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419B1 - Elevator equipment - Google Patents

Elevator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419B1
KR100728419B1 KR1020047014989A KR20047014989A KR100728419B1 KR 100728419 B1 KR100728419 B1 KR 100728419B1 KR 1020047014989 A KR1020047014989 A KR 1020047014989A KR 20047014989 A KR20047014989 A KR 20047014989A KR 100728419 B1 KR100728419 B1 KR 10072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hoistway
rope
pulley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93179A (en
Inventor
미츠이아츠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3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1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1:1 로핑으로서 고속, 저소음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좁은 승강로 상부 간극에서도 기구를 수납하고 또한 권상기의 유지 스페이스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권상 로프를 유연성이 우수한 로프, 또는 소직경 또한 고강도의 강제 로프를 작용함으로써 권상기, 시브 및 풀리의 직경을 작게 구성하여 선회 풀리를 승강로 천정면에 평행하게 배치하여 선회 풀리의 높이 치수를 작게 억제한다. 한편, 승강로 천정면에 평행하지 않는 선회 풀리를 승강로 벽과 케이지의 간극에 배치하여 케이지의 승강로 상부 간극 치수의 규정으로부터 벗어나, 이들의 작용에 의해 공간 절약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Figure 112004043061518-pct00001

High speed and low noise can be achieved by 1: 1 roping th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In addition, the mechanism can be accommodated even in the upper gap of the narrow hoistway and the holding space of the hoisting machine can be secured. In addition, the hoisting rope is made of a flexible rope or a small diameter and high-strength steel rope to make the diameter of the hoist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pulley small, and the turning pulley is arranged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to reduce the height dimension of the turning pulley. Suppress On the other hand, a turning pulley that is not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surface is disposed in the gap between the hoistway wall and the cage, thereby deviating from the definition of the cage top gap dimension of the cage, thereby contributing to space saving.

Figure 112004043061518-pct00001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EQUIPMENT} Elevator device {ELEVATOR EQUIPMENT}             

본 발명은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레이아웃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layout technology of an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도 11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55933 호 공보(제 7, 8페이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하는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상부의 권상기(winding machine)의 시브(sheave)와 선회 풀리(turning pulley)간의 관계를 도시한 승강로 평면도이고, 도 12는 그 승강로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 상부의 권상기(4)의 시브(4a)에 감긴 권상 로프(hoisting rope)(15)에 의해 매달린 케이지(cage)(3)와, 상기 케이지와 대향하여 승강하는 균형추(balance weight)(9)를 구비한 2:1 로핑(roping)의 엘리베이터 장치이다. 이러한 예에서는, 권상기(4)와 시브(4a) 및 제 1 선회 풀리(5)를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게 배치하여 제 2 선회 풀리(6)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시키고, 케이지 하부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2개의 서스펜딩 풀리(suspending pulley)(18)에 감아 케이지(3)를 매달고 있다. 한편, 균형추(9)는 시브(4a)로부터의 권상 로프(15)를 균형추측의 선회 풀리(7)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하고, 균형추에 피봇식 부착된 서스펜딩 풀리(19)에 감아 균형추를 매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Fig. 11 is a sheave and a turning pulley of a winding machine on the upper part of a hoistway of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shown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255933 (Seconds 7, 8 pages, Figs. 15 and 16). An elevation view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urning pulleys, and FIG. 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levation. In the figure, a cage 3 suspended by a hoisting rope 15 wound around the sheave 4a of the hoist 4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a balance weight which lifts and opposes the cage. 2: 1 roping elevator apparatus with 9. In this example, the hoist 4, the sheave 4a and the first pivoting pulley 5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hoist ceiling to be rotated vertically by the second pivoting pulley 6 and pivotally beneath the cage. The cage 3 is hung around two suspended pulleys 18 attached thereto. On the other hand, the counterweight 9 rotates the hoisting rope 15 from the sheave 4a vertically by the pivoting pulley 7 on the counterweight side, and winds the counterweight on the suspending pulley 19 pivotally attached to the counterweight. It is made to hang.

이와 같이 권상기와 시브, 및 제 1 선회 풀리를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는 것은 케이지 상부 간극을 작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권상기를 승강로 천장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 점검시에는 케이지실 천장 상면에 작업자가 올라타서 상향으로의 작업을 강요당해 작업 부담이 커진다. 다른 수단으로서 권상기를 보수 작업을 위해 장착 지지 프레임과 함께 아래로 개폐시키는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도 있지만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에서는, 1:1 로핑의 경우, 좁은 상부 간극에서 권상기나 선회 풀리를 수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권상기나 선회 풀리를 케이지의 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쉽고, 더구나 권상기가 소형으로 되는 2:1 로핑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유연성이 우수한 로프, 소직경 또한 고강도의 강제 로프의 개발과 제품화에 의해 권상기와 시브 및 선회 풀리를 소직경화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단지 2:1 로핑과 조합시키면 권상기와 선회 풀리 모두 회전수가 증가되고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Thus, the wind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1st turning pulley are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hoistway ceiling surface in order to make a cage upper clearance small. However, since the hoist is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hoistway, an operator climbs on the ceiling of the cage chamber and is forced to work upwards at the time of maintenance inspection, thereby increasing the work load. As another means, there is a method of providing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isting machine down with the mounting support frame for maintenance work,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high. In a conventional machineless elevator, in the case of 1: 1 roping, it is difficult to store the hoisting machine or the turning pulley in the narrow upper gap, so that it is easy to arrange the hoisting machine or the turning pulley on the side of the cage, and the hoisting machine becomes smaller. 2: 1 roping is commonly used.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highly flexible ropes and small diameter and high-strength steel ropes have made it possible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hoist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turning pulleys, but when combined with only 2: 1 roping, the rotational speed of both the hoisting machine and the turning pulley increases. And noise may occur.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1:1 로핑으로서 승강로 치수를 최소로 하고, 또한 권상기의 보수 스페이스도 확보한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which minimized the dimension of a hoistway as 1: 1 roping, and also secured the repair space of a hoisting machine.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승강로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일단부가 걸리고 타단부가 다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에 걸린 권상 로프와, 상기 권상 로프를 감고 있 는 시브를 갖는 권상기를 구비한 1: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권상기를 승강로 상부의 승강로 벽측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상기 시브는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시브로부터 케이지로의 복수개의 로프는 승강로 천장에 평행한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의 2개 이상에 의해 케이지의 중심 위치로 옮겨지고, 또한 제 3 선회 풀리를 거쳐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지의 로프 고정부에 로프를 내려 케이지를 매달도록 구성한 것이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cage for elevating along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a hoisting rope with one end hooked to the cage and an elevating weight lifting the other end along another guide rail, and the hoisting rope A 1: 1 roping elevator apparatus having a hoist with a sheave having a sheave, wherein the hoist is placed close to the hoistway wall side above the hoistway, and the sheaves are arranged not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and caged from the sieve. The plurality of ropes in the furnace are moved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cage by two or more of the first and second pivoting pulleys parallel to the hoist ceiling, and als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via the third pivoting pulley, thereby allowing the ropes of the cage to rotate. It is configured to hang the cage down the rope to the fixed part.

또한, 상술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는 직경이 다른 조합인 것이다.Moreover, in the above-mentioned elevator apparatus, the 1st turning pulley and the 2nd turning pulley are a combination with a different diameter.

또한, 승강로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일단부가 걸리고 타단부가 다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에 걸린 권상 로프와, 상기 권상 로프를 감고 있는 시브를 갖는 권상기를 구비한 1: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권상기를 승강로 상부의 승강로 벽측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상기 시브는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시브로부터 케이지로의 복수개의 로프는 승강로 천장에 평행한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에 의해 2방향으로 옮겨지고, 또한 케이지의 양측 2개소의 로프 고정부에 로프를 내리기 위한 제 3 및 제 4 선회 풀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지를 매달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a hoist having a cage for elevating along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a hoisting rope with one end caught by the cage and the other end being lifted along the other guide rail, and a sheave winding the hoist rope An elevator device of 1: 1 roping provided, wherein the hoist is disposed close to the hoistway wall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sheave is arranged not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and the plurality of ropes from the sheave to the cage are hoisted on the hoistway. It is moved in two directions by the first turning pulley and the second turning pulley parallel to, and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third and fourth turning pulleys for lowering the rope on two rope fix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cage, It is configured to hang the cage.

또한, 상술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권상기, 시브, 선회 풀리를 소형화하여 승강로 천장에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선회 풀리를 케이지와 승강로 벽과의 간극에 배치한 것이다.In the above-mentioned elevator apparatus, the hoist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turning pulley are miniaturized, and a plurality of turning pulleys which are not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are arranged in the gap between the cage and the hoistway wall.

또한, 상기 각각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권상 로프에 유연성이 우수한 로프, 또는 소직경 또한 고강도의 강제 로프를 적용하여, 권상기, 시브 및 선회 풀리를 소형화한 것이다.In each of the above elevators, the hoisting rope, which has excellent flexibility or a small diameter and high-strength steel rope, is applied to miniaturize the hoist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turning pulle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승강로 상부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승강로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승강로 상부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 및 도 5의 승강로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of FIGS. 3 and 5;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승강로 상부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하는 승강로 상부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 및 도 8의 승강로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of FIGS. 6 and 8;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승강로 상부의 평면도,8 is a plan view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도시하는 승강로 상부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승강로 종단면도,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of FIG. 9;

도 11은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도시하는 승강로 상부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an upper part of a hoistway showing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도 12는 도 11의 승강로 종단면도.1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of FIG. 11;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설명한다. Next, an Example is demonstrated about this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인 승강로 상부의 권상기 시브와 선회 풀리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승강로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내에 설치한 한쌍의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승강하는 케이지(3)와, 상기 케이지(3)에 일단부가 걸리고 타단부가 다른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9)에 걸린 권상 로프(13)와, 상기 권상 로프를 감고 있는 시브(4a)를 갖는 권상기(4)를 구비한 1: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상기 권상기(4)를 승강로 상부의 승강로 벽측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상기 시브(4a)는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시브(4a)로부터 케이지로의 복수개의 로프(13)는, 승강로 천장에 평행한 제 1 선회 풀리(5)와 제 2 선회 풀리(6)에 의해 2개 이상으로 나뉘어 케이지의 중심 위치로 옮겨지고, 또한 제 3 선회 풀리(8)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로프를 선회하여, 케이지의 로프 고정부에 로프를 걸어 케이지를 매달도록 구성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 hoisting sheave and a turning pulley in an upper part of a hoistw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in Fig. 1. In the drawing, a cage 3 which moves up and down along a pair of guide rails 10 installed in a hoistway, and a counterweight 9 which is caught by one end of the cage 3 and the other end moves up and down along another guide rail 11. The hoisting machine 13 is equipped with a hoisting rope 13 hooked on the hoisting rope and a hoisting machine 4 having a sheave 4a wound around the hoisting rope, wherein the hoisting machine 4 is placed on the hoistway wall side of the hoistway. The sieve 4a is arranged so as not to be parallel to the hoist ceiling, and the plurality of ropes 13 from the sieve 4a to the cage are parallel to the hoist ceiling. And two or more divided by two pivoting pulleys (6) and moved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cage, and by turning the rop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third pivoting pulley (8), the rope is fastened to the rope fixing part of the cage The cage was configured to hang.

따라서, 본 레이아웃에 따르면, 좁은 승강로 상부 간극에서도 1:1 로핑이 이루어질 수 있고, 권상 로프 개수가 많아도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를 2개 이상의 복수로 함으로써, 로프 플리트 앵글(rope fleet angle), 즉 시브나 선회 풀리의 로프 홈에 대해 로프가 이탈하도록 하는 각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layout, 1: 1 roping can be made even in the upper gap of the narrow hoistway, and even if the number of hoisting ropes is large, two or more plural first turning pulleys and second turning pulleys can be used to make a rope fleet angle. ), That is, the angle at which the rope is separated from the rope groove of the sheave or the turning pulley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로프 플리트 앵글을 작게 할 수 있음으로써 로프 홈의 편마모를 억제하는 동시에 소음도 작게 할 수 있어 로프 수명도 연장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pe pleat angle can be reduced, uneven wear of the rope groove can be suppressed and noise can be reduced, thereby extending the life of the rope.

실시예 2Example 2

도 3은 실시예 2를 도시한 도 1 상당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승강로 의 종단면도이다. 제 1 선회 풀리(5)가 1개인 한편, 제 2 선회 풀리(6)와 제 3 선회 풀리(6a)를 2개로 한 것, 즉 제 1 내지 제 3 선회 풀리를 총 3개로 한 것, 그 이외는 상술한 구조체와 동일하여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물 또는 상당물을 나타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3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second embodiment.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of FIG. 3. One 1st turning pulley 5, while having 2nd turning pulley 6 and 3rd turning pulley 6a, ie, making 1st-3rd turning pulleys in total, other than that Si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the same or equivalent to those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description is omitted.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효과에 추가하여 제 1 선회 풀리(5)가 1개인 한편, 제 2 선회 풀리(6)와 제 3 선회 풀리(6a)를 2개의 조합시킨 것으로, 선회 풀리(5)에 대하여 선회 풀리(6)와 선회 풀리(6a)의 축이나 베어링 빔(bearing beam) 등이 떨어져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풀리 각각의 상하의 간격을 보다 근접시킬 수 있고, 상기 로프 플리트 앵글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turning pulley 5 is one, while the second turning pulley 6 and the third turning pulley 6a are combined, thereby turning the turning pulley 5. Since the shafts and bearing beams of the swing pulley 6 and the swing pulley 6a do not fall apart and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pulleys can be closer to each other, and the rope pleat angle can be made smaller. It works.

실시예 3Example 3

도 5는 실시예 3을 도시한 도 3 상당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5의 승강로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제 1 선회 풀리(5)에 대해 제 2 선회 풀리(6)와 제 3 선회 풀리(6a)를 2개 조합시켰지만, 여기에서는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권상기 시브(4a)로부터 풀려 나온 로프(13)가 중심 위치로의 선회 각도에 적합하도록 상기 선회 풀리(5)의 직경을 작고, 또한 상기 선회 풀리(6, 6a)의 2개 대신에 제 2 선회 풀리(6b)를 1개로 직경을 크게 하고, 상기 시브(4a)와 상기 선회 풀리(5)의 선회 각도에 맞도록 제 2 선회 풀리(6b)의 직경을 선정하여 제 3 선회 풀리(8)의 각각의 로프 홈에 대한 로프 각도를 허용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다. 그 이외는 실시예 2와 동일하여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물 또는 상당물을 나타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FIG. 5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a third embodiment, and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of FIG. 5. In Example 2, the 2nd turning pulley 6 and the 3rd turning pulley 6a were combined with respect to the 1st turning pulley 5, However, in this case, the rope unwound from the hoisting sheave 4a in consideration of a layout. The diameter of the pivoting pulley 5 is small so that 13 is suitable for the pivot angle to the center position, and the diameter of the pivoting pulley 6b is one instead of the two of the pivoting pulleys 6, 6a. The diameter of the second pivoting pulley 6b is selected so as to match the pivot angles of the sheave 4a and the pivoting pulley 5 so that the rope angle for each rope groove of the third pivoting pulley 8 is adjusted. It is limited to the allowable range. Except for the sam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equivalent, and the description is omitted.

따라서,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의 직경을 바꾸어 로프의 선회 각 도의 간격에 맞는 선회 풀리의 직경을 선택하여 조합시킴으로써 최적인 로프 플리트 앵글을 이룰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제 1 선회 풀리(5)와 제 2 선회 풀리(6b)의 축이나 베어링 빔 등이 떨어져 간섭하지 않으므로 선회 풀리 상하의 간격을 보다 접근시킬 수 있어서 상기 로프 플리트 앵글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optimum rope pleat angle can be achieved by changing the diameters of the first turning pulley and the second turning pulley by selecting and combining the diameters of the turning pulleys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s of the turning angles of the ropes. In addi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shafts, bearing beams, and the like of the first swing pulley 5 and the second swing pulley 6b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wing pulleys can be approached m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smaller.

실시예 4Example 4

도 6은 실시예 4를 도시한 도 1 상당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승강로의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면 승강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일단부가 걸리고 타단부가 케이지에 대향하여 승강하는 균형추에 걸린 권상 로프와, 상기 권상 로프를 감고 있는 시브를 갖는 권상기를 구비한 1: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4)를 승강로 상부의 승강로 벽측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상기 시브(4a)는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시브(4a)로부터 케이지로의 복수개의 로프(13)는 승강로 천장에 평행한 제 1 선회 풀리(5)와 제 2 선회 풀리(6)로 나뉘어 옮겨지고, 또한 케이지의 양측 2개소의 로프 고정부에 로프를 내리기 위해서 제 3 선회 풀리(8a)와 제 4 선회 풀리(8b)를 거쳐, 수직방향으로 선회되어 케이지를 매달도록 구성했다.FIG. 6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fourth embodiment, and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in FIG. According to this drawing, an elevator of 1: 1 roping having a cage for elevating, a hoisting rope with one end caught on the cage and the other end being lifted up and down against the cage, and a hoist having a sheave wound around the hoisting rope. In the apparatus, the hoist (4) is placed close to the hoistway wall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sheaves (4a) are arranged not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surface, and the plurality of ropes from the sieve (4a) to the cage ( 13) is divided into a first pivoting pulley 5 and a second pivoting pulley 6 parallel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and a third pivoting pulley 8a to lower the rope to two rope fix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cage. And the 4th turning pulley 8b, it turned so that it might turn vertically and hang a cage.

따라서, 좁은 승강로의 상부 간극에서도 1:1 로핑을 이룰 수 있고, 케이지의 현수 지점을 케이지의 중심을 둘러싸는 2점에서 매다는 것으로 케이지에 편하중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의 엘리베이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권상 로프 개수가 많아도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에 로프를 나누므로 상기 로프 플리 트 앵글을 작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로프 플리트 앵글을 작게 함으로써 로프 홈의 편마모를 억제하는 동시에 소음도 작게 할 수 있어서 로프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1: 1 roping even in the upper gap of the narrow hoistway and to apply the suspension point of the cage at two points surrounding the center of the cage so that the cage is not subjected to the unloading load and thus can be applied to a large-capacity elevator. Moreover, even if the number of hoisting ropes is large, the rope pleat angle can be reduced because the ropes are divided into the first turning pulley and the second turning pulley. Furthermore, by reducing the rope pleat angle, the wear of the rope groove can be suppressed and the noise can be reduced, thereby extending the rope life.

실시예 5Example 5

도 8은 실시예 5를 도시한 도 6 상당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8의 승강로의 종단면도이다. 권상기, 시브 및 선회 풀리를 소형화하고, 또한 승강로 천장에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선회 풀리 모두는 케이지와 승강로 벽과의 간극에 배치한다. 그 이외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여 동일 부호는 동일물 또는 상당물을 나타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FIG. 8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6 showing a fifth embodiment, and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in FIG. The hoist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turning pulley are miniaturized, and all of the plurality of turning pulleys not parallel to the hoist ceiling are disposed in the gap between the cage and the hoist wall.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same code | symbol shows the same thing or equivalent,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효과에 추가하여 선회 풀리를 케이지와 승강로 벽과의 간극에 배치함으로써, 케이지의 평면상에 중첩하지 않는 위치가 되고, 케이지의 상부 간극의 규정에서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낮은 상부 간극으로 수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Thus, in addition to the effec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y placing the swing pulley in the gap between the cage and the hoistway wall, it becomes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on the plane of the cage, and does not deviate from the definition of the upper gap of the cage, so that the lower top gap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can be stored.

실시예 6Example 6

도 9는 실시예 6을 도시한 도 8 상당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승강로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권상 로프를 유연성이 우수한 로프, 또는 소직경의 고강도 강제 로프를 적용하여 권상기, 시브 및 선회 풀리를 소형화하고 있다. 그 이외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소직경의 고강도 강제 로프를 적용하여 권상기, 시브 및 선회 풀리를 소형화하는 것은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FIG. 9 i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FIG. 8 showing the sixth embodiment, and FIG.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hoistway in FIG. In this embodiment, in the elevator, the hoisting rope is applied to a rope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or a small diameter high-strength steel rope to miniaturize the hoist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turning pulley. Other than that is the same as above-mention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miniaturization of the hoist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turning pulley by applying a small diameter high strength steel rope is obviously applicable in Examples 1 to 4 as well.

따라서, 상기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를 보다 공간 절약화할 수 있다.Therefore, the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can be saved more space.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Since 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demonstrated above, it shows an effect as described below.

승강로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일단부가 걸리고 타단부가 다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에 걸린 권상 로프와, 상기 권상 로프를 감고 있는 시브를 갖는 권상기를 구비한 1: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를 승강로 상부의 승강로 벽측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상기 시브는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시브에서 케이지로의 복수개의 로프는 승강로 천장에 평행한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 2개 이상으로 나누어 케이지의 중심 위치로 옮겨지고, 또한 제 3 선회 풀리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로프를 선회하고, 케이지의 로프 고정부에 로프를 걸어 케이지를 매달도록 구성했다.A hoist having a cage for elevating along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a hoisting rope with one end hanging on the cage and the other end being lifted along another guide rail, and a sheave winding the hoisting rope. In a 1: 1 roping elevator apparatus, the hoist is placed close to the hoistway wall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sheave is disposed not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and the plurality of ropes from the sieve to the cage are mounted on the hoistway ceiling. I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parallel first pivoting pulleys and second pivoting pulleys and moved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cage, and the rope is pivoted vertically by the third pivoting pulley, and the rope is hooked to the rope fixing part of the cage. Configured to hang.

따라서, 상기 레이아웃에 따르면 좁은 승강로 상부 간극에서도 1:1 로핑할 수 있고, 권상 로프 개수가 많아도 제 1 선회 풀리를 복수로 함으로써 로프 플리트 앵글, 즉 시브나 선회 풀리의 로프 홈에 대해 로프가 이탈하도록 하는 각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layout, it is possible to perform 1: 1 roping even in the upper gap of the narrow hoistway, and even if the number of hoisting ropes is large, the plurality of first turning pulleys allows the ropes to deviate from the rope pleat angle, that is, the rope groove of the sheave or the turning pulley. The angle to make it can be suppressed small.

또한 상기 로프 플리트 앵글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로프 홈의 편마모를 억 제하는 동시에 소음도 줄일 수 있어서 로프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pe pleat angle can be reduced, the wear of the rope groove can be suppressed and the noise can be reduced, thereby extending the rope life.

Claims (5)

승강로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일단부가 걸리고 타단부가 다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에 걸린 권상 로프와, 상기 권상 로프를 감고 있는 단일의 시브를 갖는 단일의 권상기를 구비한 1: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A single cage having a cage for elevating along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a hoisting rope with one end hooked on the cage and the other end being lifted along the other guide rail, and a single sheave winding the hoisting rope. In an elevator device of 1: 1 roping with a hoist, 상기 권상기를 승강로 상부의 승강로 벽측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상기 시브는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시브로부터 케이지로의 복수개의 로프는, 승강로 천장에 평행한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에 의해 2개 이상으로 나뉘어 케이지의 중심 위치로 옮겨지고, 또한 제 3 선회 풀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로프를 선회하여, 케이지의 로프 고정부에 로프를 걸어 케이지를 매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hoist is placed close to the hoistway wall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sheave is arranged not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and the plurality of ropes from the sieve to the cage have a first pivoting pulley and a second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It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two or more by the turning pulley to move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cage, and to rotate the rop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third turning pulley to hang the rope by hanging the rope on the rope fixing part of the cage.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의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swing pulley and the second swing pulley are different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승강로내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에 일단부가 걸리고 타단부가 다른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균형추에 걸린 권상 로프와, 상기 권상 로프를 감고 있는 단일의 시브를 갖는 단일의 권상기를 구비한 1: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A single cage having a cage for elevating along a pair of guide rails installed in the hoistway, a hoisting rope with one end hooked on the cage and the other end being lifted along the other guide rail, and a single sheave winding the hoisting rope. In an elevator device of 1: 1 roping with a hoist, 상기 권상기를 승강로 상부의 승강로 벽측에 접근시켜 배치하고, 상기 시브는 승강로 천장면에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시브로부터 케이지로의 복수개의 로프는 승강로 천장에 평행한 제 1 선회 풀리와 제 2 선회 풀리에 의해 2방향으로 나뉘어 옮겨지고, 또한 케이지의 양측 2개소의 로프 고정부에 로프를 내리기 위한 제 3 선회 풀리와 제 4 선회 풀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로프를 선회하여, 케이지를 매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hoist is placed close to the hoistway wall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sheave is disposed not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and the plurality of ropes from the sieve to the cage are first pivot pulley and the second swiveling parallel to the hoistway ceiling. It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by pulleys, and the rope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third turning pulley and a fourth turning pulley for lowering the rope to two rope fix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cage, so as to hang the cage. Characterized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권상기, 시브 및 선회 풀리를 소형화하여 승강로 천장에 평행하지 않은 복수의 선회 풀리를 케이지와 승강로 벽과의 간극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haracterized in that the hoisting machine, the sheave and the turning pulley are miniaturized, and a plurality of turning pulleys which are not parallel to the ceiling of the hoistway are disposed in the gap between the cage and the hoistway wall.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각각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권상 로프에 유연성이 우수한 로프, 또는 소직경의 고강도 강제 로프를 적용하여 권상기, 시브 및 선회 풀리를 소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In each of the above elevators, the hoisting rope, the sheave and the turning pulley are miniaturized by applying a rope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to the hoisting rope or a high-strength steel rope having a small diameter.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KR1020047014989A 2003-01-23 2003-01-23 Elevator equipment KR1007284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0577 WO2004065275A1 (en) 2003-01-23 2003-01-23 Elevator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179A KR20040093179A (en) 2004-11-04
KR100728419B1 true KR100728419B1 (en) 2007-06-13

Family

ID=3275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989A KR100728419B1 (en) 2003-01-23 2003-01-23 Elevator equipment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86525B1 (en)
JP (1) JPWO2004065275A1 (en)
KR (1) KR100728419B1 (en)
CN (1) CN100471781C (en)
WO (1) WO200406527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5009483D1 (en) * 2005-03-12 2010-06-10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system
EP2014597A1 (en) * 2006-05-01 2009-01-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JP6321255B1 (en) * 2017-03-28 2018-05-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Renewal system and elevator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451A (en) * 1999-06-03 2001-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2002326778A (en) * 2001-03-02 2002-11-12 Shin Meiwa Ind Co Ltd Elevator and multistory parking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0058A (en) * 1991-09-17 1993-03-23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Elevator device
US6247557B1 (en) * 1998-04-28 2001-06-19 Kabushiki Kaisha Toshiba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KR100473094B1 (en) * 1999-12-06 2005-03-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device
EP1319627B1 (en) * 2000-09-12 2009-1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JP2003104657A (en) * 2001-09-28 2003-04-09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451A (en) * 1999-06-03 2001-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2002326778A (en) * 2001-03-02 2002-11-12 Shin Meiwa Ind Co Ltd Elevator and multistory parking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1781C (en) 2009-03-25
WO2004065275A1 (en) 2004-08-05
CN1642839A (en) 2005-07-20
EP1586525B1 (en) 2013-01-02
JPWO2004065275A1 (en) 2006-06-22
EP1586525A1 (en) 2005-10-19
EP1586525A4 (en) 2011-02-23
KR20040093179A (en)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080178A (en) Elevator device
KR101636194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modifying elevator
JP2004504239A (en) Elevator equipment using the smallest building space
KR101016822B1 (en) Elevator device
KR100975689B1 (en) Elevator device
EP1396457B1 (en) Elevator device
KR100474152B1 (en) Elevator uni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0709344B (en) Elevator with a movable elevator car
JP2006256760A (en) Elevator device
KR100728419B1 (en) Elevator equipment
JP2012056773A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WO2020044444A1 (en) Elevator for extension type construction
EP1717185B1 (en) Elevator
JP6336225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80095841A (en) Elevator device
JP4750104B2 (en) Elevator equipment
KR100735338B1 (en) Elevator
WO2023084721A1 (en) Construction elevator and method of extending compensating rope for construction elevator
KR100770500B1 (en) Elevator system
KR20040068178A (en) Elevator equipment
JP2008168986A (en) Elevator device
KR100617383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JP2008044744A (en) Elevator device
KR200288350Y1 (en) Elevator
KR100795265B1 (en) Elevat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