KR 20030051972 A KR20030051972 A KR 2003005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leansing composition
weight
cleansing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973B1 (ko
Inventor
고영미
김중수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1-0081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9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5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9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유형(O/W emulsion)의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소량의 오일을 함유하여 충분히 메이크업 성분을 제거할 수 있고, 우수한 피부안전성을 나타내는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A cleansing composition of o/w emuls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5~20중량%의 오일을 소량으로 함유하여 충분히 메이크업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메이크업 성분을 제거하는 클렌징 제품의 경우 워시-오프(wash-off)를 위하여 다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시스템과 그 외의 일반적인 클렌징 제품으로 나뉘어진다. 보통 수중유형(Oil-in-Water;O/W) 에멀젼의 경우 내상으로 들어가는 오일의 함량이 50~70%로 손 놀림시 전상(내상의 오일이 외상으로 빠져 나오는 현상)이 되어 오일 성분과 친화성이 높은 메이컵 잔유물을 멜팅시켜 클렌징을 하는 경우와 내상이 15~30%로 오일이 다소 적은 에멀젼으로 클렌징하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상기에서 전자의 경우 전상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다소 걸리고 전상이 된 후에는 많은 양의 오일로 인하여 사용성이 산뜻하지 못하고 매우 오일리하여 번들거리고 무거운 느낌으로 인한 불쾌감을 준다. 게다가, 지성 피부에는 자극 및 부담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피부의 안전성 차원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오기 쉽지는 않으며, 또한 제조자의 입장에서는 사용되는 오일의 양이 많기 때문에 원가적인 측면에서도 부담이 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클렌징 에멀젼의 경우는 내상(오일상)이 적은 관계로 전상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메이크업 잔유물을 멜팅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론 클렌징력이 많이 저조하여 메이크업 성분을 완벽하게 지울 수 없다. 게다가, 전상이 되지 못한 상태에서는 손놀림이 뻑뻑해지기 때문에 무리한 손놀림에 의한 마찰로 인하여 피부에 자극을 줄 수도 있으며, 클렌징을 하는 동안 클렌징 제품이 피부로 흡수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인 클렌징제품 중 계면활성제들은 물과 오일이 접촉하는 경계면으로 이동하여 친수기는 물 방향으로, 소수기 방향은 오일 방향으로 재배치되어 계면장력을 낮추어 주고 액적을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체 시스템이 매우 안정화되지만, 물과 오일이 분리되고 전상하는데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상을 촉진시키면서 우수한 피부안정성을 갖는 클렌징 조성물을 연구한 결과,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오일 또한 5~20중량%의 양으로 소량 사용한 클렌징 조성물이 전상을 촉진시켜 충분한 클렌징력을 갖으며, 우수한 피부안정성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우수한 클렌징력 및 피부안정성 효과를 갖는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팔 하박 안쪽 부위 3×3㎝부위에 립스틱을 도포하기 전의 사진이다.
도 2는 립스틱을 도포한 후의 사진이다.
도 3a는 실시예 1(좌) 및 비교예 1(우)의 화장료를 도포한 사진이다.
도 3b는 비교예 2(좌) 및 비교예 3(우)의 화장료를 도포한 사진이다.
도 4a는 상기 도 3a의 화장료를 클렌징 하고 티슈로 닦아낸 후, 립스틱이 피부에 남아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b는 상기 도 3b의 화장료를 클렌징 하고 티슈로 닦아낸 후, 립스틱이 피부에 남아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5~20중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상태가 다른 두 상이 접촉하여 생기는 계면에 커다란 장력이 존재할 경우 계면의 주변에 흡착되어 전체 시스템의 자유 에너지가 최소가 되도록 계면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배열하게 된다. 즉, 물과 오일이 접촉하는 경계면으로 이동한 계면활성제 분자들은 친수기는 물 방향으로, 소수기 방향은 오일 방향으로 재배치되어 계면장력을 낮추어 주고 액적을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전체 시스템이 매우 안정화되지만 물과 오일이 분리되거나 전상하는데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을 요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논리를 역으로 추정하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안정화가 가능한 양 만큼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게 되면 계면의 장력을 높여 외부 힘에 의해 빠르게 전상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소량의 오일로도 전상이 쉽게 되어 메이크업 성분의 멜팅력을 상승시키고 피부에 안전하면서, 오일리하지 않는 사용감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중유형(O/W emulsion)의 클렌징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하지 않으면서 유화계의 안정성을 도모하기위해 안정화제를 함유하며, 상기 안정화제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레이트/탄소수 10~30의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루로오스,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 산탄검, 소듐마크네슘실리케이트 및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0.01~5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의 유상성분으로는 탄화수소류,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 고급 알코올류, 고급 지방산유,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오일을 선택, 조합이 가능하다. 상기 중 메이크업 성분과 더욱 친화성이 있어 메이크업을 지우는 능력이 뛰어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등의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유성성분이 5중량%미만일 때는 메이크업을 지울만한 충분한 양이 되지 못하며,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기술에서 보여주는 무겁고 오일리하면서 답답한 사용감과 차별성이 사라질 수 있으므로 5~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유상성분 세테아릴알코올 - - - - 1.0 2.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 - - 0.5 1.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 - - - 0.5 1.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 - - - 0.3 0.5
폴리소르베이트 60 - - - 10.0 1.4 1.5
미네랄오일 - - - - 25.0 35.0
세틸옥타노에이트 7.0 7.0 - - 5.0 10.0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3.0 3.0 - - 3.0 5.0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 - 3.0 - - -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 5.0 7.0 - - -
수상성분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디소듐디이티에이 0.01 0.01 0.01 0.01 0.01 0.01
프로필글라이콜 3.0 3.0 3.0 3.0 3.0 3.0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 - - 6.0 - -
방부제 0.4 0.4 0.4 0.4 0.4 0.4
트리에탄올아민 0.3 0.3 0.3 0.6 0.13 0.14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3 0.3 0.3 0.7 - -
카보머 - - - - 0.13 0.13
* 비교예 1; 종래의 클렌징 젤, 비교예 2; 종래의 클렌징 로션(플루이드) 및비교예 3; 종래의 클렌징 크림.
<제조방법>
(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유상성분을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비교예 2~3의 유상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70℃까지 가열하였다.
(3)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수상성분을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교반하에 상기 (1)의 유상성분을 각각 투입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화장료를 얻었다.
(4) 비교예 2~3의 수성성분을 70℃까지 가열한 후, 교반하에 상기 (2)의 유성성분을 각각 투입하여 비교예 2~3의 화장료를 얻었다.
<시험예 1>
상기예 중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화장료의 클렌징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피검자의 양쪽 팔 하박 안쪽부위에 3 x 3 cm 크기로 2부위를 정하여 지속력이 높은 립스틱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10분을 방치시킨(건조)다음, 이를 상기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압력으로 5회 원을 그리면서 문지른 후 녹아 난 립스틱과 화장료를 티슈로 닦아 내고,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클렌징 후의 립스틱이 남아 있는 정도를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 과정을 도 1~도 4에 나타낸다.
하기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이크업의 클렌징력이 가장 떨어지는 화장료는 비교예 1의 화장료로 확인되었으며, 비교예 1은 종래의 기술에서 클렌징 젤이라고 명명하는 조성물로 오일이 들어가지 않기에 투명하고, 클렌징을 하는 동안에 오일감을 느껴지 않으므로 산뜻하다고 느낄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 메이크업 성분과 친화성이 있는 오일이 함유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메이크업 성분을 녹여내는 능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비교예 1에 사용된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60과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로 그 사용량이 16중량%로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아주 높지만, 메이크업의 클렌징력에는 크게 기여를 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다량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로 씻을 낼 때 워시오프가 가능하고, 자극이 다소 적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지만 다량의 사용량에 의해 피부의 자극을 유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메이크업 성분과 친화성이 높은 오일을 각각 33중량%와 50중량%으로 사용되었지만 유화의 안정화를 위해 2~4중량%의 계면활성제를 같이 사용하였기 때문에 클렌징시 오일의 전상이 늦게 나타나게 되어 메이크업을 지우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사한 계면활성제 중량에서 비교예 3에 사용된 오일의 중량이 비교예 2에 사용된 중량보다 높기 때문에 클렌징시 어느 정도 오일의 전상이 빨라 비교예 3의 클렌징력이 다소 높지만, 본 발명의 클렌징 화장료인 실시예 1과 비교시 클렌징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도 4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2~3과 달리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10중량%의 적은 오일을 함유하고 있고,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로 유화의 안정화를 유지시킨 것으로 클렌징시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전상이 나타나며, 따라서 아주 적은 양의 오일로도 클렌징의 빠른 속도와 충분히 메이크업 성분을 제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이게 된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클렌징력과 사용감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 연령이 만 28.5세인 사외 소비자 60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고, 평가 방법은 각 항목에 대한 선호도(싫고 좋음)를 1~9점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각 항목에 대한 점수를 평균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2-----3-----4-----5-----6-----7-----8-----9
매우싫다 보통 매우좋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바를 때의 수분감 8.0 7.5 8.0 8.5 4.0 2.5
*바를 때의 오일감 8.5 8.0 8.5 9.0 3.0 2.0
*바를 때의 무게감 8.0 7.5 8.0 6.5 6.0 3.5
메이크업 제거 속도 8.5 8.5 8.0 2.0 6.0 7.5
메이크업 제거력 8.5 9.0 8.5 2.0 6.5 8.0
* 바를 때 오일감 및 무게감은 점수가 높을수록 오일감이나 무게감이 적어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은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클렌징을 하는 동안 수분감이 높고, 오일리한 감이 적으면서 메이크업 제거 속도 및 제거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은 클렌징을 하는 동안 수분감이나 오일감이 적어 선호도가 높지만 메이크업을 제거하는 화장료로써는 적당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와 3은 메이크업 제거속도와 메이크업 제거력은 적당하다고 볼 수 있으나 오일감이나 무게감에 의해 피부에 답답하고 부담감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지 않은 본 발명의 화장료에 대한 유화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을 4~45℃의 온도 변화에서 분리 정도를 측정하고(cycling test),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온 1개월 o o o o o o
3개월 o o o o o o
4℃ 1개월 o o o o o o
3개월 o o o o o o
37℃ 1개월 o o o o o o
3개월 o o o o o
45℃ 1개월 o o o o o o
3개월 o o o o x
* o : 양호 △ : 보통 x : 분리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지 않은 실시예 1~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화장료인 비교예 1~3과 비교시 온도에 따른 유화 안정도가 유사하거나 좀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계면활성제가 없어도 안정도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이 중 비교예 3은 수중유형 중 오일이 50중량%이므로 온도가 높은 45℃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리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각 화장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해 사내 30명을 대상으로 인체 피부 자극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방법은 팔 하박 안쪽에 15㎖/chamber(Hay's chamber)의 도포량으로 48시간 첩포, 96시간까지 검사를 하고 반응 검사는 첩포 제거 후 24시간과 48시간 후에 ICDRG 규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24시간 48시간 Mean Score(n=30) 판정 (grade)
± + ++ +++ ± + ++ +++
실시예 1 - - - - - - - - 0.00 I
실시예 2 - - - - - - - - 0.00 I
실시예 3 - - - - - - - - 0.00 I
비교예 1 2 - - - - - - - 0.83 I
비교예 2 - - - - - - - - 0.00 I
비교예 3 1 - - - - - - - 0.42 I
* 아주 약한 반응을 보이면서 자극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 ( ±)에 표시를 하고 자극이 심하고 그 강도가 세어짐에 따라 (+, ++, +++)에 표시하게 된다. 자극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는 (-)로 기록하였고, 자극이 나타난 경우에는 자극 정도에 따라 피검자수를 표시란에 기록하였다.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모두가 자극이 없거나 그 정도가 미비하여 제품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으나, 특히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가 함유되지 않은 메이크업 제거용 화장료가 피부에 자극이 없으며, 매우 우수한 안전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 안정화가 가능한 양 만큼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게 되면, 계면의 장력이 높아져 쉽게 전상되는 효과를 이용하여 소량의 오일로도 전상이 쉽게 되어 메이크업 성분의 멜팅력을상승시키고, 매우 오일리하여 번들거리고 무거운 느낌으로 인한 불쾌감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안전성 차원에서, 모든 피부에 부담을 주지 않는 매우 안전한 특징을 갖는 화장료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제조자의 입장에서는 소량의 오일을 사용 가능함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Claims (4)

  1.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클렌징 조성물에 있어서,
    안정화제 0.01~5중량% 및 오일 5~20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아크릴레이트/탄소수 10~30의 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 폴리머, 카르복시메틸셀루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루로오스,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 산탄검, 소듐마크네슘실리케이트 및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류,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류, 고급 알코올류, 고급 지방산유, 트리글리세라이드류, 실리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 고급지방산 에스테류는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KR10-2001-0081654A 2001-12-20 2001-12-20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KR10046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654A KR100465973B1 (ko) 2001-12-20 2001-12-20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654A KR100465973B1 (ko) 2001-12-20 2001-12-20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972A true KR20030051972A (ko) 2003-06-26
KR100465973B1 KR100465973B1 (ko) 2005-01-13

Family

ID=2957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654A KR100465973B1 (ko) 2001-12-20 2001-12-20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9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8947B2 (en) 2005-10-11 2012-03-06 Dpt Laboratories, Ltd. Surfactant-free dispersions, compositions, and use in topical formulations
KR20190114797A (ko) 2018-03-30 2019-10-10 (주)아모레퍼시픽 수용성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N113260348A (zh) * 2019-01-23 2021-08-13 可泰克斯公司 包含ase或hase型共聚物的化妆用清洁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52A (zh) * 1993-08-25 1995-08-02 株式会社巴依奥克斯 皮肤营养物及含皮肤营养物的化妆品组合物
JP3511455B2 (ja) * 1996-12-12 2004-03-29 花王株式会社 化粧料
KR100616400B1 (ko) * 1999-06-11 2006-08-2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화장료
KR100377261B1 (ko) * 2000-11-13 2003-03-26 애경산업(주) 고분자 유화 타입의 오일-프리형 수중유 조성물
KR100777592B1 (ko) * 2001-12-10 2007-11-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8947B2 (en) 2005-10-11 2012-03-06 Dpt Laboratories, Ltd. Surfactant-free dispersions, compositions, and use in topical formulations
KR20190114797A (ko) 2018-03-30 2019-10-10 (주)아모레퍼시픽 수용성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US11904039B2 (en) 2018-03-30 2024-02-20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for makeup removal comprising water-soluble surfactant and oil-soluble surfactant
CN113260348A (zh) * 2019-01-23 2021-08-13 可泰克斯公司 包含ase或hase型共聚物的化妆用清洁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973B1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4995A (en) Cosmetics containing finely divided oat flour
JP2880935B2 (ja) リパーゼ及び活性な前駆体を含む局所への適用のための化粧品組成物
US4355046A (en) Dermatologic and cosmetic ointment base
JP3112436B2 (ja) 特に、皮膚の顔貌の明るさを改良し、皺を処置するための角質溶解剤としての蜂蜜の使用
JP2008524264A (ja) 高弾性率脂質を含有する洗い流し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2001501639A (ja) ミクロエマルションゲルの調製のための、酸化エチレン及び酸化プロピレンを含まない乳化剤を基礎にした化粧品又は皮膚科学的調製物
JP2001501636A (ja) 化粧用もしくは皮膚科用の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を基礎としたゲル
KR20010043908A (ko) 산화 매질에서 불안정한 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그의 용도, 특히 그의 화장 용도
JP3897151B2 (ja) 化粧品または皮膚科用調製物におけるクロマン誘導体の使用
EP1365742A2 (en) Gelled two phase cosmetic compositions
JPH0940524A (ja) 水反応性活性剤を含むシリコーン組成物
ES2203029T3 (es) Producto para aplicacion topica que contiene una lipasa, un precursor de vitamina y un alcohol graso.
JP690475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US6117434A (en) Humectant composition, base containing the same, and cosmetic material or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said humectant composition
JPH08231334A (ja) リパーゼとヒドロキシ酸先駆物質を含有する局所適用用製品
JPH08259433A (ja) 保湿剤組成物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または外用剤
KR102269198B1 (ko) 피부 각질 박리용 배니싱 크림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65973B1 (ko) 수중유형의 클렌징 조성물
CN115645310A (zh) 卸妆啫喱及其制备方法
RU2614720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CA2265815C (en) Formulations for topical use
JP4310008B2 (ja) 化粧料
JP2002114636A (ja) マイルドなクレンジング用の化粧料
Mast Glycerine in creams, lotions, and hair care products
KR100364314B1 (ko) 탈색제로서 미발효된 당밀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