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427B1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427B1
KR100470427B1 KR10-2004-0003730A KR20040003730A KR100470427B1 KR 100470427 B1 KR100470427 B1 KR 100470427B1 KR 20040003730 A KR20040003730 A KR 20040003730A KR 100470427 B1 KR100470427 B1 KR 10047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istway
counterweight
winch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3064A (en
Inventor
하야시요시가쓰
하마구치슈키
도미도코로마코토
혼다다케노부
야마카와시게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0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427B1/en
Publication of KR2004001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0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42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박형(thin type)의 권양기는 승강로 내에서의 정상부와 피트부(pit portion)를 제외한 높이에서 승강로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 카와 승강로 벽 사이에 배치시키고, 방향전환풀리는 권양기의 상방 위치에서 승강로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 승강로 벽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시킨다.In an elevator unit without machine room, a thin type hoist is placed between the car and the hoistway wall on the projection plane of the hoist horizontal section at heights other than the top and the pit portion in the hoistway, It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istway wall on the projection plane of the hoistway horizontal section in an upward posi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Elevator device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 카와, 카운터웨이트와, 양자를 현가하는 로프와, 이 로프를 구동하는 권양기와 이 로프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풀리(direction -change-pulley)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cluding a car, a counterweight, a rope for suspending both, a winch for driving the rope, and a direction -change-pulley for changing the suspension direction of the rope in a hoistway. will be.

도 12 및 도 13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명세서의 도 2 및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12 and 13 are, for example,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hown in FIGS. 2 and 1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165172.

도면에서, 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싣는 카, 2는 카(1)의 중량을 보상하는 카운터웨이트, 3은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현가하는 로프, 4는 로프(3)에 의해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구동시켜 승강시키는 박형의 권양기, 4a는 권양기의 시브(sheave), 5a, 5b는 로프(3)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풀리, 6은 카 안내용 가이드레일, 7은 카운터웨이트안내용 가이드레일, 8은 승강로, 11은 카(1)용 현가풀리, 12는 카운터웨이트(2)용 현가풀리, 13은 카 측의 로프 고정부, 14는 카운터웨이트 측의 로프 고정부이다.In the figure, 1 is a car carrying a person or cargo, 2 is a counterweight to compensate for the weight of the car 1, 3 is a rope suspending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4 is a rope 3 Thin hoist to drive and lift car 1 and counterweight 2, 4a is sheave of hoist, 5a, 5b is direction change pulley to change suspension direction of rope 3, 6 is car Guide rails for guides, 7 for counterweight guide rails, 8 for hoists, 11 for suspension pulleys for cars (1), 12 for suspension pulleys for counterweights (2), 13 for rope fixings on the side of cars, 14 for It is a rope fixing part on the counterweight side.

다음으로, 도 12 ~ 도 13에 의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12-13.

권양기(4)의 시브(4A)에 현가된 로프(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의 카(1) 및 카운터웨이트(2)가 승강한다. 이 때 카용 가이드레일(6)이 카(1)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고,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여 승강로 내의 다른 기기나 승강로 벽과 카(1) 및 카운터웨이트(2)와의 접촉, 간섭을 방지한다. 여기서 카(1), 카운터웨이트(2) 및 권양기(4)의 수직투영은 서로 떨어져 있고,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면에 평행하게 놓여져 있다.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of the elevator are lifted and lifted by the rope 3 suspended on the sheave 4A of the winch 4. At this time, the guide rail for car 6 regulat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regulat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2 so that Contact and interference with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are prevented. Here, the vertical projections of the car 1, the counterweight 2 and the winch 4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winch 4 is placed in parallel with one adjacent wall surface.

최근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점유공간의 최소화를 위하여, 기계실을 설치하지 않고 권양기를 승강로에 내장하는 각종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는, (1) 박형의 권양기를 카운터웨이트의 승강상한 보다 상방에 배치하는 방식, (2) 권양기를 승강로 내의 정상부(top) 즉, 카가 최상층에 정지했을 때의 카의 천장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방식, (3) 권양기를 승강로 내의 피트부(pit) 즉, 카가 최하층에 정지했을 때의 카 바닥면보다 아래 쪽에 배치하는 방식이다.In recent elevator devices, various types of elevator device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a hoist is built into a hoistway without installing a machine room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pied space of the elevator device. Specifically, (1) a method of arranging a thin hoist above the height of the counterweight, and (2) a hoist of the hoist above the top of the hoistway, that is, above the ceiling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top floor. (3) The hoisting device is a pit part in the hoistway, that is, a method in which the car is dis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at the lowest floor.

이 방식 중, (1) 및 (2)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에 필요한 최소한의 높이보다 더 높은 승강로 높이를 필요로 한다. 또, 승강로 정상부 부근 카 상에서, 권양기의 보수점검을 할 때 작업자가 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에 의해 승강로의 천장에 머리를 부딪치지 않도록 하는 방호책을 강구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결점이 있다.Among these systems, (1) and (2) require a hoistway height higher than the minimum height required for hoisting of the elevator. In addition, on the car near the top of the hoistway, there is a drawback in that a protective measure must be taken to prevent an operator from hitting the head of the hoistway by an unexpected rise of the car during maintenance of the hoist.

방식(2)의 경우는 권양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승강로의 정상부 즉, 권양기 자체의 부근에 체류하므로, 온도상승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기가 쉽다.In the case of the system (2), since the heat generated in the winches stays at the top of the hoistway, that is, in the vicinity of the winches themselves, the winches easily break due to the temperature rise.

방식(3)은 물로 채워지기가 가장 쉬운 피트부에 권양기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다. 상기한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방식(1)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권양기의 수직투영면의 상방 및 하방 승강로의 전체 높이에 걸쳐 불사용 공간이 발생되는 새로운 결점을 초래한다.Method (3) has the drawback of requiring protective means since the hoist is arranged at the pit part which is most easily filled with water. Although the elevator apparatus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165172 can eliminate the drawback of the method (1), it causes a new drawback in which unused space is generated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hoistway above and below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ing machine. .

이상과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권양기의 수직투영면 상방 및 하방의 승강로 전체 높이에 걸쳐 불사용 공간이 발생되는 결점이 있었다.As mentioned above,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there existed a fault which the unused space generate | occur | produces over the whole height of the hoistway above and below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of a winch.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apparatu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Example 1 and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 실시예 5에서 사용하는 가이드레일의 「배면」의 개략 설명도이다.3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of the "back surface" of the guide rail used in Examples 1-5 of this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도면이다.9 is a main view of an elevator device of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도면이다.Fig. 10 is a mai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of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165172.

도 13은 일본국 특개평 9-165172호 공보에 나타낸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측면도이다.Fig. 13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hown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165172.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구(entrance)와, 그 승강구 양측면 상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카벽과, 제1 및 제2 카벽과 접속되고, 승강구와 대향하여 있는 제3 카벽을 구비하여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cage)와;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entrance, a first and a second car wall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oor, and a third car wall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ar walls and facing the door. A cage for elevating in the hoistway;

그 카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guide rail)과;A guide rail for the car, which regulat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

승강로의 수평단면내에서, 제3 카벽과, 그 제3 카벽에 대향하는 제1 승강로 벽 사이에 배치시켜 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운터웨이트 (counterweighter)와;A counterweighter disposed between the third car wall and the first hoist wall facing the third car wall and mov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car in a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그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A counterweight guide rail for regula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시브와 그 시브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권양기로서, 승강로의 수평단면에서 제1 승강로 벽의 폭방향으로 카운터웨이트에서 분리되어 배치되고, 시브가 제1 승강로 벽과 대향하여 있으며, 모터가 제3 카벽 측면상에 배치되고, 시브의 회전축 방향의 외부면의 크기가 시브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의 외부면의 크기보다 작은 시브가 포함된 권양기와;A winch including a sheave and a motor for driving the sheave, wherein the hoist is separated from the counterweight in the widthwise direction of the first hoistway wall in a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the sheave faces the first hoistway wall, and the motor A winding device including a sheav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r wall and including a sheave having a size of an outer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sheave being smaller than a size of the outer surf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heave;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며, 시브에 감겨지는 로프와;A rope suspended from the kawa counterweight and wound around the sheave;

시브에서 카에 이르는 로프의 일부분이 감겨지는 제1 방향전환풀리와;A first diverting pulley on which a portion of the rope from the sheave to the car is wound;

시브에서 카운터웨이트에 이르는 로프의 일부분이 감겨지는 제2 방향전환풀리로 구성된다.And a second diverting pulley in which a portion of the rope from the sheave to the counterweight is woun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is demonstrated about this invention as follows.

실시예 1.Example 1.

도 1∼ 도3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1 to 3,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n elevato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Embodiment 1 of an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권양기가 카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면에서 1은 승객 또는 화물을 싣는 카이고, 2는 카(1)의 중량을 보상하는 카운터웨이트이며, 3은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현가하는 로프이고, 4는 로프(3)를 통하여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구동시켜 승강시키는 박형 권양기이며, 4a는 권양기(4)의 시브이고, 4b는 권양기 (4)의 모터이며, 5a, 5b는 로프(3)의 현가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풀리이고, 6은 카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며, 7은 카운터웨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고, 8은 승강로이며, 8a는 승강로(8)의 정상부(top portion)이고, 8b는 승강로(8)의 피트부 (pit portion)이며, 9는 권양기(4)를 지지하는 빔(beam)이고, 10은 방향전환풀리 (5a), (5b)를 지지하는 빔이며, 11은 카(1)용 현가풀리이고, 12는 카운터웨이트 (2)용 현가풀리이며, 13은 카 측의 로프 고정부이고, 14는 카운터웨이트 측의 로프 고정부이며, 15는 제어반이다. 또 도 1에서 1점쇄선 A는 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때 카 천장의 높이를 나타낸다.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counterweight is arranged at the rear of the car and the winch is arranged at the side of the car as viewed from the elevator hatch. In the figure, 1 is a car carrying passengers or cargo, 2 is a counterweight to compensate for the weight of the car 1, 3 is a rope suspending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and 4 is a rope 3 Is a thin hoist which drives and lifts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through 4), 4a is a sheave of the hoist 4, 4b is a motor of the hoist 4, and 5a and 5b are ropes 3 It is a turning pulley for switching the suspension direction of, 6 is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car, 7 is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counterweight, 8 is a hoistway, 8a is a top portion of the hoistway (8), 8b is a pit portion of the hoistway 8, 9 is a beam supporting the winch 4, 10 is a beam supporting the turning pulleys 5a, 5b, and 11 is Suspension pulley for car (1), 12 is suspension pulley for counterweight (2), 13 is rope fixing part on the car side, 14 is rope fixing part on the counterweight side, 15 is Control panel. In addition, the dashed-dotted line A in FIG. 1 shows the height of a car ceiling when a car stops at the lowest floor.

즉, 이 1점쇄선 A의 상방이 정상부이다. 또 도 1에서 1점쇄선 B는 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높이를 나타낸다. 즉 이 1점쇄선 B의 하방이 피트부이다.That is, the upper part of this dashed-dotted line A is a normal part. In addition, the dashed-dotted line B in FIG. 1 shows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a car when a car stops at the lowest layer. That is, the lower part of this dashed-dotted line B is a pit part.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쇄선 B의 상방에 있다. 즉,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서 정지할때 카 천정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 권양기의 하단은 카가 최상층에서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In the figure, the lower end of the winch 4 is above the dashed-dotted line B. As shown in FIG. That is, the winch 4 is disposed below the car ceiling when the car stops at the top floor, and the lower end of the winch is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at the top floor. Moreover, the winding machine 4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adjacent one wall.

또,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projection face)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방향전환풀리(5b)는 벽면에 대하여 경사시켜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direction change pulley 5a is arrange | positioned partly overlapping with the winch machine 4 on the projection face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The turning pulley 5b is arrang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또, 권양기(4)는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권양기(4)의 시브(4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상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보다도 카 측에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의 배면은 도 3의 C부분을 말한다. 이 예에서는 권양기(4)를빔(9)에 직접 고정하고 있으나, 방진구조(vibration proof struction)를 구성할 수 있도록 탄성체를 통하여 권양기(4)를 빔(9)에 부착할 수 도 있다. 또 빔(9)과 카용 가이드레일(6)사이와, 빔(9)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과의 사이에 탄성체를 부착할 수도 있다The winch machine 4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beam 9 supported by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The sheave 4a of the winch 4 is located on the car side rather than the rear surface of the car guide rail 6 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Here, the back of the guide rail refers to part C of FIG. 3. In this example, the winch 4 is fixed directly to the beam 9, but the winch 4 may be attached to the beam 9 via an elastic body to form a vibration proof structure. In addition, an elastic body may be attached between the beam 9 and the car guide rail 6 and between the beam 9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또, 방향전환풀리(5a),(5b)는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방향전환풀리(5a), (5b)를 빔(10)에 직접 고정시키나, 탄성체를 통하여 방진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방향전환풀리(5a),(5b)를 빔(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 빔(10)과 카용 가이드레일(6) 사이와, 빔(10)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 사이에 탄성체를 부착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direction change pulleys 5a and 5b are fixed to the beam 10 supported by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In this example, the diverting pulleys 5a and 5b are directly fixed to the beam 10, but the diverting pulleys 5a and 5b are attached to the beam 10 so as to construct a dustproof structure through an elastic body. You may. In addition, an elastic body may be attached between the beam 10 and the car guide rail 6 and between the beam 10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또, 제어반(15)은 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상방에 제어반(15)의 하단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어반(15)은 권양기(4)와 거의 같은 높이에서 배치되어 있다.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의해 현가된 로프(3)가 방향전환풀리(5a), (5b)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용 현가풀리(11) 및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12)를 통하여, 카(1) 및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킨다.Moreover, the control panel 15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15 may be locat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a car when a car stops at the lowest floor. In other words, the control panel 15 is disposed at almost the same height as the winch 4. The rope 3 suspended by the sheave 4a of the winch 4 driven by the control panel 15 is diverted by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and the suspension pulley 11 for the car and the counter.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are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weight suspension pulley 12.

이 때,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 및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At this time,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restric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 배치되고, 또 권양기(4)의 시브(4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 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보다도 카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가 점유하는 면적은 감소되고, 승강로의 전체 높이에 대한 불사용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권양기의 시브(4a) 둘레에 감겨 있는 로프의 감은 각(wrapping angle)은 180°보다 더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권양력(traction capacity)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또,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카 천정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 상에서 작업하는 점검작업자가 예기치 않은 카의 상승에 의해 승강로의 천정에 머리를 부딪치는 염려가 없고,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권양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승강로의 천정 상방으로 발산하므로, 온도상승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는 일도 없다. 또, 방향전환풀리(5b)는 승강로(8)의 벽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로프(3)가 시브(4a)의 로프홈에 들어가는 입력각이 작아져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turning pulley 5a is arranged to partially overlap with the winch 4 o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8, and the sheave 4a of the hoist 4 is guided for the car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Since it is located on the car side rather than the back side of (6), the area occupied by the winch machine 4 o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is reduced, and the unused space with respect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wrapping angle of the rope wound around the sheave 4a of the winch can be made larger than 180 °, the tract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Moreover, since the hoist 4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car top information when a car stops on the uppermost floor, there is no fear that the inspection worker who works on a car may hit his head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by the unexpected rise of the car. No means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ed by the hoisting machine dissipates above the ceiling of the hoistway, the hoisting machine does not fail due to the temperature rise. Moreover, since the direction change pulley 5b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8, the input angle which the rope 3 enters the rope groove of the sheave 4a becomes small, and can prevent damage to a rope.

또, 빔(9)의 하부에 권양기(4)가 부착되고 빔(10)에 방향전환풀리(5a), (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방향 힘과 빔(10)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하방향 힘은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어, 건물에 제공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winch 4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beam 9, and the diverting pulleys 5a and 5b are attached to the beam 10, the guide rail 6 for a car through the beam 9, Acting on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through the upward force and beam 10 generated by the tension of the rope 3 acting on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The downward force generated by the tension of the rope 3 is offset inside the guide rail, thereby reducing the force provided to the building.

또, 권양기(4)의 하단 및 제어반(15)의 하단은 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상방에 각각 위치되어 있고, 또 카 천정면 하방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피트가 관수되어도(cover with water)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winch 4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15 are respectively locat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at the lowest floor, and located below the car ceiling, so that the pit can be irrigated (cover with water). There is no damage.

이 타입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가 1.2m에서 1.5m정도이고, 이 위치에서 권양기와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에 손이 닿는 범위, 예를 들면 1.2m에서 1.7m 높이의 범위(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높이는 피트 바닥에서 1.7m 임)에 있게 되어, 점검작업이 용이하다.In elevators without a machine room of this type, the depth of the pit is between 1.2 m and 1.5 m, and if the winch and control panel are located at this position, the reach of the operator when the operator stands on the floor of the pit, for example 1.2 m. It is in the range of 1.7m in height (when the car stops on the lowest floor, the floor height of the car is 1.7m from the bottom of the pit), making inspection easy.

또, 권양기(4)의 하단 과 제어반(15)의 하단을 카가 1층에 정지할 때의 카 바닥면의 상방에 배치시키고, 또 카 천정면보다 하방에 배치했을 때에는 피트 뿐 아니라, 지하층 전체가 물을 뒤집어써도, 권양기(4) 및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When the lower end of the winch 4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15 are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first floor, and below the car ceiling, the entire basement floor is not only water. Even if reversed, the winch 4 and the control panel 15 are not damaged.

또, 권양기(4)의 하단을 카 기준층 정지시 카 바닥면의 상방에 배치시키고, 카 천정면 하방에 배치시키며 제어반(15)을 거의 같은 높이로 배치할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관리에 맞는 점검을 가장 쉽게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end of the winch machine 4 is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reference floor is stopped, and is disposed below the car ceiling, and the control panel 15 is disposed at about the same height, an inspection suitable for the operation management of the elevator device is performed. This is easiest to do.

권양기(4)의 하단을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카 바닥면 상방에 배치시키고, 또 카의 천정면 하방에 배치시킬 경우,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의 높이가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양자를 점검하는 데 편리하게 할 수 있다.When the lower end of the hoist 4 is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uppermost floor, and below the ceiling surface of the car, the heights of the hoist 4 and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are Since is located close, it can be convenient to check both.

또, 양자를 지지하는 빔을 일체로 되게 함으로써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beams supporting both, materials can be saved and space can be reduced.

실시예 2.Example 2.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아래에서 설명한다.4 and 5,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an elevato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2의 사시도, 도 5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권양기가 카운터웨이트의 승강 공간의 옆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면에서,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표시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Embodiment 2 of an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counterweight is arranged at the rear of the car and the winch is arranged to the side of the lifting space of the counterweight as viewed from the elevator hatch.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indicate the same parts,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쇄선 B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즉,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카의 천정보다 더 낮은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고, 또 하단이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의 카의 바닥면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figure, the lower end of the winch 4 is located above the dashed-dotted line B. FIG. That is, the winch machine 4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lower side of the cloth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uppermost floor, and the lower end is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lowest floor.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winding machine 4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adjacent one wall.

또, 방향전환풀리(5a),(5b)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 (4)와 일부 겹쳐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b)는 승강로(8) 벽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시브(4a)의 로프홈에 대한 로프(3)의 들어가는 각이 작아져,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direction change pulleys 5a and 5b are arrange | positioned partially overlapping with the winch machine 4 o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In addition, since the turning pulley 5b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8, the angle of entry of the rope 3 relative to the rope groove of the sheave 4a becomes small, and damage to the rope can be prevented.

또, 권양기(4)가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에 밑에서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권양기(4)가 빔(9)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나, 탄성체를 통하여 방진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빔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 빔(9)은 탄성체를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부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nch machine 4 is fixed to the beam 9 supported by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from below. In this example, the winch 4 is directly fixed to the beam 9, but may be fixed to the beam so as to constitute a dustproof structure through an elastic body. The beam 9 can also be attached to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via an elastic body.

또, 방향전환풀리(5a), (5b)는 카용 가이드레일(6) 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10)에 고정시킨다.Further, the direction change pulleys 5a and 5b are fixed to the beam 10 supported by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본 예에서는 방향전환풀리(5a), (5b)가 빔(1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나, 탄성체를 통하여 부착방진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빔(10)에 고정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xample, the diverting pulleys 5a and 5b are directly fixed to the beam 10, but may be fixed to the beam 10 so as to form an attachment dustproof structure through an elastic body.

또, 빔(10)은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탄성체를 통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The beam 10 can also be attached to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via an elastic body.

또,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수평단면상에서 그 제어반의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control panel 15 is arrange |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just above or just below which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overlaps with the winch 4.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의하여 현가된 로프(3)가 방향전환풀리(5a), (5b)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용 현가풀리(11) 및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12)를 통하여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킨다. 이 때,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와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한다.The rope 3 suspended by the sheave 4a of the winch 4 driven by the control panel 15 is diverted by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and the suspension pulley 11 for the car and the counter.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are moved up and down through the weight suspension pulley 12. At this time,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restric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 배치되고,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수평단면에서 제어반(15)의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쳐지는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이 감소된다. 또, 권양기 (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천정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의 정상부에서 점검보수작업자가 카상의 권양기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을 할 때 승강로의 천정에 점검보수작업자의 머리가 예측할 수 없게 충돌되는 일이 없고,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권양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승강로의 천장 상방으로발산되어 온도상승에 의해 권양기가 고장나는 일이 없다.The turning pulley 5a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hoist 4 o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8, and the control panel 15 has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15 at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Since it is located directly above or just below, the area occupied by the winch 4 o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8 is reduced. In addition, the hoist 4 is arranged under the car ceiling when the car stops on the top floor. Therefore, the head of the maintenance worker on the ceiling of the hoistway when the maintenance worker performs the maintenance work on the hoist of the car at the top of the hoistway. Does not collide unpredictably and does not require protective measures. In addition, the heat generated by the hoisting machine is dissipated above the ceiling of the hoistway so that the hoisting machine is not broken by the temperature rise.

또, 빔(9) 밑에 권양기(4)가 부착되고, 빔(10)에는 방향전환풀리(5a),(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한 상방향의 힘과, 빔(10)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한 하방향의 힘이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어, 건물에 제공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ch 4 is attached to the beam 9 and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are attached to the beam 10, the guide rails 6 and the counterweight for the car through the beam 9 are provided. The upward force generated by the tension of the rope 3 acting on the guide rail 7 for the car, and the rope acting on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through the beam 10 ( The downward force generated by the tension in 3) is canceled inside the guide rail, thereby reducing the force provided to the building.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상방에 위치되어있고, 또,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수평단면상에서 제어반(15)의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가장 가까운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트부가 물로 관수되어도 권양기(4)와 제어반(15)은 물에 의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The lower end of the winch 4 is locat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lowermost floor. The control panel 15 has a projection surface of the winch 8 on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Since it is arrange | positioned directly above or just below the closest overlapping with (), even when a pit part is watered by water, the winch | pulge machine 4 and the control panel 15 are not damaged by water.

이 타입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가 1.2m에서 1.5m 정도이다. 이 위치에서 권양기와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 손이 닿는 범위, 예를 들어 1.2m에서 1.7m까지의 높이 범위(카가 최하층에서 정지할 때의 카 바닥면의 높이가 피트 바닥에서 1.7m임)에 있게 되어, 점검보수작업이 용이하다.In an elevator unit without a machine room of this type, the depth of the pit is about 1.2 m to 1.5 m. If the winch and control panel are in this position, the reach of the hand when the operator stands on the pit floor, for example, a height range from 1.2 m to 1.7 m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at the lowest floor 1.7m from the bottom), making maintenance easy.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1)가 일층에서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위쪽에 배치되고, 또 카 천정면 아래에서 배치되어, 제어반(15)이 승강로(8)의 수평단면에서 권양기(4)의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가장 가까운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에 배치된 경우에는 피트만이 아니라, 지하층 전체에 물이 유입되어도 권양기(4)와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Further, the lower end of the winch 4 is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1 stops on the first floor, and below the car ceiling, so that the control panel 15 is placed on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8. Whe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winch machine 4 is disposed directly above or just below the closest overlapping with the winch machine 4, the winch machine 4 and the control panel 15 are damaged even if water flows not only into the pits but also through the basement floor. There is no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기준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위쪽에 배치되고, 제어반(15)은 승강로(8)의 수평단면에서 투영면이 권양기(4)와 겹치는 가장 가까운 바로 위 또는 바로 아래위치에 배치한 경우, 엘리베이터의 운행관리에 따른 점검작업을 가장 쉽게 실시할 수 있다.Further, the lower end of the winch 4 is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reference floor, and the control panel 15 is located immediately above or near the top of which the projection surface overlaps the winch 4 at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8. If it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inspection work according to the operation management of the elevator can be performed most easily.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 카 천정면의 아래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는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 (5a),(5b)의 높이가 접근하여 위치되어 있으므로, 양자를 점검하는데 편리하다.The lower end of the winch 4 is disposed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top floor, and the winch 4 and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when the car is positioned below the car ceiling. Since the height of is approached, it is convenient to check both.

또, 양자를 지지하는 빔을 일체로 되게 함으로써 재료를 절감할 수 있고,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integrating the beams supporting both, the material can be saved and the space can be reduced.

실시예 3.Example 3.

도 6 과 도 7 및 도 3에 의해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이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한다.6, 7, and 3,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n elevator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3의 사시도이고, 도 7은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고, 권양기가 카운터웨이트와 같은 쪽에서 승강로의 수평단면상에서 권양기의 투영면이 카운터웨이트에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Embodiment 3 of an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plan view. 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counterweight is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ar as viewed from the elevator door, and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d such that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isting machine does not overlap the counterweight on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on the same side as the counterweight.

도면에서,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표시하므로 그설명은 생략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described drawings denote the same parts,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에서, 권양기(4)의 하단은 1점쇄선 B의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즉,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카의 천정보다 더 낮은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고, 하단은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 카의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figure, the lower end of the winch 4 is located above the dashed-dotted line B. FIG. That is, the winch machine 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lower position lower than the cloth | cloth information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uppermost floor, and the lower en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lowest floor.

또, 권양기(4)는 인접하는 하나의 벽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winding machine 4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adjacent one wall.

또,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또, 방향전환풀리(5a),(5b)는 승강로(8)의 벽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브(4a)에 대한 로프(3)의 투입각이 작아져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direction change pulley 5a is arrange | positioned partly overlapping with the winch machine 4 o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In addition, since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are configur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of the hoistway 8, the angle of insertion of the rope 3 with respect to the sheave 4a can be reduced to prevent damage to the rope. .

또, 권양기(4)는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9)에 아래 쪽에서 고정되어 있다.The winding machine 4 is fixed to the beam 9 supported by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from below.

그리고, 권양기(4)의 모터(4b)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 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 카 측에 위치하여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의 배면이라는 것은 도 3의 C 부분을 말한다. 본 예에서는 권양기(4)가 빔(9)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나, 탄성체를 통하여 방진구조를 구성할 수 있도록 빔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 빔(9)은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탄성체를 통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The motor 4b of the winch 4 is located on the rear car side of the car guide rail 6 i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Here, the back of the guide rail refers to part C of FIG. 3. In this example, the winch 4 is directly fixed to the beam 9, but may be fixed to the beam so as to constitute a dustproof structure through an elastic body. The beam 9 can also be attached to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via an elastic body.

또, 방향전환풀리(5a),(5b)는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의해 지지되는 빔(10)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방향전환풀리 (5a),(5b)가 빔(1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나, 탄성체를 통하여 방진구조로 구성할 수 있도록 빔(10)에 고정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direction change pulleys 5a and 5b are fixed to the beam 10 supported by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In this example, the diverting pulleys 5a and 5b are directly fixed to the beam 10, but may be fixed to the beam 10 so as to be of a dustproof structure through an elastic body.

또, 빔(10)은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탄성체를 통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The beam 10 can also be attached to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via an elastic body.

제어반(15)에 의해 구동되는 권양기(4)의 시브(4a)에 의해 현가된 로프(3)가 방향전환풀리(5a),(5b)에 의해 방향전환되고, 카용 현가풀리(11) 및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12)를 통하여, 카(1)와 카운터웨이트(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 때, 카용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이 카(1)와 카운터웨이트(2)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한다.The rope 3 suspended by the sheave 4a of the winch 4 driven by the control panel 15 is diverted by the diverting pulleys 5a, 5b, and the suspension pulley 11 for the car and the counter.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can be lifted and lowered through the weight suspension pulley 12. At this time,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restric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 1 and the counterweight 2.

방향전환풀리(5a)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상에서 권양기(4)와 일부 겹쳐 배치되고, 또 권양기(4)의 모터(4b)는 승강로(8)의 수평단면 내에서 카용 가이드레일(6)의 배면보다도 카 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8)의 수평단면의 투영면 상에서 권양기(4)에 의해 점유되는 면적은 감소된다. 또, 권양기(4)는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천정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승강로의 정상부에서 점검보수작업자가 카 상의 권양기에 대한 점검보수작업을 할 때 승강로의 천장에 점검보수작업자의 머리가 예측할 수 없게 충돌되는 일이 없어, 방호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The turning pulley 5a is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winch 4 on the projected surface of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8, and the motor 4b of the hoist 4 is guide rail for the car in the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8. Since it is located on the car side rather than the back of (6), the area occupied by the winch machine 4 on the projection surface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8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hoist 4 is disposed below the car ceiling when the car stops on the top floor, the head of the maintenance worker on the ceiling of the hoistway when the maintenance worker performs the maintenance work on the hoist of the car at the top of the hoistway. Does not collide unpredictably and does not require protective means.

또, 권양기가 온도상승에 의해 고장나는 일이 없다.In addition, the hoist is not broken by the temperature rise.

또, 빔(9)의 아래에 권양기(4)가 부착되고, 빔(10)에는 방향전환풀리(5a), (5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빔(9)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방향의 힘과, 빔(10)을 통하여 카용 가이드레일(6)과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7)에 작용하는 로프 (3)의 장력에 의해 발생하는 하방향의 힘이 가이드레일 내부에서 상쇄되고, 건물에 제공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winch | winder 4 is attached under the beam 9, and the direction change pulley 5a, 5b is attached to the beam 10, the guide rail 6 for a car through the beam 9, The upward force generated by the tension of the rope 3 acting on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and the beam guide 10 act on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7. The downward force generated by the tension of the rope 3 is canceled inside the guide rail, and the force provided to the building can be reduced.

또, 권양기(4)의 하단과 제어반(15)의 하단은 각각 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 카 천정면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트가 물로 관수되어도 권양기(4)와 제어반(15)은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Further, the lower end of the winch 4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15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car bottom when the car stops on the lowermost floor, and are also positioned at the lower position of the car ceiling, so that even if the pit is irrigated with water, 4) and the control panel 15 are not damaged.

이 타입의 기계실이 없는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피트의 깊이가 1.2m에서 1.7m 정도이다. 이 위치에 권양기와 제어반이 배치되어 있을 때 점검보수작업자가 피트 바닥에 섰을 때 손이 닿는 범위, 예로써 1.2m에서 1.7m 높이의 범위(카가 최하층에 정지할 때의 카 바닥면의 높이는 피트 바닥에서 1.7m임)에 위치되어, 점검보수작업이 용이하다.In this type of machine roomless elevator, the pit depths range from 1.2 m to 1.7 m. When the lifter and the control panel are placed in this position, the reach of the maintenance worker when standing on the pit floor, for example, in the range of 1.2 m to 1.7 m height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lowest floor is the pit bottom). Is 1.7m), so maintenance work is easy.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1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 그 권양기의 상단을 카 천정면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며, 또 제어반(15)을 대략 같은 높이에 배치한 경우에는 피트만이 아니라 지하층 전체가 물로 차 있어도 권양기(4)와 제어반(15)이 손상을 받는 일이 없다.Moreover, the lower end of the winch machine 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position of a car bottom surface when a car stops on the 1st floor, and the upper end of the winches is arrange | positioned in a position below a car ceiling surface, and the control panel 15 is about the same height. In this case, the winch 4 and the control panel 15 are not damaged even if the entire basement floor is filled with water as well as the pits.

또,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기준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 그 권양기의 상단이 카 천정면 아래 위치에 배치되며, 또 제어반(15)이 거의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관리에 맞는 점검보수를 가장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Moreover, the lower end of the winch machine 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per position of a car bottom surface when a car stops on a reference floor, and the upper end of the winch machine is arrange | positioned in a position below a car ceiling surface, and the control panel 15 is located in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In the case of arrangement, the maintenance 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evice can be performed most easily.

권양기(4)의 하단은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바닥면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또 그 권양기의 상단이 카 천정면보다 아래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가 높이에 대하여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양자는 점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winch 4 is disposed at a position above the bottom of the car when the car stops on the uppermost floor, and the winch 4 and the turning pulley 5a when the upper end of the winch is dispo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top of the car ceiling. Since () and (5b) are located close to the height, both can simplify maintenance.

실시예 4.Example 4.

도 8 ~ 도 10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아래에서 설명한다.An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n elevator apparatus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4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9 및 도 10은 각각 요부도를 나타낸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승강구에서 볼 때, 카운터웨이트가 카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권양기가 카의 측면에서, 또 카가 최상층에 정지할 때 카 천정높이의 바로 아래에서 방향전환풀리를 지지하는 빔의 아래측에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어 설명을 생략한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Embodiment 4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plan view, and Figs. 9 and 10 show principal parts, respectively. This is seen from the elevator's hatch, below the beam supporting the diverting pulley, with the counterweight placed at the rear of the car and at the side of the car and just below the car ceiling height when the winch stops on the top floor. It is an example arrang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like parts,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면에서, 16은 빔(10)의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체이다.In the figure, 16 is an elastic body that absorbs the vibration of the beam 10.

여기서, 방향전환풀리(5a),(5b)의 승강로 벽에 대한 경사각은 변경할 수 있고, 2개의 방향전환풀리(5a),(5b) 상호간의 간격도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변구조는 예를 들면, 빔(10)과 방향전환풀리(5a),(5b)의 프레임이 서로 볼트로 고정시키고, 또 그 고정 구멍을 긴 구멍으로 형성시키면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그 가변구조가 이 실시예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 이 가변구조는 실시예 1∼실시예 3에서도 적용 할 수 있다.Here,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istway walls of the diverting pulleys 5a and 5b can be changed and the spacing between the two diverting pulleys 5a and 5b can also be changed. This variable structure can be realized if, for example, the beam 10 and the frames of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are bolted to each other and the fixing holes are formed into long holes. However, the variable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is variable structure can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방향전환풀리(5a),(5b)를 지지하는 빔(10)의 아래쪽에 권양기(4)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장력에 의한 권양기(4)의 시브(4a)의 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방향전환풀리(5a), (5b)에 아래쪽으로 작용하는 힘은 서로 상쇄된다. 즉 빔(10)에 작용하는 힘이 내측의 힘으로서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에 작용하는 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winch machine 4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beam 10 which supports the direction change pulley 5a, 5b, the force which acts upward of the sheave 4a of the winch machine 4 by tension, The forces acting downward on the diverting pulleys 5a and 5b cancel each other out. In other words, the forces acting on the beam 10 cancel each other as inner forces. Therefore, the force acting on the guide rail can be reduced.

또,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가 같은 빔(10)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호간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nches 4 and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are attached to the same beam 10, the positional adjustment can be facilitated.

또,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가 동일한 빔(10)에 부착되어 있고, 빔(10)은 탄성체(16)를 통하여 카의 가이드레일(6) 및 카운터웨이트의 가이드레일 (7)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권양기(4)와 방향전환풀리(5a),(5b)의 진동을 절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ch 4 and the turning pulleys 5a and 5b are attached to the same beam 10, and the beam 10 passes through the elastic body 16 of the car guide rail 6 and the counterweight. Since it is attached to the guide rail 7,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sulate the vibrations of the winch 4 and the turning pulleys 5a, 5b.

또, 방향전환풀리(5a), (5b)의 승강로 벽과의 경사각이 가변적이고, 2개의 방향전환풀리(5a),(5b) 사이의 간격도 가변적이므로, 다른 사이즈의 카(1)에서 카용 현가풀리(11)와 카운터웨이트용 현가풀리(12)와의 승강로 평면에서의 위치관계가 변하여도 같은 설계를 적용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inclination angle with the hoistway walls of the diverting pulleys 5a and 5b is variable, and the spacing between the two diverting pulleys 5a and 5b is also variable, it is possible to use the car in different sizes of cars 1. The same design can be applied even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n the plane of the hoistway between the suspension pulley 11 and the suspension weight pulley 12 for the counterweight is changed.

실시예 5.Example 5.

도 11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한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or an elevator device is described below using FIG. 11.

도 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 5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example 5 of an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같은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17은 2개 있었던 방향전환풀리(5a),(5b) 중 하나를 치환시킨 구동장치이다. 또, 이 치환은 실시예 1∼실시예 4에 적용할 수 있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drawings described above indicate the same par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igure, 17 is a driving device in which one of the two turning pulleys 5a and 5b is replaced. This substitution can be applied to Examples 1 to 4.

2개의 방향전환풀리(5a),(5b) 중 하나를 구동장치(17)로 치환하고, 권양기 (4)에 의해 동기구동 할 때, 구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대용량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When one of the two diverting pulleys 5a, 5b is replaced by the drive unit 17 and synchronized with the winch 4, the driving ability can be improved, and it is also applied to a large-capacity elevator unit. You can do it.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Kawa to elevate in the hoistway;

카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운터웨이트와;A counterweight moving in a direction facing the car;

카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과;A car guide rail for regula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A guide rail for a counterweight for restric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는 로프와;A rope suspending the kawa counterweight;

로프를 권양기 주위에 감으며, 승강로 내에서 로프를 통하여 카와 카운터웨이트를 승강시키고, 박형(thin type)으로 형성시키며, 승강로의 최하층에서 카가 정지할 때 카 바닥면의 위쪽 위치와 승강로의 최상층에서 카가 정지할 때 카 천정의 아래쪽 위치에서 승강로의 수평단면 내 하나의 벽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권양기와;Winding the rope around the hoist, lifting the car and counterweight through the rope in the hoistway, forming a thin type, the car at the top of the car floor and the top floor of the hoistway when the car stops at the bottom of the hoistway. A hoisting machine disposed in parallel with one wall in a horizontal section of the hoistway at a lower position of the car ceiling when stopping;

권양기의 위쪽 위치에서 벽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시킨 방향전환풀리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합하게 적용된다.It is suitably applied to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onsists of the turning pulley arrange | position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wall surface in the upper position of a winch.

위에서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불사용공간의 발생을 억제 할 수 있다.By the elevator apparatus of this invention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unused space in a hoistway can be suppressed.

Claims (5)

승강구(entrance)와, 상기 승강구의 양측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 및 제2 카벽과, 상기 승강구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카벽과 연결된 제3 카벽을 구비하며,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와;An entrance and a first car wall positioned in both directions of the door, and a third car wall facing the doo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ar wall and lif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Kawa; 상기 카의 수평방향이동을 규제하는 카용 가이드레일과;Car guide rail for regula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car;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에서, 상기 제3 카벽과, 상기 제3 카벽에 대향하는 상기 승강로의 제1 승강로벽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카와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카운터웨이트와;A counterweight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car wall and the first hoistway wall of the hoistway facing the third carwall in a flat section of the hoistway;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수평방향 이동을 규제하는 카운터웨이트용 가이드레일과;A guide rail for a counterweight for restric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시브(sheave)와 상기 시브를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에서 상기 제3 카벽과 상기 제1 승강로벽 사이에 존재하고, 상기 제1 승강로벽의 폭방향으로 상기 카운터웨이트와는 떨어져 배치되며, 상기 시브는 상기 제1 승강로 벽에 대향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3 카벽측에 위치하고, 상기 시브의 회전축 방향의 외형 치수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의 외형치수보다도 작은 권양기와;A sheave and a motor for driving the sheave are provided between the third car wall and the first hoistway wall in a flat cross section of the hoistway, and the counterweigh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hoistway wall. And a sheave disposed away from said sheave wall facing said first hoistway wall, said motor located on said third car wall side, and having an external dimens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xis of said sheave smaller than an external dimens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said axis of rotation. ; 상기 시브에 감겨짐과 동시에, 상기 카 및 상기 카운터웨이트를 현가하는 로프와;A rope wound on the sheave and suspending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상기 시브에서 상기 카에 이르는 상기 로프의 일부분이 감겨지는 제1 방향전환풀리와;A first diverting pulley in which a portion of the rope from the sheave to the car is wound; 상기 시브에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에 이르는 상기 로프의 일부분이 감겨진 제2 방향전환풀리A second diverting pulley in which a portion of the rope from the sheave to the counterweight is wound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제1 방향전환풀리는, 상기 승강로의 평단면에서 상기 로프의 일부가 상기 제1 카벽과, 상기 제1 카벽과 대향하는 상기 승강로의 제2 승강로벽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것Wherein the first diverting pulley is arrang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rope passes between the first car wall and the second hoistway wall of the hoistway facing the first carwall in a flat section of the hoistway. 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0003730A 2004-01-19 2004-01-19 Elevator apparatus KR1004704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730A KR100470427B1 (en) 2004-01-19 2004-01-19 Eleva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730A KR100470427B1 (en) 2004-01-19 2004-01-19 Elevator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15A Division KR100473094B1 (en) 1999-12-06 1999-12-06 Elevator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167A Division KR100524363B1 (en) 2004-08-06 2004-08-06 Eleva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64A KR20040013064A (en) 2004-02-11
KR100470427B1 true KR100470427B1 (en) 2005-02-05

Family

ID=3732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730A KR100470427B1 (en) 2004-01-19 2004-01-19 Elevato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4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821Y1 (en) 2017-06-23 2018-11-07 김은기 Tissue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64A (en)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094B1 (en) Elevator device
JP4191331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JP3991657B2 (en) elevator
JP4934941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438994B1 (en) Elevator device
JPWO2003020628A1 (en) Elevator equipment
JP2012056773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KR100685505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47042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524363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480950B1 (en) Elevator apparatus
JPWO2005105652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1097649A (en) Elevator device
JP2011051736A (en) Elevator device
KR100597941B1 (en) Elevator winch and elevator device
JP3508768B2 (en) Elevator equipment
JP4658067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4002045A5 (en)
JPWO2005082767A1 (en) Elevator equipment
KR100804886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752860B1 (en) Elevator apparatus
JP2004002045A (en) Elevator device
KR100804887B1 (en) Elevator apparatus
EP1481934B1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