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60B1 - Elevator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860B1
KR100752860B1 KR1020057025183A KR20057025183A KR100752860B1 KR 100752860 B1 KR100752860 B1 KR 100752860B1 KR 1020057025183 A KR1020057025183 A KR 1020057025183A KR 20057025183 A KR20057025183 A KR 20057025183A KR 100752860 B1 KR100752860 B1 KR 100752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yaw
hoistway
cag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40608A (en
Inventor
나오키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25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860B1/en
Publication of KR2006004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6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7Shoe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1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66B7/042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with rollers, shoe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가 탑재되어 있다.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In an elevator apparatus, cage guide rails for guiding the lift of a car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The car is equipped with a car guide shoe that engages the car guide rail.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recessed part is provided in the wall part of a cage | basket | car, and at least one part of a cage | basket | car guide sho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Elevator device {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승강로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car guide rail for guiding the lifting of a car is provided in the hoistway.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9-165163호 공보에 나타난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의 스페이스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승강로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 후방인 스페이스에 균형(釣合)추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내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보다 전방인 스페이스에 권상기(卷上機)가 배치되어 있다. For example,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shown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9-165163, a car guide rail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a car and a hoistway wall. Moreover, a balance is further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rear behind the cage | basket | car guide rail in a hoistway. Moreover, the hoisting machin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ahead of the cage guide rail in a hoistway.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승강로 스페이스가 커지게 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pace for arranging the car guide rail between the car and the hoistway wall, and the hoistway space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further reduce an elevator space.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guide shoe)를 구비하고, 수직 투영면내에서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cage having a wall portion for elevating the inside of a hoistway, a car guide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nd a car mounted on the car and engaged with the car guide rail. A guide shoe is provided, an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a yaw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car guide shoe is disposed in the yaw portion.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구동 쉬브(driving sheave)를 갖는 구동 장치,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주(main) 로프(rope)(현가 부재(suspending member)로서의 로프를 칭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간단히 로프로 칭함), 제1 주 로프가 접속되는 제1 로프 접속부와, 제2 주 로프가 접속되는 제2 로프 접속부를 갖고,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및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배면간의 치수는 엘리베이터 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주 로프의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에의 접속부간의 치수 이하로 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riving apparatus having a driving sheave, and first and second main ropes (suspending members) wound around the driving sheav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rope), an elevator car having a first rope connection part to which a first main rope is connected, and a second rope connection part to which a second main rope is connected, and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a driving force of a driving device, And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r, wherein the dimensions between the back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are measured. It is below the dimension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to 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 of the 1st and 2nd main rop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의 대각에 위치하는 코너(隅)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취부(chamfered portion)가 형성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면취부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면취부에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a pair of car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nd mounted on the car and engaged with the car guide rail. In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car guide shoes, a chamfered portion facing each other is formed at a corner located at a diagonal of the car, and the car guide rail faces the chamfer. The car guide shoe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chamfering par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를 구비하고, 수직 투영면내에서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비상 멈춤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evator car having a wall, and elevates the inside of the hoistway; An emergency stop device for emergency stopping the car is provided. A yaw part is provided in the wall part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nd at least a part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is disposed in the yaw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FIG. 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3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4는 도 3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FIG.

도 5는 도 4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FIG. 7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6; FIG.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6.

도 9는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비상 멈춤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of the elevator device of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문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14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FIG. 1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main part of FIG. 14; FIG.

도 16은 도 1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16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4; FIG.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7 of this invention.

도 18은 도 1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1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7.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19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8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는 도 19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20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19.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21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9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0 of this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1 of this invention.

도 24는 도 2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24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25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도 2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FIG. 26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25; FIG.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very suit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the top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the principal part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 제1 및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2a, 2b, 3a, 3b)은 각각 T자형의 단면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시킨다. 균형추(5)는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에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시킨다. In the drawing, first and second car guide rails 2a and 2b and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 guide rails 3a and 3b are provided in the hoistway 1. The guide rails 2a, 2b, 3a, and 3b each have a T-shaped cross section. The car 4 is guided to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The counterweight 5 is guid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3a and 3b to raise and lower the inside of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4)은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 실(6)을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은 플로어(floor)부, 벽부 및 천정(ceiling)부를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 전면(front face)(6a),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rear face)(6b), 제1 측면(6c), 및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6d)을 갖고 있다. The car 4 has a car frame (not shown) and the car compartment 6 supported by the car frame. The cage 6 has a floor portion, a wall portion and a ceiling portion. The wall portion of the cage 6 is provided with a front face 6a provided with a cage entrance (not shown), a rear face 6b facing the front side, a first side 6c, and a first side 6c. It has the 2nd side 6d facing the 1st side.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1 측면(6c)에는 제1 요(凹)부(7a)가 설치되어 있고, 제2 측면(6d)에는 제2 요(凹)부(7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요(凹)부(7a, 7b)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요(凹)부(7a, 7b)는 그루브(groove, 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 first yaw portion 7a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6c, and a second yaw portion 7b is provid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6d. The 1st and 2nd recessed parts 7a and 7b are provided continuously along the elevating direction (up-down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at is, the 1st and 2nd recessed parts 7a and 7b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제1 및 제2 요(凹)부(7a, 7b)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실(6)내에는 약간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돌기는 승객의 정원에 영향을 줄 정도의 것은 아니다. By providing the 1st and 2nd recessed parts 7a and 7b, som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age | basket | car 6. However, these bumps are not enough to affect the passenger's yard.

제1 요(凹)부(7a)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에 계합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요(凹)부(7b)내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에 계합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요(凹)부(7a, 7b)내에 수용되어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ar guide shoe 20a engaging with the first car guide rail 2a is disposed in the first yaw portion 7a.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ar guide shoe 20b engaging with the second car guide rail 2b is disposed in the second yaw portion 7b. In this example, the entire cage guide shoes 20a and 20b are housed in the yaw portions 7a and 7b.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간의 치수는 제1 및 제2 측면(6c, 6d)의 요(凹)부(7a, 7b) 이외의 부분간의 치수보다 작아지고 있다. For this reason, the dimension between car guide shoes 20a and 20b becomes smaller than the dimension between parts other than the recessed parts 7a and 7b of the 1st and 2nd side surfaces 6c and 6d.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슬라이딩 가이드 슈, 롤러 가이드 슈 또는 자기적 가이드 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는 그 단면의 80% 이상이 요(凹)부(7a, 7b)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kind of car guide shoes 20a and 20b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a sliding guide shoe, a roller guide shoe, a magnetic guide shoe, etc. can be used. Th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re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80% or more of their cross sections are accommodated in the yaw portions 7a and 7b.

또,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7a, 7b)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요(凹)부(7a, 7b)에 마주(臨)하여 배치되어 있다. 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t least one part of the cage guide rails 2a and 2b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s 7a and 7b.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disposed to face the yaw portions 7a and 7b.

제1 및 제2 요(凹)부(7a, 7b)는 엘리베이터 칸 실(6)의 깊이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즉,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The first and second yaw portions 7a and 7b are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6.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face each other. That is,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the center lines of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When the counterweight 5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4, it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ack of the car 4 so that it may oppose the back surface 6b.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1 측면(6c) 및 제2 측면(6d)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또,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대칭 또는 거의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is provided with 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The first and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s 8a, 8b slightly protrude from the first side surface 6c and the second side surface 6d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Moreover, the 1st and 2nd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is symmetrical or almost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 basket | car 4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또한, 제1 로프 접속부(8a)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으로 대하여,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로프 접속부(8b)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Moreover, the 1st rope connection part 8a is arrange | positioned ahead of the 1st cage guide rail 2a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4. The 2nd rope connection part 8b is arrange | positioned behind the 2nd cage guide rail 2b with respect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4.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지지 프레임(9)(도 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9)은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및 균형추 가이드 레일(3a, 3b)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 프레임(9)은 건축에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해도 된다. The support frame 9 (FIG. 3)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The support frame 9 is supported by at least a part of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s 3a and 3b. Moreover, you may support the support frame 9 by the support part provided in the building.

지지 프레임(9)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권상기)(10)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10)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 본체(11)와, 구동 장치 본체(1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쉬브(12)를 갖고 있다. The support frame 9 is supported by a drive device (winder) 10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The drive device 10 has a drive device body 11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drive sheave 12 rotated by the drive device body 11.

이 예에서, 구동 쉬브(12)는 구동 장치 본체(11)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쉬브(12)는 감속 기구를 개재하지 않고 구동 장치 본체(11)의 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된다. In this example, the drive sheave 12 is arranged on the drive body 11. In addition, the drive sheave 12 is directly driven by the motor of the drive body 11 without intervening the reduction mechanism.

또, 구동 장치(10)는 구동 쉬브(12)의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을 포함)으로 뻗도록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10)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축 방향으로 직각인 방향의 외경 치수보다 작은 박(薄)형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In addition, the drive device 10 is disposed horizontally (including almost horizontal) such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sheave 12 extends vertically (including almost vertical). Moreover, as the drive apparatus 10, the foil type hoisting machine whose axial dimension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direction orthogonal to an axial direction is used.

또한, 구동 장치(10)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엘리베이터 칸(4)과 겹치고 있다. 즉, 구동 장치(10)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drive device 10 overlaps the car 4 entirely or almost entirely. That is, the drive device 10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car 4.

구동 쉬브(12)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주 로프군(group)(13)이 감겨져 있다. 주 로프군(13)은 복수 라인(도면에서는 한 라인으로만 나타냄)의 제1 주 로프(14)와, 복수 라인(도면에서는 한 라인으로만 나타냄)의 제2 주 로프(15)를 포함하고 있다. The main rope group 13 which winds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in the hoistway 1 is wound by the drive sheave 12. As shown in FIG. The main rope group 13 includes a first main rope 14 of plural lines (only one line in the drawing) and a second main rope 15 of plural lines (only one line in the drawing) have.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주 로프군(13)에 의해, 1:1 로핑(roping)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suspended by the main rope group 13 in a 1: 1 roping manner.

제1 주 로프(14)는 제1 로프 접속부(8a)에 접속된 제1 단부(14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2 단부(14b)를 갖고 있다. 제2 주 로프(15)는 제2 로프 접속부(8b)에 접속된 제3 단부(15a)와,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된 제4 단부(15b)를 갖고 있다. The 1st main rope 14 has the 1st end part 14a connected to the 1st rope connection part 8a, and the 2nd end part 14b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5. As shown in FIG. The 2nd main rope 15 has the 3rd end part 15a connected to the 2nd rope connection part 8b, and the 4th end part 15b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unterweight 5. As shown in FIG.

지지 프레임(9)상에는 제1 주 로프(14)를 제1 로프 접속부(8a)로 가이딩(guiding, 導)하는 제1 풀리(pulley)(16)와, 제2 주 로프(15)를 제2 로프 접속부(8b)로 가이딩하는 제2 풀리(17)와, 제1 및 제2 주 로프(14, 15)를 균형추(5)로 가 이딩하는 제3 풀리(18)와, 구동 쉬브(12)로부터 뻗는 제1 주 로프(14)를 제1 풀리(16)로 가이딩하는 전향(deflection) 풀리(19)가 탑재되어 있다.On the support frame 9, a first pulley 16 for guiding the first main rope 14 to the first rope connection 8a and a second main rope 15 are formed. The second pulley 17 for guiding the two rope connecting portions 8b, the third pulley 18 for guid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ropes 14 and 15 with the counterweight 5, and the driving sheave ( A deflection pulley 19 for guiding the first main rope 14 extending from 12 to the first pulley 16 is mounted.

제1 풀리(16)는 제1 로프 접속부(8a)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풀리(17)는 제2 로프 접속부(8b)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pulley 16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first rope connection 8a. The second pulley 17 is disposed directly above the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 8b.

제1 ~ 제3 풀리(16~18)는 그러한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19)는 그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을 포함)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to third pulleys 16 to 18 are arranged such that the rotating shaft is horizontal. The forward pulley 19 is disposed such that its axis of rotation is vertical (including almost vertical).

구동 장치(10) 및 풀리(16~19)는 공통의 지지 프레임(9)에 탑재되어서 유닛(unit)화되어 있다. The drive apparatus 10 and the pulleys 16-19 are mounted in the common support frame 9, and are unitized.

또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피치(suspension pitch)(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1 단부(14a)와 제3 단부(15a)와의 사이의 치수)를 F0,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 배면간 피치(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배면간의 치수)를 G1, 가이드 슈간 피치(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간의 치수)를 E1로 하면,In addition, F0 and cage guide rail back surface pitch are set to suspension suspension pitch (dimension between the first end 14a and the third end 15a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4). (Dimensions between the back surfaces of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4), G1, guide shoe pitch (car guide shoe 20a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4). , 20b) is set to E1,

F0

Figure 112005077215393-pct00001
G1 > E1 로 되어 있다. F0
Figure 112005077215393-pct00001
G1> E1.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과속도 등의 엘리베이터의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4)을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 멈춤 장치(22)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22)는 기계적인 조작력의 전달에 의해 동작하는 기계식이어도, 전기적인 작동 신호를 받아서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를 갖는 전기식이어도 된다.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 basket | car 4,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for emergency-stopping the cage | basket | car 4 when an abnormality of an elevator, such as an overspeed, arises is mounted.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may be a mechanical type operating by the transmission of a mechanical operating force or an electric type having an actuator operating by receiving an electrical operation signal.

도 4는 도 3의 비상 멈춤 장치(22)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비상 멈춤 장치(2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비상 멈춤 장치(22)는 엘리베이터 칸(4)측에 고정된 고정 피스(piece, 片)(23)와, 고정 피스(23)의 내측에 고정된 고정측 제동 피스(24)와, 고정 피스(23)의 내측에 접동(摺動, slidably))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측 제동 피스(쐐기(wedge, 楔) 부재)(25)를 갖고 있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of FIG. 3,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of FIG. 4.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includes a fixed piece 23 fixed to the side of the car 4, a fixed side brake piece 24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xed piece 23, and a fixed piece ( It has a movable side braking piece (wedge member) 25 provided in the inside of 23) so that sliding is possible.

고정측 제동 피스(24)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고정 피스(23)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피스(23)의 가동측 제동 피스(25)와의 접합면에는 테이퍼(taper) 형상의 접동 안내면(23a)이 설치되어 있다. The fixed side braking piece 24 is fixed to the fixed piece 23 so as to face the side surfaces of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 tapered sliding guide surface 23a is provided on the joining surface of the fixed piece 23 with the movable side braking piece 25.

비상 멈춤 장치(22)의 동작시에는 가동측 제동 피스(25)가 접동 안내면(23a)을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4)에 대하여 위쪽으로 변위된다. 이로 인해, 가동측 제동 피스(25)가 접동 안내면(23a)과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측면과의 사이에 들어가고(wedge),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고정측 제동 피스(24)와 가동측 제동 피스(25)와의 사이에 협지되고, 엘리베이터 칸(4)이 비상 정지된다. In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the movable side braking piece 25 is displ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ar 4 along the sliding guide surface 23a. Thus, the movable side braking piece 25 enters between the sliding guide surface 23a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nd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fixed side braking. It sandwiches between the piece 24 and the movable side brake piece 25, and the cage | basket | car 4 is emergency stopped.

수직 투영면내에 있어서, 비상 멈춤 장치(22)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7a, 7b)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멈춤 장치(2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의 계합부의 전체가 요(凹)부(7a, 7b)내에 수용되어 있다.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t least a part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is disposed in the yaw portions 7a and 7b. In this example, the entire engaging portion of the emergency stop 22 with the car guide rails 2a, 2b is housed in the yaw portions 7a, 7b.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7a, 7b)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device, since th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nd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s 7a and 7b provided in the cage | basket | car 6, an elevator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artment 4 can be made small,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 F0

Figure 112005077215393-pct00002
G1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동일하게, F0 > E1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F0
Figure 112005077215393-pct00002
Since it is G1, the hoistway space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Similarly, since F0> E1, the hoistway space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특히, 요(凹)부(7a, 7b)를 설치함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단면적의 감소분보다, 요(凹)부(7a, 7b)를 설치함에 의한 승강로(1)의 단면적의 감소분이 크면, 보다 효과적으로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duc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1 by installing the yaw portions 7a and 7b rather than the reduction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age 6 by the installation of the yaw portions 7a and 7b. If this is large, the hoistway space can be reduced more effectively.

또, 비상 멈춤 장치(22)의 적어도 일부가 요(凹)부(7a, 7b)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비상 멈춤 장치(22)가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at least one part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s 7a and 7b,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cage | basket | car 4,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4) can be made small,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의 동일한 위치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을 배치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지게 배치해도 된다. In addition, although Embodiment 1 arrange | positioned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in the same position of the car 4 in the depth direction, you may arrange car guide rails mutually spaced apart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4. .

실시 형태 2Embodiment 2

다음에,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art of FIG. 6, and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6. .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과 제1 측면(6c)과의 사이의 코너부에는 제1 요(凹)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배면(6b) 과 제2 측면(6d)과의 사이의 코너부에는 제2 요(凹)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과 제1 측면(6c)과의 사이의 코너부에는 제3 요(凹)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과 제2 측면(6d)과의 사이의 코너부에는 제4 요(凹)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In the figure, a first yaw portion 21a is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6a of the cage 6 and the first side surface 6c. The second recessed part 21b is provided in the corner part between the back surface 6b of the cage | basket | car 6 and the 2nd side surface 6d. A third yaw portion 21c is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6a of the cage 6 and the first side surface 6c. A fourth yaw portion 21d is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6a of the cage 6 and the second side surface 6d.

요(凹)부(21a~21d)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긴 형상의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네 코너를 면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요(凹)부(21a~21d)는 면취부, 코너-노치(corner-notched)부, 또는 단면-노치부라고 할 수도 있다. 제1 요(凹)부(21a)와 제2 요(凹)부(21b)는 서로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다. 제3 요(凹)부(21c)의 저면(면취면)과 제4 요(凹)부(21d)의 저면은 서로 평행 또는 거의 평행하다. The concave portions 21a to 21d are formed to chamfer four corners of the elongated cage 6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That is, the yaw portions 21a to 21d may be referred to as chamfered portions, corner-notched portions, or cross-sectional notched portions. The first yaw portion 21a and the second yaw portion 21b are parallel or almost parallel to each other. The bottom (chamfered surface) of the third yaw portion 21c and the bottom of the fourth yaw portion 21d are parallel or almost parallel to each other.

요(凹)부(21a~21d)는 엘리베이터 칸(4)의 승강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The yaw portions 21a to 21d are provided continuously along the lifting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car 4.

제1 요(凹)부(21a)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에 계합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요(凹)부(21b)에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b)에 계합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의 전체가 요(凹)부(21a, 21b)내에 수용되어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car guide shoe 20a engaging with the first car guide rail 2a is disposed in the first yaw portion 21a.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car guide shoe 20b engaging with the second car guide rail 2b is disposed on the second yaw portion 21b. In this example, the entire cage guide shoes 20a and 20b are housed in the yaw portions 21a and 21b.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는 실질적으로, 수직 투영면에서 전면(6a)을 연장한 직선과 제1 측면(6c)을 연장한 직선과 제1 요(凹)부(21a)의 저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의 내측(제1 요(凹)부(21a)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b)는 실질적으로 수직 투영 면에서 배면(6b)을 연장한 직선과 제2 측면(6d)을 연장한 직선과 제2 요(凹)부(21b)의 저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의 내측(제2 요(凹)부(21b)내)에 배치되어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first car guide shoe 20a is substantially a straight line extending the front surface 6a and a straight line extending the first side surface 6c and a first yaw o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It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1st recessed part 21a of the triangular area which the bottom face of the part 21a encloses. Moreover, the 2nd cage | basket | car guide shoe 20b is the straight line which extended the back surface 6b in th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projection surface, the straight line which extended the 2nd side surface 6d, and the bottom face of the 2nd recessed part 21b. It is arrange | positioned inward (inside the 2nd recessed part 21b) of the area | region which encloses this triangle.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는 그 단면의 80% 이상이 요(凹)부(21a, 21b)내에 수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re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80% or more of their cross sections are accommodated in the yaw portions 21a and 21b.

또,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21a, 21b)내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은 서로 대향하고 있는 동시에, 제1 및 제2 요(凹)부(21a, 21b)의 저면에 대향하고 있다. 즉,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의 중심선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동일한 직선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대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t least one part of the cage guide rails 2a and 2b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s 21a and 21b.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face each other and face the bottom 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yaw portions 21a and 21b. That is,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the center lines of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located on the same straight line (the diagonal of the elevator compartment 6).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투영면내에 있어서, 비상 멈춤 장치(22)의 적어도 일부는 요(凹)부(21a, 21b)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비상 멈춤 장치(22)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과의 계합부의 전체가 요(凹)부(21a, 21b)내에 수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t least one part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yaw part 21a, 21b. In this example, the entire engaging portion of the emergency stop 22 with the car guide rails 2a, 2b is housed in the yaw portions 21a, 21b.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거의 동일하다. The other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nd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s 21a and 21b provided in the cage | basket | car 6, an elevat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artment 4,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 및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엘리베이터 칸(4)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고, 주행 중의 엘리베이터 칸(4)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搖動)이 억제되고, 엘리베이터 칸(4)을 안정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로서 비교적 염가인 슬라이딩 가이드 슈를 이용할 수 있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nd the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diagonal position of the car 4, the space | interval between car guide rails 2a and 2b is widen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uctuations around the vertical axis of the car 4 while traveling and to lift the car 4 in a stable manner. For this reason, relatively inexpensive sliding guide shoes can be used as th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nd cost can be reduced.

또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네 코너에 요(凹)부(21a~21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좁은 승강로(1)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가 엇갈려도, 요(凹)부(21a~21d)를 통과하여 공기가 빠져 나가게 할 수 있고, 엇갈릴 때의 충격음이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recessed parts 21a-21d are provid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cage | basket | car 6, even if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cross in the narrow hoistway 1, I) Air can pass out through the portions 21a to 21d, and the generation of impact sound and vibration when staggered can be suppressed.

또한, 비상 멈춤 장치(22)의 적어도 일부가 요(凹)부(21a, 21b)내에 배치 되어 있으므로, 비상 멈춤 장치(22)가 엘리베이터 칸(4)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is disposed in the yaw portions 21a and 21b, the emergency stop device 22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car 4, and the car In the width direction of (4),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실시 형태 3Embodiment 3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4 및 제3 요(凹)부(21d, 21c)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풀리(16, 17)는 제4 및 제3 요(凹)부(21d, 21c)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장치(10) 및 전향 풀리(19)의 레이아웃도 실시의 형태 2와는 다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거의 동일하다.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 the first and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s 8a and 8b are disposed in the fourth and third yaw portions 21d and 21c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refore, the 1st and 2nd pulleys 16 and 17 are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4th and 3rd recessed parts 21d and 21c. For this reason, the layouts of the drive device 10 and the forward pulley 19 are also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other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또, 실시 형태 1, 2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엘리베이터 칸(4)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26)이 설치되어 있다(2개 문의 중앙 열림 방식).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및 제1 로프 접속부(8a) 등의 기기는 문이 열릴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문(26)에 간섭하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although omitted in Embodiment 1, 2, the cage | basket | car 4 is provided with the door 26 of a pair of cage | basket | cars which opens and closes a cage | basket | car doorway (center opening system of two doors). Devices, such as the car guide rail 2a, the car guide shoe 20a, and the 1st rope connection part 8a,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not interfere with the door 26 of a car when a door is open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로프 접속부(8a, 8b)가 요(凹)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cessed parts 21d and 21c,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n be made smaller. In addition, the space of the hoistway can be further reduced.

실시 형태 4Embodiment 4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27)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27)는 한 쌍의 고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28)과 한 쌍의 저속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29)을 갖고 있다(4개의 문 중앙 열림 방식).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과 거의 동일하다. Next, FIG. 11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4 of this invention, FIG. 12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tate of the door of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the car 4 is equipped with a car door device 27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 door. The car door apparatus 27 has the door 28 of a pair of high speed car and the door 29 of a pair of low speed car (four door center opening system). The other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embodiment.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문이 열린 상태에서 2개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28, 29)이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문이 열린 상태에 있어서 엘리베이 터 칸의 문(28, 29)의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실(6)의 전면(6a)측에 위치하는 요(凹)부(21a, 21d)를 크게 하는 일 없이, 요(凹)부(21a, 21d)에 수용되는 기기와 도어 장치(27)와의 간섭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 실(6)의 바닥 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doors 28 and 29 of two cage | basket | cars overlap with the door open state, the storage space of the doors 28 and 29 of the elevator cage | bulb can be made small in the open state. Can be. Therefore, the apparatus and door apparatus accommodated in the yaw portions 21a and 21d without enlarging the yaw portions 21a and 21d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6a side of the cage 6. Interference with (27) can be easily avoided, and the reduction of the floor area of the cage 6 can be suppressed.

또한, 실시 형태 4에서는 피스측이 2개인 엘리베이터 칸의 문을 이용하였으나, 피스측이 3개 이상으로 있어도 된다. In addition, in Embodiment 4, although the door of the car with two piece sides was used, three pieces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it.

또, 예를 들면 주름 상자(蛇腹)식의 도어와 같이 절첩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의 문을 이용해도 되고, 문 열린 상태에서의 수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of a collapsible car like a corrugated door may be used, and the storage space in the door open state can be made small.

실시 형태 5Embodiment 5

다음에,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문이 열린 상태일 때에 엘리베이터 칸의 문(26) 및 승강장의 문(도시하지 않음)이 수납되는 문 포켓(pocket)부와 승강장벽과의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제어반(control panel)(30a, 30b)이 설치되어 있다. 제어반(30a, 30b)에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Next, FIG. 13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5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a control panel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door pocket portion and the lifting barrier in which the door 26 of the car and the door (not shown) of the landing are stored when the door is opened. 30a, 30b) are provided. The control panels 30a and 30b contain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pparatus.

제어반(30a, 30b)은 보수 점검시에, 도면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 방면의 프레임을 통과하여 승강장 출입구로 인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control panels 30a and 30b can be pulled out through the three-sided frame and drawn out to the landing doorway at the time of maintenance inspection, as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the figur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문(26)이 제어반(30a, 30b)에 간섭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피스측이 1개인 엘리베이터 칸의 문(26)을 이용할 수 있고,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it is possible to easily prevent the door 26 of the car from interfering with the control panels 30a and 30b. For this reason, the door 26 of the car with one piece side can be used, and the increase of cost can be suppressed.

또한, 실시 형태 5에서는 2개의 제어반(30a, 30b)을 이용하였으나, 1개로 해 도 된다. In the fifth embodiment, two control panels 30a and 30b are used, but may be one.

또, 도 13에 있어서 제어반(30a, 30b)이 설치되어 있는 스페이스에는 제어반(30a, 30b) 이외의 기기를 수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FIG. 13, apparatuses other than the control panels 30a and 30b can also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in which the control panels 30a and 30b are provided.

실시 형태 6Embodiment 6

다음에,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14 is a plan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6 of this invention, FIG. 15 is the top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the principal part of FIG. 14, and FIG. 16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면에 있어서, 제1 및 제2 로프 접속부(8a, 8b)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1 및 제2 요(凹)부(21a, 21b)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풀리(16, 17)는 제1 및 제2 요(凹)부(21a, 21b)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구동 장치(10) 및 전향 풀리(19)의 레이아웃도 실시 형태 2와는 다르다. In the figure, the first and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s 8a, 8b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yaw portions 21a, 21b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refore, the 1st and 2nd pulleys 16 and 17 are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1st and 2nd recessed parts 21a and 21b. For this reason, the layouts of the drive device 10 and the forward pulley 19 are also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econd embodiment.

또,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3 요(凹)부(21c)에는 단면이 거의 삼각형인 균형추(31)가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31)는 실질적으로 수직 투영면에서 배면(6b)을 연장한 직선과 제1 측면(6c)을 연장한 직선과 제3 요(凹)부(21c)의 저면(면취면)이 둘러싸는 삼각형의 영역의 내측(제3 요(凹)부(21c)내)에 배치되어 있다. Moreover, the balance weight 31 whose cross section is substantially triangular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3rd recessed part 21c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counterweight 31 is a triangle in which a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back surface 6b substantially extends from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surface 6c, and a bottom face (chamfered surface) of the third yaw portion 21c.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inner side (in 3rd recessed part 21c) of the area | region of this.

제1 측면(6c)에 대향하는 승강로벽에는 균형추(31)의 승강을 안내하는 단면 H형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32)이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31)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형추 가이드 레일(32)에 계합하는 단면 C자형의 균형추 가이드 슈(33)가 장착되어 있다. A counterweight guide rail 32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H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ounterweight 31 is fixed to the elevator wall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6c. As shown in FIG. 15, the counterweight 31 is equipped with a counterweight guide shoe 33 having a cross-sectional C-shape engaged with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2.

균형추 가이드 슈(33)가 균형추 가이드 레일(32)에 계합함으로써, 엘리베이 터 칸(4)의 수평 방향에의 균형추(31)의 변위가 규제되어 있다. When the counterweight guide shoe 33 engages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32, the displacement of the counterweight 3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4 is regulated.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3 요(凹)부(21c)에 균형추(31)를 배치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counterweight 31 was arrange | positioned in the 3rd recessed part 21c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installation space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hoist space.

또한, 균형추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counterweight is not limited to a triangle.

또, 실시 형태 6에서는 제3 요(凹)부(21c)에 균형추(31)를 배치하였으나, 제4 요(凹)부(21d)에 배치해도 된다. In addition, in Embodiment 6, although the counterweight 31 was arrange | positioned at the 3rd recessed part 21c, you may arrange | position it to the 4th recessed part 21d.

또, 2개의 균형추를 제3 및 제4 요(凹)부에 나누어 배치해도 된다. Moreover, you may divide and arrange | position two balance weights to a 3rd and 4th recessed part.

실시 형태 7Embodiment 7

다음에,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의 하부(피트(pit))에는 하부 리턴 풀리(return pulley)(34)(도 18)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리턴 풀리(34)에는 주 로프군(13)이 감겨져 있다. Next, FIG. 17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In the figure, the lower return pulley 34 (FIG. 18)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pit) in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The main rope group 13 is wound around the lower return pulley 34.

실시 형태 7에서는 균형추가 이용되지 않았다. 제3 풀리(18)는 제3 요(凹)부(21c)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풀리(18)로부터 아래쪽으로 향하는 주 로프군(13)은 제3 요(凹)부(21c)내를 관통하고, 하부 리턴 풀리(34)에서 위쪽으로 반전된다. 그리고, 주 로프군(13)의 단부, 즉 제1 주 로프(14)의 제2 단부(14b) 및 제2 주로프(15)의 제4 단부(15b)는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In Embodiment 7, no balance weight was used. The third pulley 18 is disposed above the third yaw portion 21c. The main rope group 13 directed downward from the third pulley 18 passes through the third yaw portion 21c and is reversed upward in the lower return pulley 34. The end of the main rope group 13, that is, the second end 14b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fourth end 15b of the second main rope 15, ar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4. Connected.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 또는 4와 거의 동일하다. The other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as in the third or fourth embodiment.

이와 같이, 균형추를 생략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 및 깊이 방향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Thus, by omitting the counterweight,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4,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실시 형태 8Embodiment 8

다음에,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8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는 도 19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Next, FIG. 19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8 of this invention, and FIG. 20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35a, 35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는 그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4 요(凹)부(21d)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b)는 그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3 요(凹)부(21c)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In the figure, first and second car suspending pulleys 35a and 35b are provided below the car 4. The 1st cage suspension pulley 35a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one part may be located in the 4th recessed part 21d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 part of the second car suspending pulley 35b is arranged such that a part thereof is located in the third yaw portion 21c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균형추(5)의 상부에는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 35b)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에는 복수 라인의 주 로프를 포함하는 주 로프군(13)이 감겨져 있다. A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36 is provided on the counterweight 5. A main rope group 13 including a plurality of main ropes is wound around the car suspension pulleys 35a and 35b and the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36.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구동 쉬브(12)로부터의 주 로프군(13)을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b)에 가이딩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37)와, 구동 쉬브(12)로부터의 주 로프군(13)을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로 가이딩하는 균형추측 리턴 풀리(38)가 설치되어 있다. 리턴 풀리(37, 38)의 회전축은 수평으로 되어 있다. The car side return pulley 37 for guiding the main rope group 13 from the drive sheave 12 to the car suspending pulley 35b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and from the drive sheave 12. A counterweight estimation return pulley 38 for guiding the main rope group 13 to the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36 is provided. The rotating shafts of the return pulleys 37 and 38 are horizontal.

주 로프군(13)의 제1 단부(엘리베이터 칸측 단부) 및 제2 단부(균형추측 단 부)는 지지 프레임(9)에 접속되어 있다. 또, 주 로프군(13)은 제1 단부측으로부터 차례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 35b),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37), 구동 쉬브(12), 균형추측 리턴 풀리(38) 및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36)에 감겨져 있다. 즉, 실시 형태 8에서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는 주 로프군(13)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The first end (elevator compartment side end) and the second end (balance weight side end) of the main rope group 13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9. In addition, the main rope group 13, in order from the first end side, car suspending pulleys 35a and 35b, car side return pulley 37, drive sheave 12, counterweight estimation return pulley 38 and It is wound around the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36. That is, in Embodiment 8,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suspended by the main rope group 13 in the hoistway 1 by 2: 1 roping system.

또, 주 로프군(13)의 일부는 제3 요(凹)부(21c) 및 제4 요(凹)부(21d)내를 통과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3 또는 4와 거의 동일하다. In addition, part of the main rope group 13 passes through the third yaw portion 21c and the fourth yaw portion 21d. The other configuration is almost the same as in the third or fourth embodiment.

이와 같이,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Thus, 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of a 2: 1 roping system, the cage | basket |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nd the cage | basket | car guide rails 2a, in the recessed parts 21a and 21b provided in the cage | basket | car compartment 6 are provided. Since 2b) is arrange | positione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n be made small, and an elevator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35a, 35b)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요(凹)부(21d, 21c)내에 배치되어 있고, 주 로프군(13)이 요(凹)부(21d, 21c)내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car suspending pulleys 35a and 35b is disposed in the yaw portions 21d and 21c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nd the main rope group 13 is the yaw portion 21d, Since it passes through 21c),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can be made small also by this, and a space of a hoistway can be reduced further.

실시 형태 9Embodiment 9

다음에,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균형추(5)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 할 때에 제1 측면(6c)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측쪽에 배치되어 있다. Next, FIG. 21: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9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counterweight 5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ar 4 so as to face the first side surface 6c when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4.

이와 같은 레이아웃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of such a layout, since car guide shoes 20a and 20b and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recessed parts 21a and 21b provided in the cage | basket | car 6, an elevat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mpartment 4,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 로프 접속부(8a, 8b)가 요(凹)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cessed parts 21d and 21c, the installation space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and a space of a hoistway is provided. It can be further reduced.

실시 형태 10Embodiment 10

다음에,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0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제1 구동 장치(41) 및 제2 구동 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 장치(41)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1 구동 장치 본체(42)와, 제1 구동 장치 본체(42)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 쉬브(43)를 갖고 있다. 제2 구동 장치(44)는 모터 및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제2 구동 장치 본체(45)와, 제2 구동 장치 본체(45)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 쉬브(46)를 갖고 있다. Next, FIG. 22: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0 of this invention. In the figure, the first drive device 41 and the second drive device 44 ar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1. The first drive device 41 includes a first drive device body 42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first drive sheave 43 rotated by the first drive device body 42. The second drive device 44 has a second drive device body 45 including a motor and a brake, and a second drive sheave 46 rotated by the second drive device body 45.

이 예에서, 구동 쉬브(43, 46)는 구동 장치 본체(42, 45)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구동 장치(41, 44)는 구동 쉬브(43, 46)의 회전축이 수직(거의 수직을 포함)으로 뻗도록 수평(거의 수평을 포함)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장치(41, 44)로서는 축 방향 치수가 구동 쉬브(43, 46)의 지름 치수 또는 구동 장치 본체(42, 45)의 지름 치수보다 작은 박형 권상기가 이용되고 있다. In this example, drive sheaves 43 and 46 are disposed on drive body 42, 45. In addition, the drive devices 41 and 44 are arranged horizontally (including almost horizontal) so that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sheaves 43 and 46 extends vertically (including almost vertical). Moreover, as the drive devices 41 and 44, the thin hoist which the axial dimens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drive sheaves 43 and 46 or the diameter dimension of the drive body main bodies 42 and 45 is used.

또한, 구동 장치(41, 44)는 수직 투영면에 있어서, 전체 또는 거의 전체가 엘리베이터 칸(4)과 겹치고 있다. 즉, 구동 장치(41, 44)는 엘리베이터 칸(4)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구동 장치(41, 44)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대각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Moreov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the drive devices 41 and 44 overlap all or almost the car 4 with the car 4. That is, the drive devices 41 and 44 are arrange | positioned immediately above the car 4. Moreover, specifically, the drive devices 41 and 44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diagonal posi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제1 구동 쉬브(43)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1 주로프(14)가 감겨져 있다. 제2 구동 쉬브(46)에는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를 승강로(1)내에 매다는 복수(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제2 주 로프(15)가 감겨져 있다. The first drive sheave 43 is wound with a plurality of first main ropes 14 (only one is shown in the figure) in which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A plurality of second main ropes 15 are wound around the second drive sheave 46 to suspend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in the hoistway 1.

엘리베이터 칸(4)과 균형추(5)는 주 로프(14, 15)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 있다. The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suspended by the main ropes 14 and 15 in a 1: 1 roping manner.

승강로(1)내의 상부에는 제1 주 로프(14)를 제1 로프 접속부(8a)로 가이딩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 제1 주 로프(14)를 균형추(5)로 가이딩하는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 제1 구동 쉬브(43)로부터의 제1 주 로프(14)를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로 가이딩하는 전향 풀리(49), 제2 주 로프(15)를 제2 로프 접속부(8b)로 가이딩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 및 제2 주 로프(15)를 균형추(5)로 가이딩하는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가 설치되어 있다.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1, the 1st cage | basket | car side return pulley 47 which guides the 1st main rope 14 to the 1st rope connection part 8a, and the 1st main rope 14 are guided by the counterweight 5 A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48 for ding, a forward pulley 49 for guiding the first main rope 14 from the first drive sheave 43 to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48, a second The second cage side pulley 50 for guiding the main rope 15 to the second rope connecting portion 8b,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for guiding the second main rope 15 with the counterweight 5. 51 is provided.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는 이의 회전축이 수평 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향 풀리(49)는 그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The first cage side pulley 47,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48, the second cage side pulley 50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51 are arranged so that their rotation axis is horizontal. The forward pulley 49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rotating shaft may become vertical or nearly vertical.

제1 주 로프(14)의 제1 구동 쉬브(43)와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와의 사이의 부분, 제1 주 로프(14)의 전향 풀리(49)와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와의 사이의 부분, 제2 주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46)와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와의 사이의 부분, 및 제2 주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46)와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와의 사이의 부분은 서로 평행, 또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어 있다.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43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47, the forward pulley 49 and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of the first main rope 14. Part between 48, part between second drive sheave 46 of second main rope 15 and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50, and second drive of second main rope 15 Portions between the sheave 46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51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4.

제1 주 로프(14)의 제2 단부(균형추측 단부) 및 제2 주 로프(15)의 제4 단부(균형추측 단부)는 균형추(5)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균형추(5)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The second end (balance counter end)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fourth end (balance counter end) of the second main rope 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unterweight 5 by way of the counterweight 5.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구동 장치(41, 43)의 구동력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칸(4) 및 균형추(5)가 승강되므로, 큰 승차 정원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such an elevator apparatus, since the cage | basket | car 4 and the counterweight 5 are lifted and lif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1st and 2nd drive devices 41 and 43, it becomes possible to ensure a big riding capacity.

이와 같이, 2개의 구동 장치(41, 43)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Thus, even when using the two drive devices 41 and 43, the cage guide shoes 20a and 20b and the cage guide are provided in the yaw portions 21a and 21b provided in the cage 6. Since the rails 2a and 2b are arrange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4,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 로프 접속부(8a, 8b)가 요(凹)부(21d, 21c)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엘리 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rope connection parts 8a and 8b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cessed parts 21d and 21c, the installation space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vator car 4,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실시 형태 11Embodiment 11

다음에,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Next, FIG. 23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by Embodiment 11 of this invention, and FIG. 24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4)의 하부에는 제1 주 로프(14)가 감겨져 있던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52b)와 제2 주 로프(15)가 감겨져 있던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a, 53b)가 설치되어 있다. In the drawing, as long as the pair of first car suspending pulleys 52a and 52b and the second main rope 15 are wound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car 4, the first main rope 14 is wound. A pair of second car suspending pulleys 53a and 53b are provided.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a)는 그러한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4 요(凹)부(21d)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b)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b)는 그러한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제3 요(凹)부(21c)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car suspending pulley 52a and the second car suspending pulley 53a are arranged such that a part thereof is located in the fourth yaw portion 21d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first car suspending pulley 52b and the second car suspending pulley 53b are disposed such that a part thereof is located in the third yaw portion 21c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제1 주 로프(14)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52b) 사이의 부분과, 제2 주 로프(15)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a, 53b) 사이의 부분은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다.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car suspending pulleys 52a, 52b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portion between the second car suspending pulleys 53a, 53b of the second main rope 15 Are parallel to each other.

제1 주 로프(14)의 제1 단부(14a) 및 제2 주 로프(15)의 제3 단부(15a)는 지지 프레임(9)에 접속되어 있다. The first end 14a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third end 15a of the second main rope 15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9.

제1 주 로프(14)는 제1 단부(14a)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b),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 턴 풀리(47), 제1 구동 쉬브(43), 전향 풀리(49) 및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에 감겨져 있다. The 1st main rope 14 is the 1st car suspending pulley 52b, the 1st car suspending pulley 52a, and the 1st car side return pulley 47 sequentially from the 1st end part 14a side. ), The first drive sheave 43, the forward pulley 49 and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48 are wound.

제2 주 로프(15)는 제3 단부(15a)측으로부터 차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b),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3a),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 제2 구동 쉬브(46) 및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에 감겨져 있다. The 2nd main rope 15 is the 2nd car suspending pulley 53b, the 2nd car suspending pulley 53a, and the 2nd car side return pulley 50 in order from the 3rd end 15a side. The second drive sheave 46 and the second balance return pulley 51 are wound.

엘리베이터 칸(4)은 주 로프(14, 15)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균형추(5)는 주 로프(14, 15)에 의해 1: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The car 4 is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2: 1 roping manner by the main ropes 14, 15. The counterweight 5 is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1: 1 roping manner by the main ropes 14, 15.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0과 동일하다.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tenth embodiment.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칸(4)측과 균형추(5)측에서 로핑비가 다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in an elevator device having a different roping ratio from the car 4 side and the counterweight 5 side, the car guide shoes 20a, 21a and 21b are provided in the yaw portions 21a and 21b provided in the car compartment 6. Since 20b and car guide rails 2a and 2b are arrange | positioned, the installation space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4, and a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52a, 52b, 53a, 53b)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요부(21d, 21c)내에 배치되어 있고, 주 로프(14, 15)가 요(凹)부(21d, 21c)내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도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Moreover, a part of car suspension pulley 52a, 52b, 53a, 53b is arrange | positioned in recessed part 21d, 21c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nd main rope 14, 15 is a recessed part 21d. And 21c),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r 4,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실시 형태 12Embodiment 12

다음에,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Next, FIG. 25 is a plan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a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6 is a side view showing the elevator apparatus of FIG. 25.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내에는 제1 엘리베이터 칸(아래 엘리베이터 칸)(61)과, 제1 엘리베이터 칸(61)의 위쪽으로 승강되는 제2 엘리베이터 칸(위 엘리베이터 칸)(6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61, 62)은 실시 형태 2 내지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칸 실(6)을 각각 갖고 있다. In the drawing, the hoist 1 is provided with a first car (lower car) 61 and a second car (upper car) 62 which is elevated above the first car 61. It is. The 1st and 2nd cage | basket | car 61, 62 has cage | basket | car compartment 6 as shown to Embodiment 2-11, respectively.

제1 엘리베이터 칸(61)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63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62)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4a, 64b)가 설치되어 있다. A pair of 1st car suspending pulleys 63a and 63b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1st car 61. The lower part of the 2nd cage | basket | car 62 is provided with a pair of 2nd cage | basket | car suspending pulleys 64a and 64b.

승강로(1)내에는 한 쌍의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65a, 65b)과, 한 쌍의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66a, 66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65a, 65b)과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66a, 66b)은 이의 중심선이 수직 투영면내에서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으로 평행한 직선상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In the hoistway 1, a pair of 1st counterweight guide rails 65a and 65b and a pair of 2nd counterweight guide rails 66a and 66b are provided. The 1st counterweight guide rails 65a and 65b and the 2nd counterweight guide rails 66a and 66b a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s center line may overlap on the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in a vertical projection plane.

승강로(1)내에는 제1 균형추 가이드 레일(65a, 65b)에 안내되어서 승강되는 제1 균형추(67)와, 제2 균형추 가이드 레일(66a, 66b)에 안내되어서 승강되는 제2 균형추(6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균형추(67, 68)는 엘리베이터 칸(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때에 배면(6b)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counterweight 67 guided and lifted by the first counterweight guide rails 65a and 65b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68 guided and lifted by the second counterweight guide rails 66a and 66b in the hoistway 1. Is installed. The first and second counterweights 67 and 68 are disposed behind the car 4 so as to face the rear surface 6b when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ar 4.

제1 균형추(67)의 상부에는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69)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균형추(68)의 상부에는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70)가 설치되어 있다. A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69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unterweight 67.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7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unterweight 68.

제1 엘리베이터 칸(61)과 제1 균형추(67)는 제1 주 로프(14)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제2 엘리베이터 칸(62)과 제2 균형추(68)는 제2 주 로프(15)에 의해 2:1 로핑 방식으로 승강로(1)내에 매달려 있다. The first car 61 and the first counterweight 67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2: 1 roping manner by the first main rope 14. The second car 62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68 are suspended in the hoistway 1 in a 2: 1 roping manner by the second main rope 15.

제1 주 로프(14)의 양(兩) 단부 및 제2 주 로프(15)의 양 단부는 지지 프레임(9)에 접속되어 있다. Both ends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both ends of the second main rope 15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9.

제1 주 로프(14)는 제1 단부(14a)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b),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 제1 구동 쉬브(43), 전향 풀리(49),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 및 제1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69)에 감겨져 있다. The 1st main rope 14 has the 1st car suspending pulley 63b, the 1st car suspending pulley 63a, and the 1st car side return pulley 47 in order from the 1st end part 14a side. And a first drive sheave 43, a forward pulley 49, a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48 and a first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69.

제2 주 로프(15)는 제3 단부(15a)측으로부터 차례로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4b),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4a),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 제2 구동 쉬브(46),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 및 제2 균형추 서스펜딩 풀리(70)에 감겨져 있다. The 2nd main rope 15 has the 2nd car suspending pulley 64b, the 2nd car suspending pulley 64a, and the 2nd car side return pulley 50 in order from the 3rd end 15a side. The second drive sheave 46,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51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suspending pulley 70 are wound.

제1 엘리베이터 칸(61) 및 제1 균형추(67)는 제1 구동 장치(41)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제2 엘리베이터 칸(62) 및 제2 균형추(68)는 제2 구동 장치(44)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된다. The first cage 61 and the first balance weight 67 are lif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drive device 41. The second car 62 and the second balance weight 68 are lif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second drive device 44.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63b, 64a, 64b)는 이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요(凹)부(21d, 21c)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주 로프(14, 15)는 제3 및 제4 요(凹)부(21c, 21d)내를 통과하고 있다. 제1 주 로프(14)의 제1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63b) 사이의 부분과, 제2 주 로프(15)의 제2 엘리 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4a, 64b)간의 부분은 수직 투영면내에서 서로 평행으로 되어 있다. The car suspending pulleys 63a, 63b, 64a, 64b are arranged so that a part thereof is located in the yaw portions 21d, 21c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In addition, the main ropes 14 and 15 pass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yaw portions 21c and 21d.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car suspending pulleys 63a and 63b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portion between the second elevator car suspending pulleys 64a and 64b of the second main rope 15.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projection plane.

제1 주 로프(14)의 제1 구동 쉬브(43)와 제1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47)와의 사이의 부분, 제1 주 로프(14)의 전향 풀리(49)와 제1 균형추측 리턴 풀리(48)와의 사이의 부분, 제2 주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46)와 제2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50)와의 사이의 부분, 및 제2 주 로프(15)의 제2 구동 쉬브(46)와 제2 균형추측 리턴 풀리(51)와의 사이의 부분은 서로 평행, 또 엘리베이터 칸(4)의 깊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어 있다.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drive sheave 43 of the first main rope 14 and the first car side return pulley 47, the forward pulley 49 and the first counterweight return pulley of the first main rope 14. Part between 48, part between second drive sheave 46 of second main rope 15 and second car side return pulley 50, and second drive of second main rope 15 Portions between the sheave 46 and the second counterweight return pulley 51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car 4.

이와 같이, 1개의 승강로(1)내에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61, 62)이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이른바 원-샤프트 멀티-카(one-shaft multi-car)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도, 엘리베이터 칸 실(6)에 설치된 요(凹)부(21a, 21b)내에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20a, 20b)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2a, 2b)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Thus, also in the elevator apparatus in which several cage | basket | cars 61 and 62 are arrange | positioned in one hoistway 1, the elevator apparatus of what is called a one-shaft multi-car system, a cage | basket | car Since the cage guide shoes 20a and 20b and the cage guide rails 2a and 2b are disposed in the yaw portions 21a and 21b provided in the chamber 6,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4 is provide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elevator apparatus in can be made small, and the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63a, 63b, 64a, 64b)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요(凹)부(21d, 21c)내에 배치되어 있고, 주 로프(14, 15)가 요(凹)부(21d, 21c)내를 통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엘리베이터 칸(4)의 폭 방향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고,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car suspending pulleys 63a, 63b, 64a, 64b is disposed in the yaw portions 21d, 21c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and the main ropes 14, 15 are yawed. Since it passes through the part 21d, 21c, the installation space of an elevator apparatus can be made small also in this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4, and a hoistway space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로프 접속부 또는 서스펜딩 풀리에 의한 1:1 로핑 방식 및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현가부의 현가 방식이나 로핑 방식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Moreover, although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1: 1 roping system and the 2: 1 roping system by the rope connection part or the suspending pulley was shown in the above example, the suspension system and the roping system of a suspension part are not limited to these.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장치가 승강로내에 배치된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으나, 구동 장치나 제어반이 기계실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drive apparatus showed the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arrange | positioned in a hoistway,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elevator apparatus provided with a drive apparatus and a control panel in a machine room.

또한, 본 발명은 승강로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장치나 제어반이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로벽과의 사이에 배치되지 않은 것에 특히 유효하다. In addition, since the hoistway space can be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that the drive device and the control panel are not disposed between the car and the hoistway wall.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배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In the above example, the driving device is arranged so that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e sheave is vertical or almost vertical.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driv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is, and for example, the rotational axis of the driving sheave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반대로 구동 쉬브가 구동 장치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동 장치를 배치해도 된다. Further, in the above example, the driving device is arranged such that the driving sheave is located above the driving body. Alternatively, the driving device may be arranged so that the driving sheave is located below the driving body.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의 상부에 구동 장치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장치의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승강로내의 하부에 배치해도 된다. 또, 구동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탑재된 자주식(自走式)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above the hoistway, but the position of the drive device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disposed below the hoistway, for example. Moreover,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self-propelled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 drive apparatus is mounted in the upper part or the lower part of a car.

또한, 주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갖는 로프, 또는 벨트(belt) 형상 로프 등(이들을 "현가 부재(suspending member)"라 통칭)을 이용할 수 있다. As the main rope, for example, a ro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belt-shaped rope, or the lik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uspending member") can be used.

또, 주 로프로서는 예를 들면 강제(steel) 로프, 또는 고마찰 수지재로 이루 어지는 외층 피복체가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지 피복 로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피복 로프를 이용함으로써, 적은 권부각(卷付角)으로 큰 트랙션(traction)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수지 피복 로프는 단순한 강제 로프보다 유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쉬브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다. As the main rope, for example, a steel rope or a resin coated rope in which an outer layer covering made of a high friction resi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can be used. By using the resin-coated rope, a large traction force can be secured with a small winding angle. In addition, since the resin-coated rope can increase flexibility more than a simple steel rope, the diameter of the drive sheave can be reduced.

또한, 승강로(1)내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기(구동 장치, 리턴 풀리, 전향 풀리 등)를 공통의 지지 프레임에 탑재하여 유닛화해도 된다. Moreover, you may mount the apparatus (drive apparatus, return pulley, turning pulley, etc.)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in the hoistway 1 in a common support frame, and make it unit.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모든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요(凹)부내에 배치하였으나, 한 측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만을 요(凹)부내에 배치해도 된다.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car guide shoes were arrange | positioned in the yaw part in the said example, you may arrange | position only one car guide shoe in the yaw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스페이스를 더욱 축소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elevator apparatus which can further reduce a hoistway space can be provided.

Claims (20)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guide shoe)를 구비하고,An elevator car having a wall portion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a car guide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to guide the hoisting of the car, and a car guide shoe mounted on the car and engaged with the car guide rail ( guide shoes)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으며,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a yaw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car guide shoe is disposed in the yaw portion, 상기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前面),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갖고 있고,The wall portion has a front surface on which a car door is installed, a rear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상기 요(凹)부는 상기 전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隅)부에 설치된 제1 요(凹)부와, 상기 배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2 요(凹)부를 포함하고,The yaw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Including the urinary tract,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상기 제1 요(凹)부에 설치된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와, 상기 제2 요(凹)부에 설치된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ar guide shoe provided in the first yaw portion and a second car guide shoe provided in the second yaw portion, 상기 요(凹)부는 상기 배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3 요(凹)부와, 상기 전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4 요(凹)부를 추가로 포함하고,The yaw portion is a third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fourth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dditional),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main) 현가 부재(suspending member)가 접속되는 제1 및 제2 현가 부재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고,The ca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suspension member connecting portions to which main suspension members for hanging the car are connected. 상기 제1 및 제2 현가 부재 접속부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제3 및 제4 요(凹)부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said 1st and 2nd suspension member connection part is provided in the said 3rd and 4th recessed part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와, 상기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균형추를 구비하고,An elevator car having a wall, and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a car guide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nd a car guide shoe mounted on the car and engaged with the car guide rail; A balance weight for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으며,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a yaw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car guide shoe is disposed in the yaw portion, 상기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갖고 있고,The wall portion has a front surface on which a car door is installed, a rear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상기 요(凹)부는 상기 전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1 요(凹)부와, 상기 배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2 요(凹)부를 포함하고,The yaw portion includes a first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Including)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상기 제1 요(凹)부에 설치된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와, 상기 제2 요(凹)부에 설치된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ar guide shoe provided in the first yaw portion and a second car guide shoe provided in the second yaw portion, 상기 요(凹)부는 상기 배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3 요(凹)부와, 상기 전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4 요(凹)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고,The yaw portion is a third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fourth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of 상기 균형추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제3 및 제4 요(凹)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said counterweight is arrange | positioned in at least one of the said 3rd and 4th recessed part 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구비하고,An elevator car having a wall portion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a car guide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nd a car guide shoe mounted on the car and engaged with the car guide rail Equipped,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으며,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wall portion is provided with a yaw portion, and at least a part of the car guide shoe is disposed in the yaw portion, 상기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갖고 있고,The wall portion has a front surface on which a car door is installed, a rear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상기 요(凹)부는 상기 전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1 요(凹)부와, 상기 배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2 요(凹)부를 포함하고,The yaw portion includes a first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Including)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는 상기 제1 요(凹)부에 설치된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와, 상기 제2 요(凹)부에 설치된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In the elevator apparatus comprising a first car guide shoe provided in the first yaw portion and a second car guide shoe provided in the second yaw portion, 상기 요(凹)부는 상기 배면과 상기 제1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3 요(凹)부와, 상기 전면과 상기 제2 측면과의 사이의 코너부에 설치된 제4 요(凹)부를 추가로 포함하고,The yaw portion is a third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rear surface and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fourth yaw portion provided at a corner portion between the front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Additional),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하부에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가 설치되어 있고,The lower part of the car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ar suspending pulleys,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 현가 부재가 감겨져 있고, The main suspension member for hanging the car is wound around the first and second car suspending pulleys,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딩 풀리는 이의 일부가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제3 및 제4 요(凹)부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And said first and second car suspending pulleys are arranged such that a portion thereof is located in said third and fourth yaw portions in a vertical projection plane.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구비하고,An elevator car having a wall portion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a car guide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nd a car guide shoe mounted on the car and engaged with the car guide rail Equipped,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said wall part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In the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t least one part of the said car guide sho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id recessed part, 상기 벽부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가 설치된 전면, 상기 전면에 대향하는 배면,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을 갖고 있고,The wall portion has a front surface on which a car door is installed, a rear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a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상기 요(凹)부는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된 제1 요(凹)부와, 상기 제2 측면으로 설치된 제2 요(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yaw portion includes a first yaw portion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and a second yaw portion provid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1 요(凹)부에 마주(臨)하는 제1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요(凹)부에 마주하는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The car guide rail includes a first car guide rail facing the first yaw portion and a second car guide rail facing the second yaw portion,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제1 측면측에는 주 현가 부재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달기 위한 제1 현가부가 설치되어 있고,A first suspension portion for suspending the car by a main suspens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car;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제2 측면측에는 주 현가 부재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달기 위한 제2 현가부가 설치되어 있고,On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car, a second suspension portion for suspending the car by a main suspension member is provided.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레일 배면간 피치(pitch)는 상기 제1 및 제2 현가부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suspension) 피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pitch between the guide rail rear surfaces of the said 1st and 2nd cage guide rails is set to below the cage suspension pitch by the said 1st and 2nd suspension part. 벽부를 갖고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를 구비하고,An elevator car having a wall portion to elevate the inside of the hoistway, a car guide rail installed in the hoistway and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nd a car guide shoe mounted on the car and engaged with the car guide rail Equipped,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벽부에는 요(凹)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In the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said wall part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art, In the elevator apparatus in which at least one part of the said car guide sho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id recessed part,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주 현가 부재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달기 위한 현가부가 설치되어 있고,The car is provided with a suspension for hanging the car by a main suspension member. 상기 현가부는 수직 투영면내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슈와 공통의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said suspension par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id recessed part common with the said car guide shoe in a vertical projection surface,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고, 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주 현가 부재가 감겨지는 구동 쉬브(driving sheave)를 갖고, 상기 주 현가 부재를 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구동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It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has a driving sheave which winds the main suspension member which hangs the said cage | basket | car, and is further provided with the drive apparatus which raises and lowers the said cage | car via the said main suspension member,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drive device is an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so tha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is vertical or almost vertica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The car door is provided with a car door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ar door, 상기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는 문이 열린 상태일 때에 서로 겹쳐지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문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The car door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car doors overlapping each other when the door is in an open stat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에 계합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를 더 구비하며,And an emergency stop device mounted on the car and engaging the car guide rail to emergency stop the car. 상기 비상 멈춤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요(凹)부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At least a part of said emergency stop devic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aid recessed part,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구동 쉬브를 갖는 구동 장치,A drive device having a drive sheave, 상기 구동 쉬브에 감겨져 있는 제1 및 제2 주 현가 부재,First and second main suspension member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상기 제1 주 현가 부재가 접속되는 제1 현가 부재 접속부와, 상기 제2 주 현가 부재가 접속되는 제2 현가 부재 접속부를 갖고, 상기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 칸, 및An elevator car having a first suspension member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first main suspension member is connected, a second suspension member connection portion to which the second main suspension member is connected, and elevating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a driving force of the drive device; 상기 승강로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을 안내하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It is provided in the hoistway, and is provided with the 1st and 2nd car guide rails which guide the lifting of the said car,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레일 배면간 피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및 제2 주 현가 부재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피치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Pitch between the guide rail back surface of the said 1st and 2nd cage guide rai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suspension pitch by the said 1st and 2nd main suspension memb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ge | basket | car The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57025183A 2005-12-28 2004-04-28 Elevator apparatus KR100752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183A KR100752860B1 (en) 2005-12-28 2004-04-28 Elevat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183A KR100752860B1 (en) 2005-12-28 2004-04-28 Elevator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08A KR20060040608A (en) 2006-05-10
KR100752860B1 true KR100752860B1 (en) 2007-08-29

Family

ID=3714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183A KR100752860B1 (en) 2005-12-28 2004-04-28 Elevato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86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2414B (en) * 2022-03-31 2023-03-24 广西壮族自治区特种设备检验研究院 Equipment mold for special elevator parts and machin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9489A (en) * 1987-09-08 1989-03-15 Toshiba Corp Small-sized elevator for low-storied floor
JPH10139327A (en) 1996-11-08 1998-05-26 Riko Kogyo Kk Elevator
JPH11106159A (en) 1997-10-06 1999-04-20 Toshiba Corp Elevator
JPH11335039A (en) 1998-05-26 1999-12-07 Misawa Homes Co Ltd Elevator
WO2002022486A1 (en) * 2000-09-12 2002-03-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9489A (en) * 1987-09-08 1989-03-15 Toshiba Corp Small-sized elevator for low-storied floor
JPH10139327A (en) 1996-11-08 1998-05-26 Riko Kogyo Kk Elevator
JPH11106159A (en) 1997-10-06 1999-04-20 Toshiba Corp Elevator
JPH11335039A (en) 1998-05-26 1999-12-07 Misawa Homes Co Ltd Elevator
WO2002022486A1 (en) * 2000-09-12 2002-03-2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608A (en)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31B2 (en) Elevator equipment
JP4200603B2 (en) Elevator equipment
JPH11106159A (en) Elevator
JPWO2007122702A1 (en) Elevator equipment
JP2010208822A (en) Elevator car
JP4339578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415749B1 (en) Elevator
JP2003146555A (en) Elevator
JP2012056773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741660A1 (en) Elevator apparatus
KR100752860B1 (en) Elevator apparatus
US7331424B2 (en) Elevator apparatus
EP1512652A1 (en) Elevator
EP1053969B1 (en) Elevator
JPWO2004050528A1 (en) Elevator equipment
JP2011051736A (en) Elevator device
KR100804886B1 (en) Elevator apparatus
JP3508768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80488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470427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524363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840054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480950B1 (en) Elevator apparatus
JP2005075575A (en) Elevator apparatus
KR200288350Y1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