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7383B1 -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383B1
KR100617383B1 KR1020057013194A KR20057013194A KR100617383B1 KR 100617383 B1 KR100617383 B1 KR 100617383B1 KR 1020057013194 A KR1020057013194 A KR 1020057013194A KR 20057013194 A KR20057013194 A KR 20057013194A KR 100617383 B1 KR100617383 B1 KR 100617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pulley
counterweight
car
ho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84529A (en
Inventor
도시아키 이시이
수키 하마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13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383B1/en
Publication of KR20050084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5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3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1) 내의 설치된 카레일(4)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3)와, 승강로(1) 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7)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6)와, 활차(10)와 그 활차(10)를 구동하는 모터부(11)를 가지며, 활차(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승강로(1) 내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9)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방향전환풀리(13, 14)와, 일단측에 카(3)가 접속되고 타단측에 평형추(6)가 접속되어 제1 및 제2 방향전환풀리(13,14)와 활차(10)에 감기어 카(3)와 평형추(6)를 현수하는 메인로프(8)를 구비하고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3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car rail 4 provided in the hoistway 1, and a counterweight 6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counterweight rail 7 provided in the hoistway 1. And a hoisting machine (9) having a pulley (10) and a motor portion (11) for driving the pulley (10), arrang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rotating surface of the pulley (10) is horizontal. The first and second diverting pulleys 13 and 14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1), the car 3 is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counterweight 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urning directions are connected. The main rope 8 is wound around the pulleys 13 and 14 and the pulley 10 to suspend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6.

승강로, 카, 평형추, 활차, 모터부 Hoistway, car, counterweight, pulley, motor

Description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Inorganic Room Elevator Device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이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1에서의 Ⅱ-Ⅱ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도 3은 도 2의 Ⅲ-Ⅲ단면도에서의 권선기조립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nding machine assembly in section III-III of FIG.

도 4는 도 2의 Ⅳ-Ⅳ단면도에서의 권상기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권상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vicinity of the hoist in the IV-IV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hoist.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활차와 제1 및 제2 방향전환풀리 사이의 로프의 설치방법을 나타내는 도이며, (a)는 승강로의 상부에서 본 도면, (b)는 수평방향에서 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rope between the pulley and the first and second turning pulley of the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is a view from the top of the hoistway, (b)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is the figure.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7에서의 Ⅵ-Ⅵ단면도이다.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 VI-VI cross-sectional view in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6에서의 Ⅶ-Ⅶ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in Fig. 6.

도 8은 도 7의 Ⅷ-Ⅷ단면도에서의 권상기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권상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vicinity of the hoisting machine in the VIII-VIII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and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oisting machine.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10에서의 Ⅸ-Ⅸ단면도이다.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is a VIII-VIII cross-sectional view in FIG. 10.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9에서의 Ⅹ-Ⅹ단면도이다.FIG. 10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도 1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1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도 12는 도 11에서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의 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in FIG.

<도면에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in drawing>

1. 승강로(hoistway), 2. 승강로벽,1. hoistway, 2. hoistway walls,

3. 카(car), 4. 카레일(car rail),3. car, 4. car rail,

5. 카프레임, 6. 평형추(counterweight),5. car frames, 6. counterweight,

7. 평형추레일, 8. 메인로프,7. counterweight, 8. main rope,

9. 권상기(hoisting machine), 10. 활차(sheave),9. hoisting machine, 10. sheave,

11. 모터, 12. 브레이크,11.motor, 12.brake,

13. 제1 방향전환풀리, 14. 제2 방향전환풀리,13. The first diverting pulley, 14. The second diverting pulley,

15. 권상기 조립체, 16. 평면상기판,15. Hoist assembly, 16. Flat top plate,

17. 에지부(edge portion), 18. 권상기보조지지대,17. edge portion, 18. hoisting aid,

19. 브레이크부 점검구, 20. 플리이트각,19. Brake check opening, 20. Pleat angle,

21. 제1 개구부, 22. 제2 개구부,21. first opening, 22. second opening,

23. 승강구문, 24. 최상층현관마루.23. Hatch Gate, 24. Top floor entrance floor.

본 발명은 기계실이 없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organic chamber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도 11은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일본국 특개평 10-139321호 공보에 나타내어진 것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강로, 3은 저면에 2개의 카밑 반송활차(26)를 가지며, 카밑 반송활차(26)를 경유하여 메인로프(8)에 의해 현수되며, 카레일(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카, 6은 상부에 평형추현수활차(27)를 가지며 평형추현수활차를 경유하여 메인로프(8)에 의해 현수되며, 평형추레일(7)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평형추, 9는 메인로프(8)를 감는 활차(10)와 활차(10)를 구동하는 모터부(11)로 구성되어 활차 (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활차(10)가 모터부(11)보다 하측으로 되도록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 13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방향전환풀리, 14는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한 제2 방향전환풀리이다.11 is an inorganic chamber elevator apparatus, which is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139321. In the drawing, 1 has a hoistway, 3 has two undercarriage pulleys 26 on the bottom, and are suspended by the main rope 8 via the undercarriage pulley 26 and guided by the rail 4 while the hoistway is guided. (1) The car, 6, which elevates the inside, has an equilibrium pulley pulley 27 at the upper part and is suspended by the main rope 8 via the counterweight pulley pulley, and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rail 7 while the hoistway 1 9) The counterweight, which elevates the inside, is composed of a pulley 10 winding the main rope 8 and a motor unit 11 driving the pulley 10 so that the rotating surface of the pulley 10 becomes horizontal and the pulley ( A hoist disposed above the hoistway 1 such that 10 is lower than the motor unit 11, 13 is a first turning pulley disposed above the hoistway 1, and 14 is arranged above the hoistway 1. One second diverting pulley.

또, 메인로프(8)는 1단을 제1 고정점(28)에 가지며, 타단을 제2 고정점(29)에 갖는다. 메인로프(8)는 제1 고정점(28)에서 평형추(6)에 부착한 평형추현수활차(27)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한 제1 방향전환풀리(13)와, 권상기(9)의 활차(10)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한 제2 방향전환풀리(14)와, 카(3)의 전면에 배치한 카밑반송활차(26)를 차례로 경유하여 제2 고정점(29)에 이르도록 구성되었다.In addition, the main rope 8 has one end at the first fixed point 28 and the other end at the second fixed point 29. The main rope 8 includes a counterweight pulley 27 attached to the counterweight 6 at the first fixed point 28, a first diverting pulley 13 disposed on the hoistway 1, and a hoisting machine. The second way through the pulley 10 of (9), the second turning pulley 14 disposed above the hoistway 1, and the undercarriage pulley 26 arrang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r 3, in order. It was configured to reach a fixed point 29.

도 12는 도 11에 있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1)의 상부를 나타내 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피벗암(Pivot arm)(30)에 상시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권상기(9)를 배치한 프레임(31)을 나타낸다. 피벗암(30)은 피벗축(32)에 의해,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되어있다. 그 때문에,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9)의 장착, 보수 및 수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였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1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in FIG. In the figure, the frame 31 which always connected to the pivot arm 30 and arrange | positioned the hoist 9 is shown. The pivot arm 30 is rotatable at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by the pivot axis 32. Therefore,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is advantageous in that attachment, maintenance, and repair work of the hoisting machine 9 can be performed easily.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2:1 로핑(roping)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카(3)의 저면에 2개의 카밑반송활차(26)를 배치하고, 또한 평형추(6)에 평형추현수활차(27)를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그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승강로 내의 레이아웃의 유연성이 저해되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elevator device is composed of 2: 1 roping, two undercarriage carriages 26 are arrang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3, and the counterweight pulleys 27 are placed on the counterweight 6; It was necessary to arrange | position, and the structure became complicated and the flexibility of the layout in a hoistway was impaired.

또,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와 같이 승강로(1)의 상부에 권상기(9),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14)를 배치하면 승강로(1)의 높이방향의 폭은, 권상기(9)의 두께와 제1 방향전환풀리(13) 또는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직경의 합으로 되어 카(3) 상부의 승강로(1) 상부에 있는 갭의 크기가 크게 되었다.Moreover, when the hoisting machine 9, the 1st turning pulley 13, and the 2nd turning pulley 14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like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the width | variety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will be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hoist 9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diverting pulley 13 or the second diverting pulley 14 increases the size of the gap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bove the car 3. .

또, 권상기(9)의 보수 또는 점검을 행할 경우, 피벗암(30)을 회동시킬 필요가 있어 용이하게 보수 또는 점검을 행할 수 없었다.Moreover, when performing repair or inspection of the hoisting machine 9,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pivot arm 30, and it was not easy to perform maintenance or inspe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승강로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가 있고,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achieve space saving in a hoistway and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inspection.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카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 활차, 상기 활차를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내의 상단부에 배치된 권상기, 및 상기 활차에 감겨져 상기 카와 상기 평형추를 현수하는 현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상기를 탑재하는 권상기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권상기는, 상기 활차가 상기 권상기 조립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상기조립체는, 상기 카레일 또는 상기 평형추레일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상기조립체는, 상기 승강로의 벽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상기 카의 수직투영면에서 뻗어 나오도록 배치될 수 있다.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that elevates along a car rail provided in an hoistway, a counterweight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a counterweight rail provided in the hoistway, a pulley, a motor part that drives the pulley, and a brake part that controls the motor part. And a hoisting means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a suspension means wound on the pulley to suspend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which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includes a hoisting assembly for mounting the hoisting machine. .
Here, the hoist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pulley is positioned above the hoist assembly.
In addition, the hoisting assembly may be supported by the carrail or the counterweight rail.
In addition, the hoisting assembly may be supported by a wall of the hoistway.
In addition, the hoist may be disposed at a corner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In addition, the hoist may be arranged to extend from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at the same time as the corner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음, 본 발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is demonstrated about this invention as follows.

실시의 형태 1.Embodiment 1.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First, the elevator apparatus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ed is demonstrated using FIG.

도 1에서, 1은 승강로, 2는 승강로 벽, 3은 카레일(4)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하는 카, 5는 카(3)의 주위를 구성하고 있는 카프레임, 6은 평형추레일(7)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평형추, 8은 카(3) 및 평형추(6)를 현수하는 메인로프, 9는 메인로프(8)을 감는 활차(10)와 활차(10)를 구동하는 모터부(11)로 구성되어 활차(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활차 (10)가 모터부(11)보다 상측으로 되도록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이며, 모터부(11)의 내부에는 브레이크부(12)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부 (12)도 모터부(11)와 마찬가지로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In Fig. 1, 1 is a hoistway, 2 is a hoistway wall, 3 is a car that is guided by the car rail 4 and lifts in the hoistway 1, 5 is a car frame constituting the periphery of the car 3, 6 Is a counterweight that is guided by the counterweight rail (7) to elevate in the hoistway (1), 8 is the main rope suspending the car (3) and counterweight (6), 9 is a pulley that winds the main rope (8) And the motor unit 11 driving the pulley 10 so that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pulley 10 is horizontal and the pulley 10 is above the motor portion 11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1 is elevated. It is a hoisting machine arrange | positioned at the inside, and the brake part 12 is provided in the motor part 11 inside. Therefore, the brake part 12 is provided also like the motor part 11 so that it may face downward.

13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방향전환풀리, 14는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된 제2 방향전환풀리, 15는 저면으로서의 평면상의 기판(16)과 양단의 변이 "ㄷ"자상으로 형성된 에지부(17)로 구성됨과 동시에 카 레일(4) 및 평형추레일 (7)에 지지되어 있으며, 권상기(9),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4)를 부착시키기 위한 권상기조립체, 18은 기판(16)의 면상의 코너에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에 평행으로 되도록 위치된 권상기보조지지대, 19는 기판 (16)중에서 권상기보조지지대(18)와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 사이의 영역에 개구하여 설치된 권상기의 브레이크부 점검구이다.13 is a first diverting pulley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14 is a second diverting pulley disposed on an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nd 15 is a planar substrate 16 as a bottom face and a side of both ends thereof. It is composed of an edge portion 17 formed in a shape and supported by the car rail 4 and the counterweight rail 7, and the hoisting machine 9, the first turning pulley 13 and the second turning pulley ( 4) A hoisting assembly for attaching, 18 is a hoisting supporter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edge portion 17 of the hoisting assembly 15 at a corner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6, 19 is a hoisting aid in the substrate 16; It is a brake part inspection opening of the hoist provided opening in the area | region between the support stand 18 and the edge part 17 of the hoist assembly 15. As shown in FIG.

21은 기판(16)에 개구하여 설치된 제1 개구부, 22는 기판(16)에 개구하여 설치된 제2 개구부, 23은 승강구문, 24는 최상층 현관마루이다.21 is a first opening that is opened to the substrate 16, 22 is a second opening that is opened to the substrate 16, 23 is a lifting gate, and 24 is a top floor porch.

메인로프(8)는 그의 1단을 카프레임(5)에서 승강로 평면도에 있는 카(3)의 중심위치로 되는 점에 고정되고, 타단을 평형추(6)의 상부에서 승강로평면도에 있는 평형추(6)의 대략 중심위치로 되는 점에 고정되어 있다. 메인로프(8)는 카 프레임 (5)과의 고정점에서 수직으로 상승하여, 제1 방향전환풀리(13)를 경유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환하여 권상기(9) 활차(10)에서 되돌려지고, 제2 방향전환풀리(14)를 경유하여 수직하방으로 전환하여, 평형추(6)와의 고정점에 도달한다.The main rope 8 is fixed at its one end at the point at which the car frame 5 is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car 3 in the hoist plan view, and the other end of the counterweight at the hoist plan view at the top of the counterweight 6. It is fixed to the point which becomes the substantially center position of (6). The main rope 8 ascends vertically at a fixed point with the car frame 5, changes to the horizontal direction via the first turning pulley 13, and is returned from the hoisting machine 9 pulley 10. It switches vertically downward via the two-direction pulley 14 to reach a fixed point with the counterweight 6.

권상기(9)는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 보조지지대(18)에 걸치게 되도록 설치되어 기판(16)에 대한 권상기(9)의 수직투영면에 브레이크부 점검구(19)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권상기(9)는 활차(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활차(10)가 승강로(1)의 천장측을 향하여 모터부(11) 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9)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The hoisting machine 9 is installed to span the edge portion 17 of the hoisting assembly 15 and the hoisting auxiliary support 18 so that the brake check hole 19 is provided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ing machine 9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16. It is supposed to be located. The hoisting machine 9 is provided such that the rotational surface of the pulley 10 is horizontal and the pulley 10 faces the ceiling side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motor portion 11 and the brake portion 12 face downward. The hoisting machine 9 is arranged at the corner on the lifting gate 23 side in the floor plan of the hoistway 1.

또, 권상기(9)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얇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소위 박형권상기이다. 박형권상기라는 것은 회전축방향의 두께가 회전축방향과 수직방향의 두 께보다도 얇은 권상기, 또는 최상층 위치의 카(3)와 승강로(1)의 전장면과의 틈새에 수용할 수 있는 얇은 권상기를 지적하고 있다. 박형권상기는 예로서, 일본국 특개평 12-289954호 공보에 소개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hoist 9 has a thin configur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So-called thin winding machine. The thin hoisting machine refers to a hoisting machine whose thickness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r a thin hoisting machin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gap between the car 3 in the uppermost position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hoistway 1. have. The thin winding machine is introduced as an example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2-289954,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 도 3에 나타낸 것 같이, 승강로(1)의 높이방향에서, 제1 방향전환풀리 (13)및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도중에 있는 높이 A) 내에 권상기(9)의 높이(도중에 있는 높이 B)의 대부분이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권상기(9)를 상측에 배치함으로써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 A내에 권상기(9)의 모터부를 배치하고,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 A와 권상기(9)의 높이 B와를 합한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height of the hoist 9 in the height (height A in the figure) of the 1st direction turning pulley 13 and the 2nd direction turning pulley 14 is shown. Most of the height B in the middle is arranged to be accommodated. That is, by arranging the hoisting machine 9 on the upper side, the motor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9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height A of the 1st diverting pulley 13 and the 2nd diverting pulley 14, and the 1st diverting pulley 13 is carried out. And the height of the height A of the second diverting pulley 14 and the height B of the hoist 9 are minimized.

또, 승강로(1)의 높이방향에서, 권상기조립체(15)의 높이(도중에 있는 높이 C)는, 권상기조립체(15)에 직접 탑재되어 있는 기기의 높이 즉,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도중에 있는 높이 A) 내에 수용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the height of the hoisting assembly 15 (the height C in the figure) is the height of the device mounted directly on the hoisting assembly 15, that is, the first direction switching pulley 13 and It is accommodated in the height (height A in the middle) of the 2nd turning pulley 14.

평형추(6)는 승강구문(23)에 대향하는 측의 승강로벽(2)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평형추(6)를 승강구문(23)에 대하여 향한 측에 배치한다. 즉 "평형추 백드롭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The counterweight 6 is arrang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hoistway wall 2 on the side opposite to the hoisting door 23. That is, the elevator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arrange | positions the counterweight 6 on the side facing the lifting gate 23. As shown in FIG. That is, the "balance counter drop method" is shown.

제1 방향전환풀리(13)는 제1 개구부(21)의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의해 회전되게 지지되어 있으며, 제1 방향전환풀리(13)의 일부가 기판(16)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일부가 기판(16)보다도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The first diverting pulley 13 is rotatably supported by two opposing side surfaces of the first opening 21, and part of the first diverting pulley 13 protrudes below the substrate 16. have. Similarly, part of the second diverting pulley 14 protrudes below the substrate 16.

다음, 권상기의 보수 및 점검에 대하여 상술하며, 설명에는 도 4를 이용한 다.Next, the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he hois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FIG. 4 is used for description.

상기와 같이, 권상기(9)는 권상기 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 보조지지대(18)에 걸치게 되도록 설치되어 기판(16)면상의 권상기(9)의 수직투영면에 브레이크부 점검구(19)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ist 9 is installed to span the edge portion 17 of the hoist assembly 15 and the hoisting auxiliary support 18 so that the brake unit check hole is provided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 9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6. (19) is located.

또한, 권상기(9)는 모터부(11) 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4에 나타난 화살표(D)의 방향으로부터 모터부(11) 및 브레이크부(12)를 육안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화살(D)의 방향으로부터 보수작업을 행할 수 가 있다.Moreover, the hoist 9 is provided so that the motor part 11 and the brake part 12 may face downward. Therefore, the motor part 11 and the brake part 12 can be visually inspect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shown in FIG. 4, and the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FIG.

다음, 메인로프(8)와 제1 방향전환풀리(13)와의 로프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술하며 설명에는 도 5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메인로프(8)에는 복수 개가 사용되어 있으므로 제1 방향전환풀리(13)와 권상기(9)의 활차(10)간에는 로프는 도와 같이 제1 방향전환풀리(13) 또는 활차(10)의 각각의 로프홈(rope groove)에 대해서 플리이트각(fleet angle)(20)의 각도를 가지고 감겨 있다. 그 플리이트각(20)이 크면은 로프홈의 측면과 메인로프(8)가 강하게 접촉하여 메인로프(8)의 수명이 짧게 된다. 따라서, 플리이트각(20)을 작게 하기 위해 제1 방향전환풀리(13)와 활차(10)는 될 수 있는 대로 이격시켜서 설치하는 것이 좋다.Next, a method of installing the rope between the main rope 8 and the first diverting pulley 1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FIG. 5 will be used for description. In general, a plurality of main ropes 8 are used, so that a rope is formed between the pulley 10 of the first turning pulley 13 and the hoisting machine 9 as the first turning pulley 13 or pulley 10 as a tile. It is wound with an angle of a pleat angle 20 for each rope groove in. If the pleat angle 20 is large, the side of the rope groove and the main rope 8 are in strong contact, and the life of the main rope 8 is shorten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leat angle 20, the first turning pulley 13 and the pulley 10 may be spaced apart as much as possible.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권상기(9)를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코너에 배치하여 있다. 또한, 승강구문(23)측과 대향하는 측에 평형추 (6)를 배치하고 있어 권상기(9)와 제2 방향전환풀리(14)와의 거리를 최대크기로 설치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xample, the hoisting machine 9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rner of the elevation door 23 side in the top view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counterweight 6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facing the lifting gate 23 si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oisting machine 9 and the 2nd direction switching pulley 14 is provided in the largest size.

또한, 제2 방향전환풀리(14)와 활차(10)와의 관계는 제1 방향전환풀리(13)와 활차(10)와의 관계는 동일함으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nd turning pulley 14 and the pulley 10 is the same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st turning pulley 13 and the pulley 10,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1:1로핑(roping)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카(3)의 저면에 2개의 차밑반송활차(26) 및 평형추(6)의 평형추현수활차(27)가 불피료하여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승강로 내의 레이아웃의 유연성을 향상할 수 있다. In the above elevator device, since it is composed of 1: 1 roping, two undercarriage pulleys 26 and counterweight pulleys 27 of the counterweight 6 are unsuitable on the bottom of the car 3, and thus the score of parts is reduced. Can be reduced and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Therefore, the flexibility of the layout in the hoistway can be improved.

또, 1:1 로핑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메인로프(8)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비용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Moreover, since it is comprised by 1: 1 roping, the length of the main rope 8 can be shortened and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또, 권상기(9)는 활차(10)를 모터부(11) 및 브레이크부(12)보다도 상측으로 되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승강로(1)의 높이방향에서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높이 내에 권상기(9)의 높이의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오버헤드치수(도 1에 있는 OH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가 있다.In addition, the hoisting machine 9 is installed so that the pulley 10 is located above the motor portion 11 and the brake portion 12, so that the first direction change pulley 13 and the second direction chang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1. Most of the height of the hoist 9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height of the pulley 14. Therefore, the overhead dimension (OH size in FIG. 1) can be made small and the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1 can be achieved.

또, 권상기(9)의 활차(10)의 회전면을 수평으로 하였으므로 오버헤드치수(도 1에 있는 OH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승강로(1)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otating surface of the pulley 10 of the hoisting machine 9 is horizontal, the overhead dimension (OH size in FIG. 1) can be made small, and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1 can be achieved.

또, 권상기(9)의 얇은 구조를 한 박형권상기이므로 오버헤드치수(도 1에 있는 OH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승강로(1)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in winding machine having the thin structure of the hoisting machine 9 can reduce the overhead dimension (OH size in FIG. 1), the space saving of the hoistway 1 can be achieved.

또, 권상기(9)는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권상기(9)의 수직투영면에 브레이크부 점검구(19)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권상기(9)의 보수작업 및 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다.The hoisting machine 9 is provided so that the motor part 11 and the brake part 12 face downward, and the brake part check opening 19 is provided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ing machine 9 so that the hoisting machine 9 can be easily installed. Maintenance work and inspection work can be done.

또, 기판(16)은 카레일(4) 또는 평형추레일(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별도 기판(16)을 지지하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삭감을 기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board | substrate 16 is supported by the car rail 4 or the counterweight rail 7,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member which supports the board | substrate 16 separately, and it can reduce cost.

또, 기판(16)은 승강로(1)의 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별도기 판(16)을 지지하는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삭감을 기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board | substrate 16 is supported by the wall of the hoistway 1,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member which supports the separate board 16, and can reduce cost.

또, 권상기(9)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14)와 활차(10)와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설치할 수 있어 플리이트각(20)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메인로프(8)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hoist 9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orner of the elevation door 23 side in the top view of the hoistway 1, the 1st direction turning pulley 13 and the 2nd direction turning pulley 14, and the pulley 10 are located. Since the space | interval can be installed as much as possible, the pleat angle 20 can be enlarged. Therefore, the life of the main rope 8 can be extended.

또, 권상기(9)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카(3)의 수직투영면에서 뻗어나오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방향전환풀리(13)및 제2 방향전환풀리(14)와 활차(10)와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설치할 수가 있어 플리이트각(20)을 크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메인로프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hoist 9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3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first diverting pulley 13 and the second diverting pulley 14 and the pulley 10 are arranged. Since the space | interval with a maximum can be provided, the pleat angle 20 can be enlarged. Therefore, the life of the main rope can be extended.

실시의 형태 2.Embodiment 2.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도 6~도 9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부호를 붙인 개소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The elevator apparatus in another Example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ed is demonstrated using FIG.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the same code | symbol as Embodiment 1 shows the same or an equivalent part.

각 도면에서, 15는 저면으로서의 평면상의 기판(16)과 양단의 변이 "ㄷ" 자상으로 형성된 에지부(17)와 한측의 긴 변에서 돌출하여 설치된 권상기보조부(25) 로 구성됨과 동시에 짧은 변의 양측에서 승강로벽(2)에 지지되어 있고, 제1 방향전환풀리(13)을 기판(16)에 결합하기 위한 권상기조립체이다. 권상기조립체(5)는 그의 양단변이 승강로벽(2)의 승강구문(23)의 설치측과 승강구문(23)의 설치측의 대향하는 측에서 고정되어 있다.In each figure, 15 is comprised of the board | substrate 16 of a planar surface as a bottom surface, the edge part 17 of which both sides were formed in the "c" shape, and the hoisting aid part 25 which protruded from the long side of one side, and the both sides of the short side. It is supported on the hoistway wall 2, and is a hoisting assembly for coupling the first diverting pulley 13 to the substrate 16. Both ends of the hoisting machine 5 are fix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side of the lifting gate 23 of the hoistway wall 2 and the installation side of the hoisting gate 23.

18은 권상기보조부(25)와 대향하는 승강로벽(2)측에서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에 평행으로 되도록 승강로벽(2)에 고정되어 있는 권상기보조지지대이다.18 is a hoisting auxiliary support fixed to the hoistway wall 2 so as to be parallel to the edge portion 17 of the hoisting assembly 15 on the hoistway wall 2 side facing the hoisting aid 25.

권상기(9)는,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보조지지대(18)에 걸쳐있음과 동시에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 권상기(9)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활차(10)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됨과 동시에 활차(10)가 승강로(1)의 천장축을 향하고,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9)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 (23)측의 코너에 배치되어 있다.The hoisting machine 9 is disposed at the corner of the hoisting door 23 side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1, which extends across the edge portion 17 and the hoisting aid support 18 of the hoisting assembly 15. As in the hoisting machine 9,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otating surface of the pulley 10 is horizontal, the pulley 10 faces the ceiling shaft of the hoistway 1, and the motor part 11 and the brake part 12 are lowered. It is installed to face. The hoist 9 is arranged at a corner of the hoisting door 23 side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1.

한 쌍의 평형추레일(7)은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권상기 보조지지대(18)설치되어 있는 측의 승강로벽(2)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즉, 평형추(6)가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권상기 보조지지대(18)에 설치되어 있는 측의 승강로벽(2)을 따라서 승강하도록 되어 소위 "평형추 사이드 드롭방식"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형추레일(7)의 한측이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과 대향하는 측의 코너에 배치됨으로써 제2 방향전환풀리(14)와 권상기(9)의 활차(10)간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설치하고 있다. 이유는, 실시에 1에서 설명한 것 같이 플리트각(20)을 작게 하기 때문이다.A pair of counterweight rails 7 are provided along the hoistway wall 2 on the side where the hoisting auxiliary support 18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1 is provided. That is, the counterweight 6 moves up and down along the hoistway wall 2 on the side provided on the hoisting auxiliary support 18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counterweight 6 becomes a so-called "balance weight side drop type". 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unterweight rail 7 is disposed at a corner of the side facing the lifting door 23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1 so that the pulley 10 of the second turning pulley 14 and the hoisting machine 9 can be mounted. The gap between) is installed to the maximum. This is because the pleat angle 20 is reduced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제2 방향전환풀리(14)는 권상기조립체(15)의 권상보조부(25)와 권상기보조지지대(18)에 걸침과 동시에 평형추(6)의 승강방향 내의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The second turning pulley 14 is disposed on the hoistway 1 in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6 simultaneously with the hoisting aid 25 and the hoisting aid 18 of the hoisting assembly 15. .

제1 방향전환풀리(13)의 기판(16)에의 설치의 방법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The method of mounting the first divert pulley 13 on the substrate 16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다음, 권상기의 보수 및 점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설명에는 도 8을 이용한다.Next, the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he hois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FIG. 8 will be used for explanation.

상기와 같이 권상기(9)는 권상기 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보조지지대(18)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ist 9 is provided to span the edge 17 and the hoisting support 18 of the hoisting assembly 15.

또한, 권상기(9)는 모터부(11)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화살(E)의 방향에서 모터부(11) 및 브레이크부 (12)를 육안검사할 수 있으며, 또한 화살(E)의 방향에서 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다.Moreover, the hoist 9 is provided so that the motor part 11 and the brake part 12 may face downward. Therefore, the motor part 11 and the brake part 12 can be visually insp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shown in FIG. 8, and the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FIG.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평형추사이드드롭방식, 또한 1:1로핑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평형추사이드 드롭방식에서도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권상기(9)는 모터부(11) 및 브레이크부(12)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권상기(9)를 권상기조립체(15)의 에지부(17)와 권상기보조지지대(18)에 걸치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실시예에 있는 브레이크부점검구(19)를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권상기(9)의 보수작업 및 점검작업을 행할 수 있다.Since the said elevator apparatus is comprised by the counterweight side drop system and 1: 1 roping, the same effect as Embodiment 1 can be acquired also in a counterweight side drop system. In addition, the hoisting machine 9 is installed so that the motor part 11 and the brake part 12 face downward, and the hoisting machine 9 is attached to the edge part 17 and the hoisting aid support 18 of the hoisting assembly 15. Since it installed so that it may be installed, the maintenance work and inspection work of the hoisting machine 9 can be performed easily, without providing the brake part inspection tool 19 in an Example.

실시의 형태 3.Embodiment 3.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 특히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보다도 메인로프의 활차에 대한 권양각(winding angle)이 큰 평형추 사이드드록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1과 동일부호를 붙인 곳은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나타낸다.I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particularly in the counterweight sidedlock type elevator apparatus having a larger win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pulley of the main rope than the elevator apparatus in Embodiment 2, FIGS. 9 and FIG. Explain using 10. In addition, in the present Example, the same code | symbol as Embodiment 1 shows the same or an equivalent part.

본 실시예는 실시의 형태 1과 비교하여 평형추(6) 및 평형추레일(7)의 배치가 다를뿐이며, 그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이상,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로벽(2)중 승강구문(23)의 설치측에 접하는 2면을 측면으로 칭한다.Compared with Embodiment 1, this embodiment differs only in the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counterweight 6 and the counterweight rail 7, and the point is demonst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wo surfaces of the hoistway wall 2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1 that contact the installation side of the hoist gate 23 are referred to as the side surfaces.

각 도에 있어서, 권상기(9)는 승강로벽(2)의 1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평형추(6) 및 평형추레일(7)은 승강로벽(2)의 다른 측면에 접하도록 또한 카레일(4)과 승강로벽(2)의 승강구문(23)의 설치측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서,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위치도 실시의 형태 1과 다르며, 승강로(1)의 상부에 있는 평형추(6)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In each figure, the hoist 9 is provided in one side surface of the hoistway wall 2. The counterweight 6 and the counterweight rail 7 are disposed between the car rail 4 and the installation side of the lifting door 23 of the hoistway wall 2 so as to contact the other side of the hoistway wall 2. .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econd diverting pulley 14 is also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is provided above the counterweight 6 located above the hoistway 1.

권상기조립체(15)는 카레일(4)과 평형추레일(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권상기조립체(15)에 설치되어 있는 권상기(9),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14)는 승강로(1)의 평면도에 있는 승강구문(23)측의 거의 절반면에 집약되어 있으므로 권상기조립체(15)는 크기가 실시의 형태 1에 비하여 거의 반으로 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9), 제1 방향전환풀리(13) 및 제2 방향전환풀리(14)의 권상조립체(15)에의 설치의 방법은 실시에 1과 동일하다.The hoisting assembly 15 is supported by the car rail 4 and the counterweight rail 7. The hoisting machine 9, the first diverting pulley 13 and the second diverting pulley 14, which are installed in the hoisting assembly 15, are almost half surface of the elevating door 23 side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1. Since the hoisting assembly 15 is about half the size compared with Embodiment 1, since it is concentrated to.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hoisting machine 9, the 1st turning pulley 13, and the 2nd turning pulley 14 to the hoisting assembly 15 is the same as that of 1 at the time of implementation.

도 10에서 알 수 있는 것 같이 메인로프(8)의 활차(10)에의 권양각은 실시의 형태 1에 비하여 크게 되어 있어, 활차(10)의 견인능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0, the lifting angle of the main rope 8 to the pulley 10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ulling ability of the pulley 10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메인로프(8)의 활차(10)에의 권양각은 카(3) 및 승강로(1)의 평면도의 형상에 의해 변화함으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하는 조건에 의해 실시의 형태 2이거나 볼 실시예에서 권양조건이 좋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In addition, the lifting angle of the main rope 8 to the pulley 10 is varied by the shape of the top view of the car 3 and the hoistway 1, an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for install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r the ball embodiment You can choose the one with the best condition.

상기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메인로프(8)의 활차(10)에 대해 권양각이 크게 될 수가 있어 활차(10)의 견인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In the above elevator apparatus, the same effec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and the lifting angle can be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pulley 10 of the main rope 8 as necessary, thereby improving the towing capacity of the pulley 10. can do.

또, 기판(16)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비용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the area of the board | substrate 16 can be made small and cost reduction can be aimed a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카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와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와, 활차, 활차를 구동하는 모터부, 모터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활차의 회전면이 수평으로 되도록 승강로 내의 상부에 배치된 권상기와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된 제1 및 제2 방향전환풀리와 1단축에 차가 접속됨과 동시에 타단측에 평형추가 접속되어 제1 및 제2 방향전환풀리와 활차에 감겨 카와 평형추를 현수하는 메인로프를 구비하여 있으므로 승강로 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r, which is lifted along a car rail installed in a hoistway, a counterweight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a counterweight rail installed in a hoistway, a pulley, a motor part for driving a pulley, a brake part for controlling a motor part, and a rotating surface of the pulley. The car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iverting pulley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he first and second diverting pulley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e counterweigh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side to be horizontal, and the first and second diverting pulley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ince the main rope is wound around the pulley to suspend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space saving in the hoistway can be achieved.

또, 권상기의 회전축방향의 두께는 상기 회전축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방향의 두께보다도 얇은 것이므로 승강로 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Further, the thickness of the hoisting machine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so that space in the hoistway can be saved.

또,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권상기 및 제1 및 제2 방향전환풀리를 탑재하는 권상기조립체를 구비한 것이므로 승강로 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권상기조립체는 카레일 또는 평형추레일에 의해 지지된 것이므로 권상기조립체를 지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Moreover, since it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equipped with the hoister assembly which mounts a hoisting machine and a 1st and 2nd direction switching pulley, space saving in an hoistway can be aimed at. In addition, since the hoisting assembly is supported by the car rail or the counterweight rail,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a member for supporting the hoisting assembly.

또, 권상기 조립체는 승강로의 벽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이므로 권상기조립체를 지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hoisting assembly is supported by the wall of the hoistway,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install a member for supporting the hoisting assembly.

또, 권상기조립체는 승강로의 높이방향에 있어서 그 높이가 제1 방향전환풀리 또는 제2 방향전환풀리의 높이 내에 위치하여 있는 것이므로 승강로 내의 공간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isting assembly has a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istway, which is located within the height of the first turnover pulley or the second turnover pulley, thereby achieving space saving in the hoistway.

또, 권상기는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배치된 것이므로 제1 방향전환풀리 또는 제2 방향전환풀리와 활차간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ist is disposed at a corner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large gap between the first diverting pulley or the second diverting pulley.

또, 권상기는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배치됨과 동시에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카의 수직투영면에서 뻗어나오도록 배치된 것이므로 제1 방향전환풀리 또는 제2 방향전환풀리와 활차간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ist is disposed so as to extend from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in the floor plan of the hoistwa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large gap between the first divert pulley or the second divert pulley.

또, 권상기는 브레이크부가 승강로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이므로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d so that the brake part is located below the hoistway, and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또, 권상기는 브레이크부가 승강로의 하측을 향하도록 권상기조립체의 상면에 배치되며 권상기 조립체는 권상기의 수직투영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점검구를 구비한 것이므로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ist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isting assembly so that the brake part faces the lower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hoisting assembly has an inspection opening provided to penetrate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ing machine, so that maintenance can be easily performed.

Claims (10)

승강로 내에 설치된 카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 A car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a car rail installed in a hoistway,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 Counterweights lifting up and down along the counterweight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활차, 상기 활차를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내의 상단부에 배치된 권상기, 및A pulley having a pulley, a motor part for driving the pulley, a brake part for controlling the motor part, and a hois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상기 활차에 감겨져 상기 카와 상기 평형추를 현수하는 현수수단을 포함하며,A suspension means wound on the pulley to suspend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권상기를 탑재하는 권상기 조립체를 포함하고,A hoisting assembly for mounting the hoisting machine, 상기 권상기 조립체는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카레일 또는 상기 평형추레일의 상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항상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The hoisting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characterized in that the weapon-based elevator apparatus is always fixed so as not to mov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r rail or the counterweigh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권상기는, 상기 활차가 상기 권상기 조립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The hoisting machin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ley is disposed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ing assembly, inorganic machine room elevator apparatu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승강로 내에 설치된 카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카, A car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a car rail installed in a hoistway, 상기 승강로 내에 설치된 평형추레일을 따라서 승강하는 평형추, Counterweights lifting up and down along the counterweight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활차, 상기 활차를 구동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부를 가지며, 상기 승강로내의 상단부에 배치된 권상기,A hoist having a pulley, a motor part for driving the pulley, a brake part for controlling the motor part, and a hoist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hoistway, 상기 활차에 감겨져 상기 카와 상기 평형추를 현수하는 현수수단, 및Suspension means wound on the pulley to suspend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승강로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상기를 탑재하는 권상기 조립체를 포함하고,It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istway, and includes a hoisting assembly for mounting the hoisting machine, 상기 권상기 조립체는, 상기 승강로의 벽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항상 고정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The hoisting assembly is fixed and supported at all times so as not to move by the wall of the hoistwa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The hoisting machine is disposed at a corner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inorganic machine room elevator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권상기는 상기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코너에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승강로의 평면도에 있는 상기 카의 수직투영면에서 뻗어 나오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And the hoist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car at the same time as the corner in the plan view of the hoistway. 삭제delete
KR1020057013194A 2005-07-15 2001-06-04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KR1006173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3194A KR100617383B1 (en) 2005-07-15 2001-06-04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3194A KR100617383B1 (en) 2005-07-15 2001-06-04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615A Division KR20030020969A (en) 2001-06-04 2001-06-04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529A KR20050084529A (en) 2005-08-26
KR100617383B1 true KR100617383B1 (en) 2006-09-01

Family

ID=3726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194A KR100617383B1 (en) 2005-07-15 2001-06-04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38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529A (en)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en) Elevator equipment
EP0710618B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KR100444936B1 (en) Elevator device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KR20030020969A (en) Elevator device
JPWO2003091141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4083231A (en) Elevator device
JPWO2003020628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3146555A (en) Elevator
KR100474152B1 (en) Elevator un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17383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JP2000327242A (en) Elevator
EP1724229A1 (en) Elevator apparatus
WO2005077806A1 (en) Elevator
JP2000344450A (en) Elevator device
KR100728419B1 (en) Elevator equipment
JP4091218B2 (en) elevator
JP4914030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20040068178A (en) Elevator equipment
KR19990027217A (en) Elevator with hoist and control panel arranged in pit of hoistway
JP2001019316A (en) Elevator device
KR10047042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524363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480950B1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