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900A - Elevator - Google Patents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900A
KR20030051900A KR10-2003-7007490A KR20037007490A KR20030051900A KR 20030051900 A KR20030051900 A KR 20030051900A KR 20037007490 A KR20037007490 A KR 20037007490A KR 20030051900 A KR20030051900 A KR 2003005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ounterweight
hoistway
driv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0555B1 (en
Inventor
고데라히데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5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균형추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의 구동시브는 승강로를 수직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중심선과 카의 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1 및 제2의 카 매달은 차륜중 제1의 카 매달은 차륜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elevator device, the drive sheave of the drive device disposed above the counterweight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 line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and the side of the car when the lifting path is view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The first car suspension of the wheel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wheel.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Elevator device {ELEVATOR}

종래,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7-10434호 공보, 특개2000-44147호 공보에는 기계실을 두지 않고, 승강로내의 상부에 구동장치를 배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즉 기계실 리스 엘리베이터가 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7-10434 and 2000-44147, for example, show an elevator apparatus which does not have a machine room, but arranges a drive device in an upper part of a hoistway, that is, a machine roomless elevator.

일본국 특개평7-10434호 공보에 표시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카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는 카 가이드레일에 고정된 경우에는 구동장치의 부착부의 강성이 낮게 되거나 또 부착빔을 통해서 가이드레일에 고정된 경우에는 구동장치의 부착구조가 복잡해진다믐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elevator device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0434, the drive device for elevat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is lowered in the rigidity of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drive device when fixed to the car guide rail or fixed to the guide rail through the attachment beam. In this case,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e driving device becomes complicated.

또 일본국 특개2000-44147호 공보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내의 편향활차의 상방에 구동시브가 배치되고, 이 구동시브를 구동하는 구동장치 본체가 카측에 배치되어 있고, 편향활차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elevator apparatu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0-44147, a drive sheave is disposed above a deflection pulley in a hoistway, a drive body for driving the drive sheave is disposed on the car side, and a deflection pulley is required. There was this.

(발명의 개시)(Initiation of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 구동장치가 간단한 부착구조로 견고하게 고정되고 또 편향활차를 필요로 하지 않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makes it a subjec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a drive apparatus is firmly fixed by a simple attachment structure and does not require a deflection pulley.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와 이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 및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서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균형추와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본체, 상기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소유하고,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시브에 감겨지고,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내에 매달고 있는 주삭과, 상기 카의 하부에 한쌍 설치되어 상기 주삭이 걸려 있는 제1의 카 매달린 차와 제2의 카 매다는 차륜과 상기 균형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균형추 매다는 차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균형추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구동시브는 상기 승강로를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한쌍의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중심선과 상기 카의 측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카 매다는 차륜중의 제1의 카 매다는 차륜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istway, a pair of car guide rails and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a car which is guided to the hoistway to elevate the interior of the hoistway, the counterweight and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 main body which has a driving device main body, a driving sheave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body, and which is wound around the driving device and the driving sheave which lifts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and which hangs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in the hoistway. The first car suspended car and the second car hanger which are provided in pairs in the lower part of the said car, and the said hanger hangs, and the counterweight hanging car which are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said wheel, and the counterweight hanger. The drive sheave of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in the hoistwa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view, the first and second carriages are arranged above the wheels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the centerline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ars.

본 발명은, 승강로내의 상부에 구동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evice in which a drive device is disposed in an upper part of a hoistw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단면도.2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main parts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면도.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면도.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면도.7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면도.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면도.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면도.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면도.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 및 실시의 형태 8에 사용되는 승차장 조작반의 사시도.The perspective view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used for Embodiment 7 and Embodiment 8 of this invention.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The best form to carry ou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호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나, 각 실시의 형태에서 동일, 동등부재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the same and equivalent member site | part is demonstrated with the same code | symbol in each embodiment.

실시의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 정면도,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 and FIG. 4 is an elevator of FIG. 3. It is sectional drawing along the IV-IV line of a device.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와, 이 승강로(1)내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 및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과 카 가이드레일(2)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카(4)와,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안내되어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균형추(5)와, 승강로(1)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모터인 구동장치 본체(6), 구동장치 본체(5)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7)를 가지고 카(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8)와 구동시브(7)에 감겨져, 카(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는 주삭(9)과 카(4)의 하부에 한쌍 설치되고 주삭(9)이 감겨 있는 제1의 카 매달은 차륜(10) 및 제2의 카 매달린 차륜(11)과 균형추(5)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삭(9)가 감겨 있는 균형추 매달은 차륜(12)을 구비하고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is guided to the hoistway (1), the pair of car guide rails (2),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and the car guide rails (2) provided in the hoistway (1), and the hoistway (1). A car body 6 that is a car 4 that elevates the inside, a counterweight 5 that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3 and elevates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and a motor disposed above the hoistway 1. ), Having a drive sheave 7 rotated by the drive body 5, is wound around a drive device 8 and a drive sheave 7 for lifting up and down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The first car suspension with a pair of counterweights 5 suspended in the hoistway 1 and the lower part of the car 4 and the main wheels 9 wound around the wheels 10 and the second car suspension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wheel 12 is provided on the wheel 11 and the counterweight 5, and the main weight 9 is wound.

균형추(5)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8)의 시브(7)는 승강로(1)를 수직방향에 따라 보았을 때,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중심선 A와 카(4)의 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1의 카 매달은 차륜(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시브(7)의 중심축선(B)에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중심선 A의 중심점에서 지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sheave 7 of the drive device 8 arranged above the counterweight 5 has a centerline A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and the car 4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side surface, and the 1st suspension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wheel 10. As shown in FIG. Moreover, it arrange | positions so that the center axis line B of the drive sheave 7 may intersect at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line A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는 지지대(13)가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대 (13)에는 주삭(9)의 단부가 고정된 주삭단 고정용 빔(15)이 고정되어 있다.A support 13 is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The support end fixing beam 15 to which the end of the main cutting 9 is fixed is fixed to this support 13.

주삭단 고정용 빔(15)에는 균형추 가이드레일(3)과 평해하게 수직방향으로 뻗은 부착 프레임(14)이 고정되어 있다. 부착 프레임(14)의 상단부에는 구동장치 (8)측으로 뻗은 한쌍의 지지부(1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14a)의 선단부에 구동장치(8)가 고정되어 있다. 또 도 3에서 구동장치(8)를 사이에 끼고 부착 프레임(14)의 상하에는 구동장치(8)의 자중 및 주삭(9)의 압압력으로 구동장치(8)가 카(4)측에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16)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지지대(13), 주삭단 고정용 빔(15) 및 부착 프레임(14)에 의해 구동장치(8)를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고정하는 부착부재를 구성하고 있다.The attachment frame 14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lat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 is fixed to the cutting edge fixing beam 15. At the upper end of the attachment frame 14, a pair of support portions 14a extending toward the drive device 8 side are formed. The drive device 8 is fixed to the tip end of the support part 14a. In addition, in FIG. 3, the drive device 8 falls to the car 4 side by the self-weight of the drive device 8 and the pressure of the grinding | pulverization 9 above and below the drive frame 8 with the drive device 8 in between. The guide parts 16 which prevent falling are respectively fixed. Moreover, the support member 13, the cutting edge fixing beam 15, and the attachment frame 14 comprise the attachment member which fixes the drive device 8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일단부가 카측 주삭 고정부재(17)에 고정된 주삭(9)은 제2의 카 매달은 차륜(11)을 맞날 때까지 하방향으로 뻗고 있다. 그후, 주삭(9)은 제1의 카 매달은 차륜(11)에서는 대략(1/4)주회하고, 카(4)의 저면을 모두 걸치듯이 해 경사지게 뻗은 후 제1의 카 매달은 차륜(10)에서 거의 (1/4)주환전한다. 주삭(9)는 계속해서 거의 수직방향으로 구동시브(7)를 맞날 때까지 뻗고 있고 구동시브(7)에서는 거의 (1/2)주회해서 다시 하방향으로 균형추 차륜(12)을 맞날 때까지 뻗고 있다. 주삭(9)은 균형추 매달은 차륜(12)에서 거의 (1/2)주회해서 다시 상승해서 최후에 주삭(9)의 타단부가 주삭단 고정용 빔(15)에 고정되어 있다.In the elevator apparatus, the main line 9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car side main wheel fixing member 17 extends downward until the second car suspension hits the wheel 11. After that, the main wheels 9 rotate approximately (1/4) at the first car suspension wheels 11 and extend inclined to cover the bottom of the car 4, and then the first car suspension wheels 10 ) Is almost (1/4) weeks. The spindle 9 continues to extend until it meets the drive sheave 7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hile in the drive sheave 7 it extends almost (1/2) until it meets the counterweight wheel 12 in a downward direction again. have. The main body 9 is circumferentially (1/2) circumscribed by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wheel 12 and rises again, and finally,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9 is fixed to the main end fixing beam 15.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균형추(5)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8)의 구동시브(7)는 승강로(1)를 수직방향을 다라 보았을 때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중심선 A와 카(4)의 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제1의 카를 매다는 차륜(10)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시브와 제1의 카를 매다는 차륜(10)사이에 편향활차를 배치할 필요성이 없다.According to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said structure, the drive sheave 7 of the drive device 8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counterweight 5 has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when the lifting path 1 is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rranged between the center line A and the side of the car 4, and is disposed above the wheel 10 for fastening the first car, so that a deflection pulley is disposed between the drive sheave and the wheel 10 for fastening the first car. There is no need to do it.

또 구동시브(7)는, 그 중심축선 B가 균형추 가이드레일(3)의 중심선 A의 중심점에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주삭(9)을 통해서 구동장치(8)에 가해지는 편하중을 경감할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center axis B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orthogonally cross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line A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 the drive sheave 7 can reduce the unloading load applied to the drive device 8 via the main grinding | pulverization 9. have.

또, 구동시브(8)는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부착부재(지지대 13, 부착 프레임 14 및 주삭단 고정용 프레임 15로 구성된다)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구동장치(8)는 단순한 구성으로 균형추 가이드레일(3)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sheave 8 is fixed to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via an attachment member (consisting of a support 13, an attachment frame 14, and a frame for fixing the cutting edge 15), the drive device 8 is simple. It is firmly fix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 by a structure.

또, 구동장치 본체(6)는 카측(4)에 배치되어 있고, 구동장치 본체(6)의 보수점검등에서는 카(4)로부터 구동장치 본체(6)에 쉽게 액세스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drive body 6 is disposed on the car side 4, and the drive device main body 6 can be easily accessed from the car 4 during maintenance of the drive body 6 and the like.

실시의 형태 2.Embodiment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5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균형추 매달은 차륜(22)은, 승강로(1)를 수직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구동시브(7)에 대해 기울어져 배치되고, 균형추 매다는 차륜 (22)의 매달은 중심이 균형추(5)의 수직방향으로 뻗은 중심선상에 접근하게 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counterweight suspension wheel 22 is arrang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eave 7 when the hoistway 1 is view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suspension of the wheel 22 for balancing the counterweight is counterweight. The center line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5).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이예에서는, 균형추 매다는 차륜(22)의 매다는 중심이 균형추(5)의 수직방향으로 뻗은 중심선상에 가까워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균형추 매다는 차륜(12)을 통해서 균형추(5)가 상승할 때에 균형추(5)의 경사가 생기기 힘들게 되고, 균형추(5)는 보다 원활하게 상승한다.In this example, since the center of the hanging of the counterweight hanging wheels 22 is close to the centerlin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5, the counterweight 5 when the counterweight 5 rises through the wheel 12 hanging the counterweight. It becomes difficult to incline, and the counterweight 5 rises more smoothly.

또,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3)간에 걸쳐진 주삭단 고정용 빔(15)에 주삭 (9)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나 실시의 형태 1과 비교해서 주삭(9)에서 주삭단 고정용 빔(15)에 작용하는 힘은 보다 수직방향으로 근접하므로 그만큼 주삭단 고정용 빔(15)에 작용하는 비틀림의 힘은 저하한다.Moreover, although the edge part of the grinding | polishing 9 is being fixed to the cutting edge fixing beam 15 which spans between a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3, compared with Embodiment 1, the cutting edge fixing beam 15 by the grinding | polishing 9 is carried out. Since the force acting on) is clos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orsional force acting on the cutting edge fixing beam 15 decreases accordingly.

실시의 형태 3.Embodiment 3.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평단면도이다.6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카 매다는 차륜(10)에서 구동시브(7)에 벋은 주삭(9)과 대향하는 쪽의 균형추(25)에 절결부(25a)가 형성되어 있는 점 및 균형추 가이드레일(3)을 카(4)측에 보다 접근해서 승강로(1)의 입구치수가 작게되어 있는 점이 실시의 형태 2와 다르고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2와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point where the cutout part 25a is formed in the counterweight 25 on the side which opposes the main grinding wheel 9 which was extended to the drive sheave 7 in the wheel 10, and the counterweight guide The rail 3 is closer to the car 4 side, and the entrance dimension of the hoistway 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균형추(25)에 절결부(25a)를 형성함으로써, 주삭(9)이 균형추(25)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균형추(25)를 카(4)측에 근접시킬 수가 있다. 즉 균형추 가이드레일(3)을 카(4)측에 좀더 접근시킬 수가 있고, 승강로(1)의 입구치수를 작게할 수가 있다.In this embodiment, by forming the notch 25a in the counterweight 25, the main body 9 can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counterweight 25, and the counterweight 25 is brought close to the car 4 side. There is a number. That is,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 can be brought closer to the car 4 side, and the entrance dimension of the hoistway 1 can be made smaller.

실시의 형태 4.Embodiment 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평단면도이다.7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카(4)의 입구나 안쪽으로의 치수의 변화에 대해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제1의 카 매다는 차륜(10)과 제2의 카 매다는 차륜(11)을 연결하는 선과,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2)을 연결하는 선이 평행으로 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실시의 형태 3과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hook is connected to the wheel 10 and the second hook is connected to the wheel 11 so as to easily cope with a change in the dimension of the inlet or the inside of the car 4, and a pair of The line connecting the car guide rails 2 is paralle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third embodiment.

실시의 형태 5.Embodiment 5.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평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카(4)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반(50)이 카(4)를 사이에 끼고 구동장치(8)와 대향해서 승강로(1)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4)와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panel 50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r 4 is disposed in the hoistway 1 opposite the drive device 8 with the car 4 interposed therebetween.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4).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어반(50)이 최상층의 승차장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어반(50)을 승강로(1)내에 배치함으로서 승차장 디자인의 제한이 적고 의장성이 향상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although the control panel 50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arding point of the uppermost floor,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board 5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istway 1, and limitation of a boarding point design is improved and designability is improved.

또, 제어반(50)은 구동장치(8)와 대향하고 있으므로, 카(4)의 상면의 점선에서 표시한 에리어를 제어반(50)과 구동장치(8)과의 공동의 작업 에리어로 할 수가 있고 카(4)의 상면을 작업 에리어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control panel 50 opposes the drive device 8, the area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4 can be used as a common work area between the control panel 50 and the drive device 8. The upper surface of the car 4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work area.

실시의 형태 6.Embodiment 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평단면도이다.9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보수점검이나 정전, 고장시에도 승강로(1)내의 제어반(50)에 액세스하지 않고, 승차장에서 카(4)를 쉽게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해 최상층의 승차장 조작반(51)내에 보수점건, 비상구출 운전에 필요한 스위치류를 구비한 점검패널(52)이 내장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5와 같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tenance point key in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51 of the uppermost floor in order to be able to move the car 4 easily at the boarding point without accessing the control panel 50 in the hoistway even during maintenance inspection, power failure, or failure. The inspection panel 52 is provided with switches necessary for emergency rescue operation.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fth embodiment.

실시의 형태 7.Embodiment 7.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개략 평단면도이다.10 is a schematic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7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승강로(1)내에서 카 가이드레일(2)과 점검패널(54)과의 사이에 거버너(53)가 배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overnor 53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car guide rail 2 and the inspection panel 54 in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또, 점검패널(54)에는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거버너(53)의 로프(55)를 목시가능하게 하는 점검용 창(5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프(55)에는, 카(4)가 개문영역내인 것을 점검용 창(5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마크가 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2, the inspection panel 54 is provided with the inspection window 56 which makes the rope 55 of the governor 53 visible. This rope 55 is a mark which can confirm with the inspection window 56 that the car 4 is in an opening area.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6과 같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sixth embodiment.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비상구출 운전시 등에서 점검용 창(56)에서 로프(55)를 보면서 카(4)를 움직임으로서, 카(4)의 속도 및 카(4)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운전할 수가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ar 4 can be operated while checking the speed of the car 4 and the position of the car 4 by moving the car 4 while watching the rope 55 from the inspection window 56 at the time of emergency rescue operation. have.

또, 로프(55)는 점검패널(54)에서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쉽게 또 정확하게 로프(55)에 기록된 마크를 알 수가 있다.Moreover, since the rope 55 is arrange | positioned near the inspection panel 54, the mark recorded on the rope 55 can be understood easily and correctly.

실시의 형태 8.Embodiment 8.

도 11은 승강로(1)내에 더블의 카(4)가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단면도이다.11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double car 4 is arranged in the hoistway 1.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실시의 형태 7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발명을 더블의 카(4)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한 예이고, 실시의 형태 7과 같이 비상구출 운전시등에서 점검용 창(56)으로부터 로프(55)를 보면서 카(4)를 움직임으로서 카(4)의 속도 및 카(4)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운전할 수가 있다. 또 쉽게 도 정확하게 로프(55)에 기록된 마크를 알 수가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vention of the elevator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evice of the double car 4, and the rope (from the inspection window 56 at the time of emergency rescue operation, etc., is carried out as in the seventh embodiment). While watching 55, the car 4 can be moved while checking the speed of the car 4 and the position of the car 4. It is also easy to know the marks recorded on the rope 55 easily.

Claims (3)

승강로와, 이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카 가이드레일 및 한쌍의 균형추 가이드레일과, 상기 카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안내되어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한쌍의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에 부착부재를 통해서 고정되어 배치되어 있는 구동장치 본체, 상기 구동장치 본체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소유하고,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시브에 감기고 상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상기 승강로내에 매달고 있는 주삭과, 상기 카의 하부에 한쌍 설치되고, 상기 주삭이 감겨 있는 제1의 카 매다는 차륜 및 제2의 매다는 차륜과, 상기 균형추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삭이 감겨 있는 균형추 매다는 차륜을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로 상기 균형추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구동시브는, 상기 승강로를 수직방향으로 따라 보았을 때에 한쌍의 상기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중심선과 상기 카의 측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의 카 매다는 차륜중 제1의 카 매다는 차륜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A hoistway, a pair of car guide rails and a pair of counterweight weight guide rails provided in the hoistway, a car guided by the car guide rails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and guided by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to move up and down the hoistway. A drive having a balance weight and a drive body which is fixedly arranged through an attachment member to a pair of balance weight guide rails in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a drive sheave rotated by the drive body, and a drive that lifts the car and the balance weight. A device which is wound around the driving sieve and suspends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in the hoistway, and a pair of first hanging wheel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ar and wound around the wheel, and a second hanging wheel; It is provided on the counterweight and provided with a wheel for hanging the counterweight in which the grinding is wound The drive sheave of the drive device, which is disposed above the counterweight by the levator device, is disposed between the centerline of the pair of counterweight guide rails and the side of the car when the lift path is view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said 1st and 2nd hanger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wheel of a 1st hanger of a wheel. 구동장치 본체는 구동시브의 카측에 배치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The elevator bod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body is disposed on the car side of the drive sheave. 구동시브의 중심축선은 균형추 가이드레일의 중심선의 중심점에서 직교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엘리베이터 장치.The elevator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enter axis of the drive sheave is orthogonal to the center point of the center line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KR1020037007490A 2001-08-29 2001-08-29 Elevator KR1005605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7435 WO2003020628A1 (en) 2001-08-29 2001-08-29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900A true KR20030051900A (en) 2003-06-25
KR100560555B1 KR100560555B1 (en) 2006-03-15

Family

ID=1173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490A KR100560555B1 (en) 2001-08-29 2001-08-29 Elev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422183A4 (en)
JP (1) JPWO2003020628A1 (en)
KR (1) KR100560555B1 (en)
WO (1) WO200302062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3183B2 (en) * 2003-12-24 2009-08-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JP4397896B2 (en) * 2004-02-16 2010-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KR100763089B1 (en) * 2005-10-14 2007-10-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N101955109A (en) * 2010-05-31 2011-01-26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Right angle opening bag rack elevator
CN101962147A (en) * 2010-05-31 2011-02-02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Shoulder-bag type car frame system on elevator
CN101955112A (en) * 2010-05-31 2011-01-26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Backpack type car frame system on elevator
CN101955105A (en) * 2010-05-31 2011-01-26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Right angle-opening cantilever elevator
CN103974891B (en) * 2011-12-07 2016-08-17 三菱电机株式会社 Lift appliance
JP2015037984A (en) * 2013-03-07 2015-02-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ystem
US11453572B2 (en) * 2017-04-26 2022-09-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pace saving arrangement of a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JPWO2019116467A1 (en) * 2017-12-13 2020-06-11 三菱電機株式会社 Machine roomless elevator
JP6803008B2 (en) * 2018-02-09 2020-12-23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WO2023119547A1 (en) * 2021-12-23 2023-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4123C (en) 1993-06-28 1995-07-25 Kone Oy Pinion Elevator
FI100516B (en) * 1994-09-27 1997-12-31 Kone Oy Arrangement for attaching a carrier line to an elevator and for using a guide as a carrier for an elevator
FI96198C (en) 1994-11-03 1996-05-27 Kone Oy Pinion Elevator
US5899300A (en) * 1996-12-20 1999-05-04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for an elevator traction machine
BR9814357A (en) * 1997-12-23 2000-10-17 Inventio Ag Cable lifter with motor disc
JPH11322210A (en) * 1998-05-18 1999-11-24 Hitachi Ltd Elevator device
JP3704960B2 (en) * 1998-07-31 2005-10-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Traction elevator
JP2000044147A (en) 1998-08-03 2000-02-15 Fujitec Co Ltd Elevator device
JP4157631B2 (en) * 1998-11-19 2008-10-01 日本エレベーター製造株式会社 Elevator device
JP4191331B2 (en) * 1999-01-08 2008-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4303830B2 (en) * 1999-04-30 2009-07-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2000327242A (en) * 1999-05-18 2000-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KR100351275B1 (en) * 1999-07-19 2002-09-09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Machin room less elevator
JP4322361B2 (en) * 1999-07-29 2009-08-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Hoisting machine, elevator and method for reducing vibration noise of hoisting machine in elevator
JP4493759B2 (en) * 1999-09-13 2010-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4437574B2 (en) * 1999-10-05 2010-03-2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governor
DE20008913U1 (en) * 2000-05-22 2000-12-07 Radetzky Joachim Passenger lift with drive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2183A4 (en) 2010-06-16
KR100560555B1 (en) 2006-03-15
EP1422183A1 (en) 2004-05-26
WO2003020628A1 (en) 2003-03-13
JPWO2003020628A1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470B1 (en) Elevator
JP4191331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KR100444936B1 (en) Elevator device
KR100560555B1 (en) Elevator
JP2006256760A (en) Elevator device
KR100499660B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20040052478A (en) Machine-room-less traction sheave elevator
WO2003008318A1 (en) Elevator device
WO2001062654A1 (en) Elevator device
JP4270642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40105837A (en) Elevator
JP3991657B2 (en) elevator
KR20030020969A (en) Elevator device
JP2004175510A (en) Elevator device
JP4091326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50002816A (en) Elevator equipment
JP4251921B2 (en) Elevator equipment
WO2006033160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apparatus
JP2001097649A (en) Elevator device
JPWO2005077804A1 (en) Elevator equipment
JP4601771B2 (en) Elevator hoistway equipment
JP2004142853A (en) Elevator device
JP2001226056A (en) Elevator device
KR100617383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